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독교인의 사회복지의식과 교회자원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박은경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교회지도자들의 복지의식에 대한 조사를 통한 교회 사회복지사업의 실질적 관계를 통해서 지역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교회역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취지에서 연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사회복지는 교회에 있어 중요한 사명임을 성경적으로 근거를 제시하고 교회지도자의 복지 의식과 태도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교회 사회복지사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회내의 활용 가능한 자원 즉, 재정자원. 시설자원, 인적자원의 활용현황과 이를 토대로 앞으로 교회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려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대구지역 내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합동)교회 중, 2005년 4월17일부터 5월1일까지 2주간에 걸쳐 직접 교회를 방문하여 교회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는 방식으로 실행하였다. 연구의 조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사회복지사업은 교회의 본질적 사명이다 이란 인식은 직분간 차이 없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높은 인식에 비해 교회 사회복지비는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교회자원 활용현황을 살펴보면, 교회사회복지사업을 저해하는 가장 큰 원인은 재정 부족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교회 사회복지비 역시 이상적인 사회복지비와 비교해 볼 때 부족함을 볼 수 있었다. 교회시설 개방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찬성하지만. 개방할 건물이 부족하다는 의식을 갖고 있다. 셋째, 사회복지 인식도와 교회자원(재정. 인적. 시설)의 상관관계는 인식도가 증가할수록 교회자원(재정. 인적. 시설)에 대한 활용도도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네째, 교회가 앞으로 실천해야 할 교회 사회복지사업은 아동복지사업은 입양 및 위탁부모 결연사업, 청소년복지사업은 청소년상담, 노인복지사업은 불우노인을 위한 식사제공, 장애인복지사업은 취업알선, 여성복지사업은 불우여성 보호시설, 지역사회복지사업은 빈곤문제해결로 보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교회 사회복지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일시적인 관심으로 이루지는 형식적인 성격의 프로그램을 줄이고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프로그램개발, 효과적인 교회 사회복지사업을 위한 방안으로 교회지도자 차원에서는 총회나 노회 단위의 세미나. 연수등의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한 사회복지 의식을 높여야겠다. 그리고 평신도는 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정기적인 시설방문, 훈련프로그램으로 복지의식을 높여 나갈 때 효과적인 교회자원 활용이 이루어지리라 본다. 재정자원은 작게는 절기별, 특별바자회를 통한 복지재정 확보. 제도화 된 꾸준한 복지예산을 확보하여 전문적이며, 안정적인 교회 사회복지사업을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교회내의 인적. 시설자원을 최대한 개방 활용하며,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교회자원 활용을 위해서 좀더 과학적인 조사연구와 사레들이 이루어져야겠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실천모형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church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and church social welfare projects necessary in the future, to identify relevant problems, and to suggest methods for activating church social welfare project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church leaders belonging to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onghap and Hapdong) in the Daegu a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urch leaders' perception on social welfare was high in recognizing social welfare as an essential duty of all churches. However, expenses spent for social welfare projects occupied a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actual church budgets, and church leaders did not feel the urgent need for employing social welfare specialists. This shows that their general perception on social welfare is still low. Second, with regard to financial resources, the desirable level of social welfare budgets was much different from the actual expense for social welfare. With regard to human resources, churches were in shortage of specialists but they were negative in employing church social workers. Most churches did not have enough facilities but they showed an active attitude toward opening their facilities. With regard to the social welfare project that churches must give the highest priority, they mentioned welfare for the aged. In addition, welfare for the aged was also recommended as the welfare projects that churches must serve in the future. This is regarded as preparation for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in the church and the coming of aged society. Third,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n social welfare and church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when church leaders' perception on social welfare was high the utility of church resources (financial resources,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was also high. Fourth, with regard to social projects to be executed by churches, they mentioned connection to foster parents and guardians for child welfare, counseling service for adolescent welfare, meal service to needy elders for aged welfare, protection facilities for needy women for women welfare, and the resolution of the poverty problem for local social welf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church social welfare projects as follows. First,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activities including education and seminars by the General Assembly or by provincial assembly are required to improve church leaders' perception on social welfare. Second, in order to utilize church resources, budgets for social welfare must be planned and secured through systematic process, and funds for welfare projects must be raised through special bazaars on church festivals or fund?]raising campaigns.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and buildings annexed to the church should be utilized actively. For human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raise church social workers, to utilize various types of human resources in the church and to educate Christian volunteers. Third, for future social welfare, the local social welfare development committee should be organized with representatives of the church, the community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various resources in the community should be utilized and new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jointly. The proposed methods for activating church social welfare may have several limitations. There should be researches on more specific and attainable programs for actual execution of social welfare.

