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업디자인 보호정책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천광신 한남대학교 행정정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제품이 비슷한 곳에서는 외관 즉, 디자인이 중시되는 것은 당연하다. 실로 성숙한 공업사회에 있어서 상품의 경쟁에는 3개의 경쟁이 있는데 가격경쟁과 제품경쟁과 디자인 경쟁이 그것이다. 최초에는 가격경쟁이나, 다음에는 제품경쟁으로 그리고 최후에는 디자인 경쟁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디자인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디자인 개발은 오늘날 국가의 중요한 산업정책의 하나이다. 선진국들에 있어서 디자인보호와 관련하여 공통되는 동향은 산업정책으로서 지적소유권을 중요시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일환으로 디자인보호를 강화하려고 하는 점, 이를 위해 디자인보호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려고 하는 점, 신속·간편한 보호를 꾀하려고 하는 점이다. 종래 우리나라에 있어서 산업디자인 보호의 기본법은 의장법이었다. 의장법에 의한 보호는 의장의 성립요건인 물품성, 형태성 등과 의장의 등록요건인 신규성과 창작용이성의 심사를 거쳐 이러한 요건에 적합한 디자인만을 일정기간인 15년을 그 디자인을 보호하였다. 그 후 1987년 7월 1일 이후부터는 디자인보호법제에 저작권법이 추가되었다. 산업디자인을 보호하는 방법에는 산업재산권적 보호방법과 저작권적 보호방법이 있다. 산업재산권적 보호방법은 산업디자인이 법적으로 보호받기 위해서 일정한 요건을 설정한 후, 이 요건에 합치하는 디자인만을 등록하도록 하며, 등록된 의장에 대해서만 의장(특허)권이라는 독점배타적 효력(소위 차단효)을 인정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보호방법을 채택하는 국가는 미국과 일본이다. 이들 국가에서는 가급적 저작권법에 의한 중복보호를 인정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산업재산권적 보호방법은 권리발생을 위하여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렇게 발생한 권리도 등록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등록 후에도 무효로 될 확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저작권적 보호방법이란 등록과 같은 방식을 갖추지 않더라도, 법적으로 보호를 받는 방법을 가리키며, 그 권리 내용도 타인의 모방으로부터만 보호하는 방법(소위 모방금지권)을 지칭한다. 프랑스의 경우는 미의 단일성이론에 의거하여, 산업디자인을 저작권법에 의해 무제한 보호한다. 이러한 방법은 산업디자인을 다른 저작물과 동일하게 보호하므로 저작권법리가 그대로 적용되어 마케팅 수단으로서의 디자인의 특성을 무시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기간이 지나치게 길게 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허법등의 법 자체의 성격도 실체법과 절차법의 양면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형법적 요소, 나아가 소송법적 조항도 함께 지닌 종합적인 성격을 갖기도 한다. 한편 의장권은 특허권이나 상표권등 다른 지적재산권과 비교하여 사권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우리 의장법의 검토는 권리획득의 신속 간편성, 의장의 충분한 재산권적 활용, 새로운 의장에 대한 적절한 보호수단을 통하여 새로운 산업분야를 육성하는 방안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의장법의 법 적용이나 분쟁의 구체적 문제해결보다는 사적권리의 보장과 보호범위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실정법 해석문제를 다루었다. 기존의 논문들이 디자인 보호에 관한 현실적, 정책적인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제도와 보호수준의 미흡한 점들을 많이 지적하고 있으나, 본논문은 기존의 논문들이 파악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충분히 인식하면서, 논의의 지향점과 목표는 이와 달리하여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Ⅰ. Overview Today, businesses are appreciating the role that design can play at the heart of their operations. Increasingly too, they are following through their awareness of design benefits with practical action. Thus, it has become desirable and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redirect its policies on the Industrial Designs. To this end, this thesis explore the desirabl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design by encourage the creative activities among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promote foreign investment and business activities in Korea through effective and timely protection. Also, it surveyed our national design protection system as well as some major countries' statues and case law such as, Japan, France and European Union. This thesis is composed of 6 chapters: (1) Introduction, (2) The legal system of our country for industrial design, (3) The legal system of foreign countries for industrial design, (4) The model law for industrial design, (5) The appropriate system for industrial design, (6) Conclusion. Ⅱ. Concept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In our country industrial design is protected by sui generis Industrial Design Act, and also by Copyright Act as a work of applied art. So we have provides both design protection and copyright protection for the creative activities among the general public. This cummulative protection with no adjustment and no condition brings some conflicts between two approaches. To find out a suitable system for protecting design i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Ⅲ. International Trend of Industrial Design Protection During the WIPO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Diplomatic Conference on 6, July, 1999, member states adopted the "Geneva Act of the Hague Agreement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Registration of Industrial Designs ("hereinafter referred as "New Hague Agreement"). The new Hague Agreement gives an applicants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by means of single application in one language made with the international Bureau of WIPO, protection for his/her industrial designs in a large number of contracting States and does not require a mandatory representatives. Ⅳ. Policy Direction It is commonly believed that effective protection of industrial designs encourages creativity and provides important incentives to individuals to produce new design. In an addition, an intellectual property becomes public property after a specified period of time required by law, therefore, an efficient system of protection harmonizes privates as well as public interest. Therefore, appropriate protection system greatly contribute to a nation's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 OECD 국가의 가족정책과 아동 삶의 질의 관계 : 퍼지셋 질적비교분석

        박정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family is a microsystem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s growth as independent members of society. The state can improve family environment and condition through family policy, as part of a major macrosystem that supports children’s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olicy and children's quality of life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to determine which combination of factors in family policy can explain children's quality of lif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ich family polices are related to children's quality of life in terms of health, economy, and time?”, an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How can family policies be combined to improve children's quality of life in terms of health, economy, and time?” Family policy includes (1) child-related cash transfers to families with children, (2) family cash benefits for two-parent (dual-income) families, (3) public expenditures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4)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5) public expenditures on maternal and paternal leave, (6)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the mother, (7)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the mother, (8)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the father, and (9)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the father. Factors related to children's quality of life include (1) low birth weight, (2) infant mortality, (3) child poverty, (4) mother's time spent with children, and (5) father's time spent with children. Using OECD Family Database, OECD Child Well-Being Data, and 2014 Time Use Survey, fuzzy-set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fsQCA) was used among 20 OECD countries. Since fsQCA assumes joint causal system that allows the interactions between each family policy indicator, it can verify the causal complexities of conjunctural caus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hild poverty was found to be the only factor that served as a significant necessary condition of family policy. It indicates that countries with high rates of child poverty had 1) high family cash benefits for two-parent dual-income families and 2) high public expenditures on maternal and paternal leave, in common. The sufficient condition of family policy explaining the children's quality of life were as follows: In terms of children's health, when the state actively provide support for the family services,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and