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직창의성, 정보지향성, 기술사업화 능력과 기업성과의 관계

        한재우 嘉泉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1918

        본 연구는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기술집약적 기업들에 있어서 기업의 창의성을 대변하는 조직창의성, 정보지향성, 기술사업화 능력 그리고 기업성과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우리나라의 벤처기업과 기술집약적 기업들과 연관된 전반적인 기존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특히 조직의 창의성, 정보지향성 그리고 기술사업화 능력에 관련되는 문헌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고찰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에 따라 관련된 연구 가설을 수립하고,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연구 설문서를 작성하고 이노비즈 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95부의 설문서를 확보하고 이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창의성과 기술사업화 능력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두 개의 기술사업화 능력 모두에 대해서 차별적 창조성은 매우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의적 풍요성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정보지향성이 기술사업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에 있어서 두 개의 정보지향성 변수는 기술사업화 능력의 모든 변수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사업화 능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에 있어서 마케팅 능력은 두 개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발능력은 반대로 두 개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모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사업화 능력이 조직창의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작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마케팅 능력이 조직창의성과 재무적 성과 간의 관련성을 매개한다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고, 개발능력이 조직창의성 중 창의적 풍요성과 재무적 성과 사이의 관련성을 매개하는 것만 부분매개로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기술사업화 능력이 조직창의성과 비재무적 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작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 마케팅 능력이 창의적 풍요성과 비재무적성과 간의 관련성을 매개한다는 가설만 기각되고, 나머지는 모두 채택되었다. 다섯 째, 기술사업화 능력이 정보지향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작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기술사업화 능력의 두 개 변수 모두 정보지향성과 기업성과 사이의 관련성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들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을 고려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실무적 관점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조직창의성 중 차별적 창조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으므로 다른 기업과 차별화될 수 있는 양질의 아이디어와 기회를 얻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확보하기 위한 경영관리에 힘을 써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술사업화 능력 중 개발능력의 중요성이 두드러졌으므로 기술집약적 기업들은 개발능력을 함양하는데 더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정보지향성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는 특히 기술을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라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들에 있어서 정보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조직창의성-기술사업화 능력-기업성과 사이의 연계가 부분적이지만 확인되었으므로, 이러한 연계성을 이해하고 조직내의 창의성을 어떻게 육성하여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을 전개할 때 기능하도록 할 것인가를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다섯째, 정보지향성-기술사업화 능력-기업성과 사이의 연계가 확연하게 나타났으므로 정보의 관리가 추후 기업의 경쟁력에 연계된다는 점을 확실하게 기업들은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인식이 전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직은 그다지 활성화되지 않은 기술사업화에 관련된 연구로서, 조직창의성과 정보지향성을 기술사업화 능력과 연계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정한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보여 진다.

      • 중소도시 정읍시의 정보지식거점 계획 :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도서관 계획안을 중심으로

        김민지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1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소도시는 앞으로 약 100년 후의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고 대비해야 하는가?’의 질문을 가지고 중소도시의 미래성장을 주도하는 정보지식거점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방법에 관한 답을 찾는 것이다. 한국의 중소도시는 1905-1910년대 일제에 의해 건설된 철도운송체계를 기반으로 농업 및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 인구가 대도시 중심으로 집중되고, 한정된 자원으로 인한 생산력 감소로 인해 중소도시는 쇠퇴 위기를 넘어 소멸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제조업 중심인 산업사회(Industrial Society)에서 지식 기반 상품과 서비스 중심의 지식사회(Knowledge Society)로의 전환을 겪으면서, 중소도시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변화된 성장체계를 갖추어야 하는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정읍시는 현재 인구 감소 및 쇠퇴 위기를 겪는 중소도시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정읍시는 1914년 호남선의 개발과 함께 농산물 집산지로 성장해 1970년대 이후 내장산 중심의 한정된 관광자원과 인구 감소로 인해 원구도심의 주거인구 부족의 문제를 겪고 있다. 또한, 정읍시는 1990년대 이후 도시 중심부로부터 약 4-15 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산업단지와 첨단과학산업단지(2005-2016)를 중심으로 공업지를 개발하고 있으나, 교외지 중심의 물리적 개발은 원구도심의 성장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자원을 갖고 제조업 중심으로 성장해온 정읍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전환하는 현 시점에서 정보지식거점을 중심으로 한 성장체계를 갖추어 지속가능한 성장의 동력을 찾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정보지식거점은 공공이 주도하여 시민들의 디지털 활용능력(Digital Literacy)을 개발해 디지털 기술 기반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소이며, 지식사회를 준비하는 도시의 성장 동력으로서 기능한다. 본 연구는 도시의 정보지식거점 사례로서 싱가포르 국립도서관(National Library of Singapore, 1823), 슈투트가르트 시립도서관(Stuttgart City Library, 2011), 오사카 우메다 날리지캐피탈(Knowledge Capital, 2013)의 사례를 고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읍시는 지식사회(Knowledge Society)로의 전환에 대비해 정보지식거점을 조성·운영하여 시민들의 디지털 활용능력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기술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와 보행체계 개선을 통한 도심부의 보행활성화를 유도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읍시의 정보지식거점으로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도서관을 제안하고, 그 핵심 기능을 주민들의 ‘디지털 활용능력(Digital Literacy)’의 개발과 교육·학습·생산 커뮤니티의 활성화로 정의한다. 계획 대상지로 정읍시의 공용버스터미널 부지를 선정하여 공공도서관과의 복합기능을 통해 방문인구와 주거인구를 모두 수용하는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며, 주변의 철도역과 상업거점과의 보행체계 수립을 통해 원구도심의 활성화를 유도하고자 했다. This study aims to find an answer to how to plan and operate an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 that leads to the future growth of cities. Korea'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ve grown mainly in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based on the railway transportation system built in the 1900s. However, in modern times,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metropolitan. Due to the decrease in productivity with limited resource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facing an extinction crisis. In particula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hould find new growth engines as they undergo a transition from an industrial society to a knowledge-based Society. Jeongeup-si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that are currently experiencing a crisis of population decline. Jeongeup-si grew into an agricultural town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Honam Railway Line in 1914. since the 1970s, it has been suffering from a shortage of residential population in the downtown due to limited tourism resources and population decline. Jeongeup-si has been developing suburban industrial complexes and high-tech science complexes(2005-2016) located about 4-15 km from the center of the city since the 1990s. But, development centered on suburbs has not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old city center. Therefore, Jeongeup-si, which has grown into a manufacturing-oriented society with limited resources, should find a new growth engine for sustainable growth by establishing an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 preparing for a knowledge society. This study defines an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 as a place where the public makes residents’ digital literacy developed to enable digital technology-based communication. An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 functions as a growth engine for cities preparing for a knowledge society. This study considers the National Library of Singapore (1823), Stuttgart City Library (2011), and Knowledge Capital of Osaka Umeda (2013) as examples of the city's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 Based on the case study, Jeongeup-si should establish and operate an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 to develop residents' digital literacy.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 would activate digital technology-based communication and improve the walking system of the c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digital communication library as an information and knowledge platform of Jeongeup-si and defines its core function as the development of residents' digital literacy and the activation of education, learning, and production communities. The site is the public bus terminal of Jeongeup-si and is operating as a cultural space to accept both the visiting and residential populations with the complex function of the public library. Also, the digital communication library would revitalize the old city center by establishing a walking system with the Jeongup railway station and commercial facilities.

