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잡계 이론의 적용을 통한 학교안전교육정책 변동과정 분석

        신우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process, and causes of changes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by utilizing the complex system theory. The reason why the change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should be viewed as a complex rather than an existing policy analysis point of view is that, first, complexity has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system. Second, a new order has been created through rapid change. This is because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was developed through rapid change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was formed by a completely new policy that did not exist before. Third, it is because the formation and variation of the policy were voluntarily organized bottom󰠏up rather than the existing top󰠏down. 4th, because the policies showed that they were changing together, influencing each oth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through the use of complex system perspective and further to reveal the complex system implications for policy changes. The se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system thory in the change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Second, what kind of process did the complex system process of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change take? Third, what is the reason of emerging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The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First, i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system that appears in changes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Second, the process of changes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is applied to the metaphorical framework of the complex system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omplexity processes that arise from policy changes. Third, to identify the substance of the policy change and identify the cause of its creation, answer five questions, which are conditions for the occurrence of the invention proposed by Yoon Young󰠏soo and Chae Seung󰠏byeong (200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ques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takes the form of a complex adaptation system and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mplex systems at each stage of variation. The Stasis period, institutional and realistic limitations act as path dependence and fail to develop into specific policies. However, external disturbances such as the Ferry Sewol incident and the existing internal fluctuations create synergy, leading to a period of confusion in school safety education. THE Chaos period, increasing components in the chaos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complexity break path dependence and enter the edge of chaos. In a critical state where order and order coexist, school safety education headed to the critical point, forming order through the interaction of components and positive feedback. Emergency period, policy creation was achieved through co󰠏evolution and self󰠏organization beyond the critical point.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which passed the critical point, created a new type of structure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through policy creation through self󰠏organization and co󰠏evolution. Emerging period,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has achieved a stable structure of production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and shows partial self󰠏organization. Second, look at the process of variation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as a complex system, it shows a series of successive images of the structure of distribution through self󰠏organization and co󰠏evolution through the edge of chaos in dependence on the path. In addition to the institutional and practical limitations pointed out earlier,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have also affected the dependence of routes on safety policies, which are formed in the form of follow󰠏up measures after safety accidents. The edge of chaos brought in through perturbation is the point where information is most needed due to its high complexity, and whether or not the policy is successful depends on whether the threshold is passed.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goes beyond the critical point by setting order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environment and actors, not one󰠏way control, amid heightened complexity and disorder.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which exceeded the critical point, finally achieved the bankruptcy structure through self󰠏organization and co󰠏evolution, and in order to settle it, the standardization was carried out to reflect continuous feedback and to fix it. Third, the reason of emerging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was the synergy effect of strong fluctuation and perturbation, which broke the dependence of pathways and caused policy changes, and the interaction of rapidly increased components 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acted as positive feedback, resulting in successful policy changes. First of all,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features a complex adaptation system that creates a new form of order that has not previously existed through interaction through multiple components. It entered the edge of chaos through perturbation and fluctuation and showed the self󰠏organization process beyond the threshold, the primary junction of policy changes. Through self󰠏organization and co󰠏evolution,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has formed a new complex and stable system, reflecting external feedback continuously and entrenched through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maintain i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improving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are as follows. First, energy outside the system should be continuously accepted for stable settlement and management of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Second, a wider range of autonomy is needed for unit schools where school safety education is actually conducted in order to promote policy changes from below. Third, it is necessary to induce policy changes using resonance by not only interacting with unit schools, but also interacting with other government departments other tha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community and in the long run. Next,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subsequent research to proceed with the policy analysis using the complexity theory. First, policy cases and phenomena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plexity should be presented with a solution to the problem using the method of the complexity, beyond merely diagnosing the phenomenon or pointing out the problem. Secon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meanings of the concepts used in the complexity theory for application to the general policy analysis. In other words, the concepts of major complex systems must be refined. Third, it is necessary to utilize research methods using more diverse complex systems.

      •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추진체계의 변동에 관한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고명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3

