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회변동기에 있어서 「자아」의 변용 : 근대 중일문학에 있어서 국민국가의 주체성 구축을 중심으로
요단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본 논문에서는, 근대사회변동기의 중일문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본의 경우 에도막부 말기부터 메이지시대, 중국의 경우는 청나라 말기부터 민국시대의 문학을 텍스트로 국민국가의 주체성 구축의 과정에 나타난 「자아」의 변용이라는 시점으로 고찰하고, 지금까지 중일근대문학에 있어서 언급되지 않은 문학 텍스트에서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던 부분을 검증하고 좀 더 명확히 고찰하고자 한다. 「근대적 자아」는 자유, 독립, 반역, 반봉건적인 속성을 가지는 한편, 철학과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자아」는 상대적인 존재로서, 최종적으로는 「타자」와의 「관계」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자아」와 「근대적 자아」와의 사이에는 일종의 역설이 형성되어 있는 듯하다. 특히 전통적인 유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중일 양국에 있어서, 개인으로서 「근대적 자아」는 혈연관계에 있는 「가족」과의 관계를 끊을 수 없고, 또한 국가 전체적인 이익과 집단의식으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다. 동시에 중일 양국의 근대교육은, 사상의 해방과 개혁, 새로운 지식과 새로운 사고의 교육, 전통적인 사고로부터의 해방 등의 역할을 하는 한편 근대국가 구축의 중요한 수단으로, 특정한 가치관과 이데올로기를 가르쳐 「자아」의 의식과 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근대 변동기에는 중일 양국을 세계사라는 관점에서 보면, 양국에는 민족의식, 국민의식, 국가의식을 비롯하여, 대응책이나 국제정세 등의 면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가 있다. 근대 중국은 내우외환 속에, 반(半)식민지・반(半)봉건적 사회에 빠져 들어, 오랫동안 외국열강들의 약탈과 압박을 받아야만 했다. 이러한 국제정세 속에, 중국은 국가의 주권과 민족 독립이라는 거대한 과제를 안고 있었으나, 건실한 발전의 기회와 시간적 여유가 부족했었다. 이러한 중국과는 달리, 근대 일본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서 봉건제도로부터 탈피하여, 전면적으로 근대화의 길을 걷기 시작하여 국제사회에 있어서도 대단한 존재감을 나타내었다. 또한 근대 이후 일본은 외국의 침략이나 정권의 분열 없이, 단일 민족의 통일국가로서 많은 발전을 할 수 있었다. 중일 양국에 있어서 근대화 과정이 다르기 때문에, 사회변동기에 있어서「자아」의 변용은 대단히 복잡하여, 다각적이며 총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근대 국민국가의 주체성 구축 과정에 있어서는 「자아」에 대한 인지와 아이덴티티는 많은 변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변용은 전통문화의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근대화 진전의 영향을 받아, 나라・가족・개인의 관계라는 패턴이 형성되었다. 개인은 「자아」의 아이덴티티라는 새로운 다이너미즘을 창출하고, 전통의 계승과 존중, 근대적 새로운 사상의 충격과 수용 사이에서, 국민국가 주체성 구축과 개인의 「자아인식」의 교차점을 탐구할 필요가 있었다. 본론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근대사회 변동기에 있어서 중일문학 속의 「자아」의 변용이라는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고, 국민국가 주체성 구축과 관련된 사회변동기 사람들을 고찰하였다. 서론에서는, 중일 근대문학에 나타난 「자아의 변용」과 나라・가족과의 관계로부터 중일 양국 근대사회 변동기의 상이점과 공통점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하였으며, 중일 근대문학에 있어서 「자아」라는 테마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자아」 및 「중일 근대문학에 있어서 『자아』」에 대하여 선행논문을 고찰하여, 자아는 자립적인 「개인적 자아」로부터 의존적인 「관계적 자아」로 바뀐다고 하는 관점에 주목하였다. 중일 양국의 근대문학에 있어서 「근대적 자아」는 다른 시대와 역사적 배경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성격과 목표가 크게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일본근대문학은 봉건제도와의「분리」를 수행하며, 자아해방을 추구하고, 자아각성을 주장하는 한편, 「근대적 자아」의 확립을 방해하는 국가주의와 가부장제도 등을 멀리하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반영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는 국가의 위기에 초점을 맞추어, 계몽의 선구자들은 사실주의적 방법으로, 국가의 흥망・민족의 존망 등의 중요한 국가의 과제들을 문학테마로, 개인의 각성을 통하여, 반(半)식민지, 반(半)봉건적인 사회를 비판하고, 자유롭고 민주적인 새로운 사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지배자의 부패와 제국주의의 침략에 대항하며, 「자아의 자각」과 「자아 해방」을 제창하고, 동시에 반(反)제국주의・반(反)봉건주의의 정치적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면 각 장의 요약을 살펴보기로 하자. 제1장, 「근대국가 시작에 있어서 『자아』의 변용」에 있어서, 청나라 말기 정치소설의 발생, 일본 메이지시대의 정치소설로부터의 영향, 중일 근대사회 변동기에 있어서 「국가의식」과 「국민의식」이 싹트기 시작하였다는 역사적 배경을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서는 메이지시대의 정치소설과 청나라 말기 가장 대표적인 정치소설을 텍스트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양국의 정치소설이 어떻게 사회변동과 밀접한 관계인가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메이지시대와 청나라 말기 정치소설에 있어서 정치가와 민중을 대표하는 인물의 이미지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양자의 관련성과 상이점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치소설의 저변에 깔려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현실에 대하여도 분석을 하였다. 제2장, 근대 국가주의에 있어서 「자아」의 변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본의 근대 국가주의가 가장 잘 나타나는, 즉 사회변동기 메이지시대를 일관하는 「입신출세」를 테마로 한 마에다 아이(前田愛)와 다케우치 요(竹内洋)의 선행연구를 보충하였다. 「국가봉공」주의와 「멸사봉공」주의의 영향을 받아, 국가에 충성을 다하고 「출사(出仕)」・「출사(出士)」와 관련된 국가레벨의 「입신출세」와, 학교교육에 의한 「출사(出仕)」를 지향하는 「입신출세」와 자신의 능력과 기능에 의한 에도시대 직인(職人)과 같은 「출세(出世)」를 목표로 하는 「입신출세」라는 개인 차원의 「입신출세」로 나누어진다. 국가로부터 타자로 간주되어, 「타자」와 「자아」는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였는가에 대하여 고찰을 하였다. 한편, 중국은 신해혁명(辛亥革命)에 의해, 독립적・자주적・민주적 부강한 국가를 건설하려 하였으나, 급속히 변화하는 역사적 시기에 진정한 근대적 국민국가를 구축하지 못한 채, 반(半)식민지, 반(半)봉건적인 사회로부터 벗어나질 못하였다. 따라서 일본과 같이 강력한 타자로서의 「국가」는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국」이 시대의 강령이 되었다. 이 시기, 중국의 「근대국가주의」는 주로 지식인 계급에서 나타나, 「자아」를 근대국민국가 구축에 자각적인 요소로 녹아들게 하면서, 「자아」와 국가와의 관계를 생각하였다. 유학구국, 계몽구국으로부터 실업구국(実業救国), 교육구국, 혁명구국으로, 일련의 식견이 있는 사람들은 「자아」의 실천과 경험을 통하여 이상적인 「중국상(中国像)」을 상상하며, 구축을 이어나갔다. 「구국」이라는 전제 하에, 「자아」와 「국가」와의 갈등과 고뇌는 자연적으로 문학자들에 의해 문학 텍스트로 남겨져 있다. 제2장에는, 이러한 문제들에 착안하여, 근대국가주의에 있어서 「자아」의 변용과 특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2장은 본 논문의 핵심 부분이기도 하다. 제3장, 근대가족제도에 있어서 「자아」의 변용에 대하여, 중일 양국에 있어서 전통적인 「가국동구(家国同構)」・「가공동체(家共同体)」의 사상이 근대국민국가의 주체성 구축과 역할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근대사회 전환기 중일양국의 가족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시기의 문학 텍스트에 보이는 전통과 근대, 가족과 개인과의 긴장과 갈등들이 어떻게 개인의 내면적인 변화를 자극하고, 근대적 자아형성에 기여를 하였는가를 살펴보았으며, 근대적 「현모양처(良妻賢母)」에 대하여도 언급하였다. 