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학업성적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우민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xpression ability,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e focus of the study is in how self-expression ability and self-esteem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s. Participants were 710 students (364 male and 346 female 4th and 6th graders) from 2 elementary schools in Daegu-city. Self-expression ability was measured by the self-expression ability rating scale(Byun & Kim, 1980) and self-esteem was measured by the self-esteem scale(Ku, 2007). Academic achievement was assessed by the scores in mid-term and final exam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xpression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That is, the students who express themselves well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e students who express themselves poorly. The results also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s. That is, the students who had higher self-esteem obtain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ose who had lower self-esteem. In addition, among many sub-factors in self-expression ability and self-esteem, vocal factor in self-expression ability and leadership and popularity factor in self-esteem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roactive self-expression and positive self-esteem could affect academic succes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학업성적 및 자아존중 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고, 특히 자기표현능력과 자아존중 감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4, 6학년 남학생 364명, 여학생 346명, 총 71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변창진과 김성회(1980)의 자기표현 평정 척도, 구본화(2007)가 사용한 자아존중 감 척도, 2010학년도 1학기 중간, 기말 고사 국어 성적과 학기말 종합 평균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능력과 학업성적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을 잘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성적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 감과 학업성적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 감이 높은 학생들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성적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표현능력과 자아존중 감의 여러 하위 요인들 중, 자기표현능력의 하위요인인 음성적 요소와 자아존중 감의 하위요인인 지도력과 인기가 학업성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극적인 자기표현과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계속적인 학업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이고 꾸준히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自己 表現 訓練이 高等學生의 自己 表現과 不安에 미치는 效果

        李惠淑 울산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기 표현 훈련이 고등학생의 자기 표현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 자기 표현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 표현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 자기 표현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불안이 감소할 것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울산시 소재 H고등학교 1학년 7개 학급(213명)을 대상으로 자기 표현 정도를 알아보고 그 결과, 검사 득점 65점 이하인 학생 중 검사 점수가 낮은 순으로 39명의 학생을 선출하였다. 그 중 자기 표현 훈련 참가 희망자에서 18명을 무선 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9명씩 배정하여,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매주 1회씩 총 6회에 걸쳐 자기 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1회 소요 시간은 120분이었고 본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자기 표현의 정도를 평정하기 위하여 <자기 표현 검사>를, 불안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화 불안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t-test)과 공변량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하였다. 분석된 자료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기 표현 훈련은 고등학생의 자기 표현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2. 자기 표현 훈련은 고등학생의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다. This study established following hypotheses in order to know what effects self-expression training has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xpressing capacity and anxiety feeling. Hypothesis 1 :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self-expression training will improve their self-expression capacity more than the controlled group who didn't have the training. Hypothesis 2 :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self-expression training will decrease their feeling of anxiety more than the controlled group who didn't have the training. For the hypotheses-test, 213 first school-year students were selected, who attend the 7 classes of H High School located at UlSan. After a random sampling, 39 students were chosen among those who got below 65 points, from the order of low points. Again, 18 persons were chosen, at random, out of those who hope to participate in the self-expression training, a half of them was allott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half went to the controlled group. All of them were watched as study subjects of this 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put the training programs into practice one time a week, and the total number of training was 6. The time spent for one class was 120 minutes. This researcher moved the program. <Self-expression Test> was adopted to evaluate the degree of self-expression, <Standardized Anxiety-feeling Test> was applied to know the level of anxiety-fee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alysis of Covariance'. The below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ose data. 1. The self-expression training was effective for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self-expression capacity. 2. The self-expression training was effective for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decreasing anxiety-feeling.

