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캠퍼스의 풍수지리적 입지연구 : 수도권 6개 대학을 중심으로

        류호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91

        삶을 영위하는 땅이라는 空間의 길흉에 따라 인간의 삶도 달라진다. 어떤 땅을 밟고 있는가는 인간에게 중요하다. 현재 밟고 있는 땅이 어떤 땅인가는 그 땅에 터를 잡고 있는 기관이나 삶을 영위하는 사람들과 깊은 상관성을 갖는다. 한국사회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학도 예외가 될 수 없다. 대학의 지리적 형세와 공간배치의 풍수적 특성은 대학발전에 중요하다. 대학 캠퍼스의 풍수적 길흉은 미래의 동량지재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우수한 연구실적, 교직원들의 업무능력 향상, 조직구성원 간의 和睦과 유대강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풍수적 해석이 대학발전의 설명에 대한 전부이거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할 수는 없으나 중요한 설명 도구들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제에 입각해 사례로 선정한 6개 대학인 경희대,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대, 연세대, 경기대를 대상으로 풍수적 입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형기풍수와 이기풍수를 겸용하였다. 형기풍수 방법으로는 입지 주변 산들의 지기전달과 형세를 살피는 看龍法, 주요 건축물들에 대한 聚氣를 살피는 定穴法, 四神砂의 형상을 살펴보는 藏風法, 생기의 설기를 막아주는 물에 관한 得水法을 사용하였다. 크게 보아 물형론도 형기풍수의 일부라 할 수 있는 바 물형론도 보완적으로 사용하였다. 이기풍수적 분석을 위해서는 좌향법에 의거했으며 좌향법의 대표적 이론을 담고 있는 趙廷棟의『地理五訣「八十向法」』, 『陽宅三要』, 箬冠道人의 『八宅明鏡』을 준거로 삼았다. 사례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희대학교의 주산은 천장산이며 이 산의 오행은 武曲 金星體이고 형상은 鳳凰歸巢形이다. 看龍法으로 지기 전달과정을 살펴보면, 천장산의 길한 지기가 본관으로 수렴되고 있으며, 定穴法으로 본다면 지금은 주변 땅이 변형되어 정확한 판단은 어려우나 생기 충만한 곳에 본관이 입지하였다. 藏風法으로 보면, 내외사신사가 유정하게 환포하여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부터 생기를 보호해 주는 藏風局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 得水局을 형성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기풍수론 좌향법으로 분석한 결과 본관과 캠퍼스 정문의 관계는 동서사택 가택구성법으로 延年宅의 관계로 길한 배치이다. 반면에 후문의 배치는 五鬼宮으로 아쉬운 배치라고 할 수 있다. 「八十八向法」으로 본관의 입지를 고찰한 결과 胎向胎流로 「八十八向法」에 부합하는 좌향이다.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의 주산은 개운산(안암산)이며 오행상 貪狼木星體이다. 物形論으로는 牧丹半開形이다. 看龍法으로 보면, 현무봉인 개운산의 길한 지기가 본관으로 수렴되고 있다. 定穴法의 관점에서는 아늑한 공간에 본관이 입지하고 있다. 藏風法의 관점에서는 四神砂가 가까이 유정하게 환포하여 藏風局을 형성하고 있다. 得水法의 관점에서는 得水局을 이루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기풍수론 좌향법의 동서사택론 관점에서는, 본관과 캠퍼스 정문을 분석한 결과 가택구성법상 불배합의 혼합택이다. 다만 후문은 동북 艮方에 입지하고 있어 艮門乾主의 天乙宅(天醫) 또는 乾宅 天乙門이 되어 길한 배치이며 『地理五訣』의 「八十八向法」으로 본관의 입지를 고찰한 결과 自生向으로 「八十八向法」에 부합하는 좌향이다. 고려대학교 서울캠퍼스의 본관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아늑한 장소에 입지하고 있으며 전체 캠퍼스의 배치도 개운산의 지기를 수렴하여 무난한 것으로 여겨진다. 서울대학교 관악 캠퍼스의 주산인 관악산은 맹열한 火氣를 상징하는 廉貞 火星體이다. 풍수 物形論의 관점에서는 형국의 飛鳳歸巢形이다. 看龍法의 관점에서는, 관악산의 정제되지 않은 억센 기가 행룡과정 중 어느 정도 탈살된 지기가 본관으로 수렴되고 있다. 定穴法의 관점에서 본관은 관악산의 억센 기운에 노출된 것 같지만 본관 가까이 사신사가 유정하게 잘 환포하고 있는 곳에 입지하고 있다. 본관은 內外四神砂가 사방에서 불어오는 바람으로부터 생기를 보호해 주고 있어 藏風局을 형성하고 있으나 得水局을 형성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이기풍수론 좌향법 중 동서사택론인 『陽宅三要』와 『八宅明鏡』론으로 본관과 캠퍼스 정문의 풍수입지를 고찰한 가택구성법상 生氣宅이며 길한 배치라고 할 수 있다. 이기풍수론 좌향법 중 「八十八向法」으로 본관의 좌향과 水口의 풍수입지를 분석한 결과 向上作局으로 生向이 되어‘文庫消水’에 합치되어 풍수상 길한 좌향이다.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는 應鳳이 主山이며 武曲 金星體이다. 物形論의 관점에서는 貴人端坐形이다. 看龍法으로 보면, 본관의 풍수입지는 북한산의 지기를 받은 응봉의 지기가 본관으로 수렴되고 있다. 定穴法으로 보면, 응봉의 길한 지기가 수렴하고 있지만 외형상 배산면수 지형에 前低後高형의 남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서향으로 배치되어 아쉬움이 있다. 본관은 藏風局을 형성하고 있으나 得水局을 형성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 이기풍수론 좌향법 중 동서사택론인『陽宅三要』와『八宅明鏡』론으로 본관과 캠퍼스 정문의 풍수입지를 고찰하면, 家宅九星法상 生氣宅으로 길한 배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후문은 불배합이다. 