      • 재활용자원시설의 성공적 입지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성일종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재활용자원시설의 입지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부와 지역 주민 사이의 갈등 원인을 파악하고, 그러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활용자원시설의 입지선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재활용자원시설의 내재적 위험성, 주민참여의 부족, 갈등조정 메커니즘의 부재, 행정의 투명성 및 신뢰성 부족, 경제적 보상체계의 미비를 재활용자원시설의 입지선정과 관련한 갈등의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인천시 서구 수도권매립지와 부산시 강서구 생곡매립장 주변의 지역 주민, 재활용자원시설 종사자, 공무원 및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재활용자원시설이 추진된 실제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재활용자원시설의 입지선정에 있어서 어떠한 요인들이 실제로 갈등을 야기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하였는지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검토, 실증분석 및 사례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재활용자원시설의 내재적 위험성, 주민참여의 부족, 갈등조정 메커니즘의 부재, 행정의 투명성 및 신뢰성 부족, 경제적 보상체계의 미비를 재활용자원시설의 입지선정과 관련한 갈등의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정책적 제언 역시 재활용자원시설의 안전성 확보, 주민참여의 활성화, 갈등조정 메커니즘 마련, 행정의 투명성 제고, 적절한 보상체계의 확립으로 종합하고자 한다. 이제는 음식물쓰레기․하수슬러지․생활쓰레기 처리시설을 부정적인 시각으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미래의 자원과 에너지를 제공해 주고 친환경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인 시설로 인식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재활용자원시설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인식 전환과 자발적인 참여는 재활용자원시설과 관련한 입지갈등을 완화할 것이며, 우리 사회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 뇌성마비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원활용에 관한 연구

        조만우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뇌성마비 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성이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함에 있어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뇌성마비 장애인들이 효과적으로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뇌성마비 장애인들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 특성, 지역사회 자원활용정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원활용정도를 조사, 분석하고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성별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으며, 연령대는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이 종교활동을 하고 있고, 장애등급은 1~3급의 중증의 장애를 지니고 있었다. 수반장애로는 언어장애 또는 정신지체의 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미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동시에는 도움이 있어야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학력에서는 중증의 장애에 비해 고졸이상의 고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형태에서는 무직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월 100만원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는 뇌성마비 장애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공식적 자원이 공식적 자원보다 활용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공식적 자원에서는 재활기관 활용, 비공식적 자원에서는 가족, 친지와의 교류를 통한 자원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 중 여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종교활동을 하고 있을수록, 중증의 장애가 있을수록, 상지기능 사용이 가능할수록, 이동능력이 있을수록, 보호자가 생존해 있을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외출횟수가 많을수록, 월소득이 많을수록 자원활용정도가 높았다. 이에 따른 자원활용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 둘째, 뇌성마비 장애인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직업재활과 직업창출이 필요하다. 셋째, 장애인 연금제도를 전면 실시해야 한다. 넷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공식, 비공식적 자원의 종류와 위치, 활용 가능한 자원 등 지역사회자원 네트워크 구축해야 한다. 뇌성마비 장애인들이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함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이들 장애인들에게 최소한의 이동편의를 지원해주어 자신에게 적합한 자원을 찾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주는 것이다. 또한 뇌성마비 장애인들에 대한 직업적 환경과 경제적 지원을 통해 부양가족에 대한 심리·정서적 부담을 경감시켜 장애인 당사자에게 긍정적이고 의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장애를 통해 겪게 될 장애인과 부양가족들의 부담을 조금이나마 경감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은 결국 지역사회내의 많은 자원들을 활용해야만 한다는 점에서 국내에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present the measures for the disabled with cerebral palsy to utilize the community resources effectively through the analysis how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resources. The author has got the findings from this analysis of the disabled general characteristics, the using status of the community resources, and the utilization degree per gen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the male respondents to the survey exceed the female in gender, and the twenties are dominant in age. Most respondents have religion and severe disabilities of 1 to 3 grades. Speech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are accompanied. Most of them are single and graduated from highschool or higher. They need a help for movement. In terms of jobs, most of them are unemployed, and average monthly income is less than 1 Mio Won. Secondly, the informal resources are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formal one. Us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of the formal resources and the interactions with family and acquaintance of informal resources are rated to the highest. Thirdly, using frequency of resources is heightened by the respondents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like female, older age, religious activities, severer disability, manual function, mobility, protecto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more frequent outgoing and higher income. Baed on the above,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ollowing improving measures for the utility of resources. Firstly, the right of movement should be assured. Secondly,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jobs should be provided, reflecting the characters of the disabled with cerebral palsy. Thirdly, the pension system for the disabled should be extended to full range. Finally, a network comprising formal and informal community resources should be set up to inform of the resource type, location and availability. The most essential thing for the cerebral palsy to use the community resources is to furnish an expedient transport so that they can actively look for the desired resources. In addition, the vocational and economic aids may relieve the mental and emotional burdens and offer an opportunity to live an affirmative and motivated life. Various resources in the community should be utilized with a view to reduce the disabled and their family's burden, and from this point of view, future studies should be activated.

