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인 연구

        도나라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노인의 주거환경은 노인의 생활만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거환경 요인을 검토하고, 조사대상자 노인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노인들이 주거환경에 대해 얼마만큼 지각하고 있는지, 또한 주거환경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지역사회복지관, 노인학교,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45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 1:1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χ2과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남자 노인과 연령이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개신교인 노인, 배우자가 있는 노인, 한달 용돈이 40만원 이상인 노인, 건강한 편일수록, 그리고 부부가 함께 사는 노인이 다른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주거환경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아파트에 거주하는 노인과 자기 집에서 살고 있는 노인, 배우자 명의로 된 주택에서 살고 있는 노인, 거주주택 면적이 넓은 노인, 거주주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노인, 전용침실이 있는 노인, 그리고 현재 살고 있는 주택 내에서 사고를 당한 적이 없는 노인이 다른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인으로는 거주주택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건강, 종교, 주택유형, 주택면적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노인들의 거주주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사생활보호를 위한 공간을 조성하여 자율성과 자존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나아가 노후화된 주택을 개선할 수 있는 정부주도의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여 주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노인들의 생활만족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how the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s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in the view of the elderly and thu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clude if it is a necessity to improve this environment. There is an assumption that, for a member of the senior society, the satisfaction in life is closely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said person. We have examined this assumption by surveying this minority group and have to a final result. There were a total of 455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are over the age of 65 and reside in the city of DaeJeon and using local community welfare center, social education center for the elderly, senior center. For this study,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from thes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Frequncey Analysis, χ2-test, t-test and the One-Way ANOVA. The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ly, after analysis it appears that the younger subjects of the studied males perceive that satisfaction in life is accumulated by the following factors; one's level of educational certification, one's religious faith, one's spouse; particularly if one is in residence with said spouse , if one's allowance above 400,000 won and of course one's health. Secondly, the detailed questionnaires show that satisfaction of life is also based on housing experience. These positive housing experiences include: the elderly who are living in apartment buildings, living in their own home, living with their spouse or those who have housing in their spouses name, being self content with their housing, having larger living space, having a private bedroom, those in housing where they have not been involved in accidents, also those of the elderly who are currently living in senior housing feel satisfaction with life. Thirdly, it appears that the most substantial factors, according to the study's findings, that satisfaction is affected by are as following: whether one is pleased with one's housing, one's health, one's religion, one's housing type, a size of house area. Through this study we have concluded that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is necessary. This can be achieved by designing a space within the residence for private life for autonomy and self-respect. It can also be achieved by taking care to provide with safety devices to prevent accidents. Also the quality of retirement housing can be improved by the government's diverse measures. These conclusions are all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the elderly which is an endeavor that all should participate in.

      • 사회·경제적 요인과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이 노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원숙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는 노인인구 비율이 2026년에는 20.8%로 추정되며, 향후 20년 안에 초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65세 이상 노인의 급격한 증가는 개인은 물론 국가나 사회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노인복지과 프로그램의 기획단계에 참여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전욕구와 만족도 조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구체적인 목표설정, 평가계획에 의거하여, 사업수행 후 계획대비 달성도, 강사선임과 평가,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을 도출하여 차기 프로그램 기획에 반영하는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을 실증하고 있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매우 미흡하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고령화 문제를 다룸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핵심은 “활동적 고령화(active aging)"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향후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방향을 정립하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노인교육 정책과 제도를 개발하기 위해서 노인교육 시설의 운영 및 프로그램 실태를 조사하고 노인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생활만족도에 관한 단행본, 학술논문, 학위논문, 정부간행물, 세미나자료, 보건복지부정책자료, 통계청자료, 각종 연구기간의 홈페이지 등을 기초로 하여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조사연구로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이 생활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기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은 서초구에 종합복지관과 3곳의 이용 노인에 대해 실시하였으며 통계의 분석은,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요인분석과 교차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로서는 가설1에서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요인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 하였으며, 가설2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의 가족ㆍ경제적 요인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은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의 운영기관 요인은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의 동기부여 요인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5는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의 사회적 지지도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6은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의 지원정도 요인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따른 회귀분석으로서 노인의 지적만족도에 프로그램, 동기부여, 일반시민의 관심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만족도에는 프로그램, 동기부여, 지원정도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정서적 만족도에는 프로그램요인, 가족·경제적요인, 동기부여, 지원정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만족도에는 동기부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족. 경제적 요인은 오히려 마이너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가족ㆍ경제적 요인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수준일수록 사회적 만족도에 대한 영향은 오히려 낮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노인 복지관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일반적 특성의 제언으로서 첫째, 복지관프로그램의 내용을 내실화하는데 힘을 들여야 할 것이다. 둘째, 생산적인 일에 참여할 수 있는 복지관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본 조사 연구결과에 의하면 참여 노인의 70%이상이 60대에서 74세로 나타났다. 셋째, 학력별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 된다. 