        요약(국문초록) 한국에서는 최근 20여 년간 다섯 차례의 정부의 변동과정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추진체계(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가 독임제 행정부처의 개폐라는 급격한 변동을 겪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정보통신기술 분야를 담당하는 정책추진체계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이론적 모형으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을 재해석하여 정책추진체계의 변동이론으로까지 확장하여 적용하였다.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에서는 문제(problems)의 흐름, 정치(politics)의 흐름, 정책대안(policies)의 흐름 등 세 흐름이 일정 시점에 합류(coupling)되어 유의미한 정책창(policy window)이 열리고, 이 과정에서 채택된 정책의제가 파급효과(spillover)를 가져온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정책선도자(policy entrepreneurs)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추진체계의 변동에 관한 연구를 주무부처인 정보통신부의 신설 → 지속 → 폐지 → 재신설(미래창조과학부)이라는 시계열적 변동의 관점을 주요 초점으로 하여 분석·기술하였다. 정책추진체계로서의 중앙 행정부처를 개폐하는 차원의 논의는 대통령의제(presidential agenda)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통령 선거라는 정치과정에서의 이슈화의 영향이 중요하다. 그리고 대통령직 인수 차원의 정책결정 과정은 정책추진체계의 변동에서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닌다. 이 과정은 촉발요인이 이슈화되고 제도화되는 과정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이러한 맥락에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의 확장·적용이 적실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추진체계 변동과정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이 이슈가 정부와 의회, 그리고 학계와 이익집단에 항상적으로 흘러 다녔다는 점이다. 둘째,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추진체계를 둘러싼 이슈는 구체적인 대안의 형식과 내용을 담지하면서 정책연합적인 성격까지 포함할 수 있는 광범위한 정책네트웤에 의해 상호 축적되어 왔었다는 점이다. 즉, 정책연합들의 진자운동과 같은 스윙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정책 및 이슈의 스윙은 정책환경의 변화와 함께 이전 정책집행의 평가가 반영된 것이며, 이는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에서 말하는 문제(problems)의 흐름 속에서 파악되었다. 셋째, 한국에서의 대통령선거는 정책의제화의 강력한 촉발계기가 된다. 이 의제가 대선과정에서 유력 후보자들이 공감하는 공약사항으로 채택될 경우, 대통령의제화로 되어 정책창(policy window)이 열리는 계기가 마련된다는 점이다. 넷째, 정책창에 개별적인 세 흐름이 합류(coupling of streams)하게 되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 정책추진체계의 변동 문제는 초미의 관심사로서 중요 핵심 의제로 선정되었다는 점이다. 다섯째, 이 과정에서의 정책선도자(policy entrepreneur)의 역할이 중요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후보자-대통령당선자-대통령의 정책선도자로서의 역할이 특기할 만하다. 이는 한국정치의 특수성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정책의제 중시적인 정치문화의 정착이라는 순응효과도 크다고 파악된다.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n Korea. - Based on John W.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 This study is on the change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ICT in Korean government(1994~2013). ICT is the acronym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harp fluctuations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ICT over the last 20 years in Korea. These changing process has been related to the changes of IT revolution as a policy environment, and also to the course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every five years as a reflection of the social consensus. In Kim, Young-Sam government(1994), the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s been newly launched as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ICT. During Kim, Dae-Jung government(1998-2002) and Roh, Moo-Hyun government (2003-2007), the MIC has been sustained as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n 2008, with launching of Lee, Myung-Bak government, the MIC has been abolished and merged with the KCC(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it's responsibilities and services were distributed to another related ministries. In Park, Geun-Hye government in 2013, the MSIP(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has been newly launched as the new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What are the trigger factors affecting rapid change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ICT? How did the process proceed? What changes happened? Who/what was a policy entrepreneur in these process? What was the spillover brought from these chang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swer to these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ICT, John W.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is applied as a theoretical one, due to it's relevance on this study. The policy window is opened with the coupling of three streams(the problems, the politics, and the policy alternatives) and the policy agenda are adopted in these process. It's effects spillover to another fields.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s is very important in these process. In this study,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was more broadly reinterpreted as the model of the change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having explanatory power.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o try to analyze the causes, or the triggering factors in the change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ICT by applying this policy stream model.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ain insights into the change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n the future.

