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평생교육기관 밀레니얼 세대 종사자의 일터 무형식학습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황새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기관 밀레니얼 세대 종사자를 대상으로 일터 무형식학습과 경력몰입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동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점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밀레니얼 세대의 경력몰입 향상을 위한 개인적, 사회적 시사점을 제공하려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실증적 조사도구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도출 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밀레니얼 세대의 일터 무형식학습이 활발할수록 경력몰입 정도가 높아진다. 이는 밀레니얼 세대가 조직구성원으로서 일터에서 업무 능력향상을 위해 동료들과 관계를 통해 얻는 지식과 경험이 많을수록 지속적으로 관련된 일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는 일터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외부자원을 이용한 지식탐색을 통해 개인의 업무역량을 강화시켜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직종이나 직업에 대해 애착과 정서적 유대감을 증진시킨다. 평균 근속년수가 10년 미만자가 대부분인 밀레니얼 세대는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지식습득과 노하우를 수집해야 한다. 또한 자신이 선택한 직종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을 위한 탐색작업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조직구성원들 사이의 수평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환경 속에서 타인을 관찰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스로 학습하여 업무능력 향상을 도모하고 성취감을 느낀다면 직종에 대한 애착과 정서적 유대감이 높아져 높은 경력몰입에 이르게 될 것이다. 둘째, 밀레니얼 세대의 사회적 자본 인식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높아진다. 이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직무 및 직업에 대한 애착과 지속 의지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사회적 자본 중 신뢰가 높을수록 밀레니얼의 경력몰입이 증가하는 것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인정받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밀레니얼 세대에게 상대방을 믿는 신뢰는 그들이 업무적으로나 관계적으로 노력을 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애착을 가지고 최선을 다 할 수 있는 의지를 향상시킨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밀레니얼 세대의 일터 무형식학습과 경력몰입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은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밀레니얼 세대가 경력몰입을 하기 위해 일터 무형식학습과 사회적 자본 형성이 필요하긴 하나,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이 강한 밀레니얼 세대에게 구성원 공동의 목표 실현을 위한 무형의 자산은 그들의 개인적 역량개발을 위한 학습과 경력몰입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님을 나타낸다. 따라서 밀레니얼 세대에게 사회적 자본은 그들이 일터에서 비공식적 학습을 통한 업무능력 강화로 경력에 대한 정서적 유대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일터학습에서 학습자의 특성과 교수자의 교수능력이 학습전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중소기업 일학습병행제 종사자의 마인드셋 및 그릿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달영 창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shapes the future of work, businesses must prepare their people for the new world that lies ahead. This often means an increased focus on continual learning, building more on-ramps to new types of jobs, and a commitment to diversity. Adapting to rapid changes in a business environment these days, importance and necessity of workplace learning is getting bigger. Since 2013, this research targeted companies which participated in ‘Work-Learning Dual System’originating from the redesigned German & Swiss apprenticeship system suitable for Korean situation. Also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is an alternative to tackle Korea’s youth labour market challenges. And then we try to figure out influence of variables such as learner’s personality types and mind-set, feature of instructor an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upport to the learning resul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specially, focused on feature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 and workplace as education scene. Research target groups are all companies participated in Work-Learning Dual System, located in Jeollanam-do, Jeollabuk-do, Gyeongsangnam-do, Gwangju, Busan, Ulsan. December 2017 to March 2018,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449 companies and we retrieved 430 questionnaires from 165 companies. And 401 questionnaires are used for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main influence analyzing result, among the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ffect to transfer of learning. In relationship between feature of instructor (education contents, instructor’s ability), organizational suppor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fer of learning, the transfer of learning affect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s an analyzing result of mediated influ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ransfer of learning and individual personality trait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ffect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traversion only affect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in relation between transfer of learning and features of instructor (education contents, ability of instructor), organizational suppor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instructor, all of relations affect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as an analyzing result of moderating effect in growth mindset transfer of learning affect to eac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n fixed mindset, transfer of learning didn’t affect to both of thing. Under Grit’s moderating Effect, both of sustainability and consistency didn’t affect to transfer of learn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t’s a rare substantiation research which targeted worker participated in Work-Learning Dual System. And it handled impact of major variables like worker’s personality traits and feature of instructor to the transfer of learning and result. We verified that we can use Big5 for recruitment of talented person and arrangement. Also, we verifie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and relationship of variables which proved through the mindset and Grit’s prior research targeted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Work-Learning Dual System As a practical point, growth mind-set was verified as a variable which affects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about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mind-set improvement, organizational support, CEO and coworker’s support & care affect to transfer of learning deeply. And we especially figured out that CEO’s passion & care which can affect to organization extremely. For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hat longitudinal study clarifying causal through time and research about workplace learning at company status and deeper case study as research direction for future. 