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CT 환경에서 중국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의 대학 교육과정 개선방안

        마키앙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A Study on Improve the Digital Literacy-Based University Curriculum to Revitalize Chinese Traditional Dance of Ethnic Minorities in the ICT Environment MA, QIANG Department of Dance The Graduate School of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the university Curriculum based on Digital Literacy to revitalize Traditional Dance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in a changing ICT Environment. Specifically, Digital Literacy components applicable to China's university minority Traditional Dance Curriculum were derived, and the importance of each element was identified, and the University Curriculum was proposed to revitalize minority Traditional Dance. Literature surveys, Delphi surveys, AHP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for this thesis. The Digital literacy is an important competency in the ICT environment and refers to the ability to know how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presented in British Colombia: ①Research and Information, ②Critical Thinking, ③Creativity and Innovation, ④Digital Citizenship, ⑤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⑥ Learning using Technology were derived. In addition, in the Chinese university Curriculum, we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minority Traditional Dance-related subjects and prepare improvement measures to apply digital litera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Delphi survey, four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applicable to traditional Chinese dance were derived: The four types of ①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of ethnic minority traditional dance using digital devices, ② Minority traditional dance teaching and learning capabilities using digital technology,③ Copyright management capabilities of ethnic minority traditional dance in a digital environment,④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in a digital environment. First, th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of ethnic minority traditional dance using digital devices mean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learn various knowledge using digital technology to create content. It includes information recognition necessary to solve a given problem, planning for effici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various sources. Second, minority traditional dance teaching and learning capabilities using digital technology include collecting and building DBs for minority traditional dance, visualizing and producing contents for minority traditional dance, and presenting information on minority traditional dance. The third is the copyright management capability of ethnic minority traditional dance in a digital environment. Digital platform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essential ability in a digital environment because they contain a lot of sensitive information that will cause great damage to individual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account information on various platforms, and online transaction information. Finall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clude the ability to collaborate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students, or students in the digital environment using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as on-off blended classes have become essential,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have become a very important part. Second, through the AHP survey,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was derived in the traditional dance curriculum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xperts perceived the ‘Minority traditional dance teaching and learning capabilities using digital technology' as the most important. It was followed by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of ethnic minority traditional dance using digital device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in a digital environment,’ and ‘Copyright management capabilities of ethnic minority traditional dance in a digital environment.’ In all items,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s using digital materials’ in ‘Minority traditional dance teaching and learning capabilities using digital technology’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Third, as a way to improve the university curriculum to revitalize traditional dance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in the ICT environment, a subject that can strengthe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was proposed. <Understanding Traditional Dance and Digital Literacy> was proposed as a subject for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of ethnic minority traditional dance using digital technology. This is a basic class for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in traditional dance of ethnic minorities, and we intend to create a way to theoretically learn and apply digital literacy. Students will collect, classify, and interpret data on traditional minority dance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ducing their own content. In <Traditional Dance Teaching and Learning Using IC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attempted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capabilities of ethnic minorities using digital technology. Students design a guidance plan using digital data in an ICT environment, apply the On & Off blended teaching method, and implement curation. "Digital Copyright of Traditional Dance" is a subject that shows the copyright management capabilities of traditional minority dance in a digital environment, raising ethical awareness of information sharing in the ICT environment and understanding digital copyright technology and service technology. <Medium Communication of Traditional Dance> was proposed as a subject fo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apabilities in a digital environment. This aims to explore how ethnic minority traditional dance can communicate through various media existing in the present era. In order to develop traditional minority dan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raditional minority dance education based on digital literacy. Accordingly, institutional efforts should coexist at the level of each university, the Chinese Office of Education, and the Chinese Dance Association, as well as the design of an appropriate curriculum. Therefore, such research attempts will not only attempt a methodical approach to traditional Chinese dance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nging era, but will also serve as a basic foundation for revitalizing traditional Chinese dance education by applying digital literacy to Chinese university curriculum. Keywords: Chinese Minority Traditional Dance, University Curriculum, Digital Literacy, ICT Environment, Education Revitalization Plans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ICT 환경에서 중국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의 대학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대학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육과정에 적용가능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요소별 중요도를 파악하여 소수민족 전통무용 활성화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의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델파이 조사, AHP 분석과 전문가 회의를 활용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ICT 환경에서 중요시되는 역량으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브리티시 콜롬비아에서 제시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① 연구 및 정보, ② 비판적 사고, ③ 창의성 및 혁신성, ④ 디지털 시민의식, ⑤ 의사소통 및 협업, ⑥ 기술을 활용한 학습을 바탕으로 소수민족 전통무용에 적용가능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 교육과정에서 중국 소수민족 전통무용 관련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용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델파이 조사를 통해 중국 소수민족 전통무용에 적용가능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를 ①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정보처리 역량, ②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수학습 역량, ③ 디지털 환경에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저작권 관리 역량, ④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통 및 협업 역량의 네 가지로 도출하였다. 먼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정보처리 역량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식을 이해하고 학습하여 콘텐츠를 창출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식,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위한 계획수립, 다양한 정보원의 이해와 활용 능력 등이 포함된다. 두 번째,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수학습 역량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을 통해 소수민족 전통무용 DB 수집 및 아카이브 구축,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시각화 및 콘텐츠 제작,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정보 프리젠테이션 등을 포함한다. 세 번째는 디지털 환경에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저작권 관리 역량이다. 디지털 플랫폼은 개인정보, 각종 플랫폼의 계정 정보, 온라인 거래 정보와 같이 개인에게 큰 피해를 줄 민감한 정보가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디지털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능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통 및 협업 역량은 디지털 미디어와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디지털 환경에서 교수자와 학생, 혹은 학생들 간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특히 온오프 블랜디드 수업이 필수적으로 자리 잡으면서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통과 협업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둘째, AHP 조사를 통해 중국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들은‘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수학습 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뒤를 이어‘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정보처리 역량’,‘디지털 환경에서의 소통 및 협업’,‘디지털 환경에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저작권 관리 역량’순으로 나타났다. 전체항목에서는‘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수학습 역량’에서의 ‘디지털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지도안 설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CT 환경에서 중국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활성화를 위한 대학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과목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정보처리 역량을 위한 교과목으로 <전통무용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이해>를 제안하였다. 이는 소수민족 전통무용에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위한 기초수업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해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보고자 한다. 학생들은 소수민족 전통무용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류, 해석하여 본인만의 콘텐츠로 제작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ICT를 활용한 전통무용 교수학습>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교수학습 역량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시도한다. 학생들은 ICT 환경에서 디지털 자료를 활용하여 지도안을 설계하고 온앤오프 블랜디드 교수법을 적용하고 큐레이션을 실행해본다. <전통무용의 디지털 저작권>은 디지털 환경에서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저작권 관리 역량을 보여주는 과목으로 ICT 환경에서 정보공유에 대한 윤리의식을 고취시키고 디지털 저작권 기술과 서비스 기술을 이해하여 소수민족 전통무용의 디지털 저작권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도록 한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통 및 협업 역량을 위한 교과목은 <전통무용의 매체 커뮤니케이션>을 제안하였다. 이는 소수민족 전통무용이 현시대에 존재하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앞으로 소수민족 전통무용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육의 전문성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적합한 교육과정의 설계뿐 아니라 각 대학, 중국교육청, 중국무용가협회 등의 차원에서 제도적 노력이 공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의 시도는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중국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육의 방법적 접근을 시도할 뿐 아니라, 중국 대학 교육과정에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용하여 중국 소수민족 전통무용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적 토대가 되어줄 것이다.

