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정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용명숙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본 연구는 노인의 공식적 사회적 지지체계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정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재가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안정된 노후를 보내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 우울의 수준은 어떠한지 탐색해 보고,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정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가 노인의 우울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 포천시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유효 설문지 25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설문지의 신뢰도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각 요인별 신뢰도(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와 우울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하였다. 셋째, 각 설문 요인의 개인변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통계기법은 독립표본 차이분석(T-test), 세 집단이상의 차이분석(One Way ANOVA) 등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보면 성별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중 정서서비스와 사회봉사서비스만이 차이가 증명되었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전체 이용정도는 나이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에 대한 나이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정도와 우울정도는 교육수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거주형태에 따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와 우울정도는 정서서비스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정도와 우울정도는 생활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정도와 우울정도는 정서서비스, 사회봉사서비스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정도가 노인의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 검증한 결과는 부분적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어르신은 우울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우울정도가 심해진다고 설명할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들을 볼 때, 역할상실, 소외문제, 건강문제 등으로 우울감이 많은 노인들이 삶의 질을 높이고 안정된 노후를 보내기 위해서는 우울의 원인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거동이 불편하여 재가에 있는 노인들이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어느 정도 이용하고 있으며 우울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노인들이 지역사회내에서 가족들과 더불어 생활하기를 원하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utiliza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 for elderly, which is the official social support system for elderly, on their depression. It also aims at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and studying about how to spend energetic old age. To meet this end, the study issues are as follow; Total 250 subjects are selected(male 110, female 140), who reside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the Pocheon-si. To analyze difference among individual variables of each survey factors, the T-test, One Way ANOVA and the Regression Analysis are utilized for analysis. Through these process, the results is as follow; First, overall, only the difference between mental service and social service has proved among all community care services by sexes. Second, only the mental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both utilization and depression of the community care services by residence type. Third, only the mental service and social serv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both utilization and depression of the community care services. Fourth,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about the effect of utiliza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 for elderly on the elderly's depression showed in par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It can be translated as the more the elderly uses the health care services the more depression they feel and the worse their medical condition is the worse their extent of depression also. Consequently, to make the elderly, suffering from loss of role, alienation and health issue spend more energetic old lif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valuable meaning as it seeks to find options and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 for elderly.
강인식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경제의 성장기로 불리는 새마을운동의 시작과 더불어 197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산업화, 도시화로 인하여 의료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수명연장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을 가져왔지만 최근 대가족집단의 다산의 가정에서 소가족집단 소산의 가정으로 점차 변화되어 왔으며 또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여러 가지 이유로 가족부양자수가 더욱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병 장수하는 고령의 노인의 증가, 핵가족화의 여성의 경제활동참여 증가, 부양의식의 감소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체인구에서 노인인구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가복지서비스의 현황을 Gilbert 와 Specht의 분석틀을 적용하여 할당(대상)체계, 급여체계, 전달체계, 재원체계등을 분석하는 기준으로 삼고자 하였으며, 우리나라 노인재가복지 개선방안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현행 노인재가복지서비스는 제한된 노인복지사업지침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서비스의 질과 양 두 가지 측면에서 대상자들에게 현실적으로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전문 인력의 부족 및 전문성 결여, 실무기준 미비, 각종 서비스의 혼란 속에 1주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아직도 각 사업주체들이 특성화되어 있지 않아 업무와 서비스, 행정상의 전달체계가 상이하여 서비스간의 연계나 조정에 어려움이 많이 생기고 있는 실정이다. 재정의 문제는 모든 과제 해결의 실마리로서 소폭 예산증액이 되었지만 실질적인 재정의 확충 계획은 없었다. 이에 노인제가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대상자의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재가노인복지 서비스는 주로 65세 이상의 생활보호대상노인이나 저소득층의 등급(1,2,3)등급으로 제한되어 이루어 진 게 사실이다, 그러나 노인재가복지서비스는 거의 모든 노인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사회보험성격의 기본적 서비스제도이므로 사회복지의 보편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일반 재가노인에게도 서비스를 확대 시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서비스내용의 확대 및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노인재가복지 프로그램이 가사지원 서비스, 개인활동 지원서비스, 우애서비스 등으로 매우 제한되어 있어 서비스의 종류와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현재 노인재가복지서비스 대상노인이 가장 선호하고 있는 서비스는 건강관리에 관련된 서비스로 방문요양, 방문간호, 등과 같은 사업의 확대지원 및 활성화로 의료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또 목욕서비스, 가정배달급식 서비스, 안부전화 서비스, 교통편의 서비스도 같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주간 및 단기보호사업의 서비스 내용도 주부양자나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고, 치매 ,중풍노인이나 임종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서비스 시간도 욕구에 맞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전문인력 양성 및 자원 봉사자와의 연계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요양보호사양성에 있어서 실질적인 가사도우미·의료·복지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서비스에 필요한 간호, 재활, 가사 등을 담당할 교육의 관리체계의 정비가 필요하며, 요양보호사의 자격기준을 강화하여 실제로 케어하는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을 확보하여 서비스대상자의 안전과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학습뿐만 아니라 사후 교육과 같은 전문적인 현장실습과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사례관리의 노하우를 서로 공유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무급 봉사원이나 지역 자원봉사자의 확보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봉사원이나 자원봉사자의 정기적인 포상, 활동비 지급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참여의식의 고취시켜 부족한 인력을 보충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서비스가 전적으로 자원봉사자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기관은 자원봉사자의 인력부족으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들에게 요양보호사를 파견하지 못하는 등 많은 애로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신분을 보장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미흡하며,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및 홍보부족으로 인하여 봉사원, 봉사자의 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실정이다. 