the average payment rate of paid leaves, it led to the country's low rate of low birth weight. In addition, if the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mother are short, the condition of high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father, state's active support for financial benefits, family service, and parent's leave are needed. On the other hand, if the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mother are short, and the support for child-related cash transfers and family cash benefits on a dual income family is low, both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mother and father should be high, and the active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and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is also necessary. Lastly, even when the support for father's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and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is low, when the child-related cash transfers to families with children is high, and the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and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are all active, the low birth weight rate resulted in low, regardless of the support for mother's leave. And for infant mortality, rather than supporting father's leave, active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and long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mother are needed. In terms of children's economy, if state provides active support for mother's leave, the high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turned out to be important rather than the support for child-related cash transfers, and family cash benefits on a dual income family. Conversely, if the state provides active support for father's leave, the combination should include active support for child-related cash transfers, and family cash benefits on a dual income family. Moreover, even when both mother and father receive low support for their leaves, combining high family cash benefits for two-parent (dual-income) families, high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father,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and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can result in low child poverty. In terms of children's time, significant combination was derived only from the amount of time spent with fathers. These results can demonstrate that family policies have more influence on the father's time with his children than on the mother's. However, it can rather also be translated that OECD countries’ currnet level of support for the family policy is not enough to increase the time spent with the mother. For the time spent with fathers, the combination of state's active support for father's long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and all other family policy, including cash, service, and leave supports, leads to higher amount of time spent with fathers. Furthermore, when mothers have low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and short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but fathers have high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with the active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and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it result in longer time children spend with their fath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olicy and the children's quality of life, which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state's investment in family policy.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child-centered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y. Furthermore, by using the fuzzy-set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this study emphasized the configurational approach, showing how each family policy can combine and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lives. This is to say, this study revealed that it is not a single policy that improves the children's quality of life, but various combinations of policy since family policies interact with each other. 국가는 가족정책을 통해 가족의 환경과 생활 여건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가족원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 특히, 가족정책은 아동 돌봄을 지원하는 정책을 주로 포괄하므로 아동의 발달을 지원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 간 비교를 통해 가족정책과 아동의 삶의 질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 아동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다양한 가족정책의 조합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건강, 경제, 시간 측면의 아동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가족정책은 무엇인가?', 그리고 '가족정책이 어떻게 조합되어 제공될 때 건강, 경제, 시간 측면의 아동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가?'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가족정책에 해당하는 9가지 지표를 포함하였다. 현금지원 정책으로 (1) 가족에 대한 현금지원 공공지출 비중, (2) 맞벌이 대상 현금급여 수준, 서비스지원 정책으로 (3) 가족에 대한 서비스지원 공공지출 비중, (4) 아동 1인당 보육/유아교육 서비스 지원 금액, 휴가지원 정책으로 (5) 아동 1인당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공공지출 금액, (6) 어머니 출산휴가/육아휴직 소득대체율, (7) 아버지 배우자출산휴가/육아휴직 소득대체율, (8) 어머니 소득 전액보존 출산휴가/육아휴직 기간, (9) 아버지 소득 전액보존 배우자출산휴가/육아휴직 기간이 포함된다. 아동 삶의 질에는 건강 측면의 삶의 질 지표인 (1) 저체중아 출생비율, (2) 영아사망률, 경제 측면의 삶의 질 지표인 (3) 아동가구빈곤율, 시간 측면의 삶의 질 지표인 (4) 어머니와 보내는 시간량과 아버지와 보내는 시간량을 포함하였다. 이 연구는 OECD Family Database와 Child Well-Being Data,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14년 시간량 자료를 활용하며, OECD 20개국을 대상으로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퍼지셋 질적비교방법은 각 사례의 특성 간 상호작용의 효과를 완전히 허용하는 결합적 인과성 구조를 가정하기 때문에, 아동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단일한 가족정책을 검증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여러 정책 간의 결합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필요조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가구빈곤율에 있어서만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아동가구빈곤율이 낮은 국가들은 1) 맞벌이 대상 현금급여 수준이 높고 2) 아동 1인당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에 대한 공공지출 금액이 높은 특성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충분조건 분석을 통해 검증하며, 그 결과는 아동의 건강, 경제, 시간 측면의 삶의 질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건강 측면의 아동 삶의 질이다. 우선 저체중아 출생비율의 경우, 국가가 가족에 대한 서비스와 휴가 공공지출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부모의 소득대체율을 높임으로써 출산 및 육아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경우에 해당 국가의 저체중아 출생비율이 낮았다. 또한 어머니의 출산휴가/육아휴직에 대한 소득 전액보존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아버지에 대한 높은 소득대체율과 함께 국가의 적극적인 현금지원과 서비스지원과 휴가지원 지출이 모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출산휴가/육아휴직에 대한 소득 전액보존 기간이 짧으면서 국가의 현금지원도 소극적인 경우라면,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 대해 높은 소득대체율이 필요하며 아버지에게 긴 소득보존 기간, 그리고 적극적인 서비스지원이 함께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에 대한 휴가지원이 소극적인 경우에도 가족에 대한 현금지원 비중이 높고 서비스지원과 휴가지원이 모두 활발하다면 어머니에 대한 휴가지원과 상관없이 저체중아 출생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사망률의 경우, 아버지에 대한 휴가지원보다는 어머니가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소득 전액보전 기간을 길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때 적극적인 서비스지원과 휴가지원의 공공지출 또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측면의 아동 삶의 질은 어머니에 대한 휴가지원이 적극적인 경우와 아버지에 대한 휴가지원이 적극적인 경우로 나누어 살펴본다. 우선 현금지원에 공공지출이 낮더라도 어머니 휴가지원이 적극적이고, 휴가지원에 공공지출이 높을 때 아동가구빈곤율이 낮았다. 반대로 아버지의 휴가지원이 적극적인 경우에는 휴가지원에 공공지출이 낮더라도 현금지원이 활발한 조건이 결합된다면 아동가구빈곤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휴가지원이 모두 소극적이어도, 맞벌이 대상 현금지원이 적극적이거나, 아버지의 소득대체율을 통해 부모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동시에 서비스와 휴가지원에 공공지출을 적극적으로 펼필 때 해당 국가의 아동가구빈곤율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시간 측면의 아동 삶의 질은 아버지와 보내는 시간량에서만 유의한 가족정책 원인조합이 도출되었다. 이는 가족정책이 어머니보다 아버지와 자녀의 시간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오히려 현재 OECD 국가의 가족정책 지원수준이 아동이 어머니와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기에는 부족한 수준임을 역설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아버지와의 시간량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조합으로, 아버지의 배우자출산휴가/육아휴직 할당 기간이 길면서 가족에 대한 현금, 서비스, 휴가지원이 모두 적극적인 조합이 도출되었다. 