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제지향 훈련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과 몸통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손유현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28

        본 연구는 세 가지 과제지향 훈련 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 몸통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뇌졸중 환자 25명을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 8명,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 8명,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 9명씩 세 군으로 나누어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 양측 과제지향 훈련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주 3회 30분씩 총 6주간 비동시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 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는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는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에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와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에서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에서 앞쪽, 왼쪽, 오른쪽 방향, 마비측 근활성도와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에서 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앉은 자세 균형 중 몸통 조절 능력 변화 비교 시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다른 군과 비교하여 가장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앉은 자세 균형 중 앉은 자세 압력 이동 변화 비교 시 앞쪽 방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과제지향 훈련군 간 마비측 몸통 근활성도 변화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비마비측 몸통 근활성도 변화 비교 시 배바깥빗근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양측 과제지향 훈련군이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뇌졸중 환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시행한 결과 모든 군에서 앉은 자세 균형과 몸통 근활성도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고 마비측 과제지향 훈련과 비마비측 과제지향 훈련에 비하여 양측 과제지향 훈련이 가장 도움이 되는 중재 방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e type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stroke patient’s sitting balance and trunk muscle activity. 25 strok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8 members for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8 members for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and 9 members for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from Aug. to Oct, 2018 and als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and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were applied for 30 minutes, 3 times a week for 6 weeks in total non-simultaneously. As the results of researc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unk muscle activity in the sitting balance in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and also,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internal oblique muscle for the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for the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In the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in the sitting balance.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for both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nd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In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unk control ability in the sitting balance and also, in the changes of movement of sitting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especially toward the forward, left and right side. Also,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internal oblique muscle for both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nd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p<.05). When comparing the trunk control ability in the sitting balance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 chang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other groups(p<.05). When comparing the changes of movement of posture pressure in the sitting balance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ward side(p<.05), while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er chang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p<.05). When comparing the changes of 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between task-oriented training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p>.05),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when comparing the changes in non-paretic side trunk muscle activity. Also,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group had greater chang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group(p<.05). After conducting the task-oriented training to the stroke patients, all group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sitting balance and trunk muscle activity and furthermore, the bilateral task-oriented training was the most helpful intervention method, compared to the 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and non-paretic side task-oriented training.

      • 기능교정이 경추후만곡과 자세균형에 미치는 효과

        서강민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14