「中日家族小説의 双子座」라고 하는 시마자키 도손(島崎藤村)의 「家」와 파금(巴金)의 「家」를 가장 대표적인 문학텍스트로 예를 들어, 가족 간의 충돌을 시작으로, 봉건적인 대가족의 쇠퇴와 「개인」으로서의 「자아」가 어떻게 수용되어 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종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 고찰한 결과에 대하여 서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앞으로의 연구과제와 전망에 대하여 논하였다. In this thesis, I aim to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during the period of social upheaval in moder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Specifically, I will focus on literary texts from the Bakumatsu to Meiji period in Japan and from the late Qing to the Republic period in China, examin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national identity. Through this analysis, I intend to shed light on literary texts and aspects that have been overlooked or insufficiently examined in previous comparative studies of moder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The "modern self" embodies attributes such as freedom, independence, rebellion, and anti-feudalism. However, from the perspectives of philosophy and psychology, the "self" is considered a relative entity, ultimately possessing relational attributes with "others." This creates a paradox between the "self" and the "modern self." In particular, in China and Japan, where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exerts a strong influence, the "modern self" as an individual cannot sever ties with the family (or "ie") and cannot be isolated from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r the overall interests of the "nation." Furthermore, modern education in both China and Japan played a crucial role in liberating thought, promoting reform, and imparting new knowledge and ideas, while also being viewed as an important means of constructing a modern nation. It taught specific values and ideologie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self." In the context of modern upheavals, placing China and Japan against the backdrop of global history reveals distinct differences in national consciousness, countermeasures, and international situations. Modern China, plagued by internal and external troubles, fell into a semi-colonial and semi-feudal society, suffering long-term oppression and plunder by foreign powers. In this global context, China faced enormous challenges in securing national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lacking opportunities and time for steady development. In contrast, modern Japan, having broken away from the feudal system from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ies, embarked on a path of comprehensive modernization. Japan gathered strength and asserted itself on the international stage. Unlike China, Japan did not experience foreign invasions or regime fragmentation after modernity, achieving more complete development as a unified nation of a single ethnicity. The divergent paths of modernization in China and Japan make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during social upheaval a complex and profound research topic.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odern national identity, the recognition and identity of the "self"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This transformation was influenced not only by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by the progress of modernization, forming unique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ividual, the family, and the nation. The individual generated new dynamics in terms of "self" identity, necessitating the exploration of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individual self-awareness. This exploration lies in the balance between the inheritance and respect of tradition and the impact and acceptance of modern new ideas. In this thesi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issues, I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in moder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during periods of social upheaval. By analyzing the narratives of individuals amidst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during these transformative periods, I aim to elucidate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the "self." In the introduction, I clarify the research objective of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the periods of social upheaval in modern China and Japan. This is achieved by study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as depicted in moder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nation or family. Additionally, I conduct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he "self" and the "self in modern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 revealing that the modern self in the literature of both countries differs significantly in content and goals due to their different historical and temporal contexts. Japanese modern literature, which advocates the separation from feudalism, seeks self-liberation and self-awareness but simultaneously reflects a reluctance to address nationalism and the patriarchal system that