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졸중 성인환자와 정상성인의 집중력에 대한 비교 연구

        황상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8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est results for the attention between the stroke adults and the normal adults using stroop test, one the sub-test items of Frontal lobe executive function neuropsychological test, and Digit symbol test and Digit span test, sub-test items of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00 adults, 50 stroke adults and 50 normal adults at the age of 50's to 70's living in Ulju County. In this study, SPS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simple variable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dots test, words test, interference index test, and digit symbol test appled to evaluate the attention difference between stroke adults and normal adults, normal adults' attention level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stroke adults' as well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 .05). 2. All test including dots test, words test, colors test, quantitative interference test, interference index, error index, digit symbol test, digit span test didn't show difference in the attention depending on normal adult's sex as well 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p> .05). 3. Not only female stroke patients turned out to have higher attention level than male stroke patients in digit symbol test, digit span test but also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dots test, words test, colors test, quantitative interference test, interference index, error index(p> .05). 4. Concern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ttention based on the normal adults' age, the tests like dots test, words test, quantitative interference test, error index test, digit symbol test, digit span test indicated that the younger have higher attention. However, interference index test did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p> .05). 5. In case of difference in attention based on stroke adult age, we found out that the younger stroke adults had the higher level of the attention in dots test, words test, colors test, quantitative interference test, and digit span test, error index, digit symbol test, In addition, there was also a meaningful difference(p< .05). However, interference index did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p> .05). 6. When it comes to attention difference depending on stroke adult hemiplegia region, left hemiplegia patient showed the higher attention in colors test and error index test was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p< .05).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dots test, words test, quantitative interference test, interference index, digit symbol test, and digit span test(p> .05). 7. When it comes to attention difference depending on stroke adult cause, cerebral infarction patient showed the higher attention in colors test and quantitative interference test as well a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p> .05). However,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dots test, words test, error index, interference index, digit symbol test, and digit span test(p> .05). 8. In case of difference of attention based on stroke adult attack perio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words test, interference index ,digit span test(p> .05). However, dots test, color test, quantitative interference test, error index, symbol test didn't show the difference in attention(p> .05).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진단을 받은 성인과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의 소 검사 항목인 스트룹 검사와 한국 웩슬러 성인 지능검사의 소 검사 항목 중 바꿔 쓰기 검사와 숫자 외우기 검사를 이용하여 집중력에 대한 평가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울주군에 거주하는 50대에서 70대 뇌졸중 성인과 정상 성인 각각 50명씩 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기술통계와 단순변량분석,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상 성인과 뇌졸중 성인간의 집중력의 차이는 단순검사, 중간검사, 간섭억제지표, 바꿔 쓰기 검사에서 뇌졸중 성인들보다 집중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둘째, 정상 성인의 성별에 따른 집중력의 차이는 단순검사,중간검사, 간섭검사, 양적 간섭검사, 간섭억제지표, 오류억제지표, 바꿔 쓰기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의 모든 검사에서 집중 력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셋째, 뇌졸중 성인의 성별에 따른 집중력의 차이는 바꿔 쓰기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집중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하지만 단순검사, 중간검사, 간섭검사, 양적 간섭검사, 간섭억제지표, 오류억제지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넷째, 정상 성인의 나이에 따른 집중력의 차이는 단순검사, 중간검사, 양적 간섭검사, 오류억제지표, 바꿔 쓰기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집중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05). 하지만 간섭억제지표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다섯째, 뇌졸중 성인의 나이에 따른 집중력의 차이는 단순검사,중간검사,간섭검사,양적 간섭검사, 오류억제지표, 바꿔 쓰기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집중력이 좋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p< .05), 간섭억제지표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여섯째, 뇌졸중 성인의 마비 부위에 따른 집중력의 차이는 간섭검사와 양적 간섭검사에서 뇌출혈환자보다 뇌경색 환자에서 더 높은 집중력을 나타내었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하지만 단순검사, 중간검사, 양적 간섭검사, 간섭억제지표, 바꿔 쓰기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일곱째, 뇌졸중 성인의 발병 원인에 따른 집중력의 차이는 단순검사, 중간검사, 간섭억제지표, 오류억제지표, 바꿔 쓰기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에서 집중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 .05), 간섭검사, 양적 간섭검사에서 뇌출혈 성인보다 뇌경색 성인이 집중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p< .05). 여덟째, 뇌졸중 성인의 발병기간에 따른 집중력의 차이는 중간검사, 간섭억제지표, 숫자 외우기 검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5). 하지만 단순검사, 간섭검사, 양적 간섭검사, 오류억제지표, 바꿔 쓰기 검사의 경우 집중력의 차이는 없었다(p> .05).

