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어 회화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김명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상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할 효과적인 일본어 교수-학습 방법에 대하여 모색해 보았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일본어 수업은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 할 수 있다는 상당한 긍정적인 면이 있으며 추상적인 언어를 장면을 통해 언어의 종합적인 정보를 습득하게 하여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해준다. 외국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학습자는 다양한 목표를 가지고 시작한다. 인터넷,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문화개방으로 일본어를 배우려는 학습자의 요구는 여행, 취미,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정확성과 유창성을 요구하는 시대를 맞이하여 과거의 독해중심의 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과 함께 시청각 교재는 외국어 학습동기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많은 영상물 중 애니메이션은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고, 시각. 청각, 사고 등을 쉽게 동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영상물보다도 학습자에게 보다 빠르고 자연스럽게 학습에 동화되게 하여 강력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외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실제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일본적인 가치관, 행동양식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일본문화의 특색에 대한 감각을 자연스럽게 학습해갈 수 있다.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통한 일본어 수업에 임하는 교사에게 영상교재가 학습자의 학습의욕을 고취시킨다는 확신과 철저한 사전지식이 없다면, 좋은 생교재를 자칫 지루하고 시시한 것으로 학습자에게 인식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교사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방식에 맞는 교재를 철저히 준비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 또한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적극적인 수업참가를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본 논문으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일본어 회화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은 일본어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고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일본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 7차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과정에서는 단순한 언어습득보다는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상대의 행동양식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일본문화에 대한 이해를 강조해야 한다고 하였다. 여러 애니메이션 중 한 작품만을 가지고 수업방법을 제시했으므로 여러 학습자들에게 적용 될 것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어렵지만 일본어 학습자들에게 동기부여에서는 좋은 교재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일본어 회화 수업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러한 시청각 교재가 실제 수업에 활용되어서 교육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데 기여하길 바란다.

      •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고찰

        정은애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本研究は教育現場の教師として今までの形式的な高校日本語教育から脱し、学習者のニーズに応じるための效率的な韓国高校日本語教育を目標にし、今日韓国高校日本語教育の問題点と改善点についての考察である。 本研究方法としては、まず韓国日本語教育の変遷過程を通じて韓国での日本語教育の位相を確認し、韓国高校日本語教育環境及び大学入試現況、そして日本語教育関連研究現況を分析し教育供給と言う側面での日本語教育の現住所を調べた。最後に学習者中心の教育という第7次教育課程理念に即して学習者の実態調査をし、今日韓国高校日本語教育の現況と問題点を分析した。そして、このような分析結果、以下の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 1)日本文化開放以前までの韓国高校日本語教育は日本との政治的・歴史的な関係によって教育の需要と供給が決まれたのに対し,日本文化開放以後は学習者の内部に引き起こす動機づけによって日本語教育需要が決まることがわかった。そして、このような日本文化開放による高校日本語学習者増加はこれからさらに加速化すると予想され,韓国高校第2外国語として日本語科目は安定的であるといえる。 2)日本語教育現場環境においては、日本語科目は他の6つの第2外国語科目に比べて、学校数․クラス数․学生数のような量的な側面で優位な位置をしめていて、韓国高校第2外国語科目として確固な位相を持っているが、一方では授業時數の不足、大学入試科目としての競争力欠如、教材未備等のような劣悪な環境に置 か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そして、このような劣悪な環境は韓国高校日本語教育がまともに效力を発揮することができないようにする主な因になる。 