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效果的인 觀光日語 敎授方法에 關한 硏究

        최윤정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의 국제관광은 1961년 국제관광이라는 용어가 공인된 관광산업진흥법이 제정, 공포됨으로써 이른바, “International Tourism”이 등장한 이후로 관광외화수입증대를 목표로 관광자유치위주의 진흥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이와 같이 관광산업의 진흥을 통한 경제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간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관광의 경제적인 효과에 주목하여 관광산업을 국가의 주요 전략산업으로 지정하여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관광종사원들의 외국어 능력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을 찾는 관광객들은 관광시 불편사항으로 언어소통을 가장 커다란 부분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방한객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인을 접객하기 위한 관광일어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두말 할 나위가 없다. 그러나 현재 각 대학의 관광관련학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관광일어 교육은 체계적이지 못하며, 명목상의 선택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그 내용이나 방법 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관광외국어에 관한 선행연구가 대부분 영어만을 집중적으로 연구함으로서 소외되었던 관광일어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관광의 중요한 역할담당하고 있는 관광종사원으로 활동할 인재를 배출하는 관광일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 비판, 정리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외국어 교수법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여 관광일어 교수법에 적용가능 여부를 알아보았으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관광일어교육의 현황을 실증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시켰다. 실증분석에 사용한 기법은 SPSS/PC+를 활용하여 신뢰성 검증, 빈도분석, ANOVA을 실시하여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인 범위는 관광관련학과 내에 관광일어가 개설되어 있는 6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성내용은 전체를 6장으로 구성하였다. 제1장은 서론으로서 문제의 제기와 연구의 목적, 방법, 범위를 제시하였다. 제2장은 연구의 이론적인 배경으로 외국어 교수법에 관한 제이론을 기술하였으며, 최근 외국어교수법의 새로운 경향과 기존의 일어교수법을 문헌 연구하였다. 제3장은 해외의 일어교육의 현황과 한국 관광 일어교육의 구성내용을 정규교육기관, 공공교육기관, 사내교육기관과 관광일어교재로 구분하여 현황분석하였다. 제4장은 실증분석으로 관광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사들과의 면접을 토대로 교육방법, 교재내용, 교육내용에 관해 작성된 설문지를 자료로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4장의 연구를 토대로 그 문제점을 도출시키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제6장에서는 결론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일어 교육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학생들은 독본이나 시청각자료를 통한 수업보다는 2인역할연기나 발표와 토론의 기회가 많은 방법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나, 사실상 현재 한국에서는 독본위주의 수업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강사는 수준차 많이 나는 학생들일지라도 무조건 독본위주로 수업을 하기보다는 그룹을 편성하는 방법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현황분석을 통한 교육교재의 문제점으로는 관광일어교재라기 보다는 일반회화교재와 구분하기 힘든 교재가 대부분이었으며, 거의가 초급자 위주로 중급자나 고급자의 교재 부족한 실정이다. 실증분석상의 문제점으로는 학생들은 회화책, 비디오, 신문이나 잡지 등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교재 선택을 하기보다는 모든 부분에 골고루 관심을 가지고 중요하다고 선택하고 있다. 짧은 한 두 학기 동안이라고는 하지만 학생들이 골고루 교재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본인에게 적합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교재를 선택할 수 있는 자극을 주어야 하겠다. 셋째,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수업 내용은 발음지도, 듣기 지도, 회화 지도이지만 실제 수업은 문법위주의 읽기와 작문 지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장 효과적인 지도는 실제 일본인에게서 받는 일 것이다. 한 학기에 두 세 번 정도 일본인과 상대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과 학생들이 자신의 발음을 녹음하는 과제를 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관광일어의 최종목표가 일어문장의 구조나 문법을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의 형식과 구조의 통달에 목표를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관광종사원이 일본인 관광객을 접객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각 상황에 적절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들은 체계화시켜 효과적인 관광일어 교수방법의 진흥방안으로 삼아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Due to economic gains from tourism industry, competition among countries and regions is getting intense and major countries have selected and encouraged tourism industry as one of the most strategic industries to maximize economic benefit derived from international tourism. Korea also has adopted a tourism policy which enables her to induce more foreign tourist in order to increase tourism revenue from overseas since "International Tourism" had introduced in Tourism Industry Promotion Act enactment in 1961. As volume of international tourism are getting bigger, the significance of foreign language ability of tourism employees plays important role. According to survey on foreign tourist visiting Korea, most complaints relate to communication problem arising from different language. To serve Japanese tourist who accounts the biggest portion in Korean travel industry, the importance of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employees should be well emphasized. The present Japanese education system in tourism related department in Korean universities, however, is not so effective in terms of content and methodology because it is considered as non-required selective course. Previous literature on foreign language for tourism employees have mainly focused on English so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develop. effective Japanese education system at university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nt Japanese education system for future tourism employees at university level and to suggest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ology. The paper consists of 6 chapters. Chapter 1 introduces problems of present Japanese education system and scope of the study.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literature are surveyed in chapter 2 and Japanese education system in other countries and the description of our Japanese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different teaching institutes are dealt in chapter 3. Next chapter shows empirical results for the study using statistical package(SPSS) based on surveyed data. In chapter 5, problems arising from empirical study are commented and possible improvement is suggested. Chapter 6 concludes the paper. The suggested problems and improvements are followings. First, student prefers interac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presentation, role-playing but present education program is focused on text ba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ethod encourag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lecture by using groups based on their level. Second, development of the text specifically designed for future tourism industry employees is required for more efficient Japanese education program as well as variety of the teaching tools such as text, movie, magazine etc. is recommended. Lastly the most important method perceived by student is pronunciation, listening and conversation where actual present curriculum mainly deals reading and writing. The purpose of Japanese education for future tourism industry employees is for them not to learn structure and grammar of Japanese but to communicate with Japanese tourist in the field. The possible methods proposed in the paper can be used to establish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Japanese education program at university level.