hinder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self. In the case of China, the focus is on the national crisis. Enlightenment pioneers utilized realism to address crucial national issues such as the rise and fall of the nation and the survival of the people. Through individual awakening, they critiqued the semi-colonial, semi-feudal old society and aimed to construct a new, free, and democratic society. They advocated for the "awakening of the self" and "individual liberation" while also demonstrating anti-imperialist and anti-feudal political tendencies. Using methodologies such as textual analysis and intertextuality, this thesis attempts to highlight the paradox formed between the "self" and the "modern self" by considering the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of China and Japan during their periods of social upheaval. I will then provide summaries of each chapter. Chapter 1: Transformation of the "Self" in the Early Stages of Modern Nation-States In this chapter, I delve deeply into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Meiji-era Japanese political novels on the emergence of late Qing political novels, examining them with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burgeon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identity" during periods of social upheaval in China and Japa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ry texts of Meiji political novels and late Qing political novels, I elucidate how these political novels are closely tied to their respective social transformations. Specif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age construction of characters such as politicians and common people in Meiji and late Qing political novels, I analyze in detai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dditionally, I consider the interventionist nature embedded within these political novels. Chapter 2: Transformation of the "Self" in Modern Nationalism In this chapter, I focus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nationalism. I discuss how modern Japanese nationalism is most intensively manifested in the Meiji era during periods of social upheaval, with "rising in the world" serving as the era's code. Supplementing prior studies by scholars such as Ai Maeda and Hiroshi Takeuchi, I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service to the nation" ideology and how the concept of "rising in the world" is intertwined with "service" to the state. This "rising in the world" is categorized into the national level—aimed at serving the nation—and the individual level, where "rising in the world" is pursued through education or personal skills akin to the craftsman ethos of the Edo period. I examine how literature portray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viewed as the state. In contrast, China, following the Xinhai Revolution, aimed to build an independent, democratic, and prosperous state. However, during this turbulent historical period, China failed to establish a truly modern nation-state, and the semi-colonial, semi-feudal society's essence remained unchanged. Consequently, China lacked a powerful "other" in the form of the state, as seen in Japan, making "saving the nation" the era's code. Modern nationalism in China primarily manifested among intellectuals, who consciously integrated the "self" into the construction of the modern nation-state. From studying abroad for the sake of the nation, enlightening the nation, to saving the nation through industry, education, and revolution, intellectuals continuously imagined and constructed an ideal "China" through the practice and experience of the "self." The conflicts and struggles between the "self" and the nation under the overarching premise of "saving the nation" naturally found their way into literary texts. This chapter focuses on these issue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in modern nationalism, forming the core of this thesis. Chapter 3: Transformation of the "Self" within Modern Family Systems In this chapter, I investigate the traditional concepts of "family-state structure" and "family community" in China and Japan and their roles in constructing modern national identity. Focusing on the modern family systems during periods of social transition in both countries, I explore how the tensions and conflic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family and individual, as depicted in literary texts, stimulated internal changes in individual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elf. I also touch on the issue of the modern "good wife and wise mother." By examining representative literary texts such as Shimazaki Tōson's "The Family" and Ba Jin's "Family," often referred to as the "twin stars of Chinese and Japanese family novels," I analyze how familial conflicts, the decline of feudal extended famil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 as an individual are portrayed. Conclusion In the final chapter, I summar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outline the future challenges and prospects related to this research topic.