좌향법 중 「八十八向法」으로 캠퍼스 본관의 좌향과 水口의 풍수입지를 살펴본 결과 불입향이다. 캠퍼스 본관의 외형을 기준한 좌향이 지반정침 기준으로 甲坐庚向이며 서향으로 前高後低形이라 아쉽다.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주산은 鞍山이며 貪狼 木星體이다. 物形論의 관점에서는 독수리가 알을 품고 있는 형상인 鷲抱卵形이다. 이것은 학교 상징인 독수리와 부합해 독수리가 알을 품고 새끼를 길러 내보낸다는 양육의 의미와도 상통한다. 看龍法으로 보면, 한북정맥의 지기를 받는 鞍山의 생기 충만한 지기가 본관으로 수렴되고 있다. 定穴法으로 보면, 본관 뒤에는 대우관과 연희관이 입지하고 있고 좌우측에는 청룡과 백호가 유정하게 길게 環抱한다. 본관을 중심으로 하는 신촌 캠퍼스는 藏風局을 형성하고 있지만 得水局을 형성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양택풍수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풍수 이기론 중 하나인 ‘동서사택론’으로 본관과 캠퍼스 정문의 풍수입지를 고찰한 결과 家宅九星法상 生氣宅으로 길한 배치이다. 본관의 좌향은 天盤縫針 기준으로 癸坐丁向이며, 破口는 左水倒右 丁破로 墓向墓流이고 八十八向法과 합치되어 길한 좌향이다.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의 주산은 武曲 金星體의 광교산 형제봉이다. 수원캠퍼스를 물형론으로 살펴보면 할아버지 산인 석성산이나 鷹峯을 바라보고 있는 형국으로 回龍顧祖形이다. 看龍法의 관점에서는, 형제봉의 용맥이 소원봉을 세운 후 남서쪽으로 가지를 뻗어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로 지기가 수렴되고 있다. 定穴法으로 보면, 본관은 뒤쪽 작은 소원봉에 기대어 횡룡입수처에 입지하고 있다. 경기대 수원캠퍼스 전체는 藏風局을 형성하였지만 본관은 장풍국을 형성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得水局을 형성하지도 못했다. 좌향법으로 보면, 캠퍼스 본관과 정문은 가택구성법으로 伏位의 관계로 길한 배치라고 할 수 있고 후문은 五鬼로 길한 배치라고 할 수 없다. 좌향법 중 「八十八向法」으로 살펴보면, 坐向은 天盤縫針 기준으로 戌坐辰向이며 左水倒右 巽巳破로 正墓向이다. 정묘향은 「八十八向法」이론에 부합하여 吉格이다. 풍수에서는 완벽한 땅과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상에 대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抑强扶弱의 관점에서 조화와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풍수의 최종지향점이다. 약한 부분에 대해서는 氣를 보완하고 북돋아 주는 조치를 취해야 하며, 지나치게 강한 부분은 비보진압기법을 활용하여 보완하고 제어하여 인간에게 유익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해야한다. 각 장의 소결에서 비보제언한 바와 같이 보완 한다면 대학 캠퍼스의 풍수입지 환경은 개선되고 새로운 도약과 발전의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Human life is influenced much by the luck of place he or she lives in. It is very important for humans to choose the place where they will live. What the land one lives in is like is closely related to the people who own or operate it. University cannot be an exceptional case of the rule mentioned above, which have had much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The geographical form and Feng Shui characteristic of space allocation is important for the growth of university. The luck of Feng Shui of university campus influence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good research achievement, job performance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workers, and organizational harmony and solidarity among them. Feng Shui interpretation of university campus is not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growth of it, but can be one of the tools to explain it. This thesis is to analyze university campus with the main theories of Feng Shui. The cases for analysis are Kyung 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Kyonggi University. This study used main theories from both Form School and Compass School. Theories this research adopted from Form School are the methods of Reading Mountain Range, Finding Meridian Spot, Softening Wind, and Getting Good Waterway. The theory of Mountain Shape is also complementarily applied to analyze cases, which is considered as a part of Form School. To analyze Sitting Direction and Facing Direction with the Compass, this research