      •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 간 생활시간사용 비교 분석

        박수진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정상성인 간의 각 특성에 따른 생활시간사용량을 비교 분석 해 보고자 하였다. 2016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대구·경상지역의 재활 및 요양 전문 의료기관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집단 150명과 대구 지역 K재활병원 보호자, 성당, 노인대학 기관 대상자 1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1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연구자가 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 배부 후 직접수령 또는 우편으로 회수하였으며, 93%의 응답률을 통한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졸중 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필수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발병 후 기간에 따른 여가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정상성인 집단의 인구학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의무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연령에 따른 여가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뇌졸중 집단과 정상성인 집단의 성별에 따른 시간사용 비교분석에서 두 집단 모두 필수시간, 의무시간에서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연령에 따른 시간사용 비교분석에서 모든 연령에서 필수시간, 의무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 집단, 정상성인 집단에서 총 생활시간사용량과 영역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필수시간, 의무시간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불균형한 시간배분, 작업불균형이 나타났으며 생활시간조사가 적절한 시간 배분, 작업균형을 맞추는데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설문을 작업치료분야 있어 유용하게 접근하기 위하여 수정 보완이 필요 할 것이고, 뇌졸중 이외의 다양한 질환에서도 비교·분석, 성별, 연령 이외의 다양한 특성을 추가하여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time use between stroke patients and healthy adults by their characteristic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150 stroke patients who received rehabilitation treatments in rehabilitation or convalescence-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in Daegu and Gyeongsang regions from Jan. to Mar. 2016 and another 150 normal adults, such as care-takers from K Rehabilitation Hospital, catholic church members and elderly college students. To conduct a total of one survey, the researcher visited the related institutions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copies in person, and then collected 93% of the questionnaire copies in person or by mail, and the survey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out of all the stroke group characteristics, the stroke group showed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compulsory time and leisure time by gender and age. Secondly, out of all the normal group characteristics, the normal group showed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compulsory time and leisure time by gender and age,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and leisure time by age(p<.05). Thirdly, between the stroke group and the norm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and compulsory time by gender(p<.05), a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ime use in essential time and compulsory time by age(p<.05). Besid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ime use in leisure time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at the age of 25 to 39 and the ones at 65(p<.05). Even in gender and ag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ime use.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otal time use and the domain between the stroke group and the normal group, and both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ssential time and compulsory time. As a result, an imbalanced time distribution and a work imbalance were found in stroke patients, and it seems that this time use investigation will be useful in distributing time properly and balancing work. Further studies should modify and supplement this survey results to effectively apply to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and even for various other diseases beside stroke, further comparativ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more characteristics added beside gender and age.

      • 말더듬 성인과 정상 성인의 시간측정에 대한 비교연구

        김명찬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0

        이 연구는 말더듬 성인들이 의사소통환경에서 그렇지 않은 성인보다 시간압박(time pre- ssure)의 영향을 더 받을 것이라는 관점에서 말더듬는 사람들이 느끼는 시간압박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살피기 위해 말더듬 성인과 그렇지 않은 성인의 시간측정비교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검사는 8명의 말더듬 성인과 10명의 정상 성인 두 그룹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측정을 하는 방법으로 산출법 (production method)과 재산출법(reproduction method)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두 방법은 각각 세 개의 하위과업(이야기 듣기, 이야기소리 내어 읽기, 실험자에게 다시 이야기하기)으로 나뉘어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중 두 개의 과업에는 말하기(speaking)가 요구되었으며 한 개의 과업에는 듣기가 요구되었다. 산출법은 피검자가 하위 과업을 수행하다가 특정 시간간격(time interval)이 경과했다고 느껴질 때 과업을 중단하는 방법이며 실험결과 두 그룹에서 주어진 시간보다 길게 측정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주어진 시간과의 차이는 말더듬 성인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산출법에서 하위과업에 따른 시간측정의 차이는 정상 성인의 경우 실험자에게 다시 이야기하기, 이야기 소리 내어 읽기, 이야기 듣기 순서로 크게 나타났으며 말더듬 성인의 경우 실험자에게 이야기하기, 이야기 듣기, 이야기 소리 내어 읽기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말더듬 성인의 경우 하위과업이 구어적인 과업일수록 시간 측정의 차이가 더 크게 날 것이라는 가정과 다르게 나타났다. 재산출법은 피검자가 과업을 하고 있을 때 실험자가 멈추라고 한 후에 즉시 자신이 수행한 과업의 지속시간(duration)을 추정하여 말하는 것이며 실험 결과 두 그룹에서 주어진 시간보다 짧게 측정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주어진 시간과의 차이는 말더듬 성인에게 더 크게 나타났다. 재산출법에서 하위과업에 따른 시간측정의 차이는 두 그룹 모두 실험자에게 다시 이야기하기, 이야기 듣기, 이야기 소리 내어 읽기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하위과업이 구어적인 과업일수록 시간측정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정과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시간측정 방법에 있어서 시간측정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시간측정의 차이는 그룹, 시간측정의 방법, 하위과업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시간측정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경우는 말더듬 성인이 산출법에 의해서 실험자에게 다시 이야기하기과업이었다.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adults who stutter have more effects on time pressure than adults who do not stutter. This experiment investigates the comparison of time estim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bject consisted of two groups: 8 stutters(mean age=25.8 years), 10 non-stutters(mean age=27.12 years). In measuring the time estimation,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methods are used in general. Four different subtasks were used(listening, loudly reading, retelling experiment). Speaking is required in two subtasks of them and listening required in one subtask. In production, participants performed a task, terminating it when they felt that specified time interval had elapsed. In reproduc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estimate the duration of the task that they had performed immediately after being stopped by the experimenter. As expected, the two methods yielded different time estimations. While in product ion the participants overestimated the 30-s time duration( M=49.11, SD=13.89), in reproduction they underestimated it(M=22.29. SD=6.30).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method of time estimation, difference of time estimation elicited significant difference as statistical. In subtasks of time estimation, difference of time estimation elicited meaningful difference as statistical. The retelling experiment task in particular highlighted the difference of time estimation. Subtasks was found to be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The gap in time estimation between adults who stutter and fluent speakers was greatest on retelling to experimenter. In addition, difference of time estim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as statistical between groups, method of time estimation, subtasks. The greatest difference was displayed by adults who stutter when estimating the time of an retelling to experimenter by product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although time estimation is related to stuttering, the nature of this relationship is complex and is affected by type of task and method of measurement. Focusing on time in the therapeutic process may help to reduce or diminish the reflexive reaction that increase the severity of stuttering. The issue of time estimation appears to be an important element in the dynamics of stuttering. Nevertheless, current information is spare. Much more experimental research is needed fo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is important aspect of adults who stutter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stuttering.

