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체외진단의료기기 허가 관리에 따른 임상성능시험 개선 제안

        이은하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57

        체외진단제품은 공산품, 의약품, 의료기기로 따로 이원화 관리를 함으로서 여러 가지 안전성·유효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별도 관리 체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체외진단제품은 2015년 이후 통합되어 의료기기법으로 흡수되면서 일원화 관리 체제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관리 속에서 체외진단의료기기는 일반 의료기기와는 다른 특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기법은 이러한 체외진단의료기기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별도의 안전 관리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부각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으로 인하여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서 의료기기의 안전성 확보하고 품질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별도의 법령 체제인 체외진단의료기기법 및 하위법령들이 제정되게 되었다. 이에 주요법령개정 내용 중 임상성능시험과 관련된 법령 및 하위법령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국내외 체외진단의료기기의 시장 규모 및 트랜드를 분석 함으로서 국내 체외 진단 산업 시장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미래의 진단 산업이 국제적으로 선도적인 국가로 나아가기를 기대해 본다. 체외진단의료기기 허가 및 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와 이에 대한 신청서 기재 항목 및 기재 방법을 기술하였다. 허가 신청 시 제품의 안전성 및 유효성 자료로서 제출하는 기술문서 심사 내용 및 제출하는 자료들을 기술해 보았다. 그 기술문서 자료 중 성능에 관한 자료로는 분석적 성능시험 자료와 임상적성능시험자료가 있다. 분석적 성능 시험이 끝나고 나면 실질적 임상적 환경에서 인체유래물인 검체를 가지고 제품의 유효성과 성능이 제조제가 의도한 사용목적 및 유용성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시험을 임상적 성능시험기관에서 시험한다. 그 결과에 따라 업자는 제품의 개발 및 허가·판매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임상적성능시험기관으로부터 취득하게 된다. 이 시험을 임상적성능검사기관이 수행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의 다량의 검체를 취득하는 과정이 필요 한데 그 과정의 문제점을 도출해보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에 대해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을 고찰해 봄으로서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체외진단산업계 전반을 활성화하고 국외 수출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국내 체외 진단 산업계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 업체들이 적극적인 제품 개발을 함으로서 온 인류 생명 보장 및 국민 건강 증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를 기대한다.

      • 정신질환의 가족력에 따른 정신증에 대한 임상적 고위험군의 뇌 휴지기 기능적 연결성의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민범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757

        이전부터 조현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중재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최근에는 아직 완전히 조현병으로 발병하기 전 단계의 상태를 지칭하는 임상적 고위험군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그렇지만 임상적 고위험군이 이종적인 특성과 다양한 장기적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임상적 고위험군에 대해서 보다 세분화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의 가족력의 유무로 임상적 고위험군을 구분하여, 최근 내적 표현형으로 주목 받고 있는 휴지기 상태의 뇌 기능적 연결성을 비교하고, 가족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11명의 가족력이 있는 임상적 고위험군과 19명의 가족력이 없는 임상적 고위험군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특별한 인지과제의 수행 없이 눈을 감은 상태에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기능적 연결성 분석에서 후측 대상피질을 기준영역으로 설정하여 다른 뇌영역과의 기능적 연결성 수치를 계산하였고, 두 군간의 연결성의 비교는 각 부피소들을 t-검정 분석하였다. 두 군 사이의 임상 증상 비교는 Student’s t-test를 시행하였다. 정신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임상적 고위험군은 가족력이 없는 고위험군에 비해 기준영역인 후측 대상피질과 쐐기전소엽 영역의 휴지기 기능적 연결성이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peak-level t=5.49 p<0.001) 두 군 사이에 임상 증상 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후측 대상피질과 쐐기전소엽의 기능적 연결성이 가족력이 있는 임상적 고위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해당 영역의 이상이 유전적 취약성과 관련이 있고, 뚜렷한 임상적인 증상보다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내적 표현형의 변화를 의미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국내 동반진단검사기기 개발 관련 장애요소 분석 및 해결방안 연구 : 미국, 유럽, 한국의 규제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김정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726