        기능교정이 경추후만곡과 자세균형에 미치는 효과 서 강 민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건강과학산업학과 지도교수 이 재 범 본 연구는 S시 N구 소재의 T의원에 내원환자 중 경추 단순방사선촬영(X-ray) 후 Cobb's angle 35° 이하 또는 Jochumsen's depth 3mm이하로 경추후만곡이 나타나고 자세 불균형이 있는 참가자 1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기능교정이 경추 만곡도와 자세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일군 전후 실험 설계(one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로 연구 참가자에게 주 2회 20분씩 기능교정 치료를 8주간 실시하였다. 사전조사로 치료 전 상담과 경추부 Lateral view X-ray 촬영과 Exbody 720 체형분석기를 이용하여 신체의 우측면을 촬영을 하였다. 사후조사는 기능교정 치료 후 Lateral view X-ray촬영과 Exbody 720 체형분석기 이용하여 신체의 우측면을 동일하게 촬영을 하였다. 각각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참가자들의 경추후만곡의 Jochumsen`s depth와 Cobb`s angle의 기능교정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t-test는 사전, 사후 차이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95% 신뢰수준에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경추후만곡의 Jochumsen`s depth에 대한 사전 사후변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bb`s Angle에 대한 기능교정의 효과의 사전 사후변위도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참가자들의 자세균형에 대한 기능교정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대응 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t-test는 사전, 사후 차이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95% 신뢰수준에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발목에서 무릎부위의 굴곡 각도, 골반경사 각도, 상완골두 중앙에서 귀외이도 부위 경사 각도, LOH(자세 불균형으로 손실된 키값)의 사전 사후변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골능 결절에서 상완골두 중앙 각도에 대한 기능교정 효과의 사전 사후변위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능교정 치료 후에 경추후만곡 및 자세균형이 개선되는 결과를 얻어, 경추후만곡과 자세균형에 대한 기능교정 치료가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능교정 치료가 병적 장애의 물리치료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여 현대인의 신체적 균형을 이루어 2차적인 질병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중재적 역할을 하여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자세균형과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김찬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12

        본 연구는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ver.2)이 여성노인의 자세균형 및 족저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B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노인 14명을 선정하여 7명은 운동군, 7명은 통제군으로 분류하여 바른체형운동을 16주간 주 2회, 총 32회 실시하였으며, 여성노인의 자세균형 및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균형의 변화 바른체형스포츠 실시 전 머리기울기는 14.71±9.06 ㎜에서 실시 후 7.42±7.89 ㎜로 7.29 ㎜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어깨기울기는 실시 전 15.28±6.21 ㎜에서 실시 후 7.42±7.89 ㎜으로 2.86 ㎜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또한, 골반기울기는 실시 전 14.85±4.01 ㎜에서 실시 후 4.85±2.73 ㎜로 10.00 ㎜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2. 족저압력 균형의 변화 바른체형스포츠 실시 전 좌측 족저압은 44.30±4.71 %에서 실시 후 48.83±2.11%로 증가하였고(p=.048), 우측 족저압은 실시 전 55.70±4.71%에서 실시 후 51.17±2.11 % 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좌․우 족저압 차이는 13.31±4.30 %에서 실시 후 5.75±4.59%로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이상적인 족저압 비율인 50:50에 가까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가 여성노인에게 16주간의 바른체형스포츠가 자세균형의 변화와 족저압 균형의 변화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낸 것은 머리기울기와 어깨기울기의 개선이 척추의 안정화를 도모하여 상체정렬을 개선시켜 자세균형의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되며 골반기울기의 개선이 하지의 안정화 및 하체정렬의 개선을 가져온 것으로 사료되어 족저압의 균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낙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노인들을 포함한 연구대상의 다양화는 물론 연구기간 및 횟수를 다양화하여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Postures Balance and Foot plantar pressure Balance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of 16 weeks with 14 elderly female. The Analysis tool for verifying this study was paired t-test. The result was computed as the purpose of study, and verified at a=.05(the level of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is study, following conclusion came out. First, The change of Head’s tilt became near a center-lin an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4.71±7.89 ㎜ to 7.42±7.89 ㎜ in exercise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Soulder-high became near a center-line and a significant decrease form 15.28±6.21㎜ to 7.42±7.89㎜ in exercise gor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elvis tilt became near a center-line from 4.85±2.73 ㎜ to 4.85±2.73 ㎜ and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 The change of Head’s tilt fell away a center-line from 13.57±10.98 ㎜ to 12.57±5.62 ㎜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houlder-high fell away a center-line an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5.57±1.71 ㎜ to 15.14±2.26 ㎜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 differce, Pelvis tilt fell away a center-line from 14.57±3.45 ㎜ to 14.28±3.81 ㎜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change of left foot balance was near 50% balance from 44.30±+4.71% to 48.83±2.11% and right foot balance was from 55.70±4.71% to 51.17±2.11% in exercise group and there were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ifference values of Both foot balance was from 13.31±4.30% to 5.75±4.59% in exercise gorup and there wre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The change of left foot balance of control group fell away the 50% balance from 48.88±2.88 % to 47.30±2.12%, right foot balance also fell away the 50% balance from 52.11±2.88 % to 52.69±2.12%. Also, difference values of Both foot balance was from 5.50±1.98% to 13.17±5.26%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conclusion, Upright body exercise program(ver.2) considered to effect postures balance and foot plantar balance in elderly female.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ver.2) with improvement and prevention for Posture’s unbalance of elderly male. This program could be utilized for improvement of elderly person posture balance and foot balance.