넷째. 재가복지서비스의 정부, 지방의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여야 한다. 현재 재가 노인복지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수준이 낮아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할 수가 없으므로 정부지원을 확대 및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방 자치단체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배분과 업무분담, 지방정부의 재정자립을 위한 적절한 예산분배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정부보조금 이외에 기업, 종교단체, 사회단체의 기부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부는 민간의 참여로 재가서비스 기관을 충족하고, 민간참여가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는 농어촌의 경우 재가서비스 기관의 설치를 지원하여야 한다. 다섯째, 노인재가복지서비스의 홍보 및 인식제고의 부족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시행후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ince the 1970s along with the beginning of Saemaeul Movement(New Community Movement), which is called the period of economic progress, the development in medical technology brought about positive aspect called extension of a human being's longevity. However, there has been a gradual change in these days from the home with fecundity in large-family group to the home with low fertility in the small-family group. Also, owing to the severally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easons, the number of independent family members tends to grow further.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whole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up to reaching the present due to several causes such as a rise in old-age people who live a long life with disease, a rise in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in nuclear family, and reduction in consciousness of a support. This study aimed to have it as the standard for analyzing assignment(subject) system, allowance system, delivery system, and financial-source system by applying the analytical frame of Gilbert and Specht to the present status for in-home welfare for the elderly. Given summarizing and arranging the improvement plan for Korea's in-home welfare for the elderly, those are as follows. The current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s failing to offer service enough to be satisfied realistically to subjects in two aspects of quality and quantity in service with failing to escape from the scope of the restricted elderly welfare program. It came to greet the 1th anniversary amid the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of professionalism, the insufficiency for the practical-affair standard, and the confusion of several services.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each of project entities fails to be characterized yet, thereby being different in a delivery system in light of work, service, and administration, resulting in occurrence of lots of difficulties for connection or adjustment between services. Accordingly, given arranging the improvement plan for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ose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ecessity for expanding to support service subjects. It is a fact that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so far has been performed by being limited mainly to the elderly as the livelihood-care subjects in over 65 years old or to the low-income grade (1,2,3). However,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s the basic service system with the social-insurance character, which almost all the old people need in common. Thus, there will be necessity for expanding to enforce service even for the general stay-home elderly based on the principle of universalism in social welfare. Second, there is necessity for expanding service contents and developing diverse programs. The in-home welfare program for the elderly is very limited to housework supportive service, individual-activity supportive service, and friendship service, thereby having limitation in enhancing kind and level in service. The service, which is being preferred the most now by the elderly as the subjects of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s the service related to health care. Thus, the medical needs should be satisfied by expanding to support and vitalizing programs such as visit caring and visit nursing. Also, there will be necessity for being offered together even bath service, home-delivery meal service, say-hello call service, and transportation-convenience service. Even the service contents of daytime & short-term care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a program for main supporter or family, to be developed a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stroke or the patients with passing, and to be offered even service time in line with the needs. Third, there is necessity for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and for positively utilizing connection with volunteers. To offer the substantially housework helper and medical & welfare service as for training care workers, there is necessity for consolidating a management system of education, which will be in charge of nursing, rehabilitation, and housework necessary for service. There is necessity for enhancing quality of safety and service in the service subjects by securing professionalism of care workers, who actually take care, through reinforcing the standard for qualification of care workers. A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that can be mutually shared know-how in the case management through the professionally field practice and the continuous education like post-education as well as online learning for this. Also, a research needs to be actively performed on a plan for securing and managing unpaid workers or local volunteers. Insufficient manpower needs to be supplemented by arranging the countermeasures such as regular reward and activity-fee payment for public-service workers or volunteers and by encouraging the participatory consciousness in the volunteering activity. In Korea now, the service is being performed totally by volunteers. Most of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stitutions have lots of difficulties such as failing to dispatch care workers to the subjects who need service, due to the lack of manpower in volunteers. An institutional device is insufficient now that can secure volunteers' social standing.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security of volunteers is not easy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and publicity for volunteering activity. Four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local self-government for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needs to be expanded. The government's current financial support level for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s low, thereby being unable to offer service rightly, resulting in being desirable to expand and improve the government's support. Also, the local self-government will need to be achieved the service distribution and task division of considering re