        전 세계적으로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시장에서 동반진단검사기기(Companion Diagnostics)분야는 표적치료제의 개발 및 분자진단 기술의 성장을 이유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미국 및 유럽5개국이 대부분의 동반진단검사기기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하지만 보험제도, 정부의 보건산업 육성, 환자들의 인지도 증가 등의 이유로 향후 10년간 예외적인 성장을 보일 국가로 BRIC국가들, 멕시코 그리고 한국이 예측되었다. 한국은 현재 동반진단검사기기와 관련하여 가시화 된 성과를 보이지는 않고 있는 상태이지만, 급변하는 세계 규제 속에 명확하고 구체적인 규제기관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면 얼마든지 성장하는 동반진단검사기기 시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적치료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하는 동반진단검사기기에 관한 것이며,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및 유럽연합의 선진적이고 국제조화된 수준을 추구하는 규제의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동반진단검사기기 관련 규정의 선진화를 이루기 위함이다. 미국은 의약품과의 병행 개발을 권장하며, 약물의 임상시험 3~4단계에서 동반진단검사기기의 임상적 타당성을 증명하고 이를 동반진단검사기기의 임상시험 신청 시 만족시켜야 하는 필수 요구사항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럽은 현재 적용되는 체외진단용 의료기기 지침서 98/79/EC에는 동반진단검사기기에 대한 정의 및 요구사항이 없지만, 2016년 10월부터 적용될 예정인 새로운 유럽연합 규제체계에서는 동반진단검사기기의 사용목적에 따른 임상적 타당성에 대한 근거자료를 포함하여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한국의 「체외동반진단기기 (In Vitro Companion Diagnostic Devices) 허가·심사 가이드라인」에는 분석적 성능 및 임상적 성능에 대한 가이드라인만 제시하고 있지만, 임상적 성능 검증 이후 임상적타당성에 대한 근거 마련을 위한 가이드라인도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는 국내 제조자들의 동반진단검사기기 시장 진입장벽이 될 수 있는 규제로 적용되어야 하지 않고,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제조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수적이다.

      • 외과수술 환자의 중환자실 퇴실후 임상적 악화 관련요인

        한유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709

        본 연구는 외과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퇴실후 임상적 악화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9년 6월 1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B시 소재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외과수술 후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실하였다가 일반병실로 전실한 240명을 대상으로 제 특성, 임상적 특성, 조기경고점수를 의무기록을 이용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기경고점수는 퇴실전 평균 3.29±1.69점, 퇴실후 4.43±2.35점이었고, 위험도 분류에 따라 저, 중, 고위험군은 각각 퇴실전 77.1%, 18.7%, 4.2%, 퇴실후 53.3%, 30.0%, 16.7%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퇴실후 조기경고점수 증가 유무를 분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던 변수를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한 결과 소화기계 수술(OR=1.96; 95% CI=1.07∼3.58; p=.028), 승압제 사용(OR=1.96; 95% CI=1.02∼3.75; p=.043), 농축적혈구 수혈(OR=2.62; 95% CI=1.22∼5.63; p=.013), 중환자실 체류기간(OR=0.13; 95% CI=0.04∼0.50; p=.003)이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소화기계 수술을 받은 대상자는 중환자실 퇴실후 악화될 위험이 1.96배 높았으며, 승압제를 투여한 대상자는 승압제를 투여하지 않은 대상자보다 1.96배 높게 나타났다. 농축적혈구를 수혈받은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퇴실후 악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2.62배 높았으며 중환자실 체류기간이 24시간 미만이었던 대상자에 비해 48시간에서 72시간 미만인 대상자에서 퇴실후 악화 발생 가능성이 0.13배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4.79, p=.686), 최종 예측요인은 20.3%의 설명력을 보였다(Nagelkerke =.20).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외과수술을 받은 환자의 중환자실 퇴실전 상태를 통해 퇴실후 임상적으로 악화되는 것을 예측하고,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퇴실기준을 마련한다면 중환자실 퇴실후 임상적으로 악화되는 것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of Berg Balance Scale Score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송민정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95