      • 12주간의 비대면 교정운동연속체 트레이닝이 자세불균형 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97

        12주간의 비대면 교정운동연속체 트레이닝이 자세불균형 개선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자세불균형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12주간의 비대면 동영상교정 운동연속체(corrective exercise continuum: CEC) 프로그램 실시가 전방머리자세, 중심비대칭, 내반슬, 외반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대상자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공개적으로 모집하여 3D 전신스캐너(메디 큐브 WS-210, 한국)로 자세를 측정한 후 실험군(n=32)과 통제군(n=32)으로 분류했다. 대상자들을 전방머리자세 실험군(n=8), 중심비대칭 실험군(n=8), 내반슬 실험군(n=8), 외반슬 실험군(n=8) 및 각각의 통제군(n=8)으로 4개의 운동집단과 동일한 4개의 통제군으로 분류하였다. CEC프로그램의 내용은 사지의 해부학적 정렬을 수정하는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12주간 30분/일, 3회/주 실시하였으며, 통제군은 연구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시하였다. 대상자들은 휴대폰으로 가정에서 운동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업로드하였고, 연구자는 참여 영상에 대한 댓글과 소통을 통해 피드백을 주고받는 비대면 동영상 기반 홈트레이닝을 지도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repeated ANOVA)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방머리자세 CEC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실험군의 전방머리 중심 간 거리 및 경추 각도는 유의하게 낮아졌다(p<.05). 또한, 중심비대칭의 체중분배 균형에서도 유의하게 낮아졌으나(p<.05), 통제군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심비대칭 CEC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실험군의 체중분배 균형은 유의하게 낮아졌다(p<.05). 그러나 통제군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내반슬 무릎 중심 간 거리에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p<.05), 외반슬 무릎 중심 간 거리에서도 유의하게 낮아졌으나(p<.05) 통제군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내반슬 CEC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실험군의 무릎 중심 간 거리 및 대퇴골과 경골의 각도는 유의하게 낮아졌다(p<.05). 또한, 중심비대칭의 체중분배 균형에서도 유의하게 낮아졌으나(p<.05), 통제군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외반슬 CEC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실험군의 무릎 중심 간 거리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퇴골과 경골의 각도는 유의하게 낮아졌다(p<.05). 또한, 중심비대칭의 체중분배 균형에서도 유의하게 낮아졌으나(p<.05), 통제군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비대면 동영상 기반 홈트레이닝 CEC프로그램에 따른 자세불균형 성인 남녀의 전방머리자세, 중심비대칭, 내반슬 및 외반슬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비대면으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통합프로그램으로서 자세측정과 운동방법 및 결과의 피드백 리포트를 해주는 통합솔루션 프로그램의 연구가 요구된다. 주요어: 비대면 교정운동연속체 트레이닝, 자세불균형, 전방머리자세, 중심비대칭, 내반슬, 외반슬 Effects of Non-Contact Corrective Exercise Continuum for 12 Weeks on Postural Imbalance in Male and Female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12-week video-based non-contact corrective exercise continuum (CEC) program on the forward head posture, central asymmetry, varus and valgus knees for men and women with postural imbalance. Subjects were recruited openly by the Internet community and measured their posture with a 3D whole body scanner (Medicube WS-210, Korea), and then classified into exercise group (n=32, EG) and control group (n=32, CG). These were classified into forward head posture exercise group (n=8), central asymmetry exercise group (n=8), varus exercise group (n=8), valgus exercise group and each control group (n=8). For the non-contact home training, 12 weeks of 30 minutes/day, 3 times/week, corrective exercise continuum were conducted.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to maintain daily life during the study period. Subjects took and uploaded a video of exercising at home using their mobile phone, etc., and the leader gave non-contact guidance by giving feedback through comments on the participating video and communicating. For statistical analysis, two-way repeated ANOVA and paired t-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5.0). As a result, the center-to-center distanc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tilt angle, and central asymmetry (body distribution balance) according to the forward head posture CEC program of EG were lowered (p<.05). As a result,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according to the forward head posture CEC program in EG, the angle of spinal inclination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vertebrae, and central asymmetry (body distribution balance) were lowered (p<.05). Body shape distribution balance and shoulder tilt angle were lowered in EG according to the central asymmetry CEC program (p<.05). According to the varus CEC program in E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knee, the tilt angle of the femur and tibia, and body shape distribution were lowered (p<.05). According to the valgus CEC program in E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knee increased, and the tilt angle of the femur and tibia decreased (p<.05). In addition, the body type distribution balance was also lowered (p<.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CGs. In conclus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nterior head posture, central asymmetry, varus and valgus knees of men and women with postural imbalance according to the video-based non-contact CEC program was confirmed. The video home training CEC program is considered to be a useful alternative to the management of postural imbalanCEC for reasons such as when face-to-face exercise is difficult, distance problems, temporal, spatial, and economic problems. key word: postural imbalance, corrective exercise continuum, video-based non-contact, forward head posture, central asymmetry, varus, valgus

      • 전정·고유수용감각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균형과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화영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82