또한 어머니가 낮은 소득대체율과 짧은 유급휴가기간을 가지는 경우에는, 아버지의 배우자출산휴가/육아휴직의 소득대체율이 높고 서비스지원과 휴가지원이 모두 적극적인 조합이 형성될 때 해당 국가의 아동이 아버지와 함께하는 시간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가족정책과 아동 삶의 질 사이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가족정책에 대한 투자의 실효성을 제언하였다. 아동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함으로써, 가족정책에 아동중심적인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퍼지셋 질적비교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아동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합을 밝혔다. 즉, 높은 아동 삶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단일한 가족정책을 활성화하는 것보다 가족정책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책의 결합을 통해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중앙정부의 부동산정책이 지방 부동산시장에 미친 영향 분석 :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황환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앙정부의 부동산정책은 부동산시장의 주요한 고려사항이며, 부동산정책이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지속되어 왔다. 하지만, 서울 및 수도권 이외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있더라도 광역시를 지방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중앙부동산정책과 지방부동산 가격과의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특성에 맞는 독자적인 부동산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부동산시장의 현황을 진단하고 주택시장의 환경변화와 이에 따른 제주도정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지난 정부에서 시행된 주요 부동산정책이 제주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제주지역 부동산시장의 현상을 진단하고자 현황 조사 및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제주지역 주택시장 환경의 변화와 현안 사항은 제주지역 부동산시장을 특수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제주지역 주택의 절대적인 양적 부족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된 것으로 보이나, 외국인과 외지인 유입에 따른 총인구수의 증가와 가구 구성의 변화 등 주택시장 환경의 변화는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현상이다. 또한 빈집의 증가 및 주택 미분양 심화, 도민의 주거비 부담 심화, 그리고 중단된 대형투자사업 등은 제주지역만의 독특한 현상이다. 국내 부동산정책이 제주지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헤도닉 가격 결정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중앙정부의 부동산정책은 제주지역에 실효성이 낮아 제주지역 특성을 반영한 독자적인 부동산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시행된 정책은 정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제주의 부동산가격을 하락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국적으로 시행된 정책은 제주의 부동산가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지난 정부에서 추진한 부동산 가격 안정 정책은 제주지역 부동산 가격안정에 오히려 역효과를 준 것으로 나타난다. The central government's real estate policy is a major consideration of the real estate market, and research has continued to analyze the effect of real estate policy on real estate pric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areas other tha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even if there i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analyze the impact of central real estate policy and local real estate prices in specific area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n independent real estate polic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al estate market in Jeju was diagnose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and the corresponding response direction of Jeju's justice were presented, and the impact of major real estate policies implemented by the previous government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to diagnose the phenomenon of the real estate market in Jeju,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environment in Jeju and pending issues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make the real estate market special in Jeju. The absolute quantitative shortage of housing in Jeju seems to have been resolved to some extent, but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environment, such as an increase in the total population due to the influx of foreigners and outsiders,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households, are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empty houses, intensifying the unsold housing, intensifying the burden of housing costs for residents, and large-scale investment projects that have been suspended are unique phenomena in Jeju.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Hedonic price model to determine whether domestic real estate policies directly affect Jeju, and the central government's real estate policy is not effective in Jeju,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dependent real estate polic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Jeju. Policies implemented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were found to lower real estate prices in Jeju, but the nationwide policy did not affect real estate prices in Jeju, indicating that the previous government's policy to stabilize real estate prices in Jeju.

      • 한국 공공도서관 정책 환경과 법제 변동 연구

        이정수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delves into the shifting legislative system and policy environment regarding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Public policies are inevitably changing as they ultimately aim to resolve issues of a society that are constantly reshaped by myriads of factors both within and out of national borders. The 「Libraries Act」, which provides legal grounds for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was first enacted in 1963 and revised five times, shifting and redeveloping public library policies. However, some scholars and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criticized how the 「Libraries Act」 fails to reflect the changes within society that led to its vagueness and incompetent to accomplish intended social function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conjugate the 「Libraries Act」 as a legal basis for public libraries to contemplate the alterations to the legislative system and public policy. Law is an indispensable means for a government to promote policies. Policies result from society’s norms and actions and are drawn dynamically with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making framework and the environment. Moreover, policies come to being when issues and calls for change stemming from shifts in a social environment lead to an input of resources and support to the policy body that employs specific measures based on the policy-making framework. To draw upon the elements of analysis within the processual changes of the 「Libraries Act」 in the vein of public policy, several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address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ims to acknowledge how alterations in policy and society affected the legislation and revision of the 「Libraries Act」. Thus, it addresses how the social environment was incarnated within a political system and what changes it demanded for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Second, public policies result from an interaction between the administration, which aims to lay out and materialize policies with a broad, structural perspective, and policy participants, while resources such as the administrative capacity for executing policies, infrastructure, and technology affect the decision-making process. Hence,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political situations and issues on public policy during the legislation and revision of the 「Libraries Act」 and who were the participants that affected the process. Official participants influencing policy outcomes are the president, politicians, and administrators, while the unofficial participants include civil society,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the press. Among those,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if someone had a mor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legislation/revision process and how was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Third, this paper scrutinized the role unofficial participants played in revising the 「Libraries Act」. To elaborate, it attempted to grasp the stances of each unofficial participant, such as support, opposition, or