      • 지적재조사사업의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을 중심으로

        이영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32319

        The cadastre information should be accurate because the national territory is based on the information which is important in the private and public area. And also it should reflect on the actual land status. However, the information which the current cadastre system provides does not only correspond with the reality, but also lag behind other area in terms of computeriz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e government planned to carry out a cadastral resurvey project. But the project had not been performed properly due to a continuous change of the government policies. Therefore, a research how and when the policies are confirmed or changed is needed.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nding out what will prepared for implementing cadastre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what kinds of factors influent the change.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policy changes between policy agenda setting and policy formation process since 1992 and policy participants in the legislature. And the qualitative and exploratory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 single case study analysi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contemplating policy changes of the cadastral resurvey, a result of the analysis with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for the stream of policy entrepreneurs and policy community is as follows: Policies of the cadastral resurvey is not coupled with the stream of problem, political stream and policy stream automatically. Even if they are coupled, a window of the policy is not open automatically. For coupling each stream, it is found that a role and capability of policy entrepreneurs and policy community are very important. First, the special act on the cadastral resurvey in 1996 pointed out a direction of each stream is different. Second, the streams are not coupled in the fundamental plan on the cadastral resurvey in 2000. Third, they are coupled properly in the special act on the cadastral resurvey (Draft) because the act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Fourth, the legislature as a policy entrepreneur role enables to couple the streams and confirm the policies. A material implication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ndividual streams can have a different direction, but sometimes similarities can be found to some extents. Second, a window of the policies is not necessarily open even if the streams are coupled. Third, even if the window is open, it will be closed shortly. Fourth, a role of the policy entrepreneur is important for coupling the streams and opening the window of the policy. Contents in this research which that of Kingdon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ams of the policies can accelerate or interrupt each other. Second, factors of a certain stream can influence those of other streams. Third, the policy community carries an important role in interrupting or closing the window. This research is deficient in a comparative study because it focuses on only a single case - policy changes of the cadastral resurvey. A question can be raised on a generalization which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does not cover. Especially the road name address policy and the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policy need to be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model in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지적정보는 사적․공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국토정보의 기초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정확해야 하며, 실제 토지의 상태와 일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지적제도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는 현실과 불일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의 전산화 정도와 비교해보아도 그 수준이 낙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현행 지적제도에 내재해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지적재조사사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지적재조사사업은 몇 차례의 추진시도에도 불구하고 정책으로서 결정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정책이 변동되는 결과를 보이게 되었다. 그렇다면, 지적재조사 정책은 검토가 필요하며, 향후 이와 유사한 정책이 결정되고 변동되는 과정을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재조사 정책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정책변동에 영항을 미친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확한 지적정보의 구축을 위한 지적재조사 정책은 물론 이와 유사한 정책이 결정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하여야 하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정책과정 중 정책의제 설정과 정책형성 과정에서 보여지고 있는 정책변동에 한정하고자 하며,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1992년부터 지적재조사사업에 대한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된 2011년까지이다. 그리고 정책참여자 가운데 입법부를 중심으로 이들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방법은 질적, 탐색적 연구이며, 특히 사례연구 중에서도 단일사례분석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지적재조사 정책에 관한 정책변동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각 시기별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그리고 정책의 흐름을 변화와 정책기업가와 정책공동체의 역할, 각 흐름의 결합 및 정책의 창의 개폐의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 지적재조사 정책은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그리고 정책의 흐름은 그 방향성이 자연적으로 일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었다. 또한 결합이 이루어 졌다고 해도 정책의 창이 자동적으로도 열리는 것은 아니다. 즉, 결합이 이루어진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어 정책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흐름을 결합시키고 정책의 창을 열기위해서는 정책기업가와 정책공동체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며, 특히 정책기업가의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각 시기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6년 「지적재조사특별법」의 경우 각각의 흐름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00년 “지적재조사사업 추진 기본계획”의 경우 역시 각각의 흐름이 결합되지 못하였다. 셋째, 2006년 「토지조사특별법안」의 경우에는 1996년과 2006년과는 달리 법안이 국회에 상정됨으로써 각각의 흐름이 결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2011년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의 경우에는 각각의 흐름이 결합되어 정책의 창이 열린 후 정책기업가로서 입법부의 역할로 인하여 정책이 결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개별적인 흐름은 서로 전혀 다른 방향성을 갖을 수도 있지만, 일정부분 유사한 방향성을 갖을 수도 있다. 둘째, 각각의 흐름이 결합되었다고 하더라도 정책의 창이 열리는 것은 아니다. 셋째, 흐름의 결합으로 인해 정책의 창이 열렸다고 해서 정책의 창이 열려있는 시간은 매우 짧으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닫히게 된다. 넷째, 흐름의 결합과 정책의 창을 열기 위해서는 정책기업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Kingdon의 연구와 부합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그리고 정책의 흐름은 각자 방향성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흐름 내의 요인간에도 방향성이 있어 전제적인 흐름을 방해하기도 하고 촉진시키기도 한다는 것이다. 둘째, 각각의 흐름을 구성하는 요인들은 각 흐름내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흐름의 요인과 연결되어 다른 흐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정책공동체는 경우에 따라서는 흐름의 결합을 방해하고 정책의 창을 닫는 경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지적재조사 정책이라는 단일 사례를 연구함으로 인해 다양한 비교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이 설명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 다른 사례에도 발생하고 있는가에 대한 일반화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정책사례에도 이러한 부분이 발견되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특히 지적과 관련된 정책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새주소(도로명주소)정책’에 관해서도 분석해 볼 필요가 있으며, 지적재조사 정책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대통령기록물 관리정책’에 대해서도 적용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겠다.

      • 청년기본법 제정의 정책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수정된 다중흐름모형(MSF)의 적용을 중심으로