        국문초록 전정 ? 고유수용감각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균형과 작업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 화 영 (지도교수 : 양 영 애)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목 적: 본 연구는 전정?고유수용감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자세균형과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2년 5월 1일부터 2012년 8월 30일 까지 부산 S병원의 작업치료실에 입원하고 있는 재활의학과 전문의로부터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전정?고유수용감각 프로그램집단 10명, 전통적 작업치료 집단 10명으로 나누어 6주간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후의 자세균형과 작업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PASS(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SS),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을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MBI(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시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조군을 전?후 비교한 결과 자세균형과 작업수행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조군을 전?후 비교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실험군의 중재 전?후의 자세균형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실험군의 중재 전?후의 작업수행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다섯째, 실험군의 중재 전?후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여섯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세균형과 작업수행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곱 번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상생활활동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전정?고유수용감각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균형과 작업수행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작업치료실에서 시행되는 전정?고유수용감각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균형과 작업수행능력 향상을 가져 올수 있는 체계적인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또한 전통적 작업치료에서 벗어나 새로운 중재 프로그램 제공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중년기 여성 만성요통환자와 정상인의 동적 균형 비교

        이경정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81

        이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의 만성요통이 일상생활동작 중 균형조절능력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중년기 여성 만성요통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자세조절능력에 대한 동적균형정도를 측정비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천 시 소재 S대학병원에서 요통진단을 받은 중년여성으로서 6개월 이상 된 요통환자 30명과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동작을 응용한 14항목의 Berg 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를 앉기, 서기자세, 자세변화의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균형훈련기(Posturomed)를 통하여 동적균형정도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앉기 항목에서의 "지지 없이 앉기"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서기항목에서의 "지지 없이 서기", "눈감고 서기", "바닥에서 물건집기"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발 모아 서기", "한발로 서기", "뒤돌아보기", "한발 앞에 다른 발 서기", "몸 구부려 팔 뻗기"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자세변화 항목 중에서 "앉았다 일어서기", "서있다 앉기", "360도 회전하기"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동", "발판위에 발 교대로 얹기"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년기 여성의 만성요통환자가 일상생활동작을 할 때 자세조절능력에 대한 동적균형능력이 대조군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년기 여성에게 만성요통은 정적 균형수행의 손상뿐만이 아니라 동적균형수행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열, 전기치료, 운동치료등과 함께 균형 훈련기를 통한 치료도 병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degree of dynamic balance for the posture adjustment abilities betwee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and normal middle-aged women in an attempt to see if chronic lower back pain was related to the balance regulation ability during everyday movements. For that purpose, who were diagnosed to have lower back pain for six months or longer at S University Hospital in Bucheon City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30 normal middle-aged women. Consisting of 14 items revised for everyday movements, the Berg Balance Scale was designed to measure three areas of sitting postures, standing postures, and posture changes. Using the balance trainer(Posturomed),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were measured,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degree of their dynamic bala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sitting without support" of the sitting item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standing without support," "standing with the eyes closed," and "picking up things from the floor" of the standing item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ut there was significant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tanding with the feet together," "standing on one foot," "looking back," "standing with one foot in front of the other" and "stretching the arm with the body bent." Thir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standing up after sitting down," "sitting down after standing up" and "turning 360° of the posture changes item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ving" and "placing the feet on the footing alternatively"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imply that the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had poorer dynamic balance for the posture adjustment ability during everyday movements than those who have no such pain. Thus it's concluded that chronic lower back pain not only damages middle-aged women's static balance performance, but also affects their dynamic balance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rovement measures should include treatments with a balance trainer in addition to heat, electric, and exercise therapy.