        목적 : 급성 뇌졸중 환자의 임상적으로 중요한 최소 차이를 파악하여 버그 균형 척도 변화 값을 규정하는 것이다. 디자인 : 후향적 연구 방법 : 급성 뇌졸중 환자 7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균형평가는 버그 균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4주, 주 5회, 하루 2시간 20분 진행하였다. 버그 균형 척도의 임상적으로 중요한 최소 차이 값을 결정하는데 앵커 기반 접근법이 사용 되었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최소 차이 값은 GROC에서 최소 3점 이상 개선을 보고 할 버그균형척도의 변화(사후 중재 – 사전 중재)값으로 정의 되었다. ROC 곡선은 버그균형척도의 최적 임상적으로 중요한 최소 차이 값을 정의하여 개선된 대상과 개선되지 않은 대상을 구분하는데 사용하였다. 결과 : 급성 뇌졸중 환자의 버그 균형 척도의 임상적으로 중요한 최소 차이 값은 12.5점이었다. 곡선 아래의 면적은 전체 표본에 대해 0.86이었다. 결론 : 버그 균형 척도에 의해 측정된 균형 개선을 위한 임상적으로 중요한 최소 차이 값은 12.5점이었다. 즉, 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성과에 있어 12.5점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점수 변화로 인식될 수 있다.

      • (An) evaluation of clinical stability of miniscrew with surgical guide using intraoral scan model and CBCT : randomized clinical trial