        신보라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8

        청년기본법 정책형성과정은 청년을 정책대상으로 하여 국가의 종합적인 청년정책 기틀을 마련하고, 일자리를 넘어 주거․복지․권리 등 청년 삶 전반에 걸친 정책 확장으로 국가가 청년정책을 바라보는 패러다임을 전환한 정책변동 사례이자, 국회에서 여․야 합의안 마련 이후로도 계류되다 20대 국회 종료를 앞두고 극적으로 통과하는 등의 정책 역동성이 컸던 사례이다. 그렇기에 정책결정으로 이어지게 된 원인과 맥락, 정책변동을 추동한 정책선도가들의 역할과 전략을 구체적으로 살펴 향후 정책변동 및 청년정책의 변화와 발전을 위해 필요한 동력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책변동모형 중 Kingdon(1984)의 다중흐름모형이 갖는 한계를 인식하고, 정책의제의 형성과정뿐만 아니라 정책의 최종 결정과정까지를 함께 모형화한 Howlett et al.(2015)의 다중흐름의 수정모형을 새로운 분석틀로 하여 기본기본법 제정의 동태적 과정을 분석하는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청년정책대안으로서의 청년기본법의 제정을 추동한 핵심적 흐름은 무엇인가, 두 번의 정책의 창 기회에서 첫 번째 정책의 창은 실패했으나 두 번째 정책의 창은 성공한 이유는 무엇인가, 청년기본법 제정과정에서 정책선도가들은 어떤 역할과 전략들로 정책결정에 기여하였는가 하는 것이다. 20대 국회에서 법안이 발의되고 통과되었던 2016년 5월부터 2020년 1월까지로 하여, 청년기본법 제정과정에서의 문제․정치․정책․프로그램의 네 가지 흐름과 정책의 창, 정책선도가의 역할과 전략을 중심으로 살폈다. 사례 연구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Howlett et al.(2015)의 수정모형은 흐름과 단계를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정책의 형성 및 결정에 이르는 과정 전반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분석틀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치 흐름의 변화는 정책의 창 개폐에, 정책결정자의 재선 압력은 법안 채택 등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법률의 제정과 같은 정책 혁신, 정책변동 과정에서는 행정적 집행 가능성으로 대표되는 정부의 수용력 또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정책선도가들의 공식적 권한, 법적 지위와 권위, 정치적 교섭력 등은 정책결정의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정책선도가가 이슈주창과 정책중개를 병행할 때 정책결정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정 정책에 대한 관심과 선호가 높은 정책선도가들이 정책지지연합을 구축하여 움직였을 때 정책결정에 우호적인 여건을 만들어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결정을 추동하는 핵심요인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정책선도가의 추진력과 노력이 정책결정 전반에 걸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여 정책과정 분석에서의 중요한 함의를 이끌어내었다. 다만, 국회 입법과정에 주목하여 상대적으로 행정부의 입장 변화 요인을 살피는데 한계가 있었다. 향후 정부-시민-정당의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행위자들간의 상호작용을 이론적․실질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로 확장할 필요성이 있으며, 미래적 관점에서 청년인재 양상과 역량 강화를 위한 청년정책 관련 후속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of the Basic Act for Youth sets the foundation for the nation’s comprehensive youth policy by targeting young people, and shifts the paradigm of the state’s youth policy by expanding policies throughout youth life, including housing, welfare, and rights beyond jobs. It is also a case of great policy dynamism, such as being pending even after the agreement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was prepared in the National Assembly, but dramatically passing it ahead of the end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riving force needed for future policy change and youth policy change and development by examining in detail the causes and contexts that led to policy decisions, and the roles and strategies of policy entrepreneurs who drove policy changes.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Kingdon(1984)'s Multiple Streams Framework(MSF) among policy change models and uses a modified multiple streams framework of Howlett et al.(2015), which models not only the process of forming a policy agenda but also the process of final policy decision. In addition,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ynamic process of enactment of the Basic Act for Youth as a new analytical framework. This study set up three research questions. What is the key trend that drove the enactment of the Basic Act for Youth as a youth policy alternative? In two policy window opportunities, why did the first policy window fail but the second policy window succeeded? What roles and strategies did policy entrepreneurs contribute to policy decisions in the process of enacting the Basic Act for Youth? From May 2016 to January 2020, when the bill was proposed and passed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four streams of problems, politics, policies, and programs in the process of enacting Basic Act for Youth, policy windows, and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s and strategy.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ase study are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Howlett et al.(2015)'s modified multiple streams framework is a useful analytical framework for explaining the overall process of policy formation and decision-making by dividing and analyzing streams and sta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in political stream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olicy window, and the pressure of policy makers for re-ele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policy decisions such as the adoption of bills. In the process of policy innovation and policy change, such as enactment of laws, the government's capacity, represented by the possibility of administrative enforcement, was also found to be important. It was found that the official authority, legal status and authority, and political bargaining power of policy entrepreneurs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olicy decisi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policy decision can be increased when policy entrepreneurs combine advocacy and brokerage. Finally, it was found that when policy entrepreneurs with high interest in and preference for a specific policy moved by establishing a policy advocacy coalition, they created favorable conditions for policy decision-mak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key factors that drive policy decisions from various angles. In addition, by confirming how important the driving force and efforts of policy entrepreneurs play throughout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licy process analysis were derived. However, there were limitations in examining the factors that relatively changed the position of the administr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expand into research that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analyzes the interaction between 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government-citizen-party. Finally, from a future perspective, follow-up studies on youth policies for the aspect of youth talent and capacity building should be conducted.

      • 4대 사회보험 징수통합 정책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김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32316