김하경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산업화에 따른 전반적인 소득수준의 향상과 생활환경이 개선되고 보건, 의료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평균수명의 연장되면서 노인인구도 증가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이들을 돌볼 가정은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화, 핵가족화와 자녀수의 감소, 여성의 사회참여 등 급속한 사회구조의 변화로 가족의 구조와 기능도 변화되면서 가족 부양체계가 약화되었다. 또한, 노년기가 늘어나면서 노인복지의 욕구가 증대되고 다양화, 고도화되었다. 현재 우리 나라의 고령화 문제는 그 진행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일본의 기록을 경신시킬 것으로 전망되어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급속한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이제 노인부양문제는 노인자신과 부양가족의 문제만이 아닌 사회공동의 책임영역으로 점차 전환되면서 이를 대처해 나갈 사회적 지원체계가 불가피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나라는 전통적인 경로효친이라는 유교이념 하에 빈곤하고 무의무탁한 일부 노인을 시설에서 보호하고 대부분의 노인들은 가족들에 의해 부양되어 왔었다. 그러나 시설보호는 관료적이고 통제적이며 운영의 비효율성 문제에 대한 비판이 있어 왔다. 또한 재정적 한계로 요보호노인을 시설에 전부 수용할 수도 없으며 가족과 지역사회로부터 격리된 시설입소자들의 정상화(normalization)와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이라는 이념 하에 1970년대부터 시작된 세계적인 탈시설화(deinstitutionalization)의 경향의 확산과 시설보호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가정과 지역사회가 중심이 된 재가노인복지의 필요성이 강조되게 되었다. 따라서 재가노인복지에 대한 이해와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를 먼저 경험한 복지선진국과 우리 나라의 재가노인복지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우리 나라의 문화와 실정에 맞는 재가노인복지의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재가노인복지사업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재가노인복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서비스 현황분석을 통해 재가노인복지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재가노인복지에 관련한 문헌연구와 노인관련기관의 통계 및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문제점에 관한 분석의 틀로는 N. Gilbert, H. Specht & P. Terrell 이 제시한 급여대상, 급여내용, 전달체계, 재정의 측면에 기준하였고 이에 입각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여대상과 관련하여 수급 대상 노인의 선정기준 개선과 대상자의 확대가 이뤄져야 한다. 현행 대상노인의 성정기준을 현실적인 노인가구 경제지표와 건강상태지표에 따라 개선해야 하며, 대상자 확대를 위해 기존의 선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 보편주의 방식으로 전환하여, 소득수준에 따라 무료와 수익자 부담으로 대처하여야 한다. 둘째, 급여의 내용에 있어서는 담당인력과 서비스내용의 전문화, 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전달체계에 있어서는 행정체계의 일원화와 사업주체의 기능을 특성화시키고 서비스의 통합적 연계체제를 구축하여 시설기준과 직원배치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넷째, 재정지원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 재정의 일정한 확충 속에서 그 부족 분을 충당하기 위해 민간부문 및 지역사회의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지역사회주민의 참여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의 인적·물적자원을 최대한 동원하여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The aged in South Korea have increased as improving of income level and living environment, and advancing in health care. However, the households looking after the aged people have been weaken through industrialization that lead to rapid changing of the framework of society by urbanization, nuclear family, decrease of children and increase of double income family caused changing of structure and functions in family. Furthermore, from extension of senescence the welfare for the aged required more attention in enlargement, diversification and higher-grade. South Korea becoming an aging society is progressing very quickly, even it is more quicker than Japanese's record, it means it might be an unprecedented phenomenon in the world. In time of the aging society, the matter of supporting the aged becomes a pending problem to not only to the aged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but to the community as a common responsibility. Therefore, newly social supporting system for the aged is inevitably required. In spite of rapid changing to the aged society, according to Confucianism some of helpless old people have been taken to the institution for the aged and the mostly old people have been kept up by their own families. Keeping up the aged in the welfare facilities have been criticised from its bureaucratic, control and inefficient operation. Besides, the limitation of finance of the welfare facilities cannot allow to keep up all of them in and since 1970s, the diffusion of the trend of the deinstitutionalization that implies normal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for the aged in the welfare facilities and other problems have led to the necessity of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as an alternative plan worked in by households and communities. Therefore, the author think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study systematically on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wo-fold. First, the general state of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in advanced countries and South Korea is analysed and it presents the problem. Second, based on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pending issues for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it provides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in South Korea. For satisfying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t explored the opinion of practitioners, articles, dissertations and statistic data related to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In order to arrive at recommendations for the welfare of being-at-home the aged, this was done by the aspects of the subject of welfare, the contents of welfare, distribution system and finance argued by N. Gilbert, H. Specht and P. Terrell. Based on this, the study was able to arrive at five recommendations. First, in connection with subject of welfare, the criteria for selection and applicable old people have to be improved; second, in the contents of welfare, diverse programs to satisfy the aged have to be developed; third, in distribution system, one-stop service and integration system are required and the standard of facility and deployment of officer are strengthen; fourth, increasing finance by central government and legislation for replenishing a shortage from non-government and communities are required; and lastly, based on participation of community, all resources are utilized efficiently.
