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축구조설계 및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

        강재호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우선 서론에서 전기전자라는 분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원래는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전파공학과로 나뉘어 있었으나 90년대 후반부터 서울의 각종 대학들을 시작으로 통합되어 현재 전공으로 개편되었다. 전기전자공학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전자기학의 원리를 파악하고 개발하는 분야이다. 이론 뿐만 아니라 실습 등이 상당히 어려우며 분량도 방대하다. 또한 브레드보드, 디지털 멀티미터, 파워 서플라이, 펑션 제너레이터, PCB 보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다뤄야 한다. 학창 시절부터 물리와 수학에 대한 애착이 있다면 이 전공만큼 공부하기 흥미로운 전공은 없을 것이다. 전자회로이론과 반도체 등 전기전자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공부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배우는 점들을 넘쳐날 것이다. 이 전공에 대한 고민을 여러 가지로 해보면서 다른 전공과 융합을 시켜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다소 근거가 없는 논리를 만들었다. 근래 들어 공과대학 전공을 복수전공하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나면서 이러한 생각을 가지는 사람들도 여럿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설비 분야에 대해 관심을 둔 사람이라면 전기전자공학과 함께 기계공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은 추세이니 충분히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앞에서 예시로 든 전공은 그나마 연관성이 있는 전공들이기 때문에 생각해 볼 개연성은 충분하지만 완전히 겹치는 부분이 없는 전공들끼리도 과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들었고, 그러한 의문을 논리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지금의 논문을 작성하고 제출한다.

      • 전기요금 절감을 위한 수용가 피크전력 관리의 최적용량 산정 효율성 연구

        전재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는 부존자원이 매우 부족하며 에너지 소비량은 매년 8% 내외의 높은 증가속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산업구조는 중화학공업을 기반으로 한 철강, 정유, 화학, 시멘트, 반도체 등으로 전력 소비가 높은 제조업 비중이 크고 에너지 다(多)소비형 산업으로 에너지의 전기분야 의존도는 거의 절대적인 실정이며 장래에도 우리나라의 전력소비량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전력은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져 저장이 곤란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업체 등 산업계 전반은 물론 상업 시설 등을 포함하여 가정용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전기요금 대국민 인식을 조사하고 전기요금 절감을 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현재 전력사용실태를 분석해 보면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60[%] 이하의 낮은 부하율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과다 설계로 인하여 전력공급사에서는 전력공급계약에 따라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하여 과잉전력을 생산 공급하므로 국가적 손실이 발생되며 수용가에서는 사용피크치 이상의 기본요금 및 사용 요금을 부담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현재 전기요금 체계 내에서 가장 효율적인 전기요금적용을 위한 최적 용량을 산출하고자 하였다. Korea’s energy consumption,which lacksnatural resources in major nationalities, is high at around 8% every year it is showing an increasing pace. in addition, the korea industrial system is an energy-intensive industry with a large proportion of added value in manufacturing industries with power consumption such as steel, chemicals, and semiconductors. Moreover, power is difficult to store due to the simultaneous production and consumption. Accordingly,this paper investigated the overall public perception of electricity bills, including commercial facilities and households, as well as industries such as businesses, and tried to consider efficient ways to reduce electricity bills. According to the current power usage analysis, most buildings use a low load rate of 60[%] or less,and due to this over-design, power suppliers produce excess power for stable power supply contract,resulting in national losses. Based on this, we wanted to calculate the optimal capacity for the most efficiedt electricity bills within the current electric supply system. I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alculate the appropriate electricity bill for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future.