depends on Di-Li- Wu-Jue 88 Direction(『地理五訣 88向』) and Yang –Zhai- San- Yao(『陽宅三要』) written by Zhao Ting Dong(趙廷棟), and Ba –Zhai- Ming- Jing (『八宅明鏡』) written by Ruo Guan Dao Ren(箬冠道人). Case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Kyung Hee University(Located in Seoul)’s Main Mountain is Cheon-Jang and belongs to the Star of Martial Arts with Metal Element(武曲 金星體) and its Land Form is classified as the type of Returning Phoenix to its Nest(鳳凰歸巢形). In Kyung Hee University campus, the earth energy of Cheon-jang Mountain is well connected to the main building of the university. The main building of Kyung Hee University is located in Meridian Spot( a hot spot of positive Qi) and also surrounded by good mountain shapes represented by Four Celestial Animals. The Wind around Kyunghee University is Soft and the Waterways around it are also good. The relation between main building and front gate is good but the rear gate is not located in a good direction. The Kyung Hee University is overall located in a good sitting and facing direction. Korea University(located in Seoul)’s Main Mountain is Gae-Woon and belongs to the Star of Greedy Wolf with Wood Element(貪狼木星體) and its Land Form is classified as the type of Magnolia Half Bloomed( 牧丹半開形). In Korea University campus, the earth energy of Gae-woon Mountain is well connected to the main building of the university. The main building of Korea University is located in Meridian Spot and also surrounded by good mountain shapes represented by Four Celestial Animals. The Wind around Korea University is Soft, but the Waterways around it are not that good. The relation between main building and front gate is not that good but the rear gate is located in a good direction. The Korea University is overall located in a good sitting and facing direc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SNU)’s Main Mountain is Kwan-Ahk and belongs to the Star of Chastity with Fire Element(廉貞 火星體) and its Land Form is classified as the type of Returning of Flying Phoenix to its Nest(鳳凰歸巢形). In SNU campus, the strong earth energy of Kwan-Ahk Mountain is well connected to the main building of the university. The main building of SNU is located in Meridian Spot and also surrounded by good mountain shapes represented by Four Celestial Animals. The Wind around SNU is Soft, but the Waterways around it are not that good. The relation between main building and front gate is good. SNU is overall located in a good sitting and facing direction. SungkyunKuan University(Campus for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in Seoul) ’s Main Mountain is Eungbong and belongs to the Star of Martial Arts with Metal Element(武曲 金星體) and its Land Form is classified as the type of Noble Man Sitting Calm and Peaceful(貴人端坐形). In SungkyunKuan University campus, the earth energy of Eungbong Mountain is well connected to the main building of the university. The main building of SungkyunKuan University is not located in Meridian Spot( a hot spot of positive Qi) and not surrounded by good mountain shapes represented by Four Celestial Animals. The Wind around SungkyunKuan University is Soft, but the Waterways around it are not that good. The relation between main building and front gate is good but