모든 것이 훨씬 빠르게, 동시다발적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업은 경쟁기업 보다 더 빨리 변화하고, 학습하고, 인재를 양성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조직을 구축해야만 성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급변하는 경영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업 적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최근에는 일터학습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school to work)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정부에서는 독일·스위스식 도제제도를 우리나라 현실에 맞추어 재 설계한 ‘일학습병행제’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일터학습인 일학습병행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학습자, 교수자, 교육현장인 일터의 특성을 중심으로, 학습자 개인성격유형과 마음가짐, 교수자인 기업현장교사의 교수특성과 리더십, 조직지원 등의 변수가 학습성과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국적으로 일터학습인 일학습병행제 참여기업 중 6개 지역(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광주광역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소재 일학습병행제 참여 기업체를 대상으로 2017.12월 초순부터 2018.3월 말까지 449개 기업체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165개 기업 430부가 회수되어 그 중 401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주 효과 분석결과로는 개인성격 유형중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은 학습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특성(교육내용, 교수능력), 조직지원, 교수자의 변혁적리더십과 학습전이 관계에서는 각각 학습전이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학습전이와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관계에서는 학습전이가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분석결과로는 학습전이는 개인성격유형과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개인성격 유형중 친화성, 성실성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외향성은 조직몰입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전이는 교수특성(교육내용, 교수능력), 조직지원, 교수자의 변혁적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각각은 모두 다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분석결과로는 마인드셋의 성장형은 학습전이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며 마인드셋의 고정형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릿은 지속성 및 일관성 모두 학습전이와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의 학문적 시사점은 일터학습인 일학습병행제 참여 중소기업근로자를 대상으로 학습근로자의 개인성격유형, 학습근로자를 지도하는 기업현장교사의 특성이 학습전이와 성과에 미치는 주요 변수의 영향에 대한 찿아 보기 힘든 실증연구이고, 성격유형(Big 5)을 중소기업의 인재 선발 및 배치에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마인드셋, 그릿 등 기존의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진 변수간의 관계를 일터학습인 일학습병행제 참여 중소기업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성장마인드셋이 학습전이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됨에 따라 마인드셋 향상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학습근로자에 대한 조직의 지원, 상사나 동료의 지원과 배려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특히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최고경영자 층의 적극적인 관심과 배려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기업단위, 기업수준의 일터학습에 대한 연구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인과성을 밝히는 종단연구, 심층적 사례연구 등이 필요하다.

      • 외식업 현장 근무자들의 일터학습이 고객서비스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상사의 지원인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영희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place learning on customer service attitude change and the perception of superiors' support among two variables.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supervisor support perception, and service attitude in the restaurant business? Second, does 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of workplace learning affect service involvement and service-oriented voluntary behavior, which are changes in customer service attitudes? Third, is formal learning and informal learning of workplace learning controlled by supervisor 's perception of suppor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service commitment and service - oriented voluntary behavior of service attitude change? A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categorized into C and O restaurant workers who operated various food service brand businesses across the country. Of the total 230 collected questionnaires, 223 were used for analysis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5.0 program. A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of restaurant workers, awareness of supporters' support, and service attitude chan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workplace learning, superiors' perception of support, and service attitude change were related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by analyzing the effect of workplace learning on service attitude, subordinate variables, there is a positive (+) influence on Service immersion and service - oriented voluntary behavior, Respectively. Therefore, the higher the workplace learning of the restaurant worker, the better the service attitude. Third, the perception of support from superiors showed some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f workplace learning service attitudes of the restaurant workers. Service immersion was not influenced by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ice variables but it was influenced by service - oriented voluntary behavior.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upport of simple supervisor can not affect the service attitud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tried to find a way to practice the type of workplace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attitude of the restaurant workers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discusse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외식현장 근무자들의 일터학습이 고객 서비스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두 변인사이에서 상사의 지원인식이 조절역할을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외식업 현장근무자들의 일터학습, 상사의 지원인식, 서비스태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일터학습의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은 고객 서비스 태도변화인 서비스 몰입과 서비스지향의 자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일터학습의 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은 서비스 태도변화의 서비스 몰입과 서비스지향의 자발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상사의 지원인식이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에 걸쳐 다양한 외식브랜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C사와 O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외식현장 근무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회수된 230부의 설문중에서 불성실 응답자를 7부를 제외한 총22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밝혀진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업 현장 근무자들의 일터학습, 상사의 지원인식, 서비스태도변화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터학습, 상사의 지원인식, 서비스태도변화 모두 관련성이 있고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학습이 종속 변인인 서비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 구성요소별로 보면 무형식학습, 형식학습 순으로 서비스 태도인 서비스몰입과 서비스지향의 자발적 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식 현장 근무자의 일터학습이 높을수록 서비스 태도는 향상된다. 셋째, 외식업 현장 근무자들의 일터학습 서비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사의 지원 인식이 일부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태도의 하위변수 중 서비스몰입에는 조절 효과가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서비스지향의 자발적 행동에는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상사의 지원만으로는 서비스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라는 점을 시시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업 현장 근무자의 서비스 태도변화를 높이기 위한 유형별 일터학습의 실천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 소상공인의 일터학습과 서비스품질간의 관계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최정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소상공인의 일터학습과 서비스품질간의 관계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대학원 기술경영학과 최 정 희 (지도교수님 현병환) 산업혁명이후 지식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시대가 열리면서 교육, 훈련 그리고 학습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로 발전하게 되었다. 