      • '자기형성적 표현'으로서의 예술언어 : 자기존중을 위한 교육에의 함의

        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inquiry seeks to articulate philosophically how the characteristics of art can be used to envision a form of educational practice that can help one respect oneself and others as human beings in the present day that requests a paradigm shift in horizontal and democratic educational practice. The setting of these tasks stems from the awareness of problem in Korea's current educational area where it is regarded as largely a corner of competition, which consequently causes it to fail to function as a space where one can learn to respect oneself as one human being. Our old meritocratic perspective on education-which requires students to build up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o acquire wealth and social status that are consistent with their effort-causes students to form a mental habit of valuing their existence based on the logic of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y evaluating themselves and others using an academic achievement-based hierarchy. Unlike the general analysis that states the college entrance exams focused education system as the cause of the mental habit of looking at education as a frame of meritocracy, I also suggest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nal" cause of not being able to vividly address the language of the curriculum. The lethargic class culture characterized by students' mutism that is prevalent from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o university classrooms can be attributed to the inability of educational subjects to regard the textbook or educational text as an object they can closely relate to. I diagnose this phenomenon as the inability of students to form self-respect through self-expression in the educational space and explore how art can contribute to encounter the curriculum's 'language' as a language for self-expression. In order to do this, I set the premise that 'self – expression' clarifying each person 's thoughts and feelings is essential to form our own humanity, and from this point we will begin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is premise. Self-respec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formed in the conditions of isolated individuals, but rather it is an intersubjective, performative and aesthetic concept which means others' views are needed in order for one to express, to bring out and to respect one's humanity as it is. Based on the conceptual relation between self-respect and self-expression, we can see how self-expression can be understood to reveal humanity in detail, and how ar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self-respect in terms of self-expression. I will refer to Charles Taylor's reinterpretation of 'art' as a comprehensive 'expression' term in order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 of self-expression that is to be regarded not as a light subculture, but as an attempt to face and understand the world seriously. The concept of 'expression' or 'art' of Western romanticism has been understood to originate from the arousal of narcissism or enthusiasm of the lyrical self in the aesthetics. Beyond the aesthetics’ view, however, 'self-expression'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modern self is born can acquire a wider range of meanings including human existential desire to grasp the 'inner' attributes of the worlds (as opposed to looking at nature through a mechanical and neutral approach of the Enlightenment). In other words, this self-expression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verbalize the inner relation that the self has with the world at this time where one can no longer find one's own given meaning in the cognitive condition of the modern world. Thus, the meaning of 'art language' is viewed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ized artist, but its meaning is interpreted as being accessible to all modern people who want to be connected to the world in an existential way. In the first-person level, however, the unique meaning of art language can also be created when individuals meet the nature and the world. At this point, though the meanings they produce are all different, there can be seen that there is a formal center point to which they are all universally oriented; it i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mechanically perceived experience and to form humanity by concentrating on one's own sense and inner side for a dignified life that can be pursued spiritually. While the art language as a self-expression, whi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the world, gives us insight into how the articulation of the inner knowledge of the world leads us to a