indifferenc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groups having different attitude. Furthermore, if there was a conflict,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who was the mediator and whether the settlement led to limitations of the law or public policies. Fourth, this paper analyses public library laws of major foreign states and attempts to appreciate the difference with the 「Libraries Act」. The nations subjected to analysis are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United Kingdom has led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following industrialization, as well as royal, monastery, and university libraries. Ministries and offices related to culture take charge of public libraries, which continue to function as an institution for enjoying culture while tackling digital literacy issues. Public libraries began in the incep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hich became the birthplace of public libraries with advanced systems centered around state governments. As a country of immigrants, publ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were an institution that educated citizens in the local community. In the case of Japan, public libraries were employed for the social education of the local community. Finally, this study accounted for the trends among shifts in polic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gislation and revision of the 「Libraries Act」 within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and policy procedures, outcomes, and effects. Based on the examination, this study suggests development plans for promoting policies on public libraries in the future, such as strengthening necessary legal aspects and renovating policy promotion systems.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between 1991 and 2021, and the object of study is the 「Libraries Act」, revised four times, and the shifts in policies that followed suit. The method of analysis is developed from John Kingdon’s Multiple Stream Framework (MSF) and Paul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which are widely used for studies analyzing policy procedures and changes. Requisites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two frameworks. Also, this study utilized resources, such as relevant literature and articles on public policies and policies on public libraries, government publications, reports from research institutions, legal information, national assembly records, statistical data, statements and publications from relevant organizations, and various policy debates.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2 analyzes the policy environment and the legislative system surrounding public libraries. Here, policy transformation types and features will be scrutinized, and elements for analysis will be drawn out. Chapter 3 looks at the public library legislative system of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Japan, with laws and policies. The United Kingdom’s system is a cultural development type, while the United States focuses on civil education and Japan on social education. Chapter 4 inspects South Korea’s 「Libraries Act」 and public library policies in terms of changes in alterations in the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policy procedures and results, and their effects. The 「Library Promotion Act」 shifted the paradigm from education to culture. In contrast, the 「Library and Reading Promotion Act」 aimed for civil engagement rather than government-focused policies. The first 「Libraries Act」 led to policy shifts from the metropolitan area to the countryside, while the second 「Libraries Act」 provided the groundwork for qualitative, rather than quantitative, growth. Chapter 5 compares the legislative system of foreign countries to that of South Korea and contemplates South Korea’s legislative system on public libraries and policy alterations while proposing a policy-based measure for promoting public libraries. Chapter 6 closes out this study with the conclusion. 본 연구는 공공정책 관점에서 한국의 공공도서관 정책환경과 법제의 변동과정을 연구하였다. 공공정책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사회문제 해결에 있으며, 사회문제는 국내외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므로 정책변동은 필연적이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법적 근거인 「도서관법」은 1963년에 최초 제정되었다. 그 후 다섯 차례의 제정 또는 전부개정 과정을 거치면서 공공도서관 정책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러나 일부 학자와 공공도서관 현장의 사서들은 도서관법이 사회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정체성이 모호하고 사회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정책의 법적 근거인 도서관법을 활용하여 공공도서관 법제와 정책변동을 고찰하였다. 법은 국가가 정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핵심 도구이다. 정책은 사회의 규범과 행동의 결과물이며, 정책 결정 체제와 환경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동태적으로 도출된다. 또한 정책은 사회환경의 변화에서 비롯된 문제와 변화 요구에 투입된 자원과 지지가 정책 담당 기관에 의해 정책 결정 과정을 거쳐 산출된다. 공공정책의 맥락에서 도서관법의 제정 또는 전부개정되는 변동과정의 분석 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탐구하였다. 첫째, 정책적 또는 사회적 변화가 도서관법이 제정 또는 전부개정되는 것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사회환경은 정치체제에서 어떻게 구현되었고,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어떠한 변화를 요구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공공정책은 국가 차원에서 거시적이고 구조적으로 설계하고 구현되며, 행정부와 정책 참여자가 상호작용하고 정책수행의 행정적 역량, 인프라와 기술 등의 자원이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도서관법의 제정 또는 전부개정되는 당시의 정치 상황과 정책문제는 무엇이며, 영향을 미친 참여자는 누구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정책 산출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 참여자는 대통령, 정치인, 행정가 등이 있고, 비공식 참여자로 시민사회, 전문단체, 언론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도서관법의 제정 또는 전부개정을 주도하거나 특별히 크게 역할을 한 참여자가 있었는지,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은 어떠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도서관법을 개정하기 위하여 비공식 참여자들은 지지와 반대, 무관심 등 어떤 입장을 취하였으며, 입장 차이가 있는 집단과 갈등 관계는 무엇이었는지 파악하였다. 갈등중재자는 누구였는지, 또한 갈등의 중재안이 법안이나 정책추진의 부실의 원인으로 이어진 것은 아닌지 살펴보았다. 넷째, 주요 외국의 공공도서관 법제를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비교·분석 대상 국가는 영국, 미국과 일본이다. 영국은 역사적으로 수 세기 동안 왕립, 수도원, 대학도서관에 이어 산업화와 함께 공공도서관 발전을 주도해 왔으며, 법 제정 초기부터 박물관 등과 협력하는 문화기관 역할을 하였다. 또 미국은 국가 건설 당시부터 지역사회에서 시민교육 기관으로서 공공도서관이 태동하였다. 미국은 주 정부에서 법제가 먼저 형성되었고 이후 국가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공공도서관 정책을 수립하였으며 관할부처는 교육부이다. 일본은 민주주의의 이념과 교육제도 확립으로 문부성에서 공공도서관 정책을 관할하고 있으며, 「社會敎育法」에 도서관을 사회교육기관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들 국가의 법제와 정책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와 비교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제정 또는 전부개정된 도서관법을 사회환경의 변화와 정책 과정과 산출, 정책의 효과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각각 비교·분석하여 정책변동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정책추진을 위해 필요한 법적 강화 요소와 정책추진체계 정비 등 향후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1991년부터 2021년까지로, 연구 대상은 네 차례에 걸쳐 제정 또는 전부개정된 도서관법과 정책의 변동이다. 분석 방법은 많은 정책 과정 연구와 정책변동 연구에서 분석에 사용하고 있는 John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 (Multiple Stream Framework, MSF)과 Paul Sabatier의 정책옹호연합이론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에서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공공정책과 도서관 정책 관련 문헌과 학술논문, 정부간행물과 연구기관 보고서, 법령정보와 국회 회의록, 통계자료, 관련 단체 발간물과 성명서, 각종 정책토론회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 공공도서관 정책환경과 법제를 분석하였다. 정책변동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정책환경 변화와 공공도서관 정책의 변동 요소를 도출하였다. 3장에서 영국과 미국, 일본의 법제 유형을 공공도서관법과 정책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영국은 문화개발형, 미국은 시민교육형, 일본은 사회교육형으로 파악되었다. 4장에서 한국의 도서관법과 공공도서관 정책을 분석하였다. 교육에서 문화로 패러다임이 전환한 「도서관진흥법」, 문고와 독서진흥에 대한 내용을 담아 민관협력의 제도적 결합이 시작된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 지방자치제도의 본격화로 중앙에서 지방으로 정책의 중심이 바뀐 「도서관법」과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도서관법」을 정치·사회환경의 변화, 정책 과정과 산출, 정책의 효과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5장에서는 앞에서 살핀 주요 외국의 공공도서관 법제와 한국을 비교하고, 한국의 공공도서관 법제와 정책변동 과정을 고찰하였으며 공공도서관 정책 기반 강화 방향을 논하였다. 6장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 마무리하였다.