교육, 훈련의 단점들을 더욱 보강하고자 일터학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질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으며 양적 연구의 사례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일터학습에 관한 우리나라 연구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하거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으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일터학습이 직무만족,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일터학습이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로 설정했으며, 일터학습과 서비스품질을 매개로하는 변수로는 직무만족이 선정되었다. 소상공인으로 사업자등록이 되어있거나 이에 준한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자 단, 일터학습에 준한 내용의 학습을 1회 이상 경험한 자 203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자료를 근거로 실증분석 하였다. 그리고 소상공인은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이하인 사업자. 제조업, 광업, 건설업, 운수업의 경우에는 10인 이하를 이루고 있으나 이 중 제조업, 광업, 건설업 등에서 고객과 집적적인 관계가 없는 즉,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소상공인 또는 근무자는 설문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지금까지 203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통제변인 인구통계학 특성으로 빈도 분석, 변수들 간의 관계를 보기위해 “요인분석,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기술 통계 및 이변량 상관계수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터학습이 직무만족에 부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학습은 서비스품질에 부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터학습과 서비스품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주제어: 일터학습, 서비스품질, 직무만족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service quality of Small-Enterprise: As a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Jeong-Hee Choi Dept. of Business Consulting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Byung-Hwan Hyu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age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knowledge has opened up to a society centered on education, training and learning. To further reinforce the shortcomings of education and training, workplace learning has been studied. However, there are many qualitative researches and the cases of quantitative researches are in short supply. The study on the workplace learning in Korea is for large companies or for SMEs, but there is no study for Small-Enterpri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workplace learning o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for Small-Enterprise. For the study, the service quality was influenced by the workplace learning,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selected as the parameter influencing the workplace learning and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questionnaire data from 204 people who have been registered as a Small-Enterprise or who have been working at workplaces, In the case of Small-Enterprise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manufacturing, mining,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industries, the number of Small-Enterprise is less than 10, but there is no integrated relationship with customers in the manufacturing, mining, and construction industries. I have excluded small businesses or workers who can not be surveyed. So far, 203 sample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workplace learning had a partial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workplace learning has a partial effect on service quality. Third, job satisfa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service quality. Key word: workplace learning, service quality, job satisfaction

      • 조직문화와 직무특성이 무형식학습에 미치는 영향 : 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

        지형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조직문화와 직무특성이 무형식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4차년도(2011) 근로자용 조사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변수에 결측치가 있는 응답자를 제외한 총 8,026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독립변수는 직무상황 요인인 직무특성(과업의 다양성, 과업의 유용성, 학습참여주도성, 초과근로시간)과 문화적 요인인 조직문화 유형(관계문화, 혁신문화, 과업문화, 위계문화)을 설정하여 종속변수인 무형식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이들 관계에서 매년 조직에서 공식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인 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독립변수 중 조직문화 유형인 관계문화, 혁신문화, 과업문화, 위계문화는 무형식학습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특성은 과업의 다양성, 과업의 유용성, 학습참여주도성이 무형식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과근로시간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공식적 일터학습은 독립변수인 조직문화, 직무특성 변수를 통제하더라도 무형식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 있어 공식적 일터학습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관계문화, 혁신문화, 과업문화, 과업의 다양성, 과업의 유용성, 학습참여주도성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가설이 부분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formalized workplace learning on informal learning, and als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formalized workplace learning.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data from the 4th (2011)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fro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was used, and with the exception of missing values, the data of 8,026 respon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job characteristics (task variation, special skillset training, learning participation initiative, extra work hours) and the different kind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novational culture, group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rational culture) were set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l learning. From the relationship of these two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from annually implemented formalized workplace learning. The results can be shown as follow: Firstly, different kinds of organizational cultur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showed meaningful results. It is shown that job characteristics, task variation, special skillset training, learning participation initiative has noted effects on informal learning, but that extra work hours did not. Secondly, although the independent variable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characteristics were controlled, formalized workplace learning still showed meaningful effects on informal learning as a result.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n informal learning showing that, group culture and informal learning, developmental culture and informal learning, rational culture and informal learning, task variation and informal learning, special skillset training and informal learning, and learning participation initiative and informal learning, all relationships show the mediating effect of formalized workplace learning and therefore partly supports the hypothesis.