        우리나라 4대 사회보험은 매우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제도적 발전을 거두었다. 그러나 태동기의 제도 도입은 사회적·경제적 여건이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상황하에서 시행이 가능한 계층을 우선 적용대상으로 하는 개별․분립형 제도화로 제도의 도입시기가 서로 다르다. 이러한 우리나라 사회보험은 감독기관인 정부의 소관부처가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로 나뉘어 있고, 제도의 관리운영주체 또한 3개 공단으로 분리되어, 제도 상호간의 연계부족이나 관리운영비 지출의 중복요인이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급자 중심의 관리운영체계는 사업주의 적용․징수업무 수행을 위한 행정비용(compliance costs)을 발생 시키고 있으며, 제도의 성숙에 따라 사회보험서비스 의 질 개선과 신규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요구 증가로 새로운 신규사업에 투입될 인력 과 수요를 충족할 마땅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게 된 것이다. 이처럼 태생적으로 안고 있는 사회보험 비효율의 문제는 국민편의 증진, 관리운영 효율화를 통한 재정안정화,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 등 제도의 질적개선을 기본방향으로 하는 새로운 4대 사회보험 통합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초기의 사회보험 통합논의는 1980년대 건강보험 통합을 주장하던 학계그룹을 중심으로 간헐적 연구나 논의가 있었으나, 본격적인 사회보험 통합논의는 1995년 고용보험 도입 이후 4대 사회보험체계 형성기로 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2011년 시행된 '4대 사회보험징수통합' 정책결정 이전 까지 수십년간의 논쟁에도 불구하고 4대 사회보험 통합에 관한 논의는 정책채택이라는 최종의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정책의 창’의 문턱에서 좌절되었거나 소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4대 사회보험징수통합'정책결정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들이 비합리적이고 우연한 요소에 의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s Model)을 중심으로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는 매우 불규칙한 정책의 흐름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책의 창이 열린 제1기(1995년 7월부터 2000년 10월)의 '2대2통합 방안', 제2기(2004년 11월부터 2007년 1월)의 '국세청 징수공단 방안'에서 정책결정 실패 원인을 규명하고, 제3기(2007년 2월부터 2009년 12월)의 '4대 사회보험 징수통합 방안' 에서 정책흐름이 결합하는 정책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논의과정을 배제한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대안들은 정책결정과정을 교란시키고 정부의 정책대안에 대응하는 새로운 대안들을 양산할 수 있다. 정책의 창 제1, 2기의 정책결정 실패의 모습은 정부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정책대안이라고 할지라도 여타의 관련 행위자들로부터 정부정책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하며, 이해집단의 우호적 지지와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경우 정책으로 채택되기 어려움을 보여 준다. 이러한 정책대안들은 정책의 창을 통과하기 이전에 이해관계자의 집단적 반대와 저항에 부딪히게 되고 새로운 대안이나 대응 논리를 찾지 못하여 좌절될 수 있다. 이처럼 정책대안은 폭넓은 사회적 협의와 논의를 필요로 하며, 소수의 정책결정자 또는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의제화는 ‘정책의 창’을 넘는데 있어 상당한 취약성 지니게 된다. 이는 사회적 여론에 부응하고자 하는 여러 형태의 새로운 정책대안을 양산하게 되고, 정책대안의 초점이 정책문제로부터 이탈하는 상태로 변질되거나 오랜 논쟁으로 이어져 정책의 창을 넘어서지 못하는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관련 행위자들의 적극적인 정책흐름의 결합시도에도 불구하고 정부 정책의 비일관적인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둘째, ‘정책의 창’이 열리는 짧은 기간 내에 정치의 흐름과 정책문제로부터 산출된 정책대안의 결합이 이루어질 경우 정책결정이 실현될 수 있다. 4대 사회보험징수통합 정책형성과정의 경우, 제1, 2기의 정책형성과정에서 인지된 정책흐름을 토대로 제시된 제3기의 ‘건강보험 중심의 징수통합 방안’이 가장 유력한 대안으로 부각되었다. 이는 물론 이전의 무수한 정책논의과정에서 드러난 많은 대안들 중 하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대안들간의 논쟁에서 비롯된 긴 여정의 정책논의과정은 새롭고 강력한 정치의 흐름과 정책문제의 흐름의 결합(coupling)을 통해 ‘정책의 창’이 열리는 시기를 기다려 정책산출로 이어지게 되는 정책형성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이러한 정책결정은 정치의 흐름을 실현하려는 유능한 정책활동가의 적극적 의사결합(pseudo coupling)이 정책문제에 접근하여 최적의 대안을 만나게 될 때 정책의 창이 열리는 짧은 시기와 일치할 수 있다. 셋째, 채택된 정책대안이 정책문제의 본질적인 해결에 이르지 못할 수 있다. 우리나라 4대 사회보험 통합의 경우, 최종적으로 채택된 ‘건강보험 중심의 징수통합 방안’이 4대 사회보험체계 형성기로부터 제기된 사회보험 비효율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즉 4대 사회보험 징수통합의 경우 징수통합에 한정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사회보험의 중심업무라 할 수 있는 급여․적용분야에 대한 통합은 미루어졌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보험 관리의 효율성과 형평성간의 논쟁의 연장선상에 이루어진 통합논의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정책의 창 제1, 2기에서 제시된 여러 정책대안들이 정책의 창을 넘지 못했던 과정과 정책의 창 제3기에 이르러 4대 사회보험징수통합으로 정책결정이 이루어진 과정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핵심 단어】 4대 사회보험 징수통합, 정책결정, 정책의 창, 정책흐름모형