조사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노인들이 고등학교졸업 이상인 것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에 봉사하고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강화가 요구된다. 본 조사 연구결과에 의하면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75%이상이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일자리 창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가설 채택부분에서는 노인 복지관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요인과 가족·경제적요인, 지원정도요인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끼쳤으며, 특히 동기부여요인이 가장 많은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복지관의 프로그램의 개선 및 개발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노인 생활이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창조적인 자기 개발활동이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확대와 다양한 방법의 개발이 있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복지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각 시, 군, 구에 설치된 노인복지회관에 프로그램 전문가를 두고 공동 이용하는 제도가 요구된다고 생각 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연구의 표집과 관련하여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는 노인종합복지관에서 복지관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노인에게 일반화 하는데 한계점이 있을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 이외에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에 대하여 통제하고 설명하는 것이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It is assumed that the rate of the old people (senior citizen) in our country would be approximately 20.8 % in 2026 and our country would be super aging society in 20 years and the rapid increasing of the age over 65 years old would affect all the realm not only individual. It is proved practically that the investigation over advance desire and a feeling of satisfaction are essential. In addition, systematical research reflecting on the next program project should be performed, deducting concrete selection of the purpose, attaining degree for the project after business accomplishment, and the selection and the evaluation of lecturer and the problems, method of the improvement. It is said that the practical research over settlement house for the senior citizen program is insufficient, therefore research related to these is required rapidly. therefore important core than any other in dealing with aging problem should be active aging. Accordingly, It is said in this dissertation that operation of facility and program status investigation and affecting factor to satisfaction degree of old people is practically trying to be analized to set up the direction of the old people's education and in order to develope systematical and rational old people's educational policy and system as to research method of this, they were run parallel with documentary research and investigative research and all the materials based on thein dependent volume for the satisfactory degree of life ,academic dissertation, government publications ,seminar material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olitical materials)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materials), homepage of every research organiz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Making up a questionnaire as a investigative research was used to grasp the satisfactory degree at program of settlement house for the elderly people. How to make up Questionnaires are questions performance for the old people at general settlement house of Seochogoo and other three places. The analysis of statistics are factor analysis and crossed analysis, t-test ,multi- revolution analysis regarding the program settlement house for the elderly people. It is setup that The factor of the settlement house program for the senior citizen will affect satisfactory degree of the old people as research hypothesis in the hypothesis 1 and familial and the economical factor of the settlement house program for the senior citizen will affect satisfactory degree of the old people in the hypothesis 2 and the factor of operational organization for the settlement house program for the senior citizen will affect satisfactory degree of life for the old people in the hypothesis 3. Motivation factor of the settlement house program for the senior citizen affect satisfactory degree of old people's life in the hypothesis 4. social supportive degree of the settlement house program for the senior citizen affect satisfactory degree of old people's life in the hypothesis 5. assistant degree of the settlement house program for the senior citizen affect satisfactory degree of old people's life in the hypothesis 6. It is showed up as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satisfactory degree of the life for the old people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at program of the old people's intellectual, satisfactory degree ,motivation, interested degree of the common people had a positive influence, and the program ,motivation, assistant degree in the intellectual and satisfactory degree had an positive influence ,and in the emotional and satisfactory degree program factor, family, economical factor ,motivation, assistant degree had a positive influence, and the motivation for the social and satisfactory degree had a positive influence, rather familial and economical factor had a minus influence. It is understood that the more positive recognization is high, the less social satisfaction is affected. As a general advice of characteristics fo the participated old people in the age welfare program at a political ,current issue points, First, It is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substantialize the contents of settlement house program. Second, settlement house program which can participate in productive work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ve people over 70% showed up 60s to 74 years old. Third, the program suitable for the level of education background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ve research. It is showed off the most of the old people are the graduate from high school. The fourth, strengthening program which can be served and participated in the society is required . It is showed off in hypothetically selected part program factor of Senior Welfare Center program and family ,economical factor, the factor of assistantal factor affected satisfactory degree of life, particularly, the factor of motive affected a lot of satisfactory degree of life ,therefore, improving and developing program is indispensable the magnification of program and various development of way should be built not to be simple recreation but creative developing activity. Furthermore, it seems that the system available with the program expert employed at the settlement house for the old people in city, county, ward is required for the various program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 house like this. The old people was limited to the age over 60 years old participating in social welfare program for the old people at Settlement house for the old people ln Seocho-goo, Seoul. To select research object concerned with research sampling at uppermost limit point of research. Therefore, It is said that The result of research could be reached the uppermost limit point. and controlling and explaining on other valuable affecting the satisfactory degree of the old people except setup valuable old people for this research is the uppermost limit point.