      • 폐기물의 재활용촉진을 위한 관련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손희만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2

        폐기물 법제의 전반적인 분석과 검토를 통하여, 재활용의 촉진을위한 관련법제의 정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바람직한 법제의 정비방안으로 3가지 안을 제시 하였다. 제1안; 현행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을 확대.개편하여, 가칭 "순환사회형성촉진법"을 제정하는 방안이다. 제2안; 현행 "폐기물관리법"과 "자원의절약과재활용촉진에관한법률"을 통합하여,일본의 법체계 형태인 가칭 "자원순환사회기본법"이라는 기본법을 제정하는 방안이다. 제3안; 장기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프랑스의 가제식 법전화 방안을 제시 하였다.

      • 생활계 재활용가능자원의 물질흐름분석을 통한 처리체계 개선방안 마련에 관한 연구

        이종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2

        In Korea's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 resource circulation indicators are calculated to establish a Basic Plan on Resource Circulation, and statistical data of 'National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status' are mainly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alculate the actual recycling rate, data on residue generation and treatment were obtained, processed, and applied. As a result of material flow analysis of recyclable resources among municipal solid waste, the actual recycling rate was 42.74% and the final disposal rate was 8.24%. This is different from the recycling rate of 92.59% and the final disposal rate of 1.33% calculated using current statistical data. The actual recycling rate considering the recycling stage is realistic when compared with the recycling rate calculated based on current statistical data by considering each treatment stage and final disposal amou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lans to improve the actual recycling rate in Korea by calculating the correct resource circulation index. 「자원순환기본법」에서는 자원순환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지표로써 자원순환지표 를 산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현행 자원순환지표는 주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통계데이터를 통해 산출되고 있다. 실질재활용률 산출 시 재활용가능자원의 처리체계에서 발생하는 잔재물에 대한 발생 및 처리현황이 반영되어야 하나 연구수 행 과정에서 현행 통계의 자료 집계체계에서는 잔재물에 대한 데이터 확인이 불가 능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대부분 공공시설로 반입, 처리된 양이 보고됨에 따라 재 활용가능자원의 경우 1차 재활용단계인 선별단계 실적만이 반영되고 있으며, 이 또 한 민간 생활자원회수센터의 실적은 제외된 양으로 추산된다. 자원순환지표 산출을 위한 실질재활용률의 산출을 위해 현행 통계데이터에서 확인 할 수 없는 잔재물의 발생 및 처리현황 데이터를 조사ㆍ가공하여 적용하였으며, 이 를 통한 생활계 재활용가능자원의 물질흐름 분석결과 실질재활용률은 42.74%, 최종 처분율은 8.24%로 산출되었다. 현행 통계자료를 통해 산출한 재활용률 92.59%, 최종 처분율 1.33%와 큰 차이를 보였다. 재활용 체계 내 단계를 기준으로 본 연구의 실 질재활용률은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재활용가능자원이 2차 재활용업체로 반입, 재활 용 공정에서 발생한 잔재물이 3차 재활용, 최종처분되는 양까지 반영되어 현행 통 계자료를 통해 산출된 재활용률과 비교 시 보다 현실적인 수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가능자원의 물질흐름 분석과정에서 공표된 자료상에서 데이 터를 확보할 수 없거나, 단계별로 적용된 수치가 직접적으로 실질재활용률의 감소 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현행 체계의 문제점으로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데이터 확보 측면에서는 배출ㆍ수거 단계의 경우 공동주택 미보고 실적과, 민간수 집상의 무단 수거량으로 인해 정확한 발생량 집계의 어려움을 문제점으로 도출하였 다. 공동주택의 경우 대부분 민간업체에 의해 재활용가능자원을 처리함에 따라 관 련 제도에 의거 처리실적을 보고하도록 되어 있으나, 연구 결과 약 7.78%의 재활용 가능자원 처리실적이 누락되고 있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단독주택의 경우 배출지점 에 대한 관리 주체가 존재하지 않아 일부 유가성이 높은 폐지 등의 품목의 경우 민 간수집상에 의해 수거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민간업체와 공동주택 관리사무소, 지자체가 연계된 공동 주택 재활용가능자원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재활용가능자원의 발생 및 처리실적을 관리하는 방안과, 단독주택 지역에 대한 배출 거점 설치를 통해 무단 수거되는 양 을 최소화하고, 명확한 발생량 집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재활용 및 중간처분, 잔재물 발생 및 처리단계에서는 `올바로시스템` 보고체계 내 재활용가능자원의 재활용 흐름에 따른 처리실적 파악 불가, 실적보고 누락을 문제 점으로 도출하였으며, 개선방안으로 폐기물 코드의 개선을 통해 재활용가능자원이 재활용업체로 반입, 반출될 때마다 신규 코드를 부여하고, 생활계폐기물에서 유래된 배출시설계폐기물에 대하여 신규 코드를 부여하여 중복집계 및 누락되는 양을 최소 화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실질재활용률 영향 측면에서는 배출ㆍ수거 단계의 경우 종량제봉투를 통해 배출되 는 재활용가능자원의 혼입률을 문제점으로 도출하였으며, 거점 배출 방식의 도입을 통해 분리배출률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선별단계의 경우 공공 생활자원회수센터의 낮은 선별률로 인한 잔재물 발생량을 문제점으로 도출하였으며, 폐비닐의 별도선별을 통해 선별률을 재고하는 방안을 개 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올바른 자원순환지표를 산출하고, 우리나라의 실질재활용 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사회복지관 자원활용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애영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사회복지관 자원활용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는 사회복지관 운영에서 빈약한 자원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선적 과제라는 점에서 사회복지관의 자원활용실태를 조사분석하여 사회복지관이 지역사회의 복지자원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설문조사방법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대구 경북의 40개 사회복지관에서 업무를 총괄하는 중간관리자나 자원개발·관리 담당자 40명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분석을 토대로 사회복지관의 자원활용, 자원개발, 그리고 자원관리 실태를 고찰하고, 고찰을 기초로 하여 사회복지관의 자원활용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원활용 측면에서 보면, 현재 사회복지관은 기존의 최저배치기준에도 못 미치는 부족한 직원을 채용하고 있었으며, 일반자원봉사자와 전문인력자원봉사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물적자원의 경우 타 기관의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주로 개인과 민간단체가 식료품과 의류를 상대적으로 충분하게 후원하고 있다. 자원개발 측면에서는 인적자원의 확보를 위해 언론매체를 통한 확보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재정자원 확보를 위해서는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이 유사한 방법으로 민간재원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자원관리 측면에서는 인적자원의 관리와 후원자 관리를 위해서 대부분의 사회복지관이 의례적이고 보편적인 관리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인적자원 또는 물적자원 개발·관리 전담직원은 대부분이 타 업무를 병행하는 사회복지사가 담당하고 있다. 