      •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전통주산업법 입법과정 분석

        왕희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03

        본 연구는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전통주산업법」 입법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전통주산업을 비롯한 주류산업 분야에서 나타나는 정책결정과정의 동태 및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배 의원과 정해걸 의원이 약 4년의 시차를 두고 비슷한 내용의 「전통주산업법」을 발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두 국회의원의 입법시도는 국회 논의과정에서 사뭇 다른 결과를 보인다. 「전통주산업법」이 처음 발의된 이상배 의원의 입법 추진기(1990년대~2006년 초), 이상배 의원의 「전통주산업법」이 국회에 계류되어 있는 시기를 입법 과도기(2006년~2008년 초), 「전통주산업법」이 제정되었던 정해걸 의원의 입법 추진기(2008년~2009년)로 시기를 나누어, 정책문제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 정치의 흐름 및 정책의 창이 열린 후 국회에서 「전통주산업법」 논의과정과 정책선도자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전통주산업법」 입법과정을 분석한 결과, 이상배 의원, 정해걸 의원의 「전통주산업법」 제정안 발의를 계기로 전통주산업 현황, 문제점 및 대책 등에 대해 국회 차원의 공론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전통주산업법」 제정안이라는 정책대안의 흐름이 정책문제의 흐름 또는 정치의 흐름과 결합하여 「전통주산업법」 입법에 대한 정책의 창이 열렸다고 볼 수 있다. 이상배 의원의 입법 추진기의 경우, 「전통주산업법」 논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정치의 흐름이 부재하였기 때문에 정책문제의 흐름과 정책대안의 흐름, 두 가지 흐름만 결합하여 정책의 창이 불완전하게 열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국회에서 「전통주산업법」 제정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주류산업 정책을 관할해왔던 재정경제부 및 국세청이 다양한 이유를 들어 법 제정을 반대하였고,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도 「전통주산업법」 입법취지는 공감하면서도 법안 세부내용에 대해서는 비판적이거나 회의적인 반응이 많았다. 결국 이상배 의원의 「전통주산업법」 발의안은 농해수위 법안심사소위에 계류되다가 국회 임기만료에 따라 폐기되기에 이른다. 정해걸 의원의 입법 추진기의 경우, 세 가지 흐름이 모두 결합하여 정책의 창이 열렸는데 2009년 6월에 「전통주산업법」이 발의되고 나서 농해수위에 상정되어 본격적인 심사가 시작된 것은 5개월이 지난 2009년 11월이다. 그 사이에 대통령 직속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우리 술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9월에 발표함으로써 「전통주산업법」 입법에 강한 추진력을 실어주었다. 따라서 11월에 국회 논의가 시작되고 2달 동안 「전통주산업법」 입법절차가 신속하게 진행되었으며, 논의결과를 반영하여 마련된 위원회안이 2009년 12월 마지막 국회 본회의에서 최종 통과됨으로써 정책의 창을 통한 정책 산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입법추진 사례에서는 「전통주산업법」을 발의한 이상배 의원을 정책선도자로 볼 수 있다. 다만, 이상배 의원의 영향력만으로는 국회 입법과정에서 법안 제정에 반대하는 국세청, 법안 세부내용에 비판적인 동료 국회의원들, 「전통주산업법」 입법 지원에 소극적인 농림부 등 공식 참여자들의 비협조로 인한 고착상태를 극복하지 못하면서 정책선도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한계를 보였다. 두 번째 입법추진 사례에서도 초기 정책선도자는 「전통주산업법」을 발의한 정해걸 의원이다. 이때는 정책의 창이 열린 후 정책 산출까지 적극적으로 기여한 정책선도자가 존재하였으며, 그 정책선도자는 식품산업 진흥 및 한식 세계화 추진에 대한 주무부처인 농림수산식품부이다. 기본적으로 농식품부는 식품산업 육성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전통주산업 진흥업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막걸리 열풍 확산에 기여한 바 있다. 또한,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발표한 ‘우리 술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초안을 마련하고 기획재정부, 국세청과 협의하였으며, 정해걸 의원이 발의한 「전통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안」을 국회 논의과정에서 수정, 보완하는 등 입법 지원에 나섰다. 기획재정부, 국세청 출신인 농식품부 장태평 장관, 방문규 국장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강만수 위원장의 지원을 얻어 「전통주산업법」 제정을 반대하는 국세청과 협의에 나섰으며, 이를 통해 국세청이 「전통주산업법」 제정에 반대하는 주요 쟁점을 해소하였다. 「전통주산업법」 입법과정에 있어서는 정책문제의 흐름이 특정 사건이나 사고로 인해 증폭되지는 않았으나,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로 인해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고 여대야소 정국이 형성되는 등 정치의 흐름이 급변함에 따라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사례에서는 정책흐름모형이 강조하는 우연성이 정치의 흐름에서 추가적으로 나타나는데, 그것은 2009년 우리나라에 상륙한 막걸리 열풍이다. 막걸리 열풍은 일반국민들의 주류소비 행태에 변화를 불러오고 전통주의 가치, 전통주산업의 실태에 대한 인식을 높이게 되었으며, 국회, 청와대, 정부부처가 이러한 여론에 긴밀히 반응하게 됨으로써 「전통주산업법」제정을 위한 정책의 창이 열리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한편, 정책문제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선도자 등 정책흐름모형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전통주산업법」입법과정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주류산업 정책에도 정책흐름모형이 적용가능함을 확인하고, 주류산업 연구분야에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기존의 주류산업 관련 연구는 주류산업 정책의 역사, 현행 주세법의 개선방안, 주류산업의 마케팅 전략 등 단편적인 주제를 가지고 수행되었다. 앞으로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다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책문제, 정책대안, 정치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정책산출 과정과 이에 관여하는 정책선도자의 역할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안」)의 입법과정 분석?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이서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0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의 삶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부정청탁 및 금품수수 금지에 관한 법률」(이하 ‘김영란법’)이라는 정책형성과정의 동력과 영향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동법의 입안부터 통과까지 일련의 과정 속에서 어떠한 영향요인에 따라 논의가 촉발되고 입법에까지 이르렀는지, 심의과정의 쟁점은 무엇이었고 어떻게 흘러갔는지, 또한 누가 이러한 과정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는지 등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영란법 입법과정에서의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의 세 가지 흐름과 세 흐름 간의 동태적 상호작용, 정책의 창의 개방 계기와 정책선도가의 역할 등을 분석함에 있어 입법시기를 정책제안부터 입법예고까지의 입안기, 국회 제출부터 소위 상정‧심의까지의 상정기, 제19대 국회 전반기 마지막 정무위 소위 합의부터 법안의 본회의 통과까지의 제정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김영란법 입법에 이르기까지 지표‧사건‧위기‧환류의 정책문제의 흐름이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었고 정치의 흐름․정책대안의 흐름도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 세 흐름이 항상 일관된 기류로 흐르는 것은 아니었다. 각 흐름마다 흐름의 강약이 있고, 순류와 역류가 계속되며 각 시기별로도 결합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주요 시기별로 창이 열릴 때 주도적 역할을 한 정책선도가가 동일하지 않았으며, 동일한 주체라 하더라도 시기별로 역할의 크기가 달랐다. 정책의 창은 두 가지 흐름 또는 세 가지 흐름의 결합으로 열리는데 이러한 결합은 각자 독자적으로 흐르던 흐름이 접점에서 만나는 양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하나의 거센 흐름이 창을 열면서 다른 흐름을 흡수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정책의제설정의 변화와 관련하여 선거와 같은 정치적 흐름을 비중 있게 본 Kingdon의 분석과 달리 김영란법 입법과정에서는 선거 결과가 정치 흐름의 방향에 큰 반향을 일으키지는 못하였으며 오히려 스폰서 검사 사건, 세월호 침몰사고와 같은 사건․위기의 문제의 흐름이 몰고 온 파장이 더욱 크게 작용하였다. Kingdon 모형에서는 대안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서 기술적 실행가능성과 가치수용성을 설정하고 있는데 김영란법의 대안의 흐름을 살펴보면 오히려 적용범위를 지나치게 확대하여 현실적 적용가능성을 더 어렵게 하였으며 각종 위헌성 논란으로 인해 선택된 대안의 가치 수용성 역시 높지 못하다. 김영란법의 대안 흐름은 오히려 입안기에는 정책옹호연합모형, 제정기에는 쓰레기통 모형의 설명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상 살펴본 바를 종합하면 김영란법 입법과정에서는 Kingdon 모형의 세 흐름이 모두 나타나고 이러한 흐름의 상호작용에 따라 창이 열리는 것도 확인되지만, 창이 열렸을 때 기술적 실현가능성이나 가치수용성 고려라는 모형의 설명에 따른 대안 채택 과정이 나타나지 않았다. 정책 대안의 흐름을 이끌어 가야 할 당사자들이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갑작스런 위기 사건에 의해 창이 열렸을 때 정책선도가가 중심을 잡고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하였기에 부실한 정책대안이 채택된 것이다. 이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지적했듯이 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선도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김영란법 입법과정에서 특이한 점은 김영란 국민권익위원장의 퇴임 이후 법 제정에 대한 강한 의지와 영향력, 전문성을 모두 갖춘 정책선도가가 실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법안이 폐기되지 않고 국회를 통과하여 제정에까지 이르게 된 것인데, 이는 정책대안에 대한 합리적인 검토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 대형 사건‧사고, 여론의 흐름 등이 정책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우리나라의 입법현실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장관급 인사 외에 전문성을 갖춘 실무 관료들의 활동과 노력이 법 제정에 기여한 바에 대해서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지 못한바 향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한 분석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비정규직 노동정책 형성과정 연구

