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군 병사의 정신건강상태, 군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이규화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군 병사의 정신건강상태(정신질환, 충동성), 군 생활 스트레스(군직무 스트레스, 군불만 스트레스, 외부 스트레스, 자유제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족의지지, 동료의지지, 상급자의지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공군 병사의 정신건강상태(정신질환, 충동성), 군 생활 스트레스(군직무 스트레스, 군불만 스트레스, 외부 스트레스, 자유제한 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지지(가족의지지, 동료의지지, 상급자의지지) 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군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공군 병사들의 밝은 병영문화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공군○○훈련비행단에서 군복무 중인 이병에서 병장까지의 단기복무사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859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자살사고척도, 정신질환척도, 충동성척도, 군 생활 스트레스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요인분석, 기술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군 병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연령 분포는 최저 18세부터 최고 30세까지로 분포되어 있다. 복무기간은 6개월 이하가 217명, 12개월 이하가 230명, 18개월 이하가 182명, 19개월 이상 24개월 이하가 229명이다. 병과를 보면, 일반은 254명, 전자계산 · 통신은 140명, 화학은 36명, 기계는 221명, 차량운전 · 정비는 115명, 시설은 62명, 기타는 30명이다. 교육정도로는 전문대학교 휴학, 대학교 휴학이 가장 많았다. 경제수준을 보면, ‘중’ 이 572명으로 중간정도의 경제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부모의 구성은 부모가 모두 있다고 응답한 병사가 754명으로 가장 많았다. 거주 지역은 광역시 335명, 시 · 군 418명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로 자살사고는 최대점수가 4.87점으로 측정되었으며, 자살사고의 전체 평균은 0.26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정신질환은 평균이 1.56점, 충동성은, 2.39점, 군직무 스트레스는 1.99점, 군불만 스트레스는 2.53점, 외부스트레스는 1.63점, 자유제한 스트레스는 2.00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평균은 가족의지지 4.23점, 동료의지지 3.82점, 상급자의지지는 3.10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주요 변수차이로 연령은 군불만 스트레스와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났으며, 상급자의지지는 부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났다. 복무기간은 정신질환, 자살사고, 군직무 스트레스, 상급자의지지가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났다. 경제수준은 정신질환, 자살사고, 군직무 스트레스, 외부 스트레스, 가족의지지, 동료의 지지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으로 정신건강상태는 군 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상태도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상태는 낮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자살사고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상태도 높게 나타났으며, 군 생활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살사고가 높을수록 군 생활 스트레스도 높아지며, 사회적 지지는 자살사고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상태, 군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 분석한 결과, 정신질환 중 대인예민성, 우울증, 정신증은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군 생활 스트레스는 군직무 스트레스, 외부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가족의지지, 동료의지지, 상급자의지지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령, 복무기간, 경제수준, 정신질환, 군직무 스트레스, 외부 스트레스 모두 자살사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만을 토대로 설명한다면 공군 병사의 정신건강상태의 중요성은 모든 연령이나 집단에서 마찬가지겠지만, 정신건강상태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대인예민성, 우울증, 정신증)이 자살사고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군 생활 스트레스 영향력은 부대 내 분위기가 자살사고에 직 ․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고 이를 구성원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군 생활 적응과 자살사고 예방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동료들 간의 응집력 강화 및 지지와 칭찬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집단상담 개입도 요구된다. 그러한 개입은 병사들의 생활관 생활만족과 임무수행 의지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맡은바 직무와 직책에 충실하도록 도우며 군 조직 환경에 만족하도록 군 생활 적응도를 높여 건강한 군 문화 창출 및 사고예방 에도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군 생활 부적응 요인을 안고 있는 관심병사 관리와 군대 부적응 및 사고예방 관련 연구, 효율적인 병사관리 계획수립 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자활시설 노숙인의 성격강점과 신체 및 정신 건강상태

        이정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자활시설노숙인의 성격강점과 신체 및 정신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자활시설 노숙인의 인구사회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자활시설 노숙인이 어떤 성격강점을 가졌는지, 성격강점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활시설 노숙인의 신체 및 정신 건강상태가 살펴보고, 성격강점에 따라 신체 및 정신 건강상태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1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S시에 소재하는 두 곳의 노숙인 자활시설에 거주하는 성인 남자 120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도구 등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적 특성에서 일반적 특성은 연령이 40대가 24.2%, 50대가 23.3%로 많고, 학력은 고졸 이상이 35.8%, 결혼상태는 미혼이 51.7%, 이혼이 37.5%이었고, 가족연락횟수는 50%가 전혀 연락하지 않고, 가족 만남은 57.5%가 만나지 않았다. 노숙관련특성에서 현 시설생활 기간은 1~3년 미만이 28.3%, 총 시설 생활기간은 1년~3년 미만이 28.3%이었고 거리노숙기간은 76.6%가 없었다. 노숙원인은 실직 및 사업실패가 29%이고, 노숙 전 직업은 일용노동직에 종사한 대상자가 20%, 노숙 전 소득은 100만원~150만원 미만, 200만원~250만원 미만이 20.8%이었다. 또한 현재 근로상태는 매일 일하는 대상자가 50%이고 현재 월수입은 50만원 이상 100만원 이하가 41.7%이었다. 건강관련특성에서 음주빈도는 69.2%가 최근 1년 내 없었고, 흡연율은 64.7%이었다.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나쁘다고 지각한 대상자는 30%, 매우 나쁘다고 지각한 대상자는 5.8%로 나타났다. 건강문제는 근골격계 통증 25.9%, 고혈압 16.5%, 당뇨 12.2%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성격강점에서 성격강점의 평균은 용기가 3.48(±.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혜와 지식은 3.26(±.5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표 성격강점으로 대상자를 분류한 결과, 성격강점분포는 절제그룹이 43명(36%)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혜와 지식그룹은 7명(5.8%)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각 영역에서 평균점수가 동일하게 나타난 2개의 성격강점을 나타낸 대상자는 10명(8.3%)으로 나타났다. 