개선 방안으로는 효율적인 자원활용을 위해 인력 충원, 직원들의 자원활용에 대한 의식 강화, 그리고 시민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의식 변화가 요구되며, 지역사회 내의 사회복지 관련 기관 및 전문기관간의 연계·협력을 강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자원개발을 위해 사회복지관은 전문적이고 다양한 자원개발 방법과 전문기법의 활용이 요구되며, 공공재원의 확보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인적자원 및 물적자원 개발 전담 부서를 두고 전담직원에게 전문적인 교육이나 연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후원회 조직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원관리를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자원관리체계의 구축, 다양하고 전문적인 관리 방법의 개발, 그리고 전산화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자원제공자들에게 개별적인 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원관리 전담인력의 배치와 체계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후원금 사용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여 사회복지관과 자원제공자들간의 신뢰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At present,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Korea have many difficulties in managing social welfare programs for the residents within communities. One of the difficulties was caused by the limited resources and finan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Therefore, in managing community welfare center, resource problem-solving should take precedence over other concern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using resources in community and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for utilizing efficiently and efficiently the limited welfare resour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orty of managers or the staff of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Daegu and Kyungbu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resource utilization, while the social work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employed somewhat less than the minimum employment standard of staff abolished in 1998, quite a few residents were given social services from community welfare center. This is why a great many case loads were imposed on a worker in a day. Community welfare centers utilized actively the general volunteers and the professional volunteers, and the services of the other agencies. Commodity food and clothes were sponsored more satisfactorily than medical supplies or cultural necessaries, or renovation of housing. Individuals and private organizations generally concentrated on sponsoring the necessaries of commodity food and clothes than medical supplies or cultural necessaries, or renovation of housing satisfactorily, and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s was not positive. Second, in the aspect of resource development, most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generally collected human resources, especially volunteers, through mass media, posters, individual contact of the social workers, and sectarian or social organizations. And for the finances,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interested in proposing the project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s of enterprises, or community chest of Korea, or sponsoring of individuals or groups etc. And also the sponsoring organization nearly failed to come into existence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of Daegu and Kyungbuk area. Third, in the aspect of resource management, almost all community welfare centers utilized very similar kinds of compensation methods for maintaining the sponsorship or volunteers' activity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also the person who is charge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the resources needed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served concurrently two service responsibilities or more. They were generally not managers but social workers who have narrow experience in that field. On the basis of the actual status of the resource utiliza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the area of Daegu and Kyungbuk, improvement strategies for utilizing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resource utilization, community welfare center would prefer to employ more staff, while strengthening their awareness of the resource utilization in community. The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social welfare agencies and other professional agencies is required, in order to utilize efficiently the poor and limited resources within the community. Second, in the aspect of resource development, in community welfare center there should be required the design of various and special programs, professional strategies, the introduction of nonprofit marketing techniques. A great deal of effort should be put into the guarantee of public funds from the government. Moreover, it should actively organize the sponsoring organization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will bring to fulfill systematical resources development. Community welfare center should give it the chance to get professional training in resource management. Third, in the aspect of resource management, first of all, an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resources will be constructed. In addition, a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sponsors and volunteers