      • 맞춤형 공동체 교육을 통한 전통예술의 보편적 활용 방안

        최은영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Culture is essential to modern people, for they enhance the quality of life by enjoying culture. The more leisure time increases and the higher the need of quality of life becomes in modern society. the more leisure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increase. The range of cultural enjoyment gets extended from pre-school children to the senior. Cultural education is practised by people of all ages through diverse cultural activities and deep relationship, mutual interac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opportunity of cultural art that will be approached by members of society. First, the free performance of traditional dance was planned among traditional arts within cultural art. The community education plan was investigated through traditional art. The indifference to tradition was removed by this performance. Second, the meaning and concept of community, the communalism and educational meaning of communalism were explored in this study. Besides, the survey of educational situation in traditional art was conducted as an educational community plan using traditional art. The methods of transmission education and education of living culture and arts were studied among the methods of community education. The educational plan was explored through presenting specific examples using traditional dance. There is a bias that dance is still tough art to modern people. Especially, there are many people who have never touched the traditioal dance among dance. At the beginning of this performance there hope that this performance can be opportunity for people who have never undergone traditional dance. This performance consists of people who have never experienced dance. Through this performance the interest in traditional dance of mass people will appear. The opportunity for enjoying living culture is expected. keyword: dancd, community education, communication, traditional dance, traditional arts, living culture education. 현대인들에게서 필수적인 요소는 문화이다. 문화향유로 인하여 삶의 질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 여가시간이 증대되고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면서 여가 및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을 통하여 해소하고 있다. 더불어 문화향유의 연령대 기준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미취학 아동부터 노인까지 문화 활동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각 연령대의 현대인들은 문화 활동을 통하여 사회 공동체 내에서 서로간의 상호작용과 질적으로 깊은 관계를 형성해나가며, 문화교육을 실행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회구성원들이 문화예술을 쉽게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화예술 안에서도 전통예술의 한 부분인 전통무용을 활용하여 무료공연을 기획하였다. 이 공연을 통하여 전통에 대한 경각심을 없애고 전통예술을 활용한 공동체 교육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동체의 의미와 개념, 공동체주의의 의사소통론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전통예술을 활용한 공동체의 교육방안으로서 전통예술의 교육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공동체교육방법 중에서도 전수교육과 생활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방법들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제시를 통해 전통무용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자는 위의 방안을 토대로 전통예술의 한 부분인 전통무용을 활용하여 무료공연을 기획하였으며, 이 기회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전통을 쉽게 접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현대인들에게 무용은 아직 어려운 예술이라는 편견이 많다. 특히나 무용 중에서도 전통무용에 대해서는 접해보지도 못한 사람들이 많다. 생활문화 교육 분야에서도 전통예술부분이 경험재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실행이 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 이번 공연을 기획함으로서 사람들에게 전통무용에 대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기획하였다. 기획 결과 이번공연은 무용을 접해보지 못한 일반 관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로 인해 공연기획의 목적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었다. 관객들도 공연으로서 소통의 경험을 함으로써 대중화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이번 공연과 연구를 통해서 대중들이 전통무용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고 생활문화 향유의 기회로도 활용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주요어: 무용, 공동체, 교육, 의사소통, 전통예술 , 전통무용

      • 중국 대학생들의 전통무용체험을 통한 전통문화유산의 매력성이 지각된 가치 및 문화역량에 미치는 영향

        사청청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들의 전통무용체험이 매력성, 지각된 가치 및 문화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무용 및 전통문화유산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를 탐구하였다. 둘째, 이론적 프레임워크 및 문헌 고찰을 기반으로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여기에는 전통문화유산 중 전통무용의 매력성, 지각된 가치, 문화역량에 대한 측정이 포함되었다. 본 설문지는 전통춤을 경험한 적이 있는 546명의 연구대상에게 온라인 배포되었다. 셋째, 수집된 데이터의 양적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 분석,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IBM SPSS 26.0과 AMOS 26.0 등의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유의수준 .05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력성, 지각된 가치, 문화역량 등 세 가지 변수의 상관관계 계수는 모두 .7이상이었으며, 변수 사이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매개효과검증 결과를 보면, ‘매력성 → 지각된 가치 → 문화역량’의 경로에서 계수값은 .073이었으며 P값은 .005로 나타나, 간접효과와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AMOS의 CFI 지표값이 .908로 나타나 모델 적합도가 수용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통무용체험을 통한 전통문화유산의 매력성의 발견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전통무용체험을 통한 지각된 가치의 발견은 문화역량에 정(+)의 영향을, 전통무용체험을 통한 매력성의 발견은 문화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국 대학생들은 전통무용체험을 통해 전통문화유산의 매력성과 가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는 문화역량의 함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유추하여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전통무용은 인류 전통문화유산의 중요한 구성요인으로,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문화, 역사, 예술적 가치가 있으며, 전통무용에 대한 보호와 전승을 통해 인류 문화 다양성을 나타낼 수 있다. 전통무용을 체험함으로써 대학생들은 전통문화의 매력과 가치를 체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심층적인 이해는 대학생들로 하여금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친숙도와 선호도를 높여 문화역량의 함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무용이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되고 계승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무용의 매력성, 지각된 가치 및 문화역량 간의 관계검증을 시도한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무용을 아우르는 전통문화의 가치와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the effect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raditional dance experiences on their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s, and cultural competencie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 and cultural competency of traditional dance experiences i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dance and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 and cultural competency with the aim of verifying the impact of traditional dance experience o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Specific research method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a review of the literature. By collecting and examining a large amount of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data related to traditional dance and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e existing theoretical basis for traditional danc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related concepts was sufficiently required to provide a literary basis to support the smooth progress of this study. Second, questionnaire design. Based on the relevant theoretical framework and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 This includes measuring the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 and cultural competency of traditional dance amo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On the other hand, the questionnaire dealt with various aspects of the charm, perceived value, and cultural competency of traditional dance. Measurement tools were then issued to 870 people who experienced traditional dance,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transmitted by the researcher to the study subjects through the Internet. Third, data analysis. The data collected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and dat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using IBM SPSS 26.0 and AMOS 26.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major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refo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all three variables,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 and cultural competency, are 0.7 or more, and there is a high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coefficient value was 0.073 and the P value was 0.005 in the ‘Attractive → Perceived Value → Cultural Competency’ path, indicating that the indirect effect was remarkable and the mediating effect existed. The CFI index value of AMOS is 0.908, which can be evaluated as an acceptable level of model suitability. Hypothesis 1, 2, and 3, Hypothesis 1: The discovery of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rough traditional dance experience has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value. Hypothesis 2: The discovery of perceived value through traditional dance experience has a positive (+) effect on cultural competency .044, C.R.=6.536, all of whic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 results, and hypotheses 1, 2, and 3 were all adopted. Through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relatively high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 and cultural competency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ere is a very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factors. Among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the three elements of traditional dance: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 and cultural competency interact and influence each other. By experiencing traditional dance, people can understand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n depth, and this in-depth understan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In addition, by experiencing traditional dance, the audience can demand the charm and value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more deeply, and this in-depth understan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In addition, these positive perceived values further affect the cultural capabilities of the audience, resulting in positive cultural capabilities for traditional dance and traditional cul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raditional danc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human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has irreplaceable cultural,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s, and represents human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protec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dance. By experiencing traditional dance, audiences can deeply need the charm and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is in-depth understanding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ultural capabilities by increasing the audience's identity and preference fo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raditional dance experience has a remarkable effect on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perceived values, and cultural competencies. By actively inheriting and promoting traditional dance, it is possible to better convey the charm and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while also forming and influencing the cultural capabilities of the audience. The value and role of traditional dance as a cultural heritage and an art form should be known and recognized by more people.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s, and cultural capabilities of traditional dance, traditional dance and traditional culture can be better promoted and more people can understand the value and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e.