      • 바른체형운동-Ⅱ가 여자 중학생의 자세균형과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배소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8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Upright Body Type Excercise Program Ⅱ on posture balance and lung capacity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at 20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B school Y middle school who have been imbalanced body type were carried out that Upright Body Type Excercise Program Ⅱ of 6- minutes 12 weeks third a week. Among of 20 people, exercise group is 10 persons and control group is 10 person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1. Change of the posture balance 1)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angle Degree of change in the cervical spine angle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90.9±3.73° to 95.5±4.25°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Control group was decrease from 91.7±10.18° to 90.6±8.4°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Change of shoulder inclination Height of change in the shoulder inclination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2.1±6.35° to 7.9±5.09°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 Control group was decrease from 11.9.±4.46° to 11.6±4.27°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Change of pelvis inclination Height of change in the pelvis inclination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from 9.7±5.96° to 2.2±1.55°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 Control group was increase from 9.4±4.38° to 4.38±4.06°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Change of lung capacity Leter of change the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1 seconds)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1.73±0.45 l/min to 2.18±0.48 l/mi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 Leter of change the PEF(Peak Expiratory Flow) has shown a increase from 184.9±50.8 l/min to 255.9±41.72 l/mi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1). Leter of change the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1 seconds)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from 1.83±0.58 l/min to 1.77±0.3 l/min in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Leter of change the PEF(Peak Expiratory Flow) has shown a increase from 175.9±79.07 l/min to 193.5±53.13 l/min i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바른체형운동(Ver. 2) 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자세균형과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B광역시 Y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중 PAPS 진단을 통해 좌·우 대칭 불균형이 나타난 여학생 대상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본인과 학부모의 참가 동의서를 제출한 20명을 선정하여 10명은 실험군, 10명은 통제군으로 분류하여 12주간 바른체형운동(Ver. 2)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의 변화 1) 목각도의 변화 운동군의 자세변화를 살펴본 결과 목각도는 실시 전 90.9±3.73°에서 실시 후 95.5±4.25°으로 4.6°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통제군의 자세변화를 살펴본 결과 목각도는 실시 전 91.7±10.18°에서 실시 후 90.6±8.40°으로 1.1°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어깨기울기의 변화 운동군의 어깨기울기는 실시 전 12.1±6.35°에서 실시 후 7.9±5.09°으로 4.2°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통제군의 자세변화를 살펴본 결과 골반기울기는 실시 전 11.9±4.46°에서 실시 후 11.6±4.27° 으로 0.3°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골반기울기의 변화 운동군의 골반기울기는 실시 전 9.7±5.96°에서 실시 후 2.2±1.55°으로 7.5°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통제군의 자세변화를 살펴본 결과 골반기울기는 실시 전 9.4±4.38° 에서 실시 후 10.3±4.06°으로 0.9°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폐활량의 변화 운동군의 폐활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FEV1(노력호기량)은 실시 전 1.73±0.45 l/min에서 실시 후 2.18±0.48 l/min로 0.45 l/min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PEF(최대호기속도)는 실시 전 184.9±50.80 l/min에서 실시 후 255.9±41.72 l/min로 71 l/min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통제군의 폐활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FEV1(노력호기량)은 실시 전 1.83±0.58 l/min에서 실시 후 1.77±0.30 l/min로 0.06 l/min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EF(최대호기속도)는 실시 전 175.9±79.07 l/min에서 실시 후 193.5±53.13 l/min로 17.6 l/min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면 바른체형운동(Ver. 2)가 여자 중학생의 자세균형은 물론 폐활량 개선에도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궁둥신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가 방사통을 동반한 허리 통증 환자의 통증, 장애지수, 근력 및 자세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의철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a spinal manipulation combined with nerve mobilization aimed at the low back pain patients with lower limb radiating pain for six weeks on pain index, low back pain disability index, isometric lumbar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balance ability. A total of 30 subjects were random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joint mobilization group of 15 subjects applied to spinal manipulation and 15 subjects in the comparison group applied to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ith a physical therapy. All intervention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30 minutes and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intervention