3)韓国日本語教育専門家養成代表機關である教育大学院の論文と日本語教育の指針を提示する日本語教育研究会の論文を通じて韓国高校日本語教育の問題点を分析したところ、まだ韓国は「日本語」と「日本語教育」の学問相互間に連関性が落ち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従って理論と実際を兼備した效果的な日本語教育研究が必要である。 4)学習者中心の教育を標榜する第7次教育課程であるだけに高校学習者の実態調査を最後に今日韓国高校日本語教育の問題点分析を仕上げた。その結果、現韓国高校日本語教育の根本的な問題点は学習者ニーズに応じることができないことにあるというのが分かった。今日韓国高校日本語学習者は聞き取りやスピーキング活動を中心にした文化授業を通じて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を培うことができる日本語教育を望んでいるが、いまだに現韓国高校日本語教育は敎授者中心の知識伝達式の文化教育と書き取り․読み取りの教育メカニズム(mechanism)が大きく作用していて、学習者中心教育と言う第7次教育課程の教育目標にふさわしくない。また、韓国高校日本語学習者は「日本文化」に強い好感と興味を持ちながらも「日本」に対する敵愾心及び蔑視する二重的な態度を取っていて、これにあたる正しい対日価値観教育が必要なことが分かった。 終りに上の分析をまとめて今日韓国高校日本語教育の問題点の解決策を次のように提示して見た。 第1. 高校日本語教育の需要支持のための中学校日本語教育と高校日本語教育の連携、授業時数拡充のような教育體制が構築されなければなない。 第2. 效果的な日本語教育のための実践的で方法的な教育研究が成り立たなければならない。 第3. 今日韓国日本語学習字の主なニーズ(Needs)である文化教育のための映像媒体開発が必要であり、聞き取りとスピーキング領域の能力培養のための媒体開発及び実践的な評価開発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 第4. 青少年期である韓国高等学校日本語学習者の客観的で主体的な対日意識形成のために教科書で日本に対する理解の章を用意しなければならない。 第5. 教材, 学習目標, 学習内容がいくら変化しても教師が変化しないまま旧時代の教育方法を固守すると、すべての努力が無用の物になるのは当然である。したがって新しい教育課程にふさわしい教師研修及び再教育機会を拡大しなければならない。 残念ながら公教育である学校教育が搖れているという話しをよく接するようになった。実際たいていの教科が私教育の脅威を受けているし, 日本語教育も安全だとは言えない。 国際化時代の到来と情報通信の発達, それに日本文化開放を迎えて時․空間的にはもちろん物質的にも日本はいっそう近くなり,これによって日本語教育市場もいっそう活気を帯びている。このような流れの中で日本語教育の第一歩になる高校日本語教育は日本語学習者の学習期待が最高潮に至る時期である。従って、このような期待にふさわしい適切な教育を提供しなければ高校日本語教育も結局、,私教育に主導権を奪われてしまい、ひどい場合は高校日本語学校教育不在という現象を迎えるかもしれない。 今まで教育現場の教師として能力涵養の韓国高校日本語教育,つまり韓国高校日本語教育正常化を目標で今日韓国高校日本語教育が持っている問題点を理論的に提示しようとした。また、このような本稿の理論的な指摘に対する各論はこれから期待されるのである。

      • 日本語敎育における言語變種の受容·普及に關する社會言語學的硏究 : 「-レル」型可能表現を事例として = A sociolinguistic study of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linguistic variation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 the case of the‘ra-nuki’potential form(i

        신소정 お茶の水女子大學 2004 해외박사

        RANK : 248831

        「-reru」형 가능표현을 사례로- 신 소정 【연구배경】 일본어 학습자가 일본인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는, 일본어에서 흔히 쓰이고 있는 지역적·사회적·상황적인 언어변종도 습득할 필요가 있다. 필자가 한국에서 받은 일본어교육을 돌이켜볼 때, 가장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이러한 일본어의 지역적·사회적·상황적 언어변종을 습득 할 수 있도록 배려한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일본어에는 사회적인 언어변종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현상의 특징으로서 표현을 簡略化·明晳化하려는 경향을 들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일단활용동사(一段活用動詞) ·카행변격활용동사(カ行變格活用動詞)의 가능표현인「-reru」형이다. 이를 두고「일본어의 혼란」이라고 비판하는 견해도 있지만, 일본인의 「자국어에 관한 여론조사」결과를 보면, 일본인의 의식은 「-reru」형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어 연구자 중에는「-reru」형의 발생과 보급을 문법적인 明晳化로 평가해 옹호하고 있는 사람도 다수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사이에 보급되어 있는 언어변종의 예로서 「-reru」형을 채택해, 일본인과 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아래의 연구과제에 관한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 변종의 수용 및 보급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1) 일본인과 일본어학습자(제2언어환경·외국어환경)를 대상으로, 동사 별로「-reru」형의 사용율을 조사해 비교한다. 동사활용의 종류, 동사어간의 음절수, 동사어간의 최종 음절에서 자음의 조음방법, 가능표현의 긍정형 및 부정형, 단순동사와 복합동사, 이 5가지의 언어 내적요인이 사용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요인분석을 통해서 「-reru」형이 사용되기 쉬운 어휘적 환경을 조사한다. (2) 일본어학습자(제2언어환경·외국어환경)를 대상으로 일상적 상황에서의「-reru」형의 사용율을 조사해 비교한다.