      • 일본어 교원 임용 시험 및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교육 과정 분석

        김동현 慶尙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21世紀という新しい時代において情報化ともに世界化が加速化され、世界の國□と交流を深めていくためには外國語の學習の必要性が增□高くなっている。日本語は隣國の言語として、我が國と政治·經濟·社會·文化的に緊密な相互協力のために不可欠であり、その影響も强い。 このように日本語は韓國の第7次敎育課程に反映され、高等學校のみならず中學校にまで裁量活動の科目として含まれ、その需要は高まる一方である。これによって、日本語を敎える敎師の數も增加の一途だ。 このような狀況でより優秀な敎師選拔することも强調されている。敎育の質が敎師の質を凌ぐことができないという点で、優秀な敎師の選拔は敎育の成果にかかわる重要な鍵になっている。 本稿は、日本語敎育の質を高める最も重要な方案は優秀な敎師を確保することだということを前提にし、敎員の選拔機能を擔う日本語敎員任用試驗の問題を分析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また、日本語敎員の養成機關である師範大學の日本語敎育科の敎育課程を檢討し、その問題点を提示する。その結果を以下に示す。 まず、日本語敎員任用試驗の問題を分析した結果、2001年から2004年まで最近4年間では、敎科敎育學が13%、 敎科內容學が87%という出題傾向であった。敎科敎育學の領域では主に敎授論(48%)と敎育課程(27%)を中心に出題されており、次に敎育評價論(14%)と敎材論(11%)の順である。 敎科內容學では日本語學領域(50%)、日本語機能領域(20%)、日本文學領域(16%)、日本文化領域(14%)の順に出題されている。日本語學領域の中でも文法に關する問題が特に多く、日常生活の意思疎通機能を中心にする日本語機能領域の出題の割合が次第に增加しており、その一方で、日本語知識領域である文學は平易な水準で、出題割合も徐□に低くなっ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日本語敎員任用試驗の問題の特性は、日本語の敎育に關する問題よりも日常生活の意思疎通機能を中心にする日本語能力や知識を問う問題が多く、敎育の現場で要することとは距離があると分かった。また、ほとんどの問題は理論的な知識を問い、日本語敎員に必要な具體的な指導法とはつながらず、それぞれの領域內だけで成り立っているという特徵が見られる。 日本語敎員任用試驗と日本語敎育科敎育課程は優秀な日本語敎員の選拔と養成がその目標で、お互いに影響を取り交わす。だから全國にある師範大學の六つの日本語敎育科敎育課程の內容を檢討した。その結果は敎科內容學領域の科目が63%、敎科敎育學領域の科目が37%の割合で、實際の任用試驗で敎科敎育學が目標とする20∼30%の割合より少し高いことが分かる。 しかし、このような敎育課程にもかかわらず任用試驗における敎科敎育學の問題は全體の20%にも及ばない狀況であるため、任用試驗問題との連携がとれていないことが分かる。そして、全國の師範大學の日本語敎育科敎育課程は定められた基準なく、學校ごとに差があることが分かる。