      • 호텔조리사가 지각하는 일터학습이 이중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조절효과와 이중몰입의 매개효과

        신승경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호텔기업의 경영진은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고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의 일환으로써 다양한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우수한 인적자원들을 관리하고 유지를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훈련방법 중 일터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일터에서의 학습이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며 조직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교환이론의 관점에서 기업에서 제공되는 일터학습이 많이 이루어지게 되면 종업원들은 자신들의 지식 및 기술과 능력이 향상되는데 이는 종업원들이 자신이 담당하는 직무를 더 잘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며 안정적으로 조직에 잔류할 수 있을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텔기업, 특히 조리부서 직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일터학습이 조직 및 경력몰입인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 일터학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이중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일터학습 중 형식학습, 우연적 학습, 무형식 학습 순으로 이중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호텔기업에서는 형식적 학습과 관련하여 학습현장이 분리된 별도의 공간에서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형식적 학습과 관련하여서는 무형식적 학습이 학습자의 주도 하에 일터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터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습득하는 비구조적이고 경험적인 학습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이 개인의 의지이다. 이에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제도적이고 금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더불어 조직의 지원적 분위기,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활용 가능한 학습자원의 활용 가능 여부 등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그리고 우연적 학습은 시행착오 과정으로부터 비롯된 학습으로 우연적 학습의 기회를 많이 제공할수록 있도록 실수에 대한 용서 및 다른 기회 제공 등 유연한 조직문화 형성, 다양한 메뉴개발 및 경진대회 참여 기회 제공 등 경력개발을 위한 우연적 학습으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을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일터학습 중 무형식학습에 대해 높게 지각하고 동시에 학습몰입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조직몰입이 더 증가하고, 일터학습 중 형식적 학습에 대해 높게 지각하고 동시에 학습몰입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경력몰입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기업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 및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며, 자기목적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일터학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일터학습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은 일터학습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터학습은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호텔기업에서는 일터학습을 통해 개인 및 경력몰입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터학습 체계를 수립할 때 적절한 일터학습 모형을 설계하여야 할 것이며, 자체적인 교육훈련 및 고용보험기금을 활용한 교육훈련 참여, 계약학과, 야간대학과정 등을 지원하여 근로자들이 일터에서 자신의 업무에 대한 능력과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일터학습, 이중몰입, 이직의도, 학습몰입

      • 창의적 조직풍토와 직무특성이 일터학습민첩성에 미치는 영향

        이지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order to survive the VUCA(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 era, that is, the change is severe, uncertain, complex, and ambiguous, it is essential to detect what is needed for the creation of performance in new and challenging situations and to respond flexibly to workplace learning ag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organizational members on workplace learning agility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 type, industry, scal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class, job, and academic background). If such a relationship is confirmed, it will be helpful to draw up a plan to improve the agility of workplace learning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orker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applying workplace learning agility diagnostic tools,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scale, and job characteristics diagnostic tool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variables of workplace learning agility, the support factors and job characteristics of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had an effect on workplace learning agility. In particular, the free atmosphere, one of the supporting elements of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task diversity and task autonomy.Therefore, it is judged that organizations should create a free atmosphere to develop workplace learning agility,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job experience, and ensure autonomy in the way of work and decision mak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pport factors, job characteristics, and workplace learning agility of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ther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workplace learning agility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cademic backgroun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type, industry, size and jo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orkplace learning agility is a necessary ability for any type of organization, regardless of industry, size, and job.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pport elements and the obstacle elements of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pport elements in scale, position, and academic backgroun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type, industry, size, and position.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job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factors except for the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practical plan to develop workplace learning agilit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who constitutes the organization in the future. VUCA(Volatility,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시대, 즉 변동이 심하고 불확실하며 복잡하고 모호한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새롭고 도전적인 상황에서 성과창출을 위해 필요한 것을 빠르게 감지해내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일터학습민첩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이 인식한 창의적 조직풍토와 직무특성이 일터학습민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조직의 특성(조직유형, 업종, 규모)과 개인의 특성(직급, 직무, 학력)에 따라 생기는 차이점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고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관계가 확인이 된다면 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일터학습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 및 기관에 종사하는 직장인 284명을 대상으로 일터학습민첩성 진단도구, 창의적 조직풍토 척도, 직무특성 진단도구를 적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프로그램 SPSS 24.0 을 이용하였으며, 두 독립변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해당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학습민첩성의 영향변인을 분석한 결과,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직무특성은 일터학습민첩성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 중 하나인 자유로운 분위기가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과업다양성, 과업자율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일터학습민첩성을 개발하기 위해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도적적인 다양한 직무경험 기회를 제공하며 업무방식과 의사결정에 있어 자율성을 보장해주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 직무특성, 일터학습민첩성 간에는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나 창의적 조직풍토의 방해요소는 다른 변인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조직특성 및 개인특성에 따라 일터학습민첩성 수준의 차이를 본 결과, 직급과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조직유형, 업종, 규모, 직무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터학습민첩성이 어느 조직 유형이던 업종, 규모, 직무에 상관없이 필요한 능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조직특성 및 개인특성에 따라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원요소에서는 규모, 직급,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방해요소에서는 조직유형, 업종, 규모, 직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특성 및 개인특성에 따라 직무특성의 인식 수준의 차이를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업종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조직에서 조직의 특성과 조직을 구성하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터학습민첩성을 개발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활동이론에 터한 일터 무형식학습 뿌리내림