dignified life that is not flat, there is not much that can be said about how we can respect ourselves as human beings through self-expression in 'relationship with others.' So secondly, I want to encompass the view of Merleau-Ponty's 'expression' that the expression can be understood as gestural 'performance' and 'process', which is a form of expression that means physical sign. The claim that this study is trying to make is that in 'phenomenon' in which 'expression' unfolds, we can be captured as being entangled in a dynamic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others) where we 'perceive and are perceived by' each other, and this capture can provide a picture or visualization to help understand the argument that we can nurture self-respect by revealing ourselves in our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others. This is because our way of being, which generate an art language, is also realistically placed in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and others, and in relationships where we are 'perceiving and being perceived by' each other, we are committed to recognizing and respecting our mutual-existence in a sensible and perceptual way. In this inquiry, I try to name the concept that includes the above two characteristics as 'self-forming expression'. ‘Self-forming expression' on one hand, carries an individualistic linguistic nature as it is a concept through which one can gain an intimate self-knowledge when meeting the world in the first-person level. Yet, on the other hand, when it does not stop here, and when it is visualized and expressed, this concept also carries a communicative linguistic nature through which one can existentially be connected to the world and others. The inherent accrual dimension of language that can be perceived here may contribute to reconsideration of the conventional thinking that the curriculum's 'language' has a fixed meaning that we all must accept. Language generally conveys meaning the moment it is ignited and forgets its existence, but art language has meaning that cannot be created by separating it from the way it is produced, because it reveals meaning only when the viewer approaches and tries to understand its object.ᅠ Thus, this research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ty' for self-respect that can be formed through 'self-forming expression' in educational space as the following two aspects. First, by using each other's outward expressions to acknowledge and respect the existence of oneself and others in a more perceptual way, one can trust one's body with a common human sense on a 'horizontal' level.ᅠSecond, based on one's sense and perception, by vividly meeting the 'language' of the educational texts coming down from the curriculum and tradi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xistential sense of belonging to the human group on a 'vertical' level. In the end, it is suggested that creating art language as a 'self-forming expression' to form self-respect could be useful because it could contribute to fostering 'cultural sensibility' to interpret and re-express various educational 'language' of nature and the world by their own senses and judgments. Here, cultural sensibility is considered to be a way of approaching and understanding the 'language' of expressing the world not in a given way, but in one's own sense and perception, by distinguishing myself from thi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Furthermore, cultural sensibility is also regarded as a way to assume and communicate-through the expressions of others-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Eventually, unlike the previous moral educational attempts to approach the issue of 'why can an aesthetic individual form a better community,' exploring the educational dimensions of a person's 'inner' and 'internal' relationships with people through the phenomenon of the art language will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take a new political and existential approach that clarifies the inner conne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recognition' network. 본 논문은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교육실천의 패러다임적 전환이 요청되는 오늘날, 자기 자신과 타인을 한 사람의 인간으로서 존중할 수 있는 교육실천의 형식을 구상하는 데 예술의 특성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를 철학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의 설정은 현재 우리 교육의 장이 대부분 경쟁의 각축장으로 간주됨으로써, 자기 자신을 한 사람의 인간으로 존중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다. 