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크노스트레스와 業務의 連續性이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響 硏究 : 일-삶의 葛藤을 媒介로

        오성탁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4

        본 연구는 ‘일-삶의 갈등’을 매개로 ‘테크노스트레스’와 ‘일과후 업무의 연속성’이 ‘직무만족’과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지며, 동시에 ‘스트레스 완화효과’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제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증 자료 분석한 결과를 해석하였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업무종료 후, 휴일, 휴가 등 개인 생활의 와중에 끊임없이 스마트폰을 확인하고 메일을 확인하며 메신저를 통해 업무를 수행(‘일과후 업무연속성’)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술로 인한 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갈등, 그리고 직무만족과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과후 업무연계성의 선행변수를 조직과 개인의 특성으로 살펴보았으며 조직특성에서는 회사의 정보통신기기의 지원여부, 주관적 규범을 설정하였고, 개인의 특성으로 다중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속성이 복합시간성과 개인의 IT혁신에 대한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IT혁신을 제외하고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주관적 규범이 일과후 업무연계성과 유의하게 영향을 맺는다는 결과는 기존 해외 연구와 일관된다. 이것은 높은 수준으로 주관적 규범을 따르는 자는 더더욱 일과 개인 삶의 경계가 희석이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회사의 IT지원, 복합시간성은 유의미하게 결과가 나왔지만, 개인의 IT혁신성은 기각되었으며 개인의 혁신성 표출이 회사업무 영역으로 확대는 별개의 결과로 해석되었다. 일과 후 업무연계성과 일-삶의 갈등과 관련한 기반 연구이론으로 경계이론 (Ashforth, et al., 2000)과 접경이론(Clark 2000)을 바탕으로 추진되었다. 일과후 업무연계성이 높을수록 일-삶의 갈등도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 테크노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선행연구와 일-삶 갈등과 직무만족의 선행연구를 결합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기존 테크노스트레스 연구에 따르면 테크노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지만 반면에, 본 연구결과에서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일-삶 갈등이 개입함에 따라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지 못하고, 일-삶 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테크노스트레스는 일-삶의 갈등에 높은 수준의 관계를 맺으며 간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는 것이다 . 스트레스 완화요인은 테크노스트레스와 달리 역으로, 기존 연구에서는 조절 효과에 머물렀으나 본 연구를 통해 조절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일-삶의 갈등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발생하지 못한다. 흔히 만족과 불만족의 형성요인이 서로 다른 이요인 이론을 따르는 것처럼,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완화요인은 서로 다른 요인으로 영향을 행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업무연속성 및 일-삶의 갈등과의 관계를 주도적으로 확인 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해외 문헌이 주로 업무연속성에 대한 측정변수를 심리적 변수를 주로 활용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Richardson(2011)이 개발한 상황적 특성을 주로 활용하여 업무연속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업무연속성에 대해서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조직의 특성까지 반영하였다. 조직내 근로자 개인으로서 지각하는 속성과 실제 조직차원에서의 속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두 가지 속성을 다 고려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들인 테크노스트레스와 일과후 업무연속성의 경우에는 개인과 기술인 IT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이라면, 일-삶의 갈등은 개인과 또 다른 개인 즉 이해관계간의 갈등의 요소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개인과 기술의 접합, 접목이라는 것은 궁극으로 사회현상측면에서 개인과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로 확대되어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

      • 접경지역에서 나타나는 안보-경제 연계에 관한 연구 :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를 사례로

        박종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9519

        This study builds on a critical gaze on the common representation of the border region as a security-first region in Korea. In general the border region is recognized to be a security-oriented region in Korea. Due to the sense of fear caused by the Korean war and incessant North Korean military provocations. For that reason, the Korean border region’s image has been represented by ‘Security’. This general perception has an influence on academia too. Korean border studies have fortified the 'Security-first' image of the border region. To overcome this stereotype of the border region, this study examined border region through the lens of a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and the competition and network between various actors. In the border region, there are many actors who affec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local context. Therefore, to examine the process of competition and interaction in constructing local context this study uses the 'Security-Economy Nexus(SEN)' perspective. The SEN theory addresses that the border region is socially constructed through the interaction, collision, and competition between various discours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which can expose the daily lives of endogenous actors and the influence of external actors in the border region. 