        이윤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터 무형식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업무 활동 속에서 일어나는 무형식학습의 뿌리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터 무형식학습이 일어나는 맥락을 살펴보고, 어떻게 무형식학습이 일어나는지를 탐구했다. 그리고 일터에 뿌리를 내리는 무형식학습의 문화는 무엇이며, 그것이 구성원에게는 어떠한 의미인지를 탐구했다.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각 기업이 가진 역사, 문화, 그리고 업무 특성에 의해 형성된 무형식학습의 뿌리를 발견하고, 학습의 문화를 계승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일터 무형식학습의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학습이 일어나는 일터 맥락은 무엇인가? 둘째, 일터 무형식학습은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 셋째, 일터 무형식학습의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방법론은 구성주의 인식론에 바탕을 두고 상징적 상호주의에서 출발한 문화기술지 방법론을 선정했다. 연구방법은 참여관찰, 문화기술지 면담, 비공식적 면담, 문서자료 해석으로 수행했다. 연구 참여자는 K그룹에서 무역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팀 리더 4명, 유닛리더 3명, 신입사원 3명, 행정 지원 여직원 2명, 지원본부 내 전문가 3명 등 총 15명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해 문화기술지 면담과 비공식적 면담, 그리고 참여관찰의 결과를 녹음하여 자료를 지속적으로 코딩해가면서 정교화 작업을 진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을 분석 틀로 활용했다. 특히, 상호작용을 설명하고 있는 Engeström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 활동체계는 초보자, 숙련자, 전문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활동체계는 업무 활동을 통해 상호작용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상호작용 속에서 협력과 모순 관계가 발생했다. 특히, 모순 관계를 해결하기 위해 활동주체는 의사소통, 관찰, OJT, 전문가 자문, 함께 일하기, 학습 커뮤니티, 성찰 등의 다양한 형태의 무형식학습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무형식학습의 결과로 각 활동체계는 상위 활동체계로 성장하면서 개인 학습에서 조직 학습으로 확대되어 갔다. 둘째, 초보자는 학교에서 배운 이론적 지식과 일터 업무 활동에 필요한 실천적 지식의 차이 때문에 모순이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보자는 OJT를 통해 ‘사수로부터 학습’하며, 사수의 행동과 업무를 ‘따라하기’ 시작했다. 숙련자는 유닛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거래를 발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아이템과 시장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이러한 숙련자의 도전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실수로부터 학습’ 하였다. 전문가는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여 사업을 창조해 나가기 위해, 자신의 관계 형성을 ‘확장시키기’를 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커뮤니티를 구성하였으며, ‘커뮤니티로부터 학습’ 하였다. 셋째, 활동체계로 성장해 가는 모순 속에서 그들은 활동의 의미를 찾고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였으며, 그들만의 학습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초보자는 사수의 활동을 따라하는 ‘따라하기’, 숙련자는 아이템과 시장을 발굴하기 위해 ‘찾아가기’, 전문가는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고 사업을 창조하기 위해 ‘확장하기’의 활동에 의미를 가졌다. 이러한 활동의 의미를 통해, 사수로부터 학습하는 문화, 실수로부터 학습하는 문화, 네트워크로부터 학습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렇게 그들은 활동체계마다 활동의 의미를 갖고, 동기지향적 활동을 위해 그들만의 고유한 학습 문화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그들만의 고유한 학습 문화는 ‘인정과 의리’라는 창업주 정신으로부터 나온 일터 무형식학습의 뿌리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ri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and find out the root of informal learning at ordinary activities. For this, I tried to find out in what structure the informal learning happens at work, how they take root at workplace as well as what kind of the informal learning culture takes root at workplace and what it means to the members. Most of all,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find the roots of informal learning according to the history, culture and work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transfer the learning culture to next generation and also suggest the actual strategy for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The issues of study to achieve the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otive causing the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Second, how does the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happen? Third, what does the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mean? As the research method, I adopted the ethnography method based on the constructive epistemology and symbolic interactionism.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questionnaires, informal interview and document and data interpretation. The respondents were 15 employees working at foreign trading department of K Group who include 4 team leaders, 3 unit leaders, 3 new recruits and 3 female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and 3 experts from support head office. For the correct data analysis, I have conducted the questionnaire and informal interviews as well as recorded the result of participant observation, thereby recording the data for more correct data collection.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 used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s an analysis tool. Especially, I have analyzed the data focusing on Engeström which explains the interac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system at work can be classified into one for novices, experienced workers and experts. This kind of activity system induces the interaction between workers through work and causes the cooperation and contradiction to happen in this interaction process. To solve this contradiction, the group is found to have the various kinds of informal learning such as communication, observation, OJT and advice from expert, working together, learning community and reflection. The resulting informal learning helps to make the action system to grow to upper level and expand the learning system from individual learning to organizational learning. Second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eoretical knowledge learned at schools and the actual knowledge required in the workplace confused the novices. To solve this problem, the novices started to learn the work from their superiors through OJT and imitate the superiors' action and work. The experienced workers started to search and look for the items and market to create the transactions. Thus, the experienced workers learned from trial and error in the workplace. On the contrary, the expert started to expand his or her networking to preempt the new market and create the businesses. Through this kind of networking expansion, he or she tried to construct a community and also learned a lot from this community. Thirdly, while they are growing into activity system under the contradiction, they tried to look for the meaning of their activities and recognize their roles while making their own learning culture. Each group has its own meaning in that the novices follows their superiors in work, the experienced members search and go out to look for items and market while the experts put emphasis on the networking expansion to preempt new market and create the businesses. Through these kind of learning, the learning culture of "learning from superior, learning from trial and error and learning from networking". They have their meaning of action for each action system and have their own learning culture to get the motive oriented action. Their own learning culture was found to be the roots of informal learning and it is likely to be derived from the founder's philosophy of "emphasis on human feeling and righteousness"

