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직구성원들의 일과 후 업무연속성이 감정고갈과 생산일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위야오둥 호남대학교 대학원,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67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중국 중소기업 조직구성원들이 비근무시간에 이동통신 설비를 통해 업무를 처리하거나 동료와 연락하는 것은 이미 여러 측면에서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그러나 긴 시간 빈번한 일과 후 업무연속성은 중소기업 조직구성원들에게 일과 가정에 모두 스트레스를 주고 감정적 자원이 끊임없이 소모되며 일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를 지닐 수 있어 궁극적으로 조직과 개인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COVID-19의 배경에는 일과 후 업무연속성은 더 빈번해질 것이고 갈수록 많은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이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에 직면하여 감정고갈을 초래하고 심지어 일 중에 생산일탈행동을 수반하고 있다. 감정고갈은 조직구성원의 심신건강에 영향 줄 뿐만 아니라 직원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 직무열의을 저하시키며 심지어 이직의도가 생기게 하고 더욱이 생산일탈행동은 조직의 이익에 직접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독립변수인 일과 후 업무연속성은 매개변수인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에 모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매개변수인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이 종속변수인 감정고갈 및 생산일탈에 모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한 조직구성원들의 일과 후 업무연속성과 감정고갈 간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은 모두 유의한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구성원들이 일과 후 업무연속성과 생산일탈 간의 관계에 있어서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의 긍정적인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일과 후 업무연속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충분히 반영하였으며 일과 후 업무연속성이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을 매개로 감정고갈 및 생산일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일과 후 업무연속성,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과 감정고갈 및 생산일탈에 대해 관련 제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한계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t has become a common phenomenon for employees of Chines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deal with work or contact with colleague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during non-working hours. However, the long and frequent work connectivity behavior after-hours will bring pressure on both work and family to the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motional resources will be constantly consumed, bring negative work attitude to employees, and eventually have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In the context of COVID-19 epidemic, work connectivity behavior has become more common. More and more employees face work-family conflicts and family-work conflicts, resulting in emotional exhaustion and even production deviation at work. Emotional exhaustion will not only affect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mployees, but also lead 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input, reduced enthusiasm for work, and even turnover intention, production deviation behavior has a serious impact on the interests of the organizati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dependent variables of human work and post-work continu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finition of family conflicts and family work conflicts. On the other hand, the initial family contradiction and the family first-day contradic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motional goose and production deviation of the subordinate variables.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post-work continuity and emotional bitterness, organization members found that both family conflicts and family work conflicts had significant positive media effect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continuity and production separation, the survey shows that the positive media effects of family conflicts and family work conflicts are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fully reflects the key role of work and post-work continuity, and verifies the impact of work and post-business continuity on emotional bitterness and production deviation through the media of family conflicts and family work conflicts. This study puts forward the practical enlightenment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nd the final text i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on the continuity of work and post-work, family contradictions and family conflicts, emotional troubles and production deviation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China. In addition, the limitations are put forward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is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s discussed.

      • 테크노스트레스와 業務의 連續性이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響 硏究 : 일-삶의 葛藤을 媒介로

        오성탁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34366

        본 연구는 ‘일-삶의 갈등’을 매개로 ‘테크노스트레스’와 ‘일과후 업무의 연속성’이 ‘직무만족’과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지며, 동시에 ‘스트레스 완화효과’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제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증 자료 분석한 결과를 해석하였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업무종료 후, 휴일, 휴가 등 개인 생활의 와중에 끊임없이 스마트폰을 확인하고 메일을 확인하며 메신저를 통해 업무를 수행(‘일과후 업무연속성’)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술로 인한 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갈등, 그리고 직무만족과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과후 업무연계성의 선행변수를 조직과 개인의 특성으로 살펴보았으며 조직특성에서는 회사의 정보통신기기의 지원여부, 주관적 규범을 설정하였고, 개인의 특성으로 다중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속성이 복합시간성과 개인의 IT혁신에 대한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IT혁신을 제외하고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주관적 규범이 일과후 업무연계성과 유의하게 영향을 맺는다는 결과는 기존 해외 연구와 일관된다. 이것은 높은 수준으로 주관적 규범을 따르는 자는 더더욱 일과 개인 삶의 경계가 희석이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회사의 IT지원, 복합시간성은 유의미하게 결과가 나왔지만, 개인의 IT혁신성은 기각되었으며 개인의 혁신성 표출이 회사업무 영역으로 확대는 별개의 결과로 해석되었다. 일과 후 업무연계성과 일-삶의 갈등과 관련한 기반 연구이론으로 경계이론 (Ashforth, et al., 2000)과 접경이론(Clark 2000)을 바탕으로 추진되었다. 일과후 업무연계성이 높을수록 일-삶의 갈등도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 테크노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선행연구와 일-삶 갈등과 직무만족의 선행연구를 결합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기존 테크노스트레스 연구에 따르면 테크노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지만 반면에, 본 연구결과에서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일-삶 갈등이 개입함에 따라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지 못하고, 일-삶 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테크노스트레스는 일-삶의 갈등에 높은 수준의 관계를 맺으며 간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는 것이다 . 스트레스 완화요인은 테크노스트레스와 달리 역으로, 기존 연구에서는 조절 효과에 머물렀으나 본 연구를 통해 조절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일-삶의 갈등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발생하지 못한다. 흔히 만족과 불만족의 형성요인이 서로 다른 이요인 이론을 따르는 것처럼,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완화요인은 서로 다른 요인으로 영향을 행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업무연속성 및 일-삶의 갈등과의 관계를 주도적으로 확인 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해외 문헌이 주로 업무연속성에 대한 측정변수를 심리적 변수를 주로 활용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Richardson(2011)이 개발한 상황적 특성을 주로 활용하여 업무연속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업무연속성에 대해서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조직의 특성까지 반영하였다. 조직내 근로자 개인으로서 지각하는 속성과 실제 조직차원에서의 속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두 가지 속성을 다 고려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들인 테크노스트레스와 일과후 업무연속성의 경우에는 개인과 기술인 IT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이라면, 일-삶의 갈등은 개인과 또 다른 개인 즉 이해관계간의 갈등의 요소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개인과 기술의 접합, 접목이라는 것은 궁극으로 사회현상측면에서 개인과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로 확대되어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