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refers to a logistics system that purchases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produced in the border region for the local military units. The system has been making a pivotal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border region and the security regime through the unique character of the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summarized as: (1) the private contract in government to farmers, (2) farmers can estimate their yearly income through contract cultivation, and (3) the cost can be reduced through planned produc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system has been a key institutional foundation in the Korean border region. Also, various actors are included in this food supply system. Therefore,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dissolving process of this system through the SEN perspective, it can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region is a collective relationship of various actors beyond a one-sided or hierarchical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was economic compensation for the sacrifice and inconvenience that border people had to tolerate. In other words, it was the economic support to maintain the security-oriented function of the border region. In this way, the interests between various actors could be compromised in the border region It seems that some of the regional actors have used the security discourse for bringing in the economic system while national actors have borrowed the economy and development discourse for maintaining the securitization of the border region. Thus, it is difficult to draw a line that the state prioritizes security and the region prioritizes the economy. However, changes in the interests of actors who constituted 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pushed for the dissolution of the system through the 'plan for comprehensive measures in 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The plan nullifies private contracts between the state and farmers. Unlike in the past, current political elites do not rely on the security regime for their political legitimacy, but focus on the value of neo-liberal economic efficiency. When interests are changed, the strategic-spatial selectivity has changed together, so the result SEN(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has been put on the process of dissolving. And, the dissolving of 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which was a key support to the local economy, is expected to change the daily lives of local farmers and agricultural associations in the border region. In this way, the strategic-relational analysis of the composition and dissolving process of 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shows that the social composition of the border region is not simply driven by security regimes. Rather it can reveal that the border region forms a regional context through the process of competing and interacting with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actors. This study explored that the security-economy nexus, such as the military food supply system is the result of the state’s strategic-spatial selectivity.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 result of the security-economy nexus may collapse or be reorganized when the interests and strategies of the various actors are changed because the interests and strategies of the actors constitute the strategic-spatial selectivity of the state.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a Korean border region is a place that consisting the local context through compiling the interests of internal and external actors. 최근 들어 남한과 북한의 군사분계선에 인접한 접경지역은 ‘생태’나 ‘평화’와 같은 이미지를 바탕으로 새로운 발전가능성을 지닌 곳처럼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전쟁 이후 지속된 북한의 대남 도발과 남북한 사이 긴장의 지속, 각 정부의 정치적 의도 및 정책에 의해 지금까지의 접경지역은 주로 ‘안보’라는 가치에 의해 상상되고 재현되어왔다. 이는 접경지역을 연구하는 다양한 학술적 접근에서 보여지는 안보적 가치 중심의 경향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다양한 연구나 언론, 담론 등에서 접경지역이 안보적 가치와 논리에 의해서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지역인 것처럼 정형화된 채로 재현되는 것을 비판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접경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전략-관계적 경합과 연계를 통해 접경지역의 사회적 맥락이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 접경지역의 내부 행위자들의 미시적 일상과 이에 연계되어있는 접경지역 외부 행위자들의 영향력을 함께 확인할 수 있는 ‘접경지역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를 본 연구의 사례로 선정하였다.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란, 접경지역에서 생산된 식재료를 지역의 군부대로 납품하는 일종의 유통체계를 의미한다. 이는 과거 한국전쟁 이후 시기의 맥락화 과정과, 1970년대 이후의 공식화 과정을 통해 접경지역의 중요한 지역적 맥락이자 특성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수의계약, 계약재배, 계획생산 형태라는 독특한 특징에 의해 군납 체계는 지역 경제에 깊이 착근하게 되었으며, 접경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1차 산업의 비중이 높았기에 군납 체계는 지역민에게 중요한 경제적 수단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 시작된 이른바 ‘군 부실급식 논란’이 방아쇠가 되어 기존 접경지역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의 해체가 시작되었다. 