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대의 자기애성향, 대인관계지향성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혜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20대를 대상으로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NS 이용률이 가장 높은 20 대 2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 (NPDS), 내현적 자기애 척도 (CNS), 대인관계 지향성 척도 (FIRO-B), SNS 중독 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SNS 중독 경향성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의 각 변인들의 하위 요인과 함께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 SNS 중독 경향성은 각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외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과장된 자기지각, 자기중심성이,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과민이, 대인관계지향성의 하위요인 별 상관관계에서는 통제 욕구가 SNS 중독 경향성과 가장 큰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 경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SNS 중독 경향성의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하위 요인 별 로는 착취 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지향성은 SNS 중독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외현적 자기애의 하위 요인인 웅대성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하위 요인인 소속 욕구, 통제 욕구, 정서 욕구가 SNS 중독 경향성의 하위 요인 중 가상세계지향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나타난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광주광역시 지역의 20 대 남녀로 한정 되어 있어 지역적 특성이나 문화가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후속 연구는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표집을 실시 하여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SNS 이용률이 가장 많은 20 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 하였지만 다른 연령층에서도 SNS 이용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SNS 중독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바탕으로 실시하여서 변인을 측정함에 있어 제한점이 있다. 설문 응답자들의 주관적인 상태, 반응 묵인과 일탈,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 방법을 통해 보다 타당도 높은 방법들을 사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살펴본 변인들 외에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을 SNS 중독 경향성과 연관 지어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성과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 지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박정인 동양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ies and juvenile delinquency. To this end, a total of 285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including 82 high school schools located in the Gyeongbuk region and 203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across the country, centering on Panel, an online survey agency. The degree of narcissistic personality tendency, juvenile delinquency, and clarity of self-concept were measured for participat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calculated the SPSS 21.0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he Cronbach's a coefficien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variabl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nd delinquency, the stronger their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the stronger their delinquency behavior,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atus flight, sex flight, and violent flight, which are sub-factors of delinquency. Second, whe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concept clarity and flight, self-concept clarity and fligh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and status flight, which are sub-factors of flight, sexual flight, and violent flight. Third, it was examined whether the clarity of self-concept would have a moderating effect in predicting delinquency of adolesc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In addition, not all moderating effects were significant when it was examined whether self-concept clarity had a moderating effect in predicting specific flights of status flight, sexual flight, and violent flight, which were sub-factors of adolesc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propensity.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propensity and delinquency, self-concept clarity wa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the effect on delinquency as a control variable. Since this study is a study targeting general adolescents,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is study. This suggests that in th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istinguish between gener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with high levels of delinquency o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delinquency according to the level of narcissism.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2개 학교 82명과 온라인 설문 조사기관인 패널을 중심로 전국에 소재하는 고등학생 203명 총 28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 대상으로 자기애적 성격 성향, 청소년 비행, 자기개념 명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과 빈도와 백분을을 산출하고, 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량,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과 비행 간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이 강할수록 비행 행동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비행의 하위 요인인 지위 비행, 성 비행, 폭력 비행과도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비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자기개념 명확성과 비행은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비행의 하위 요인인 지위 비행, 성 비행, 폭력 비행과도 정적 관계를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이 비행을 예측하는데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 효과를 나타낼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이 하위 요인인 지위 비행, 성 비행, 폭력 비행의 구체적 비행을 예측하는데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지도 살펴보았을 때 모든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청소년의 자기애적 성격 성향과 비행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은 조절변인으로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이 연구를 일반화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추후 일반청소년과 비행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을 구분하여 연구를 하거나 자기애적 성향의 수준에 따른 비행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전문 무용수의 자기애 성향과 무용정서표현성의 관계 :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민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전문무용수의 자기애 성향과 무용정서표현성 간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수의 수행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성격특성을 