programs began, and a post test was conducted after six weeks of intervention in the same method with the pretest in order to investigate pain index, low back pain disability index, isometric lumbar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balance ability. Kolmogorov-Smirnov tes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normality of collected data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measurement variables in the two group between before intervention and six weeks after the beginning of intervention,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test homogeneity in phys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s,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test homogeneity between genders, Wilcoxon signed rank 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visual analog scale and low back pain disability index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each group, and Mann-whithey U-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llowing the experiment. Since the measurement variables isometric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balance ability were normally distributed, paired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each group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the magnitudes of effects based on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each group were calculated. When visual analog scale and low back pain disability values in each group were compar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sciatic nerve mobilization and joint mobilization for six weeks,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values and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he sciatic nerve mobilization and joint mobiliza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hanges in the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flexor muscles and extensor muscles in each group were compared,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and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he sciatic nerve mobilization and joint mobiliza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changes in the isometric muscle strength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 When stability index values out of postural balance abilities were compared within each group, the sciatic nerve mobilization and joint mobilizati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and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the sciatic nerve mobilization and joint mobilization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hanges in weight distribution index values were compared,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states where the subjects were standing on a pillow with the eyes open, in states where the subjects bent their head back with the eyes closed, and in states where the subjects leaned their head forward with the eyes closed and only the sciatic nerve mobilization and joint mobilizati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states where the subjects were standing on a pillow with the eyes closed and in states where the subjected turned the head rightward with the eyes closed. Although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group in states where the subjected turned the head leftward with the eyes closed,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same states. However, after intervention, the sciatic nerve mobilization and joint mobilization group showed larger effect size values and both groups showed values between 4∼6 which are normal values after intervention. In conclusion, it had a particularly positive impact on a postural stability index in the four sectors such as pain index, low back pain disability index, isometric lumbar muscle strength and postural balance ability to apply spinal manipulation combined with nerve mobilization to th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ccompanied by lower limb radiating pain. If such manipulation is widely applied to many low back pain patients, it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by letting them return to their daily lives and economic activities more quickly. 본 연구는 하지의 방사통을 동반한 허리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 궁둥신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를 적용 하였을 때 통증지수, 요통장애지수, 허리 등척성근력 및 자세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 총 30명을 궁둥신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를 적용한 15명의 실험군과 이학적 물리치료를 병행한 허리 안정화운동을 적용한 15명의 대조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중재프로그램은 6주간 주 3회 30분을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는 통증지수, 장애지수, 허리 등척성근력 및 자세균형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재프로그램 시작 전에 측정 하였고, 사후 검사는 중재 6주 후에 연구 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두 그룹의 중재 전과 중재 6주 후의 측정변인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자료의 정규성 검정을 위해 Kolmogorov-Smirnov검정을 시행하였으며, 그룹별 신체적 특성의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고 성별에 따른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검정을 실시하였다. 