will allow community welfare center to give the individual services and then maintain their activities, like donations and volunteer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in the use of donated and volunteer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in the use of donated resources will also create confid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resource-givers, which will make the sponsors continue their sponsorship activity. Finally, in order to activate or improve resource utilization, it is very significant for the director or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it. The awareness of staff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improvement devices proposed in this study. Besides, the subject of utiliza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he funds for public finance should be studied to solve the resource problem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he future.

      • 사회복지관 자원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정부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2

        1995년부터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사 회복지관으로서 복지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사회복지관의 설치 운영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조치, 민간기업의 사회복지관 사업에 대한 지원으로 사회복지관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1984년 24개소에 불과하던 것이 1998년 4월 현재 303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 사회 복지관의 양적 확대와 국민들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회복지비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방비의 지출이 지대하며 경제계획 수행을 최우선으로 하여 사회복지분야에 투입되는 재원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IMF 국제금융기에 처하여 예기치 못한 사회문제가 속출하고 있는 현실에서 정부(지방 정부)의 현실적인 사회복지비 예산 편성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사회복지관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가 재원부족이다. 따라서 끊임없이 막대한 인력과 자원이 소요되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을 좀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더욱이 21세기를 앞둔 현 시점에서 좀더 발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준비해야 하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면서 지역사회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정과 지역사회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1997년 전국의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들의 현황 조사서에 나타난 문제점을 근거로 이들을 개발·육성·유지하기 위한 과학적인 관리체계 방안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각 복지관들이 자원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첫째,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중심으로 한 자원활용과 관리의 현황을 알아 보고, 둘째, 이와 관련해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셋째, 원활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확보·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개선방안들을 제시하려고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복지관 운영 관계자들의 의견과 본 연구자의 경험을 기초로하여 위의 연구 목적을 갖고 전국의 "사회복지관 현황 조사서"에 나타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현황과 문제점을 위시하여 복지관 운영 규정과 관련된 선행연구 논문과 문헌, 관련 기관의 간행물 및 세미나 자료집 등을 분석한 문헌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매개체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중에서도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이들 각각의 현황과 실태 파악 및 문제제기 그리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부분에서는 자원활용의 중요성과 지역사회의 원활한 자원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용자원의 파악이다 즉, 잠재적 자원시장의 분석을 통해서 지역사회내의 인적·물적자원은 물론 각종 기관, 단체 정보 등을 파악하고 지역사회 외적기관 및 용역에 관한 자원도 파악하여 파악된 자원들을 활용가능 정도별로 정리해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개발 활용한다. 둘째, 자원의 개발과 조직을 위한 설계를 체계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관내에 전담부서와 전담직원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지역사회내에 잠재되어 있는 제자원을 발굴·개발·육성·교육·훈련·관리하는 운영체계가 확립되어야 원활한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발굴된 자원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써 자원이 계속 증대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자원 개발을 위한 목표설정 및 전략을 결정하는 단계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의 성별·연령·직업·능력별 등과 또한 시기와 기간 등 제여건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모집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방법 및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한 예로, 모금은 연말연시가 대체로 참여율이 가장 많은 시기이고 방문일이나 시간때 등도 고려하는데 따라 효과의 차이가 많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따라야 한다. 또 비영리조직에서도 이제는 전문경영방법과 마아켓팅기법이나 모금에 대한 전문지식의 도입이 필요하며 특히 홍보에 관해서 좀더 깊은 관심과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자원의 개발 활동을 전개하는 단계로 직원들의 정규적인 교육·훈련은 물론 참여하는 자원들의 역량에 맞추어 교육의 기회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모임이 제공되어야 한다. 사회복지관 뿐만 아니라 많은 비영리조직들이 보다 많은 지역사회자원을 발굴·확보·유지하는 업무가 기존의 무계획적·즉흥적으로 이루어지던 틀에서 벗어나 보다 전문화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실행하므로써,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관리의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이들의 중도탈락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는 과정에서나 활용 후에는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 목적 및 목표달성의 정도, 자원 활용과정에 있어서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결과를 새로운 계획수립 및 실행 과정에 순환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왜냐하면 평가를 통하여 발전적인 계획수립과 관리체계 유지 방법을 계속 보충하게 되는 과정에서 기술이 개발될 수 있으며, 또 지역사회로부터 신임을 얻게 되면 자원활용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법적, 세제상의 혜택 등 제반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 예로 인정과 보상체계를 통하여 동기부여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자원을 개발·유지·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언으로, 원활한 지역사회 자원활용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 원론적인 것이나 방법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문헌이나 논문에서 충분하리 만치 많은 이론과 대안이 제시되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위와 같은 개선방안을 실천에 응용하려는 의지이다. 