      • 전통무용이 중년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최혜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Lots of social problems are arising from the changes of body and family life cycle of middle-aged women which results in the mental changes such as solitude, despondency, anxiety, loss of self-concept, and depression. It will be basic data for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traditional danc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problems on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through the traditional da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and mental health of the middle-aged women b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argeting the middle-aged women aged 41-61 who regularly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in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culture center, and art center located in Busan, and accordingl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reviewing the motivation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had difference in the age, educational standard and income level, while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us of spouse. Second, reviewing the motivation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b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t had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health promotion by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n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t had difference in the achievement, self-developm ent, hope for guidance, health promotion, while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of participation. Third, reviewing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had difference in the status of spouse, educational standard, income level, while it had no difference in the age. Fourth, reviewing the mental health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b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t had difference in the somatization, anxiety, hostility, paranoia by the period of participation, and by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t had difference in the somatization, obses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phobic anxiety, while it had difference in the hostility by the time of participation. Fifth,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traditional dance and mental health,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health promotion, the lower the paranoia of the mental health factor was, while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self-development, the higher the depression was. Also,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sociality, the higher the somatization, depression and hostility were. Sixth, reviewing the effects of motivation of th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ance on their mental health, the factor of motivation had no effect on the mental health. Summing up these findings, the traditional dance turned out to have a good effect on the mental health regardless of a certain motivat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traditional d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change of mental health and sociopsychologically expected effects by a constant physical activity i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 of the middle-aged women. It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the middle-aged women for them to have confidence in daily life, express their feeling, and perfoming the traditional dance steadily, when they experience a sense of alienation and isolation at home and in the social relationship in our society. 중년여성의 신체적인 변화와 가족주기에 대한 변화는 고독감, 허탈감, 불안감, 자아개념 상실과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변화로 이어져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되고 있다. 중년 여성들에게 이러한 문제점들이 전통무용을 통해 정신건강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전통무용의 평생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을 소재하는 평생교육원, 문화원, 문화회관에서 정기적으로 전통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만 40세 이상 ~ 만 60세 이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정도와 참여동기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배우자유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참여정도에 따른 참여동기는 참여기간에 따라 성취,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었고 참여빈도에 따라 성취, 자기개발, 지도희망,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은 배우자유무,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참여정도에 따른 정신건강은 참여기간에 따라 신체화, 불안, 적대감, 편집증에서 차이가 있었고 참여빈도에 따라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증, 불안, 공포불안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참여시간에 따라 적대감에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전통무용의 참여동기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참여동기 중 건강 증진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정신건강 요인 중 편집증이 낮아지는 반면 자기개발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우울증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성에 대한 동기가 높을수록 신체화, 우울증, 적대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전통무용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참여동기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참여동기 요인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사실들을 종합해 볼 때, 전통무용은 어떠한 동기에 상관없이 정신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나타났다. 중년여성에게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에서 지속적인 신체적 활동으로 전통무용은 사회 심리적인 기대효과와 정신건강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정과 사회관계 내에서 고립감과 소외감을 경험할 때 중년여성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상생활에서 자신감을 갖는 것과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지속적으로 전통무용을 할 수 있는 인내심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AHP기법을 활용한 한국전통무용 이수자의 교수행동특성 연구

        권영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jor patterns of teaching methods in instructing traditional Korean dance and to in particular the key expressive movement factors and to prioritize and conclud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having pedagogies and expressive methods documented and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preserved and thereby to contributing to the smooth succession and developing traditional Korean danc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objective, 23 successors of the traditional dances were selected as study objects. The study theme of examining teaching methods of the Korean dances and expressive movement patterns were resolved by employing a quality research method of studying documents, depth interviews and through meetings with experts. The conclusion of prioritization and relative importance of teaching methods of Korean dances and expressive movement patterns derived from quality study were verified through the Expert Choice 2000 program and the AHP analysis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through employments of the above-mentioned procedures and methods. First of all, the teaching methods of instruct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can be classified into 4major levels; educational level, artistic level, traditional level and re-choreography. These four are detailed to produce a total of 14 elements in all. The educational level sub-classifies to 4 pursuits of educational effect, feed-back, teaching methodsand manifestation of inner desire. The artistic level is sub-classified to 4 levels of pursuit of beauty, elegance, artistry and empathy. The traditional level is sub-classified to 3 levels of pursuit of identity, succession of tradition and pursuit of lamentation. The re-choreography is sub-classified to 3 levels of pursuit of understanding of rhythm, breathing and understanding of movement. Second, the teaching patterns of expressive movements of the instruct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can be classified into 3 expressions of objective, linguistic and movement. These three patterns of movement are again sub-classified as follows. The objective expression is classified to 3; animals and plants,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non-livings and the linguistic expression is sub-classified into 4; colloquial, dialect, humor, emphasis and repetitive dialogue method and the movement expression is sub-classified into 3; mimicking the behaviors of others, exaggerated gesture portrayal and unconscious behaviors. Thus, a total of 10 elements were deriv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considered the traditional element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en artistry, educational then the re-choreography of the 4 categories of the teaching patterns. Of the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the pursuit of succession of the tradition from the traditional level, pursuit of artistry from the artistry level, manifestation of inner desire from the educational level and understanding of breathing from the re-choreography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considered movement expression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expressive movement teaching method and then in the order of linguistic and objective. Of the sub-categories, it was found that exaggerated gesture portrayal from movement behavior, emphasis and repetitive dialogue method from linguistic and comparis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from the objective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rom the expressive movement element.