농촌지역 재가노인복지사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현대사회는 경제.사회.의학의 발전으로 평균수명 증가와 더불어 만성노인질환 자수가 급증하고,출산율 감소에 따른 인구고령화 현상으로 가족이나 지역사회,넓 게는 사회 전체가 큰 도전을 받고 있다.최근에는 우리나라의 가족제도의 변화 및 노인부양의식의 약화 등으로 노인들의 경제문제,건강문제,여가활동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이러한 현실에서 노인을 돌보는 문제가 가족의 문제만 이 아니라 사회문제로 파급되면서 노인복지서비스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매우 절실 한 때이다. 본 연구는 먼저 우리나라의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발달과정을 알아보고,전라남 도 장성군을 중심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서비스 실태,수혜 대상 노인들과 이웃 에 살고 있는 비 수혜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실제적인 욕구와 서비스 운영방안 의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파악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본 연구에서는 재가복지서 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들과 재가복지서비스담당자들을 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사 용하였다.본 연구를 위한 면담은 전남 장성군 지역에서 재가 노인복지서비스를 제 공받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20명과 면사무소 및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사회 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2005년 8월 10일부터 10월 4일까지의 기간동안 본 연구자가 직접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2005년 현재,장성군의 재가복지서비스는 3개의 가정봉사원파견시설과 1 개의 주간보호시설,2개의 단기보호시설,그리고 보건의료원의 방문의료서비스 등이 시행되고 있었다.그러나 실태조사결과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는데 먼저 대상자 선정에서는 선정기준의 경직성과 모호성이 제기되었고,서비스 내용에서는 서비스 유형의 단편성,봉사원의 전문성 결여 등이 지적되었다.그리고 전달체계의 문제점으로는 업무체계의 연계성 부족,노인 복지행정의 독자성 결여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비 수혜노인들은 가정봉사원서비스 대상들의 현재 절대다수인 98%가 국 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의 노인들이기 때문에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서비스가 확 대되기를 기대하였다 또한 현재 가정봉사원 파견기관은 단지 2개소로 노인들은 근 거리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해줄 것을 원하고 있었다.또한 수 혜노인들은 현재 청소나 식사제공,약물 전달 등에 국한되어있는 봉사서비스가 보 다 실제적이고 적극적인 간호 및 처치까지 확대되기를 희망하였다. 재가복지서비스 운영 및 정책에 대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운영상의 개선 면에서는 ① 대상노인 선정기준의 세분화 ② 대상노인의 확대 ③ 대상노인의 실태조사 ④ 서비스내용의 확대 ⑤ 서비스내용의 전문화 ⑥ 가정봉 사원 교육내용의 강화 ⑦ 서비스내용의 표준화 ⑧ 사업주체별 특성화 ⑨ 재가노인 복지 실천에 있어 복지관의 역할과 연계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정책상의 개선을 위하여 ①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강화 ② 예방적이고 종합 적인 서비스 체계망의 수립 ③ 유료노인복지시설 공급확대 등 고령친화산업의 활성 화 ④ 재가복지기관의 지역별 균형 ⑤ 행정체계의 일원화 ⑥ 직원배치 기준의 강화 ⑦ 시설기준의 강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재가노인복지서비스는 급변하는 사회복지환경 속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점과 해결과제를 안고 있다.따라서 서비스 이용대상노인의 잔존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에 대한 참여를 최대화 시키며 그들이 지역 사회 내에서 통합되고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지역사회,가족,개인 등이 모두 힘을 합쳐서 다각도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는 급속히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과 거동불편 및 치매 등으로 장기적인 보호가 필요한 요 보호노인들이 급증하고 있다. 2000년 현재 시설보호를 받고 있는 노인들은 전체 노인의 0.4%이며, 절대다수인 99.6%의 노인들이 가정에 거주하고 있어 이들 노인들에 대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들이 시설에 입주하지 않고 가정에 거주하면서 가정과 지역에서 부양을 받을 수 있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개선하고 확대 발전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노인복지가 갖는 당위성과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중시되는 이유를 살펴보면, 첫째, 노인 자신들이 시설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나 태도를 갖고 있으며, 둘째, 노인인구 증가와 비례하여 원조를 필요로 하는 노인들이 증가하고 있고, 셋째, 시설 수용의 한계와 시설수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운용상의 제약 등에 따른 비판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론적 모형에서는 대체모형과 위계적 선택모형, 분업모형, 보완모형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살펴보았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면,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주간보호사업, 단기보호사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주된 대상은 국민기초생활보장을 받는 노인과 저소득노인으로 대상이 제한적이었으며, 서비스 기관 및 인력부족으로 인하여 극히 소수의 노인들만이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서비스 대상지역이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지역적 편중이 심하였고, 재정면에서는 인건비나 겨우 충당하는 정도로 매우 열악하였다. 또한 서비스의 내용이 단순하고 서비스 수준도 낮은 상태였다. 문제점으로는 노인의 경제적 능력으로 대상을 제한하고 있으며, 노인 독신가구나 노인 부부만으로 구성된 노인단독가구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농어촌지역은 서비스 기관이 설치되어있지 않았다.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대상 노인이 1,560천명에 이르고 있으나 서비스기관 및 종사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의 다양화와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정부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대한 예산은 전체 노인복지예산의 1.37%로 극히 적은 규모이다. 개선방안은 가정봉사원 파견서비스 및 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를 총괄하여 제시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가족의 부양가능 여부에 따르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인은 공적 서비스기관을 이용하고, 중산층 이상 노인들은 시장경제원리에 따른 민간 서비스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민간의 시장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책수립이 필요하며, 전문인력 양성과 보건·의료기관과의 연계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 제공은 물론 질적 개선이 되어야 한다. 의료기관들이 부족한 농어촌 지역에는 공적 서비스 기관을 신설하여 이 지역 노인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며, 노인복지예산의 대폭적인 증액을 통한 재가노인복지 예산의 증액과 민간자본을 참여시켜 일정부분을 해결하는 노력도 중요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를 간략히 종합하고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확대 발전시키기 위하여 전국적 규모의 노인생활실태 및 노인복지욕구 조사를 실시하여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양적·질적 수요를 측정하여 단기, 중기, 장기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손시현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우리나라의 재가노인은 신체적 허약, 정보의 부족, 인식능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사회복지대책에 접근하기가 매우 어렵고 개인적 및 가족적 부양능력의 차이로 다양한 욕구들이 표출되고 있어 재가노인들이 가족이나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고 더 나아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서비스의 제공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사회복지분야에서 발전하고 있는 사회사업실천방법인 사례관리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사례관리 실천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재가노인복지시설 중 가정봉사원파견시설에서 직접 사례 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1998년 10월 15일에서 10월 2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72부를 배포하여 53부를 회수하여 73.6%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일원분산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가노인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연령, 근무연수가 매우 낮으며 여성의 비율도 남성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2. 