관리책임자는 물론 전담직원이나 관련 사회복지사가 자원활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항상 단정한 용모와 친절한 마음가짐으로 자원에 가깝게 다가가는 태도 여하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본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의식의 전환이다. 무엇보다도 고착된 의식은 전환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민주시민의식으로서 자원봉사나 후원활동에 자연스럽게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조성을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교육과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며, 가능한 조기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rol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since 1995 when the local autonomy was fully implemented in Korea. The increasingly important role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s reflected in the dramatically increased number of welfare centers in the last 15 years: 24 centers in 1984 have risen to 303 centers as of April, 1998. The increased number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s due to the combined efforts of the activ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raised interest in the welfare centers by the private business sectors. The radically increased number of welfare centers, however, necessitates the commensurat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to meet the raised awareness of the public's needs and service the sheer number of centers. The recent ecomonic situation of Korea, however, is not very favorable to the financing of the welfare centers in many respects. Most of all, the exorbitant financial outlays for national defence makes it very difficult to finance welfare-sector investment. In addition to this, recent foreign exchange crisis, which has resulted in the emergency foreign exchange loan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makes it almost impossible for the local government to invest in welfare centers. In this context, the financing of the welfare centers has become a very crucial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way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should be actively studied and implanted, not only to prepare for the coming 21st century but also to tide over the impending financial crisis facing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refore, is to find ways to utilize the resources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cting on the advice provided by the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c¢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Korea in th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1) the present status of resources-utilization of welfare centers, (2) problems in utiliza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welfare centers, and (3)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ives, the writer used a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 Survey" on the status and problems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throughout the country. In addition, the writer made use of the previously published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cations, seminar literature and relevant materials. The writer has also utilized her own experience and other staffs of welfare centers in writing this thesis. The main focus of this thesis is placed on th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utilization, especially the utiliza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ies concern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ur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resources. Accur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resources on the available resources is prerequisite to the effective and maximized utilization of resources. The resources, in this case, covers material, human, and services. 2. Systemiz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nel for utilization of resources. To effectively utilize the resources, the systemiz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nel is very important. The personnel has as its main responsibility to find out, educate, develop, and manage the potenti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3. Planning a strategy for the resources utilization. Planning a strategy is also important in this area of resources utilization as in other fields. In this respect marketing and managerial expertise is also necessary to maximize the resources utilization. For example, fund-raising event should be planned around the year-end to be most effective. 4.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staff as well as the participants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To make the most use of the available human resources,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staff and the center program partcipants as well is essential. This is more so in view of the fact that in the past there has not been much planning to seek out and retain the available resources in the community. Training and education will be most effective in lowering the drop-out rat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5. Regular evaluation of resources utilization status. Evaluation of the resources utilization is very important to see how well the set goals are met. Evaluation is also important to plan ahead and get support from the community. 