노력에 부합하는 재화와 지위를 차지하기 위해 학력을 키워야 한다는 교육을 향한 우리의 오래된 ‘능력주의’ 관점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성취도에 따라 서열화된 구도로 자신과 타인을 평가함으로써 ‘우열의 논리’에 입각하여 인간의 존재 가치를 매기는 정신적 습관을 형성하게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교육을 능력주의의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정신적 습관을 형성하는 원인이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에 있다는 일반적인 분석과 달리, 교과의 언어를 생생하게 다룰 수 없는 ‘내적’ 원인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현재 초등학교 교실부터 대학의 강의실까지 학생들의 함구증(mutism)이 만연한 무기력한 수업문화는 교육주체들이 교과 혹은 교육적 텍스트를 자신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기지 못하는 데서 비롯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 현상을 학생들이 교육공간에서 ‘자기표현’을 통해 자기존중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는 것으로 진단하면서, 교과의 ‘언어’를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언어로 만나기 위해 예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각자의 생각과 느낌을 명료화하는 ‘자기표현’이 자기존중을 위한 인간다움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청된다는 전제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자기존중은 결코 고립된 개인의 조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인간다움을 드러낼 수 있도록 ‘표현’하고 그 인간다움을 인간다움으로 바라보고 존중해줄 수 있는 타인의 시선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상호주관적’이고 ‘수행적’으로 형성되면서도, ‘미적’인 판단력을 요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자기존중’과 ‘자기표현’ 간의 개념적 관련성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인간다움을 드러내는 자기표현이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그리고 예술이 어떻게 우리의 자기존중의 형성에 기여하는 자기표현을 하는 데 교육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밝히는 것이 본 연구에서 주요하게 해명하고자 하는 바다. 우선, 가벼운 소회를 밝히는 자기표현이 아닌 사물과 세계를 진지하게 마주하고 이해하려는 시도로 간주될 수 있는 ‘자기표현’의 특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찰스 테일러가 낭만주의 시대에 부상한 ‘예술’을 포괄적인 ‘표현’의 의미로 재해석한 관점을 참조한다. 흔히 서구 낭만주의의 ‘표현’ 개념이나 ‘예술’의 성격은 미학적 관점에서 볼 때 서정적 자아의 도취나 열광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이해된 바 있다. 그러나 미학적 관점을 넘어 근대적 자아가 태동하는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자기표현’은, 계몽주의적 접근의 기계적이고 차가운 시선으로 자연을 바라보는 것과 다르게 세계의 ‘내적’ 속성을 파악하고 싶은 인간의 실존적 욕구를 포함하는 폭넓은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이때의 자기표현은 더 이상 세계에서 ‘주어진’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을 수 없는 근대의 인식적 조건에 놓인 자아가 다시 세계와 맺는 내적 관계를 ‘언어적으로 형상화하려는 시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은 예술가를 영웅시하는 입장에서 조망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실존적으로 연결되고 싶은 근대인에게 원칙적으로 ‘모두’ 접근 가능한 것, 그러나 ‘일인칭적’으로 자연과 세계를 만날 때에만 고유한 의미를 생성할 수 있는 ‘표현’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각자가 생성하는 의미는 모두 다를지라도, 기계적으로 파악되는 경험의 한계를 인식하고 정신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존엄한 삶을 위해 자신의 감각과 내면에 집중하여 인간다움을 형성하려는 공통의 형식적 구심점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아와 세계가 맺는 관계에 주목하는 ‘자기표현’으로서의 예술언어는, 세계에 대한 내적 앎을 명료화(articulation)하는 것이 어떻게 우리를 평평하지 않은 존엄한 삶으로 이끄는지에 대한 통찰은 주지만, ‘타자와의 관계’에서 자기표현을 통해 어떻게 우리 자신을 인간다운 인간으로 존중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말해줄 수 있는 바는 많지 않다. 그리하여 둘째, 표현이 물리적인 기호를 의미화하는 운동적 ‘수행’이자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메를로-퐁티의 ‘표현’에 관한 관점을 포괄한다. ‘표현’이 전개되는 ‘현상’에서 우리는 타자 및 세계와 서로 ‘지각되고 지각하는’ 역동적인 관계로 엮이는 것으로 포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착은 현존하는 타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드러냄으로써 자기존중을 함양할 수 있다는 주장을 이해할 수 있는 한 가지 그림을 제공한다. 왜냐하면 예술언어를 발생시키는 우리의 존재방식 역시 실존적으로 세계 및 타인과의 관계에 놓이게 되며, 서로가 서로를 ‘지각하면서 지각되어지는’ 관계에서 우리는 감각적이고 지각적인 방식으로 상호현존을 인정하고 존중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위의 두 가지 특성을 포함하는 개념을 ‘자기형성적 표현(self-forming expression)’이라는 이름으로 명명한다. ‘자기형성적 표현’은 한편으로는 일인칭적으로 세계를 만나는 내밀한 자기인식(self-knowledge)을 위한 개별적인 ‘언어’의 성격을 가지지만, 여기에 함몰되지 않고 그것을 가시화하여 표현할 때에는 소통적인 ‘언어’로 발원함으로써 세계 및 타인과 실존적으로 연결되는 성격을 가진다. 여기서 지각할 수 있는 언어 본연의 발생적 차원은, 교과의 ‘언어’가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고정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관습적 사고를 재고하는 데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언어’는 그것이 발화되는 순간 의미를 전달하며 자신의 존재를 망각하게 하지만, ‘예술언어’는 질료 및 표현 방식과 분리해서 생성될 수 없는 의미를 지니며, 감상자가 접근하여 그 대상을 이해하려할 때 비로소 의미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교육 공간에서 ‘자기형성적 표현’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자기존중을 위한 ‘인간다움’의 특성을 다음의 두 가지 측면으로 이해한다. 첫째, 서로의 ‘표현’을 제시하며 지각적인 방식으로 자신과 타인의 현존을 인정하고 존중하게 됨으로써 ‘수평적’ 차원에서 인간 공통의 감각을 가진 자신의 몸을 신뢰하게 된다. 둘째, 자신의 감각과 지각에 근거하여 교과 및 전통으로부터 내려오는 교육 텍스트의 ‘언어’를 생생하게 만남으로써 ‘수직적’ 차원에서 인간 집단에 속하는 실존적 감각을 두텁게 하게 된다. 결국 자기존중의 형성을 위해 '자기형성적 표현'으로서 ‘예술언어’를 생성하는 것이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은, 자연과 세계를 표현하는 인간의 다양한 교육적 ‘언어'를 자신의 감각과 판단에 의해 해석할 수 있는 '문화적 감수성'을 함양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여기서 문화적 감수성은 세계를 표현하는 '언어'를 이미 주어진 방식이 아닌 자신의 감각과 지각으로 다가가 이해하고, 그로부터 이 세계와 관계 맺는 나를 인식하는 것, 나아가 다른 인간의 표현으로부터 그들이 이해하는 세계가 무엇인지 짐작하고 소통하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예술언어가 수행되는 현상에서 한 사람의 ’내면‘과 사람들 '간'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교육적 차원을 동시에 탐색하는 것은, '왜 미적 인간이 더 나은 공동체의 존재방식을 형성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조화로운 인격의 함양을 통해 접근하려는 그간의 도덕교육적 시도와는 달리, '개인'의 형성과 '사회적 인정의 관계망' 사이의 내적 연관성을 해명하려는 정치적·실존적 교육접근의 시도로서 이해될 수 있다.