사례관리 실천 과정을 살펴본 결과 사회복지사 자신들이 사례관리라고 규정하지는 않지만 접수, 사정, 계획, 실행, 점검, 평가 과정에서 실제적으로 사례관리 실천방법이 요구하는 여러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사례관리 실천 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 노인클라이언트의 욕구 조사 및 서비스 계약과 비공식지원체계에 대한 조사·계획·연계가 제대로 실행되고 있지 못하며, 서비스에 대한 결과를 평가하는 실천도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4. 사회복지사의 일반적 특성과 사례관리 실천 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이 비공식 지원체계 조사와 클라이언트의 능력 조사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20대보다 30대가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계획 수행에 대한 점검을 더욱 활발히 실천하고 있다. 그리고 대졸 이상인 사회복지사보다 전문대졸 이하인 사회복지사가 서비스에 대한 세부적인 목표 설정을 잘 하고 있으며, 1급 자격증 소지자에 비해 2·3급 자격증 소지자가 사전적격조사와 평가를 보다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근무기간에 따라 노인클라이언트의 공식지원체계에 대한 조사와 서비스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 적극적인 사례관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재가노인복지시설에서는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가 장기적인 보호를 요하는 노인클라이언트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전문 지식 습득과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근무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2. 사회복지사는 노인클라이언트의 욕구 조사 및 계약, 그리고 지역사회에 있는 자원들을 확인하고 목록화하는 실천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개발자, 이를 연결시켜주는 연계자, 서비스 기획자, 조정자, 평가자로서 전문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3. 재가노인복지를 위한 시설에 근무하는 여성 사회복지사는 재가노인의 특성·문제·환경을 보다 다각적으로 사정하고, 20대의 사회복지사는 적극적인 점검을 실시, 대졸 이상인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세부적인 목표 설정과 사전적격조사 및 평가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고 실천해야 하며, 근무 기간이 길수록 공식지원체계에 대한 조사와 평가를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할 것이다. 4. 사회복지 전공 계열의 학과에서는 관련 커리큘럼을 갖추어 교육을 실시하고, 앞으로는 재가노인복지 분야의 범주를 더욱 넓혀 사례관리 실천의 적용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여야겠다. It is so urgent to provide the elderly at home with appropriate service to make independent life and to maintain quality of life in their family or regional society boundary because they are limited to approach social welfare system due to physical weakness, shortage of information and insufficient perceptivity and they have so diverse desires on account of differences in individual or family capability. The object of the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to analyze case management developing in social welfare study area necessary to offer effective service to the elderly at home and to apply implementation method of case management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t home. Empirical testing was accomplished in this study through experiment method and questionnaire data collected from 53 social worker responsible for case management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t home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C+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cognized that social worker managing cas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t home, tend to be low-aged and lack of length of service and woman agency are more in relative to man agency. Second social worker is supposed not to define or perceive their case management action for their own but they actually carry out case management function in making intake, assessment, planning, performance, monitering, evaluation process. Third, it seems not to be enough in examining of the elderly client desire, making service contracts, investigating and planning informal support system and linking between these activities in result of analyzing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case management. Fourth, it was analyzed that correlation between social worker characteristics and the implementation degree of case managemen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or not, in result, man agency is mare active in examining informal support system and client capability than woman agency and agency in thirties investigate more actively service and plan than woman agency in twenties. The more than college trained agency has tendency to set up less detailed service goal than the lower than junior college traned agency and second and third grade license holder is likely to be more active in prior inspection and evaluation in relative to first grade license holder. Furthermore, the length of service makes statistical in examining of formal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client and evaluating service. According to result of this analysis above, it can be presented to social welfare agency some suggestions promoting case management activities in welfare facilities as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of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social worker on duty of case management can acquire expertise and career to management of the elderly client. Second, social worker is asked to be a expert able to develop material by analyzing the elderly client's desire, checking and making list of material in regional society and connenting those functions as a service planner, coordinator, evaluater, specific case manager. Third, social worker of woman agency are more assess character·matter·environment than man and agency in twenties investigate more actively service and plan than in thirties, the more than college trained agency have to be more active set up detailed service goal·prescreening·evaluation. Furthermore, the length of service have to actively in examining of formal support system and evaluate. Fourth, it is need relevant on a college curriculum in social welfare subject.