성격강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적 특성은 ‘지혜와 지식’은 학력(F=3.65, p=.029), 노숙 전 소득(F=3.44, p=.03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용기’는 노숙 전 소득(F=9.22, p<.001), 지각된 건강상태(F=3.77, p=.026)에서,‘인간애’는 학력(F=6.01, p=.003), 지각된 건강상태(F=4.21, p=.017)에서,‘절제’는 총 시설생활기간(F=2.81, p=.025), 현재 근로상태(F=-2.07, p=.04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초월성’은 학력(F=5.09, p=.008), 신체불편기간(F=2.72, p=.028), 진료계열(F=2.62, p=.01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의는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자활시설 노숙인의 신체건강상태는 ‘만성의료문제로 관리가 되고 있지 않으며 현저한 신체손상이 있는 대상자’는 14명(11.7%)이고 ‘현저한 신체 문제가 있으며 만성의료문제로 관리가 되는 대상자’는 56명(46.7%)이었다. 정신건강상태는 경도가 28명(23.3%), 중등도는 14명(11.7%), 중증이 5명(4.2%)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혜와 지식그룹, 용기그룹, 인간애그룹, 정의그룹, 절제그룹, 초월성그룹에 따라 신체 및 정신건강상태를 비교한 결과, 신체건강상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정신건강상태(F=2.46, p=.038)에서는 용기그룹(2.09±1.15)이 절제그룹(1.39±0.58)보다 정신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상자의 성격강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학력, 총 시설생활 기간, 현재 근로 상태, 노숙 전 소득, 지각된 건강상태, 신체불편기간, 진료계열을 고려하여 자활시설 노숙인의 성격강점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자활시설 노숙인의 간호에 있어 관리되지 않는 신체건강문제에 대한 집중관리와 정신건강상태에서는 문제가 있는 대상으로 확인된 대상자들의 관리가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며 성격강점집단에 따른 간호중재의 다양성을 마련하는 것은 자활시설 노숙인의 효율성 있는 건강관리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생의 정신·사회건강상태와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련성

        변종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10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의 SNS 이용실태를 알아보고 정신ㆍ사회건강상태와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련성 확인함으로써 향후 고등학생의 SNS 중독에 따른 상담과 건강문제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내 남녀 고등학생 2학년 총 544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은 SPSS/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및 Duncan 사후검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의 정신건강상태는 우울이 가장 높았고, 신체화, 강박증, 불안, 대인예민, 적대감 순이었다. 남녀 간에 우울과 불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자보다 남자가 점수가 높았다. 사회건강 상태는 공감, 주장성, 협동성, 자기조절 순이었고 성별로 남녀간 차이가 있었으며 공감과 협동성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다. SNS 중독경향성은 평균 28.75점(60점 만점)이었고 하부 요인 중 일상생활장애가 가장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성적이 낮을수록, 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았다. 고등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과 성적 및 사회건강상태이었다. 즉,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성적이 낮을수록, 사회건강상태가 낮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신ㆍ사회건강상태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들이 사회적 관계에서 자신감을 갖지 못하고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껴 현실이 아닌 가상세계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것을 좋아하면서 SNS 중독과 관련이 있으며 중독현상으로 사이버 세상에 빠져들게 되면 학업 및 현실에서의 부적응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가정 및 학교에서 SNS 중독과 관련된 치료를 위해서는 사회적 기술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근과 SNS의 올바른 사용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제제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high schoolers’ smart phone usage situation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health-related prevention programs and future counselling on their SNS addiction by confirming relations between their mentalㆍsocial health state and their tendency to SNS addiction.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total 544 male/female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kyungpook region, an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statistics program for t-test, ANOVA and Duncan ex post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 The worst order of high schoolers’mental health state was depression, somatization, obsessive- compulsive, anxiety , interpersonal sensitivity, Hostil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depression and anxiety and females,’whose scores were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Social health state was the order of sympathy, assertiveness, cooperativity, and self-control,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with males being higher in sympathy and cooperativity than females. Tendency to SNS addiction was average 28.75(out of 60), among whose subfactors, daily life disorder was the highest, higher in females, in those who were lower in academic scores, and in those who were lower in practice test scores. Factors having impact on high schoolers’tendency to SNS addiction were gender, scores, and social health state, that is, the tendency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in those who were lower in scores, and in those who were lower in social health st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relations between high schoolers’ mentalㆍsocial health state and their tendency to SNS addiction show that youths like to express themselves in virtual world, not in reality, due to finding no confidence in their social relationship, that they are related to SNS, and that once they fall into cyber world, having been addicted to SNS, they will find themselves maladjusted in academic accomplishment and reality. Accordingly households and schools should have approaches to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to treat SNS addiction and education and controls for them to use it in a proper way.

      • 농촌 지역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건강상태