      • 社會福祉政策에 관한 硏究 : 政策過程과 財政分析을 中心으로

        장병수 釜山産業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807

        Ⅰ. INTRODUCTION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modern tendency toward the top goal which should be pursued through Country-administrating is so-called realization of welfare society. This fact is able to be understood on the same context that the goal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is realizing national welfare. The more social problems and evils, the more side effects resulting from the pursuit of high economic growth have increased. These have much negatively influenced consistent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in the 1980's. Thus far,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solve and prevent such problems in the view of social welfare policy since the 1970's. These efforts partly have been executed as one of the important government policy.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government has had many trials and errors repeatedly in the process of operating such policies and institutions. Moreove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theory for support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licy is insufficient. Hence, in this thesis, on the basis of the distinction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social welfare finances which can be seen through general policy process and financial analysis of social welfare, I am going to find the most desirable direction for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I intend to analyze this indirectly with a descriptive method based on the existing findings which have been expressed in literature from home and abroad. Ⅱ. THE IDEA OF WELFARE-STATE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WELFARE 1. The idea of welfare-state According to Norman Furnise and Timothy Tilton, the idea or value that welfare-states should pursue and realize is as follows: (1) Equality (2) Freedom (3) Democracy (4) Solidarity (5) Security (6) Efficiency 2. The concep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welfare The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accepted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1st, it is a social, cultural notion with a spatial-temporal sense 2nd, it is a social institution which is authorized in order to solve and prevent social problems. 3rd, it is several programs and all of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to improve human life by taking into direct concideration human-being's needs. Ⅲ. CONSTRUCTING THE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In this chapter, I describe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ion of policy in the generic sense. I also study the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on the basis of the views of David A. Gil, Rein, T.M. Meenaghan and Robert O. Washington, and T.H. Marshall, etc. I inquire into the provisions expressed on the positive laws. In constructing the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there are value-problems which should be referred to. According to Neil Gilbert and Harry Specht, social welfare policy in the generic sense has value poemises of equality, equity, and adequacy. The concep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used in this thesis accords in T.H. Marshall's definition: " The policy of governments with regard to action having a direct impact on the welfare of citizens by providing them with services or income." Specifically, the "Central core" of programs included under this definition are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nd housing, etc. Moreover, this conception is reconstructed as the broad institutional conception including ensuring the amenity of a citizen's life. Ⅳ. THE POLICY PROCESS AND POLICY ANALYSIS OF SOCIAL WELFARE In this chapter, I describe the significance and dimension of the analysis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inquire into the analytical framework of social welfare policy on the basis of Mayer's four models: efficiency, effectiveness, feasibility, and moral. 1. Policy process I study the components of social welfare policy-needs and services, and the process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in the generic sense on the basis of Gilbert and Specht's 8 phases. Those phases are as follows: 1) Identification of problem 2) Analysis 3) Informing the public 4) Development of policy goals 5) Building public support and legitimation 6) Program design 7) Implementation 8) Evaluation and assessment 2. The equilibrium condition of needs and services Generally speaking, the needs and services of social welfare policy are able to balance in the dynamic interaction of both sides: putting pressure upon expanding services through the services side, and on the contrary, limiting needs through the services side. 3. The main players in policy-making The players of policy-making are classified mainly as formal and informal. The former have legal competences in policy-making: assemblymen, top administrators, high-ranking officials, and administrative officials. The latter are those players who don't have legal power: interest groups, parties, specialists, the general public, etc. Ⅴ. FINANCIAL ANALYSIS OF SOCIAL WELFARE POLICY 1. Social welfare policy and finance Social welfare policy is practised by means of finance for paying personnel and commodity goods expenses, and being made by fund-raising. In this sense, it is able to be said that social welfare finance is the means of policy variable by the political control of needs and the other elements. 2. Fund-raising in social welfare policy The policy which include expenditures can not be implemented unless the budget for it is approved. Finances are organized by the mediator of the budget. If a special accounting budgeting system is adopted to take account of social welfare finance, the funds are raised by establishing a tax suitable to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But social welfare policy under the common accounting budgeting system is not able to be separated from other policy sectors. The principle of non-affection is important. This principle implies no relation between particular revenue-sources and expenditure-objects. 3. The principle of policy in the social welfare finance 1) According to Wildavsky and Lindblom, it is said that compilation of the budget is not comprehensive but incremental. There is only a narrow range of increase or decrease in the base of budget of the previous year. 2) Dakahassi suggested that main compoments which lead social welfare expenditure to increase are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ose who use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 improvement and variety of supply level in-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his opinio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increase continuously. 3) In the case of verifying only a health-soci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expense, the decision-making of the social welfare expense depends on incrementalism though a big variables,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 effects on that. 4) In Korea, the distinct trait of social welfare expense is the fact that social welfare expense increase largely by variables such as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 in a general election. 5) Social welfare expenses in Korea have been decided by incrementalism and by the increase ratio. Social welfare expense has largely been changed by variables such as political turbulence or a general election. Ⅵ. THE DISTINCTIONS OY SOCIAL WELFARE POLICY-MAKING PROCESS IN THE KOREAN GOVERNMENT 1.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finance in Korea 1) Social welfare expenses in Korea increased incrementally by the rapid increase of social needs after Korean War, but social welfare priority is still low. 2) High dependence of financial aid from foreign sources. 3) Conventionalization of the excessive supplementary budget. 4) The change of the distribution ratio by the political environment.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1) The policy-making structure is closed and non-rational because of the vertical rank-centered social structure, the relationship of master and servant, and nepotism. 2) On account of individualism, authoritarianism of bureaucrat's policy-making behavior, horizental mutual cooperation between relat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didn't work together. Ⅶ. CONCLUSION In the social welfare policy-making process in Korea, even though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akes the initiative, in order to make policy process that leads administration to be smoothly administrated, it is necessary to input appropriate information around social welfare such as demands several systems for judgment of information, the trend of public opinion, and the tendency of abroad in policy operating. Also, in social welfare policy, it is necessary to output information for justification in ideological process as well as to justify several decisions formally. In order to attain an object efficiently in such social welfare policy, expanding of welfare resources is essential. Plans for establishing of social welfare-resources that I suggest are as following: 1) Establishing a fund at the government level, and organizing and supporting an independent foundation. 2) Promoting the community chest of civil-centered. 3) Developing and organizing volunteer groups. 4) Utilizing nonprofit social groups.