      • 고등학교 「일본어Ⅰ」 CD-ROM 코스웨어 분석

        최하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컴퓨터의 비약적인 발전은 교육에 있어서 정보화를 촉진시키고 교육공학의 발전을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공학으로서의 학문적 발달에 힘입어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은 교수매체로서의 시대적 당위성과 그 교수매체로서 교육적 효과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수업현장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긍정적 교육효과는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되어왔다. 특히 CD-ROM 코스웨어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자기주도적·수준별 개별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 아래 우수한 교육자료로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질의 CD-ROM 코스웨어의 개발과 교육적 도구로서의 적용에 앞서 효과적인 코스웨어의 내용 및 구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와 검토는 필수적이다. 현재 여러 교과 과정에 있어서 CD-ROM 코스웨어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코스웨어의 분석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에 있어서는 코스웨어의 형식을 가진 CD-ROM은 교과서 수업보조자료로 제작되고, 그 수도 교과서의 수보다 적지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효과적인 수업자료로 인정된 CD-ROM 코스웨어 내용 및 구성에 대한 분석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일본어Ⅰ」을 교육목적으로 구성된 4종의 CD-ROM 코스웨어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코스웨어의 국내외 평가이론들 중에서 일본어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CD-ROM 코스웨어의 평가기준을 나름대로 선정하고, 분석항목과 준거로 삼았다. 분석내용으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일본어Ⅰ」을 교육목적으로 제작된 4종의 CD-ROM 코스웨어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코스웨어의 내용을 코스웨어의 정보, 교육과정 적합성, 교수 적합성, 코스웨어 기술성, 코스웨어 입수경로, 코스웨어의 장단점의 분석항목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일본어 교육에 초점을 두고, CD-ROM 코스웨어의 각 준거들을 세부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양질의 CD-ROM 코스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차후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의 CD-ROM 코스웨어를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양질의 코스웨어 개발에 있어서 도움을 줄 것이다. 또, 수업보조를 위한 수업현장의 적용에 앞서 CD-ROM 코스웨어의 선별을 위한 교사들과 개별학습을 위한 학습자들에게 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고등학교 「일본어Ⅰ」을 교육목적으로 제작된 4종의 CD-ROM 코스웨어 분석은 교사와 학습자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한 점이 아쉽지만, 코스웨어의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한 관련교육 전공자로서 분석하였기 때문에 그 가치가 있다고 본다. 고등학교 일본어를 교육목적으로 제작된 CD-ROM은 많이 있지만 코스웨어의 기능을 하는 것은 많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CD-ROM 코스웨어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촉진시키고, 그 양과 질에 있어서도 수업현장의 교사와 학습자들에게 만족을 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Rapid growth of computers accelerates informatization in education and advance in education technology. Thanks to academic development, computer-based classes can meet today's education requirements and their demands increase continually. Positive effects of multimedia-based classes are proven through many previous researches. In particular, CD-ROM courseware is widely used as one of the best education materials due to its outstanding advantages of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nd supporting self-study according to student's level. Before developing quality CD-ROM courseware and applying it as an education tool,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onsider and review effective courseware contents and configuration. Currently, whil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CD-ROM courseware is active in many courses, analysis of courseware is actively performed as well. For Japanese education in high schools, CD-ROM courseware is developed as complementary materials for textbooks and its number is continually increasing even though it is not as many as textbooks. Unfortunately, however, studies on analysis of CD-ROM courseware contents and configuration proven as effective education materials are not commonly perform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lect and analyze 4 types of CD-ROM courseware which is designed to teach Japanese in high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7th National Educ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Japanese education, this study designates evaluation criteria of CD-ROM courseware as analysis items among domestic and overseas evaluation theories. To this end, 4 types of CD-ROM courseware which is designed to teach Japanese in high schools are analyzed. In addition, courseware contents are divided according to analysis items: courseware information, curriculum appropriateness, professional suitability, courseware technical capability, source to acquire courseware and courseware advantage/disadvantage. Detailed criteria of CD-ROM courseware are selected centering on Japanese education. In Chapter 4,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quality CD-ROM courseware are suggested. This study helps to organize CD-ROM courseware for Japanese education in high schools and develop quality courseware. Before new CD-ROM courseware is applied to actual classes, related criteria will be suggested to teachers to select CD-ROM courseware and learners for individual education. Even though analysis of 4 types of CD-ROM courseware designed to teach Japanese in high schools does not reflect different opinions from teachers and learners, it is valuable since it is performed by a person majoring in related filed with fundamental knowledge on courseware. There are many CD-ROMs designed for Japanese education in high schools, but few of them can provide a courseware fun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accelerate analysis and research on CD-ROM courseware, meeting teacher's and learner's demanding requirements in actual education field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 중학교 일본어 특기적성교육활동 연구

        최현주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日本語の特技適性敎育の望ましい方向は,日常生活において必要とされる意思疎通能力の基本となる, 日本文化の體驗と理解にある.また.特技適性敎育は正規敎科目の時間とは區別し,强制しない授業方法を通して生徒たちが新しぃ言語と文化に適應できるカを身につけ,好奇心が持てるように敎育するところにその目的がある. したがって,日常的な生活文化を素材とした學習內容と,生徒たちが日本語に興味を持ち,自ら進んで授業に參加できるための多樣な學習方法が要求される. 本硏究では,授業の方法上,多少敎室の雰圍氣が散漫となる恐れはあったが,生徒たちが授業に積極的に參加できたことは注目に値する.正規時間ではできない,いろいろな遊び·學習資料·マルチメディアなビを利用しながら,日本文化を取り入れた日本語特技適性敎育活動を實施して次のような結論を出した. 一つ,何よりも大事なことは,生徒一人一人が素質と能力を生かし,學習に興味を持ち,學習意欲を高めるように心がける.從って敎師は生徒中心の敎育,すなわち生徒の要求と能力に合わせて適切な授業方法を開發し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 二つ,中學の日本語學習者は進學や將來のことを考えるより,日本について漠然とした興味を持って,時時目にする大衆文化を理解ために勉强している人が殆んどである.つまり,日本語學習者には實用的な言語を中心に,彼らのホ準に合わせて指導するのが望ましい. 三つ,日本文化の接觸の經驗が,日本語の授業において,學習者の意欲や興味にも肯定的な影響を考えた.日本のマルチメディアやアニメ-ション,歌요曲など,學習者がよく接する文化を授業に積極的に取り入れるのもいい授業の方法になることが分かった. 以上で述べたように,本硏究では,學習者が知りたがる,また,よく接する日本文化を授業に巧みに取り入れてその樣子を考察した.結果的に,學習資料及び視聽賞資料,マルチメディアの活用,學生たちが自由に活動できる空間構成とインタネット·歌·遊びの導入など,授業の仕方の多樣化が學習效果に大きな影響を考え,興味深い授業になるという結論を得た.

