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에 따른 H2O2 대기 배출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우준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화학산업의 규모와 화학물질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해·위험성이 높은 화학물질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에 대해 배출저감계획서를 작성하도록 국내에서 화학물질관리법 제도하에 2019년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유해성 화학물질 현황을 살펴본 후,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효율적으로 적용된 각종 미국, 일본, 네덜란드, 호주, 캐나다 등 해외의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 및 국내의 화학물질 배출저감제도를 분석하고, 배출량 조사를 통한 배출저감계획서 작성 시에 최적가용기법(BAT, Best available techniques)이외에 화학물질관리법 배출저감기술을 통한 대기 배출 저감 방안을 제시하였다. 배출량 저감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사업장에서 배출량 조사 대상 물질인 H2O2를 선택하여 해당 물질의 배출량을 조사하였다. 공정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4가지 Point에 대해서 H2O2의 실제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저장 탱크 0.21 kg/년, 혼합탱크 0.5 kg/년, 배관시스템 522.74 kg/년, 탱크로리 0.03 kg/년으로 연간 최종 배출량은 523.49 kg/년으로 산정되었다. 배출량 조사를 진행한 후, 배출저감기술인 누출 오염 관리시스템(LDAR, Leak Detection And Repair)을 배관시스템에 적용하면, H2O2의 배출량을 523.48 kg/년에서 320.72 kg/년으로 39% 저감시킬 수 있다. 그 후 장치개선을 배관시스템에 재차 적용하면, H2O2의 배출량을 523.48 kg/년에서 26.24 kg/년으로 95%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배출저감기술을 기업의 특성에 맞추어 개별 적용하면, 최소 39%, 최대 95%까지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대기로의 배출량만을 기준으로 배출 저감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과 H2O2라는 특정 화학물질에 관해서만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2029년에는 배출량 조사대상 전체 화학물질의 배출저감계획서를 작성·제출해야 하는 만큼, 유해화학물질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배출저감기술을 개발하고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화학물질의 배출량 저감은 사업장의 환경 개선은 물론, 정보 제공 및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지역 내 주민들의 안전확보, 인식개선까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해외의 ‘배출저감제도’보다 국내 ‘화학물질관리법’화학물질 배출량 조사 및 배출저감계획서의 성공적인 사례로 한 걸음씩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As the size of the chemical industry and the number of chemicals increases, it has been implemented in earnest since November 2019 under the domestic Chemical Management Act to draw up emission reduction plans for chemicals emitted from workplaces to reduce emissions of harmful and dangerous chemicals.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hazardous chemical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various chemical emission reduction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Japan, the Netherlands, Australia, Canada, and domestic chemical emission reduction systems. When preparing the emission reduction plan through emission investigation, the best available techniques (BAT) were excluded and the air emission reduction technology was proposed through the emission reduction technology of the Chemical Management Act. In order to study emission reduction measures, H2O2, a substance subject to emission investigation, was selected at the workplace to investigate the emission of the substance. The actual emissions of H2O2 were estimated at 0.21 kg/year for storage tanks, 0.5 kg/year for mixing tanks, 522.74 kg/year for piping systems, and 0.03 kg/year for tank lorry. After conducting emission surveys, the application of the Leak Detection and Repair (LDAR) technology to piping systems can reduce H2O2 emissions by 39% from 523.48 kg/year to 320.72 kg/year. Subsequently, re-application of device improvements to piping systems can reduce H2O2 emissions by 95% from 523.48 kg/year to 26.24 kg/year. Therefore, if the emission reduction technology conducted in this study is appli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the chemical emission reduction effect can be achieved by at least 39% and up to 95%. In conducting this study, it has limitations that it proposed emission reduction measures based only on emissions to the atmosphere and tha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ly on a specific chemical called H2O2. As the emission reduction plan for all chemicals subject to emission investigation needs to be prepared and submitted in 2029,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invest in emission reduction technology consider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rmful chemicals. In addition, reducing emissions of such chemicals may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workplace, as well as securing the safety and improving awareness of residents in the region through information provision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able to take a step closer to the successful case of the domestic Chemical Substance Control Act's chemical emission survey and emission reduction plan than the overseas Emissions Reduction System.