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학습기간(3년 이상/3년-5년/5년 이상), 일본체재기간(체재경력없음/1년미만/1년-3년/3년이상), 모국어(중국어/한국어), 학습 환경(제2언어환경/외국어 환경), 이4가지의 언어외적요인이 사용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요인분석을 통해서 「-reru」형을 습득하기 쉬운 언어환경을 조사한다. (3) 일본인과 일본어학습자(제2언어환경·외국어환경)를 대상으로, 「-reru」형에 대한 평가·수용 태도를 조사해 비교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reru」형의 사용율과 평가·수용 태도의 관계를 조사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일본어의 지역적·사회적·상황적 변종을 습득 할 수 있도록 배려한 일본어교육을 제언한다. 【조사결과 및 고찰】 (1) 「-reru」형의 사용율에는 동사의 활용종류, 동사어간 마지막 자음의 조음방법, 동사어간의 음절수, 긍정형 및 부정형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동사별「-reru」형의 사용율에는 발음의 편리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어간의 음절수가 짧은 상일단활용동사(上一段活用動詞)가 긍정형(예:「mireru」)으로서 사용될 때에 「–reru 」형의 사용율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2) 「-reru」형의 사용율은, 일본어모어화자〉제2언어환경의 일본어학습자〉외국어환경의 일본어학습자의 순이었다.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체재기간은 「-reru」형의 사용율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일본어학습기간 및 학습환경, 모국어가 「-reru」형의 사용율과 깊은 관계에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학습기간이었다. 일본어학습자의 학습기간이 길수록, 「-reru」형을 많이 사용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3) 「-reru」형의 사용율이 높은 「okiru」와, 사용율이 낮은 「sodateru」에 대한 평가를 비교해 본 결과, 같은 「-reru」형이라도 「sodatereru」보다는 「okireru」에 대한 평가가 높았다. (4) 외국어환경의 일본어학습자의 경우는, 제2언어환경의 일본어학습자에 비해 「-reru」형을 수업에서 다루어 주기를 강력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외국어환경의 학습자 중에서도, 제2언어 환경을 경험한 외국어 환경그룹의 요구가 가장 높았다. (5) 일본인의 조사결과에서는, 표현에 대한 평가 및 태도와 「-reru」형의 사용율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지만, 일본어 학습자의 결과에서는 명확한 관계를 입증할 수 없었다. 【일본어교육에의 제언】「-reru」형의 수용태도조사의 결과, 일본어학습자의 「-reru」형 습득 요구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1)일본어교사는 이러한 언어변종을 어떻게 평가하고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취급하고 있는가, (2)일본어교육용 교과서에서는 언어변종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일본어학습자의 언어변종습득에 대한 요구에, 일본어 교사의 의식이 크게 못 미치는 것과 대부분의 일본어교과서가 이러한 언어변종에 대해서 다루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즉, 일본어학습자의 언어변종 습득 요구에 대해 일본어교육은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의 다양한 상황에 대응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능력을 습득하고 싶다는 학습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일본인사이에 침투하고 있는 언어변종을 일본어 교육 학습항목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 第7次 日本語敎科 敎育課程 分析에 따른 敎授·學習의 實際 : 意思疏通中心 및 인터넷 活用을 通한 文化理解 敎授·學習活動을 中心으로

        김칠선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2003년 재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일본어교과의 시행을 앞두고 있는 현재의 시점애서 재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일본어 교육이 어디에 목표를 두고 어떻게 가르쳐질 것인가를 점검해 보는 것은 중요하고도 시급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개정된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일본어과를 분석하여 일본어교과의 목표, 가르치고자 하는 내용과 이를 다루는 방법, 이를 평가하는 제반 교육 활동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함이다. 둘째, 제7차 등학교 교육과정 일본어과에서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역할놀이 및 게임을 활용한 교수 학습 활동과 인터넷을 활용한 문화이해의 교수 ·학습 활동을 구안하여 적용해보는 것이다. 교육의 모든 것을 제시하는 교육과정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고, 제7차 고둥학교 교육과정 일본어과에 대비하는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일본어과의 분석을 통해 2003년 시행 제7차 고둥학교 교육과정 일본어 교육이 어디에 목표를 두고 어떻게 가르쳐 질 것인가를 점검해 보았다. 제7차 고둥학교 일본어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다 먼저,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일본어과 체제는 성격, 목표, 내용, 교수 학습방법, 평가, 별표 Ⅰ (의사소통기능예시문), 별표Ⅱ(기본어휘표), 별표Ⅲ(표기용한자)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어과 성격은 일본문화의 상호이해를 통한 언어의 4기능의 의사소통능력의 습득과 인터넷에 의한 일본어 정보능력 활용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일본어과 목표는 현행 제6차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하여 일본문화의 이해와 상황에 맞는 언어사용능력의 신장을 더욱 강조하면서 총괄적인 목표 하에 듣기, 말하기, 낭독, 읽기, 쓰기 순서로 태도까지 함께 기를 것을 목표로 하며. 