        김다소미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691

        Because the miniscrew is becoming more common in orthodontic treatment, achieving precision of miniscrew insertion, reduction of the risk of root damage, and improvement of the success rate of miniscrew insertion have become important.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create a dental model using an intraoral scanner rather than a plaster model, and as the clinical use of dental CB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ncreases, CBCT can be used to superimpose the tooth model and radiograp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use of surgical guides with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technology in achieving these end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with 59 patients (100 miniscrews) who required miniscrew placement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In each patient, a miniscrew (BMK, Korea, cylinder, 1.5x7 mm) was placed in the buccal interradicular space using panoramic radiography and dental CBCT. To evaluate the initial stability after miniscrew placement, the insertion torque (IT) and Periotest value (PTV) were measured twice. Periapical radiographs were obtained to assess root contact. Miniscrews maintained for more than 6 months were considered successful. 1. The success rate of the manual group was 80.9 % and the success rate of the surgical guide group was 88.9 %. Ther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ccess rate using the surgical guide (p>0.05). In the Kaplan-Meyer survival analysis, miniscrews were failed early than 50 days in the manual group, whereas most of miniscrews were failed after 120 days in the guide group. 2. The root contact rate was 31.9 % in the manual group and 0.4 % in the surgical guide group, and the root contact rate was low when using the surgical guide,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01). 3. The insertion torque was 6.37 ± 2.64 Ncm in the manual group and 6.54 ± 2.90 Ncm in the surgical guide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and The PTV was 0.19 ± 2.86 in the guide group and 1.58 ± 2.13 in the manual guide group,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4. The insertion torque of was 6.56 ± 2.86 Ncm in the success group and 5.89 ± 2.18 Ncm in the failure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and The PTV was 0.57 ± 2.62 in the success group and 2.72 ± 1.45 in the failure group,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0.01). 5. A total of five (10%) miniscrews were excluded due to the risk of the miniscrew guide itself. They were 4% of surgical guide slippage, 6% of adaptability problem. The rate of miniscrew contact with the roo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urgical-guide group than in the manual group. The present study recommends the use of surgical guides for the stable placement of miniscrews in cases of anatomical limitations or the high possibility of root contact with the miniscrew. 미니스크류를 이용한 교정치료가 보편화 되고 있기 때문에 미니스크류를 예측 가능한 위치에 식립하고 치근 손상 등의 위험을 줄이며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석고 모형이 아닌 구강 내 스캐너를 이용하여 모형을 채득하는 것이 가능해 졌으며 Dental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치아모델과 CBCT의 중첩이 가능해 졌다. 따라서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된 미니스크류 식립 가이드를 이용하여 치근의 손상 위험을 줄이고, 미니스크류 식립의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임상적 안정성의 평가가 필요하다. 교정 치료 중 미니스크류 식립이 필요한 환자 59명, 미니스크류 100개를 대상으로 무작위 임상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각의 환자에서 파노라마와 CBCT를 이용하여 협측 치근 사이에 미니스크류 cylinder type의 직경 1.5 mm 길이 7 mm (BMK, 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를 식립하였다. 식립 후에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식립 토크(IT)와 periotest value(PTV)를 2회씩 측정하였다.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치근 접촉도를 평가하였다. 6개월 이상 탈락 하지 않는 경우 성공으로 판단하였다. 이후 수동 식립군과 가이드 식립군에 대한 통계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동 식립군의 성공률은 80.9%, 가이드 식립군의 성공률은 88.9%로 미니스크류 식립 가이드를 이용한 경우 성공률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카플란-마이어 생존 분석에서 수동 식립군은 50일 이전 조기 탈락이 많았던 반면 가이드 식립군은 120일 이후 탈락이 많았다. 2. 치근 접촉률은 수동 식립군 31.9%, 가이드 식립군은 0.4 %로 미니스크류 식립 가이드를 이용할 경우 치근 접촉률이 낮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3. 식립토크는 수동 식립군에서 6.37 ± 2.64 Ncm, 가이드 식립군에서 6.54 ± 2.90 Ncm 로 가이드 식립군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 > 0.05) PTV는 수동 식립군이 1.58 ± 2.13 가이드 식립군이 0.19 ± 2.86로 가이드 식립군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4. 성공한 군에서 식립토크 값이 6.56 ± 2.86 Ncm로 실패한 군이 5.89 ± 2.18 Ncm 를 나타낸 것 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p > 0.05) PTV는 성공한 군이 0.57 ± 2.62로 실패한 군 2.72 ± 1.45 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5. 미니스크류 식립 가이드 자체의 위험요소로 (10%)의 미니스크류가 제외되었다. 가이드의 미끄러짐(2개, 4%), 가이드와 스크류 드라이버간의 적합도 문제 (3개, 6%)이다. 미니스크류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며 치근 손상 또는 파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치근과의 접촉도에서 미니스크류 식립가이드를 이용할 경우 치근 접촉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근과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위나 해부학적 한계가 있는 부위에서 미니스크류의 안정적인 식립을 위해서 미니스크류 식립 가이드를 활용하여 임상적으로 안정적인 미니스크류 식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미니스크류 식립 가이드의 위험요소가 10%에서 발생하였기 때문에 가이드 제작의 개선을 통한 임상적 정확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 임상적, 방사선학적 분석을 통한 후백질뇌병증의 특성