      •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과정 어휘 분석 : 제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를 중심으로

        현춘순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어휘는 인간의 언어활동에 아주 중요하며 끊임없이 생겨나고 변화한다. 그리고 각 어휘는 사용빈도가 다르기 때문에 외국어를 익힐 때 어휘를 모두 학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학습자는 학습능력에 한계가 있으므로 교육 효과를 높히기 위해서는 객관적·합리적으로 엄선된 어휘를 중심으로 가르쳐야 할 것이다. 어휘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어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또한 복수의 의미를 갖는 어휘 중 어떤 의미를 먼저 가르칠 것인가의 우선 순위를 상황 논리적 측면에서 설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교육은 한정된 시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많은 양의 어휘를 한꺼번에 가르치는 것보다 소수의 기본적인 어휘를 이용하여 가능한 한 많은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사용범위가 넓고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를 중심으로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本 稿에서는 어휘교육상 제기되고 있는 문제 가운데 5차, 6차, 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 및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어휘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8차 교육과정 기본어휘 선정 및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는 우선 5차, 6차, 7차 교육과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기본 어휘의 특징을 분석하고,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별 공통어휘 및 각 교과서에서의 기본어휘 반영 율을 파악하며, 7차 교육과정의 기본어휘의 변화와 5, 6, 7차 공통 기본어휘를 중심으로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본어휘를 분석했다. 이를 위한 대조 분석자료로 7종의 자료를 이용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어휘의 변화가 많았다. 기본어휘 수는 5차 846語, 6차 771語, 7차 832語로 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는 5차보다 14語 줄었고, 6차보다 51語가 늘었으나, 사용어휘는 7차가 5차보다 90語 줄었고, 6차보다는 500語가 줄었다. 이는 일본어 학습자의 학습량을 줄여 학생의 부담을 줄이려는 것으로 학습의욕을 고취시킴과 동시에 최소한의 어휘를 최대로 활용하기 위한 취지로 해석할 수 있다. 2) 각각의 교과서마다 기본어휘 반영도가 달랐는데 6차 교육과정 기본 어휘 771語 중 평균 492.33개로 63,86%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 어휘 수도 교육부에서 권장하는 600語를 훨씬 넘는 평균 666語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기본어휘 사용 율이 가장 높은 교과서 (552개 71,59%)와 가장 낮은 교과서 (435개로 56,42%)의 편차는 15.17%로 나타났다. 특히 교과서 E는 사용어휘의 57.92%만이 기본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3) 7차 기본어휘를 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 12종 교과서의 공통 도와 비교해 본 결과, 6종 이상의 빈도가 높은 어휘는 6차 교육과정 기본어휘의 비율(65,02%/69,52%)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육과정 기본 어휘 선정 기준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것을 기본어휘로 선정한다는 기준에 합당한 것이다. 4) 5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로 선정되어 6차에서 제외되었다가 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로 재 선정 된 어휘는 20語이고, 5차, 6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로 선정되었지만 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로 선정되지 못한 기본어휘는 43語였으며, 5차에 선정되지 못하고 6차에 선정되었다가 7차에서 다시 제외된 어휘는 9語였다. 그리고 5차, 6차에 선정되지 않았다가 7차에서 새로 선정된 어휘는 92語였으며, 7차에 새로 선정된 어휘 중에는 7차 교육목표와 관련된 인터넷 관련 어휘와 일상적인 생활 문화를 소재로 한 어휘가 많았다. 5) 5, 6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로 선정되었다가 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에서 제외된 어휘 43語중에서 11語는 재고할 필요가 있었다. 재고할 어휘로는「くろい、 とめる(止, 泊)、 あつめる、 かみさま、 かなしい、 とまる(止)、 まちがう、 よわい、 おこす、 いなか、 やわらかい」등이었으며 이들 중 「やわらかい」를 제외한 모든 어휘는 대조분석자료 판단기준에 합당하면서 교과서 내에서의 출연빈도가 높고 교육목표 중 '일상 생활과 문화면'에 필요한 어휘들이다. 또「やわらかい」는 판단기준에는 맞지 않으나 6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로 선정된「やわらかい」를 제외시키고「やわらかな」를 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로 새로 선정할 적당한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6) 7차 교육과정에 새로 도입된 92語 중에서 새로 도입하는데 적당한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어휘가 19語였다.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어휘로는 「いと、 ぬう、 ぬる、 ジャズ、 ポケベル、 いた、 かゆい、 たね、 つく(点)、 つく(就)、 てん(点)、 はかる、 はく(掃)、 はし(端), はたけ、 ひ(燈)、 め(芽)、 やわらかな、 ラップ」등이다. 7) 6차 교육과정 기본어휘에는 선정되지 않았지만 6종 이상의 교과서에 출연한 기본어휘 62語 중에서 7차 교육과정에 선정된 어휘는 14語였으며, 나머지 48語 중에서 19語는 재고해 볼 여지가 있었다. 재고해 볼 어휘로는「はじめまして、 もしもし、 いちばん、 えいご、 ひさしぶり、∼まい、 まがる、 りんご、 テニス、たのしむ、 やきゅう、 プレゼント、 ∼ウォン、∼にん、 では、 ひとり、 おかげ、 かんこく、 にほん」등으로 이들은 대부분 인사어 및 출연 빈도수가 많거나 7차 교육과정에서 새로 도입된 문화면에 필요한 어휘들이다. 8) 위에서 분석한 어휘 이외의 7차 기본어휘를 대조 분석 자료를 통해 살펴본 결과, 대부분이 교육 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에 부합되는 어휘였으며 이들 중「そこ(底)」와 「けいざい、 くわしい、 こうじょう、 たずねる、 きる、 まるい、 ようす、∼みたいだ」등의 어휘는 기본어휘로 부 적절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중급 또는 「일본어Ⅱ」에서 다룰 수 있도록 교과서 편찬 시 유념해야 하겠으며, 8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를 선정할 때에는 다시 한번 재고해 볼 필요가 있겠다. 위 결론으로부터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기본어휘를 선정할 때에는 세심한 관찰과 현장 경험을 통해 학습자의 인지발달 단계에 맞게 계획되어진 어휘를 중심으로 합리적이며 체계적으로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8차 교육과정 기본어휘를 선정할 때에는 앞에서 지적한 사항(근거 없이 제외시키거나 새로 도입하는 어휘)들을 유념하여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실정에 맞는 빈도가 높고 분포가 넓은 어휘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2) 교과서 편자는 지나치게 주관에 치우친 어휘선정을 하지 말고 되도록 교육과정의 기본어휘를 반영시키고 너무 많은 어휘로 하여 학습자의 부담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3) 교사는 학습자가 교과서에 의해 통제되어지므로 너무 교과서에만 집착하지 말고 빈도가 높고 분포가 넓은 어휘를 잘 파악하여 학습한 어휘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교육부에서는 기본어휘 반영 율의 최소 범위를 정해서 교과서 편자로 하여금 기본어휘를 반영할 수 있게 하며 교과서 합부 판정 기준에 넣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Vocabulary has continually emerged and changed as a very important part of human's language activity. Because each vocabulary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in use, it would be impossible to learn all vocabularies in the acquisition of foreign language. As learners have the limitation of learning capacity, it should be taught centering on the objectively and reasonably selected vocabulary in order to increase an educational effect. In order to do effective vocabulary education, it should be preceded that how vocabulary to certain degree should be taught, and the precedence order, that is which meaning among the vocabularies with plural meaning teach first should be set at the situational and logical aspects. Because education is done in the limited time, it should teach as many expressions as possible using a few basic vocabulary rather than teach unnecessary many vocabularies at a time. It should be effective to teach centering on the vocabulary used a lot in everylife that has high frequency and wide range in use. Among the problems raised in the vocabulary education field, this study would analyze the basic vocabulary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centering on