      • 인공지능 기반 보안관제 정보지원체계 설계 및 구현

        김진원 극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17

        최근 수년 동안, 인공지능의 발전과 그에 따른 다양한 적용 분야의 혁신은 학계 및 산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는 공격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인공지능 기반의 방어 및 대응 전략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느껴지 고 있다.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던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과 SOC(Security Operation Center)의 전통적인 보안 탐지 및 관제 방식은 다양한 현대적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인공지능 기반의 첨단 보안관제 정보지원체계 를 제안하고 상세히 연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도입된 보안관제 정보지원체계는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각 Ticket의 위험도를 정밀하게 평가하며 이를 바 탕으로 자동화와 보안관제를 기반으로 대응 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는 최신 연구 동향과 함께 인공지능의 실질적 적용 사례를 활용하 여 이를 통해 제안된 시스템의 실질적인 효과를 목표로 토대로 설계와 구현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적용은 보안관제 인력의 업무 효율성 향상, 빠르고 정확한 위협 탐지 및 대응 능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사이버 보안 환경의 전반적인 견고성을 높이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웹 기반 산업정보지원센터의 정보서비스 품질요인과 만족에 관한 연구

        장희영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85

        오늘날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고용창출, 국가 경쟁력 회복 등을 위하여 국가경제의 초석으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기술 집약적 산업정보지원센터를 육성하려는 지원정책을 펼쳐왔다. 산업정보지원센터는 최근 국내에서 산업 내 공급 체인상에 있는 기업들 상호간에 기업간 정보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B to B 시스템을 구축하고 활용하거나, 제품을 중심으로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유사업종의 기업들을 위한 기업간 정보서비스망을 구축하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산업정보지원겐터는 양적 팽창과 지원확대에만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기 때문에 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기초적인 서비스제공 이외에 좀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운영전략을 바탕으로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서비스 지원 프로그템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정보지원센터들의 웹 사이트 품질 인식의 정도와 만족요인과 더불어 일반 웹 사이트와 산업정보 웹 사이트의 품질평가 요인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기업의 실질적 성장을 위한 향후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These day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businesses is rapidly changing day by day. The Government adopted the policy supporting technology intensive Industrial Information Support Center to overcome such situation and expand employment and recover 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the Industrial Information Support Center devoted itself to only quantitative growth and support expansion so far. At this moment, professional and practical service support program is demanded. The paper examined the difference of quality evaluation factors of both common websites and industrial information websites, and investigated users' website satisfaction factors on the Industrial Information Support Center. As a result, the paper adopted three of large groups consisting of the design, the contents and the system, etc of satisfaction and quality factors of industrial information-centered websites, and eight of small groups. The contents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among a variety of business demands on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for actual growth: But, the businesses were satisfied with the design factor. This means that the Industrial Information Support Center could not supply the information enough to satisfy the businesses. The objects were only optical industry related businesses. In the future, the center is demanded to intensively support the contents factor, for instance, business related industrial information, patent information and market trend, and professional database supply service, etc.