김진례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1998 국내석사
우리사회의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그리고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는 가족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여 전통적인 가족의 노인부양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같은 사회변화는 사회문제로서 노인문제를 야기하게 되었다. 한편, 지방자치시대의 도래로 지역사회의 복지는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는 주민들의 참여를 용이하게 하여야 하며 지역사회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하는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배경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이론적인 연구를 함과 동시에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전남지역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여 현행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주요 분서 내용으로는 재가노인복지센터의 실설화 운영 현황, 재정 현황, 사업 현황, 행정지도 및 협조관계 등을 다루었다. 연구의 수행방법은 문헌조사와 실태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실태조사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지역의 재가노인복지센터 운영에 있어 그 기간이 짧고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둘째, 시설의 장비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셋째, 유·무급 자원봉사자의 수가 부족하다. 넷째, 재가노인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전개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재가노인복지센터 운영에서 인건비와 사업비를 분리하여 지원해야 한다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최초양성교육과 수시교육으로 이루어지는 자원봉사자 교육에 참여하는 부대비용이 지급되지 않고 있다. 일곱째, 재가노인복지센터는 감독기관과 대체로 협조적이고, 특히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도움을 1차적으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몇 가지 사항을 제시 하였다. 첫째, 전남지역의 재가노인복지센터 확대를 위해서는 먼저 이 지역의 노인복지 관련인과 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하겠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센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원봉사자의 확보가 시급하다. 셋째, 재정지원을 위한 제도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 넷째, 서비스의 다양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하루빨리 주간보호사업과 단기보호사업이 동시에 실시될 수 있도록 정부와 재가노인복지센터의 노력이 있어야 하겠다. 섯째,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서 교육에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이 경제적으로 부담을 갖지 않도록 실비 지원이 있어야 하겠다. 여섯째, 재가노인복지센터는 사회복지전담 공무원 뿐만 아니라 보다 폭넓은 협조관계를 위해 주변의 다양한 사회복지 관련 기관 및 단체 그리고 결연인들과 관계를 맺는 전략이 있어야 하겠다.
康卜子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Contemporary society, because of nuclear family, employment of women and divided families, the family supporting system has became weakened. Especially, since the extension of average length of life and the increase of chronic disease, it is clear that people have realized the importance of new social security system for old people. The social service for in-home aged which focused on the aged who were under government care developed in 1987. Then, according to the second amendments of aged welfare law in 1993,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 aged was classified as i) home helper services ii) day care services iii) short-stay services. But, because the social service for in home aged is recent beginning, there are lots of shortcom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this social service as a whole and to present a counter plan for development of the social service for in-home aged. This study covers the range of three subjects. They are home helper services, day care services, and short-stay services. Methodology for this study used was both of literature survey and interviews by visiting each ho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s the problem of laws and regulations. In the laws of the old welfare which states clearly the old welfare work, the form of the provisions of laws related to services is provided by the voluntary provision and disjunctive form. So, the nation's responsibility is just up to the responsibility of the laws, administration and morality. As a result, if we provide the old for the more actual the old welfare work we have to improve the laws of the old by adding a mandatory injunction. Second, it's the matter of selecting the object of service. As the times goes on, the desires of the old are diverse by the changes of society. The limits of selecting the object of the old welfare work's are so restricted that we cannot meet the services of the needs for the old. So, the legal limits which is given to the old of a small income group and of a livelihood protection group should be open to the general old. What is more, to avoid overlapping of services, the rules defined to the main object of protection should be scientifically subdivided. Third, it's the thing of delivery systems. The social welfare systems of our country have two parts, a planning department and an executive department. In the executive bodies, there are vertical systems of order and submission by triple lines of main offices and local offices. So, the performing duties is postponed and formally done. In addition, there are lacks of effects. To make better these things, it needs that planning, adjusting, managing and performing systems of welfare should be united and organized to answer for the effective welfare work. Especially, we have to make united systems of welfare and preservation of health. Fourth, it's the problem of finance support. Today, the budget for the old welfare is so weak that it just manages to deal with the personnel expenses of the old welfare work. There are no methods to fill up the deficit. So, we have to grade the expenses by the social stratums of the old who have one's share in the expenses to fill up the shortage of the budget. In addition, we have to devise means to gather civil funds and to induce the religions bodies, companies, etc. to join the old welfare work voluntarily. Fifth, the problem of facilities status. Welfare facilities of houseless old is lack and inequality of distribution. So, mostly old aren't benefited of government. For improvement, government have to expand of facilities with priority given to a community and found evenly. Sixth, the problem of export officials. Houseless old want that is medical service and health but export officials who are doctors and nurses, dietitian are lack. For improvement of this problem, each organs have to secure expert officials even a fixed standard. Seventh, the problem of content of service. The welfare service of complex and mixed, the content is various. Welfare facilities of houseless old offer the simple function of protection. So it aren't sufficient a requirement of old. According work government have to develop a unification service program which is health and medical, welfare and a various service. We'll come to a end as suggest a remedy of welfare facilities of houseless old. In conclusion, the political aim of social protection about old who need of protection is. 1) To meet the requirement of old by suggestion of a good prolation service. 2) To make that their use of service government. 3) Solution of problem by the least expense. For reach the aim, the men who are to be engaged in welfare business of old and government have to study continually