        허윤정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0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 of rural elementary schoolers, their health problems, the impact of their stress level on coping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behavior and health problems in an attempt to assist rural school children to stay away from any stress-related health problems and benefit from better health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71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ho were selected from six different schools with six classes or more each in the region of Pyeongchang. Their stress, stress coping behavior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checked, and whether there were anything wrong with their mental health was investigated.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rural elementary schoolers got a mean of 2.07(±1 to 4) in stressors. The greatest stressor was schoolwork, followed by parents, friends and teachers. Among the survey items, what put the most strain on the children was fear of a drop in academic standing, and the second most stressful one was that exam questions were unexpected or that they gave incorrect answers though they knew the right answers. The third most stressful one was that their efforts didn't pay off. Second, as for the stress-coping behavior patterns of the rural school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an active coping was most prevalent, followed by aggressive coping, inactive/avoidant coping and pursuit of social support. The active coping was most dominant regardless of academic year and gender. By gender, the inactive/avoidant coping and pursuit of social support was more common among the girls than the boys, and the intergroup gaps were significant. By academic year, they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aggressive coping with grade. Third, in terms of subjective health state, most of the children found themselves to be in good shape(44.4%) or neither healthy nor unhealthy (54.6%). Only 4.0 percent considered themselves to be in bad health. As to mental health, they got a mean of 2.29(±1 to 5). Interpersonal sensitivity was identified as the largest problem with their mental health, followed by hostility,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the survey items, the item to which the largest group agreed was that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way of talking and behaving when there was someone around them. The second largest group found themselves to be easily upset, and the third greatest group deemed themselves to cry often. Fourth, in regard to link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ess, unfriendly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homeroom teachers that belonged to interpersonal relations gave a lot of stress to the girls, and unpeaceful family atmosphere put a lot of pressure on the girl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 boys in the regards were significant.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family variables and health status, they thought they were less healthy when their family size was smaller, when they had fewer siblings and when they lived not with their parents but with grandparents. In the ev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 less amicabl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more unfriendly relationship with homeroom teachers led to worse subjective health status. Out of family variables, worse family atmosphere and worse household economy was concomitant with wors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all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As to connec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family variables and health problems, there were more problems with the mental health of the girls whose family size was smaller and who lived not with parents but with grandparents only. In the event of human relations, more unfriendly relations with friends and less amicable relationship with homeroom teachers were concurrent with more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case of family variables, those whose parents had no occupations, whose family atmosphere was worse and who were worse off were confronted with more mental health problems. All the gaps were significant. Fifth, as for links between stress and coping pattern, the group that was most stressed got more scores in inactive/avoidant coping, aggressive coping and pursuit of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felt the least stress, and the intergroup gap was significant. As to connections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health problems, the students who were most stressed out considered themselves to be less healthy than those who faced the least pressure, and the intergroup gap was significant. In terms of stress and mental health problems, the students who suffered the most stress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felt the least stress in all th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and the intergroup gaps were significant. Sixth,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tate,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mental health state as well. In regard to links between coping behavior and stress,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inactive/avoidant coping, aggressive coping and pursuit of social support. In the event of coping behavior and mental state, inactive/avoidant and aggressive cop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both subjective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active coping and pursuit of social support had an insignificant yet negative correlation to tha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was a necessity to develop differentiated stress management programs tailored to rural school children.