      • 정보지형론에 따른 뉴미디어 수용성에 관한 연구

        김재우 中央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1871

        본 연구는 대도시내의 정보지형의 차이가 정보격차를 발생시키는 주요변인이라고 분석한 Manuel Castells의 논리를 응용하여 우리나라의 대도시에 거주하는 동일계층간에 뉴미디어의 수용에 있어서의 정보격차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현재 우리나라의 대도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계층내에서 지역간, 성별, 경제수준별로 정보격차가 어떻게 존재하고 있으며 그 구조적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격차를 좁히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계층간의 뉴미디어의 수용정도를 주요분석 대상으로 삼은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한 Computer Literacy의 격차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정보격차는「소유 및 일반적인 이용에 있어서의 격차」와「활용에 있어서의 격차」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분석항목은 컴퓨터의「소유와 일반적인 이용」을 분석하기 위한 문항과「활용능력」을 분석하는 문항으로 범주화했으며 각 범주에 있어 지역별,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지역은 서울과 부산이며 대상자는 양 도시에 거주하는 남녀 대학생이다. 이는 대학생 집단이 정보기술에 대한 포용력에 있어 다른 계층보다 보편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측되기는 하나 오늘날 한국의 정보지형적 상황을 고려할 때 양 지역의 대학생집단간에 정보격차가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 정보격차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성별 정보격차는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그리고 그 결과는 대개 남성보다 여성의 미디어 활동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결과가 현재와 같은 진전된 정보기술 사회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지를 밝혀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또 다른 주제는 각 가정의 경제수준과 컴퓨터 리터러시와의 관계이다. 즉, 자신의 집이 경제적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이라고 여기는 대학생 집단과 보통미만이라고 여기는 대학생 집단간에 나타나는 정보격차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컴퓨터의「소유와 일반적인 이용」에 대한 집단간(거주지역별,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명목척도와 서열척도 값을 이용하여 교차분석 및 Chi- square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컴퓨터의「활용능력」에 대한 집단간의 차이는 등간척도의 값을 이용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활용능력에 관한 설문문항의 13개 변수에 대하여 서로 구분 가능한 인자별로 묶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factor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체계는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관점을 밝혔으며 국내에서 진행 된 선행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검토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논문의 구성체계에 대한 설명과 주요용어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정보지형론과 정보격차에 관한 제 이론을 살펴보았다. 먼저 Manuel Castells의 정보지형론에 관한 논리를 주로 고찰하였으며 국외에서 실시 된 정보격차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정보격차의 발생요인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외국과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기울이는 정책적 노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제1절에서는 미국, 일본, 영국, 독일, 유럽의 실태를 정리하였으며 제2절에서는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과 정보격차 현황 및 해소노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논문의 연구지역인 서울과 부산이 정보지형에서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기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분석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1절에서는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실시한 사전조사의 내용과 설문지의 구성내용 그리고 자료수집방법에 대해 밝혔으며 제2절은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Chi-square, t-test, factor analysis 결과를 서술하였다. 제5장은 본 논문의 결론부분으로 연구결과 및 본 연구가 지닌 의미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정보지형론과 정보격차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배경은 무엇인가? 또한 외국과 한국의 정보화 수준과 정보격차 현황 및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거주지역에 따라 컴퓨터의「소유 및 일반적인 이용능력」과「활용능력」에 있어서 세분화 된 형태의 정보격차가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3】 성별에 따라 컴퓨터의「소유 및 일반적인 이용능력」과「활용능력」에 있어서 세분화 된 형태의 정보격차가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4】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라 컴퓨터의「소유 및 일반적인 이용능력」과「활용능력」에 있어서 세분화 된 형태의 정보격차가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5】 지역별,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별로 컴퓨터의「소유 및 일반적인 이용능력」과「활용능력」에 있어서 정보부자는 누구인가?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의 일반적 소유와 이용」에 있어서는 서울과 부산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은 지역별, 성별, 가정의 경제수준별에 따라 유의할 만한 정보격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컴퓨터의 활용능력」에 있어서는 정보격차가 존재하였으며 부산보다는 서울지역의 학생들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그리고 가정의 경제수준이 낮은 학생들보다는 높은 학생들이 활용능력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 가운데 가장 뚜렷한 결과가 도출 된 것은 컴퓨터의 활용능력에 있어서의 지역별 정보격차와 경제수준별 정보격차이다. 즉,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이 부산지역의 대학생보다 그리고 가정의 경제수준이 높은 대학생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컴퓨터 활용능력에서 월등히 앞선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컴퓨터의 소유와 일반적인 이용과 활용능력에서 성별 격차가 나지 않는다는 결과가 도출 된 것도 의미를 지닌다. 일반적인 컴퓨터의 소유와 이용에 있어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격차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으며 한 단계 높은 단계라 할 수 있는 활용능력에 대한 비교에서도 총13개 항목 가운데 5개 항목에서만 남학생이 앞서 있었으며 한 항목에서는 여학생의 능력이 오히려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가정의 경제수준의 차이가 대학생의 컴퓨터 리터러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컴퓨터의 소유와 일반적이 이용에 있어서는 주목할 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활용능력에 있어서는 고소득 집단의 학생들이 13개 항목 가운데 8개 항목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의 활용능력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역별 정보격차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른 정보격차도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성별 격차는 그다지 존재하지 않았다. 단, 정보격차가 있는 항목에서는 대부분 남학생의 능력이 더 높았다. 본 연구는 지역별, 성별, 경제수준별 정보격차를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집단의 컴퓨터의 이용실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면서 종래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구체적인 컴퓨터 리터러시를 데이터화했다는데 일차적인 연구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들이 주로 계층간의 뉴미디어의 수용정도를 주요분석 대상으로 삼은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한 컴퓨터 리터러시의 격차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현재 즐겨 사용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기능별로 제시하고 각각의 이용에 있어서의 격차를 분석했다. 이는 종래 뉴미디어의 수용과 정보격차에 대한 분석이 주로 뉴미디어 자체의 소유 및 보편적인 사용실태 위주로 실시되었다면 본 연구는 보다 실제적이고 세분화 된 기능의 사용실태에서 발생하는 정보격차를 논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논문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정보지형론적 관점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서울과 부산지역의 정보지형적 근거를 바탕이 되어야 하나 이에 대한 보다 분석적이고도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하지 못해 양 도시가 지닌 정보지형상의 특성이 연구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향후 이를 보완한 연구 즉, 비교대상이 되는 지역의 정보산업 지표에 대한 다각적 분석과 이로 인해 파생되는 정보지형론적 특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정보사회의 진전에 따라 변모된 개인적, 경제적, 지형적 특징과 정보격차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다원화 된 분석도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역량, 정보지향성, 기업가지향성이 창의적 환경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주윤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1870