      • 도시근교 농촌지역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강서구를 중심으로

        김윤선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4

        본 연구는 도시근교에 살고 있는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해 보고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강서구 농촌노인 178명이며 면접질문을 하였다. 질문내용은 농촌노인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전반적인 생활실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변인, 생활만족도 등이다. 자료분석은 SPSS/WIN 10.0 version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x2,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노인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는 중간정도의 수준이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에서 성별, 학력, 배우자유무, 동거형태,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노인의 생활실태와 생활만족도에서 노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생활수준은 대부분 중하위 수준이며 생활수준, 수입, 일을 하는 이유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건강과 생활만족도에서 노인의 현재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수준, 만성질병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변인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원망과 생활만족도에서 사회적 지원망의 크기와 지원망의 형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지원망의 크기가 클수록, 지원망의 형태 수가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생활교류와 생활만족도에서 경제적 교류는 가족, 친척지원망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서비스 교류는 가족지원망으로부터의 수혜에서 유의한 차이를, 정서교류는 가족망과의 관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생활만족도 비교에서 전기노인은 학력, 수입, 생활수준, 일을 하는 이유,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수준, 만성질병 수, 경제적 제공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후기노인은 성별, 학력, 배우자유무, 동거 형태, 일을 하는 이유, 생활수준,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수준, 만성질병 수, 지원망의 크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일곱째,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한 결과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 수입정도, 동거형태, 주관적 건강수준, 지원망의 크기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기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노인의 현재 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수준, 수입 순이며, 후기노인에게는 노인의 현재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수준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factors tha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in Busan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se factor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suggest some measur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the elderly who resided Gangseo-Gu in Busan Metropolitan City.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by face-to-face interview with 178 of these elderly. This interview dealt with the comprehensive aspects of the rural elderly were asked: social demographic factors, the general life situation, health condition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Correlation, crosstabulation analysis(χ2),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rural elderly remained on medium level. Moreov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gender, educational levels, cohabitation style, and religion. 2. Subjectively perceived level of general life situation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rural elderly was moderate or low level. These levels of life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he living standard, income, and the reason for working. 3.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sent health conditions, self-reported health level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conditions were important determinants on life satisfaction. 4. The greater social support networks, and the more diverse types of support networks the rural elderly had, the greater life satisfaction they showed. 5. Life satisfaction was also affected by economic interchanges. Economic interchanges by family and relatives tended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in rural area who have received frequent service interchanges by family support network showed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emotional interchange area, only emotional exchanges by family support networks were able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6. For the younger old, educational levels, income, the living standard, the reason for working, present health conditions, self-reported health level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economic servic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ir level of life satisfaction. By contras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er old wa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gender, educational level, the existence of spouse, cohabitation style, the reason for working, the living standard, present health conditions, self-reported health levels,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the size of support networks. 7. When emplo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esent health conditions, the existence of spouse, income, cohabitation style, self-reported health levels, and size of support networks was in the order of strong determinants on life satisfaction. The present health conditions, self-reported health levels, and income were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younger old. However, for the older old, only two factors such as the present health status, and self-reported health level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determining life satisfaction.

      •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탁기주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4

        국 문 초 록 21세기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생산 가능인구 감소, 의료비 부담가중, 노인의 역할상실, 고독과 소외 등으로 나타난 사회문제를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의료기술 및 건강관리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은 긴 노년기를 맞게 하였으며 가정과 사회에서 많은 여가시간을 갖게 되었다. 더욱이 2010년부터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 등으로 많은 노인들이 진출할 것이 예상되고 있으나 여가프로그램 등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보다 향상된 노인복지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울시내에 소재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46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별로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긍정적 생활관’에 대해 높은 수준을, 학력의 경우는 학력이 낮은 초졸이하 응답자가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학력이 높은 소지자는 ‘긍정적 생활관’의 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나이가 많아질수록 ‘부정적 건강상태’는 낮아지는 경향을, 단독세대보다는 자녀와 동거를 하는 세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수준을 보였다. 여가활동 참여유형별 생활만족도 비교에서는 ‘생활만족도 전체’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활동으로는 건강관리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이 노인들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다. 여가활동 참여기간은 오래 활동한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도 높아진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내용을 정리해보면 여가활동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성별, 연령별, 계층별로 다양하고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 사회환경에 대한 노인의 고령친화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만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3