        이혜수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00

        비정규직 문제는 2000년 이후 한국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인식되어왔다. 근로자의 절반이상이 고용불안과 차별적 처우를 받고 있다는 현실인식에도 불구하고 2006년 11월에 입법된 비정규직 관련 법들이 문제를 해결했는가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이다. 특히 비정규직 정책과정은 노사정이 장기간 협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태로 입법이 되었고, 입법절차도 정상적인 의결절차를 거치지 못했다. 입법 직후부터 개정요구를 받았으며 정권이 교체된 이후에는 정부로부터 강한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약 7년 가까운 기간동안 협의를 하고도 이해당사자들이 합의에 이르지 못한 비정규직 법안은 어떻게 도입될 수 있었는가에서 문제제기를 시작했다. 기존의 비정규직 관련 연구들은 바람직한 비정규직 정책의 내용이나 노사관계의 특수성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본 연구는 정부의 비정규직 정책을 정부의 정책형성과정으로 보고 정책형성이론인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해서 정책과정을 분석하였다. 다중흐름모형은 정책결정이 합리적이기 보다 우연과 비합리적으로 이루지는 것이라는 분석모형으로 다양한 참여자들과 정치적 환경의 변화와 그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분석모형이다. 참여자들의 의지와 노력, 특히 정책산출에서 정책혁신가의 능력과 역할이 핵심적인 요소이다.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해서 비정규직 정책과정을 분석한 결과, 첫째, 비정규직 문제가 ‘문제’로 정의되는 데는 노동계의 주장이 크게 영향을 미쳤지만, 대안의 형성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대 둘째, 정책이 산출될 수 있는 정책의 창은 문제의 흐름에서 강력한 ‘문제’에 의해서 열렸고, 정치의 흐름에서 정치적 변화에 의해서 열렸지만, 능력있는 정책혁신가가 커플링을 위한 적극적이 역할을 할 때에만 정책이 산출되었다. 비정규직 정책과정은 개방적이고 다양한 참여자들의 많은 생각들이 협력하고 대립하였고 정치환경의 변화도 영향을 주어서 다중흐름모형의 “모호성(ambiguity)”이라는 전제 조건에 부합해서 다중흐름모형으로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정규직 정책과정은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함에 있어서 약간의 특수성을 보이는데 첫째, 정책의 창이 열린 정치적 환경에 따라서 정책혁신가에게 다른 역할이 요구된다는 점이고 둘째, 비정규직 정책은 통상 새로운 정책이 도입되는 적기가 아니라 정권말기에 정부에 대한 지지가 대단히 낮을 때 도입되었다는 점이다. 즉, 정부의 지지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정치흐름에서 약간의 변화와 정책혁신가의 의지만으로 대단히 갈등적인 정책도 도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정규직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문제이지만 입법 당시의 문제와 대안이 반복되기보다, 기존의 정책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서 문제와 대안이 새롭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책과정에서 이해당사자들의 합의는 정책이 실효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책의 흐름에서 합의, 정치의 흐름에서 합의는 보다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다.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problems in Korean society since 2000. Despite the fact that more than half of the workers are receiving employment insecurity and discriminatory treatment, it is generally negative about whether the irregular labor legislation passed in November 2006 solved the problem. In particular, despite the lengthy consultation of Labor, Employers and Government, the irregular labor policy process became legislation without reaching consensus, and the legislative process did not go through the normal procedure. Since the legislation, criticism has been received from Labor and the need for a strong revision has been raised from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This study has begun to raise questions about how irregular labor bills, which have not reached consensus even after consulting for nearly seven years, could be introduced. Previous studies on irregular labor policy focused on the contents of desirable policies and the specificity of labor relations, but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process by applying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MSF), which is a policy change theory, to report the irregular labor policy as a general policy formation process of the government. The MSF is an analytical model that policy decision is an accidental and unreasonable process. It is an appropriate model for analyzing the changes of political environment and their interactions with various participa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licy process of irregular labor policy through MSF, First, the claims of Labor have had a great impact on the definition of irregular workers’ problems, but they could not make alternatives. Second, the window of policy in which policy can be produced was opened by a strong 'problem' in the problem stream, and was opened by political change in the politics stream, but policies were only produced when competent policy entrepreneur played an active role in coupling. The irregular labor policy process was open and many ideas of various participants cooperate and conflict, affected by changes in the political environment, and has satisfied “ambiguity” which is a precondition of MSF, which can be appropriately accounted for by MSF. However, the irregular labor policy process has some specificity in the analysis. First, policy entrepreneur are required to play a different role depending on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policy window was open. Second, the timing of the legislation are not the right time to introduce new policies, but it was introduced at the end of Roh administration when the rate of approval for the government is very low. In other words, in a situation where the support base of the government is weak, it is found that policy changes can be introduced the very conflictual policy with a slight change in politics stream and the will of policy entrepreneur.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is still a social problem to be solved. But in the policy process, problems and alternatives need to be newly formed through evaluation and feedback of existing policies rather than repetition of problems and alternatives at the time of legislation. In addition, the consensus of the stakeholders in the policy process affects the effectiveness, so consensus in the policy stream and consensus in the politics stream need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Key words : multiple streams framework, irregular workers, fixed term workers, temporary agency workers, policy entrepreneur, policy window