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success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put most emphasis on the traditional element when teaching Korean dances and exaggerated gesture portrayal was most employed in the expressive method to achieve the educational effect. However, one is able to see that the pedagogy of traditional Korean dance does not consider single element but rather flexibility is shown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complexly considering various elements. 이 연구는 한국전통무용 지도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요 교수유형은 무엇이고 특히 중요하게 반영하는 표현행동유형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전통무용의 교수유형 및 표현양식의 기록 및 보존적 측면 그리고 한국전통무용의 원활한 계승적 측면과 발전 방향을 확보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전통무용 이수자 2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한국전통무용의 교수유형 및 표현행동유형의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 문제는 문헌고찰과 심층면담,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질적연구를 통해 규명된 한국전통무용의 교수유형 및 표현행동유형 각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도출은 Expert Choice 2000 프로그램을 이용한 AHP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의 교수유형은 교육적 차원, 예술적 차원, 전통적 차원, 재안무적 차원의 4가지 차원으로 크게 분류되었다. 이러한 4가지 차원은 또다시 세부 소항목으로 분류되었는데, 교육적 차원은 교육적 효과성추구, 피드백 추구, 지도법 추구, 내적욕구발현 등의 4가지 차원으로, 예술적 차원은 아름다움 추구, 풍류 추구, 예술성 추구, 감정이입 추구 등의 4가지 차원으로, 전통적 차원은 정체성 추구, 전통계승성 추구, 한(恨)추구 등의 3가지 차원으로, 재안무적 차원은 장단이해 추구, 호흡이해 추구, 동작이해 추구 등의 3가지 차원으로 총14가지 요인을 도출 하였다. 둘째,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의 교수표현행동유형은 사물적 표현, 언어적 표현, 행동적 표현의 3가지 표현으로 크게 분류 되었다. 이러한 3가지 표현행동유형은 또다시 세부 소항목으로 분류되었는데, 사물적 표현은 동·식물, 자연환경, 물건(무생물)등의 3가지 요인으로, 언어적 표현은 비속어, 방언, 유머, 강조 및 반복화법 등의 4가지 요인으로, 행동적 표현은 타인행동 묘사, 과장된 몸짓행동 묘사, 무의식적 행동 등의 3가지 요인으로 총 10가지 요인을 도출 하였다. 셋째,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은 한국전통무용 교수유형의 4가지 대항목요인 중에서 전통적 차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다음으로 예술적 차원, 교육적 차원 그리고 재안무적 차원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한국전통무용의 전통적 차원 중에서는 전통계승성 추구를, 예술적 차원 중에서는 예술성 추구를, 교육적 차원 중에서는 내적욕구발현 추구를, 재안무적 차원 중에서는 호흡이해 추구를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은 교수표현행동유형의 3가지 대항목요인 중에서 행동적 표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다음으로 언어적 표현, 그리고 사물적 표현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행동적 표현에서는 과장된 몸짓행동 묘사를, 언어적 표현에서는 강조 및 반복화법을, 사물적 표현에서는 자연환경에 대한 비유를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한국전통무용 이수자들은 전통무용교수시 전통적 차원을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육의 효과성을 위한 표현방식으로는 행동적 표현인 과장된 몸짓행동 묘사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한국전통무용 교수행동에서는 어느 하나의 요인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위한 유연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한국 전통무용 승무와 중국 민족무용 수수무의 성격 및 춤사위구조 비교

        왕해구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Each country's traditional dance may refer to its folk dance that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its history and common people. To a country, folk dance is the living, breathing history and the dance that represents the countr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Korea's Seungmu and Chinese Tibet race's Susumu as their folk dance. To this end, it analyzed the historical origins, evolutions, dance movements, accompaniment patterns, and aesthetic features according to costumes, which still exist in two nations. Additionally, this study respectively compared dance types, dance techniques, and motion lines, and breathing methods. First, even though the two countries have not provided supporting evidences or transition processes, the findings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n 'Seungmu' and 'Susumu' performed through origin and evolution showed that two dances all have passed down till today as folk dances under the influence of Buddhism and that Seungmu and Susumu have their regional schools. This suggests that given the fact that among Jeokbeops (Buddhist Ritual Dance Types), Nabichum (Butterfly Dance) and Beopgochum (Buddhism Drum Dance) have been secularized, Seungmu has been influenced by Buddhist ritual dances. It appears that Susumu have been also influenced under Buddhism, because it is thought that the dance is situated as an important part in religious(Tibet Buddhism) aspects. It was found that the dance has been used for national memorial services until today since Indian Buddhist successors introduced ritual dance to the Tibetan region. Additionally. Chinese Tibetan 'Susumu' is regionally divided into Guozhang Type, Toehaeryu Type, and Guotawryu Type. Seungmu that has handed down in Korea is also classified into Han Young-suk Type (Seoul) by Han, and Lee Mae - bang Type (Honam district) led by Lee Mae - bang. For Korea's traditional dance Seungmu, the dance movement is based on Salpoolee (Exorcisement Dance). It has been influenced by Hansam Dance (Masked Dance), whereas Chinese Tibetan Susumu has been also affected by Chinese masked dance 'Gangmoo.' Seungmu and Susumu composed using the long sleeve tip is sleeve-used dance in common, and each dance name is also related to Jangsam (Long Sleeved Buddhist Robe) costumes. In Seungmu, as 'Seung' means a monk in accordance with its Chinese character(僧), it is inferred that monk's costumes 'Jangsam' has gradually developed from the monk's costumes, remaining in the current form. On the contrary, in Susumu Susu is a word referring to Jangsam costumes, named because it is thought that the costume's shape shows water dynamics. Concerning the similarity of Seungmu and Susumu, costume colors also showed their common features. Both countries are somewhat different in saturation or feel of colors, but the color schemes for base costumes are based on Obang (five) colors on a basis of the principle of yin-yang and five elements. For the length of the costume, Seungmu is designed in the length of four ja(Korean metric) for the edge of Jangsam to touch the ground when the dancer raise her two arms both sides. In contrast, in Susumu the lenght of Susu is principally designed to select and wear within from 3 cheok (Chinese metric) and half to 7 cheok.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dance movements in two countries, the author found out that for Seungmu, the whole arm moves in one breath when the dancer unfolds Jangsam. It was also observed that movements are separated depending on directions with a focal point on the ground, suggesting that the ground - longing movement contains tears and regrets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 author observed that Susumu uses frequent motion of using hands and wrists by throwing Susu away, holding it again, and letting the Susu go. These results thus showed that the actions represent an extended line of hands, being used as the functional significance as a secondary gesture, and that the outgoing and energetic dance is associated with their life emotion of longing for heaven. Lastly, the author found out that how different the traditional dances shared in the same cultural area are depending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The findings are excepted to give a good help to further studies to understand the unique forms of expression in the two countries, which has not yet been studied, and thus to make a contribution to studies variously developed due to the culture and arts of the two countries. Furthermore,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oriental dance further to develop and to mature artistically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각 나라의 전통무용이란 그들의 고대의 선조 때부터 역사와 민간을 통해 전래되어온 민속무용을 말한다. 민속춤은 그 나라의 살아 숨쉬는 역사이며 민족을 대표하는 춤이다.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를 대표하는 한국과 중국의 민족무용인 승무와 중국 장족(藏族)의 수수무를 대상으로 두 나라에 존재하는 전통춤의 역사적 유래, 변천과 춤사위와 반주형식, 의상에 따른 미적특징을 알아보았으며 더불어 승무와 수수무의 춤사위유형, 춤기법, 동작선, 호흡을 각각 비교분석 하여 유사한 특성들을 도출하고 연구하였다. 우선 승무와 수수무의 유래와 변천을 통하여 비교 연구하여 본 결과 두 나라 모두 기원이나 유래에 대하여 아직까지도 입증자료나 변천과정을 제시하지 못한 실정이지만. 두 나라 모두 불교의 영향을 받아 민속춤으로 전승되었다는 점과 오늘날 전승되어지고 있는 승무와 수수무는 지역에 따른 유파가 존재 한다는 점이다. 