the rear gate is not located in a good direction. The SungkyunKuan University is overall located in a good sitting and facing direction. Yonsei University(located in Seoul) ’s Main Mountain is Ansan and belongs to Star of Martial Arts with Metal Element(武曲 金星體) and its Land Form is classified as the type of Eagle Embracing its Egg(鷲抱卵形). In Yonsei University campus, the earth energy of Ansan Mountain is well connected to the main building of the university. The main building of Yonsei University is located in Meridian Spot( a hot spot of positive Qi) and also surrounded by good mountain shapes represented by Four Celestial Animals. The Wind around Yonsei University is Soft, but the Waterways around it are not that good. The relation between main building and front gate is good. The Yonsei University is overall located in a good sitting and facing direction. Kyonggi University(located in Su-won City) ’s Main Mountain is Hyungjaebong(a branch of Gwanggyo Mountain) and belongs to the Star of Greedy Wolf with Wood Element(貪狼木星體) and its Land Form is classified as the type of Returning Drgon’s Looking at its Ancestors(回龍顧祖形). In Kyonggi University campus, the earth energy of Gwanggyo Mountain is well connected to the main building of the university. The main building of Kyonggi University is located in Meridian Spot( a hot spot of positive Qi) and also surrounded by good mountain shapes represented by Four Celestial Animals. The Wind around main building of Kyonggi University is not Soft, but the campus is overall protected by Four Celestial Animals. The Waterways around it are not that good. The relation between main building and front gate is good, but the rear gate is not located in good direction. The Kyonggi University is overall located in a good sitting and facing direction. There is no perfect land which satisfies everything needed in Feng Shui. Harmony and Balance are needed in terms of Controlling the Strong Element and Boosting the Weak Element, which makes the environment friendly to humans and is the final destination of Feng Shui. Feng Shui of 6 Universities will be improved with that kind of spirit and attitude, although a different remodelling plan will be chosen for each university.

      • 道東書院의 風水地理 立地硏究

        전성하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4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Do-dong Seo-won in Dae-gu, Dal-sung Gun from the Feng-shui perspective. And this study will show the Feng-shui's complementary measures(裨補) about the Feng-shui's defects. Do-dong Seo-won ha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Feng-shui's logic. But It does not have a wide geographical area. So it is not suitable for the site of village, but suitable for the site of templ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shows that Do-dong Seo-won had the good geographical conditions of Feng-Shui's JangPung(藏風). The main mountain range(主龍) of Do-dong Seo-won started the Mt. Daeny, made the Feng-shui's Gold-shaped(金形) main peak(主山). And the main peak made the left mountain range(靑龍) and right mountain range(白虎), and made the hollowed-shaped(窩穴形) area between the two mountain ranges. This Seo-won also has the good geographical conditions of Feng-Shui's DukSu(得水). The