본고는 일본어의 장모음 음소를 하나의 박으로 인정하는 장모음설을 따 르기로 하고, 외래어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의 발음과 표기에 있어서의 볓 가지 규칙을 세워보기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西尾實, 岩淵悅太郞, 水谷靜夫가 편집한 『岩波國語辭典』 (1963)에서 영어를 원어로 하는 외래어 어휘 903語를 추출하여, アㆍイㆍウㆍ エㆍオ 각 단별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어중ㆍ어말위치로 그 분포에 따라 분 류하였다. 이들 어휘에 나타난 장모음들이 그 원어의 발음과 원어의 철자에서 어 떻게 일본어로 나타나는가에 따라 규칙을 세워보니 다음과 같았다. 1. ア段長母音은, 語中位置인 경우,「ar」,「er」「ur」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r-],[-a:r-]이, 語末位置인 경우,「er」,「or」로 표기된 原語 의 發音 [-∂r]이 長母音으로 나타났다. 표기면에서는, 語中位置와 語 末位置모두,「母音+r」이 長母音이되었다. 2. イ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i:]가 長母音으로 나타났다. 語中位置인 경 우,「ea」,「ee」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i:-]이, 語末位置인 경우,「y 」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i:]가 長母音이 되었다. 3. ウ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j)u:]이 長母音이 되었다. 語中位置인 경 우,「u」,「oo」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j)u:-]이, 語末位置인 경우, 「ew」로 표기된 原語의 발음 [-(j)u:]이 長母音이 되었다. 4. エ段長母音는 原語의 發音 [ei]가 長母音이 되었다. 語中位置인 경우, 「a」,「ai」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ei-]가, 語末位置인 경우,「ay」 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ei]가 長母音이 되었다. 5. オ段長母音는, 語中位置인 경우「o」,「or」로 표기된 原語의 發音 [ou], [⊃:r], [⊃:]가, 語末位置인 경우 「o」,「ow」로 표기된 原語의 發 音 [ou]가 長母音이 되었다.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장모음에 대한 변별능력이 대체로 낮게 나타나는 큰 이유는 모국어의 간섭에서 온다고 할 수 있다. 장모음과 단모음에 대하 여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최소대립 어(minimal pair)등을 통한 충분한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발음지도에 유의해야한다고 생각한다. In the present study, I have attempted to summarize how the Japanese long vowels are transcribed from the original foreign pronunciation and to investigate its rules when they are adopted in Japanese. The study is focused on English origin nated vocabularies. I have picked up 903 words which contain either in their medial position or in their final position. And then I have made some classification' s according to A-line, I-line, U-line, E-line and O-line. In chapter 2, the overall review on the Japanese. In chapter 2, the general review on the Long vowel theorys of contemporary Japanese. I have adopted 'Kindaiich theory' which positively recognize the Long vowel as an independent poneme. In chapter 3, is the summary of my investigation. The materials I gave used in my investigation are from the dictionary of 'Iwanami Kokugo Ziden(1963)'. 1. The long vowel A-line, is appeared in medial position when the original words contain '-ar-', '-er-' , '-ur-'.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r-], [-a:r-]. And the final position long vowel A-line come from '-er' and '-or'.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r]. When I examine the long vowel rules according to the transcription system, it corresponds to 'vowel + r'. 2. The long vowel I-line of Japanese, shows the systematic correspondence with [i:]. And 'ee', 'ea', 'y' of original spelling have appeared as long vowels in Japanese foreign words. 3. The long vowel U-line shows the correspondence with 'u', ' oo' and 'ew' of original spelling. And it indicates the pronunciation [(j)u]. 4. The long vowel E-line come from [eil. It corresponds to the transcription of 'a' , 'ai' and 'ay' of the original words. 5. The long vowel O-line come from [ou], [⊃:r], [⊃:]. And it is the version of 'o', 'or', 'o' and 'ow'. In chapter 4, I gave made a few suggestions on some problems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 One of the main difference of Japanese language from Korean lies on its phonological system. Korean learners are apt to neglect the long vowel partly because our contemporary transcription does not show long vowel and therefore one cannot differentiate the long vowels and short vowels at least on its transcription.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Japanese language teachers would plan a special drill program on this.