      • 正常成人의 右胸部誘導 心電圖

        길광채 全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8639

        표준 12유도 심전도의 여러가지 소견에 대한 유용성과 임상적인 적용은 오래 전부터 널리 알려져 왔으나 우흉부 유도 심전도의 정상 및 비정상적인 소견에 관한 한국에서의 연구 보고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는 우선 우흉부 유도 심전도의 정상 소견을 알아보고자 심폐 질환 및 심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신 질환이 없는 20대에서 60대까지 남녀 각각 10명씩 총 100명을 대상으로 5분 간 누워서 안정 후 표준 12유도와 함께 우흉부 유도(V3R, V4R, V5R, V6R) 심전도를 기록, QRS모양과 크기, r/s비, ST절의 기준점으로부터의 편향 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QRS 모양은 rS 또는 rSr' 형이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V3R에서 98%, V4R에서 92%를 차지하였다. 초기 r파가 소실된 qs형은 빈도가 낮았는데 V3R에서 2%, V4R에서 8%이었으며 외측 유도로 갈수록 그 빈도가 증가하여 V5R에서 25%, V6R에서 46%이었다. 모든 우흉부 유도에서 qs모양이 출현하는 경우는 단 1예 뿐이었다. r파의 평균 크기는 V3R, V 4R, V5R, V6R에서 각각 2.2±1.2㎜, 1.3±0.7㎜, 1.0±0.5㎜, 0.8±0.3㎜이었다. S파의 평균 크기는 V3R, V4R, V5R, V6R에서 각각 6.2±2.4㎜, 3.4±1.2㎜, 2.9±1.2㎜, 3.1±1.0㎜이었다. 평균 r/s비는 모든 우흉부 유도에서 0.5이하였으며, V4R에서 4%만이 r파가 s파보다 컸다. T파는 대부분 역전되거나 평탄하였다. ST절의 높이는 V4R, V5R, V6R에서 1㎜를 초과한 경우는 한 예도 없었으며, V3R에서는 한 예만이 1㎜를 초과하였다. ST절의 평균 높이는 J점으로부터 40 msec 후와 80 msec 후에서, 각각 V3R은 0.3±0.3㎜, 0.4±0.7㎜, V4R은 0.1±2㎜, 0.2±0.2㎜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정상 우흉부 유도의 QRS모양은 rS 혹은 rSr' 형이라고 할 수 있고, 정상 r/s비는 1이하이며, T파는 역전되거나 평탄한 것이 대부분이고, ST절이 1㎜를 초과하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The clinical application and usefulness of the various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have been verified, but the normal and abnormal configurations of the right chest leads electrocardiogram(ECG) is still to be determined. In order to present normal reference data of right precordial ECG 100 normal adults were examined by conventional 12 leads and additional right precordial leads(V3R,V4R,V5R and V6R) ECG. The QRS morphologies, amplitudes, r/s ratio, and the deviation of the ST segments from base line were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recorded QRS configurations were rS or rSr’ pattern, 98% in V3R and 92% in V4R. The qs configuration was rarely observed, 2% in V3R and 8% in V4R but much more frequently in the right lateral leads, 25% in VSR, 41 % in V6R. In one case the qs pattern was recorded in all right precordial leads. The mean amplitudes of r waves were 2.2±1.2mm in V3R, 1.3±0.7mm V4R,1.0±0.5mm inVSR and 0.8±0.3mm V6R. The mean amplitudes of the S waves were 6.2±2.4mmV3R, 3.4±1.2mmV4R, 2.9±1.1mm V5R and 3.1±1.0mm V6R. The mean r/s ratio in the right precordial leads was less than 0.5 but in 4 % of cases the r was taller than s in V4R. The T waves were usually inverted or flat forms. There was not a case showing ST segment deviations more than 1mm from the isoelectric line in V4R,VSR,V6R but 1 case in V3R. The mean ST segment deviation was 0.3±0.3mm at 40msec, 0.4±0.71mm at 80 m sec after the end of QRS in V3R, and 0.1±0.2mm at 40msec and 0.1±0.2mm at 80msec in V4R.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normal right precordial QRS morphology is rS or rSr' pattern, r/s ratio < 1, and T waves are usually inverted or flat, and ST segment deviation more than 1mm is not normal finding.