또한 인터넷에 의한 일본어 정보검색 활용을 신설하여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일본어과 내용은 의사소통활동과 그에 필요한 내용으로 나누고 문법항목과 문화항목을 독립하여 제시하였다. 정확성보다 유창성을 강조하여 문법의 축, 어휘수의 축소, 대상에 따라 상황에 맞는 다양한 문체의 취급 등으로 명실공히 의사소통기능 중심의 교육과정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일본어과 방법을 학생중심 교수 ·학습을 원칙으로 하여 수업의 전과정을 의사소통기능의 습득으로 구성 의사소통기능별로 4기능이 상호 연계성을 가지도록 수업을 구성하도륵 되어있다. 또한 일본인의 행동양식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한다는 문화이해가 강조되어 있다. 일본어과 평가에서는 언어의 4기능 의사소통능력 위주로 평가하되 태도까지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 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앞서 교육현장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은 첫째, 일본어 교과의 입지조건 및 재도상의 문제, 둘째, 인터넷에 의한 일본어 정보검색 활용의 일본문화 교육에 대한 앙면성의 문재, 셋째, 교수·학습을 위한 자료·교원·시설의 부족. 넷째 교사의 자기민족중심주의나 일본문화중심으로 치우치는 편협된 가치관을 주입할 우려가 있다는 점, 다섯째, 평가에서 교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7차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면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즉, 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교육의 방향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의사소통능력 습득 중심의 교수 ·학습, 둘째 , 인터넷에 의한 일본어 정보검색의 활용. 셋째,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문화이해 교육의 강화이다. 따라서 2003년 시행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일본어교과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일본어교과가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습득중심 교수 학습 활동과 인터넷 할용을 통한 문화이해에 대해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수 ·학습 활동을 구안하여 적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능력 습득 중심 교수·학습활동의 실제이다. 의사소통능력 습득 중심 교수·학습 활동이 되기 위해 「買ぃ物」 에 대해 파워포인트로 프레젠테이션하며 익히고 그 내용을 기본으로 해서 상점에 대한 모의상황을 만들어 놓고 역할놀이 및 게임 등의 방법을 도입하여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개별활동, 모둠활동 등으로 의사소통기능 습득 위주로 진행하였다. 실험대상 출발점 행동 (진단평가)의 점수 차가 실험반이나 비교반별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후의 실험반 정답율은 82%, 비교반 정답률을 24%로 전통적수업방식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중심 수업의 의사소통능력 습득 정도는 월등히 효율적이었다. 이것은 교사의 일방적인 문법,문형의 주입으로 「언어에 관해서」가 아닌 학습자가 중심이면서 언어사용 상황에 맞는 의사소퉁기능의 습득 중심으로 「언어 그 자체」를 위한 교수 ·학습한 결과 동기유발과 흥미가 생긴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인터넷에 의한 일본어 정보검색을 통한 문화이해 교수 학습의 실제이다. 일본문화라는 광범위한 주제 중에 마침 9월의 우리 추석을 앞둔 시점이라 일본의 「お益」 과 비교해 보면 의미가 있을 것 같아서 시도해 보았다. 출발점 행동에서 「お益」 에 대한 사전지식과 교사의 설명식 수업이후의 학생들의 「お益」 에 대한 이해도는 현저히 낮았다. 인터넷을 통한 일본문화 이해하기라는 과제를 제시하여 인터넷 검색을 통한 자료를 제출하고 학급원들 교사 토론을 하게 한 후 교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토론을 통한 발표와 교사와 학생 간의 일대일 인터뷰에 대단히 적극적이었는데 인터넷을 활용한 일본문화이해라는 주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생들이 찾아들어 갔던 인터넷 사이트를 서로 알려 주어 함께 연구하는 학급구성원 간에도 정보가 교류되는 바람직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것은 새로운 수업에 대한 흥미와 일본문화라는 새로운 주제에의 접근에 동기유발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의사소통능력 습득중심 교수 ·학습과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문화이해의 교수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끊임없는 노력이 요구되는데 이에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로서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신장 지도를 위한 교사 자신의 의사소통능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둘째, 흥미 있고 효율적인 수 ·학습을 위해 