불교 의식무(儀式舞)인 작법 중에서 나비춤과 법고춤이 세속화된 것을 미루어 짐작할 때, 승무는 불교의식무용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으며, 수수무는 오래전 인도불교 계승자들이 의식무용을 티벳지역에 전파하여 오늘날까지도 이들 민족의 제사를 지내는데 쓰이며 이들 종교적(티벳불교) 부분에서도 중요한 자리를 잡고 있음으로 보아 불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족의 수수무는 궈장류 수수무, 퇴해류 수수무, 궈탁류 수수무 이렇듯 지역별로 3가지로 나뉘는데 한국에 전승되고 있는 승무도 현재 한영숙이 중심이 되는 한영숙류(경기) 승무와 이매방이 중심이 되는 이매방류(호남)로 두 유파가 확연하게 구분되고 있다 . 한국의 전통무용인 승무의 기본적 춤사위는 살풀이춤의 춤사위에 바탕하고 있으나 이밖에도 탈춤의 한삼춤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중국 장족의 수수무 역시 한국의 탈춤과 비슷한 형태인 "강무(羌姆)"라는 탈춤의 영향을 받았다. 이에 비해 반주형식의 구성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우선 승무의 음악은 장단음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장단의 빠르기에 따라 크게 염불장단, 도드리장단, 타령장단, 굿거리장단, 북놀음의 총 5 과정으로 이루어져있다. 승무의 음악에서 무용수가 중간에 북을 타주하며 음악의 한 부분을 채운다는 점은 매우 특징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주술적(呪術的)인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음악이 염불장단으로 시작된다는 점에서 불교의 종교적인 색채가 깃들어져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수수무는 ‘동작’의 구성도에 따라 그에 따른 반주음악(伴奏音樂)이 나타난다. 크게, 기본 동작에는 단구음악(短句音樂)이 응용· 발전 동작에는 조합음악(組合音樂)이 사용되며, 또한 이는 각각 세부적으로 나뉜다. 이러한 음악은 모두 서양의 악보로 표기가 되어 있어 박자와 조성이 나타나지만, 서양의 음악처럼 형식이 뚜렷하게 나타난다거나 반복되는 주제 선율이 있지는 않다. 다시 말해, 반복되는 주제 선율이 없이 비슷한 느낌의 새로운 선율이 자주 등장 한다. 그러므로 수수무의 음악은 중국의 전통적인 색채를 나타내는 선율중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매끝자락을 이용해 구성되는 승무와 수수무는 장삼춤이라는 공통점을 가지며, 각 무용의 명칭 또한 장삼의상과 관련이 되어 있다. 승무(僧舞)에서, 승(僧)이 승려를 의미하는 것처럼 승무의 의상인 ‘장삼’ 또한 불교의 승복에서부터 발전되어 조금씩 변모하였고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반면, 수수무(水袖舞)에서 수수(水袖)는 장삼의상을 일컫는 말로 장삼이 뿌려지는 형상이 마치물의 역동성을 보여준다고 하여 명명되었다. 또한 승무와 수수무는 의상색상에도 그 공통적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색깔에 채도나 느낌은 다소 다르지만 두 나라 모두 기본의상 색상배합을 음향오행설을 근간으로 하는 오방색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의상의 길이는 각각 승무는 무용수가 두 팔을 양 옆으로 들었을 때, 장삼 끝자락이 땅에 닿는 길이로 대략 네 자 정도의 길이로 만들어지며, 수수무의 수수의 길이는 항상 3척(尺)반에서 7척의 범위 안에서 선택해 입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춤사위구조 비교분석을 통하여, 승무는 장삼을 뿌릴 때, 팔 전체가 한 호흡에 의해서 한 번에 이루어지며 주로 방향에 따라 동작이 구분되고. 더불어 땅에 구심점을 가지며 행하는 지상동경(地上憧憬)적 움직임은 한국의 한과 정서를 내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수수무는 수수를 뿌렸다가 잡거나 잡았던 것을 다시 뿌리는 등, 손과 손목을 사용하는 동작이 많으며. 이러한 수수의 동작은 손의 연장선을 나타내고 몸짓의 보조로써, 기능적인 의미로 활용이 되며 활달하고 당당한 패기 넘치는 모습의 춤은 그들의 천상동경(天上憧憬)적 생활 정서와 연결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이 승무와 수수무의 양식적 특성과 춤사위 분석을 통해, 같은 문화권에서 공유되는 전통무용이 각 나라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알 수 있었는데 이렇듯 아직 연구되어지지 않은 양국의 독특한 표현 양식을 이해하기위한 또 다른 연구에 올바른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 양국의 문화예술로 인한 다양한 발전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나아가 이러한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동양의 무용이 예술적으로 더욱 성숙해질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중국 전통무용 공연에 현대무용 양식을 융합한 작품 분석 연구 : 리족 무용을 중심으로

        등원범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대무용은 인간의 생각과 사고방식을 표현하는 무용의 유형 20세기 초반에 발전했다. 또 다른 무용 유형인 클래식 발레와 마주 선 무용의 종류로 현대무용은 자유, 개방, 포용, 평등을 추구하는 사상과 현대 평화, 발전이라는 시대정신에 발맞춰 널리 알려지고 있다. 현대무용은 국제배경으로 무용의 가치를 논하고 평가하며, 각 나라의 문화사상을 흡수 및 융합해 각국의 춤을 해석, 이해, 보여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현대무용도 무용의 본질적 탐색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무용 분석 이론을 제시하고 장르별 무용 문화의 변화 과정과 역사적 관계 등을 평가하는 이론과 방법을 제공한다. 현대무용의 예술적 관점은 독창적이며 미적 개념은 현대무용에서 유일한 추구는 아니다. 중국 현대 무용은 중화 민족의 전통 문화의 영향 하에 현대 무용 창작자와 무용가의 작품이 건강하고, 밝고, 적극적이고, 진취적이며, 중국 무용의 특색을 지닌 예술 형태를 형성하였다. 많은 현대 무용 작품이 출현함에 따라 창작자의 수준은 갈수록 높아지게 되었고, 중국은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추구와 특색을 발전시키고 자신만의 현대무용은 구축하였다. 중국 사회에 현대무용을 점차 개방적인 자세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실제 행동으로는 현대무용의 성장과 발전을 중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중국 현대 무용의 발전 과정에 대하여 여러 각도에서 중국 현대 무용을 분석하고 이해를 진행하였으며, 중국 현대 무용의 창작을 분석을 통하여 여러 각도에서 중국 현대 무용의 발전과 창조적인 방향을 분석하도록 유도하였으며, 나아가서 중국 리족의 전통 무용을 연구해 온 하이난 무용가들이 현재 시점에서 중국 리족 전통 무용이 창작상의 문제와 곤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리족은 중국 영남지역의 소수민족으로 하이난섬에 최초로 거주한 민족으로 현재 인구 120여만 명으로 주로 하이난섬의 중부와 남부에 밀집해 있다. 리족 사람들은 긴 노동 생활에서 많은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을 창조하였으며, 무용은 점차 사람들의 일상생활 중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리족의 전통 무용은 종교의식무용, 민속생활무용, 유흥축제무용, 생산노동무용, 용감한 전쟁무용 등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리족의 이 다섯 종류의 무용은 모두 전통 문화의 발전에따라 점차 창작 발전해 왔는데, 이 유형들의 출현은 리족 무용의 발전을 추진하였으며, 리족 민족 무용 발전의 초석이 되었다. 중국의 리족 전통 무용은 리족의 민간 풍속에 의하여 생겨났기 때문에, 리족 지역의 풍속의 변화는 그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일부 지역에서는 거의 사라졌을 정도로 민간의 풍속이 간소화되면서 사라진 문화 풍속도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로 인하여 문화를 계승이 중단되거나 문화를 지키는 데에 지지기반이 부족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는 반드시 리족 무용이 멸종 위기에 직면했음을 충분히 인식해야 하고, 전통 예술 문화를 힘껏 구해내야 한다. 최근 2년 사이 약간 달라진 모습을 보여줬지만 현재 리족의 무용문화 발전은 체계화, 일반화, 규모화가 미흡한 상황이다. 그래서 우리는 리족의 무용의 계승과 발전, 전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게다가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하여 리족 무용의 새로운 창작물이 대중에게 선보이도록 하는 혁신도 필요하다. 연구자들은 리족의 전통 문화적 특징과 민족정신을 살리면서 현대무용을 융합해야 장기적으로 리족의 무용과 무대의 장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리족 무용 예술은 중국 하이난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 무용 창작은 또한 그 구성 부분 중의 무용 예술의 중요한 구조로서, 동태적인 형식으로 한 지역, 한 민족의 전통 문화와 역사 기록을 위해 중요한 보완을 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보면, 중국 현대 무용의 분석을 통해서 국가의 무용 문화의 한계를 뛰어넘고, 중국의 현대 무용 맥락을 이해하게 된다. 또한 한국의 발달된 무용 문화로부터 계도를 얻으면서, 현대 무용 양식과 중국 모든무용의 융합이라는 큰 흐름에 맞추어 중국 하이난 리족의 미학적 사상, 경향, 특색과 현대 무용 양식을 융합하여 창작한 무용 작품으로 표현하고, 현재 구체적인 리족 전통 무용의 안무 운영 마인드에서 '혁신 포인트'를 찾아 전통과 현대, 형식과 내면의 교묘한 창의성을 결합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따라서 관련 작업의 중요한 접점으로 앞으로 리족의 전통 무용이 발전하고 번창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다. 중국 전통 무용 퍼포먼스에서 현대무용 양식이 융합된 작품을 분석 연구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분석을 통해 현대 무용에 대한 중국적인 이해와 발전, 자국 전통 무용과의 융합을 계발하고자한다, 연구자 고향인 하이난은 현재 중국은 태평양과 인도양을 향한 중요한 대외 개방의 문호를 적극적으로 만들고 있으며, 자유무역항을 건설하는 하이난섬만이 가지고 있는 리족의 무용문화에 공헌하는 하나의 학문과 연구자의 확고한 예술적 추구이다. 글로벌 시대에 한·중 양국의 문화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상호 존중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 리족 무용 문화 예술의 전승과 발전을 촉진하고, 중국 리족의 전통 무용의 창조를 강화하기 위해 지속가능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중국 리족 무용 문화 예술이 다시 세계로 진출하도록 돕는다. 이 논문은 총 5장으로 다룬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방법 및 제한점을 제시한다. 제2장은 이론의 배경이다. 서양 현대 무용 및 중국 현대 무용의 발전을 포함하며 서양 현대무용의 발전 배경 하 현대무용의 내포된 특징(구동존이求同存异, 미적 개념, 뚜렷한 창조성), 서양 현대무용의 발전 과정(선구적 시기, 정초 시기, 신선봉파, 무용극장 등)에 대해 모두 분명하게 분석하고 이해한다. 반면 중국 현대무용의 발전 중인 중국의 차별화된 문화 아래 현대무용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보여준다. 각각 중국 현대무용의 창작사상, 중국 현대무용의 창작 양식, 중국 현대무용의 창작 구조를 여러 각도에서 연구를 전개하여 구별과 연계를 명확하게 하였다. 제3장은 중국 리족 전통무용과 현대무용 양식을 융합한 작품 분석이다. 천차오(陳翘)를 비롯한 리족 무용 작품과 하이난의 현재 리족 무용 창작을 각각 해석해 봤다. 중국 리족 전통무용에 현대 무용 양식 융합의 발전 상황. 유(有)에서 강(强)까지의 필연적 선택, 경시에서 중시로의 필연적 선택, 아름다운 예술을 중시하는 필연적 선택, 미래 지향적 예술로써의 필연적 선택 등 네 가지 시각에서 논한다. 중국 리족 전통 무용과 현대 무용 융합 실현 가능성을 다룬다. 한국 현대무용 예술과 문화에서 얻은 계발(일깨움)과 현대무용 양식이 중국의 모든무용이 융합하는 큰 흐름을 바탕으로 현대무용 양식이 중국 리족 전통 무용 창작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측면에 대해 고민했다. 제 4장은 중국 리족 전통 무용과 현대무용 융합 과정 분석. 연구자는 계승과 창의성 관계, 주체성과 주도성 관계, 참신성과 유효성 관계, 세 가지 측면에서 리족 무용에 대한 감지력과 민족 무용의 발전에 대한 예술적 주장을 제기하였다. 제 5장은 결론이다. 예술이 상호 연결되고 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시점에서 현대 무용에 더 많은 가치와 의의를 부여하는 것을 투영할 수 있어야 한다. Modern dance is a dance school that can show and express human thoughts and ideas. The source of its development was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a type of dance that is opposed to another dance school—classical ballet, modern dance has a certain ideological nature and pursues the ideas of freedom, openness, tolerance, and equality, which echoes the spirit of modern peace and development. It has also been widely spread. The significance of modern dance is to talk about dance and evaluate the value of dance in an international context, and to absorb and integrate the cultural ideas of various countries, and to conduct deconstructive research on dances of various countries, and finally achieve the purpose of dialysis, understanding, and display of their respective cultures and societies. At the same time, modern dance can also play a role in promoting the exploration of the essence of dance, and propose dance analysis theories, and provide theories and methods for evaluating the cultural change process and historical relationships of various types of dance. The artistic concept of modern dance is to seek common ground while reserving differences, and the concept of beauty is not the only pursuit in modern dance.