밝히고, 무대에서 표현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인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전문무용수의 공연수행에 도움이 되는 성격특성을 밝히기 위해 외현적 자기애로 구분하여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무용정서표현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인천시에 위치한 발레단 4곳에 소속된 전문무용수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전문무용수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외현적 자기애, 신체적 자기효능감, 무용정서표현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무용수의 자기애 성향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무용수의 자기애 성향은 무용정서표현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무용수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무용정서표현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무용수의 자기애 성향과 무용정서표현성 간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무용수의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되어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증가하고, 그래서 신체에 대한 만족도와 수행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됨으로써 궁극적으로 무용정서표현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문무용수를 대상으로 공연 수행 시 경험하는 긍정적인 심리 특성인 자기애 성향과 무용정서표현성의 간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에 대해 검증하고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무용지도자는 무용전공생이 전문무용수로 나아감에 있어 성공적인 공연수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상담 및 지도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seeks to determine whether physical self-efficacy i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dancers' narcissistic tendencies and dance emotional expressions. With the verified results, this study aims to pinpoint personality traits that affect dancers' performance and provide an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expressiveness on stage. Through the overt narcissism scal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efficacy and dance emotion expression in order to research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dancers.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t narcissism, physical self-efficacy, and dance emotional expression, and it conducted the survey of 200 professional dancers from four ballet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With the use of the SPSS 22.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arcissistic tendencies of professional dancers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hysical self-efficacy. Second, narcissistic tendencies of professional dance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emotional expression. Third, physical self-efficacy play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ole in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efficac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rs' narcissistic tendencies and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This result shows that dancers with higher narcissistic tendencies evaluate their own abilities more positively,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physical self-efficacy, and thus, improved body satisfaction and self-confidence regarding the performance, resulting in improved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d the mediating role of physic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tic tendencies and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which are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dancers during performances. It also examined the pot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dance teachers need to find effective guidance and counseling methods for producing successful dance performances in developing dance majors students into professional dancer

      • 이미지 딥러닝 및 충격응답기법에 기반한 머신러닝 분석기법을 활용한 자기애자의 건전성 평가

        윤영근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maintenance of large-capacity and long-distance transmission towers is important for stable power supply in a situation that the demand for power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he increase in living power. A high transmission voltage is required to stably supply a large amount of power, so the transmission line require a high level of insulation. A transmission tower is composed of a steel tower, wires, and porcelain insulators. The porcelain insulat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transmission line, such as mechanically fixing the transmission line to the transmission tower and securing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transmission tower. More than 99% of transmission lines in Korea use porcelain insulator. There are 5.1 million porcelain insulators on 154kV transmission line out of 9.8 million porcelain insulators is installed on 765kV, 345kV and 154kV transmission line. and it occupies about 52% of the total. There are more than 1.2 million porcelain insulators manufactured by NGK of Japan in 154kV transmission lines, and about 800,000 of them have exceeded their service life (30 years). Although porcelain insulator does not cause immediate deterioration in insulation performance or mechanical damage even if they are used for more than their service life, sudden damage may occur by aging progresses due to stress accumulation and deterioration in a continuous stress environment. The types of mechanical defects of the porcelain insulator were defected are tearing of cap (metal fitting) by continuous stress, breakage of the magnetic part shell by lightning and hail and cracking of the porcelain part by expansion of cement inside the cap. However, since most of the current technologies for diagnosing damage to porcelain insulator have been developed by focusing only on electrical damage and failure, A highly reliable technology that is to evaluate the mechanical integrity such as rapidly increased the type of breakage by long-term used for more than 30 years (porcelain crack/breakage, tearing of cap, internal damage) has not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e image deep learning and the machine learning prediction model based on impact response method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mechanical integrity of porcelain insulator. First, an image filtering process for identifying cracks in the appearance of porcelain insulator