국방부는 군 부실급식의 원인으로 군납 체계의 특징인 수의계약을 지적하며, 기존 체계의 폐단을 소거해야만 군 급식의 효율성과 장병의 선호를 반영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을 바탕으로 국방부와 접경지역민, 지자체와 사기업, 농협과 유통업체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각자의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갈등과 경합을 접경지역이라는 공간상에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례를 통해 접경지역의 사회적 맥락 구성 과정에서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의 구성과 해체 과정을 Jessop의 전략-관계적 국가이론과 Coleman의 안보-경제 연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Jessop은 전략-관계적 국가이론을 통해 국가적 정책이 실현되는 이면에는 다양한 행위자가 존재하고 있음을 밝히며, 그들의 영향력을 ‘전략적 선택성’이라 주장한다. 또한 Coleman은 접경지역에서 나타나는 특정한 사건 또는 지역의 맥락 구성 과정에 안보와 경제라는 상이한 담론과 가치가 서로 경합·전용되는 과정을 확인한다. 이들의 이론을 통해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라는 사례를 분석함에 있어 접경지역의 사회적 맥락 구성에 다양한 행위자가 개입하고 있음을 확인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접경지역이 안보적 가치에 의해서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판단되는 지역인 것으로 보는 관점은, 접경지역을 국가라는 하나의 행위자에 의해 구성되고 조정되는 지역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접경지역의 지역적 맥락 구성에 영향을 주는 행위자들은 접경지역 외부와 내부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 접경지역에 대한 정형화된 인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를 통해 국가의 전략적-공간적 선택성이 구성됨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전략적-공간적 선택성으로 인해 구성되는 다양한 공간적 결과물을 지역 내부의 행위자들이 체험하는 과정에서 재규정되는 국가의 효과와 역할을 확인하는 과정에는 ‘효과로서의 국가’ 개념이 함께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의 사례가 되는 접경지역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라는 전략적-공간적 선택성의 결과물을 다양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가 안보와 경제적 가치의 연계라는 형태로 접경지역 공간상에 표출된 것으로 바라봄으로써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가 가지는 지역적 맥락 구성 과정에서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맥락화와 공식화 과정을 거쳐 구성된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는 안보라는 국가적 스케일의 가치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에 경제적 제도가 타협되고 협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안보와 경제라는 상이한 가치가 경합하고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구성된 하나의 넥서스로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넥서스의 구성 과정은 국가라는 단일 행위자에 의해 수행된 것이 아니라, 안보-반공 이데올로기를 통해 정치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당시의 정치엘리트 행위자와 지역의 경제적 수입을 정당한 방식으로 획득하고자 했던 접경지역 내부 행위자들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과정에서 구성된 일종의 전략적-공간적 선택성의 결과물이자, 각 행위자들이 서로의 담론과 논리를 전용하고 차용하는 과정을 거쳐 구성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군납 체계를 구성했던 다양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의 변화는 ‘군 급식 개선 종합대책’을 통해 체계의 해체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의 정치엘리트들은 과거와는 달리 스스로의 정치적 정당성을 안보라는 가치에 의존하지 않고 있으며, 동시에 특정 지역의 경제적 존속이 아닌 국가 전반적인 경제적 효율성이라는 가치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이해관계의 변화에 따라, 과거의 전략적-공간적 선택성은 변화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물이었던 군납 체계라는 안보-경제 연계 역시 해체되는 과정에 놓여지게 되었다. 따라서 지역 경제에 깊은 착근성을 지니고 있던 군납 체계의 해체는 접경지역 내부 행위자들의 일상을 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각종 시위나 공청회 같은 형태로 사회에 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의 구성과 해체 과정에 대한 전략-관계적 분석은 접경지역의 사회적 구성이 단순히 안보적 가치에 의해서만 추동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접경지역 역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내부와 외부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의 경합과 상호작용 과정을 거쳐 지역의 맥락이 구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접경지역에는 다양한 행위자들이 존재하며, 이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이해관계가 전략적 경합의 형태로 국가라는 무대 위에서 경합-결합되어 지역 또는 국가의 맥락이 구성될 수 있음을 강원도 접경지역의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를 통해 설명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국가의 전략적-공간적 선택성의 결과로 특정한 안보-경제 연계가 군납 식재료 납품체계라는 형태로 구성됨을 탐구하였다. 나아가 국가의 전략적-공간적 선택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와 전략이 변화함에 따라 그 결과로 구성된 안보-경제 연계가 붕괴되거나 재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접경지역 거주민의 관광개발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 경기도 연천군을 사례지역으로 -

        양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10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among residents living in DMZ border area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DMZ border area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MZ border area development and the transition to the DMZ peace tourism paradigm, this study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 area tourism development and analyzed the economic, psychological,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in these areas. Using a Mixed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a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Squation Model(PLS-SEM), which applied the Resident Empowerment through Tourism Scale (RETS) in order to measure economic and non-economic factors, as well a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border area resident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residents of villages adjacent Golangpogu, Yeoncheon-Gun, and som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to gain rich interpretations of the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ocial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s' perceived impacts from tourism,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specifically related to individual’s pride and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by mediating the perceived positive impacts from tourism.