the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 used now. It would also analyze the basic vocabulary in the 5th, 6th, and 7th curriculum. It would select basic vocabulary in the 8th curriculum, and suggest the way of improvement of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 The range and way of study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basic vocabulary in accordance with the 5th, 6th, and 7th curriculum, and examine the common vocabulary by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 and the reflected rate of the basic vocabulary in each textbook. Also it would analyze the change of the basic vocabulary in the 7th curriculum and basic vocabulary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centering on the 5th, 6th, and 7th common basic vocabulary. As a contrastive analysis data, the datum of 7 kinds were use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lot the change of vocabular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The number of basic vocabulary was 846 in the 5th, 771 in the 6th, and 832 in the 7th. The number of basic vocabulary in the 7th curriculum was decreased by 14 than those of in the 5th, and by 51 than those of in the 6th. However, the vocabulary in use was decreased by 90 in the 7th than those of in the 5th, and 500 than those of in the 6th. With the purpose of decreasing the learning quantity and the pressure of students,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learning motivation was increased. At the same time, it could use as many expressions as possible with a few vocabulary. 2) The reflective degree of basic vocabulary was different every each textbook. The basic 771 vocabularies in the 6th curriculum were average 492.33 and it was 63.86%. The number of vocabulary in use was average 666 recommend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deviation between the highest textbook(552 words, 71.59%) and the lowest textbook(435 words, 56.42%) was 15.17%. Especially in the textbook E, only 57.92% of vocabulary in use was a basic vocabulary. 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asic vocabulary in the 7th curriculum with the common vocabulary of the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 of 12 kinds in the 6th curriculum, the vocabulary of high frequency in use in more than 6 kinds was similar to the rate of basic vocabulary(65.02%/69.52%). 4) The reselected vocabularies as the basic vocabulary in the 7th curriculum were 20. It had been selected in the 5th and ruled out in the 6th. The basic vocabularies not selected in the 7th were 43, and re-excluded vocabularies in the 7th, which had not been selected in the 5th and selected 6th, were 9. Newly selected vocabularies in the 7th. which were not selected in the 5th and the 6th, were 92. Among them, vocabularies related to the internet connected with educational goal of the 7th curriculum and vocabularies related to the daily living culture were taken lots of parts. 5) 11 words among 43 words not selected as a basic vocabulary in the 7th curriculum, which had been selected as a basic vocabulary in the 5th and the 6th curriculum, should be reconsidered. Those vocabularies were 「くろい、 とめる(止, 泊)、 あつめる、 かみさま、 かなしい、 とまる(止)、 まちがう、 よわい、 おこす、 いなか、 やわらかい」. Among them, all vocabularies except 「やわらかい」 were reasonable to the criterion as a contrastive analysis data, and appeared high frequency in the textbook and were necessary ones in the aspects of daily living and culture in the educational goal.. Though 「やわらかい」 was not proper to the criterion, there was not a proper reason to exclude 「やわらかい」 selected as a basic vocabulary in the 6th curriculum and to select 「やわらかな」 as a basic vocabulary in the 7th curriculum. 6) Among 92 vocabularies newly introduced in the 7th curriculum, there were 19 ones which did not find a proper basis. Those were as follows 「いと、 ぬう、 ぬる、 ジャズ、 ポケベル、 いた、 かゆい、 たね、 つく(点)、 つく(就)、 てん(点)、 はかる、 はく(掃)、 はし(端), はたけ、 ひ(?)、 め(芽)、 やわらかな、 ラップ」. 7) Among basic vocabulary 62 appeared in more than 6 kinds textbook, which had not been selected in the basis vocabulary in the 6th curriculum, the selected ones in the 7th curriculum were 14. 19 words among the rest 48 ones were room for reconsideration. Those were 「いと、 ぬう、 ぬる、 ジャズ、 ポケベル、 いた、 かゆい、 たね、 つく(点)、 つく(就)、 てん(点)、 はかる、 はく(掃)、 はし(端), はたけ、 ひ(燈)、 め(芽)、 やわらかな、 ラップ」. Most of them were high frequency or necessary ones in the aspect of newly introduced culture 8) As a result of examining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data of basic vocabulary in the 7th curriculum except the above vocabularies, most of them were proper vocabulary applicable to the educational goal suggested in the curriculum. Though 「そこ(底)」 and 「けいざい、 くわしい、 こうじょう、 たずねる、 きる、 まるい、 ようす、∼みたいだ」 could not be improper as a basic vocabulary, it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the preparation of textbook in order to deal with them in intermediate level or 「Japan Ⅱ」.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nsider in selecting basic vocabulary in the 8th curriculum.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s. 1) In selecting basic vocabulary, it should be selected systematically and reasonably centering on the planned vocabulary in accordance with the step of cognitive development of learners through careful observation and field experience. Considering the above facts(vocabularies which were ruled out without any proper basis or were newly introduced), especially in selecting basic vocabulary in the 8th curriculum, the vocabulary of high frequency and wide range which was suitable to real-life situations of high school Japanese education should be selected. 2) It should be desirable that the editor of textbook should select vocabularies without subjectivity, should reflect the basic vocabulary in the curriculum, and should not give pressure to learners because of too many vocabularies. 3) As learners would be controlled by the textbook, teachers should not focus on the textbook too much, and make the utmost use of learned vocabulary with careful understanding the vocabulary of high frequency and wide range. 4)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fix the minimum range of reflective rate of basic vocabulary and should make the editor of the textbook follow those rate the criterion of textbook. The results of the criterion of the textbook should consider the above facts.