친사의 멀티미디어 시설의 사용능력을 갖추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셋째, 일본 문화와 더불어 한국 문화에 관한 다양한 지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자기민족 중심적이지 않으며 타문화에 맹신적으로 도취되는 편협된 사고를 하지 않는 다양한 문화를 인정함과 동시에 자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능력 또한 길러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넷째, 학생 개인별 수준과 학습 능력에 맞도록 교수 학습자료도 교사가 직접 재작하거나 재구성하여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제2외국어 교육은 보다 효율적인 언어교육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고 우리 일본어과 교사들도 적극적으로 새로운 교수 학습을 통한 일본어교육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부단한 연구와 관심을 가져야 될 것이다. As the year 2003 whe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form will take effect is drawing near, it is important and urgent to inspect the aims of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this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oroughly the 7th curriculum for Japanese language and to suggest a class-instruction modeL This purpose is broken down into two main parts more specifically. (1)to analyz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form and find new directions in order to implement the new curriculum successfully. (2)to examine a validity and find out accompanying problems of this curriculum with a result of experiment on a application of new teaching method and understanding Japanese culture using the internet. At first,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a framework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Japanese language are as follows. The framework consists of ‘Characteristic‘, ‘General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 ‘ Evaluation’, ‘Appendix I - Examples of Communicative Functions’, ‘Appendix Ⅱ - Basic Vocabularies’, ‘Appendix Ⅲ Chinese Characters’. In ‘Characteristics’, Japanese language education emphasizes on acquiring communicative competence, understanding of Japanese culture and improving ability to apply information by using the internet. As the ‘General Objectives’stresses more the improvement of abjilty to use appropriate language in specific cultural situation, it focuses on building an attitude in the order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it also includes enhancement in information efficiency by using the internet in Japanese. In the ‘Contents’,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language materials are divided into. And grammatical items are separated from cultural things. To emphasize fluency more than accurac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intended to be communicative by reducing grammatical items and introducing various literacy styles in situations. The ‘Teaching Method’ follows communicative approach all thmugh the class by integrating 4 skills. Also it stress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aspect to understand the Japanese‘ lifestyle well. In ‘Evaluation’, not only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also an attitude should be assessed in 4 skills. The problems of the 7th national cun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of Japanese language in high school and systematic restrictions in the real classroom situation. Second, the both face problems in teaching Japanese culture using the internet. Third,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teachers and facilities- Fourth, anxiety over implanting teacher’s nationalism and biased viewpoint to students. Finally, the difficulty to get an objective and reliable evaluation result. The results of analysis mentioned above show that the direc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form is summarized below. 