        우리나라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은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하여 국 · 내외 시장을 개척하고 고용을 창출하며 수출을 증대하는 등 국가 자원을 증대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다만 이들 기업은 대기업과 비교하여 R&D 역량, 기획, 영업 및 판매 등에서 인적․물적 자원 확보에 많은 애로사항이 존재하고 있음은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은 한정된 자원으로 인하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역량에 집중하여 기업의 성과를 증진할 필요가 있다. 즉 성장단계를 지나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내부 역량 중에서도 기술개발역량과 신제품창출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시장 지향적인 제품을 출시하는 능력을 확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창의적인 경영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이 성장단계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현재 보유하고 있는 내부 역량 중에서 기술개발역량과 신제품창출역량으로 초점을 맞추어서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는 능력을 확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기술역량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며 전사적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한다면 이는 조직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보유역량을 토대로 기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조직문화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런 조직문화 속에서 구성원들은 변화를 적극 수용할 수 있게 되며 미래지향적인 조직풍토를 만들기 위한 창의적 환경에 적응해 나갈 것이다. 본 연구는 창의적 환경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기술사업화역량, 정보지향성, 기업가지향성 등 역량요인과의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에게 학문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문화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보행위및가치, 혁신성, 신제품창출역량 순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창조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보행위및가치, 신제품창출역량, 위험감수성, 기술개발역량 등의 순으로 인과관계의 강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셋째,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관리능력이며, 반면에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혁신성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창의적 환경중에서 창조지향성이 비재무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도 측면에서, 정보행위및가치, 신제품창출역량,위험감수성, 기술개발역량 등이 창조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며, 창조지향성은 비재무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발견하였다. 또한 혁신성은 창의적 문화조성과 비재무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창의적 환경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창의적 환경은 재무적성과 보다 비재무적성과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무적 측면에서, 이는 기업으로 하여금 역량에 따라서 조직에서 기술을 개발할 시기에는 구성원들에게 변화에 긍정적인 태도를 장려하고 신제품을 창출할 경우는 조직에서 창의적인 문화를 조성하기를 요구된다. 또한 조직에서 정보행위 및 가치가 창의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정보관리능력은 기업의 재무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은 다각적인 방법을 통해 정보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창의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주제어 : 기술사업화역량, 정보지향성, 기업가지향성, 창의적 환경, 창조지향성