        고령화는 세계적 추세로 다양한 노인의 문제를 발생함으로 인하여, 사회적 고민거리이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에 하나로 고령친화적인 사회환경을 구축하고자 유연한 대처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고령친화 사회환경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노인복지적 관점에서 고령친화인식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환경에 대한 고령친화인식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고령친화 사회환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지역공동체의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함으로써 앞으로 전개되는 사회환경에 대한 노인의 고령친화인식을 반영한 사회환경 조성과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 방식으로 2018년 8월 6일부터 8월 23일까지 총 400부를 배포하고 319부를 회수하여 조사를 완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고령친화 사회환경인식 수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고령친화 사회환경 수준은 3.37점(sd=.41)으로 중간 값 3점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장 높은 수준의 친화적 영역은 물리적 환경 영역으로 3.67(sd=.64)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사회문화 환경 영역 3.44(sd=.56), 서비스 환경 영역 3.06(sd=.63)의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공동체의식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3.43(sd=.56)으로 중앙값 3점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생활만족도의 평균은 3.39(sd=.53)으로 중앙값 3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노인의 성별(t=-5.26, p<.001), 연령(F=13.69, p<.001), 학력(F=4.39, p<.01), 월 소득(F=12.06,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성노인이 남성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60대 노인이 70대와 80대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의 경우 고졸이하 집단이 대졸이상의 집단보다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100만원 이하인 집단보다 101만 원 이상인 집단에서 생활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고령친화 사회환경, 지역공동체의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에 앞서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Pearson’s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8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각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고, 고령친화 사회환경, 지역공동체의식을 투입하여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분석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28.18, p<.001) 모형의 설명력은 57.9%이었다. 개별 회귀계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성별(β=.17), 연령(β=-.19, p<.001), 종교(β=-.23, p<.001), 교육수준(β=.13, p<.05), 건강(β=.2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고령친화 사회환경은 하위 영역인 서비스 환경(β=.20, p<.001), 사회문화 환경(β=.27,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역공동체 의식은(β=.43, p<.001)로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노인이고, 연령이 낮을수록, 종교가 있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으며, 또한 서비스 환경, 사회문화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지역공동체의식이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고령친화 사회환경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지역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 고령친화 사회환경이 지역공동체의식(β =.23, p<.001)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2단계에서는 고령친화 사회환경이 생활만족도(β =.31, p<.001)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 고령친화 사회환경의 회귀계수가 . 25(β=.25, p<.001), 매개변수인 지역공동체의식은 .28(β=.28, p<.001)의 값을 나타내고 있어 지역공동체의식이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다. 유의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t값은 1단계, 2단계, 3단계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2단계에서의 독립변수의 효과(β=.31, p<.001)도 3단계에서의 독립변수 효과(β =.25, p<.001)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분석 모형에 대한 설명력도 1단계에서 38%, 41%, 49%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제시된 세 가지 회귀분석 결과를 앞에서 언급한 Baron & Kenny(1986)의 기준에 따라 종합해보면, 매개변인인 지역공동체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면서 종속변인인 생활만족도는 표준화 계수가 줄어든 점(.31→.28)을 고려할 때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고령친화 사회환경이 생활만족도에 직접영향이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지역공동체의식을 매개로 노인의 고령친화 사회환경과 생활만족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 또한 입증되었다. 이런 결과로 고령친화 사회환경 조성이 노인의 생활만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정부의 고령친화 사회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반려식물의 관점에서 본 관상식물이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언희 삼육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2

        국문초록 반려식물의 관점에서 본 관상식물이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 언 희 환경원예학과 원예치료학 전공 본 연구는 반려식물 돌봄이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고독감,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독거노인 1인당 총 2개의 반려식물을 기본으로 제공하였으며, 1차로 아이비(Hedera helix)를 제공하였고, 2개월 후 2차 방문 때 고무나무(Ficus elastica ‘Robusta’)를 제공하였다. 2차 방문 때 기존 제공 식물이 죽은 경우 자금우(Ardisia japonica)를 제공하여 1차 교체를 하였다. 그 다음 2개월 후 3차 방문에서 제공하였던 식물이 죽은 경우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를 제공하여 2차로 교체하였다. 원예복지사가 개별 방문 및 전화 상담으로 구체적인 돌봄 방법 및 정서적 지원을 하였고, 독거노인이 애칭을 작명한 뒤 애칭을 부르게 하였으며, 외출 전후나 취침 전후 등 생활 전반에서 반려식물에게 말을 걸어주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S시의 독거노인으로 반려식물을 돌보지 않은 대조군 24명과 반려식물을 제공받고 반려식물을 돌본 실험군 280명으로 정신건강, 고독감, 노인생활만족도를 사전·사후에 조사였으며, 실험군만 반려식물 돌봄 후에 반려식물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은 대조군 18명, 실험군 225명 총 243명이었다. 반려식물 돌봄 후 실험군에게서 정신건강 하위 영역 중 불안요인, 사회부적응요인, 우울요인, 외출 빈도, 정신건강 총점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비교에서 외출 빈도를 제외한 불안요인, 사회부적응요인, 우울요인,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여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실험군에서 여성보다는 남성의 정신건강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반려식물 돌봄이 남성에게 더 효과적이었다. 독거노인의 반려식물 돌봄은 실험군 고독감의 하위영역인 친밀감부족, 사회적 주변인 부족, 소속감부족 총점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고독감의 대조군과 실험군 비교에서 친밀감부족, 사회적 주변인 부족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소속감 부족과 고독감 총점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여 반려식물이 고독감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남성 독거노인의 경우 사회적 주변인 부족을 제외한 친밀감부족, 소속감부족 고독감 총합계가 여성 독거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반려식물이 남성 독거노인의 고독감 감소에 더 효과적이었다. 반려식물의 돌봄은 실험군의 노인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하위영역인 미래생활만족도를 제외하고 과거생활만족도, 현재생활만족도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여성에 비해 남성의 생활만족도가 매우 유의하게 높아 남성 독거노인에게 반려식물이 효과가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려식물 고사로 교체를 하지 않은 경우가 교체를 한 경우보다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고독감 총점도 유의하게 낮았다. 이는 독거노인들이 반려식물을 정성껏 잘 돌볼수록 식물이 잘 자라 애착이 형성되어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으며, 고독감도 더 많이 감소되었다. 독거노인의 반려식물 돌봄 후 만족도 조사결과 대부분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도움이 된 영역을 보면 정서적 도움이 가장 많았으며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순이었다. 반려식물이 주거 실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었는지 문항은 긍정적 응답이 부정적 응답보다 8배 많았다. 반려식물이 고급스럽고 관상가치가 있는 식물이고 방문 시 반려식물들의 특징과 함께 실내 환경 개선과 공기정화 등의 이점을 자세히 교육한 것이 만족도가 큰 이유로 생각된다. 