      • 자가용전기설비의 안전관리 및 전기안전관리시스템 방안 연구

        조영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 세계적인 화두로 논의되고 있다.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물리적 공간에 제약받지 않는 사물인터넷의 기술이 미래의 도시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 변화는 지능형(AI)기술 등과 연계하여 안전관리분야에서도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세월호 사고 등 크고 작은 사고들이 발생하면서 안전관리에 대한 규정이 법 전반에 걸쳐 강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고시 제2016-16호‘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지만 사회 전반의 제도적문제 등의 해결 없이 제대로 된 안전관리가 될 것인지 의문이 있다. 안전관리자의 중복선임, 위탁관리의 문제, 저임금, 전문 인력 부족 및 안전관리의 의식 결여 등의 현실 속에서는 안전관리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기안전 관리는 안전관리자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현행 전기안전관리 제도는 전기사업과 공급, 공사계획의 인가 및 신고, 전기설비의 유지관리 등과 관련된 검사 및 전기안전관리자의 선임 등은 ‘전기사업법’, 전력설계 및 감리는 ‘전력기술관리법’, 전기공사와 관련된 안전에 대해서는 ‘전기공사업법’, 전기용품에 관해서는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등 전기안전 관련기관이 분산되어 있다. 안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기안전관리와 관련된 법령의 분산을 한데 모아 ‘전기안전관리법’의 제정이 필요하며 ‘전기안전관리법’은 에너지저장장치(ESS)나 에너지 프로슈머(energy prosumer), 전기자동차 충전설비 등과 같이 현행 전기사업법이 담고 있지 못한 첨단 전기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새롭게 규정함으로써 법 적용의 부재를 막는 등의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향후 효과적인 전기안전관리를 위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국가주도의 전기안전 플랫폼 구축 사업’이 필요하다. 현재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ICT 첨단 기술을 활용, 전기 설비별 안전관리 내역과 사고이력을 파악하고 그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나의 ‘플랫폼’을 만들어 이를 원격 관리해 나갈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계획이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재해 통계조사 및 현장 실태조사를 통해 전기재해의 위험성과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전기안전관리제도와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고시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고기능 디지털 계측기의 개발과 ICT 기술이 융합된 전기안전관리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 주택공급유형에 따른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기 적정의무설치 개수에 관한 연구

        구세경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ontinuously expanding the supply of eco-friendly vehicles and the mandatory installation standar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facilities in order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Since electric vehicles are most actively charged in apartment houses where they stay the longest, the number of charger installation locations in apartment house parking lots should be expanded compared to other places. The government has legislated the legally mandatory installation standards for electric vehicle chargers in order to preemptively apply them. However, since it is installed in a residential parking lot, there is a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residents wi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and residents and managers with electric vehicles in the current transitional period. In this study, the actual usage status of each apartment is analyzed to install the optimal number of chargers to expand the supply of eco-friendly electric vehicles. By investigating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in each apartment,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charger utilization rate, the actual usage of chargers is identified, and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by housing type, it is proposed to respond to the policy of expand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resident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the standard for the number of legally mandated installation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in apartment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n the future. 세계 각국에서는 지구온난화 현상,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 및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방안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기차는 하루 중 가장 오랫동안 머무르는 공동주택에서 활발히 충전되고 있어 공동주택 주차장에 충전기 설치개소를 다른 장소보다 확대 적용해야 한다. 정부는 전기차 충전기 선제적용을 위하여 충전기 법적의무설치기준을 법제화 하였다. 그러나 주거지 주차장에 설치하는 만큼 현 시점 과도기에서 내연기관 차량을 보유한 입주자와 전기차를 보유한 입주민 및 관리자 등 상호간의 이견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충전기 적정개수 설치를 위하여 각 단지별 실제 이용현황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충전기 이용율과 직결되는 각 단지 전기차 보유대수를 조사하여 실제 충전기 이용현황을 파악하고, 주택유형별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하여 입주자 거주여건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정책 부응 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이 연구결과가 향후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기의 법적의무설치개수 기준 개선 및 제도적 보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교육연구시설의 적정 변압기 용량 선정을 위한 수용률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이홍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교육연구시설의 전기설계시 부하설비의 과다 용량산정으로 인해 변압기 용량이 불필요하게 크게 선정되어 초기투자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변압기 용량이 커짐에 따라 한전 계약전력이 높아져 불필요한 전기요금을 한전에 지불하고 있는 교육연구시설들이 많이 있다. 경제 산업이 가속화되면서 전기에너지의 소비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사무자동화·전산화 시스템의 도입, 인텔리전트빌딩의 구현 등은 더욱더 좋은 품질의 전기와 신뢰성 높은 전력공급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른 전력수급계획의 균형적 발전이 국가의 중요 정책 현안으로 부각되면서 각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용 변압기의 역할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으며, 전기관리자의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전기이용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본문에서는 수용률에 관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합리적,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교육연구시설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월별 전기사용량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국내 전기설계사무실에서 변압기 용량을 선정하는 설계방식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변압기 용량의 과다 선정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변압기 용량 선정에 필요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비상전원의 내진설계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김흥수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경주에서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규모 5.1지진 이후에 기상청 지진센터 통계에 의하면 현재 2017년 3월 20일 기준으로 총 596회의 여진이 발생했고, 이중 사람이 통상 체감할 수 있는 규모 3.0이상의 여진은 3.0~4.0미만이 20회, 4.0~5.0미만이 1회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지진으로 의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꾸준히 증가하고 지진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내진설계․시공이 적용되지 않은 건축물과 시설물은 이로 인한 영향으로 붕괴, 전도, 화재, 폭발 등 대형사고로 확대될 수 있는데, 특히 건축물의 지진발생 영향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비상전원의 신뢰성 확보가 대단히 중요시 된다. 하지만 비구조 요소에 해당하는 전기설비에 대한 내진설계․시공․점검기준이 일부만 적용되고 있어 부속기기의 2차적 피해로 인하여 비상전원의 목적을 확보할 수 없어 건물화재가 도시화재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기설비의 비구조 요소에 대한 부분도 일정 장소에 한정하지 말고 시설물의 중요도에 의하여 전기관련 시설에 대한 내진설계 적용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 기준을 확대할 필요가 있고, 시공에 필요한 관련 도서 또한 별도의 항목으로 작성되어 시공, 점검 및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상전원의 일부 시설을 예로 들어 비구조 요소인 전기설비의 내진설계 적용방법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전기설비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시스템의 신뢰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음이온 밀도와 부유 전위 분포 측정을 통한 산소 플라즈마 물성 연구