      • 도시비점오염저감시설 처리효율 분석

        김상일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인 장치형 시설에 대하여 연간 오염물질 삭감량 및 처리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은 대부분 강우시 불특정한 장소에서 발생되어지며 오염물질이 단시간에 수계로 도달하여 하천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수질오염 총량관리제를 시행함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해야 할 상황이다. 본 연구는 경안천 유역에 설치된 도시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현장 모니터링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모니터링 기간은 9개월에 걸쳐 시행되었다. 강우시설의 경우는 강우 시에만 유량이 유입되는 시설이기 때문에 평상시 비가오지 않는 시기에는 시설이 가동되지 않고 있었으며, 기상청 일일 강수량을 기준으로 5㎜이상일 경우 강우처리시설이 가동 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연간 가동 일수는 43일 이었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의 평균 처리효율은 BOD5 68.3%, SS 77%, T-N37.2%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치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대상 선정과 시료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계 및 저류조 설치, 처리시설의 용량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to analyze the amount of annual pollutant reduction and efficiency of disposal of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which controls rainfall runoff generated by rain on urban areas. When it rains, most of nonpoint source runoff taking place in random area arrives water system in a short time and causes serious damage to water quality of rivers. Attention to nonpoint source has recently increased. nonpoint source has to be reduced under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monitored urban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located around Kyoung an creek. This monitoring was being conducted for 9months. Rain facilities only accepts rain flow on rainy days. On sunny days, the facilities does not work. Assuming that rain facilities works only when rainfall is above 5mm rainfall on a daily basis, the annual facilities working days are 43. The average disposal efficiency of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was BOD5 68.3%, SS77%, T-N 37.2%. The scop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the specified reduction facilities and sampl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meaningful data to designing of nonpoint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construction of rain-water retaining facility and determining of capacity of disposal facilities.

      • 축산악취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의 개발과 현장 활용에 관한 연구

        오민환 수원대학교 공학정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main malodor components in pig house are ammonia, volatile fatty acids, sulfur compounds. Many of these gases, individually or combination, produce objectionable odors. In addition to smelling bed, emission gases can also affect the health of the animals and workers when they reach high concentrations in pig house. Thus, odorous compounds redu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of microbial agent and test of microbial agent to reduce odorous compounds from pig house. The microorganism removes odor gas was purified from colonies enriched in vial where oil cakes were contained. In order to measure sulfides reduction ratio of the isolates, hydrogen sulfide reduction activity test was performed. Hydrogen sulfide removal efficiency of greater than 90 % of isolate was identified as Brevundimonas diminuta by themorphological,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The microbial agent was made by Brevundimonas diminuta, mineral, actical, plant extract, bamboo smoke distillates, glycerin and NaCl solution. The hydrogen sulfide removal efficiency of microbial agent was 95 % or greater in vial test. In this study, microbial ag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odorous compounds. In the pig house of not only lab scale but also field scale, the reduction ratio of the odorous compounds such as ammonia, sulfides, volatile fatty acids, and complex are studied.

      • 收縮低減劑および膨張材による若材齡高性能コンクリ―トの自己收縮低減に關する硏究

        박선규 [東京大學] 2004 해외박사

        RANK : 247807

        고강도콘크리트는 초기재령에 있어서 시멘트의 급속한 수화반응에 기인한 자기수축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자기수축이 발생한 부재가 외부 또는 내부 구속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수축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재령에 발생한 균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미관 및 내구성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한편, 자기수축의 저감방법으로서는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의 혼입에 의한 자기수축 저감방법이 있는데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에 의한 시멘트 경화체의 자기수축 저감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의 자기수축저감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에 의한 자기수축 저감모델을 제시하였다. 1. 시멘트 경화체가 왜 수축하는지에 대해서 지금까지의 학설을 보면 모세관장력에 의해서 설명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이었다. 수축저감제는 이러한 모세관장력 이론에서 물의 표면장력을 저감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시멘트 경화체의 수축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하지만, 모세관수의 감소에 의하여 시멘트 경화체에 생기는 부압은 결과적으로 물이 채워져 있는 부분에서 응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이 채워져 있는 부분을 고려한 수축저감제에 의한 자기수축저감모델을 제안하였다. 2. 지금까지 팽창재에 의한 수축저감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지만, 주로 실험에 의한 것이었으며 정량적인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팽창재에 의한 자기수축 저감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팽창재의 수화반응을 모델화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팽창재의 수화반응 모델을 제시한 후, 팽창제의 수화에 의한 부피팽창과 이에 따른 시멘트 경화체의 팽창에 대하여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을 기초로 하여 콘크리트가 구속된 경우의 응력거동에 대해서 예측하고 실험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1. 구속된 콘크리트의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크리프와 크리프계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VRTM(Various Restrained Testing Machine)를 이용해 크리프와 크리프계수를 구하였다. 2. 구속된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JIS의 구속 시험체를 이용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축저감제 및 팽창재에 의한 약재령 고성능콘크리트의 자기수축은 저감시킬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에 대한 검증 실험의 횟수가 부족하고, 팽창재가 시멘트 존재하에서 수화반응의 차이등 앞으로 검증해야 할 부분도 남아 있어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완주군 과학산업단지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도입 및 관리방안 연구 : 비점오염저감시설 현장도입 사례 연구