      • 국가정보시스템 운용체계와 관리에 관한 연구 : 대통령 정보지원 시스템을 중심으로

        김민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69

        본 논문은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의 국가정보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정보화시대에 걸맞은 국가정보시스템 운용체계와 대통령 정보지원 시스템의 발전방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a$$a국가정보력은 국가 경쟁력 향상의 핵심 지표이다. 이런 이유로 선진국들은 총체적 정보혁신을 통해 국가정보시스템 전문성 향상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정보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 작업에는 원칙이 따른다. 즉 어느 정보기관도 정보를 독점할 수 없고, 고유 임무 수행에 있어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생산된 정보를 대통령에게 제공할 때에는 정보기관 실무대표가 모여 조정․합의 한다는 것이다. 국가정보시스템의 전문성 향상, 대통령 정보지원 시스템 강화를 논의하기 위해 먼저 정보에 대한 개념정리와 국가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 하나의 흐름인 정보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의 국가정보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선진국들의 공통적인 국가정보시스템에 대한 정보혁신 작업과 정보시스템을 알아본다. 이런 비교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한국의 국가정보시스템 운용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을 실시한다. 그리고 정보기술(IT)을 적용하여 대통령 정보지원 시스템에 맞추어 국가정보시스템의 현실적 Ideal Model을 제시한다. $$a$$a정보는 국가안보에 중요한 특정 첩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정책수립자에게 전파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런 과정을 거쳐 생산되어 활용되는 정보는 정책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유용한 자산이 된다. 그리하여 정보과정은 정책수립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관련 정보공동체가 첩보를 수집, 분석, 생산, 제공하는 다양한 단계 또는 절차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보과정은 학자, 전문실무자마다 다르게 분류함에도 불구하고 각기 다루고 있는 내용은 사실상 유사하다. 다양한 학자, 전문실무자들의 정보과정에 대한 단계를 참고하여 정보과정(intelligence process)을 요구, 수집, 처리와 개발, 분석과 생산, 전파, 사용, 환류 등으로 규정지어 살펴본다. $$a$$a그리고 국가정보시스템과 대통령 정보지원 시스템을 연결하여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의 정보시스템을 비교분석 한 뒤,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국가정보시스템 구축과 정보과정의 정확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 IT이론을 접목한다. 또한 보다 현실성 있는 정책 제안을 위해 정보기관 실무자 및 전직 안기부장, 청와대 근무자 등을 상대로 심층 인터뷰를 병행하고 있다. $$a$$a4개국 정보시스템의 비교분석 결과, 4개국의 대통령․수상을 최근접거리에서 실무적으로 보좌하는 정보기관의 공통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국내, 대외 정보기관 중 어느 기관도 정보독점을 하지 않고 있으며, 정보기관 임무활동의 다원화와 자율화, 경쟁성을 유도하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대통령․수상 보좌 정보기관 임무활동의 다원화 및 자율화를 원칙으로 한다는 것이다. 둘째, 보고기관의 협조체계 유지와 투명성 제도화로 정보내용의 간결, 단일화, 객관성, 정확성을 고수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대통령․수상에게 정보보고 시에는 정보기관사이의 협조체계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a$$a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국가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범정부차원에서 조정과 타협으로 균형 잡힌 정보전략정책을 지시하며, 강력하고 효율적인 조정, 협의, 통제 과정을 거쳐 정제되고 정확한 전략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대안책으로 정보수석실의 신설을 제시한다. 정보수석실은 각종 정보기관에서 올라오는 정보를 취합, 정제하여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관련 수석과 관련 정부부처에 정책대응을 위한 정보를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국가정보시스템의 개편을 통해 정보기관은 정보제공이라는 역할과 전문성 제고, 정책책임을 진 기관은 이런 정보를 기반으로 정책의 수립․집행이라는 전문적 역할이 명확히 구분되는 완벽한 정보네트워크의 구성을 지향하는 것이다. $$a$$a다음으로 대통령 정보지원 시스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정보기술(IT)을 적용하여 정보화 시대에 걸맞은 국가정보시스템 구축에 대해 고찰해 본다. 그 결과 정보수석실 산하의 정보취합기관(국정상황실)을 거쳐 관리 및 수요기관(manager and customer)에 이르는 환류과정과 정보로 판정되어 정보로 연결되는 알고리즘을 정보기관의 실무진과 인터뷰를 통하여 현실성을 검증 받은 뒤 그 모델을 정립한다. 그 알고리즘은 정보 수집기관, 분석기관, 관리 및 수요기관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평가과정을 거쳐 하나의 정보로 자리 잡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이 알고리즘은 정보수집 단계에서 시작하여 2단계의 평가과정을 거치도록 고안되었으며, 그 평가과정 내에는 분석과정을 거쳐 단계별로 진행되는 평가과정을 통해 객관성 및 정확성을 갖춘 정보가 생산되게 되는 것이다. $$a$$a한편, 청와대 및 각종 정보기관의 실무자들과의 인터뷰에서 나타난 문제점 중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는 정보기관에서 청와대로 유입되는 정보에 대해 가치판단과 우선순위를 결정해 줄 수 있는 관리자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연계시스템 내의 정보판단 과정에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정보에이전트(Intelligence Agent)의 고용을 제안한다. 이 같은 전문성을 갖춘 정보에이전트의 기능은 청와대의 수석비서관실과 정부부처, 청와대 내의 정보공유로 국가위기나 국가안보에 대한 총체적인 대응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에이전트는 시스템으로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분석하여 각 정보의 중요도를 판정한다. 이렇게 판정된 중요한 정보는 중요도에 따라 각 정보들은 긴급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것부터 단순히 참고 정보로 저장될 일반 정보 등으로 구분하여 처리된다. 이러한 정보의 중요도 판정을 위해서 정보에이전트는 규칙에 따른 판정을 하며 이러한 판정을 위한 규칙알고리즘을 제시한다.$$a$$a전문성을 갖춘 정보에이전트에 의한 정보 판정은 수많은 정보기관 및 유관부처에서 올라오는 엄청난 양의 정보의 늪에서 핵심 정보만 시기적절하고 주도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정보에 대한 중요도 판정은 정보수집 능력에 대한 정확성 확립과 수집된 정보의 신속한 전파를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a$$a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성공적인 국가정보시스템 운용체계 및 관리에 관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균형되고 정제된 정보의 창출과 조정과 타협으로 균형 잡힌 정보전략 정책을 제시할 수 있는 정보관리체계를 위해서 정보수석실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대외 정보기관들의 정보독점이 배제되어야 한다. 셋째, 정보기관 임무활동의 다원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보기관 임무활동의 다원화는 각 분야의 정보전문가를 배출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며, 정제되고 정확한 정보생산이 가능하며, 물샐틈없는 강력한 정보네트워크가 구축될 것이다. 넷째, 보고기관 협조체계의 제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정보제공과 정책수립이라는 역할의 엄정분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역할 분리가 명확히 이루어진다면 전문성을 갖춘 정보팀은 객관성과 정확성을 갖춘 정제된 정 집중할 수 있을 것이고, 관련 수석과 내각관료는 정보에 따라 전문분야의 정책대응과 정책결정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여섯째, 정보의 탈정치화가 실현되어야 한다. 열린 민주시민사회가 필요로 하는 정치오염을 막고 탈정치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요건은 정보전문화 향상과 정보요원 전문화로 이어지는 정보에 대한 시민과 정치지도자, 정보공동체의 투철한 철학이 곧바로 우수한 인력양성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는 명제와 직결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operating system and managemen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with special emphasis on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ce system. The method utilized in this study i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state intelligence system covering France, Germany, Japa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Korea. In addition to this, a certain technique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algorithm is carefully analyzed and applied to the strengthening of effective and transparent operation of intelligence system. Moreover, some empirical survey method such as interview with intelligence specialists as well as practioners has been conducted to verify the feasible utilization of the algorithm and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ce system model.$$a$$a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del blueprint of the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ce system subject to improve the effective and transparent management of national intelligence operating system. The national intelligence capability is a critical index in considering national competitive capability. In line with this, the advanced nations such G7 mobilized their national effort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by utilizing total quality management approach and intelligence mission inventory attempts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nd most recently 9. 11. This study analyzes the overall phenomena concerning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of Korea and proposes ideal model for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along with adopt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a$$aFor the discussion about improvement of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ce system, this research generalizes the concept of intelligence and intelligence process being proceeded by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Intelligence means the required, collected, analyzed and disseminated process about special information by intelligence organizations. And thus, intelligence operations bring about useful assets to policy formulation and initiation for the related government branches. In addition to this, intelligence is a collection of knowledge that has been verified, analyzed and applied by intelligence agencies to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a$$aThe intelligence process includes the various steps or phases to identify the information which needs for intelligence community. Although many scholars differently classified this intelligence process, the contents about intelligence process are so similar to each other respectively. First of all, requirements and priorities are established, some intelligence informations must be collected thoroughly and systematically as well.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collected by various technical means is not being used directly. In other words, collected intelligence must be passed through the processing and exploitation. The processing and exploitation process indicate that the collected information with a certain degree of accuracy transfers to the valuable and valid intelligence contents. Intelligence analysis is the process of sorting out among the vast amounts of information that the intelligence community generates every day. That result is the intelligence and product. The product may be what is called current intelligence, or it may be analytical, estimative, or predictive intelligence. The ideal analysis is based on adequate, reliable intelligence, all of which point to one inescapable conclusion. $$a$$aIntelligence dissemination is the process of reporting and distribution of intelligence products to the president and other related government agencies for making decisions. It is important for the intelligence community to determine how to report appropriately for intelligence consumers with considerable level of accuracy and timeliness. Final step of intelligence process is the feedback. It is necessary not only to have wisdom to sort out intelligence items in the intelligence process, but also to meet continuously new intelligence requirements.