구사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아쿠타가와류노스케(芥川龍之介)는 일본의 다이쇼(大正)시기의 대표 작가이다. 일본 다이쇼시대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그의 창작은 일본문학사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세계문학사에도 상당히 많은 영향을 끼친 작가이다. 아쿠타가와류노스케는 한문학에 관한 소양이 매우 깊었고 『슈츄(酒虫)』, 『도시슌(杜子春)』,『키구(奇遇)』등 중국고전에서 소재를 취해 많은 작품을 창작했다. 1921년 3월 하순부터 7월 중순까지의 4개월 동안 그는 오사카매일신문사(大阪毎日新聞社)특파원으로 중국에 머무르며 여행을 했다. 일본에 돌아와서 중국 여행견문 및 자신이 느꼈던 현실적인 중국에 대한 인식을 작품에 나타냈다.『시나유키(支那遊記)』,『우마노아시(馬の脚)』,『고난노오기(湖南の扇)』등의 아쿠타가와류노스케 말기작품은 당시의 중일(中日) 양국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1920년대부터 지금까지 아쿠타가와류노스케의 창작사상, 예술창작수법 및 그의 중국에 대한 태도 등은 중국의 독자와 평론가들에게도 많은 반향을 일으키며 인정받았다. 1921년 루신(魯迅)이 아쿠타가와류노스케의 『라쇼몬(羅生門)』,『하나(鼻)』란 작품을 번역한 이래, 아쿠타가와류노스케의 전 작품을 다섯 권으로 나누어 번역하여 『芥川龍之介全集』을 출판하게 되었다. 이러한 작품들은 중국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바진(巴金), 하면존(夏丐尊)등의 중국 현대 문학가들도 아쿠타가와류노스케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중국을 동경했던 아쿠타가와류노스케는 중국 여행에서 근대중국의 실상을 목격하고 뜻밖의 큰 충격을 받았다. 중국은 아편전쟁이후 제국열강들의 침략으로 피식민지화되고 망국의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중국민중들은 거센 저항을 하였고, 이에 대해 아쿠타가와류노스케는 중국에 대한 생각도 바뀌었고 그의 문학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침략자 일본에 대한 인상도 바뀌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아쿠타가와류노스케가 중국여행 전후에 느꼈던 것을 소재로 한 작품에서 아쿠타가와류노스케가 중국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이 바뀌었는지를 분석한 논문이다. 특히 아쿠타가와류노스케가 생존 당시 즉 다이쇼말기부터 쇼와초기 1920년대를 중심으로 작가와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Ryunosuke Akutagawa (1892-1927), is a representative writer in the Japan's Taisho period (1912-1925). As a Japanese writer in modern literature era, his works do not only give impacts to Japan, but the world's literature history. Akutagawa’s literature attainment in Chinese literature is deep and he had many literature work themed with Classical Chinese such as “Syucyuu”, “Toshishun”, “Kiguu” and etc. From the end of March 1921 until mid-July, within four months as a correspondent from the Osaka Mainichi Shimbun he was sent to China for observation. When he returned to Japan, with what he had experienced in China and his knowledge of the reality of China, he produced literature work such as "Shinayuuki", "Umanoashi", "Konannoougi" and etc. It had then caused strong repercussions in both China and Japan. From the 1920s to present, Akutagawa’s creative thinking, artistic practices, as well as his attitude toward China, etc., are provoking the attention of Chinese readers and critics. On Lu Xun’s translation in 1921 of Akutagawa's "Rasyoumonn" and "Hana", to the publication of the "Akutagawa's Compilation" which are divided into five volumes, he also has great influence on the Chinese education circles. Even Chinese modern writers like Ba Jin and XIA Mianzun has also commented on Akutagawa’s work. Akutagawa had been longing for China, however during his trip in China witnessing the lag behind of China had taken a heavy toll on him. After the Opium War, China was invaded by the imperial powers and became a semi-feudal country, almost to the point of subjugation. Seeing the revolt of Chinese people against the invaders, Akutagawa did not only change the image of China in his literature, but even the image of the invading Japanese had also changed. In this paper, with the split point of before and after Akutagawa’s traveling in China, analyzing on the changing of China’s image in his work is investigated,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writer and time setting of the late Taisho era until early of Showa era in the 1920s.