      • 고교학점제 정책 학교 실행과정 연구 : 중부권 특수목적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백용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25년 전면 도입을 목표로 현재 단계적으로 추진 중인 문재인 정권의 대표적인 고교교육 정책인 ‘고교학점제 정책’의 학교 실행과정을 정책 실행(policy enactment)의 관점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고교학점제 정책은 고교교육 전반의 변화를 가져올 정책이라는 점에서 도입을 준비 중인 많은 학교 현장에서 실제적인 직무 환경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정책 도입을 둘러싼 찬반 논란 및 부작용 우려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특히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연구‧선도학교를 대상으로 한 고교학점제 정책 사례 연구는 다수를 이루지만 2025년 일반고 전환을 앞두고 있는 특목고에서 고교학점제 정책이 어떻게 실행되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고교학점제 정책의 전면 도입 시 고등학교 유형별 그 실행과정과 방식이 확연히 다르게 나타날 것이므로 특목고의 고교학점제 정책 현장 안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럽을 중심으로 대두되고 있는 정책실행 관점으로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을 위한 정책 실행자의 역할에 관해 탐구하고 정책 실행자는 고교학점제 정책을 어떻게 해석하고 번역하며 정책 해석과 정책 번역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특목고의 맥락 요인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중부권에 소재한 특목고를 대상으로 문헌 분석 및 질적 연구에 기반을 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지 자료(고교학점제 관련 공문, A 고등학교의 계획서 및 보고서 등)를 조사, 분석하고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과정에 참여한 교직원(교장, 교감, 수석교사, 교사) 및 교육전문직(A 고등학교 지원청 담당 장학사)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정책 실행자인 교원들은 정책 해설자, 외부인, 정책 실무자, 정책 번역가, 정책 비평가, 정책 수용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한 명의 정책 실행자가 주로 여러 역할을 수행하는 다중적, 복합적인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하나의 역할을 여러 사람이 담당하는 유기적이고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다양한 고교학점제 정책을 실행해 나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정책 실행자들의 직무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학점제 정책은 해설 개시자 및 정책 실행자인 교원들은 모두 ‘학생중심 선택형 교육과정’을 강조하는 정책 해석의 양상을 보였다. 이후 해설 조정자(관리자)는 ‘특목고다운 특목고’를 주문했으며, 정책 실행자인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정책 중 ‘학생중심 선택형 교육과정’과 ‘특목고다운 특목고’를 위한 내용을 선별적으로 도입하여 교육과정부 신설, 학생중심 선택형 교육과정 운영, 고시 외 과목 신설, 외국어 특성화 공동교육과정 운영, 학교 자율적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살림팀 운영, 학점제형 공간 조성과 같은 고교학점제 정책을 실행해 나가는 정책 번역의 모습을 보였다. 정책 번역을 통해 해설 조정자의 정책 해석으로 초기 해설 개시자의 정책 해석이 사라지는 것이 아닌 해설 개시자와 해설 조정자의 정책 해석 모두 정책 번역에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과정에서 교사들의 고교학점제 정책의 공감대 형성 부족으로 인한 낮은 관심과 민감도, 하향식 추진에 따른 울며 겨자 먹기 실행으로 교육과정부 주도의 정책 번역과 실행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학생중심 선택형 교육과정을 확대하고 특목고다운 특목고로 정책을 번역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특목고 교육과정의 구조적 한계, 다과목 지도의 부담과 고충, 불안한 직무환경, 괴리된 대입정책, 미비한 평가제도와 같은 교원들의 인식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고교학점제 정책의 실행과정에서 학교 맥락인 상황적 맥락(학교 설립취지, 학생 구성), 물리적 맥락(교원 정원과 수급, 학교 공간), 외부적 맥락(특목고 교육과정 편성‧지침, 교육청의 요구), 전문적 맥락(관리자의 리더십, 구성원 간 협의와 소통)이 역동적이고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상황적 맥락은 특목고다운 특목고 정책 해석에 영향을 미쳤으며, 정책 실행자들은 주어진 외부적 맥락과 물리적 맥락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그 속에서 전문적 맥락을 활용해 특목고 현장 특성에 맞는 고교학점제 정책을 실행해 나가는 양상을 보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실행자들은 학교 맥락과 정책 해석, 정책 번역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른 영역인 정책 해석과 정책 번역을 동시에 역할을 수행하는 상황도 논의하였다, 특히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교육과정부에 의해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이 주도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원활한 정책 실행을 위해 학교 구성원의 협력과 소통이 요구됨을 논의하였다. 또한 고교학점제 정책의 특성 및 학교 내 업무 담당과 지위 변화에 따라 역할이 변화되고 조정되는 상황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다른 교육정책의 실행과정에서 발견되는 ‘열정가’ 와 ‘주체적 운영자’ 역할은 발견할 수 없었으며, 그 원인으로 일반고 중심의 정책, 하향식 정책 추진, 현장의 정책 공감대 부족 같은 해당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2025년 일반고 전환 발표의 외부적 맥락과 교원 정원에 따른 불안정한 직무환경의 물리적 맥락이 복합적이고 다면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교육부가 요구하는 고교학점제 시대의 교사들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역할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정책 실행자인 교사들의 정책적 공감대 형성 및 학교 구성원 간 협력과 소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교원들의 고교학점제 정책 해석은 ‘학생들의 선택권 보장’으로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교사들의 ‘일반고 위주의 정책’이라는 인식과 2025년 일반고 전환 발표로 인한 현장의 혼란 그리고 특목고의 복합적인 맥락이 더해진 다면적인 영향으로 특목고다운 특목고의 방향으로 정책이 해석되고 강조되었다. 특히 A 고등학교의 경영 중점, 교육과정, 거버넌스를 종합하여 특목고다운 특목고의 의미를 전통적인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특목고 설립 취지와 학교 맥락에 맞게 외국어 교육을 강화하고 학생 중심의 특색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특목고의 정체성과 가치를 지켜나가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그러나 고교학점제 정책 도입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 책임교육은 실행되지 못하였다. 이는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에 부분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책임교육을 실행할 평가제도의 지원 부족, 책임교육에 관한 교육부의 정책적 견인과 연수의 미비로 인한 교사들의 인식 부족, 정책적 공감대 형성의 부족을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현재 진행 중인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학생 선택권 보장’ 중심의 고교학점제 정책 인식을 개선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교학점제 정책 적용 시 현재와 같은 운영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많은 연구와 공청의 과정이 요구됨을 논의하였다. 또한 책임교육과 같은 교육의 질 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특목고의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맥락의 상호작용은 학교 현장과 학교 유형별로 고교학점제 정책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외부적 맥락과 물리적 맥락이 고교학점제 정책 실행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하향식 추진 방식으로 인한 학교 현장의 정책 이해 및 공감대 부재, 그리고 구성원들의 의사와 무관한 강제적 일반고 전환 정책까지 더해진 복합적인 외부적 맥락은 정책 실행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상황적 맥락과 전문적 맥락은 고교학점제 정책을 실행하는 촉진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특히 연구자는 Ball 등이 제시한 학교 맥락 중 우리나라 교육정책 수립과정을 통해 과거 우리나라 정책 실행은 외부적 맥락이 많은 영향을 미쳤지만 최근 교육자치, 학교자치 시대에는 복잡한 학교 현장에서 정책 실행자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여 전문적 맥락을 정책 실행에 강력하게 작동하는 요인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복잡한 고교학점제 정책의 현장 안착을 위해 꼭 필요한 기제임을 주장하였다. 정책실행의 관점은 실행과정에서 정책 실행자의 주체성을 토대로 맥락 요인을 생성하거나 변형시키기도 한다. 이에 학교 현장에서 고교학점제 정책이 자발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정책 실행자의 자발성, 주체성에 기반을 둔 전문적 맥락을 생성하거나 외부적 맥락과 물리적 맥락을 전문적 맥락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수요자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정책 연구