6. Finding out the ways to get the community members involved voluntarily. To accomplish this goal, establishment of proper mechanism for the members to get privileges is essential. Proper mechanism, for example, would include tax breaks for donatio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would be a good way for rais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In reviewing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can be offered. 1. First of all, what is most needed is not more theory and research but putting into practice theories and researches conducted so fa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resource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directors and staffs should have a very positive and active attitude in developing community resources. 2. Consciousness-raising is crucial in utilizing the resources. Without consciousness-raising not much can be expected. The raised consciousness is the basis for volunteering and sponsoring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Everybody who should realize that the consciousness-raising of the community members will take the form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atmosphere for volunteering.

      • 대학생들의 재활용자원의 분리배출행동에 관한 연구

        부말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재활용되는 자원을 유리류·종이류·캔류·플라스틱류로 구분하고,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환경친화적 의식 및 환경 친화적 구매행동이 재활용되는 자원의 분리배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총 4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중 420부가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내적 일관성법, t-test, 일원변량분석, 쉐페의 다중범위검증,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재활용자원의 분리배출행동은 종이류가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플라스틱류가 가장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둘째, 유리류 분리배출행동은 성별과 주거형태에 따라, 종이류 분리배출행동은 한달용돈에 따라, 캔류 분리배출행동은 주거형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플라스틱류 분리배출행동은 어떤 변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여학생들의 유리류 분리배출행동 수준이 높았으며 아파트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이 유리류와 캔류의 분리배출행동 수준이 높았다. 셋째, 부모변인에서 재활용자원의 분리배출행동은 유리류, 캔류, 종이류, 플라스틱류 모두 모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캔류 분리배출행동에서는 중졸집단과 고졸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졸집단에서 더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환경친화적 의식 및 환경친화적 구매행동은 재활용자원의 분리배출행동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상·중·하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경친화적 의식 수준이 높고 환경친화적 구매행동 정도가 높을 수록 유리류, 캔류, 종이류, 플라스틱류의 분리배출행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환경친화적 의식은 유리류, 종리류, 캔류, 플라스틱류의 분리배출행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recycled resources can be divided into kinds of glasses, papers, cans, and plastics and that sociological population variables and environment-friendly purchasing behaviors influence resources behaviors of separation elimination. To do this, I distributed 440 questionnaires to college students in Jeju and 42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analysis. I analyzed collected data using SPSS WIN program and used methods of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internal consistency method, t-test, 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s, and so on. Summary of this study follows like this. Firstly, it's hard to believe that college students' behavior of papers is done well as a result of analysis. Secondly, it's shown that cans are well done for separation elimination. Thirdly, in student variables for behaviors of separation elimination, glasses are meaningful accoording to sex and types of housing, papers according to monthly pocket money, cans according to types of housing, and plastics are meaningless in any variables. Fourthly, in parent variables for behaviors of separation elimination, glasses, papers, plastics hav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parent schooling but no difference among groups. Also, cans are meaningful according to parent schooling, specially for groups from middle school graduation. Fifthly, environment-friendly mind and purchasing behaviors have meaningful differences for behaviors of separation elimination, and the higher environment-friendly mind and purchasing behaviors are, the higher behaviors of separation elimination tend to be. Sixthly, as a result of relative influences in behaviors of separation elimination, the higher environment-friendly mind and purchasing behaviors are, the higher behaviors of papers and cans separation elimination are. The lower parent schooling, the higher those of behaviors. The higher glasses separation elimination becomes, the higher environment-friendly mind, while the higher it becomes, the lower parent age is. Glasses are related to high environment-friendly mind, and plastics are related to high environment-friendly mind and low parent age.