두 그룹의 통증지수와 장애지수는 각 그룹의 중재 전과 후의 기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으며 실험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Mann-whithey U-test를 이용하였다. 등척성근력과 자세균형능력의 측정변인이 정규분포하여 각 그룹의 중재 전과 후의 기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고, 중재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 하였다. 또한 각 그룹의 중재 전과 후의 기간에 따른 효과 크기를 계산하였다. 그룹별 통증지수와 퀘벡요통장애지수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두 그룹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그룹 간 비교에서는 궁둥신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군에서 보다 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룹별 굽힘 근과 폄 근의 등척성근력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두 그룹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그룹 간 비교에서 허리 폄 근의 등척성근력 변화에서만 궁둥신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군에서 보다 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룹별 자세균형능력 중 자세 안정성지수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궁둥신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군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그룹 간 비교에서는 궁둥신경가동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군에서 보다 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중분배지수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두 그룹 모두 눈뜨고 필로우 위에 올라선 상태, 눈감고 머리를 30° 뒤로 젖힌 상태, 눈감고 머리를 30°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눈감고 필로우 위에 올라선 상태, 눈감고 머리를 오른쪽으로 회전한 상태는 궁둥신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군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눈감고 머리를 왼쪽으로 회전한 상태는 이학적 물리치료를 병행한 허리 안정화운동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그룹 간 비교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효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중재 후 궁둥신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군에서의 효과크기가 더 큰 수치를 보였으며, 두 그룹 모두에서 중재 후 정상 수치인 4∼6사이의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하지의 방사통을 동반한 허리 통증 환자에게 궁둥경가동술을 병행한 척추도수치료의 적용을 통해 통증지수, 요통장애지수, 허리 등척성근력 및 자세균형능력 중 자세 안정성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도수치료가 많은 허리 통증 환자들에게 폭넓게 적용되어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에 빠르게 복귀하여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의식적 자세조절 훈련이 자기지각과 자세교정에 미치는 영향

        박경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51

        최근 청소년의 신체발달과 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척추 변형은 조기에 발견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변형은 수술을 통한 치료와 보조기등의 교정기 착용 방법도 있으나, 후유증과 성장과 함께 재 환원되는 문제가 있다. 평소 자신을 Awareness하고 신체의 변형이 어떻게 되는지 스스로 알게 하는 것이 불필요한 수술을 미연에 방지하고 환자에게도 정신적 고통을 덜어줄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통한 자세조절 프로그램은 매우 드물다. 특히, 심신일원론이 동, 서양을 막론하고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의식을 통해 자제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의식적 자세조절 훈련이 자기지각과 자세교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Feldenkrais(1903~1984) 이론과 Pilates (1880-1967) 이론이 바탕이 된 의식적 자세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 바른 자세를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신념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분석과 경기도 K초등학교 4-6학년 남, 여 총 253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와 개방형 자료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총 41문항)을 작성하였다. 이는 척도의 내적 및 외적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토하여, 3개요인 총 10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의식적 자세 조절 훈련이 자세균형(어깨조절능력, 척추각도, 전방굴곡각도, 좌우균형)과 연구1에서 개발된 자세조절 효능감 척도 그리고 신체적 자기개념에 효과적인 변화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Feldenkrais(1903~1984)이론과 Pilates (1880-1967)이론과 우리나라의 국선도의 중기단법과 합기도의 단전호흡 훈련을 접목하여 10주간의 훈련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의식적 자세훈련 프로그램은 소메틱(somatics) 철학에 근간을 두었다. 그리고 운동생리학자인 Janda의 자세불균형의 해부학적 상태를 분류한 학자의 이론을 토대로 회기당 45분의 20회기의 훈련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실험은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총 45명이 참가하였으며, 이들을 의식적 자세조절 훈련에 15명(남 10명, 여 5명), 자세조절 훈련에 15명(남 8명, 여 7명) 그리고 통제집단 15명(남 8명, 여 7명)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검증은 프로그램 실시 후 14주차에 다시 실시한 측정결과를 포함하여, 사전, 중간, 사후 검사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처치 전에 실시한 어깨조절, 골반(척추)조절, 밸런스조절, 자제조절 효능감 검사는 처치 후에, 의식적 자세조절 훈련 그룹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그리고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에서는 자세조절 훈련을 실시한 그룹이 의식적 자세조절 훈련을 실시한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연검사에서는 의식적 자세조절훈련은 평균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자세조절 훈련을 실시한 그룹은 평균값이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의식적 자세조절 효능 감의 구조를 밝히고 척도를 개발하여 의식적 자세조절 프로그램의 기초를 확립하고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에 타당성 있는 안내 역할을 하였다는데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추후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적용에 있어서 다양하고 개별의 특성에 맞출 수 있는 목표 성취를 위해 질적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의식적 자세조절에 대한 이해와 교육을 통해 개인-가정-교육계-사회-문화의 공동체적 협의체가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 목안정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정렬,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이구형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51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목안정화 훈련이 자세정렬,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대상자는 경기도 하남시 소재의 L 병원에 입원 중인 17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마비쪽에 따른 연구결과 차이를 보완하 기 위해서 블록 무작위 배정을 하였으며, 연구군 9명, 대조군 8명으로 설계하였다. 