무교체, 교체 1회, 교체 2회의 순으로 실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반려식물을 돌보면서 좋았던 돌봄 활동은 관리하기, 반려식물과 대화하기, 물주기, 햇빛 쬐어주기 순이었으며, 관리하기(잎 닦아주기, 마른 잎 제거, 화분 닦기 등)처럼 지속적인 관심을 줄 수 있는 활동을 좋아하였다. 반려식물과 대화하기를 좋아하는 군은 독거노인이 직접 작명한 반려식물의 애칭을 불러주며 취짐 전후, 외출 전후 등 일상생활 전반에서 반려식물에게 말을 걸으라는 과제로 인하여 반려식물을 대화의 상대로 인식하게 된 결과이다. 물주기는 식물에게도 필요한 것을 줄 수 있어 만족감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기타 돌봄 활동으로는 그냥 바라보기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건강 등의 이유로 적극적인 돌봄 활동이 어려운 노인들도 소극적으로라도 돌봄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여 진다. 남·여간 비교를 하여보면 남성은 물주기 활동을 좋아하였고, 여성은 반려식물과 대화하기가 남성보다 11.6%가 더 많아 성별간 좋아하는 활동에 차이를 보였다. 새로운 반려식물을 돌보고 싶은가 문항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부정적인 의견보다 6배 이상 많았다. 타인에게 반려식물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싶은지에 대한 문항에서 긍정적인 응답이 부정적인 응답보다 7배 이상 많았다. 결론적으로 반려식물 돌봄 활동은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향상, 생활만족도 향상과 고독감의 감소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반려식물은 타인과 접촉기회가 적은 독거노인들에게 주거환경개선효과와 일상생활에서 정서적 즐거움 제공하여 삶의 의욕 향상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Effect of Ornamental Plants on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Viewpoint of Companion Plants Koh Eon-Hee Department of Horticultur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Nam Sang-Ya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anion plants care on mental health, loneliness scal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October 2017. A total of two companion plants were provided for each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vy (Hedera helix) was provided for the first time and rubber tree (Ficus elastica 'Robusta') was provided for the second visit two months later. When the basic plant died on the second visit, a spearflower (Ardisia japonica) was provided for the first time. After two months, when the plant died in the third visit, Epipremnum (Epipremnum aureum) was given and a second replacement was made. The therapist personally visited and gave instructions on how to care for companion plants and gave emotional support. In additio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had to give and call their companion plant a nickname and talk to the companion plant in their everyday lives, including before and after the bedtime or going ou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S city, consisting of a control group of 24 people who did not take care of the companion plants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280 people who were provided with companion plants and took care of it. Mental health, loneliness scal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ested to determin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ompanion plants. The final analysis target was 18 people in control group and 225 people in experiment group, totaling 243 people. After caring for companion plant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made in all variables of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variables include anxiety, social maladjustment, depression, going out element and the total score of mental health. Except for going out element, the comparison of controls with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anxiety, social maladjustment, depression, and total score, which resulted in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ntal health score of 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women, making men more effective at mental health. The care of companion plants by elderly people living alone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variables of loneli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variables include total score of loneliness, lack of intimacy, social others and belonging. Comparis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of loneli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lack of intimacy and social others. However lack of belonging and the total score of loneline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ich indicates that the companion plant was effective in reducing loneliness. The companion plant was more effective in reducing loneliness of elderly men living alone than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due to the fact that the lack of intimacy and belonging and the total score of loneliness of elderly men living alon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ffected by the care of the companion plants so that except for the past satisfaction with life, the current satisfaction with life and future satisfaction with life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companion plants on elderly men living alone were greater as the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women.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loneliness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without the replacement plant than in the group with replacement plant due to plant deaths. The more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ook care of the companion plants, the less the plants died, and attachment was created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loneliness was also decreased. The majority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swered that they were helpful in the satisfaction survey after taking care of the companion plants. Emotional support was the most common in the areas where companion plant care was helpful. This followed by mental, physical and social support, respectively. The question of companion plant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indoor living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response, which was eight times larger than the negative one.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companion plant is luxurious and ornamental plant. In addition, detailed training on the benefits of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of plants and air purification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during the visit was considered to be the reason of high satisfaction. The group without plant replacement responded that the companion plant is helpful to the indoor environment the most, followed by the group with one plant replacement and the group with two plant replacements, respectively. The most favorite activity among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ile taking care of the companion plants was plant management, followed by talking with companion plants, watering the plant and light irradiation, respectively. Plant management (leaf wipe, dry leaf removal, pollen cleaning, et cetra) showed that they liked activities that could give sustained attention. In the case of talking with companion plants, it is the result that they recognized the companion plant as their communication partner, due to the task that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call the nickname of the companion plant and talk to the companion plant in their everyday lives, including before and after the bedtime