      • 고등학교 일본어I 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 : 2007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삽화를 중심으로

        이원빈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It is difficult to learn languages without considering cultural background because languages and culture are intimately relate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means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with people of other cultur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the increasing multicultural communities along with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 globalization, paradigm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has changed from simple language acquisition to understanding cultural basis of the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urrent Japanese textbooks in Korean high schools and find out whether those books are proper for 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language acquisition. The textbook, literary work made for the purpose of teaching a specific subject, helps deliver unified curriculum to many learners efficiently with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Until now, Japanese textbooks in Korean high school have undergone many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educational curriculum. Unlike the 7th curriculum, 2007 revision curriculum emphasizes the linguistic behavior culture in particular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ell without understanding culture which contains customs, rituals, and values of the people who use the language. In addition, it aims not only to understand Japanese culture, but also exactly know what Korean culture is, and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cultures. Thus, under these learning goals, cultural education is not to teach traditional or popular culture but to understand a behavior of language culture. Therefore,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and accurate linguistic knowledge is essential for smooth communication. In particular, pictures and illustration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text is very important as an auxiliary devic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drawing interests. The first thing students see in textbooks is illustrations or pictures. These graphic imag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for students to perceive contexts of a textbook. Especially in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terest about language plays a vital role to promote motivation of learners, visual materials in textbooks are particularly important.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7th curriculum has been used various colors rather than black and white images, a variety of visual aids are inclu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how visual aids in textbooks are suitable to educate cultural aspects in current language education course. In the first chapter, it discuss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paper and presents analytic criteria of research. In the second chapter, correlation between languages and culture, definition of textbooks and graphic information and process of Japanese education ar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I investigate cultural contents concentrating upon visual aids in Japanese textbooks with dividing the discussion into two parts as graphics and culture. The last chapter represents conclusion of this paper and discussion of further research needed in the future. Teachers play key role in cultural education so they have to acquire intimate knowledge about diverse culture and present a variety of views on the culture.