『헤이츄 모노가타리(平中物語)의 주제의식』 : 신분갈등을 중심으로
本稿では平安時代の『平中物語』の主題を身分葛藤の樣子を通じて考察した。『平中物語』の主題に關する先行の硏究は大部分失敗話が主になる現實的な男女の間の戀を語ることに基づいてなしとげられた。ところが、本稿では嚴しい現實として戀の裏に隱されて作品の全般にわたっている身分上の問題を主に考察した。このために作品に現れた身分の葛藤、物語の中の女性像、戀愛話ではない性格の段に現れた人間關係、作品の中に見える先行作品に對する批判意識と主題との關係を中心に考察してみた。あわせて日本の古典文學の中で最後の歌物語である『平中物語』を通して身分の葛藤が作品と當時の時代像を理解するのにどれだけ大事なのかを確認してみた。本論を通じた考察の內容を整理すると次のとおりである。 第一章では身分の葛藤の內容を男の主人公の身分を背景にした作者の意圖を中心に考察してみた。『平中物語』において作者の意圖は大いに苦しくてつらい心情の表現を扱った作品の第一段、女に送る男の長歌、獨立された物語の性格を帶びている長文、實名が登場する段などを通じて確認した。作者はこれを通して男の主人公が現實の社會からうけた傷の程度を紹介し、ただ身分が男よりたかいだけでその身分にふさわしい嗜みを?えていない貴族の身分の女の人を批判する男の人の視角を見せてくれて三十四個段の戀愛話の中で身分の高い女性との戀に成功する段いる。一方、『平中物語』の作者が平中の子孫のひとりだという假定のもとに見ると短文よりは長文の文を通して自分の祖先である主人公の長所を表わそうとする努力が盛り입まれている。あわせて主人公の實名を作品に引き入れて主人公である平中が當時和歌に優れた素質のある歌人であるということをそれとなく暗示している。 第二章では『平中物語』の女性像と關連して考察してみた。物語の中の女性像は主に上流の貴族の女性、中ㆍ下流の貴族の女性、身分が不明瞭な女性という三つに分けられる。上流の貴族の女の人たちとの戀は身分の差を克服して戀に成功する段と身分の差を克服できなくて戀に失敗する段に分けられるが、『平中物語』の全部合わせてがただ一つの段にすぎないということを考慮してみる時當時の社會的な與件上、身分の低い人が特に、男が女より低い身分の場合は戀を協えることが非常に大變だったことを見せている。あわせて個人の力量よりは自分の屬している身分によって人生の行方が左右される身分の社會構造に對する矛盾も見せてくれている。中ㆍ下流の貴族の女性たちとの戀の場合は同じ身分の女に最善を盡くしている男の主人公の眞率な姿が盛り입まれているし、同時に同じ身分である女性に對する失望感も表されている。身分の不明瞭な女性たちとの戀の場合は邪魔の原因を克服して戀に成功する段と邪魔の原因を克服できずに失敗する段に分けられる。戀の成功の鍵は男の資質よりは身分の高低次第だということと男の主人公が相手にした身分の不明瞭な女性たちもやはり結果的に上流の貴族の女性たちと中ㆍ下流の貴族の女性たちに劣らずに男の身分を取り上げたということが表れている。また男女どちらか一方が戀の主導權を握っていたからといってそれがかならず戀に繫がることとはかぎらないということ、つまり、戀に繫がるまでにはさまざまな理解關係が交じり合っていることを表している。 第三章では戀愛話ではない段に現れた人間關係を中心に考察してみた。『平中物語』で現れた戀愛話以外の人間關係は主に兩親との關係、友だちとの關係、權力者との關係という三つの段に分けられる。兩親との關係の場合には女の兩親が身分の低い男の主人公に冷遇と侮辱感を現わす。身分の高い家柄の男と結婚させようと思う女の兩親を作品の一部に含めることによって當時の男女の間の戀の外部要因として女の兩親の影響が强かったということを見せている。友だちとの關係の場合は眞實の友情を交すことができる友情の對象を具體的に限っている。苦しくてつらい現實と月日の虛しさを眞實にやりとりすることができる友だちの選擇の主體が男の主人公ではない友だちが選擇の主體になることによって當時の身分の葛藤による最大の被害者が男の主人公であることを間接的に現わしている目立つ段も設定してあった。權力者との關係の場合には自分の出世のために權力者に素直で、出世一邊倒の姿を見せる普通の中ㆍ下流の貴族とは違う男の姿が描かれている。あわせて身分の低い若者たちは身分の高い若者たちにはまったく問題にならない戀の外部要因まで抱え?んで惱んでいるというその當時の戀愛の生活像を見せている。 第四章では先行作品に對する批判意識と?を通じた主題意識との關係を中心に考察してみた。批判の意識の素材は主に滑稽的な內容、文學活動の中心地の變遷、作品の中の?を通してみた主題意識という三つの段に分けられる。滑稽的な內容には讀者たちをして笑いを呼び起こす登場人物の行動を通じて單純に笑い話ではない身分の葛藤という當時の時代上の問題点を現わすための作者の意圖した素材の設定ということを考察してみた。文學活動の中心地の變遷では「東下り」と呼ばれる段を始めとして男の主人公の地方への旅程が現れている。特に『伊勢物語』で見える地方の舞台の範圍が今の福岡から靑森に至るまで廣い反面『平中物語』では兵庫縣から福島と常陸の境界線までに縮小された。このような空間的な背景の制限を置くことによって縮小された地方の旅行の意味として作品の全體に貫き現われる身分の葛藤の一つの側面を考察してみた。