1)communicative approach on the class-instructions 2) application of information research activity using the internet in Japanese 3)reinforcement of 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he results of experiment applying new class-instruction method to the classroom are as follows. First role play and games are adapted to class-instruction method to foster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simulation ‘Buying goods in a shop (買ぃ物)’. During the class, students participated individual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these activities were student-centered and communicative. The gap of the score between the control class and experimental class in diagnosis test was slight. But after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s score rate was 82% and the experiment’s was 24%. It makes it possible that communicative approach in teaching method is even better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t is because students learn ‘language itself’ not a grammar and structure ‘about language’. So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promotes students’ motivations and interests by focusing on student-centeredness and acquisition of communicative functions. Second, for the cultural understanding activities by information research project using the internet, Japanese holiday ‘ 「お益」’ was suitable for a subject of this class. At first, students‘ background and understanding level after teacher-centered instruction were very low. And in experiment, students were encouraged to do a research project task, “Understanding Japanese Holiday Using the Internet”. They sent in various materials by using the internet and had an interview with a teacher. During these activities, students were very active and positive. It shows that understanding culture by using the internet is more successful than teacher-centered instruction. And also students exchanged information about the internet web sites with each other. This means that students‘ interest about new teaching method and motivation about Japanese culture has been encouraged. To make a class to be a communicative instruction and effective on understanding foreign culture, teachers‘ endless effort is required. First, teachers should try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lead students to do like themselves. Second, teachers should have knowledge and abilities to use multimedia facilities. They will contribute to interesting and effective class-instruction. Third, teachers should have knowledge about Korean culture as well as Japanese culture. Teachers have to avoid extreme nationalism and narrow-mindedness toward other culture, then they can encourage students to recognize various cultural differences and to make well-known our cultures in the world. Fourth, teachers should make or reorganize teaching materials that are adapted to individual learning level and ability. If Japanese teachers try to understand the new curriculum exactly and pay attention to i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form will be implemented efficiently.