        박윤일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완주군은 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 저감방안이 마련되고 있으나 비점오염원에 대한 적절한 저감시설이 부족한 실정으로 해당지역의 적정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지의 선정,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시설 선정 등을 통해 완주군 과학산업단지에서 발생되는 초기우수에 의한 비점오염 물질을 처리하여 석탑천 및 만경강의 수질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점오염원의 개념과 관리 방법 등 비점오염원의 기본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주요 정책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론 고찰에서 도출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대상지인 완주군 과학산업단지의 비점오염시설 계획과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음.

      • 바닥판 진동 저감을 위한 임팩트 댐퍼의 성능에 관한 연구

        김수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바닥판의 두께를 증가시켜 구조물의 진동을 줄이는 고전적인 접근방법은 그 성능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진동저감시스템을 바닥판에 적용함으로써 바닥판의 효율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진동을 저감시키고자 한다. 바닥판의 거동 및 동적특성을 지배하는 질량, 감쇠, 강성 3가지 요소를 변경하는 진동 저감 시스템을 적용하여 그에 따라 바닥진동의 특성과 저감효과를 소형바닥판 실험체를 통하여 평가한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성능이 검토된 진동저감시스템을 실 스케일 바닥판 모형에 적용하여 각 시스템에 따른 진동저감효과를 평가하여 최적의 저감효과를 가지는 진동저감시스템을 선정한다.

      • 우수유출 및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고찰

        김용현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불투수층 증가로 인해 지역의 유출 특성이 변화하여 강수시 하천으로의 급격한 유입이 발생하므로 이수적인 측면에서 지하수량 확보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치수적인 측면에서는 우수유출로 인한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각종 오염물질이 우수유출수와 함께 수계로 유출되어 수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수유출 및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종류와 기능 및 역할을 살펴보고, 우수유출 및 비점오염원 저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우수유출 저감시설과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개요에 대해서 정의하고 국내의 보고서와 논문집에 발표된 연구와 지침 등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선진국의 우수유출저감시설 관계 법률 및 규정과 적용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 비점오염원 저감시설의 국내외 관련기술 적용현황과 관계 법률 및 지침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관계 법령 및 지침 등의 적용시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 적합한 저감시설의 설치, 운영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도로교량에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개발과 효율분석

        정찬욱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로 대부분을 다목적 댐 등에 의해 조성되는 지표수를 주요 수자원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도시화와 산업발전으로 인해 공공유역의 오염부하가 가중되고 있어 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비점오염원이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수자원의 수질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각 용량별 소용량 저감장치와 대용량 저감장치로 나누워 개발하였다. 개발된 저감장치의 효율성을 분석하기위하여 모충교 교량의 하부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같은 시료를 사용하여 소용량 저감장치와 대용량 저감장치에 직접 실험을 통하여 저감장치가 실제 교량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저감장치를 통하여 하천에 유입되었을 때의 그 효과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소용량 저감장치의 경우 부유물질 제거에서 큰 효율성을 보였으며, 대용량 저감장치의 경우에도 총인을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에서 오염물질이 크게 저감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Our country is a water shortages that are creating major water by the multi-purpose dams and surface water. However,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river pollution is serious. Non-point pollution sources, especially coming into the river, the problem of water quality has been greatly research. In this research,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from the paved highway bridge caused the river water quality impacts were analyzed. And developed the reduction device 2 types that for small amount of rainfall and large amount of rainfall. To analyze the efficiency from the bottom of the bridge were analyzed by sampling. Through a direct experiment that the actual reduction devices that reduce pollution arising from the bridge through the river flowing into the device when its effects have been researched. After researched, in case of reduction device for small amount of rainfall was greater efficiency in removing suspended solids and in almost every part of the effect of reducing contamination.