作品の中の?を通してみた主題意識は男の人に對する?、女に對する?に分けられる。男の主人公に對した?という裝置は?の內容が否定的であれ肯定的であれその眞僞の可否にかかわらず『平中物語』で男の主人公の位置を表わしてくれる役割を果たす。女性に對しての?も同じように『平中物語』の主題である「身分の葛藤」を理解することにおいてよい素材であることが分かるようになった。 『平中物語』の主題である「身分の葛藤」は男女の間の不完全な戀によって現われたり、時には身分の壁に塞がれて挫折する姿で現われたりする。そして權力者たちとの?係でも現われるし、滑稽的な言行によっても現われるという特徵を持っている。また友だちの姿を通じても現われている。『平中物語』は作品の中のいろいろな素材を身分の葛藤の素材で表わして讀者たちに當時,身分の葛藤に惱んで社?の矛盾が打破されることを望む作者の社會批判的な意圖が『平中物語』の立場だということを作品の中に?めている。 あわせて本稿では旣存の先行硏究が主に男の主人公を中心に作品にアプロチ―した方法とは違って①戀愛の對象である女性たちの言行を通じて作品の解釋にアプロチ―したところをおおきな特徵にしている。また過去のきびしい現實の戀に苦しむという戀の失敗談を素材にしながらも②男に對する惡意的な謀略と?の樣相を通して作品の主題に近付いたところ③「東下り」と呼ばれる段を始めとして文學活動の中心地の變遷を通じて主題の解釋にアプロチ―したところ④男の苦しくてつらい心情の表現を取り上げた作品の初段、女に送る男の長歌、獨立した物語の性格を現わしている長文、實名のある段などを通じて現われた作者の意圖を中心に作品の解釋に近付いてみたところなどを特徵にしている。これからの硏究の課題として①平安時代の「東下り」の用例を探して作品の解釋とそのことに對する主題の接近の方式において「東下り」の役割と機能を比較し、分析してみようと思う。また②文學作品の素材で滑稽的な表現と?が持っている機能と特性を硏究の對象に含めようと思う。
시총 수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이 논문은 현대 일본의 과제 해명을 목적으로 하여 불교의 일본에의 전래와 수용이 일본 고대문학 속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살펴보려고 한 것이다. 6세기 중반 불교가 백제(百濟)에서 고분시대의 일본에 전해지고 나서 현재까지 1500년 정도가 지나고 불교는 일본문화의 기저를 가지게 되었다. 불교는 당초 외국의 신으로서 호족들의 반대로 수용이 보류되었지만 소가(蘇我)씨나 쇼토쿠태자 (聖徳太子) 야마토 조정(大和朝廷)의 노력의 결과 7세기에 국가불교로서 수용되었다. 8세기 나라(奈良)시대가 되면서 쇼무(聖武)천황 등의 깊은 신앙에 의해 도다이지(東大寺)대불이 만들어지고 점차로 불교는 일본에 뿌리내리기 시작하여 수도인 헤이죠쿄(平城京)에 학문 중심의 불교교단이 형성되었다. 헤이안쿄(平安京)천도후 9세기 초에 사이쵸(最澄)나 구카이(空海)에 의해 일본 독자적인 불교가 점차로 만들어졌다. 후지와라(藤原)씨에 의한 섭정정치(攝關政治)가 본격화된 10∼11세기가 되면서 귀족 여성들 의해 가나(仮名)를 사용한 이야기나 일기가 씌어지게 되었다. 11세기 초에 씌어진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에는 불교의 영향이 현저하게 반영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불교가 일본에 전해지고 5세기 가까이 지나 귀족들 안에 그 교리나 사상이 들어 간 것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불교의 「일본화」는 가마쿠라(鎌倉) 시대의 정토종이나 선종 등이 생길 때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되었던 것이 일본의 현실이었다. 이러한 불교의 수용과 일본고대문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 본 논문이다. This thesis tried to describe how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Buddhism was reflected in the Japanese ancient literature for the purpose of elucidation of the today’s problems of Japan. It is less than 1500 years since Buddhism was introduced to Japan vie Kudara in the tumulus period in the middle in the 6th century. Buddhism has been the basis of Japanese culture. At the