        장애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lectrical diagnostic method that can measure electronegativity and negative ion density using a harmonic current,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xygen plasma by measuring the two-dimensional floating potential distribution at the position of substrate of inductively coupled plasma generator. In the case of an electropositive plasma, argon, variables such as electron temperature, electron density, plasma potential, and electron energy probability function(EEPF) are measured to understand the plasma properties. However, in an electronegative plasma such as oxygen and perfluorocarbons, electronegativity and negative ion density should be further determined. These factors control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egative plasma, while also affecting the semiconductor fabrication yield. Nowadays, diagnosis of electronegative plasmas is largely divide into two methods, an optical diagnosis method and an electric diagnosis method. The optical diagnosis method generally has a disadvantage in that parameters at a specific location cannot be obtained, whereas the electrical diagnosis method can measure the plasma parameters at any locations in the plasma. In this work, electronegativity and negative ion density are obtained using the harmonic current by applying a small sinusoidal voltage to a potential lower than the plasma potential. This method can give less perturbation to the plasma than the method of sweeping the probe voltage higher than the plasma potential. The experiment is conducted in an inductively coupled oxygen plasma,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a two-dimensional model and a two-probe theory under the same discharge condition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The electronegativity and negative ion density distributions measured with varying the pressure and applied power agree well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other two methods.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electronegative plasma is widely used in process steps such as photoresist ahing, anisotropic etching, and material oxidation. A non-uniform plasma will lead to a non-uniform flux of charged particles incident on the wafer, which further affects the uniformity of the potential of wafer surface. This can cause voltage breakdown or current leakage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in the trench structure. Therefore, it is very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 of negative ions on the surface potential distribution by measuring the floating potential at the wafer position in the electronegative plasmas(oxygen). In general, the plasma that is frequently used in laboratories is an electropositive plasma such as argon. Since the electropositive plasma has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lectronegative plasma, in this study, argon plasma and oxygen plasmas are comparatively analyzed under the same discharge condition. 본 논문에서는 고조화 전류를 이용한 전기음성도와 음이온 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적 진단 방법을 개발했고,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극판 위치에서 이차원 부유 전위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산소 플라즈마에 대한 특성 분석을 진행했다. 아르곤과 같은 전기적 양성 플라즈마 일 경우, 플라즈마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자 온도, 전자 밀도, 플라즈마 전위 및 전자 에너지 확률 분포 함수와 같은 변수를 측정하게 되는데 산소, 과불 화 탄소 (perfluorocarbons) 같은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에서는 전기음성도와 음이온 밀도를 추가로 파악해야 한다. 이 요소들은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의 전반적인 특성을 제어하는 동시에 반도체 생산 수율 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존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 진단은 크게 광학적 진단 방법과 전기적 진단 방법 두가지로 나뉜다. 광학적 진단 방법은 보편적으로 특정위치에서의 정보를 얻을 없는 단점이 있는 반면 전기적 진단 방법은 플라즈마 내 특정위치에서의 플라즈마 변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전위보다 낮은 전위에 작은 싸인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얻은 고조화 전류를 이용해서 전기음성도와 음이온 밀도를 측정했다. 이 방법은 프로브에 플라즈마 전위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보다 플라즈마에 섭동을 적게 주게 된다. 실험은 유도 결합 산소 플라즈마에서 진행하였고, 진단 방법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같은 방전 조건에서 이차원 모델과 이중 프로브 진단법을 사용해서 그 결과를 비교했다. 압력과 인가 파워를 변경하면서 측정한 전기음성도와 음이온 밀도 분포는 다른 두 가지 방법으로부터 얻은 결과와 잘 일치했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는 포토 레지스트 (photoresist) 에싱, 이방 성 식각, 산화 막 생성 등 공정 단계에서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를 폭 넓게 사용하고 있다. 플라즈마가 불 균일하면 웨이퍼 표면에 입사하는 대전 입자들의 선속도 불 균일 해지기 때문에 웨이퍼 표면 전위의 균일 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트랜치 구조에서 산화 막 두께에 따라 전압 붕괴 또는 전류 누설을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산소)에서 웨이퍼 위치에서의 표면 전위를 측정함으로써 음이온이 표면 전위 분포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는게 매우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실험실 단위에서의 플라즈마는 전기적 양성 플라즈마 (아르곤)를 많이 사용한다. 이는 산소와 같은 전기적 음성 플라즈마와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같은 방전 조건에서의 아르곤과 산소 플라즈마를 비교 분석했다.