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Chinese nation, Chinese modern dance has formed a healthy, bright, positive and enterprising artistic form of modern dance creators and dancer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dance. With the emergence of many modern dance works and the higher and higher level of creators, China has developed and shaped its own unique modern dance ideas with its own unique pursuits and characteristics. In the new era, Chinese society is gradually accepting modern dance with an open attitude, and paying attention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odern dance with practical actions. This article tak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ese modern dance as the breakthrough point, analyzes and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modern dance in China from multiple angles, and guides us to analyze the development and innovation direction of Chinese modern dance from various angles by analyzing the creation of Chinese modern dance. In turn, Hainan dancers who have been dedicated to the study of traditional dances of the Li nationality in China have been inspired by the creative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traditional dances of the Li nationality in China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e Li nationality is a minority in the Lingnan region of China. It is the earliest inhabitant of the world to live on Hainan Island. The current population is more than 1.2 million, mainly concentrat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Hainan Island. The Li people have created a lot of material civilization and spiritual civilization in the long working life, and dance has gradually become an important part of people's daily life. The traditional dances of the Li nationality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types: sacrificial religious dances, folklore dances, entertainment and celebration dances, production labor dances, and brave struggle dances. These five types of dances of the Li nationality are all gradually created and developed in traditional culture. Their appearance ha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Li nationality dances, and they are the cornerstone of the development of Li nationality dances. The traditional dance of the Li nationality in China is produced by relying on the folk customs of the Li nationality, so the changes in the customs of the Li nationality area have a great influence on its development. Nowadays, the folk customs of the Li nationality are gradually simplified, and even such customs no longer exist in some areas. This has led to a fault in the situation of cultural inheritance and a lack of backbone. We should fully realize the endangered situation of Li dance and try our best to rescue this kind of art and culture. Although there have been slight changes in the past two years,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development of Li nationality’s dance culture lacks systematization, regularization, and scale. Therefore, we must pay enough attention to the inheritanc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Li dance. In addition, vigorous innovation is needed so that new creations of Li dance can be displayed in front of the public.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only by preserving the tradi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national spirit of the Li nationality, the integration of modern dance styles can enable the Li nationality dance to achieve a more long-term development and a broader stage space. The dance art of the Li nationality is an integral part of the Chinese Hainan culture, and dance cre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the dance art of its constituent parts. It is an important supplement to the traditional culture and historical records of a region and a nation in a dynamic form, so From the above situation, by analyzing Chinese modern dance, the limitations of the country's dance culture are surpassed, and the context of Chinese modern dance is understood. In addition, while getting enlightenment from Korea’s developed dance culture, while following the general trend of fusion of modern dance styles with Chinese multiple dances, exploring the expression of dance works created by integrating the aesthetic ideas, tend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i nationality in China’s Hainan with modern dance styles Come out; organic integration and integration, and strive to find "innovative points" in the current specific Li ethnic traditional dance choreography operation thinking, and explore the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form and connotation ingenious innovation. Therefore, as an important part of related work, it can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traditional Li nationality dance in the future. It is also the first time to analyze and study works that incorporate modern dance styles from traditional Chinese dance performances. And through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China'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modern dance, and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dance in the country, and transform it into the author's hometown. Currently, China is actively building an important opening door for China to the Pacific and Indian Ocean; building a free trade port In Hainan Island, the unique Li nationality dance culture contributes to a kind of knowledge, and it is the author's unswerving artistic pursui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is research hope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cultural patterns and mutual respect between Korea and China. To promote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he dance culture and art of the Li nationality in China, and to strengthen the innovation of the traditional dance of the Li nationality in China, propose sustainable and reasonable plans to help the dance culture and art of the Li nationality in China re-enter the world. There are 9 chapters in total in this thesis. Chapter 1 is the first discussion, and puts forwar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research methods and limitations. Chapter 2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western modern dance and Chinese modern dance. In the development of western modern dance, the connotation characteristics of modern dance: seeking common ground while reserving differences, the concept of beauty, and obvious innovati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western modern dance: pioneer period, foundation period, new avant-garde, dance theater, etc. Analysis and understanding. And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modern dance, it shows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dance under the different Chinese culture. Chapter 3 is the creation of Chinese modern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ive ideas of Chinese modern dance, the creative style of Chinese modern dance, and the creative structure of Chinese modern dance, th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differences and connections have been clarified. Chapter 4 elaborates o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dances of the Li nationality in China. The dance works of the Li nationality represented by Chen Qiao and the dance creation of the Li nationality in Hainan are analyzed separately. Chapter 5 is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Li nationality dance with modern dance style. Respectively from: the inevitable choice from the strong to the strong; the inevitable choice from the low tide to the high tide; the inevitable choice for focusing on beautiful art and the inevitable choice for catching up with the times, discussing from four perspectives. Chapter 6 is the feasibility of combining traditional Chinese Li nationality dance with modern dance style. Taking the enlightenment from Korea's developed dance culture and the general trend of fusion of modern dance styles with China's multiple dances as the starting point, a multi-level thinking about the use of modern dance styles in the creation and use of traditional Chinese dances of the Li nationality was carried out. Chapter 7 is the path of traditional Chinese Li nationality dance fusion with modern dance style. In this part, the author puts forward the perception of Li dance and the artistic proposition for the development of ethnic dance from three aspects: the unity of inheritance and innovation; the unity of subjectivity and dominance; the unity of novelty and effectiveness. Chapter 8 is the conclusion. Chapter 9 is the reference. All in all, toda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rt interconnection and globalization, we must be able to analyze the more value and meaning that modern dance confers.