$$a$$aFor the improvement of intelligence accuracy and professionalism, this study analyzes France,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telligence system and applies IT theory to build an ideal model.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ntelligence system of four countries, the common denominators are derived with two characteristics. First, never can any single intelligence organ monopolize the intelligence operation authority and thus, intelligence community encourages the autonomy of individual agency operation and competition among the activities of concerned intelligence organizations. Second, intelligence community adheres to objectivity, accuracy by maintaining coordination system among the intelligence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re exist intelligence coordination systems that coordinate, oversee, and monitor the vast amounts of the intelligence. $$a$$aIn France, joint intelligence committee is in charge of intelligence collection, analysis, dissemination and coordinate the other intelligence community. The joint intelligence committee under direct control of president and prime minister produces a refined intelligence information generated by a thorough coordination of network among various intelligence agencies. In Germany, the office of intelligence assistant to chancellor is a key coordination agency in managing the vast amounts of intelligence gathered daily by the intelligence community. In Japan, the joint intelligence council of the cabinet department is in charge of intelligence collection, analysis and selection of intelligence priorities. In the U. S., the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coordinates the core intelligence distributed by various intelligence organizations and plays a key role in reporting the systemic intelligence information to the president.$$a$$aAlong with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presidential assistant office for unified intelligence reporting system for the president and help produce refined, accurate national intelligence informations throughout all the government intelligence agencies. If the office of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t systematically operates in its intelligence synthesizing, along with joint intelligence assesment efforts contributed by the detached officers from various intelligence agencies, the national intelligence capability could be maximized with sufficient level of optimum objectivity, accuracy, and balance. That system eventually could construct the effective and formidable intelligence network among the intelligence community. $$a$$aThe final attempt applies information technology to the intelligence system for the purpose of building the effective, transparent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as a whole. The intelligence algorithm model is made by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ts feasibility has been tested and verified by interviewing the intelligence practioners among several intelligence agencies. This algorithm model focuses on the intelligence system operation processes, which deals with each process being performed by each individual intelligence community unit categorized into synthesizing community, evaluation community, analysis community, intelligence manager and customer community. This algorithm model designs intelligence process from collection phase to two evaluation phases which instigate competition of individual intelligence organization with more accuracy, objectivity, and timeliness. $$a$$aIn specific, all intelligence information is processed by the intelligence link system. This procedure identifies a collection of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as a producer. Intelligence information amounts collected by the intelligence link system are then processed through the sorting out procedures. The sorting out procedure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the context of confirming real intelligence outcomes. Sorting out the valuable intelligence between policy intelligence and situation intelligence contents depends on the important cooperation with other related intelligence community. This refined intelligence after being sorted out is transferred to the next step of analysis, production process. If collected intelligence information is found so vulnerable, the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gets back to the previous process again. This process refers to the feedback.$$a$$aThe confirmed intelligence being scrutinized by the feedback process is stored at the database system. And then the intelligence comes up to the intelligence map. In addition, there is also evaluation process for accuracy as a manager and customer. Finally, verified and produced intelligence through intelligence decision algorithm implies the core intelligence. The intelligence decision algorithm presents as follows(Figure 1). $$a$$a$$a$$aFigure 1. Intelligence Decision Algorithm$$a$$a$$a$$aIn addition, seriously problems are identified by interviewers with intelligence practitioners. The problem illustrates the fact that no responsible figure could be identified to determine priority and value about intelligence.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is study proposes to employ capable intelligence agent and or a team in this intelligence system. The role of intelligence agent or team armed with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analyzes all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and decides the importance of core intelligence. The intelligence generated by the procedure is classified by two intelligence contents; one is urgent intelligence to deliver the customer immediately and the other is reference intelligence to store intelligence database system. $$a$$aFor making the decision of intelligence importance, intelligence agent or team decides core intelligence by regulation standard and this study proposes regulation algorithm to decide intelligence importance. The pseudo code about regulation algorithm to decide intelligence importance presents as follows(Figure 2). The grade decision value about intelligence is unknown, 0, 1, 2, 3. The value 3 is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intelligence. Finally importance decision regarding the intelligence is essential process for ability to intelligence collection to disseminate collected intelligence immediately as possible. $$a$$aIn sum, this study suggest the office of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t constructs effective intelligence network and carries on successful intelligence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o this, application to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algorithm for strengthening effective and transparent intelligence process with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help improve the efficiency of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t system while maintaining appropriate coordination throughout the numerous intelligence organs. $$a$$aUtilizing the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t system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algorithm, the vast amount of intelligence information could be systematically collected, sorted out for verification, distributed with timeliness not only for president but also other government departments to execute their policy decisions. The ideal model of the operating system and managemen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presents as follows(figure 3). $$a$$aPolicy implications on building of the operating system and management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present as follows:$$a$$a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office of presidential intelligence assistant for producing the balanced and refined intelligence. Second, all intelligence communities do not monopolize core intelligence. Third, the system instigates the unique role of individual intelligence organ on competitive basis. Regarding the unique intelligence activity on competitive performance basis, intelligence community produces highly able intelligence professionals and accurate intelligence products, and constructing the effective intelligence network as well. Fourth, cooperation system must become accomplished between and among intelligence reporting agencies. Fifth, it could be done to separate and institutionalize the proper role of intelligence delivery services and the area of policy implementations. When the roles are clearly differentiated, intelligence community will concentrate on its proper professional arena in delivering more refined, objective, and accurate intelligence end product. Sixth, in order to improve high intelligence professionalism, the ideal model minimizes political involvement to realize the pure role of national intelligence system. Figure 2. The Pseudo Code of Regulation Algorithm$$a$$a$$a$$a $$a$$a