      • 하이쿠의 창작과 감상을 통한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의 연구

        김은나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일본의 대표적인 詩 하이쿠의 창작과 감상을 통한 일본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 방법의 다양화를 꾀하는데 있다. 하이쿠는 일본에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가장 인기 있는 시 형식이고 미국의 초등학교 글쓰기 수업에서 인용되는등 세계적으로도 인간과 자연 세계를 언어로 표현하려고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애호되고 있다. 또한 겨우 17자라는 짧은 시 형식과 그 독특한 표현법 때문에 일본 이해의 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이쿠를 안다는 것은 곧 일본의 대표적인 언어문화의 한 모형을 이해하는 것이고, 나아가서는 보다 원활한 한 · 일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할 수 있는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주목하여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의 하이쿠 창작과 감상을 통한 수업 모형의 실제를 제시함으로써 자칫 획일적일 수있는 일본어 교수법의 다양화를 강구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하이쿠의 아동시적 요소와 글 쓰기적 요소를 분석하여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그 바탕 위에 2가지 가설을 설정하여 'Cloze test(빈칸 메우기)' 를 수업 시간에 직접 활용함으로써 하이쿠를 통한 일본어 교육의 방법론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일정 정도 이상의 학생들로 하여금 일본어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과 동기 부여의 기회가 마련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언어적 요소 측면(어휘력 향상과 拍의 개념)과 비언어적 요소 측면(일본인의 민족적 정서와 언어 문화)의 능력 향상으로 인해 일본문화가 바탕이 된 일본어 교육으로 의사 전달이 좀 더 수월해 짐으로써 소통 능력의 진작을 보였다. 또 한편으로는 이상과 같은 방법론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제2외국어이기에 여의치 않은 영역과 오히려 제2외국어이기 때문에 가능성이 보이는 영역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시도한 이러한 방법론적 모색이 앞으로 우리나라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의 교수법 개발의 다양화를 꾀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本論文は日本の代表的な詩である.排句の創作と鑑賞を通じた韓國の高校における日本語敎育方法の多樣化を圖っている.排句というのは,日本で老若男女を問わず最も人氣のある時歌のに米國の小學校の作文授業においても活用されている.さらに全世界で,人間や自然を題材とし,それを言語で表そうとするおおぜぃ人家にも愛好されてきた.一方,俳句はわずか17字という短い詩の定型とあの獨特な表現のために,日本理解の道としても知られている.俳句が理解できるということは,すなわち,日本の代表的な言語文化の模型が理解できるということである.そして,この日本理解はより圓滑な韓日問のコミュニケ一ションが成り立.つ機會にもなりうるだろう. 本稿ではし上の点に注目しながら,高等學校日本語敎育の現場で俳句の創作と鑑貫を通じた授業の美際を提示し,ややもすると畵一的になりがちの日本語敎授法の多樣化を講究した.俳句の兒童詩的要素と作文的要素を分析し,理論的にまとめたヒでニつの假說を立て, 'Cloze test(空欄の穴埋め)'という方式を活用した日本語の敎授法を試みた.その結果,生徒たちの日本語學習に對する興味が誘發され,さらなる日本語學習の動機付けとなった.具體的に言うと,語彙力や拍の槪念などの言語的要素と日本人の情緖と言語文化の非言語的要素の理解といった雙方において日本語能力の向上が顯著になった.このことは日本文化を基にした敎授法が日本語のコミュニす一ション能力の進步を促すという證據になった. また,上のような方法論を實踐する過程で,第二外國語であるために屆かなぃ領域があるといえば,かえって第二外國語であるからこそ適うことができる領域があるという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これからは本論文で試みた方法論の模索がさらに廣がり,日本語敎育の敎授法に役に立てられることを望む.

      • 日本語 特技ㆍ適性 敎育활동에 관한 硏究 : 고양시, 부천시, 수원시내 중학교 日本語敎育 事例를 中心으로

        이상순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 흐름 속에서 국제사회의 흐름을 파악하고 다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의사소통기능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학교교육에서도 제 7차 교육과정부터 중학교에서 생활외국어가 채택되었으며 일본어와 중국어를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수요자가 자발적으로 선택해서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일본어 학습의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시대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능력과 창의성을 신장'을 기본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은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학교교육을 