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ourism development practitioners and planners to induc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residents in border areas, where the necessity of promoting community based tourism is increasing under the DMZ peace tourism paradigm. 본 연구는 접경지역 거주민의 관광개발 지지에 임파워먼트가 미치는 영향을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혼합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임파워먼트와 관광으로 인한 영향인식, 관광개발에 대한 지지도 간 정량적인 분석에 더하여 그 이면에 존재하는 접경지역 거주민의 임파워먼트 수준 및 인식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천군 고랑포구 일대 마을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경제적, 비경제적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RETS(Resident Empowerment through Tourism Scale)를 적용하여 설계한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대상지에서 수행되는 관광활동의 주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요인에 대한 풍부한 해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임파워먼트, 사회적 임파워먼트가 관광 영향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긍심과 관련된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긍정적인 관광 영향인식을 매개로 관광개발 지지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거주민들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관광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방문자를 개인 수입으로 연결하는 것에는 한계를 보였다. 안보관광은 해당 지역에서 수행되어온 특수한 관광의 형태로, 거주민들은 안보관광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안보관광자원을 이용한 관광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는 한편 지역의 역사 문화자원, 생태자원과 연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고령화와 토지이용에 대한 규제, 관광산업에 대한 경험의 미흡 등은 정치적 임파워먼트와 관련하여 거주민 역량 개발 및 거버넌스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관광영향 인식과 관련하여 관광 부정적인 영향인식이 관광개발에 대한 지지에 대하여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이는 관광으로 인한 다른 측면의 영향으로 부정적인 영향이 상쇄되어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추후 관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균형있게 고려하여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평화관광 패러다임에 따른 지역주민 주도 관광 육성의 필요성이 부상된 접경지역에서 관광 개발, 계획 실무자들에게 거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 DMZ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생태평화관광 : 근거이론에 기반한 파주·연천 사례 비교

        박경만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50382

        본 연구는 DMZ 접경지역의 생태자원을 보존하면서 지역 문화와 주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DMZ 생태평화관광’의 모델과 이론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발과 보전을 둘러싸고 오랫동안 갈등이 계속되어온 DMZ 접경지역의 관광 현상과 발전전략, 주민 의식 등을 비교·분석해 DMZ 관광의 지속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인접 접경지역으로 유사한 지리적 특성과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서로 다른 관광형태를 보이는 경기도 파주시와 연천군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DMZ 접경지역 관광의 중심적인 현상은 무엇인가? 둘째, DMZ 접경지역 관광의 중심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DMZ 접경지역 관광의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상황이나 조건은 무엇인가? 넷째, DMZ 접경지역 관광의 중심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적 조건 또는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 다섯째, ‘개발을 통한 활성화’와 ‘보전을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서로 다른 목표와 비전을 추구하는 파주시와 연천군의 지속가능한 DMZ 관광 모델은 어떻게 정립해야 하는가? 자료 수집과 분석방법은 질적 연구 중 근거이론을 적용해 수행하였다. 즉 현장 관찰과 문헌 연구,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DMZ 접경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관광자원·관광 현황·지역주민의 환경보전과 개발 관련 의식 등의 자료를 폭넓게 수집하였다. 이 가운데 핵심적인 자료는 DMZ 접경지역 관광 관련 경험이 있는 주민과 관광해설사, NGO 활동가, 관광업 종사자, 생태전문가, 공무원 등 20명의 연구참여자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MZ 접경지역 관광의 중심적인 현상은 ‘보전과 개발을 둘러싼 갈등·대립’과 ‘관광객의 프로그램 만족도’로 파악되었다. 둘째, DMZ 접경지역 관광의 중심현상의 원인으로는 ‘분단 접경지역의 특수성’과 코로나19로 촉발된 ‘관광 패러다임 변화’ 등이 제기되었다. 셋째, DMZ 접경지역 관광의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상황이나 조건으로는 ‘생태 보전 위기’와 ‘지역민의 태도’, ‘정부/지자체의 관광정책’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DMZ 접경지역 관광의 중심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중재적 조건으로는 ‘주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예산과 프로그램 운영’, ‘지역 특색 맞춤형 정책 등 정부/지자체의 역할’, ‘관광시설의 적정성 평가’, ‘방문 동기 및 유인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어 대응 전략으로는 ‘인적자원 보강’과 ‘관광자원 콘텐츠화’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DMZ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관광 모델로는, 파주의 경우 지역주민의 적극적·주도적 참여를 통한 생태환경 보전과 적정한 수준의 개발, 지역 내 균형발전을 통한 장기적 활성화 모델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연천의 경우는 관광 자원화 개발과정에서 생태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관광콘텐츠와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여 관광객의 재방문율을 높일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장의 관점에서 DMZ 관광의 중심현상을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생태평화관광의 모델과 이론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고, 이론적 시사점을 갖는다. 