beginning, Buddhism was rejected by the powerful family as Buddha was thought to be a foreign god at first, but the Buddhism was accepted by Mr. Soga and Prince Shotoku as the state Buddhism in the 7th century as a result of the effort of YAMATO Imperial Court. The Todai-ji Great Buddha Image was made by the Emperor Shomu’s earnest devotion to Buddhism in the 8th century Nara era, and the Buddhism began to become established in Japan gradually, and Buddhist religious society in the learning center was formed in Heijyokyo Capital. Saicho and Kukai were the most influential Buddhist priests who tried to Japanize Buddhism in the 9th century after the capital was transferred to Heiankyo. During the 10th and 11th century when Fujiwara family performed regency, the novels and diaries were written by aristocrats’ women who used a pseudonym and Kana characters invented by Japanese. It is clear that the Buddhist influence was deeply reflected in "Tale of Genji" written by a female writer in the 11th century. This is how the Buddhism found its way in the aristocracy society after the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Japan five centuries ago, and the doctrines and thoughts were permeating in the aristocrats. But the real "Japanization" of Buddhism was done in Kamakura Era when Jodo Sect and Zen Sect were founded.
太宰治의 [純粹世界]에 관한 硏究 : 聖書와 관련된 작품을 중심으로
太宰治において, 純粹性とは39年間の人生き生きながら, 彼の唯一の憧れの對象であり, 生の指漂であった. このような生への撞れのために, 太宰の人生は苦惱に滿ちた魂の記錄となってしまったが, それも太宰自身の純粹性の限界から來る絶望によるものであった. 自分の罪の自覺によって, 彼自身が世に生まれた事を罪と考え, 生きる事は純粹なる魂を汚す事だという思いから, 人生の處しさき感じ, 太宰が喝望した純粹とは程遠ぃ現實生活からついに離脫してしまうこととなる. 根本的な罪に對する認識から脫け出そうともがき, 救いの手段としたのが聖書であった. それは神に對する福音の受け入れであり, 聖書の御言自體が神に對する信仰を基にするものであるからである. このょうな福音的な信仰で神を信じ, キリストど自分を同一化させ, 聖書の御言のまま生きようとするが, 律法受け入れの方法をめぐって太宰は自身の罪意識とぶつかるよぅになる. 聖書の律法的な御言は現實生活において, 多くの實行因難な項目を提示する. 太宰は自分が持つ罪意識とともに, 聖書の御言きそのまま守れない狀況におかれ, 挫折感と絶望に至ってしまう. キリスト敎で言う根本的な原罪の赦しの福音は彼の純粹性の故に救いに對する妨げともなった. 太宰自身が持っている罪をみずから赦すこともできず, また神に對しても赦しを救め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 太宰は赦しの福音が一種の僞善と感じ, それを信じられなかった事が太宰の純粹性にそのまま繼がるのである. 彼が救いの指標とした聖書や, キリストに對する憧れは太宰の純粹性によって次第に役とは疏遠なものとなって行った. 純粹な魂をあまリに張く願ったが故に, 現實の生が罪の連續だという苦惱によって, 自分の實存の必然性を喪失してしまったのである. そのことが自己扶殺へと繼がり, 自身の罪にみずからが罪を與えるという意識をもって自殺し, その生涯を終えることとなるのでぁ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