在家老人福祉서비스의 實態와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서울特別市 九老區를 中心으로
경제성장과 더불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노인부양기능이 현저히 약화되었다. 이에 따라 노인부양의 문제가 더 이상 노인 자신과 부양가족의 문제만이 아닌 사회공동의 책임영역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를 보완해 나갈 지원체계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기능이 중요하게 대두되었으며, 재가노인들의 다양하고 변화되는 욕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전문화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고자 구로구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중 복지서비스를 주로 받고 있는 저소득층 재가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주요 복지욕구를 조사·분석하여 현재 복지서비스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재가노인의 입장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저소득층 재가노인들은 가족형태에 있어서 자녀와 손자가 함께 거주하는 노인보다는 1~2인 세대가 많으므로 고독감을 느끼고 있으며, 주거형태가 대부분 불안정하여 수급비에서 주거비 지출이 가장 많았다. 경제활동면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하는 일 없이 노후를 보내고 있으며, 향후 노인일자리사업이 확대된다면 하고 싶은 일로는 주로 취로사업을 원했으며, 현 가계경제수준의 본인 만족도를 조사한바 77.5%가 ‘생활비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노인들의 건강실태에서 만성질환이 한가지 이상 있다는 응답이 86.5%로서 입원시 간병인으로 자녀 및 친척, 배우자가 46.5%로 주로 가족간병에 의존하나 독거노인 입원시 간병을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이 없어 조속히 노인요양보험이 실시되어야 하겠다. 둘째, 재가노인이 현재 제공받고 있는 복지서비스실태를 조사한바 가사지원서비스 29.5%, 의료서비스 18.5%, 결연지원서비스는 43%로 서비스 이용자가 가장 많았으며, 만족도 비율에서도 가장 높은 것은 아마도 연말·연시나 명절 등에 이웃돕기운동 차원에서 후원금 및 생필품이 지원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재가노인들이 앞으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복지서비스 조사에서는 경제적인 문제로 후원금 지원과 노후 건강문제로 의료기관 이용 서비스를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가복지서비스 개선사항으로는 서비스의 양(물품, 금품) 확대, 서비스의 질 향상, 서비스 종류의 다양화 등으로 응답하였고, 구로구의 향후 노인복지 역점사업으로는 경제적 지원시책, 무료 및 실비요양시설 건립, 의료지원 확대 순으로 희망했다. 재가노인의 급격한 증가와 복지욕구의 다양화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내실화와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한바, 다음 몇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저소득층 재가노인에 대한 단기 및 장기대책 수립을 위한 복지욕구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효율적인 서비스 대상자 선정 및 관리가 되어야 하겠다. 저소득 재가노인들 중 복지서비스 프로그램별 수급대상자가 선정되어야 하고, 선정된 대상자가 제대로 서비스를 받고 만족하고 있는지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셋째,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실질적인 생계보장대책이 필요하다. 우선 수급대상자 선정기준을 완화하여 차상위계층을 점진적으로 구제하고, 수급자에 대한 급여의 현실화가 요망된다. 아울러 이들에게 소득을 보전해 주기 위한 소득지원프로그램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넷째, 서비스 내용의 전문화와 프로그램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서비스 내용을 대상노인의 건강상태별로 구분하고, 담당인력 및 서비스 내용도 전문적으로 분화되어야 한다. 또한 자원봉사사업을 활성화 하여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재가노인복지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 2004년말 현재 우리나라 재가노인의 인구를 감안하여 필요한 재가시설 대비 현재 시설은 약 5.8% 수준에 불과하므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민간에 의한 재가노인복지시설 설치를 유도할 수 있는 대책이 있어야 하겠다. 여섯째, 노인복지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정부에서는 재정 사정 및 서비스 특성상 재가노인들에게 만족할만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예산을 투입하던지 지역사회내 인적 및 물적자원을 동원하여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family function of the elderly support has weakened by sharp progress of aging with economic development and by increase of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t caused that the matter of the elderly support is not only for supporter family, but also for whole society and the function of in-hom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begins to be powerfully considered. Thereby, specialization of service and management of various programs are required to meet properly various and changable desires of the elderly. On this, this study will present the improvement plans in “in-home elderly's position” bringing up the problems of the present welfare service referring to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main welfare desire with the survey of which subject is 200 low-income elderly of the main elderly who are offered welfare service, 65 year-old and living in Guro-gu 1. Regarding the family types of low-income elderly, most of them have less than one or two members in their family, so that the elderly feel solitude. And also their residence type is almost instable and residence fees take up the most part of grants-in-aid in case of the household of 1 or 2 members. The survey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shows that more than half of survey participant wear away their old ages and most of them desire to work in public undertaking enterprises if the employment promotion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is expand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survey of the present economic condition, 77.5% gave answers that they are worrying about lack of living expense. On the survey of the actual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the elderly who have more than one chronic disease are 86.5% and the elderly their children or relative or spouse nurse when the elderly are in hospital are 46.5%. As it shows, most of the elderly depend on their family's nursing, but the elderly living alone have no one to nurse them. So that, the elderly medial care insurance must be urgently offered.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esent welfare service for in-home elderly, family support service is 29.5%, medical service is 18.5% and relationship support service is 43%. It is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support service includes providing the aged with financial aid and living necessary as part of helping hands in festive and the end of year. 3. The research on welfare service the elderly living at home desire th be provided indicates that they want Financial aids for economic situation and medical service for health 4. The elderly require a quantity expansion of service and quality development of service and diversifying of service types and desire by order of economic support, establishment of free or cost sanatorium, expansion of medical support as the future elderly welfare enterprise of Guro-gu. Due to radical increase in the elderly and diversity of desire for welfare, serious and long-term counter-plan is essential to activate the elderly welfare service. Here are some plans for that. 1. The research on welfare desire is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short and long-term plans for the low-income elderly. 