      •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가연 단국대학교 정보융합기술창업대학원(구: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87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창업 및 기업가정신을 생존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창업기업의 대표적인 성공 모델인 실리콘벨리와 같이 런던, 베를린, 뉴욕 등에서도 도시기반 스타트업 생태계가 조성되면서 혁신형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한 엑셀러레이터 모델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동안 정부는 ‘지역’을 국가 재도약의 기본 단위로 삼아 지역 자원의 효율적 연계․ 활용을 통한 지역인재의 창업 활성화, 기업 경쟁력 제고, 제품․서비스의 세계 시장 개 척 등을 통해 지역 경제 혁신을 주도할 지역 단위 창조경제 전진 기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운영을 핵심 국정 과제로 선정하여 추진해 왔다. 특히,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창업 허브’ 및 ‘지역혁신 거점 구축’을 목표로 연계․협 업을 통한 지역 자원의 결집과 시너지 창출을 통해 지역 특화 전략 산업 분야 기업을 육성해왔다. 다가오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미래 유망 신산업 육성과 지 역의 기존 주력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통한 지역 일자리 유지 및 확대가 중요함에 따라 창조 센터는 단순히 일자리 창출 및 유지의 정책적 수단으로만 접근한 것이 아니라 빈약한 지역 스타트업 및 혁신 창업생태계의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지역의 경제적 자산이자 유일한 네 트워킹 자산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19개 창조경제혁신센터 중 민간자율형 혁신센터 2곳을 제외한 전 국 17개 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선행연구, 기사, 센터 홈페 이지, 센터 내부자료, 실무자 FGI 등을 기반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역창조경 제혁신센터별 인력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기능인 ’혁신거점’과 ‘창업허브’라는 두 가 지의 영역에 기반하여 지역창조경제혁신센터별 세부 프로그램들을 지역혁신 창업문 화 조성, 지역혁신 창업기업 발굴 및 육성, 투자연계 및 선순환 투자생태계 조성, 지 역특화산업 활성화로 분류하여 센터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종 합적으로 고려하여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지역혁신 창업 허브로서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창조센터가 지역창업 허브 및 지역혁신 주도 기관이라는 정체성을 확립 하려면 대학과의 연계만이 아니라 지역 유관 기관들과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 다. 그러므로 지자체 주도로 지역 특화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산-관이 공식,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인력자원, 교육 훈련 기능이 기업과 상시적으로 교류되어야 한다. 둘째, 창조센터 대부분의 투자 자원은 초기자원 지원형태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창업 초기 기업의 스케일업을 위해 지원기업별, 성장단계별 등 여러 방면에서의 질적 개선 방안을 마련해여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센터는 국내외 ESG 규제 강화 움직임에 따라 스타트업 맞춤형 ESG경영 교육 및 인증지원사업, 멘토링 등을 통해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창조센터는 지역 간의 편차를 줄이 기 위해서 센터별 개방형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내부 구조상 자유롭 게 협업사업에 투입할 수 있는 예산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역 소멸에 대 한 해결책으로써 제시되는 지역 청년들을 위한 사업이 무엇보다 창업 자체의 지 속가능성을 함께 고민하는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며,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니치 시장을 목표로 하는 ‘본글로벌’ 창업에 대한 교육사업 및 정책지원이 확대될 필 요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센터 내부에서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본 연구결과와 함께 분석 결과를 해석한다면 더 풍부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핵심주제어 : 창업생태계, 창업지원정책,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역혁신창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