      • 한성준제 태평무의 계승·발전에 관한 연구 : 한영숙류를 중심으로

        류수민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master's dissertation is to seek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background of creation and the aspect of succession of Tae-Pyeong-Mu(especially Han, Young-Suk type) which is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s. It is originated by Han, Seong-Jun in 1930s, passing through the era of Han, Young-Suk, and handing down to the group of her disciples. I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ver time. There are two categories in Korean traditional dance: One is traditional dance and the other is creative dance. In particular,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dance is significant. Since it expresses Korean emotion and beauty,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that underlie in the shapes and forms to preserve and develop cultural heritages. Tae-Pyeong-Mu, which is becoming more sophisticated, passed down over 80 years after its first appearance in 1930s. I consider that Tae-Pyeong-Mu is a very useful object of study in terms of seeking direction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dance. To briefly explain the course of study, I tried to find the changes up until Han, Young-Suk typed Tae-Pyeong-Mu's course of formation and succession over time after searching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its succession. Through the review of lifetime of Han, Seong-Jun, the fouder of Tae-Pyeong-Mu(a duet dance), and reality of the time, I realized his philosophy for dance. In other hand, I searched the lifetime and a viewpoint of art of Han, Young-Suk, granddaughter of Han, Seong-Jun, who established Tae-Pyeong-Mu as a solo dance and compared her with Tae-Pyeong-Mu of Kang, Sun-Young, a disciple of Han, Seong-Jun. Based on that, I respective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two schools of Tae-Pyeong-Mu.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ansmission aspect of Tae-Pyeong-Mu which is ongoing in the group of disciples of Han, Young-Suk, I made full use of the literatures and had a face-to-face talk. I tried to figure out the way to develop Korean traditional dance in a right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I could see that the artistic and aesthetic value of Tae-Pyeong-Mu(Han, Young-Suk style) has been developed as it handed down from Han, Seong-Jun to Han, Young-Suk, and to the group of her disciples. As time passes by, each transmitter revised and developed Tae-Pyeong-Mu with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 while maintaining its unique characteristic. There is a concept called an original form(through simplification of clothes) which comprises of core elements of Tae-Pyeong-Mu. For the case of Park, Jae-Hee and Jeong, Seung-Hee among disciples, They have developed Tae-Pyeong-Mu in a sophisticated way, reshaping clothes, music, and dance. For Jeong, Jae-Man's case, he tried to restore Han, Seong-Jun's Tae-Pyeong-Mu rather than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 Young-Suk's Tae-Pyeong-Mu, taking good advantage of his gender. There is a new concept called a revised form which is first mentioned in the act of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Based on the concept introduced above, This has brought me an opportunity to think which category should be considered as more flexible than the original form. In short, Han, Seong-Jun's Tae-Pyeong-Mu is passed down to Han, Young-Suk and Kang, Sun-Young, handing down to their disciples. Through the course of genealogy formation, Korean traditional dance should not be understood only in the view of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By examining the detailed aspect of change of transmitted dance, We could understand what the characteristics to each element are and extract how actually the change has been made. I made the conclusion that the in-depth study above would help Korean traditional dance to be developed and transmitted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본 논문은 한국 전통무용 중의 하나인 태평무(특히 한영숙류)의 생성 배경 및 전승 양상의 고찰을 통하여 전통무용의 계승·발전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1930년대 한성준에 의해 형성된 후 한영숙을 거쳐 현재 그 제자 세대로 맥이 이어지고 있는 한영숙류 태평무에 대해 시대적 흐름을 좇아서 생성 배경 및 특징 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한국무용의 분류 중에 특히 전통무용의 계승발전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전통무용이 한국적 정서와 미의식을 표현하는 기반적 역할을 하는 것이기에 전통 문화유산의 보존과 발전이라는 차원에서 그 형태나 형식의 기저에 깔려있는 본질 및 특성을 유지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그것을 더욱 계승·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전통무용 중에 특히 태평무는 1930년대에 모습을 드러내어 80여 년이라는 세월동안 전승되어 오는 가운데, 춤이 더 세련되어지고 예술적으로 발전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춤이기에, 본 연구자는 전통무용 계승·발전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어 태평무(특히 한영숙류)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간략하게 그 연구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전통무용의 의의와 전통무용의 계승이 가지는 의미에 관해 살펴보고, 다음에는 본 연구의 주대상인 한영숙류 태평무의 생성 및 전승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즉 태평무(2인무의 형식)를 창안한 한성준의 생애와 당대의 시대적 현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그가 추구하였던 무용철학을 인식하는 한편, 한성준의 2인무 형식의 태평무를 홀춤(1인무)으로 확립시킨 그의 손녀 한영숙의 생애와 예술세계를 살펴본 다음, 같은 한성준의 제자인 강선영의 태평무와의 비교를 통해서 두 유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현재 한영숙의 제자 세대에서 진행되고 있는 태평무의 전승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 혹은 직접 대면을 통하여 그들의 태평무를 살펴본 후, 그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가 전통무용의 계승·발전을 위해서 시사 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있다면 어떠한 것인지를 추출해 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한성준에서 한영숙으로, 또 그 제자 세대로 이어지는 한영숙류 태평무는 각 전승자가 한성준제 태평무의 고유한 본질적 특징은 그대로 유지하는 가운데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자기의 개성을 살려 새롭게 다듬어 감으로써 태평무에 대한 미학적, 예술적 가치가 점점 더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한영숙류 태평무의 전승에 있어 태평무의 가치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별 특징(예컨대 복식의 간결화를 꾀하여 원삼과 한삼을 제외시킨 것 등)을 이른바 원형이라고 지칭한다면, 제자 세대 중 박재희와 정승희의 태평무는 한영숙 태평무의 문화적 원형을 유지하는 가운데 복식과 음악, 춤사위 등을 더욱 가다듬어 예술적인 세련화를 통해 발전시키려고 하였고, 정재만의 경우는 남성이라는 이점을 살려 한영숙류 태평무의 핵심 요소별 특징을 유지하려고 하기보다 오히려 그 이전에 있던 한성준의 태평무를 복원하려는 방향으로 진전시키려고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무형문화재의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새로 도입된 ‘전형’이라는 개념을 기준으로 할 때, 어느 범주까지 종전의 원형 개념보다 탄력적으로 적용되는 전형성에 합치된다고 볼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심도있게 고민해 보는 계기가 주어졌다고 생각한다. 한마디로 축약하면 한성준제의 태평무는 한성준에서 한영숙과 강선영으로, 그리고 그 제자 세대로 이어지고 있는 이른바 계보 형성과정을 통해서 단순히 전통무용의 보존 및 전승이라는 시각으로만 이해할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전승된 춤의 구체적인 변모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그 춤의 가치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별 특징이 무엇이고, 그것이 실제로 어떻게 변모되었는가를 추출하는 것이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진정한 의미의 계승·발전에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 원주 매지농악 진풀이와 김백봉 <선의 유동> 구도 변화 연구

        이수린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다양하고 독특한 진풀이를 보유한 원주 매지농악과 변화무쌍한 무용구도를 보여주는 김백봉 <선의 유동> 작품의 구도 연구를 통해 무용 구도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한국 전통무용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오늘날 한국 전통무용은 전통의 보존과 전승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시도나 변화, 대중의 선호와 거리를 두고 발전해 왔으며, 이는 한국 전통무용을 향유하는 관객의 범위를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연구자는 한국 무용의 전통적인 특징을 지키면서도 젊은 세대를 포함한 다양한 계층으로 전통무용의 관객층을 확대하고, 또한 한국 전통무용이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을 만한 역동적인 콘텐츠로 발전하기 위해 다양한 구도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처럼 구도의 다양함을 전통무용에 활용하기 위해 주목한 것은 농악의 진풀이와 신무용이다. 대중화된 민속 놀이인 농악에서 진풀이는 여러가지 진법을 통해 다채로운 차이를 만드는 요소로,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8호 원주 매지농악은 36방이라는 톡특한 진법을 포함해 다수의 진풀이를 보유하고 있어 그 분석을 통해 다양한 구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신무용은 한국무용의 전통 위에서 현대무용의 특징을 도입한 창작 작업으로 전통과 현대가 만나 다양한 구도와 군무의 도입과 같은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연구자는 전통 장단과 복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구도의 군무인 김백봉 <선의 유동>에 주목하고 그 구도를 분석했다. 원주 매지농악 진풀이는 질굿-긴질굿-태극진-문진-가세치기-열십자진-방울진-36방놀이-따놀이-꽃나비진의 순서로 이어지며 28개의 구도 변화를 보여준다. 구도 분석 결과 곡선 구도가 13개(46%), 직선 구도가 12개(43%)로 비슷한 비중을 이루고 있으며 3개(11%)의 혼합 구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곡선이 포함된 혼합구도까지 더한 곡선 구도는 15개(54%)이며 진을 맺고 풀 때 반복되는 원형 구도를 감안하면 곡선 위주의 구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김백봉 <선의 유동>은 16명의 무용수가 41개의 다채로운 구도 변화를 만들어내며 군무를 펼친다. 구도 분석 결과 곡선 구도가 23개(56%), 직선 구도9개(22%), 혼합 구도 9개(22%)로 곡선 구도가 직선에 비해 비중이 높았으며 곡선이 포함된 혼합 구도까지 고려하면 전체의 76%(31개)를 차지한다. 원주 매지농악과 김백봉 <선의 유동>의 구도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 각각 특징적인 구도의 변화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원형, 삼중원형, 나선형, 열십자형 구도 등 11개의 동일 혹은 유사 구도가 발견되어 원주 매지농악 전체 구도의 39%, 김백봉 <선의 유동> 전체 구도의 27%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원주 매지농악의 열십자진에서 열십자형 구도를 구성하는 과정의 동선은 김백봉 <선의 유동>에서 열십자 대형의 구성 전후로 나타나는 구도 변화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농악의 진풀이에 담겨있는 구도들이 신무용 작품인 김백봉 <선의 유동>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은, 진풀이의 다양한 구도를 전통무용에 활용하여 다채로운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확인하는 사례로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전통 복식과 가락 위에 진풀이의 다양한 구도를 덧입히는 시도는 한국 전통무용에 다양성과 풍성함을 더하면서 한국적인 아름다움은 그대로 간직하는 가치 있는 노력일 것이며, 전통적인 한국 춤의 토대에 현대적인 형식을 더한 신무용 김백봉 <선의 유동>은 전통의 멋과 다채로운 구도가 어우러져 한국 춤의 역동적인 아름다움을 잘 드러내는 사례라고 생각한다. 