      •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의 문화영역 비교분석 : 제 7차, 2007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선희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本研究の目的は2004年から日本文化の全面で学習者は様々な文化を接することができた。 しかし、文化をどうやって受け取るによって、日本文化について先入観をもって異文化に逆効果を持つことができる。 それで、正しい文化教育の重要性が高まっている。 教育課程で文化の重要性を強調した第7次教育課程を基づいた高等学校日本語Ⅰ教科書は2002年から使用してきた。なので、時代の変化に合わない文化の構成や内容で2011年まで高等学校で教えた。時代に合わない部分とか学習者の期待に従うため2007改正教育課程を基づいた高等学校日本語Ⅰ教科書が発行された。本研究は第7次教育課程の日本語教科書Ⅰと2007改正教育課程の日本語教科書Ⅰに乗せている日本文化の内容にはどんな素材に編集しているのかを分析しそして、教育課程に充実したかを比べた。 本研究では、第7次教育課程の高等学校日本語Ⅰ教科書12種と2007改正教育課程の高等学校日本語Ⅰ教科書6種に乗せている日本文化でどんな内容の割合が高い、教育課程の一致度について比べている。 本研究の構成は、2章では教育課程の概念、日本語教育課程の変遷と文化領域の内容、外国語教育にとって文化教育の必要性について調べた。3章では教育課程別、高等学校日本語Ⅰ教科書の文化領域の分析を中心に研究をした。 結論的に、2007改正教育課程の高等学校日本語Ⅰ教科書で文化教育ではどんな内容を強調しているにか分かり、教育課程に提示している内容と比べて、教科書の中に足りない文化については学習者に紹介してもっと、日本の文化に興味を持つように参考になるのを期待する。

      • 단편소설을 활용한 일본문학교육의 수업지도방안 연구 : 官沢賢治의 『注文の多い料理店』을 중심으로

        신민정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문학교육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문학작품을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길러,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하고, 미적 인지력과 인간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국문학뿐 만 아니라 외국어 문학 교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문학은 대상, 장소, 환경을 넘어서 누구에게나 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에 이러한 흥미와 재미는 학습자의 동기유발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뿐만 아니라, 언어로 그 나라의 문화, 사상, 정서가 가장 복합적으로 잘 나타나 있는 것이 문학이라 할 수 있기에 일본문학작품을 통한 교육은 일본문화의 이해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종래의 학교 교육에서 실시해온 문학교육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문학적 체험은 배재한 채, 교사와 비평가들에 의해 해석된 가치와 사상만을 단편적인 지식의 형태로 주입시켜 왔을 뿐이고, 특히나 외국어 문학 교육에 있어서는 단순히 문장을 번역하거나, 어휘나 문법을 학습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宮沢賢治의 단편소설 『注文の多い料理店』을 통하여 언어의 4기능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구체적인 일본문학교육의 수업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注文の多い料理店』은 내용결말의 의외성과 상상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작품 내부에 흐르는 색채감, 의성어, 의태어 표현으로 교과서에서는 쉽사리 배울 수 없었던 다양한 일본어 표현법을 접할 수 있어 학습교재로써 유익하다. 본 논문은 총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방법, 선행연구에 대해 알아보았고, 제2장에서는 문학교육의 이론적 정의와 외국문학 작품의 지도, 문학작품 선정 기준, 문학교육과 읽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3장은 단편소설을 활용한 실제 수업지도 방안으로 宮沢賢治의『注文の多い料理店』을 활용하여 일본문학교육의 구체적인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수업모형은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문장번역식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그룹별 활동을 첨가하였다. 또한, 언어의 4기능을 통합적으로 교육시키도록 역할극, 인터뷰, 영화예고편 작성하기 활동과 같이 주어진 과업을 달성하는 형태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고, 이와 더불어 일본 문화의 이해에도 도움이 되도록 일본 문화적 요소도 언급하였다. 그러나, 이 수업 모형은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해 보지 않았고, 학습자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천적 모형 제시 후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한 자료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 수업모형을 적용시켜보고, 모형 제시후의 효과와 문제점은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삼고 싶다. 文学教育の究極的な目的は、文学作品を正しく理解し、鑑賞する能力を育み、多様な文化的経験を通じて美的認知力並びに人間に関する洞察力を伸ばすことにより、正しい人間性を形成することにある。これは国文学のみならず、外国語文学の教育についても同じことがいえる。 文学は対象、場所、環境を越えて、だれもが容易に接す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利点を持っているので、このような興味と関心は学習者を動機付け、積極的な参加へと誘導する。加えて、その国の文化、思想、情緒を言語によって複合的に表現したのが文学である言えるだけに、日本文学に通じた教育は日本文化の理解にも役立つものと思われる。 従来の学校教育で行われてきた文学教育は学習者の能動的な参加と文化的経験を考慮せず、教師や文学者によって解釋された価値と理想のみを断片的な知識の形で注入してきだけと言っても過言ではなく、特に外国語文学教育に関しては、単純に文章を翻訳し、語彙と文法を学習するに留まっていた。 本論文の目的は、宮沢賢治の短篇小說である『注文の多い料理店』を活用し、言語の四機能を統合的に教育することに主眼点を置き、日本文学教育の具体的な授業指導方案を提示することにある。 『注文の多い料理店』は内容結末の意外性と作家の想像力が目を引く作品である。作品全体に流れる色彩感、擬声語、擬態語の表現が豊富であるため、従来の教科書では容易に学習できなかった多様な日本語表現を体験することができることから、学習教材として有益である。 本論文は四つの章から構成せれている。第1章は研究の必要性と目的、研究方法について槪觀し、先行硏究を要約した。第2章は文学教育の理論的定義と外国文学作品の指導、文学作品の選定基準、文学教育と講讀について調べてみた。 第3章は宮沢賢治の短篇小說である『注文の多い料理店』を教材として、日本文学教育の具体的な授業指導案を提示した。 授業のモデルは「本文講読前の活動」、「講読中の活動」、「講読後の活動」に分けて提示し、従来の文章翻訳式の授業を超えて学習者の能動的参加を引き出すことができるよう、グループ活動を加えた。また、言語の四機能を統合的に学習できるように、ロールプレイング、インタビュー、映画予告編作成などのタスクを達成する形の授業案を提示した。同時に、日本文学の理解にも役立つように、日本の文化的要素についても言及した。 しかし、このモデルは実際の教育現場での実践がないことから、学習效果と問題点に関する資料を提示することはできなかった。 実際の教育現場において、このモデルを適用し、同教案による效果と問題点は今後の研究課題としたい。