      • 自己表現 訓練이 高等學生의 不安과 自我尊重感에 미치는 影響

        박성래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 훈련을 고등학생에게 실시하여 자기표현의 향상과 불안감소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특별시에 소재한 D공업고등학교 1학년 학생중 3개 학급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검사 점수가 낮은 학생과 불안 검사의 불안 검사치가 높은 학생중에서 24명의 학생을 표집하여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검사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자기표현을 측정하기 위해서 Rakos와 Schroeder(1980)의 주장행동 척도를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개발한 변창진·김성희(1980)의 자기표현 검사, 불안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주영숙·김정휘(1995)가 엮은 불안검사(코리안 테스팅 刊)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Esteem Inventory를 박애선(1993)이 번역한 것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Eisenberg(1989)가 제작한 이타성 자기보고를 양진숙(1991)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고등학생에게 적절하게 수정 보완하여 28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PC+ 통계처리 프로그램에 의해서 통계치를 산출하고, 평균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하였으며 통계적 의의도(p)는 0.05 수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서 간단히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훈련이 자기표현의 변화(향상)을 가져왔다(P<0.001). 이를 다시 하위요소별로 분석하여도 3개의 요소 즉 자기표현(內容), 자기표현(音聲), 자기표현(體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를 보였다(P<0.001). 이는 Aiduk와 Karoly(1975), Linehan, Walker와 Bronheim(1979), Woodpentz(1980), 홍경자(1981), 김성희(1982), 이승신(1986), 최윤희(1992)가 자기표현 훈련을 통해서 자기표현이 향상되었다는 연구와 일치한 결과이다. 따라서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표현 검사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라고 한 가설은 긍정되었다. 둘째, 자기표현 훈련이 불안의 감소를 가져왔다(P<0.001). 이를 다시 하위영역별로 분석하여도 3개의 영역 즉 대인불안, 시험불안, 기타정서 불안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차를 보였다. 이는 Booraem과 Flowers(1972), Brown과 Stuart(1974), Orenstein부부와 Carr(1975), Spence와 Marziller(1982)과 김경민(1987), 김재호(1988), 김영근(1988), 황임란(1991), 차선화(1922)가 자기표현 훈련을 통해서 불안정도가 감소 되었다는 연구와 일치한 결과이다. 따라서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불안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라고 한 가설은 긍정되었다. 셋째, 자기표현 훈련이 자아존중감의 증가를 가져왔다(P<0.001). 이는 Stake와 Peanlman(1980), Reakes(1981), Workman(1982) 김순원(1983), 윤길상(1984), 홍경자와 노안녕(1984), 김진규(1988), 박분희(1988), 김창은(1990)이 자기표현 훈련을 통해서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는 연구와 일치한 결과이다. 따라서 자기표현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 할 것이다 라는 가설은 긍정되었다. 넷째, 자기표현 훈련이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따라서 자기표현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친사회적 행동검사 점수가 의의있게 향상 될 것이다 라고 한 가설은 부정되었다. 이렇게 친사회적 행동검사 점수가 의의있게 향상되지 못한 이유는 단기간의 훈련을 통해서 행동의 변화 자체가 쉽게 변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고, 친사회적 행동 검사가 정도와 상태를 묻는 것이라기 보다는 행동과 습관의 변화를 묻는 것이기 때문에 의식의 자극이나 변화로 친사회적 행동 검사에 쉽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표현 훈련은 자기표현의 증진, 불안의 감소, 자아존중감의 증진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나 친사회적 행동에는 변화를 가져오기 어렵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

      •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경증치매노인의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박주연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에게 사이코사이버네틱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여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p시의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 중 20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4년 10월 초부터 11월 말까지 1회기 60분씩, 주 2회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한국형치매진단척도(MMSE-K)점수가 15-23점인 경증 치매노인 10명이 실험집단, 10명이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주2회 16회기 사이코사이버네틱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미술치료를 제공하지 않았다. 그러나 추후에 미술치료를 원하는 대상자에 대해서 미술치료를 제공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 후에 상태불안 (STAI-Y1)검사와 자아존중감(RSES)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사과나무에서 사과를 따는 사람(PPAT)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같은 시기에 PPAT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경증 치매노인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미술을 통한 자기표현 능력의 효과성을 보기위해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측정하였다. 미술치료 16회기 중 같은 기법을 사용한 4회기 작품과 14회기 작품을 선정하여 4명의 평정자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실시하였다. 그 중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점수가 많이 향상된 세 명의 대상자를 중심으로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집단미술치료는 Nucho(2003)가 제시한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을 활용해 네 단계로 구조화 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상태불안 점수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고, 자아존중감 점수는 높아졌으며 PPAT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 점수도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의 상태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미술 자기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설거주 경증 치매노인의 심리적인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구조화된 미술치료적 개입을 실행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발표불안에 미치는 효과