was proposed, and an image deep learning method for identifying changes in appearance state of porcelain insulator due to aging and contamination was proposed. The crack identification process went through steps 1 to 8 and had an identification rate of over 70% for many and various crack shapes, and the limitations of applying the image deep learning method and its applicability under specific conditions were confirmed. These results can be used significantly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porcelain insulators in the future when the external state is deteriorated or damaged due to environmental degradation, abnormal voltage, lightning, etc. Next, using the frequency response function(FRF) collected through multiple sample tests with the impact response method, this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mechanical defects in the porcelain part is evaluated through basic waveform analysis of defect types and predic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with feature extraction. Finally, a long-distance FRF measuring device based on an auto impact hammer and MEMS sensor was developed. A machine learning model was developed to distinguish between normal and damaged areas with high accuracy for damage (cap tear, internal damage) of porcelain insulators through testing on string structures built in the laboratory. Although this model is currently classified as normal, it is judged that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judgment of maintenance/replacement priorities for porcelain insulators close to the damaged area. In this paper, the impact response method don't evaluate the damage caused by simply movement of natural frequency, but considers the limit on the change in natural frequency due to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orcelain insulators manufactured with low technolog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overcomes the existing limitations by precisely analyzing the natural frequency occurrence and extracting features that maximize it, and pioneering a new direction for porcelain insulator analysis through the application of PCA and machine learn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erally condi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damage of the porcelain insulator, which is difficult to measure in the field, can be evaluated by image deep learning, and the soundness of the porcelain insulator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machine learning analysis based on the impact response method.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tilized in the future, an effective and practical soundness evaluation will be possible. 산업의 발달과 생활전력 증가로 인한 전력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실정에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대용량, 장거리 송전탑에 대한 유지관리가 중요하다. 많은 양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높은 전송 전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송전선로는 높은 수준의 절연이 요구된다. 송전탑은 철탑, 전선, 애자(절연체) 등으로 구성되며, 애자는 송전탑에 송전선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며, 송전선과 송전탑과의 절연간격을 확보하는 등 송전선로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국내 송전선로의 99% 이상이 자기애자를 사용하며, 765kV, 345kV 및 154kV 송전선로에 설치된 980만개의 자기애자 중에 154kV의 자기애자가 510만개로 전체의 약 52%를 차지하고 있다. 154kV 송전선로에 일본의 NGK사에서 제작된 자기애자는 약 120만개 이상이며, 이중 약 80만개가 사용수명(30년)을 초과하여 사용되고 있다. 자기애자는 사용수명 이상 사용했다고 해서 즉각적인 절연성능의 저하나 기계적 파손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에서 응력 누적, 열화 등으로 인해 노화가 진행되어 갑작스러운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자기애자의 기계적 결함 유형은 지속적인 응력으로 인한 캡(금구)의 찢어짐, 낙뢰 및 우박으로 인한 자기부 쉘의 파손 및 캡 내부 시멘트 팽창에 의한 자기부 크랙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현재 자기애자 손상 식별을 위한 기술 대부분은 자기애자의 전기적 손상 및 고장에만 초점을 맞추어 발전하였기 때문에 급증한 30년 이상 장기사용 자기애자의 파손유형(자기부 크랙/파손, 캡 찢어짐, 내부손상)에 대한 기계적 건전성을 평가하는 신뢰성 높은 기술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자의 기계적 건전성 평가를 위해 이미지 딥러닝 및 충격응답기법 기반의 머신러닝 예측모델이 제안되었다. 먼저, 자기애자의 외관 균열식별을 위한 이미지 필터링 프로세스가 제안되었으며, 경년열화 및 오손으로 인한 자기애자의 외관 상태변화 식별을 위한 이미지 딥러닝 방법이 제안되었다. 균열식별 프로세스는 1~8 단계의 절차를 거쳐 많고 다양한 균열 형상에 대해 약 70% 이상의 식별률을 가졌으며, 이미지 딥러닝 방법 적용의 한계점 및 특정 조건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환경적 열화, 이상전압, 낙뢰 등에 의해 외관 상태가 노후화 및 손상된 경우 자기애자의 유지관리에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격응답기법을 사용해서 여러 개의 단일 샘플 테스트를 통해 수집된 주파수응답신호를 활용하여 결함 유형에 대한 기본적 파형분석, 특징추출에 기반한 머신러닝 예측 성능 평가를 통해 자기부의 기계적 결함의 검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오토 임팩트 해머, MEMS 센서에 기반한 원거리 주파수응답신호 측정 장비를 개발하고, 실험실 내에 묘사된 스트링 구조체에 대한 테스트를 통해 자기애자의 캡 찢어짐 손상 및 캡 내부 손상에 대해 높은 정확도로 정상/손상영역을 구분하는 머신러닝 모델이 개발되었다. 정상/손상영역의 구분은 단순히 테스트 샘플이 손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구분하는 것 외에 현재 정상으로 구분되었지만 손상역역에 근접해있는 자기애자에 대한 유지관리/교체 우선순위 등의 판단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충격응답기법은 기존의 단순한 고유모드 이동에 따른 손상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과거의 기술력이 낮은 상태에서 제작된 자기애자의 제조공정상 오차로 인한 고유모드의 상이함을 고려하여 고유모드 발생의 정밀한 분석과 이를 극대화하는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PCA 및 머신러닝의 적용을 통해 자기애자 분석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측정이 어려운 자기애자의 내외부 손상에 대해서 개략적인 상태평가를 위한 이미지 딥러닝 분석기법과 충격응답기법에 기반한 머신러닝 분석기법의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활용한다면 효과적으로 실용적인 건전성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 병리적 자기애의 두 하위유형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긍정 및 부정 자기복잡성의 매개효과