Nakdong River, which flows from right side to left side, has good width and depth from the Feng-shui perspective. And it also has the Su-gu-sa(水口砂) in the right place, regarded as the one of the important matter to judge the Feng-shui's good place. But this Seo-won also has the Feng-shui's defects, so it needs Feng-shui's complementary measures(裨補). The main Feng-shui's defect of this Seo-won is that the Seo-won area is exposed to the wind of Nakdong River. So a pine tree forest need to be created the opposite side of road. The another Feng-shui's defect of this Seo-won is that the Su-wol Ru in front suppress the Seo-won's other structures. So the Su-wol Ru need to be removed or changed the location. Keywords: Feng-Shui, Do-dong Seo-won, Feng-Shui Location, Bae-San-Lim-Su(背山臨水), Yong-hyul-sa-su(龍穴砂水) 본고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726 도동서원의 지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풍수사상과 논리에 적합한 양기인지를 해석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허결점에 대해서는 비보압승을 제시하였다. 도동서원은 풍수사상과 논리에 적합한 지형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지리적 위치상 여건과 협소란 양기국이기에 촌락지로서는 적합지 않으며 교육기관이나 사찰의 터로서 자연조건에 어울리며 양기 풍수논리에 적합한 천혜의 터이다. 도동서원은 한훤당의 높은 덕망과 학문을 추앙하여 서원을 건립하여 많은 후학을 가르쳤고, 지금은 한훤당을 제향하고 그분의 지조와 절개를 숭배하여 보존 연구하고 있다. 도동서원은 대니산에서 북서으로 지맥을 뻗어 221m봉에서 분맥한 지룡은 북동으로 행룡하여 금형 주산에 이르러 개장 천심하며 용호를 만들고 내룡을 내려 좌선 입수 와혈형 혈장을 만들었다. 용이 물을 만나 멈춘 혈장은 안온한 생기를 융취하고, 용호는 혈장를 감싸고 있으며, 안산은 금형체로 와혈형 혈장과 음양배합하며 잘 소응하고 있다. 혈장은 배산임수,전저후고로 지세이며 비산비야지에 장풍국으로 형성된 길격의 명혈로서 도동서원은 지형지세에 맞게 건립된 것이다. 산수취합 규모는 크나, 혈장 앞 가까이 큰 낙동강이 고령군 개진면 벌판과 갈라놓은 형국으로 혈처의 양기는 좀 협소하다. 인봉(개구리산)은 금형으로 잘 박환되어 수려하며 혈처와 음양배합을 이루며 공직자 배출의 증표이기도 하다. 인봉 넘어 북에 보이는 삼태금은 정승을 배출한다는 사로서 위엄있고 당당하다. 또한 안대의 산줄기들은 도동서원 혈장를 향해 달려오는 듯 모이며 조(朝)하는 형국이고, 외백호의 장엄한 기세가 혈장를 휘감은 백호국세의 명혈이다. 혈장 앞을 흐르는 낙동강은 생기를 응축하는데 과할 정도로 깊고 넓으며 유동,약동하지 않고, 모든 주위의 물은 혈장을 향해 취수되며 동출서류하는 낙동강을 역수하는 형국이다. 수구사(화표)는 적당한 위치에서 수구를 조여 기를 가두고, 외부 바람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장 앞의 진응수는 명혈을 가늠하게끔 해주며, 좌선입수의 혈장과 우선수의 낙동강은 용수배합 형국이다. 도동서원은 곤좌간향으로 지형지세에 맞게 건립된 서사택의 양택이다. 혈상은 와혈형 형국으로 주산,안산,내외 용호,안대의 모든 사(砂)는 목형,금형,토형,수형체 복합산형으로 혈장에 조(朝)하고 소응하며 수려하고 위엄있는 국세이다. 낙동강,인봉(화표),삼태금,외백호,안산은 도동서원 양기를 결국(結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동서원의 허결점은, 서원을 고압하는 수월루는 제거나 위치변경을 제안하고, 혈장 앞 가까이 낙동강이 머무르듯 유유히 흐르고 있는데, 혈장에서 강까지 열여 있어 사계절 다습한 바람이 혈장으로 여과없이 오는 것과, 북편이 안대라 겨울의 찬바람을 막는 비보로 도로 건너편에 넓고 길게 북서까지 대단위의 소나무 숲을 조성해야 할 것과, 양기(陽基)는 천기를 중요시 하는데, 동,남,서까지 높고, 북서,북,북동까지 낮은, 곤좌간향의 지형지세로서 천기를 받는 시간이 남향보다 좀 적으나 대체로 양명한 것이지형적 특징이기도 하다. 그러나 혈장 주위에 나무가 많고 커지면 음습한 기운이 강해지므로 혈장 주위에 넓게 나무를 제거하여 천기를 많이 받게 해 습기를 제거하고 양명한 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외백호의 터널건설로 인한 강하고 다습한 바람의 피해는 국보급 문화재인 도동서원과 양기의 명혈을 파괴 시킬 것이다. 터널건설은 즉시 중단 복구하고, 피해방지를 위해 강쪽으로 교량건설로 우회하는 것과, 현 다람재 도로 선형개량과 확장을 제안하고, 임시 방편으로는 백호 끝에 조산을 형성하여 바람의 진로를 바꾸어 순화시켜야 할 것이다. 비보를 함으로써, 다습하고 찬바람을 차단하고, 지기의 빠짐을 막으며, 천기를 많이 받아 더 양명 할 것이며, 천기와 지기는 더 융취되어 양기는 더 안온할 것이며, 지형지세는 더 수려하고 장엄할 것이다. 또한 도동서원을 영원히 보존하고 유지하려면 서원을 중심으로 학문연구기관,교육기관을 건립하여 많은 사람이 머물러 살고 이용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산수취합 규모와 양기규모에 알맞게 사람이 살고 모여야 산수와 사람의 음양배합이 되고, 천기,지기,인기의 조화가 되어야 명혈의 진가가 발현되어 오래도록 번창하고 발전할 것이다. 핵심어:도동서원.양기.풍수논리.한훤당.와혈형.소응.배산임수.전저후고.비산비야.백호국세.산수취합.장풍국.취수.인봉.화표.진응수.비보.천기.지기.인기.