        박은숙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은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은 학생의 발표불안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발표불안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S초등학교의 5학년 1개 반 학생 28명을 실험집단으로, 또 다른 1개 반 학생 24명을 통제집단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효능감의 검사 도구는 김아영․차정은(1996)의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한혜진(2002)이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표현으로 번안한 검사지이고, 발표불안 검사 도구는 임봉순(1991)의 발표불안 척도, 김혁곤(1992)의 사회적 불안 검사를 임만택(1994)이 초등학교 수준으로 번안한 발표불안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 도구들은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뢰계수(Cronbach's α)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변창진, 김성희(1980)가 만든 ‘주장훈련 프로그램’, 하영석(1983)이 만든 ‘공격적, 소극적인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 정일호의 ‘국민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기주장학습을 위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 및 김창은(1990)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자기훈련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아동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프로그램의 훈련과정은 모두 10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험집단 28명에게는 연구자가 2009년 3월 13일부터 2009년 5월 1일까지 8주 동안 매회 40분씩 주 1∼2회, 총 10회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14.0 버전을 사용하여 수량화를 통한 양적인 통계처리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발표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자기효능감에 대한 발표불안의 요소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소(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 난이도)가 높을수록 발표불안의 하위요소인 자기평가 불안,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 발표불안 증상이 감소하는 부(-)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발표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제언을 하자면 초등학교 학생의 수준에 맞는 보다 다양하고 흥미로운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의 연구, 실시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 색채심리를 활용한 자기표현 수업 지도안 연구 : 중학생의 감정 캐릭터를 중심으로

        최여령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Due to the COVID-19 that started in 2019, our contemporary people have suffered from an extreme anxiety and depression, while having little time to reflect on their emotion and converse with others due to their busy life. In particular, the youth who experience the physical change and the psychological upheaval tend to conceal their emotion due to the affective disturbance caused by excessive learning burden, competition and college entrance exams.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provide the middle schoolers requiring self-expression and ego-identity with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and release their emotions and cure themselves through a self-expression class. The self-expression can be divided in large into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expressions. The linguistic expressions are speaking and writing, while the non-linguistic ones are art activities. Students use diverse colors in their art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senses, thoughts and individuality and therefore, they may well express their inside indirectly and freely. In addition, the colors would act on human feeling and emotion deeply, being the effective means for the youth to arouse emotional response. The color psychology examines such emotional responses and the aesthetic,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influence of the colors and thereby, serves to plan the color harmony and color image. If the self-expression art class should be designed for the active self-expression by using such functions and attributes of the colors, the students would well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changes of their mood and colors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colors on human beings and would also discover their emotion and express it. The researcher reviewed our youth's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and the color psychology and thereby, designed a self-expression art class guide to help them reflect on and interpret their emotions and thereby, cure their emotional problems. The guide consisted of 4 sessions, while the movie 'Inside Out' was selected as the learning material to characterize their emotion, and thereby, students can express their emotion as an island. After the sessions, students could well understand and use the theories about the psychological functions of the colors to reflect on their emotion and express it with colors. As a result, the students could improve their aesthetic sense and visu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further, could well communicate with their friends. In short,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lors could be confirmed in terms of emotion. Lastl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positively accommodated by the schools to develop more diverse and new self-expression teaching guides. 2019년도부터 시작된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고도의 불안감과 우울감이 증폭된 가운데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의 감정을 되돌아보고 대화할 시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육체적 변화와 함께 심리적 격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은 과도한 학업과 경쟁,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한 정서적 불안으로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표현하지 않는 성향을 유발하게 된다. 