        김이윤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병리적 자기애의 두 하위유형인 자기애적 웅대성 및 자기애적 취약성과 자존감 간의 관계에서 긍정 자기복잡성과 부정 자기복잡성이 각각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병리적 자기애의 두 하위유형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긍정 자기복잡성은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를 과시하고 타인으로부터 칭찬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자기애적 웅대성이 우세하면 긍정적인 자기측면을 더 많이, 다양하게 지각하지만 수치심과 공허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애적 취약성이 우세하면 긍정적인 자기측면을 많이 발달시키지 못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긍정적인 자기측면을 많이 지각하거나 적게 지각한다고 해서 자존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병리적 자기애의 두 하위유형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부정 자기복잡성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애적 웅대성이 우세하면 긍정적인 자기측면들을 전시하고 자기의 부정적인 측면들을 많이 지각하지 못하여 자존감을 높이는 반면에 자기애적 취약성이 우세하면 부정적이고 취약한 자기측면에 주목하여 자존감 수준을 높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에 대한 치료적 함의와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 내현적자기애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통감내력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이미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인의 내현적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내현적자기애의 성격적 특성이 대인관계의 역기능적 모습인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성을 살펴보고, 고통감내력과 자기위로능력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검증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개입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찾고자 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20대~40대 성인남녀 419명을 대상으로 내현적자기애, 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관계중독에 관한 설문자료 수집 후,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과 경쟁모형인 완전매개모형, 수정모형에 대한 적합도 비교검증을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채택된 연구모형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이다. 첫째 각 변인 내현적자기애, 고통감내력, 자기위로능력, 관계중독 간에 상관관계 분석결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자기애와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자기위로능력은 각각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자기애가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뿐만 아니라, 내현적자기애가 순차적으로 고통감내력과 자기위로능력에 영향을 미쳐 관계중독으로 이어지는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담 실제에서 개입방향에 대한 기초자료 마련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마지막에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distress tolerance and self-soothing abilit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addi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by verify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self-soothing ability. To verify this study’s hypotheses, the sample of 419 male and female in their 20s, 30s and 40s were asked to fill out covert narcissism scale,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 distress tolerance scale, and self-report of soothing receptivity and the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Second, each of distress tolerance and self-soothing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covert narcissism had directly effect on relationship addiction but also distress tolerance and self-soothing abilit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relationship addic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escribed.

      • 자기애 성향 내담자의 ‘자기(self)’ 변형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Heinz Kohut 관점을 중심으로

        민정원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자기애 성향 내담자의 ‘자기(self)’ 변형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Heinz Kohut 관점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자기애 성향 내담자를 위한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를 진행하여 자기애의 양상과 자기의 변형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사례분석을 통해 자기애 성향이 내담자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그 의미를 이해하고, 자기의 변형과정에 심층적인 경험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자기애 성향 내담자의 자기애적 양상은 어떻게 드러나는가? 둘째, 자기애 성향 내담자의 ‘자기’는 상담을 통해 어떠한 변형과정을 거치는가? 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높은 자기애 성향을 보이는 30대의 여성으로 사전검사를 통한 ‘목적 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2월부터 2020년 4월까지였으며, Kvale(2003)의 정신분석적 인터뷰의 7가지 원칙을 통한 심층 면담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Yin(2009)의 5단계 순환과정을 따라 상담 회기별로 진행된 심층 면담과정에서 관찰되는 자기애의 특성과 자기의 변형과정을 Kohut이 제시한 자기애의 주요 개념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06회기 분량의 상담 자료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해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결과에서는 첫 번째, 과대자기의 양상은 자기애 충족을 위해 모든 에너지를 사용함, 모든 면에서 특별한 과대적 환상이라는 2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두 번째, 양가적인 자기애적 관계 패턴은 대상을 조종하고 지배함, 대상에게 희생하고 의존함이라는 2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세 번째, 자기애적 방어는 ‘완벽주의’가 필요한 이유, 수치심에 닿지 않기 위한 회피와 저항, 상대를 쩔쩔매게 하는 격노, 내가 ’옳다는‘ 관점을 지켜내기 위한 투사라는 4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네 번째, 은폐된 자기애의 진실은 수치심과 열등감, 파편화된 불안과 텅 빈 자기라는 2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다섯 번째, 변형으로 나아가는 자기는 자기대상 전이를 통한 치료적 관계. 여섯 번째, 최적의 좌절과 변형은 저항과 전이를 통해 발달해가는 자기, 직면을 통한 좌절과 내면화되는 자기라는 2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일곱 번째, 자기의 회복은 대상을 통합하고 공감하는 자기, 응집되는 자기의 축제라는 2가지 주제로 도출하고 기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기애 성향 내담자의 병리적 자기애는 취약한 자기를 유지하기 위한 자기몰두와 과대적 환상으로 드러났다. 대상을 지배하고 의존하거나 격노하며 남을 탓하는 방어 뒤에는 수치심과 불안 및 공허가 숨겨져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분열되어 현실영역으로부터 차단된 과대자기가 상담자와의 공감적인 자기대상 경험과 최적의 좌절을 통해 내담자의 성격 안으로 통합되면서 응집적 자기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치료적 측면에서, 자기대상 전이를 통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치료적 관계가 자기의 회복에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과대적이고 과시적인 자기애가 현실적으로 수정되고 통합되면서 단단한 자기감을 구축해가는 자기애 발달과 자기 변형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의 의의는 장기간 진행된 정신분석적 상담사례를 통해 자기애가 드러나는 양상과 은폐된 자기애의 역동이 실제 삶의 경험 속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제시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자기애의 문제를 안고 있는 개인의 무의식적인 자기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꿈을 비롯한 정신분석적인 접근을 사용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병리적 자기애의 원인이 되는 자기의 결함을 보상하는 치료과정으로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자기대상 전이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적 개입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Kohut의 치료의 목적인 자기의 회복과 재통합을 시도하는 데 있어 자기대상 전이를 통한 치료적 관계의 적용 가능성과 가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내현적 자기애와 수치심, 완벽주의의 관계