      • 한국의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일본문화교육에 관한 고찰 :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중심으로

        윤미소 부산외국어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韓国の教育で大学修学能力試験が占める比重は大きい。小・中・高等学校での教育は大学に入るための一つの過程と言っても過言ではない。本研究は大学修学能力試験に日本語が投入されてからの教育課程の分析及び日本語教育過程の変遷を分析した調査である。その日本語教育課程に基づいた大学修学能力試験での文化領域を中心に問題分析を行いたいと思う。この研究を通じてこれから文化領域の授業をするのに教科書だけではない教科書外的な部分で文化教育に対してどうすべきかを予想できるであろう。今まで大学修学能力試験に対する研究が過去にもあったが、大学修学能力試験の全体的な問題分析はあった一方、文化領域のみを扱った研究はなかったので本研究が文化教育において参考になることがこの論文の目的である。 まず、大学修学能力試験で日本語が初めて導入された2001年から最近行われた2011年までの文化領域で出題された問題たちを出題類型で分けて各類型の特徴と出現頻度数を分析してその傾向を調べ、各問題で扱っている文化項目の内容及び出題頻度を調べる。それから正解率が高かった類型と低かった類型、正解率が高かった文化項目と正解率が低い文化項目に対する分析を、正解率が低かった質問項目の類型と項目そして正解率が高かった類型と素材に対して分析をおこなう。 本研究を通して幾つかの問題点を見つけた。 第一、年を重ねれば出題類型が多様化されず最近の3年間の出題問題を見ると、一つの類型から何度も出題されて一方的な文化知識のみを要す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点である。 第二, それぞれの領域で毎年多様な領域の問題が出題されているが提示された絵や内容を理解できないとしても解ける問題や文化的背景知識がなくても解ける問題がちょっと見られた。 このような問題を補うために次のような方法を提案する。 第一、今まで頻繁に出題された類型ではない他の類型を問題を出題すればこのような問題点が最小化できるであろう。 第二、文化に対する背景知識がなくても解ける問題ではなく、これも多様な類型の問題を出題すれば上のような問題点を減少させることができと思う。 2007改訂教育課程によれば文化教育の強調と多様な文化関連項目を紹介をしている。これは数学能力試験でも出題される文化領域の問題も多様になると見なしても良い。2007改訂教育課程の特徴の一つである「言語行動」と「非言語行動」での出題もこれから予想される。これを備えるためには教科書だけでは学生たちの理解を求めるには難しいかもしれない。映像を用いるのが一つの方法である。韓国とは違う日本人の特性を学生たち紹介するために映像を用いた授業にすれば分かりやすいと思う。 本研究が教育現場で日本語修学能力試験を備えるだけでなく全般的な文化教育においての傾向が分かり、参考になるのを期待す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