편향된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맹검법을 시행하였고, 연구군은 목안정화 훈련과 기능적 동작훈련, 대조군은 일반물리치료와 기능적 동작훈련으로 6주간 중재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머리척추각, 기능적팔뻗기검사, 앉은자세에서 일어나는 동작 시 압력중심과 체중분포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일어나걷기검사와 10미터보행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첫째, 자세정렬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머리척추각 측정 결과 연구군은 유 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둘째, 균형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90° 기능적팔뻗기검사에서 연구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셋째, 균형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앉은자세에서 일어나는 동작 시 압력중심 이동과 체중분포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군의 마비쪽 앞·뒤 압력중심 이동에서 중재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집단 간 비교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체중분포 변화 측정에서 연구군의 마비 쪽 총 체중분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연구군의 마비쪽발꿈치 체중분포가 중재 전·후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1). 넷째, 보행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일어나걷기검사에서 연구군의 총 시간(p<.01)과 첫 번째 한발짝길이(p<.05)가 중재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첫 번째 한발짝시간의 변화에서 연구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다섯째, 보행능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10미터보행검사에서 연구군의 한걸음길이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5). 집단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위한 목안정화 훈련을 제시하였으며, 이상의 결과로 뇌졸중 환자의 자세정렬, 균형과 보행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라 는 것을 입증하였다. 주 용어 : 뇌졸중, 목안정화 훈련, 목정렬, 보행, 자세조절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on postural alignment,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The participants were 17 stroke patients at L Hospital located in Hanam-si, Gyeonggi-do, South Korea. To prevent potential variation according to the paretic side, the participants were block randomized into the experimental (n=9) and control groups (n=8). To prevent biased response, the participants were blinde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and functional movement training;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functional movement training, during the 6-week intervention.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assessed by analyzing the changes in craniovertebral angle (CVA), functional reach test (FRT), center of pressure and weight distribution in sit-to-stand (STS),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10 meter walk test (10MW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VA to examine the changes in postural alignment indicat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however,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control group (p>.05) was not observed. The between-group comparis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Second, the 90° FRT to examine the changes in balance ability indic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however,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control group (p>.05) was not observed. The between-group comparis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ird, the center of pressure and weight distribution in STS,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changes in balance ability. Compared to the time before the intervention, the anterior-posterior center of pressure on the paretic side was shifted to a significant degree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5)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5). For the weight distribution, the total weight distribution on the paretic sid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1)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5). The weight distribution at the heel on the paretic side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p<.01)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1). Fourth, the TUG to examine the changes in gait ability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erms of the total time (p<.01) and first step length (p<.05)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for the first step tim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tween-group comparison (p<.05) was observed. Fifth, the 10MWT to examine the changes in gait indic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irst step length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however, a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control group (p<.05) was absent. The between-group comparis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is study proposes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in this study, the training has been verifi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regarding postural alignment,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Key words : Cervical spine alignment, Cervical spine stabilization training, Gait, Postural control, Stro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