      • 공동주택의 ESS 적용한 비상발전 최적화 방안 연구

        김현수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국민안전처 등 국가 주요기관 주관으로 전기저장장치[ESS]의 비상발전 적용이 추진되고 있다. 2016년 2월 정부부처합동으로 ESS 비상(예비)전원 활용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2016년 3월 “비상(예비)전원용 전기저장장치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명회가 개최되었다. 비상(예비)전원으로 ESS를 적용 시 ESS와 비상발전기가 연동되는 경우와 ESS 단독으로 운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국내 공동주택에 ESS 단독운전이 실제 적용된 사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최초이어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비상(예비)전원으로 디젤발전기를 사용 중이다.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신재생에너지원 보급 확대 차원에서 공동주택 비상(예비)전원에 ESS를 적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동주택 비상(예비)발전 ESS의 설치 및 운용하며 발생된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시운전을 통해 실증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주택 비상(예비)발전 ESS용량 산정 방법의 개선사항을 분석하게 되였고, 기존 ESS용량 산정방법의 개선 및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전차선로 절연구분장치와 전기차 집전장치간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윤천열 우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에서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적용·운용하고 있는 절연구분장치와 전기차의 집전장치 배치현황 등 차량특성과 집전장치 운용 방안 등을 검토?분석하여 일반선의 운행속도 200㎞/h 이하 구간에서 차종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절연구분장치를 고찰하였다.

      •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의 건축물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

        박준형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By using an intelligent network that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ctively, Smart Grid is a next generation power supply method, which is able to manage power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efficiently compared to existing power grid that have done that through one-way. According to this, this study expects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power business would be changed. Especially Energy Storage Systems (ESS) , which is one of the smart grids, receives attention due to its specific method, which disperses concentrated power consumption of consumers at peak times during the power usage time. In addition, renewable energy is an energy generating method that is able to develop continuously responses to changing climate policies. This study researched effects when each of the Energy Storage Systems and the renewable energy, which are out of types of Smart Grid, are applied separately into a building or both types are applied together, through following models. 1) Effects of applying the Energy Storage Systems 2) Effects of applying the Energy Storage Systems and the renewable energy together 3) Effects of applying the renewable energy into a building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on the mentioned models, this study selected one building as a research subject and then changed only research conditions so as to highlight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study identified effects of those devices affecting the building and then calculated the amount change of electricity bil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study could found that the electricity bill decreased up to about half when both devices were installed into the building, compared to each condition when the renewable energy was only installed or the Energy Storage Systems was only installed. Therefore, it is more effective to install both of the renewable energy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s among the Smart Grid devices rather than to use only one respectively. 최근 전력공급에 적극 도입되고 있는 지능망을 이용한 전력공급 장치인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단방향으로 전력을 공급하였던 기존의 전력망과는 다르게 소비자와 공급자간에 양방향성 소통을 통해서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공급방식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전력사업의 패러다임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스마트 그리드의 종류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전력의 사용시간 중 피크시간에 수용가의 전력사용이 집중되는 것을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변화해가는 기후정책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전기에너지 발전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종류 중 에너지 저장장치와 신재생에너지를 따로 건축물에 도입하였을 경우와 함께 적용하였을 경우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모델을 통해 알아보았다. 1) 건축물에 에너지저장장치를 도입하였을 경우 이에 따른 효과 2) 건축물에 에너지저장장치와 신재생에너지를 함께 도입하였을 경우 이에 따른 효과 3) 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였을 경우 이에 따른 효과 상기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3가지 경우의 차이점을 부각하고자 동일한 건축물을 연구대상으로 두고 연구의 조건만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해당 장치들에 의해 건축물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전기요금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만을 각각 설치하였을 때의 비하여 두가지의 설비를 모두 설치하였을 경우 전체 전기요금의 절반가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스마트그리드의 설비중,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장치만을 따로 사용하는 것 보다는 함께 사용하였을 경우 그 효과는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