보완하고 학생들이 특기·적성 교육을 통해 자신의 특기와 적성, 소질을 파악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라는 점에서 더 큰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1995년 5·31일 교육개혁으로 도입된 특기·적성 교육은 개인의 소질·적성 신장과 사교육비 정감을 목적으로 하여 교육인적자원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함께 2006년 99.5%의 중학교가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특기·적성 교육은 77.5%)이러한 비약적인 양적 확대를 가져왔지만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학습요구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의 내실화를 꾀하는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고양시·부천시·수원시의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실태와 학습자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양시·부천시·수원시의 111개 중학교 가운데 47%에 해당하는 53개 학교에서 일본어 특기·적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각 학교에서는 단일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기초에서 심화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서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1학기 혹은 1년 단위로 프로그램을 연계해가는 계획이 수반 되어야 한다. 둘째, 정규수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사의 재량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연구해 시도할 수 있지만 특기·적성 교재 개발이 미흡한 상태이며 학습자의 학습 요구에 부응하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모형 개발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셋째, 일본어 특기·적성 학습자도 특정분야의 전문가나 외국인 강사를 선호하고 있었으며 제도적인 인력풀을 활성화해서 전문적인 강사 영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일본어중등교원임용고사와 일본어교육능력 검정시험 연구 분석 : 교수법 출제문항을 중심으로

        하혜민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本論文は、韓国で行われている日本語教師試験である「日本語中等教員任用考査」と、日本で行われている「日本語教育能力検定試験出題問題」を分析したものである。ここでは、教授法関連問題を取り出し、項目別に分けてその出題傾向の分析を行った。同時に教授法領域出題問題に対しての有効性を明らかにし、検定試験の中で日本語教授法関連問題のモデルを任用考査に適切に活用させる方案を模索しようとする。 研究を行う前に、この両試験を実施する共通の目的は、「日本語が分からない学習者に、効果的に日本語を指導する教師を育成するという」というものである。日本人が母国語である日本語を指導するということと、日本人ではない人が母国語でない日本語を指導する点では大きな差があるが、根本的なところはその趣旨を同じにするということを前提に置きたい。このような両試験の出題類型の中で、教師が備えべき基本的なスキルを問われる教授法領域の問題項目においては、この両試験は同じ方向に問われており、その出題比率も低くない。 本論文の対象は韓国の任用考査02年度~07年度までの試験問題と日本の検定試験03年度~06年度までの試験問題である。韓国の場合はその出題機関が変わった視点を基準に、日本の場合はその出題傾向が変わった視点を基準とし、ごく最近の試験問題までに定めた。 教授法領域の出題範囲を見てみると、任用考査(韓国)の場合、(1)日本語教授法(2)コースデザイン(3)指導方法(4)教材及び教具(5)評価及びテスト、である。検定試験(日本)の場合を見ると、言語教育法実技(実習)部分の下で(1)実践的知識能力(2)コースデザイン(教育課程編成)カリキュラム編成(3)教授法(4)評価法(5)教育実技(実習)(6)自己検定授業分析能力(7)誤用分析(8)教材分析開発(9)教室言語環境の設定(10)目的対象別日本語教育法、で成されている。 この両試験の分析結果得られたのは次の通りである。 1.問題分析結果、教授法領域平均出題比率が任用考査が13.3%、検定試験が28.3%と出た。任用考査の場合少ないときで3%、多いときは22%で、毎年その出題比率が一定でなく、検定試験の場合20~30%で、一定の比率で出題されている。 2.教授法領域内でも、細分化し分析した結果任用考査は、02年度から07年度までの累積出題問題項目数を見ると、日本語教授法とコースデザインで5問題、評価及びテストで4問題、指導方法と教材及び教具で3問題が出ており、3問題から5問題と大きな差異なく出題さ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検定試験は03年度から06年度までの累積出題問題項目の場合を見ると、一問題も出題されてない教室言語環境の設定領域から、最大49問題まで出題された自己点検授業分析能力領域までかなりの差が見られている。 3.試験の客観式の有無など、採点の便利性問題を除いて、試験問題項目だけでの問題類型を見て見ると、任用考査は文章が短く、狙っている答えをやさしく簡単に引き出すように誘導している反面、検定試験の場合、出された文章が長く、いろいろな角度で文章を利用しようとしている。このような点から見ると、韓国の任用考査は用語定義と概念をはっきり認知しているかを誘導する概念確認形問題で、検定試験は文章の理解を通じて状況対処能力を聞く状況応用形問題である。韓国の教育部は09年度から実施される教員養成体制改編案で、日本語専攻試験部分を客観式に変え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このような視点で検定試験の状況応用形問題が任用考査の概念確認形問題に出題方法を導入し応用してよいのではないかと思慮され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