      • 마황복용이 정상성인의 상태-특성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이중맹검 임상연구

        양창섭 又石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8

        배경 : 마황은 수천 년 동안 한방 임상에서 사용된 약제로, 최근 체중조절을 위해 국내에서 사용이 매우 광범위하다. 마황은 체중조절 효과 외에도 불면, 불안 등 자율신경계 자극효과를 일으킨다. 목적 : 마황의 자율신경계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 이 연구는 2주 동안 실시된 이중맹검 대조군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50세의 건강한 성인 중 연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전도상 동조율을 보이지 않거나, 심장 및 간기능에 문제가 있는 자, 자율신경계 질환을 앓고 있는 자, 기타 건강상 심각한 문제를 갖고 있는 자와 임산부는 제외하였다. 임상시험 전 혈액검사(AST, ALT) 및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이 있는 자도 제외되었다. 임상시험에 참여한 전체 인원은 95명이었으며, 이 중에서 2명은 선발 과정에서 탈락되었으며 총 93명에서 마황복용군은 62명, 대조군은 31명이었으며, 임상시험을 종료한 인원은 마황군 36명, 위약복용군 24명이었다. 약물투여는 무작위로 배정된 마황복용군과 위약복용군에 따라, 1일 2회, 1회 2 캡슐씩 하루 총 4 캡슐 8g의 마황 혹은 위약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복약 전과 2주간 복약을 마친 후 상태-특성 불안을 실시하여,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값의 변화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마황복용군에서 위약복용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태불안의 증가를 보여, 마황이 정상성인의 상태불안을 증가하게 함이 입증되었다. 마황복용군에서 초기 특성불안이 높은 군과 낮은 군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체질량지수로 군을 구분했을 때 초기 체질량지수가 낮은 군에서 마황 복용시 상태불안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군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2주간 마황 복용의 결과 정상성인에서 마황복용이 자율신경계 작용으로 상태불안을 증가시킴을 볼 수 있었고, 체질량지수가 낮은 군에서 상태불안이 더욱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마황의 임상 사용에 참고할 만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 Over thousands years of clinical preparation of Ephedra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nfirmed effectiveness and security. Recently Ephedra containing herbal preparations to treat for obesity are comm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dverse effects of Ephedra on psychological anxiety. Objectives : To determine effects of Ephedra on psychoactivit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s : The study design wa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ealthy adults. They were allocated either Ephedra group (N=66) or placebo group (N=32). Ephedra (8 g) and placebo with similar opaque capsules were given twice a day for 2 weeks. Anxiety score was estimated with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fore first and after last medication. Finally 36 of Ephedra group and 24 of placebo group finished trial and analyzed. Paired samples T-test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ere applied to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After taking Ephedra, the state anxie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Placebo group, state and trait anxiety increased whereas significance had not gained. 2. Subgroups classified by initial trait anxiet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nxiety after intake of Ephedra. 3. Subgroups with low initial BMI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tate anxiety after intake of Ephedr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between low and high BMI subgroups.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the intake of Ephedra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increase of anxiety in healthy adults. And relatively light people feel more anxiety than heavy people. It is suggested that anxiety level and BMI should be considered when using Ephedra in clin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