      • 제조업 근로자의 일터학습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정금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Because of the lifelong studying paradigm, workplace learning is changed to studying activity to form organic relations between organization and members and promote their growth, not a concept dividing work and study. In the changes, organization is interested in innovative and volunteer human resources in system. I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is rapidly changed, concepts of workplac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came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survival. This is an integ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form of workplace learning. To achieve those purposes,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the effect on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form of workplace learning? Second, how about the casual relations if analyzing effective 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how about the aspect of relations if analyzing experiences of workplace learners qualitatively for effective factors of workplace learning?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effective relations of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firstly analyzed. And then, this research selected unified methodology to analyze the experience process of workplace learning qualitatively through the case study. First, in quantitative study, data was collected for 292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collected data was applied by model analy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Next, in-depth interview and telephone interview were conducted so as to collect data in qualitative study. For the participants of research, 3-4 workers with lots of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in each company were selected. For the experiences related to workplace learning, interview was recorded, data decal continuously and elaborative work was progressed. And then, it was generally analyzed by classifying learning by for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application forms of learning, formative learning, non-formative learning and random learning,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lso, non-formative learning and random learning mad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but formative learning didn't make any effect on organizational immersion. But, as the result of general analysis on in-depth interview, application forms of workplace learning, formative learning, non-formative learning and random learning, made an effect on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if analyzing effective 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ffective 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formative learning, non-formative learning,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etc. Random learning didn't make an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o it couldn't be supported. But, as the result of analysis by mediated course, random learning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by in-depth interview, there were effective relations among the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y form of workplace learning and mediated effects of organizational immersion could be confirmed for workplace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depth interview showed non-formative learning is much more useful and important to learn duties than formative learning. In conclusion, duty education of actual field was conducted by 1:1 learning with instructors such as expert, team leader, security manager, group leader, class leader, etc. And, it also showed that human relations are an effective factor on learning quality. If considering generally, the significa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workplace learning in changing environment and prepares the foundation which can suggest the frame of integrated theory among the innovation,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results which were fragmentary or narrow with either quantitative study or qualitative study were mutually supplemented by integrative study so as to reveal insufficiencies. Third, by studying on learning that companies aiming at profit creation can ignore, it could emphasize that manpower cultivation is a process to assume a responsibility for the corporate future and workplace learning is important. 평생학습 패러다임으로 인해 일터학습은 일과 학습이 분리된 개념이 아니라 조직과 조직원들의 유기적인 관계형성과 성장을 촉진시키는 학습활동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조직은 시스템에서 혁신적이고 자발적인 인적자원에 관심을 갖게 된다. 이렇게 급변하는 조직 환경에서 조직생존을 위한 전략으로 떠오른 개념이 일터학습과 조직시민행동이다. 이 연구는 일터학습이 유형에 따라 혁신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탐색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학습이 유형에 따라 혁신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을 분석해 볼 때, 어떤 인과관계가 드러나 는가? 셋째, 일터학습 영향요인에 관해 일터학습자의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해 볼 때 어떤 관계 양상이 드러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일터학습과 혁신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후 사례연구를 통하여 일터학습 경험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통합방법론을 선택했다. 먼저 양적 연구에서는 제조업 근로자 292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자료를 수집한 후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모형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에서는 심층면담과 전화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각 기업마다 일터현장 학습 경험이 많은 조직원 3-4명을 선정하였다. 일터학습과 관련된 경험들은 면담하는 중 녹음하여 자료를 지속적으로 전사해가면서 정교화 작업을 진행한 후 학습을 유형별로 나눈 다음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 분석 결과 학습의 활용 유형인 형식적 학습, 무형식 학습, 우연적 학습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무형식 학습과 우연적 학습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형식적 학습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심층면담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일터학습의 활용유형인 형식적 학습, 무형식 학습, 우연적 학습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시민행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해 볼 때, 조직시민행동의 영향요인은 형식적 학습, 무형식학습, 혁신성, 조직몰입 등이다. 우연적 학습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행사하지 못하여 지지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매개경로를 통해 분석한 결과 우연적 학습은 혁신성, 조직몰입을 통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일터학습의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 확인해 본 결과 일터학습 유형별로 혁신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과 영향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터학습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해 혁신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면담을 통해 무형식적 학습이 형식적 학습보다 직무를 배우는 데 훨씬 유용하고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실제 현장에서 직무교육은 전문가나 팀장, 안전 관리자, 조장, 반장 등의 교수자와 일대일 학습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인간관계가 학습의 질에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일터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혁신성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통합된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둘째, 양적 연구나 질적 연구 하나만으로는 단편적이며, 편협한 것일 수밖에 없었던 결과를 통합연구를 통하여 상호 보완하여 부족한 부분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셋째, 이윤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 자칫 소홀할 수 있는 학습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인재양성이 기업의 미래를 책임지는 과정임을 깨우치는 동시에 일터학습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킬 수 있었다.