2. Effectiv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service case are required. The case must be selected of low-income elderly by welfare service programs and the system which manages the satisfaction of the case who are selected and serviced is needed. 3. The substantial plans to support the low-income elderly are also required. First of all, we need to relieve standards of recipient selection, so that aid the potential low-income group gradually. And also realization of payment and materializing of income support programs to keep their income are demanded. 4. Specialization of service and diversifying of service program are demanded. The service and workers in charge specialized by the health condition and various programs with activation of volunteer service are needed. 5. We ought to expand welfare servic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aken the population of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facilities are only about 5.8% of necessary in-home facilities at the end of 2004. The plans to lead an activation of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by utilization of resources in local communities and civil are required. 6. A local autonomous entity will be a key role in activation of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t is true that government has difficulty in offering gratifying service in view of its trait. Diverse effort to activat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with input of its budget of a local autonomous entity or labor and material mobilization are urgent.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실태와 정책 과제 : 부산시 금정구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 수급여부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거주하는 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생활실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인식, 요구, 수급, 만족도, 개선방안 등에 대한 25개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사례조사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후 노인인구가 꾸준히 증가해 왔고, 최근에 와서는 급격한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어 세계에서 가장 빨리 늙어가고 있는 사회에 속하며, 노인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둘째, 시설보호 외에 재가노인복지서비스가 필요한 이유는 경제성장과 보건의료서비스의 향상으로 인한 수명연장과 고령노인의 증가, 산업화·도시화·핵가족화로 인한 가정의 노인부양기능 약화, 재가노인서비스가 시설보호보다 더 인간적이고 개별적인 대인서비스 제공 가능, 한정된 복지예산을 사용할 때 재가노인서비스가 시설보호보다 효율적이라는 점 등이다. 셋째, 조사결과 아직까지 전통적인 가족부양의식이 잔존하고 있어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노인과 가족들은 서비스 이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해 재가복지서비스 활용 정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에 대한 잠재적 욕구증가와 실제 이용실태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각종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중에서 현재 받고 있는 주요 서비스는 ‘이미용 도움’(44.3%), ‘도시락·밑반찬 제공’(32.9%), ‘세탁·청소’(20.0%) 등이었고, 서비스를 거의 받지 않는 항목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대부분 ‘보통’의 응답 비율이 높았고, 간병인 지원, 물리치료, 외출 시 차량동행, 후원물품 지급 등의 경우 ‘만족’이라는 응답 비율이 50%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는 서비스 내용의 다양화·전문화·체계화, 질 높은 재가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정봉사원의 전문성·지속성·책임성 강화와 같은 인적 자원의 확충, 서비스 대상노인의 선정기준을 노인가구의 경제지표와 건장상태지표에 따라 개정함으로써 서비스 대상의 확대, 서비스 전달체계 및 국가지원의 개선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what people over the age of 65 think of and demand about Home Care Service, whether they receive the service or not, and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it. Based on this, I would propose policy issues for the revitalization of Hom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For this study, I asked 25 questions of 70 elderly people living in Geumjeong-gu, Busan:living conditions, perception of the service, claims for the service, supply and demand, satisfaction levels, reformation, and so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has increased steadily since 1960s. Recently, the number of old people has been growing sharply. Therefore, this society has become one of the fastest aging societies. This means that the problem of the aged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in this society. Second, the reasons why there is another need for Home Care Service besides care facilities is as follows:the economic growth, the prolonged life expectancy - due to the improvement in health care- and the increase of old people. Also, the supporting senior citizens by the family has weakened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ies. And Home Care Service can provide more humane, case-by-case services than care facilities. Home Care Services are also more efficient than care facilities for the limited budget. Third, my case study shows that despite high need for Home Care Service there is a wide gap between the growing potential desire for the Service and the actual its use because traditional values for family responsibilities still exist in our society and there are also economic burdens and negative views towards it. Fourth, the kinds of the services provided in Home Care Services are as follows:"hair cutting"(44.3%), "providing lunch box and side dishes"(32.9%), "laundry and cleaning"(20.0%). There were also many services that were not being provided in my case study. The satisfaction of the services that were provided was mostly "normal". "Satisfied" was more than 50% for nurse supporting, physical therapy, goods supporting and car accompany when they go out. Finally, the Policy Issues for expansion of Hom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as follows. One is 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the service contents. And another is that we need the expansion of the human resources such as specialization, sustainability and responsibility of home helpers in order to achieve high quality Home Care Services. Third, selection criteria of the elderly for the service should be revised based on the economic indicator and the physical health indicator. The last is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delivery and the national suppor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