      • 情報支配社會의 電子監視와 個人情報侵害

        고영삼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박사

        RANK : 1855

        Although the information revolution has been regarded as an option to realize an ideal society,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society is not necessarily optimistic. Information technology itself seems to be an ambivalent force which mediates both good and harm forces. It is not a force which can clearly define either good or harm. Thus, the information revolution that intends to maximize the good force of information technology are necessary. Based on this need, this study is a sociological attempt that analyzes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caused by 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For this purpose, the documents related with national policies of information society were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ciety is associated with the information-dominated society that is more likely to commit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The specific mechanism of the infringement is electronic surveillance. Digital electronic technology, the need for information gathering by the government, and the profit-generating principle based on information capitalism contribute to the infringement. Here, the surveillance has two dimensional meanings. It is covert activities with a malicious intent. It is also open-ended activities that aim at goodwill and cooperation. 2.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relates to social structural background that provides a basis of national information policies. Ideally speaking, the main body of information society constitutes three elements: the state, capital, and the public. But,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 in Korea has been overly drawn by the plans suggested by the state and capital. Under this circumstances, the formation of information society continues without the full development of the public's information mind. This type of information society results in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it excludes the public. 3. For more specific analyses, this study examines the two different areas in which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n Korea takes place. The areas are the public and the private ones. In the public area, the construction of Nationwide Computer Network and the planning of National Identification Cards with an integrated-circuit computer chip are the representative projects. The former project has top priority among the national policies of information society. It is a management system of information-linkage that includes the seven sub-areas. 4. In the public areas, the following three points are especially important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First, people offered too much information about their privacy to a number of government organizations. This unbalance of information flows tends to expand control power of the state. Second, people did not even recognize the leakage of their personal information when a government organization attempt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This attempt violate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one of the guide-line by OECD. Third, the Korean government has push forward the National Identification Cards Project while ignoring refutations from the organizations of civil rights movement. Smart Cards, a national identification card, contained unresolved issues in protecting privacy, and carrying out plans. It also had a problem related with the maximization of surveillance effect. 5.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ivate areas found to be more serious than the public ones. The main reason is that laws and regulation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Furthermore, the public still showed lack of information mind, while the private companies' efforts to make profits through the infringement were growing. Some private companies even collected very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To make matters even worse, there are five hundred illegal personal information collectors in nationwide. These collectors secretly gather and sell personal information of 25 million peop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ational policies to construct information society and the poor status of the public's information mind are more likely to produce a totalitarian system and surveillance-obsessed culture. This direction of information society shows a serious gap, compared to the ideal form of information society. Positive surveillance based on open-ended and goodwill is offered instead of surveillance with secret and malicious ends. It is a major medium to construct information society that can maximize the right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One way of realizing the positive surveillance may be achieved by implementing legislative efforts. However, the best way to do this is the formation of a new information culture which aims at enhancing individual information mind.