      • 금융데이터분석가의 일터학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남궁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금융데이터분석가로 일하고 있는 다섯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일터학습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금융 산업에서 IT업계로 분류되는 금융데이터분석은 새로운 지식의 유입이 빠르고, 기술의 변화에 민감하다. 또한 빅데이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금융데이터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전문인력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과 공간적 요인에 따라 금융데이터분석가들은 대체로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가 높고, 자발적 학습에 대한 의지가 높다는 인적 특성을 가진다. 또한 일에 대한 자부심과 인식이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뿐 아니라, 경력개발과 성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이러한 특성들은 일반적인 근로자들의 일터학습과는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연구는 이들의 일터학습 경험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첫째, 금융데이터분석가는 일터에서 어떤 숙련과 배움의 과정을 경험하는가? 둘째, 금융데이터분석가의 경험은 그들에게 어떤 성장의 의미를 형성하는가? 와 같은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연구는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금융데이터분석가 다섯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일터학습 경험에 주목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이 사용되었다.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다섯 명의 참여자들의 성장과정, 일터 진입과 일 경험과 같은 삶의 이야기를 듣고 해석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일터학습을 경험하였고, 또 이것은 이론적으로 어떻게 설명되고 설명되어지지 못하는 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연구 참여자들이 일터에서 어떤 숙련과 배움의 과정을 경험하는가에 대한 해답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배움이라는 본능과 새로운 지식에 대한 호기심, 그리고 금융회사 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은 생존을 위한 방법이라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금융데이터분석가로 일을 한다는 것은 생계수단 그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이들은 금융데이터분석가로서 자신만의 전문 분야를 찾고, 또 꾸준한 학습을 통하여 새로운 기술을 끊임없이 습득함으로써 ‘금융데이터분석 전문가’라는 숙련의 과정을 경험한다. 그 과정에서 ‘학습’은 타인과는 ‘구분되는’ 자신만의 무기이며,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방법으로 인식되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참여자들의 경험은 그들에게 어떤 성장의 의미를 형성하는가에 대한 해답은 조직에서의 경력개발과, 개인의 성장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었다. 먼저, 참여자들의 다양한 경험은 데이터분석을 하는 데 있어 조직에 성과를 내는 데 기여하는 과정과도 같았다. 이들은 자발적인 학습경험을 통하여 주체적으로 일에 몰입하고 경력을 개발시켜나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주도적인 일터학습경험은 배움과 동시에 성찰의 의미를 가졌다. 또한 습득한 지식을 배우고 나누는 과정을 통해 또 한 번 학습의 경험을 만들어 냈다. 참여자들은 일터학습을 통해 숙련의 과정을 겪어내고, 그것을 극복해나가고, 스스로 일의 주체자가 되어 정체성과 가치를 발견해나가며 이는 또 다른 학습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경험으로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우선, 금융데이터분석가라는 연구 참여자들의 직업 특성은 이들의 삶을 추동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즉, 금융데이터분석가라는 직업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다. 참여자가 소속되어있는 일터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와 개인적으로 데이터분석 일 자체가 중요하고 의미 있다고 느끼는 만큼 전문가로서 일과 경력 그리고 또 다시 학습이라는 독특한 성향체계를 구성해나갔다. 이러한 측면에서 참여자들은 자발적으로 학습하고 스스로 일에 대한 자부심을 갖는데 동기부여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자발적인 일터학습은 생존의 과정이었다. 금융데이터분석가로 일하면서 입문과 숙련의 과정에서 다양한 시행착오와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은 업무적인 어려움과, 조직 내 구성원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갈등을 겪었지만, 이는 실패와 성장이라는 연결고리와 함께 구성원들간의 조율과 일의 확장을 통하여 어려움을 이겨내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다양한 갈등과 시도는 다변적인 금융데이터 분석 업무를 이해하고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론이나 지식보다 실제 데이터를 다루는 업무와 현업의 흐름 그리고 외부 채널을 통하여 배워나갔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금융데이터분석가로 일하면서 경험학습과 자기주도 학습의 형태로 무형식학습을 하고 있었고, 이것은 연구 참여자들이 성장하고 기술 및 지식을 높이는 데 큰 기회로 작용하였다. 이들은 관련 지식이나 경험 뿐 아니라 삶을 살아오면서 경험한 다양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 선행경험과 새로운 현장 경험을 더하여 지식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일터학습 경험은 한 개인의 성장과 함께 논의 될 수 있다. 참여자들은 일터학습 경험을 하는 동안 각각의 일터는 학습에 유용한 자원이 되었다. 참여자들은 금융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존중하면서, 이를 실행가능한 또 다른 자원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학습하며 성장해나갔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금융 기업 내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와 성과 창출 및 개인의 성장 측면을 위해 무형식 학습의 모습을 확인하고 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일터학습 환경을 만드는 것이 후속 과제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looks in-depth into the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 of five financial data analys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Financial data analysis, a field that is considered nearer to information technology than finances, has area-specific characteristics such as a faster inflow of new knowledge and sensitivity to changes in technology. Along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big data in the modern society, the value of financial data and the need for professional personnel to deal with such data have been increasing. Due to this, financial data analysts in general have common attributes including their high level of motivation to learn, and strong willpower to learn voluntarily. As their pride in and perception of their work creates motivation as well as lead to career development and better performance outcomes, such job-specific characteristics may bring a different meaning to workplace learning than those experienced by general workers. The study in particular focused on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was designed to address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skill and learning process does financial data analysts experience in the workplace? Second, what kind of meaning does