청소년의 첫발을 딛으며 혼란을 겪고 자기표현과 자아 정체감의 형성이 중요한 중학교 학생들에게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자기표현 수업으로 감정 해소와 치유의 기회를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자기표현의 방법은 크게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으로 나눌 수 있다. 언어적 방법은 말하기와 글쓰기 등등이 있으며 비언어적 표현 방법으로는 미술 활동을 통한 방법이 있다. 미술 활동은 자신의 감각과 생각, 개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색채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자신의 내면을 간접적으로 부담 없이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색채는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깊이 있게 작용하고 청소년의 감정적 반응을 일으킴에 있어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이러한 감정적 반응과 미적, 심리학적, 생리학적, 영향 등에 관하여 연구하고 색이 가지고 있는 기능과 속성을 통해 색채조화와 색채 이미지, 색채 계획을 세우는 것을 색채심리라 하며 이러한 색채심리를 활용한 자기표현 미술수업을 하게 된다면 학생들은 자신의 기분 변화와 색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작용을 이해하고 자신이 미처 알지 못했던 감정을 발견하여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청소년의 교우 관계 개선과 색채심리를 활용하여 자유로운 미술표현 신장, 개성적 색채표현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그렇게 함으로 특히 자신의 감정을 되돌아보고 감정 해소 및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기표현 미술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수업은 4차시로 구성하였으며 학습자료로 영화 ‘인사이드 아웃’을 선정하여 자신의 감정을 캐릭터화하고 자신을 나타내는 개성을 섬으로 표현하게 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학생들은 색채의 심리적 기능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되돌아보고 색채로 표현하는 시간을 가지며 미적 감수성과 시각적 소통능력이 함양되었으며 교우와 소통하는 시간을 가지며 정서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청소년들을 위해 본 연구가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수용되며 다양하고 새로운 자기표현 수업이 개발되는 과정에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이현정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정신건강 회복과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염두에 두고 사이코사이버네틱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폐쇄병동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그리고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에는 서울시 소재 사립정신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의 진단에 따라 폐쇄병동에 입원한 환자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 중 11명은 실험집단에, 다른 11명은 통제집단에 배치되었다. 실험집단에는 2015년 3월 초부터 5월 말까지 14주간 주 1~2회씩 총 15회기의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심리치료는 Nucho(2003)의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심리치료 모델에 근거하여 4단계로 구조화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은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집단미술심리치료 실시 전과 후에 자아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와 대인관계변화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로 검사를 실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를 t검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집단미술심리치료를 통한 미술자기표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집단의 작품 중 주제가 동일한 1회기와 15회기의 미술표현척도(Art Self-Expression Assessment: ASEA)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점수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 점수 역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에 근거한 집단미술심리치료가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미술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체계화된 미술심리치료인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의 집단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여 증상과 진단이 다양한 폐쇄병동의 정신질환자 집단에서도 유용한 미술심리치료적 개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주요어: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심리치료 모델, 집단미술심리치료, 폐쇄병동 정신질환자,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미술자기표현

      • 판화를 활용한 집단 미술심리치료가 주간 보호시설 경증 치매노인의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정하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판화를 활용한 집단 미술심리치료가 주간 보호시설 경증 치매노인의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S시에 위치한 주간 보호시설 두 곳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중 한국형 치매진단척도(MMSE-K) 점수가 16점에서 23점에 해당하는 경증 치매노인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 3월 7일부터 5월 13일까지 10주간 주2회, 60분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한국형 치매진단척도(MMSE-K) 점수가 16점에서 23점에 해당하는 경증 치매노인의 16명을 각각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에 배치하였고, 사전검사로 상태불안(STAI-Y1)척도와 자아존중감척도(RSES), 그리고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a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실험집단에는 주2회씩 총20회기에 걸쳐 판화를 활용한 집단 미술심리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미술치료를 제공하지 않았다. 집단 미술심리치료 마지막 회기에서는 실험집단에게 사후검사로 상태불안(STAI-Y1)척도와 자아존중감척도(RSES), 그리고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a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PPAT)검사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의 경우 같은 시기에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경우 판화를 활용한 미술작업이 자기표현 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미술 자기표현 평정척도(Art Self-Expression Assessment : AS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미술치료 전체 20회기 중에서 동일한 작업 기법과 주제인 4회기와 19회기 작품을 선정하여 3명의 평정자가 미술 자기표현 평정척도(ASEA)를 실시하였다. 