or going out. Watering the plant is thought to have been satisfactory as it can give plants what they need. Other than these, just watching was most frequent. Elderly people who have difficulty in taking active care for health reasons seem to have been involved in caring activities passively. Men preferred to water plants, and 11.6% more women than men preferred to have a conversation with their companion plants. As to whether or not they would like to take care of a new companion plant, the answer to wanting to take care of a new companion plant was more than six times more than a negative one. A positive response was more than seven times higher than a negative response in the question of whethe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ould like to talk to the other person about the companion plants. In conclusion, the companion plant care activity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it can help reduce loneliness. It is judged that companion plant can contribute sufficiently to improve morale by providing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and emotional pleasure in daily life for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 little opportunity to contact others.

      • 사회적 자본과 노인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임우석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8431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of elderlys in Korea, identify how social capital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reby provide basic data for the policy-making process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s. To this end, we developed a set of research questions and found what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 1> about the current situations of social capital of elderlys in Korea, elderlys in the country were found to have a higher-than-average level of social capital in terms of private and public trust, political participation, norm compliance, and reciprocity awareness, while they had a lower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nonofficial and official network. <Research question 2> tackled characteristics of social capital of elderlys living in cities by testing the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As one of the finding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ale elderly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rm compliance than their counterparts. As far as age was concerned, younger age group(60-64 of age) showed a higher level of nonofficial and official network than their counterparts who are in mid-older age group(65-74 of age) and older age group(75 of age or older). In addition, the higher degree they have,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norm compliance was, while elderlys whose spouse were still alive showed a higher level of official network than their counterparts. Furthermore, the healthier they were,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social participation, nonofficial and official network and norm compliance was. Whether or not they live together with their child make a difference in their nonofficial network and norm compliance; elderlys who live together with their child were better at forming unofficial network, while norm compliance was higher among those elderlys who do not live with their child. When it comes to household income, elderlys with more income were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public trust and social participation as well as more active official network. Finally, as in income, in regard to difference by housing conditions, elderlys who live in their own house showed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along with a higher level of nonofficial and official network. <Research question 3> was designed to identify major variables which affect elderlys’ life satisfaction. We set two assumptions for this purpose with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of all, in order to test Assumption 1 that ‘social capital will make a difference in their life satisfaction,’ we carried out a t-test and ANOVA and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ose elderlys whose social capital level was higher in all of the social capital variables such as private and public trust,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nonofficial and official network, reciprocity, and norm, except political participat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by official and nonofficial network was bigger than any other social capital variables, while the difference by private and public trus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was very trivial an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Assumption 2 that "social capital will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s." As a result, the analysis on casu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s revealed that official and nonofficial network and reciprocity among other social capital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A regression analysis covering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as a control variable also indicated that along with household income and health condition, social capital variables such as official network and private trust had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particular, social capital variables such as official network were found to have a stronger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a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household income and health condition.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policy-making process. First, considering that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network level of elderlys among their social capital is badly low,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which allows them to gain soci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enabling cooperation such as network, norm, and trust. Secon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mak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uilding up their social capital, so the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course of expanding social capital of elderlys. Third, the study revealed that network had a most consistent and stronges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s, and therefore, to expand network, universal investment in polices of local communities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health and income not only have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also are closely related to forming social capital, so programs for healthier old ages and income improvement should be developed from the social capital perspective. Fifth, welfare policy for elderlys are needed for the future from the social capital perspective, and to do so, social capital should become an independent area of elderlys