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전남 여성결혼이민자의 구강건강행동과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은영 전남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4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자녀가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구강건강행동과 자녀 구강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다문화가정 모자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광주-전남에 소재한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14곳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2021년 8월 1일부터 9월 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총 45문항으로 인구학적 특성, 구강건강신념, 구강보건 지식, 다문화적 장애, 구강건강행동,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관리로 구성되었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수의 차이는 일원 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 검정을 시행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스피어만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구강건강행동과 자녀 구강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자녀가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구강건강신념에서 민감성은 경제 수준이 낮을수록 민감성이 높게 나타났다. 심각성은 국적에 따라 ‘베트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요성은 국적과 최종 학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중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타’, ‘캄보디아’ 순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신념의 장애는 국적, 최종학력, 경제 수준에서 차이를 나타났으며, 국적에 따라서 ‘캄보디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경제 수준은 낮을수록 장애가 높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국적에 따라 ‘중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필리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직종에 따라서는 ‘주부’가 더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구강보건 지식은 국적에 따라 ‘중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최종 학력은 ‘대졸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종에 따라서는 ‘직장인’이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적 장애는 한국 거주 기간이 길수록, 최종 학력이 높을수록 직장인일수록 다문화적 장애가 낮게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구강건강행동은 ‘대졸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구강건강관리는 한국 거주 기간이 ‘3년 이상 6년 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구강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구강건강신념의 요인인 장애와 구강보건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자녀 구강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한국 거주 기간과 구강건강신념의 요인인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 자녀가 있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구강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강건강신념의 요인인 장애와 구강보건 지식, 자녀 구강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한국 거주 기간과 구강보건 신념의 요인인 자기효능감으로 파악되어 자녀가 있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자신과 자녀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서 구강보건 지식을 강화할 수 있고, 건강한 상태에서 예방적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장애 요인을 줄일 수 있는 교육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mother-child oral health manage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by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oral health behavio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th children living in Gwang-ju, Jeonnam and their children’s oral health.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self-report survey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of 14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in Gwangju-Jeonnam, condu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5, 2021.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5 questions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liefs, oral health knowledge, multicultural disabilities,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care for children.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for differences in measured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pearman's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of the study subjects. The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ir children's oral health management were analyzed by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usceptibility to oral health belief factors was higher among females, married immigrants with children, and those with lower economic levels. Seriousness about oral health belief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nationality and was the highest in married female immigrants from “Vietnam.”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belief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nationality and education level.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was identified to be the highest in “China,” followed by “others” and “Cambodia.” Barriers to oral health differed according to nationality,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level and were the highest in “Cambodia” in terms of nationality. Higher education and lower economic level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barriers to oral health. Self-efficacy was the highest in “China,” whereas it was the lowest in the “Philippines.” Self-efficacy was also higher in housewives in terms of occupation type. According to nationality, oral health knowledge among the participants was the highest in “China.” In terms of education level, the proportion of college graduates or higher was the highest. In terms of occupation,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were employed was high. Regarding cultural barriers among the participants, a longer length of residence in South Korea, a higher education level, and being employed were associated with lower cultural barriers. Oral health care among participants was higher in college graduates or higher. Among the participants, child oral health care was high in those who resided in South Korea between ≥ 3 years and < 6 years.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behavior in the participants revealed that barriers as an oral health belief factor and oral health knowledg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oral health behavior. In addition, the results of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child oral health care among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 length of residence in South Korea and self-efficacy, as an oral health belief fact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hild oral health care.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behavior in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children were barriers to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knowledge. The factors affecting child oral health care in the participants were the length of residence in South Korea and self-efficacy as a factor for oral health belief. Therefore, to strengthe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s oral health knowledge and care and ensure preventive oral care, they should be educated. This will reduce barriers and improv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