      • 정보서비스 기능을 고려한 병원보 편집디자인 연구

        송진아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852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에서 병원은 생존전략으로서 필수조건인 고객만족이라는 새로운 가치기준의 서비스 개념을 도입하게 되었고, 이는 의료적인 측면뿐 아니라 비의료적인 측면에서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의료수요자에게 있어서 병원의 서비스는 병원선택에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병원은 더 이상 의료수요자의 기대나 요구에 대하여 무관심 할 수 없게 되었다. 즉, 모든 계층의 의료소비자의 요구를 다양한 형태의 고객서비스를 통해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의료 환경과 대중들의 의식변화 속에서 병원은 다양한 형태의 매체를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중 병원보(hospital-publication, 이하 원보)는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병원문화정보지로서 병원과 환자, 종업원과 경영진 사이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정립과 병원문화형성의 매체로 자리 매김 해가고 있다. 원보를 발행하는 병원이 증가하면서 원보가 병원문화정보지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것과는 달리 현재 원보 편집디자인의 실상은 정체된 듯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시각 매체 발달로 인한 대중의 미적 안목 상승으로 특정 목적과 역할이 있는 잡지들이 그 내용만으로 독자를 사로잡던 시대가 지났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원보도 정보지로서의 기능에 적합하게 효과적인 내용전달을 할 수 있는 편집디자인 분야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원보 편집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발견하고, 동시에 정보소비자에게 원보가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병원문화정보지로서의 기능에 적합한 원보 편집디자인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보의 사례는 고대의료원보와 백병원보, 차병원보를 선정하고, 편집디자인을 분석하였다. 고대의료원보는 편집디자인의 무계획성과 그리드의 혼합사용으로 인한 시각적인 산만함이 체계적인 정보전달을 방해하였으며. 백병원보는 그리드를 사용하여 안정된 레이아웃으로 정보전달 측면에서는 우수하였으나, 독자의 시각적인 흥미를 유도할 만한 디자인요소의 부재와 그리드 시스템을 벗어나지 않는 교과서적인 레이아아웃의 반복으로 정보흡인력이 다소 떨어졌다. 차병원보는 전반적인 디자인 계획의 수립과 융통성 있는 그리드 시스템의 활용을 하여 짜임새 있는 레이아웃을 보이고 있으며, 디자인요소를 이용하여 활기 있는 화면을 구성하고 있으나, 상업적 광고와 홍보성 지면이 많아 공익성과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정보소비자에게 있어서 원보가 병원이미지 향상에 매우 높은 영향이 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원보를 통해서 의료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의지가 가장 강하게 드러나는 반면, 오락성 있는 정보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이것으로 원보가 시각적인 재미를 추구하는 잡지의 성격이 아닌, 의료와 같은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성격의 잡지임이 증명되었으며, 병원관계자와 의료진에게는 소속감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 사내보적 기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보지로서의 원보가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디자이너는 원보의 발행 목적과 방향성을 파악하면서 동시에 내용적 측면에서도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총괄적인 디자인 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정보의 종류가 다양한 지면을 디자인 할 때 디자이너는 자신이 설정한 계획을 염두하여 디자인해야 한다. 원보는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발행되는 사보이기에 기능에 따른 편집디자인측면 연구가 필수적일 것이다. 즉, 정보소비자의 상황과 요구를 파악하고, 그것이 반영되는 디자인만이 병원문화정보지로서의 기능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rapid changes in medical environment, hospitals came to invite the concept of customer satisfaction, whose value is essential in modern service areas, and it is being widely applied in both medical and non-medical ways. As the service of a hospital became a crucial factor in the medical customer's choice, hospitals can no longer look away from that kind of demand. Thus, they should satisfy various kinds of requests with various kinds of services. For one thing, the medical institutions are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y various forms of media. Among them, the hospital publication, dealing with medical supply and culture is the one whose worth becomes and more valuable in building hospital culture and harmonious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employees and employers. While the roles of hospital publication are getting larger according to the increasing number of hospitals which provide it, current designing mode looks stagnated. However, social concern and public appreciation of design have greatly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visual media, and this means that only with the contents, magazines with specific purpose cannot attract readers any more. So systematic study on design of hospital publication is required. In this paper, examples of hospital publication design will be analyzed to reveal the current problems. And in order to present alternative ways of design, the function of hospital publication for information customers will be examined. Publication of Korea University Hospital, Paik Hospital, and Cha Hospital are selected as examples. First, publication from Korea University Hospital showed that visual distractions caused by unplanned design and mixed use of grids disturb the organized conveyance of information. Secondly, Paik Hospital s publication succeeded in effective communication by using stable layout with grid, but failed in attracting readers attention because it had no original design elements and simply repeated conventional layouts with grid. For the last, in the publication of Cha University Hospital were overall design plan has flexible grid use, and attractive design elements, but there was lack of public and professional quality due to too many commercial ads and P.R. pages. According to a current research, hospital publication has great effect on the customer s feeling about the hospital. Besides, people highly expect medical informations but show little interest in entertaining ones. Also, hospital staffs and doctors are especially concerned about those related with hospital unity and agreement. This proves, therefore, that hospital publication has both the quality of a specialized magazine and the role of a inner-company magazine. For its utmost function as an information magazine, designers should understand the purpose of publication, analyze contents to set a general design plan, and keep that in mind while designing complex pages. As hospital publications are under the circumstances of a hospital, studies on design are indispensible to qualify them for it. So only after grabbing the situation and demand of customers and putting them into practice, a hospital publication can be best of its natural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