welfare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alized social resources as important resources of elderlys and captured characteristics of their social capital, and thereby pursued to examine its socio-economic value and that it explained variables which affect elderlys’ life satisfaction, from a totally different viewpoint of previous studies on attributes in relation to elderlys’ life satisfaction. Besid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existing studies which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s focusing on some of the elements of social capital such as network and participation, because it defined social capital variables by covering all of the key elements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participation, network, norm and reciprocity. This study reaffirmed empirically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senior citizens’life satisfaction, and some social capital variables such as official network had a stronger effe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an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and health condition. These findings provide a more detailed explanation to help better understand the life of senior citizens and give us more insight into their life, becoming useful data for senior citizens’welfare policy-making process for the future at the same time. Key words: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social capital, trust, participation, network, norm, reciprocity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적 자본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자본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며,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이에 대한 통계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은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적 자본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우리 나라 노인들의 사회적 자본 실태를 분석한 결과 사적 신뢰와 공적신뢰, 정치적 참여, 규범준수, 호혜성의 인지 등에서는 평균 이상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보였고, 사회적 참여, 비공식적 네트워크, 공식적 네트워크에서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는 우리나라 도시노인의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밝히는 것으로서 노인들의 인구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검정을 통하여 우리 나라 노인들의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낸 결과는 남성 노인이 여성노인보다 정치적 참여 수준과 규범의 준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연소노인(60~64세)들이 중고령노인(65~74세)과 고령노인(75세 이상)들보다 비공식적 네트워크와 공식적 네트워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적 참여와 정치적 참여, 규범의 준수 정도가, 그리고 유배우노인이 무배우노인보다 공식적 네트워크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사회적 참여, 비공식적 네트워크, 공식적 네트워크, 규범 준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와의 동거여부에 따라 비공식적 네트워크와 규범 준수 정도가 달라지는 바,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들은 비공식적 네트워크의 형성 정도가 높았으며, 규범준수 정도는 비동거 노인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과의 관계에서 가구소득이 높은 노인들이 공적 신뢰가 높고, 사회적 참여수준이 높으며, 공식적 네트워크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주거상태에 따른 차이도 소득과 마찬가지로 자가 노인이 차가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며 비공식적 네트워크와 공식적 네트워크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밝히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먼저 ‘사회적 자본에 따라 생활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정과 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정치적 참여를 제외한 사적신뢰, 공적신뢰, 사회적 참여, 정치적 참여, 비공식적 네트워크, 공식적 네트워크, 호혜성, 규범 등 모든 사회적 자본 변수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생활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식적 네트워크와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다른 사회적 자본변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다만 사적신뢰와 공적신뢰, 그리고 정치적 참여의 경우는 그 차이가 매우 미미하였고 통계적으로도 특별히 유의미한 결과를 낳지 못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자본은 노인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는 바,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변수 가운데 공식적 네트워크, 비공식적 네트워크, 호혜성이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제변수인 인구경제사회적 변수를 포함한 회귀분석에 있어서도 가구소득, 건강상태와 더불어 공식적 네트워크와 사적신뢰와 같은 사회적 자본 변수가 생활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식적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적 자본 변수는 가구소득이나 건강과 같은 인구사회경제적 변수보다 노인생활만족도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들의 사회적 자본 가운데 사회적 참여와 네트워크 수준이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는 바, 참여를 통하여 비로소 협력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 규범, 신뢰와 같은 사회조직화의 특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홍보활성화를 통하여 지역사회 행사참여를 높이고, 노인들이 기획, 진행하는 행사를 개발하며, 기존의 노인단체에게 기준에 따라 차등적 지원금을 지급하는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고, 노인단체 가입 후에도 전문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 등으로 지속적인 참여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인구경제사회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노인의 사회적 자본을 확충하는데 있어서 인구경제사회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노인들을 대상으로 특화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무배우노인 및 독거노인들을 위한 돌봄 서비스의 확대, 말벗 또는 자매결연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확대․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결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일관되고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네트워크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보편적 정책투자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 공식적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회적 참여를 저해하는 제약요인을 해소하여 네트워크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제도적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하고, 지역사회프로그램에 노인들의 지속적 사회참여를 보장하며, 노인단체의 지원 및 단체간 네트워크의 형성에 있어 공사간의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의 확충과 노인들의 정보수집 및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정보화프로그램을 더욱 확대,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비공식적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가족간, 이웃간 소통과 교류를 촉진할 수 있도록 가족상담 및 가족생활프로그램, 이웃교류프로그램 등 다양한 정부정책이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건강과 소득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건강한 노화를 위한 프로그램과 소득증대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재가보호(home care) 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되어야 하며, 교량형 및 연계형 사회적 자본 육성프로그램의 제공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노인들에게 일자리나 직접적인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는 외에 지역사회 내의 사회적 자본의 크기를 키울 수 있는 사업을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향후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수립되는 노인복지정책의 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노인복지정책의 독립적 영역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정보와 통계가 정기적으로 작성, 유지되어야 하며, 노인복지정책 수립시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확충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예산확보와 투자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이 가진 중요한 자원으로서의 사회적 자원의 측면을 인식하고 노인이 가진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 사회경제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하여 기존의 속성중심의 연구들과는 전혀 새로운 시각에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신뢰, 참여, 네트워크, 규범 및 호혜성과 같은 사회적 자본의 핵심요소를 모두 망라하여 사회적 자본 변수를 구성하고 있어서 네트워크나 참여와 같은 일부 요소를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과 노인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탐색한 기존의 연구와도 차별화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 영향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고, 공식적 네트워크와 같은 일부 사회적 자본 변수는 소득이나 건강상태와 같은 인구경제사회적 변수보다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있어 더 폭넓은 설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노인의 삶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향후 노인복지정책의 수립에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노인생활만족도, 사회적 자본, 신뢰, 참여, 네트워크, 규범, 호혜성