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veloping customized stress management programs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students. In addition to comparative regional studies, more in-depth and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by examining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o shed light on stress, coping patterns and health problem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o help students keep away from stress.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건강문제는 무엇이며,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대처행동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과 건강문제의 관계를 규명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문제를 예방하고 보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평창지역의 6학급 이상의 6개 학교의 4,5,6학년 학생들 중 총 471명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주관적 건강상태 및 정신적 건강문제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의 평균 점수는 2.07점(범위:1-4점)이었고, 아동이 가장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영역은 학업관련 스트레스였으며 다음으로 부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교사관련 스트레스 순이었다. 문항으로는 ‘성적이 떨어질까봐’, ‘엉뚱하고 시험문제가 나오고 아는 문제를 틀려서’, ‘노력해도 기대만큼 성적이 오르지 않아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유형으로는 적극적 대처행동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공격적 대처행동, 소극·회피 대처행동,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 스트레스 대처행동 분석에 있어서 소극·회피 대처행동, 사회지지추구 대처행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이 사용하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별로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분석했을 때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격대처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대부분 건강(44.4%)하거나 보통(54.6%)이라고 인지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지한 사람은 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정신적 건강문제 정도는 평균 2.29로 나타났으며(범위:1-5점) 대인예민이 가장 문제가 높았고 적대감, 불안, 우울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가장 많은 경험도를 보인 문항은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는 나의 말과 행동에 신경을 쓴다’, ‘나는 쉽게 기분이 상한다’, ‘나는 잘 운다’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는 여성의 경우, 인간관계 중 친구사이가 좋지 않을수록, 담임과의 사이가 좋지 않을수록, 가정변인으로는 가정 분위기가 나쁠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에는 가족변수중 총 가족수가 적을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부모가 아닌 조부모와 동거할 경우, 인간관계중 친구와 사이가 좋지 않을수록, 담임과의 사이가 좋지 않을수록, 또한 가정변인으로 가정분위기가 나쁠수록, 가정형편이 어려울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지 않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과 정신적 건강문제와의 관계는 여성의 경우, 가족변수로는 총 가족수가 적을수록, 가족형태로는 부모가 아닌 조부모만 동거할 경우, 인간관계 변인 중 친구사이가 좋지 않을수록, 담임과의 사이가 좋지 않을수록, 가정변인으로는 부모님 직업이 무직일 경우, 가정분위기가 나쁠수록, 가정형편이 어려울수록 정신적 건강문제가 많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트레스와 대처행동간에는 스트레스 수준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소극·회피적 대처행동과 공격적 대처행동, 사회지지추구적 대처행동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문제는 스트레스 수준이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와 정신건강문제의 경우에는 스트레스 정도가 ‘상’인 집단이 ‘하’인 집단보다 대인예민 우울, 불안, 적대감 모두에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스트레스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정신적 건강상태에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정신적 건강상태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행동과 스트레스의 관계는 소극·회피 대처행동, 공격적 대처행동, 사회지지대처행공과 양의 상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행동과 건강상태의 경우 소극·회피 대처행동과 공격대처행동은 주관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모두에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적극대처행동과 사회지지대처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지역의 초등학생 실정에 맞는 차별화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였으며 농촌지역의 학생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를 제언하며, 지역간의 비교연구뿐만 아니라 아동기와 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및 건강문제에 관한 관계를 규명하는 방안으로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연계하여 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 및 해소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 고교 유도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정신 건강상테에 관한 연구

        김두만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JuDo play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ir game performance and gender.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the case of the ego-orientational goal achievement,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male players and the female players of JuDo. 2) In the case of the task-orientational goal achievement, the male players had higher propensity than the female players did. 3) The analysis of players' gender showed that female players were significantly more responsive to the symptoms of somatic, interpersonal sensitivity, fear, anxiety, and so on than male players were. 4) Among male players, the elite group was much more responsive to the symptoms of compulsive, hostility, paranoia, etc than the common group was. 5) Among female players of elite group and common group, their mental health was no influenced by JuDo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