      •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선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용복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고속도로 현장 특성별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적용시험을 통해 적정 저감시설 선정과 적용방안 제시로 노면유출수에 의한 비점오염저감물질을 최소화하여 고속도로 주변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환경친화적인 고속도로 건설에 기여하는 것이다. 전국토의 70%가 산지로 구성된 지형의 특성상 도로건설로 인한 환경훼손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와 향후 환경과 조화된 도로건설을 위해 환경영향평가 대상으로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대상사업인 고속도로 건설에 대해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적정한 선정 및 효율적인 적용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고속도로는 분명 대상 배수유역과 집수면적의 여건 등 여러 가지 환경특성에 의해 현장이 상이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연구의 성과를 위해 현장별로 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고속도로의 현장분류는 비점오염원 최적관리지침에서 4ha 이하의 소유역에 설치하는 식생여과대와 소규모습지의 설치기준을 적용하여 집수면적이 4ha 이상인 지역은 집수면적이 넓은지역으로, 미만인 지역은 집수면적이 좁은지역으로 하였으며, 교량지역을 포함하여 3개 현장으로 분류하여 고속도로 모든 구간에서 적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장별 적용시험을 위한 저감시설은 시설의 장⋅단점과 국내⋅외의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저감시설은 TSS, BOD, COD, T-N, T-P의 5개 분석항목의 제거효율과 부지선정의 적합성, 경제성, 유지관리의 용이성 등의 평가요소를 고려하여 최종저감시설을 선정하였다. 제거효율분석결과 고속도로 주변 집수면적이 넓은지역은 자연형시설이 장치형시설보다 제거효율이 높았으며, 자연형시설의 경우 모든 저감시설이 만족하였고 우선순위는 침투저류지>침투도랑>인공습지>식생수로>식생여과대 순으로 나타났다. 집수면적이 좁은지역도 자연형시설이 장치형시설보다 제거효율이 높았고, 자연형시설은 침투도랑>식생수로>침투여과조 순이며, 교량지역은 침투저류조>여과형시설>식생여과대 순으로 제거효율이 분석되었다. 경제성은 설치비의 경우 현재 설치되었거나 설치계획 중인 저감시설에 대한 검토결과, 저감시설 1개소당 평균설치비는 자연형 시설 28,175천원, 장치형시설 45,743천원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지관리비는 2년간의 비용을 종합하여 산정한 결과, 자연형시설은 1,254천원/ha, 장치형시설은 3,946천원/ha으로 조사되어, 자연형시설의 유지관리비는 장치형시설의 약 32% 수준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적합한 선정을 위해 5단계의 종합평가 안을 1단계 대상배수유역 선정, 2단계 저감시설 부지선정, 3단계 유지관리 용이성분석, 4단계 시설별 기술적 평가, 5단계 최종 시설선정과 효율적 적용방안을 제시하여 환경친화적인 고속도로 건설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perform pollution mitigation facility suitability test for each of the highways’ unique characteristics, thereby making optimal selections for mitigation facilities and propose implementation methodologies through which to minimize non-point pollution mitigation substances that in turn prevent pollution of soil and waterways around the highways and contribute to buil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ways. Korean territory is covered with mountains by more than 70%. Such a characteristic had consistently raised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damages caused by road constructions. So in order to build roads that are in balance with surrounding natur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reasonable selection process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non-point pollution mitigation facility when building highways which are subject to mandatory non-point pollutant source installation report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ecause highways have very different on-site characteristics due to environmental peculiarities and the drainage basins etc, in order to achieve detailed research results, exclusive suitability tests for each of the sites were carried out. By applying the installation standard for installing vegetated filter strips at the sub-water sheds under 4ha guided by the optimal non-point pollutant management guide, highway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big drainage basin (≧4ha), small drainage basin(<4ha), and the one for bridge section, there by covering all the sections of highways. As for the mitigation facilities for the suitability tests, they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case studies from both domestic and overseas and each facility’s merit. The selected facility underwent evaluation in terms of removal efficiency of TSS, BOD, COD, T-N, T-P, compatibility of site selection, economic feasibility, and maintenance convenience and the final mitigation facility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moval efficiency result, the area of Big Drainage basin had higher removal efficiency with natural facility than that of the Manufactured Treatment Device. And as for the Natural Facility efficiency, every mitigation facilities was satisfactory, and the precedence order was as the following - Infiltration Basin > Infiltration Trench > Artificial Wetland > Grassed Swale > Grassed Filter. As for the small drainage basin area,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Natural Facility was higher than the Manufactured Treatment Device. In Natural Facility, removal efficiency ranking was in the order of Infiltration Trench > Grassed Swale > Infiltration Filter. The removal efficiency order of bridge section was Infiltration Basin > Filter-Type Facility > Grassed Swale. After reviewing the mitigation facilities that had already been installed or under an installation pla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installation cost per installed site was ₩28,175,000 for the Natural Facility and ₩45,743,000 for the Manufactured Treatment Device. As for the maintenance cost, the total cost over 2 years showed ₩1,254,000/ha for the Natural Facility, and ₩3,946,000/ha for the Manufactured Treatment Device, so the Natural Facility’s maintenance cost was 32% of the Manufactured Treatment Device. To make appropriate selection of non-point pollution mitigation facility of highways, this study will aim to contribute to building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ways by proposing the selection processes of 5 stages – 1st step of selection the target drainage basin, 2nd step of selecting the land for the mitigation facility, 3rd step of analyzing the ease of maintenance, 4th step of technical evaluation of each installation and the 5th step of evaluation points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methods.