      • 유아교육 교사의 교직전문성인식, 정보자원활용, 교사역할수행의 관계 연구

        이은미 가톨릭대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교사의 교직전문성, 정보자원활용, 교사역할수행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이들 세 변수가 개인적 배경변수에 따라 각각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또한 교직전문성인식, 정보자원활용, 교사역할수행이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규명함으로써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 교사의 교직전문성인식 정도는 어떠하며, 배경변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2. 유아교육 교사의 정보자원활용 정도는 어떠하며, 배경변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3. 유아교육 교사의 교사역할수행 정도는 어떠하며, 배경변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4. 유아교육 교사의 교직전문성인식, 정보자원활용, 교사역할수행의 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본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의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분석 대상은 215명이다. 측정도구로서 교직전문성인식 척도는 19개 문항, 정보자원활용 척도는 14문항, 교사역할수행 척도는 16개 문항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Cronbach'α, 평균, 표준편차, t검증, Oneway ANOVA 와 Scheffe검증, Pearson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유아교육 교사들은 교직전문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전문성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별로 보면, 고도의 지적능력과 직업윤리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해서는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교직전문성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전문성 인식은 전반적으로 교사의 연령이 많을 때, 경력이 많을 때, 학력이 높을 때,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경우, 기혼일 경우 교직전문성 인식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둘째, 유아교육 교사들의 정보자원활용정도는 중간보다 약간 낮으며, 교사의 배경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 교사들의 교사역할수행은 중간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서 상담자 및 조언자 역할수행이 가장 높고, 진단자 역할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교사역할수행은 교사의 배경변수 중 연령, 경력,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많을 때, 경력이 많을 때, 학력이 높을 때 교사역할 수행도가 높았다. 넷째, 유아교육 교사의 교직전문성인식, 정보자원활용, 교사역할수행은 서로 정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정보자원을 어느정도 더 활용하며 교사역할 수행도가 높다. 본 연구결과 교사의 배경변수는 교직전문성인식, 정보자원활용, 교사역할수행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또한 교직전문성인식, 정보자원활용, 교사역할수행은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역할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직전문성에 대한 인식도를 높이고 정보자원을 많이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The main purposes in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general tendency in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role-performance of teachers, and how each of those three variables shows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Also to provide basic data which will improve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quality by closely research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ing professional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role-performance of teachers. To achieve such purposes, more detailed research is focused on the following: 1. Verify the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what differences exist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2. Verify the level of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what differences exist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3. Verify the level of role-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what differences exist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4.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role-performance of teachers. The target number of purticipants for this research is a total of 215 teachers who work at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s the method of measurement, the survey is given to them that includes 19 questions about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14 questions about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16 questions about role-performance of teacher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date are conducted by a variety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ronbach's α,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dicates generally high level of recognition. Among subordinate facts of the recogni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is shown in intellectual faculties and vocational ethics, and lowest level of recognition is shown in social and economic position.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s as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Generally, high level of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s shown in ca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re aged, are highly-experienced, well-educated, married and work at public kindergartens. Second, the level of the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dicates a little below the middle level, and also there are almo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s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ird, the level of the role-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dicates higher than middle level, and they show best performances as advisors and cancellers, on the contrast, they shows a lowes performance when make diagnoses. Performance-roles of teacher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age, academic backgrounds and career records, among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High level of the role-performance is seen in ca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at are older, highly-experienced, and well-educated. Forth, static correlation has been found among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role-performance of teachers. Also the high level of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role-performance of teachers are shown when the high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s indicated. It can be concluded from these results, therefore, that the variab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background partially affect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role-performance of teachers. Also, there is correlation among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role-performance of teachers. As a consequence, a scheme that will improve the level of teaching professionalism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the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level of role-performance of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