또 지속가능한 DMZ 관광을 달성하기 위해 각 지역의 맞춤형 전략이 필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사 대상지뿐만 아니라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DMZ 접경지역 전역의 지속가능한 생태평화관광정책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esent a model and theory of 'sustainable DMZ eco-peace tourism'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local culture and quality of life while preserving the ecological resources of the DMZ border a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ustainability of DMZ tourism was explor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ourism phenomenon, development strategy, and residents' consciousness in the DMZ border area, which have been in conflict over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for a long time. A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Paju-si and Yeoncheon-gun, Gyeonggi-do, which have different types of tourism while possessing simila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ourism resources as adjacent border regions, were selecte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entral phenomenon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Second, what causes the central phenomenon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Third, what are the structural circumstances or conditions that affect the central phenomenon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Fourth, what are the intervening conditions or response strategies to improve the central phenomenon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Fifth, how to establish each sustainable DMZ tourism model characterized in Paju-si and Yeoncheon-gun that pursues different goals and visions of ‘revitalization through develop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conserva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methods were performed by applying grounded theory in this qualitative research. In other words, through field observations, literatur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DMZ border area, tourism resources, tourism status, and local residents'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were extensively collected. Among them, the ke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20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residents, tour guides, NGO activists, tourism industry workers, ecology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with experience related to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entral phenomenon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was analysed in terms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over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and ‘tourist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Second, the cause of the central phenomenon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was analysed as the peculiarity of the divided border region and the change in tourism paradigm triggered by of Corona 19. Third, structural situations and conditions affect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were found to be ecological conservation crisis, local residents' attitudes, and government/local government's tourism policies. Fourth, as intervening conditions to improve the central phenomenon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the role of the government/local government such as budget and program operation to provide benefits to residents, policies tailored to loc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adequate tourism facilties, visit motives and incentives are presented to be needed. Then, as a response strategy, it is identified that human resource reinforcement and tourism resource contentization were necessary. Fifth, as a sustainable tourism model for the DMZ border area, in the case of Paju-si, a long-term revitalization model is required through the conservation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rough active and pro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development at an appropriate level, and balanced development. In the case of Yeoncheon-gun, a model that can minimize the damage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ourism contents and program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thereby increasing the return rate of tourists is to be needed. This study identified the flow of research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DMZ border area, peace tourism, eco-tourism, and sustainable tourism. I tried to explore a tentative theory.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s the central phenomenon of DMZ touris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ield and presents a model and theory of sustainable eco-peace tourism, and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revealed the need for a strategy tailored to each area to achieve sustainable DMZ tourism.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sustainable eco-peace tourism policies not only in the research target area but also in the entire DMZ border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