      • 탄소저감형 마리나의 표준 모델에 관한 연구 : 2014 인천아시안게임 요트경기장을 중심으로

        박진우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탄소저감형 마리나 시설의 표준 모델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국․내외 국제 요트경기장 시설과 관련한 기초자료 분석 및 현장 조사를 통해 합리적인 탄소저감형 요트경기장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 종목 중에서 유일하게 해상에서 경기가 진행되는 요트 경기는 육지에서 열리는 타 종목과 달리 경기운영과 안전관리 면에서 전문적인 시설과 운영방법이 요구된다. 특히, 경기 진행 중에 발생 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기상 악조건과 해상의 위험성을 내포하며 경기를 치러 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경기장의 시설과 운영에서 전문적이고 합리적인 설계가 되어있지 못할 경우, 수많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 및 경제적 손실을 초래 할 수 있다. 현재 범세계적으로 자연친화적인 시설이 각광받고, 이에 따른 이용률과 저변확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지구 온난화와 관련하여 국제사회의 가장 큰 이슈로 떠오른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와 국가 정책의 기본 방향인 ‘저탄소 녹색성장’에 의해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이산화탄소 배출문제와 저탄소 녹색성장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가장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며 후손에게 물려줄 유산인 지구 환경의 미래적 가치로서도 최상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4 인천아시안게임’의 운영 규모 및 특성 등을 감안하여 새로 건설 할 예정에 있는 인천 ‘왕산요트경기장’을 표본 모델로 연구하였다. ISAF(세계요트연맹)의 국제 요트경기 운영 규칙과 아시안게임의 특성에 적합한 국제규모의 요트경기를 수행하게 될 시설에 대한 합리화와 친환경 선진화를 포괄하는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요트경기장 시설에 대한 실증적 실태조사와 현행 마리나시설 관련 법규 및 국제요트경기 운영 내용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향후 ‘2014 인천아시안게임’을 성공리에 개최하게 될 왕산요트경기장의 모범적인 경기운영시설 구축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미래지향적인 탄소저감형 요트경기장 시설의 표준모형 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14 인천아시안게임’을 성공리에 개최하고 국제적 규모의 요트경기를 진행 하게 되어 새로 건설되는 ‘왕산요트경기장’의 마리나 시설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아시안게임이 끝난 후에도 주요한 국제요트경기 행사를 계속적으로 유치 할 수 있어야 하며, 평상시에는 일반 시민들에게 제공되는 수준 높은 여가선용 해양리조트의 시설로서 자리매김 하여야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본 연구는 국․내외 요트경기장 시설의 실태 및 관련법규 분석과 선진 요트경기 마리나 시설을 위한 구축 방안 및 탄소저감형 시설의 표준모형 제시를 위한 현지조사 연구로 구성되어 관련자료 분석과 왕산 요트경기장 현장 및 국내 요트경기장의 마리나 시설 현장방문을 통한 시설 및 운영 현황에 대한 실태 조사와 전문가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해외 요트경기장에 관한 자료 분석은 해당 홈페이지와 홍보자료 및 국제요트경기 진행 자료 등을 분석하여 요트경기장으로서의 마리나 시설을 유형별로 분류하였으며, 국내 요트경기장은 연구 목적과 관련 있는 학회 논문, 통계 보고서 및 정부 보고서 등을 주 대상으로 하여 국내 요트경기장의 시설 보유 현황 등과 해외 시설과의 차이점 및 보완점 등의 내용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국제요트경기장으로서의 왕산요트경기장은 지리적 위치 상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양생태계를 보호하는 친환경 시설을 배치하여야 한다. 부대 편의시설의 규모와 구성면에서 국내 기존 시설의 미비점 등을 보완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아울러 미래 지향적인 첨단 복합 시설을 갖추어야만 2014 아시안게임 이후에도 활용가치가 높은 마리나 시설로서 각광받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막대한 예산의 지출과 운영의 수익성면에서의 문제와 마리나 시설의 선진화된 운영서비스 개발과 관광 상품화 등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전문가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주제어 : 아시안게임, 요트, 마리나, 탄소저감형, 표준모델, 스포츠, asian games, yachting, low carbon, marina, standard model, 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