한국 전통무용의 변화를 서양의 이론이나 구도, 연출기법에서 찾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한국적인 구도에서 모색하는 본 연구는 한국인의 시각으로 가장 한국적인 콘텐츠를 지향하는 의미이자 세계적인 콘텐츠를 지향하는 과정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구도를 활용하여 한국 전통무용에 다양성과 풍성함을 부여하는 시도가 활발해 지기를 바라며, 이러한 시도가 한국 전통무용 콘텐츠의 발전과 향유하는 관객의 확대, 새로운 한류 콘텐츠로 세계 시장으로의 확산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onju Maeji Nong-ak having a variety of unique jinpulis and Kim Baik Bong's <Flow of Line> showing a number of changeable dance composition in order to find the way of utilising the composition changes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Until today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been developed by focusing on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 rather than new trends, changes and preference of the public. In fact, this became one reason of the result of limiting a range of audiences who enjoy Korean traditional dance. It is considered that utilising various dance composition is essential in order to develop Korean traditional dance as a dynamic content that makes the world attention and to attract a diverse audience including young generation. To put an element of variety of composition into Korean traditional dance this study observes jinpuli in nong-ak and new dance. Jinpuli in nong-ak, the popularised traditional folk music originally performed by farmers, is an element differentiating compositions through many formations. In particular, Wonju Maeji Nong-ak, the 18th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Gangwon province, has a large number of different jinpulis including very unique formation called 36 bang. The study will seek for a diversity of dance compositions by analysing the formations mentioned. New dance is a creative work adopting the feature of modern dance on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t has tried a new initiative of reducing distanc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dance by adopting group dance and various compositions. This study looks at Kim Baik Bong's <Flow of Line> to analyse its various compositions based on traditional rhythms and costumes. The jinpuli of Wonju Maeji Nong-ak shows 28 composition changes in sequence; Jilgut - Ginjilgut - Taegeukjin - Munjin - Gasechigi - Yeolsipjajin - Banguljin - 36bangnoli - Danoli - Gotnabijin. As the analysed result, curve structure and straight linear structure account for the similar proportion at 13 (46 percent) and 12 (43 percent) respectively and 3 compound compositions are found as 11 percent. The curve structure including compound compositions that has curves accounts for 15 (54 percent). The curve is seen in repeated circle structure when jin is knotted and unknotted. Therefore, the jinpuli mostly has curves in its composition. In Kim Baik Bong's work, Flow of Line, 16 performers dance in group by following diversified 41 composition change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compositions shows 23 curve structures (56 percent), 9 straight linear structures (22 percent) and 9 compound structures (22 percent). The proportion of curve structures is higher than it of the straight linear structures. When it takes the compound compositions including curves into consideration, the curve structure accounts for 76 percent (31).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composition changes in Wonju Maeji Nong-ak and Kim Baik Bong's <Flow of Line>, each work has distinctive composition changes and also has 11 similar composition structures such as circle, three layered circle, spiral, and cross structures. It accounts for 39 percent and 27 percent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e changes to make cross structure in Wonju Maeji Nong-ak shows very similar composition changes to the changes of before and after cross structures in Kim Baik Bong's <Flow of Line>. The fact that the compositions in jinpuli of nong-ak is also seen in a new dance, Kim Baik Bong's <Flow of Line> has meaning as an example of utilising composition changes from jinpuli into traditional and new dance. The attempt adding various compositions of jinpuli on traditional rhythms and costumes is a valuable effort to both bring more diversity with richness and preserve Korean beauty into Korean traditional dance. Moreover, a new dance Kim Baik Bong's <Flow of Line> having contemporary structure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is a good example of revealing dynamic beauty of Korean dance through the mixture of tradition and diversified compositions. Unlike existed studies that seeks the chang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Western theory and choreography, this study not only means that Korean contents is supported in Korean's view but also would be a process of aiming global content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e attempt of bringing diversity into Korean traditional dance by utilising various compositions will be vitalised. In addition, this attempt will contribute to Korean traditional dance into the world market as new Korean wave content and increasing a number of audiences.

      • 전통무용 공연 관람만족요인 및 관여도와 재방문의사와의 관계

        고정숙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전통무용공연 관람만족요인, 관여도, 재방문의사의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각 요인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전통무용공연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집단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표본의 추출은 비확률 표집방법 중 편의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는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완성된 설문지 총 489부가 회수 되었으나,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443부를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통무용 공연만족에 있어서는 장소요인을 제외한 모든요인에서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만족하고 있었다. 구인동등성 검증 절차를 통해 전통무용공연 관람만족 척도가 남녀 관람자 집단 모두에게 동일한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적합한 척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간 평균차이를 남녀관람자 집단을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4요인 중 장소요인만을 제외하고 제품요인, 가격요인, 촉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관람만족 요인 구조모형 검증결과 공연관람 만족도는 재방문 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통무용공연 관람만족과 관여도의 구조모형검증 결과 공연관람 만족도는 관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전통무용공연에 대한 관여도의 재방문의사의 구조모형 검증결과 관여도는 재방문의사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전통무용공연 관람만족요인과 재방문의사 관계에서 무용 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관여도는 관람만족요인과 재방문의사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를 하므로 전통무용공연 관람만족요인과 재방문의사 관계에서 무용 관여도가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confirm the core componentof the spectating satisfaction, involvement and revisitation intention in traditional korean dance performanc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factors. The target of investigation is experienced group that have been spectatingKorean traditionaldanceperformance.In study,Samplingis devis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method. In case of survey, 489 questionnaires which completed by self-administering method is recovered among circulated 500 questionnaire.From among these,theresultshavebeen analyzed into by443questionnairesexcludingquestionnaireswithshortagefaith.The resultsofthisstudywasfollows. 1.Upon satisfaction in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by gender,femalehasmorehighersatisfactionthanmaleatwholefactors with the exception ofplace factor.Measure ofspectating satisfaction reaches a conclusion as suitability measure which can appear same reaction withoutgenderthrough the constructequivalence inspection procedure.And according toasurvey bytheconductinglatentmeans analysis,therearesimilardiversitiesatproduct,price and promotion factorsexceptingplacefactor. 2.Structure model inspection analysis on Spectating satisfaction factorsshowed thatspectatingsatisfactionhaveanaffirmativeeffecton revisitationintention. 3.Structure modelinspection resultbetween spectating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in Korean traditionaldance performance have an affirmativeeffectoninvolvement. 4.Structure model inspection result between involvement and revisitation intention in Korean tradtionaldance performancehave an affirmative effectonrevisitationintention. 5.Intermediation effectivenessinspection resultofdanceinvolvement onconnectionbetweenspectatingsatisfactionand revisitatioonintention in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is analyzed that dance involvementiscarried between spectating satisfaction and revisitation intention because of partial intermediation between spectating satisfactionandrevisitation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