        조양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79

        후백질뇌병증은 두통, 경련, 시각증상, 의식변화 및 국소 신경결손 등의 임상적 증상과 함께 방사선적으로는 주로 대뇌 후반부에 혈관인성부종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증후군이다. 다양한 증례들이 보고 되었으나 실제로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그 특성을 비교 또는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환자들의 임상적, 방사선적 분석을 통해 기존의 후백질뇌병증에 대해 알려진 사실을 점검하고 진단 및 예후, 병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내는데 목적이 있다. 1998년부터 2003년 5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영동 세브란스병원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신경과 의사에 의해 임상적으로 후백질뇌병증을 진단 받고 뇌 자기공명영상을 시행 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방사선적 정보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여러 특정 그룹과 반대그룹으로 나누어 종속변수를 통계적 처리를 함으로써 진단 및 예후, 병인에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낼 수 있었다. 1. 총 36명의 환자의 평균 연령은 36.8세였고 남녀 비는 1:4로 여성의 발병빈도가 높았다. 각각의 성에 따라 호발하는 질환과 연관된 13례 (여성의 경우 자간증 등) 를 제외하고도 74%의 환자가 여성이었다. 2. 다양한 연관 질환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임상 증상은 두통, 경련, 시각증상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3. 급격한 혈압 상승이 원인으로 생각되었던 환자는 75%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 환자들에서는 혈압 상승을 동반하지 않았다. 4. 대부분 가역적 경과를 취했으나 25%의 환자에서는 비가역적인 경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예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로는 나이 (p=0.017) 와 확산강조영상에서의 고 신호 병변 (p=0.015) 으로 밝혀졌다. 5. 대다수에서 (97%) 대뇌 후반부에 병변이 관찰되었으나, 대뇌 전반부를 침범한 경우도 68%에 달해 알려진 바와는 달리 전반부 침범도 적지 않았다. 6. 모든 환자에서 백질의 침범이 있었지만 백질만 주로 침범한 경우는 61%였고, 피질을 주로 침범한 경우는 15%, 혼재된 경우도 각각 24%에 달했다. 백질만 주로 침범한 경우에서는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이완기 혈압 및 평균동맥혈압이 높아 혈관 외 유출 가설을 뒷받침하였다. 7. 전체 환자의 25%와 혈관 검사를 시행한 환자의 60%에서 혈관 연축이 관찰되었다. 혈압 상승이 없었던 그룹과 혈관 연축이 유의한 (p=0.028) 상관 관계를 보여 혈압 상승이 없었던 그룹에서는 혈관 연축이 유력한 병인으로 생각되었다. 8. 확산 강조영상에서 후백질뇌병증에 특징적인 혈관인성부종만을 보인 경우는 50%에 불과하였으며 50%의 환자에서 고 신호 병변이 관찰되었으나 그 중 43%는 가역적 임상경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후백질뇌병증의 임상양상은 이미 알려진 바와 유사하였으나, 여성에게 호발하며, 25%의 환자들은 예후가 나빴고,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는 연령과 확산강조영상에서의 고 신호임을 본 연구를 통해 새로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발병빈도가 높았으며 백질을 주로 침범하는 군에서 혈압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혈관 외 유출 가설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사실로 생각되며 혈관 연축을 보인 군에서는 혈압상승이 적었던 것으로 나타나, 혈관 연축 역시 하나의 독립된 기전임을 추론 할 수 있었다. 방사선학적으로는 병변의 분포, 피질의 침범정도, 확산강조영상에서 병변 신호등의 결과가 통념과는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사실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확인되어야 할 것이다. Posterior leukoencephalopathy syndrome (PLES) is characterized by the clinical features of headache, confusion, seizures, focal neurologic deficits and visual abnormalities in association with mainly posterior lesions suggesting edema in neuroimaging. Lots of case studies regarding PLES were reported, but comparative or analytic study was rare. I analyz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of 36 PLES patients who admitted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Yongdong Severance hospital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from 1998 to May 2003. 1. Mean age was 36.8years and women were more vulnerable to PLES (female to male ratio = 4:1). 2. PLES was associated numerous clinical situation and most common clinical features were headache, seizure and visual abnormality in order. 3. Seventy five percent of patients had hypertensive crisis and among the non-hypertensive patients, vasospasm was considered as the possible pathomechanism. 4. Despite overall good prognosis, irreversible cases were also considerable, especially in patients with high signal lesion in DWI and with old age. 5. Anterior circulation and cortical areas were frequently involved. 7. Vasospasm was documented in 25% of total PLES patients and 60% of patients who received vascular study. 8. Only 38% of patients had isointense signals in DWI, and 50% of patients revealed high signal lesion in DWI. My result suggests that PLES is more frequent in women and the prognosis is closely related with age and high signal in DWI. Radiological analysis was different from previous reports additionally. This study revealed the current knowledge of PLES was not exact in many points, so further large study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