      • 노인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장명숙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399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생태체계관점에서 개인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 거시체계요인로 설정하여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개인체계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직업, 건강상태, 소득수준, 교육수준, 주거환경, 자아존중감을, 미시체계요인으로는 자녀지지, 배우자지지, 친구․이웃지지를, 중간체계요인으로는 여가활동, 봉사활동, 종교활동을, 거시체계요인으로는 기초노령연금 수령여부, 장기요양보험제도/노인돌보미바우처서비스제도 이용여부로 설정 분석하여 생태체계요인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에 관한 결과, 생태체계요인과 생활만족도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생태체계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ver 15.0을 사용하여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술통계 분석, t검증, 분산분석, 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 하였다. 첫째, 생태체계 요인별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인체계요인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직업이 있는 노인이,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가에서 생활하는 노인이, 자존감이 높을수록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미시체계요인에서는 자녀, 배우자, 친구․이웃이 있는 노인이, 중간체계요인에서는 여가활동, 봉사활동 및 종교활동을 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거시체계요인에서는 기초노령연금을 받지 않는 노인이, 장기요양보험제도/노인돌보미 바우처서비스제도를 이용 하지 않는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생태체계요인과 생활만족도 두변수간의 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체계요인에서는 건강상태, 소득수준, 자아존중감이, 미시체계요인에서는 자녀, 배우자, 친구․이웃지지가, 중간체계요인에서는 여가활동 정도, 여가활동 횟수, 봉사활동정도, 종교활동 정도가 생활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태체계관점에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 자녀지지, 봉사활동, 여가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체계, 미시체계, 중간체계요인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거시체계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체계요인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미시체계요인에서는 자녀의 지지가 많을수록, 중간체계요인에서는 여가활동을 하는 집단과 봉사활동을 하는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시체계요인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구의 결과에서 상호호혜적인 자녀의 지지와 자녀와의 결속도가 높을수록, 봉사활동과 여가활동으로 형성된 자신감과 상호작용에 의한 사회적지지망이 건강을 증진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킴으로서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한층 더 높아지게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opose a method to a social welfare plan in order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by categorizing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in to personal factor, microsystem factor, mesosystem factor, and macrosystem factor. From a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gender, age, occupation, health condition, level of income, level of education, living environment, and a sense of self-worth was categorized under personal factors; children, spouse, friend and neighbour support as micro system factors; leisure activities, volunteer work, and religious activities as mesosystem factors; whether the elderly is a recipient of basic old-age pension, or whether the elderly utilizes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he social caretaker voucher service was under macrosystem factors. A result would be obtained to state the difference in level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each factor,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ecological system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and analyze how the ecological system factor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The study was done by conducting a survey, with the target group being 216 male and female senior citizens above the age of 65 and residing in Seoul/Gyeonggi province. SPSS ver 15.0 was used to analyze data and conduct a frequency analysis that give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 description analysis that give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 t-test, an analysis of variance, a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level of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ecological system factors, personal factors showed that elderly who are men, younger, employed, healthier, have a higher level of income, have a higher level of education, have their own houses, and have higher of self-worth displayed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ose with children, spouse, friend and neighbour support for the microsystem factors, and those who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volunteer work, and religious activities for the mesosystem factors showed greater life satisfaction. For the macrosystem factors, those who did not receive old-age pension, and those who did not utilize the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he social caretaker voucher service displayed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wo variables of ecological system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health condition, level of income, and a sense of self-worth for personal factors; children, spouse, friend and neighbour support for microsystem factors;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volunteer work and religious activities for the mesosystem factors displaye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a regressiv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sense of self-worth, children's support, volunteer work, and leisure activities were shown to have influence. Thus, while personal, micro, and mesosystem factors have an effect, macrosystem factors did not affec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ense of self-worth for personal factors, stronger the support by children for microsystem factors, those who engage in leisure activities and volunteer work for mesosystem factors expressed greater satisfaction with life. Macrosystem factors were shown to have no influence over life satisfaction. Thus the results of the study states that the stronger the bond with the children, greater mutual support by the children, the confidence obtained by engaging in volunteer work and leisure activities, by improving health conditions through the formation of a social support net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by enhancing a sense of self-worth,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can be gre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