        이항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hame in the relation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f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 total of 338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packet including the CNS(Covert Narcissism Scale) & NPI(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TOSCA-3(Test of Self-Conscious Affect-3) and FMPS(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5.0 program and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o test study ques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Covert narcissism affe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ladjustive perfectionism. Overt narcissism effe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djustive perfectionism an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econdly, Covert narcissism affe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hame but not guilt. Thirdly, Shame had a partial medit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Maladjustive perfectionism. The implications to counselor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with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 수치심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의 관계에 있어 수치심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소재 대학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 338명에게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외현적 자기애 척도(NPI), 수치심과 죄책감 경향성 척도(TOSCA-3),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MPS)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사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적 자기애는 적응적 완벽주의 및 완벽주의 전체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는 수치심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나, 죄책감과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들 관계에서 수치심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치심이 내현적 자기애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관계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내현적 자기애와 자기침묵이 분노반추에 미치는 영향 :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심승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반추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정신화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대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자기침묵, 정신화, 분노반추의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Baron과 Kenny(1986)의 방식에 따라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조절효과 분석 및 SPSS Macro를 활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들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 자기침묵, 분노반추의 변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정신화와 기타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분노반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침묵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자기침묵에 영향을 미쳐 분노반추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정신화는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신화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침묵이 분노반추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는 자기침묵을 매개로 분노반추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침묵과 분노반추의 관계에서 정신화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 장면에서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through self silenc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nger rumination. The measures used to assess these effects with a sample of 421 adults, corresponding to early adulthood, who liv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ed covert narcissism, self silencing, anger rumination, and mentalization.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ggestions of Baron and Kenny(1986), and the Bootstrapping was performed. Next, the moderating effect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self silencing, anger rumination and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verified between mentalization and other variables. Second, the significant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self silenc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anger rumination. The higher covert narcissism had influenced self silencing and increased anger rumination. Thir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silencing and anger rumination was found. Thereby it was proved that the higher mentalization, the less the effect of self silencing on anger rumination. Four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self silencing, and anger rumination was found.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implications in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초기 성인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관계 : 자기자비를 통한 공적 자의식의 매개된 조절효과

        박유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공적 자의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관계에 있어 공적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성인 42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공적 자의식, 자비자비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들 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공적 자의식의 변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자비자비와 기타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적 자의식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비자비는 내현적 자기애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자비 수준이 높을수록 내현적 자기애가 공적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는 공적 자의식을 매개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에 영향을 미치며, 내현적 자기애와 공적 자의식의 관계에서 자비자비는 매개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 장면에서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ed public self-consciousness moderation self-compass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narcissism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For this purpose, Covert Narcissism Scale(CN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cale-Korean(PSPS-K), Public Self-Consciousness Scale, Self-Consciousness and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K-SCS), a survey was done by 420 early adulthood.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including four measures. Then,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self-consciousness on the relation between covert-narcissism a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narcissism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hird, under the condition where self-compassion clarity is high, public self-compassion decreases as covert-narcissism incre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unseling intervention to promote self-compassion can lower the level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experienced by those with high levels of public self-consciousness caused by high covert-narcissism. Based on abov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