      • 청도 백곡마을에 대한 풍수 입지 연구

        변미라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373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ng shui location of Baekgok Village in Topyeong-ri, Hwayang-eup, Cheongdo-gun, Gyeongsangbuk-do. The location of Baekgok Village is a naturally closed topography, and from a feng shui point of view, Jangpoongguk (藏風局) is well equipped, so in this study, Baekgok Village was regarded as the palace site of Iseo-guk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location of Baekgok Village, the geographical worldview of Iseo-guk people was confirmed through topographic and flood analysis, a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Baekgok Fortress in Iseo-guk were to be revealed based on this. First of all, the historical overview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heongdo were revealed,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heongdo were closely analyzed, and the origin,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Iseo-guk were trac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Baekgok Village was focused on feng shui theory, 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were studied in detail with topographical and flood theory, including Baekgok Village and the surrounding topography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A GIS program using a digital topographic map was used to understa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arget site in this study. This was because it was possible not only to more clearly grasp the mountainous and river topography, but also to be an empirical analysis in feng shui analysis. Based on this, the logic was developed that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where feng shui lived in that era could be different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 tried to examine the location of Baekgok Village from the perspective of Iseoguk people at that tim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the palace site of Iseo-guk would have become a capital of Iseo-guk, considering that Ganryong, a columnar mountain range that ran from the highest peak, formed a village by joining forces with Yanggi (陽基). In addition, the surrounding landscape of Baekgok Village is in the form of a volcanic sphere (火san 口) and is understood as the best location to defend against enemies as only the entrance is open. However, Baekgok Village is located inside the point where Daegokcheon and Cheongdocheon merge, so it has the topographical conditions of Baesan Imsu, but it also found that Cheongdocheon is a bangusu and water polo is also open.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tream inside Baekgok Village flows from the left and right of Takyeongjongtaek area, merges in front of Jongtaek, and curves in the direction of water polo, so it was investigated as a long-distance water stream. It was studied that the blood of Baekgok Village was concentrated in Takyeongjongtaek when viewed through Naeryong's Maxe (脈勢), and it was found that the Takyeongjongtaek area, which retains the energy of Hyeonmubong Peak in Baekgok Village, was the ideal place.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feng shui location i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opographical environment, and the loca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reflect the era. 본 연구는 경북 청도군 화양읍 토평리에 있는 백곡마을의 풍수 입지 특성을 살핀 것이다. 백곡마을의 입지는 자연 폐쇄적 지형이며 풍수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장풍국(藏風局)이 잘 갖춰진 곳이라 본 연구에서는 백곡마을을 이서국의 궁성지로 간주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백곡마을의 입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지형․풍수적 분석을 통해 이서국인들의 지리적 세계관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이서국 백곡산성의 입지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청도의 역사적 개관과 지리적 특성을 밝히고 청도의 지형적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이서국의 기원과 형성 및 그 변천 과정을 추적하였다. 또한 백곡마을의 입지에 대해 풍수적 이론을 바탕으로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백곡마을과 주변의 지형을 연구 범위에 포함하여 마을의 입지적 특성을 지형․풍수적 이론으로 상세히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지에 대한 입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GIS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는 산지․하천지형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풍수적 분석에 있어 실증적 분석이 되기 때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풍수 입지는 사회․경제․정치적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그 시대를 살아가는 입지의 장소성은 달라질 수 있다는 논리를 전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해를 저변에 깔고 그 당시 이서국인들의 관점에서 백곡마을의 입지를 살펴보려 하였다. 연구결과 이서국의 궁성지는 최고봉에서 중출맥한 기둥 산줄기인 간룡이 양기(陽基)로 결혈하여 마을을 형성한 것으로 볼 때 충분한 이서국의 도읍지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백곡마을의 주변경관은 화산구(火山口) 형태의 지형으로 입구 주변만 열려져 있어 적으로부터 방어를 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로 이해하였다. 하지만 백곡마을은 대곡천과 청도천이 합수하는 지점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배산임수의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청도천이 반궁수이며 수구 역시 벌어져 있는 풍수적 결함도 발견하였다. 반면에 백곡마을 내부의 물줄기는 탁영종택 영역 좌우에서 흘러 종택 앞에서 합수하여 수구방향으로 굴곡하며 흐르기 때문에 길격의 물줄기로 조사되었다. 백곡마을의 혈처는 내룡의 맥세(脈勢)를 통해서 볼 때 탁영종택으로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고, 백곡마을의 현무봉의 기운을 잘 간직하고 있는 탁영종택 영역이 명당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풍수입지는 정치․경제․사회․지형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고, 그 시대를 반영하는 환경적 요인들에 따라 장소성은 달라 질 수 있다고 연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