        강용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대학정원정책은 고등교육 수혜와 관련하여 많은 국민이 비상한 관심을 갖는 주요사항으로 정부가 대학인구 규모를 계획적으로 통제하여 대학교육정책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그 구체적 표현은 전국적, 대학별, 계열별, 학과별, 모집단위별로 제한해 놓은 대학생 규모로 나타나게 된다. 대학정원정책은 ‘94년 이후 정원자율화를 추진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우리의 대학정원정책은 상당부분 정부의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3학년도부터 고등학교 졸업자가 감소하여 대학입학정원보다 작아지는 상황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는 대학정원정책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학 입학자원인 고등학교 졸업자가 줄어드는 즉 수요자 감소에 따른 대학정원정책의 첫 번째 기본방향은 대학 스스로 대학정원을 결정하도록 하는 자율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의 설립이념과 지역적 특성, 학교의 규모 등이 다른 만큼 그에 따른 정원의 운영과 관리도 당연히 달라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대학정원정책이 지향해야 할 두 번째 기본방향은 다양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정원정책이 자율화되고 다양화됨에 따라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바로 책무성의 문제이다. 대학정원이 완전 자율화되면 정원과 관련한 모든 내용은 대학의 자율적 결정에 따라 학칙으로 규정되게 된다. 이제 학칙은 단순히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의 제 규정을 안내하는 내용만 갖는 것이 아니라 어떤 학생을 어떤 규모로 선발하여 어떻게 교육시켜나갈 것인가 하는 것을 상세하게 규정하는 교육수요자와의 사전약속의 의미를 갖게 된다. 이런 점에서 대학이 학칙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철저하게 자율적으로 지켜나간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대학이 자율적으로 스스로를 규제할 수 있는 힘, 그것은 자율사항으로 위임된 내용을 철저하게 지켜나가고자 하는 책임의식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로 대학정원정책은 수월성을 그 기본방향으로 지향해 나가야 한다. 대학정원을 자율화하고자 하는 것의 궁극적 목적은 대학교육의 질을 높여나가기 위함에 있다. 대학이 스스로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을 등한시할 때 정부가 대학을 통제해서라도 대학교육의 질을 제고시켜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을 가질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대학정원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함에 있어서 합리성은 또 다른 중요한 준거가 된다고 보여진다. 여기서 합리성이란 과정과 절차와 관련한 것으로 정원정책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여러 내ㆍ외부 변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관련당사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원의 완전 자율화가 이루어지면 정원은 단순히 입학인원수의 결정이라는 양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대학의 교육이념이나 교육철학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의 의미를 갖는 질적인 개념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각 대학이 처한 교육여건과 졸업후의 취업가능성, 사회적 상황변화에 따른 필요인력 수급 등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입학정원을 유효 적절하게 결정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주먹구구식의 정원결정은 대학교육의 질을 저하시키고 다른 대학과의 교육경쟁력을 약화시켜 대학의 발전을 저해하게 되는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대학정원정책은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과정 및 절차에 있어서 합리성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 NCS 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정책 적응 과정 분석

        송승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정책 적응 과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문교과 교사는 직업계 고등학교에서 직업인력을 양성한다.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NCS 관련 정책집행을 하고 있다. 정책집행 과정에서의 집행자의 순응과 불응은 정책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중요한 정책일수록 집행자의 순응(compliance)과 불응(non-compliance) 여부와 행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정유리, 2021). 특히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NCS 관련 정책집행의 경우 전문교과 교사의 정책에 대한 역할과 순응이 정책 성패에 큰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NCS 정책에 의해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전문교과 교사의 순응과 불응의 모습과 상황적 맥락을 분석하면서 이들의 정책 순응 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는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의한 NCS 관련 정책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뿐만 아니라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직업인력 양성을 하고 있는 직업계고의 현장에 대한 이해를 제도적인 관점에서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해 준다. 특히 전문교과 교사는 정책집행의 대상이며, 동시에 정책집행자이다. 두 가지 역할을 가진 그들이 NCS기반 교육과정과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에서 정책 불응보다는 순응으로 나아가는 행위를 연구의 분석틀을 통해서 찾고자 했다. 본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Lipsky 일선관료제 이론에서 볼 때 연구참여자들의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연구참여자들은 2018학년도 NCS기반 교육과정이 전면 도입될 당시에는 NCS 정책 시행을 미루거나 변경하는 ‘지연’, ‘회피’ 등의 행위를 보이기도 했다. 연구참여자들이 이와 같은 ‘지연’, ‘회피’ 등의 행위를 보이는 이유는 NCS 정책을 포함하여 잦은 정책 변화로 인해 정책의 지속성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점, 아직까지 NCS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해당 업무의 필요성에 공감하지 못한다는 점,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개인 능력 실행의 불안감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그 밖에도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서 NCS학습모듈 같은 자원부족, 학교가 위치한 지리적 여건, 소수 계열에 대한 특성 등의 불응 요인이 있었다.