growth from experience provide to the financial data analysts? For this,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workplace experience of the five study participants. Narrative inquiry was adopted as the research method for the study. This method was very useful in hearing and interpreting the life stories of the five participants, including stories about their background, their emergence into the current field and work-related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 looked in-depth into what perceptions the study participants had while experiencing workplace learning and how their perceptions may or may not be explained in theory. Addressing the first research problem on what kind of skill maturing and learning processes does financial data analysts experience in the workplace, their learning was understood as a means of survival used to deal with the various interactions that occur within financial companies that also supports their instinct to learn and curiosity for new knowledge. For the study participants, working as a financial data analyst was more than simply a means for living.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a maturing process and became ‘professional financial data analysts’ by searching for their areas of expertise as financial data analysts and continuously acquiring new skills through constant learning. In this process, ‘learning’ was an intrinsic weapon that ‘differentiated’ them from one another, and the means to survive the fierce competition. The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 what significance the growth from experience provided to financial data analysts - was interpreted from the aspect of career development and personal growth. First, the various experiences gained b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lso part of the process that contributed to their organization’s performance.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the analysts were voluntarily immersed in their work and developing their careers. In addition, such voluntary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held meaning as a means for introspection as well as learning. Moreover, 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sharing the acquired knowledge, the analysts were able to create additional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workplace learning, participants underwent a maturing process. while overcoming challenges and taking responsibility of their own work, the participants discovered their identity and value, which again lead to new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job-specific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participants had as financial data analysts had an influence on their drive of life. In other words, this was an attribute held by the job as financial data analysts. As the participants felt that data analysis was significant not only in the workplace that they belong in but also in society and in person, they formed a unique dispositional system that lead work to career development, then to learning again. From this aspect, participants were motivated to learn voluntarily and have pride in their occupation. Second, the self-directed workplace learning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 means of survival. Working as financial data analysts, the participants overcame many challenges and experienced trials and errors in the beginning and maturing phases of their career. They faced various issues in their line of work as well as conflicts in communicating with other members in their organization, however, they overcame the challenges by learning from their failures, coordinating better communication with other members, and by expanding their line of work. The various conflicts and attempts made and experienced by the study participants served as momentum that increased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about financial data analysis and enabled further growth, Rather than learning theories or knowledge, the study participants learned dealing with actual real data as well as the real workflow at work, and through external channels. Third, while working as financial data analysts, the participants were learning informally in the form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served as a big opportunity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grow and increase their skills and knowledge. The participants were expanding their areas of knowledge not only by utilizing work-related knowledge and experiences, but also by utilizing various prior knowledge they acquired through their course of life in addition to the field experiences. Lastly, the study participants’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can be considered in line with the growth of each individual. While the participants were gaining workplace learning experiences, their places of work served as a useful resource for learning. Participants respected the significance and value held by financial data, and made worked, learned and grew as experts to create viable new resources from the dat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ture studies may identify the concept of informal learning to enabl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better performance outcomes within companies as well as allow personal development to create a workplace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activate informal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