판화를 활용한 집단 미술심리치료는 Nucho(2003)가 제시한 사이코사이버네틱 미술치료 모델(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의 4단계를 적용하여 구조적인 치료환경을 제공하였고, 총 20회기의 집단 미술심리치료의 회기는 초기단계(1-5회기), 중기단계(6-15회기), 종결단계(16-20회기)로 나뉘어 각 단계에 적절한 판화기법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상태불안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은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PPAT검사는 FEATS의 14개 항목 중에서 색의 적절성, 내적에너지, 공간, 통합, 논리성, 사실성, 문제해결력, 발달단계, 선의 질, 사람 총10가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미술 자기표현 하위항목인 주제,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 총 5가지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판화를 활용한 집단 미술심리치료가 주간 보호시설 경증 치매노인의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그리고 PPAT검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주간 보호시설 경증 치매노인의 심리적 특성에 중점을 두고 Nucho(2003)가 제시한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의 구조화된 치료환경과 판화의 특수성을 활용한 미술심리치료적 개입을 실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 자기표현훈련이 농어촌지역 초등학생의 발표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황혜숙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생의 발표불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이 농어촌지역 초등학생의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자기표현훈련이 농어촌지역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Y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0명으로, D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실험집단에, 같은 지역 W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실시한 자기표현훈련은 총 10회기로 주 2-3회씩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 소요시간은 100-120분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발표불안 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이다. 발표불안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발표불안 검사는 김서회와 김규식(1994)이 특성불안의 측면에서 개발한 발표불안 척도를 근거로, 초등학교 학생이 수업의 발표장면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고 검사문항에 사용된 어휘가 초등학교 학생의 수준에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것으로 선별하여 수정&#8228;보완하였다. 자기효능감 검사를 위해서는 김아영(1998), 김홍례(2005)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표현으로 적절하게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변인에 대한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으로 집단간의 동질성을 검증하였으며,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통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과 시기(사전, 사후, 추후검사)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훈련은 전반적으로 발표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발표 중 불안과 발표 후 불안의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표 전 불안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표현훈련은 전반적으로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등 3가지 하위영역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표현훈련은 농어촌 초등학생들에게 자신의 생각, 느낌, 감정 등을 적절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습득하도록 함으로써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적절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expression training on the presentation anxiety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by carrying out self-expression training on elementary students of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The hypothetical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training on the presentation anxiety of elementary students of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2.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xpression training on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of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in two classes extracted from sixth grade class of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 city-15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students of W elementary school as the control group. The self-expression training took effect 2~3 times a week for the total of 10 times spent on every operation was 100~120 minutes. The test paper used in the former test was presentation anxiety test and self-efficacy test. The Presentation Anxiety Test used to survey the degree of presentation anxiety was adjusted and supplemented after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often takes place while elementary students make presentation in class and selecting adequate level for elementary students on the words used on the test’s questions, based on presentation anxiety standard developed by Kim, Sui-Hee and Kim, Gyu-Sik(1994) in characteristic anxiety side. For the Self-Efficacy Test, general self-efficacy standard of Kim, Ah-Young(1998) and Kim, Heong-Lai(2005) after the adequate reorganization of appropriate expression for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expression training was shown to be overall effective on the decline of presentation anxiety. Although it was shown that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in lower domain in anxiety while and after making the presentation, it was shown that there i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before-presentation domain. Secondly, self-expression was shown to be generally effective on self-efficacy improvement as well, and also was shown to have considerable difference in all three lower domain-confidence, self control efficacy, and preference of task degree. In conclusion, self-expression training is an adequate program to decrease presentation anxiety and to enhance self-efficacy of farming and fishing community’s elementary students by helping them acquire the ability to appropriately and frankly express their thoughts, feelings, emotion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