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 초기 NCS학습모듈에는 교수・학습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과 평가 방법에 대한 정책 지침이 부족했다. 이럴 경우 연구참여자들은 기존의 경로의존에서 해 온 내용과 평가방법으로 수정・보완을 통해 운영을 했다. 연구참여자들이 면담 과정에서 가장 크게 불응의 요인으로 지적한 것은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관련 정책의 성급함이었다. 공식적 정책집행자는 학교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으며, 전문교과 교사와의 의사소통마저 미흡했다. 상호 소통보다는 밀어붙이기식의 정책 강행이 불응의 기제로 작용했다. 모든 계열이 그렇듯이 예술 분야나 상업, 승마 등은 그 계열만의 축척된 인력양성 기술과 직업교육과정의 노하우가 있다. 이런 부분은 NCS학습모듈에는 반영이 되지 않는다. 한편으로 도입 시한을 정해 놓고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라는 정책 지침은 연구자들을 지치게 한다.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에서 혼돈과 압박감을 받게 되고, 불응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같은 NCS 정책의 성급함, 혼돈과 압박감, 시행 초기 명확하지 않은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 지침, NCS 정책에 대한 기관 불신, 이전 2009 개정 교육과정이나 다른 업무에 비해 자율이나 재량권 부족 등의 상황은 정책 불응의 상황적 맥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런 불응 요인들을 제거하면서 순응의 모습으로 나아갔다. 예를 들어 실무과목에 필요한 NCS학습모듈이 없을 경우 연구참여자가 방학 중이나 주말을 이용해서 관련 협회나 단체를 찾아가서 연수를 받는다든지, 기관이나 학회에서 계열에 맞는 행사가 있을 경우 이를 학교에서 개최하도록 하여 관련된 기술이나 지식을 획득하는 방법 등이다. 둘째, 순응과 불응 이론에서 볼 때 연구참여자들의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서 정책 순응과 불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학교 환경 요인은 무엇인가? 전문교과 교사는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NCS 관련 정책에 순응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수용과 수정 시도의 순응 형태를 보였다. 그들은 정책 지침을 큰 수정 없이 그대로 집행하고 있었는데,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도움이 되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나아가 명확히 제시된 정책 지침이 없어도 직업인력 양성에 필요한 부분이라면 이를 수용하고자 했다. 이러한 순응의 행위에는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NCS학습모듈 도입, 사업 관련 재정지원사업, 개인적 유리함, 정책의 정당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 등이 맥락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참여자들은 NCS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연관된 세부 지침을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학교의 현실에 적합하게 조정하면서 인력양성을 했다. NCS학습모듈이 없을 경우에는 다른 실무과목으로 대체 운영하거나, 기존에 교육과정에서 사용한 학교의 교육 설비나 공간 등을 수정하여 활용했는데, 일종의 융통성이라고 할 수 있다. 융통성의 발휘는 NCS 정책을 집행할 수 있는 자원이 부족하거나 수정하지 않을 때, 그리고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때에 나타났다. 또한 해당 실무과목 NCS학습모듈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전문교과 교사 등의 상황을 고려해 운영했다. 연구참여자들이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정책지침에 수정을 가하는 것은 정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다. 교육부와 한국****관리공단 등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NCS 정책에 순응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셋째, 역사적 신제도주의에서 볼 때 연구참여자들은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과 NCS 정책집행 과정에서 제도적 환경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참여자들은 NCS기반 교육과정 도입과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을 경로의존으로 보고 있었다. NCS기반 교육과정은 이전의 직업교육과정과는 전혀 달랐다. NCS학습모듈로 실무과목을 구성해야 했다. NCS학습모듈의 표준화와 모듈화는 전문교과 교사들을 상당히 당혹스럽게 만들었다. 공식적 정책집행기관에서는 새로운 직업교육정책을 도입했다. 그러나 일선관료인 전문교과 교사들은 이전 직업교육과정의 연속선에서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예상하였다. NCS 정책집행 환경에서 본다면 하나의 정책을 두고서 상급기관과 일선기관이 서로 다른 측면을 바라본 것이다. 공식적 정책집행기관에서는 NCS 정책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제도의 전환(conversion)으로 정책집행을 원했다. 반면에 연구참여자들은 기존 제도의 연속성 위에서 NCS 정책집행과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예상했다. 즉 제도의 중첩(institutional layering)에서 바라본 것이다. NCS 정책 시행 초기 이러한 시각 차이가 상호관 메커니즘에 의해서 진화를 하게 된다(Kathleen Thelen, 2011). 전환과 중첩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속적으로 제도 변화에 영향 끼치고 있다. NCS기반 교육과정이나 NCS 관련 정책이 도입되기 전 제도는 안정적이었다. NCS기반 교육과정은 그 안정화된 제도의 틀에 정책 접목을 하게 된 것이다. 접목 초기 혼돈은 있었지만, 점차 새로운 제도로 정착되고 있다. 문제는 NCS 정책 시행 초기 이러한 시각 차이가 기관 불신을 가져오게 했다. 이는 정책에 대한 신뢰와 정책 불응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전문교과 교사로서 행위자(agency), 주체(subject)를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가? 연구참여자들은 행위자로서 주체 만들기를 하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의 계열과 표시과목에 대한 자부심이 높았다. 선후배 사이에 도제식으로 전수되는 기술과 업무 노하우 속에서 공동체 가치 체계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그들만의 공동체 가치 체계는 전문교과 교사라는 강한 긍지를 형성하게 했다. 공동체 가치 체계는 정책으로부터 피곤한 그들을 지켜주는 방어 기제로 작용하는 듯하였다. 또한 정책으로부터 자부심과 긍지에 상처받는 것을 싫어했다. “정책이 우리를 건드리지 않았으면 좋겠다.”라는 이야기는 이를 뒷받침한다. 연구참여자들은 NCS 정책 관련한 공식적 정책집행자(기관)에 대한 불신을 가지고 있었다. 오랜 기간 상급기관으로부터의 변함없는 정책집행 요구는 연구참여자들을 지치게 했다. ‘던져 주고 하라는 식’은 그동안의 정책집행 과정에서 상급기관으로부터 겪은 내면의 감정을 나타낸 것이다.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과 NCS 관련 정책집행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전문교과 교사로서, 그리고 행위자로서 주체 만들기는 현재 진행형으로 계속 쌓아 가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학생들에 대한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NCS기반 교육과정 운영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을 고민했다. 그들의 소명의식은 내면적으로는 정책 불응의 부분도 있지만, 외형적으로는 정책 순응의 행위로 나아가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했다. 연구참여자의 이러한 정책 순응은 교육자로서의 갈등과 고민으로 분석된다. “NCS도 필요하지만 학생들에게 철학적 소양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래야 인간으로서 바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는 스승으로서 가지는 고뇌이며, 동시에 미래 다양한 사회적 주체 지위를 가지게 될 학생들에 대한 배려이기도 할 것이다. 본 연구과정에서 제시된 정책 적응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정책 순응으로 향하는 상황적 맥락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다면 정책집행의 효율성은 높아지고, 거부감은 줄어들 것이다. 정책집행 과정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직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 NCS 기반 교육과정, NCS 정책, NCS 학습모듈, Lipsky 일선관료제 이론, 순응과 불응, 제도의 전환과 중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