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역정보 이용자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박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급변하는 국제무역환경에 적절히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경제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신속하고도 정확한 무역정보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무역정보의 원활한 유통과 효율적 이용은 무역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곧 국가적 차원의 무역증진과 경제발전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그 파급효과는 대단히 크고 중요하다. 본 연구는 무역정보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정보요구를 최대한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무역정보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면담 및 질문지조사를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무역정보의 특성, 유형 및 주요 정보원과 무역정보서비스기관 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면담과 질문지조사를 통해 무역정보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국내 주요 무역정보서비스기관 7곳의 정보자료실 이용자 24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질문지 가운데 유효한 182부(회수율75.8%)를 SAS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역정보 이용자들의 정보이용 목적은 수출입 실무목적이 63.2%, 조사 연구목적이 36.8%였으며, 소속기관별로는 중소업체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무역유관기관, 대기업체의 순이었다. 둘째, 무역정보 이용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자료는 업체주소록, 각국 통계자료, 주요기관 간행물, 상품카타로그의 순이었으며 이들 자료의 우선순위는 정보이용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통계자료와 정기간행물의 이용에 있어서는 당해년도 발행자료의 이용에 집중되었고 발행한지 1년 이상 지난 자료의 이용률은 급감하였다. 넷째, 이용하는 정보매체의 형태에 있어서 인쇄자료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CD-ROM자료는 수출입 실무목적의 이용자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는 조사연구 목적의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무역정보 이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정보입수채널은 무역정보서비스기관이었으며 또 가장 유용한 정보입수채널이기도 했다. 개인소장자료나 비공식정보채널의 이용은 극히 저조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여러 기관에서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정보입수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업무의 차질이나 지연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무역정보 이용자들의 정보탐색방법에 있어서 장서목록, 색인, 초록지 등은 거의 이용되지 않았으며, 직접 자료실의 서가를 둘러보는 방법이 가장 많았다. 여덟째, 이용자들의 무역정보서비스기관에 대한 요망사항은 자료의 확충, 정보서비스의 개선, 무역주제 전문사서 채용의 순이었다. 필요로 하는 정보서비스로는 Fax 또는 E-mail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필요한 정보의 입수처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 서비스였다. 아홉째, 온라인 종합무역정보서비스에 대해 대부분의 이용자들(66.4%)이 만족하지 않았으며, 그 가장 큰 이유는 제공하는 정보내용의 불충분(57.8%), 원하는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46.9%)였다. 본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무역정보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하다. 둘째, 무역정보서비스기관이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무역정보 이용자들은 그들의 정보이용 목적, 소속기관에 따라 각기 다른 정보요구와 이용행태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무역정보서비스기관은 이들의 특성에 맞춘 정보서비스를 개발하여야 한다. 넷째, 효율적인 도서관 봉사는 사서들의 주제지식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서들이 무역에 관한 주제지식을 갖고 보다 깊이 있는 정보서비스를 하도록 하기 위해, 현재 무역교육에 관한 기능을 담당하는 무역정보서비스기관에서 사서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무역정보 이용자에 대한 폭 넓은 정보서비스를 위해 관련 무역정보서비스기관 사서들간의 협의체를 구성하여 원활한 의사소통과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협의체를 통해 한정된 예산과 인원 내에서 이용자의 요구를 최대한 만족시키기 위한 협력수서, 협력 정보서비스 등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온라인 종합무역정보서비스의 제공정보 내용을 보완하여 보다 유용성 있는 정보시스템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In a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trading environment, of today, the provision of fast and precise trade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In fact, a rapid transmission and efficient use of trade information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trade activ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 of trade information users for more efficient trade information services. Literature review, interview and field survey were used.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types, information sources of the trade information and trade libraries. Personal interviews and field survey were also made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 of the trade information users. For a empirical survey, questionnaires were formulated and delivered to 240 users of 7 major trade libraries. 182 out of 240 surveys were filled in and collected, thus yielding a response rate of 75.8 percent. All questions were measured utilizing the SAS statistical package. This study finds out the followings : First, users collect trade information primarily for practical business purposes (63.2%) and research purposes (36.8%).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respondents by the type of organization, they belong to, the majority comes from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ollowed by trade-related institutions, large companies. Second, the most necessary materials to trade information users are trade directories, statistics, publications of major institutions and product catalogues. The priorities of these materials differ by the purposes of information uses. Third, with respect to the use frequency of statistical data and periodicals, trade information users most frequently use the statistics and periodicals that have been published within one year. Fourth, with regards to the forms of information media, printed materials have turned out to be the most popular among trade information users, while CD-ROM data and on-line data is relatively favored by the users with practical business purpose and research purposes respectively. Fifth, the most popular and efficient channel of collecting trade information is the one through trade libraries. The use of private collections and unofficial information was insignificant. Sixth, most trade information user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gathering information and delays due to the difficulties in gathering information. Seventh, pertinent methods of information searching at libraries, library catalogues, indexing or abstracting journals have been rarely used. It has turned out that most trade information users search material and data just by looking up books on the shelves in the stack room. Eighth, the suggestions by the respondents to the library management are about the increase of library collections,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 and hiring professional librarians. Ninth, most trade information users feel uncomfortable with the on-line general trade information service mainly because it contains insufficient information (57.8%) or does not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46.9%).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 First, education about information use is necessary for trade information users so that they can have easy access to the information in their need. Second, active promotion of individual trade library’s information service is needed. Third, trade information users represent different needs and behavior depending on the purpose of information use and the type of organizations they belong to, and thus information services have to be further developed to meet those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istics. Fourth,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 is highly dependent on the subject knowledge of librarians. Accordingly for the qualitative advancement of information service,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on trade subject should be given to the librarians. Fifth, it is recommended that a council consisting of trade librarians be organized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lively information exchange among the librarians in charge and it is desired to make close cooperation among the trade librarians. Six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of on-line trade information system to be useful system.

      • 이용자 참여형 기록정보콘텐츠에 관한 연구 : 미국 DocsTeach를 중심으로

        한준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콘텐츠의 가치가 커져가면서 콘텐츠를 소비하는 이용자의 요구를 직접적으로 콘텐츠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그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모든 콘텐츠가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콘텐츠가 될 수는 없다. 이러한 대안으로 나오는 것이 상호작용 콘텐츠이다. 상호작용 콘텐츠 중에서도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는 이용자가 직접적으로 콘텐츠, 제작자, 이용자 간에 상호작용 하면서 이용자들이 직접 콘텐츠를 구성해나가는 것이기에 이용자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최근, 기록관리 분야에서도 콘텐츠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록 보존의 궁극적 목적이 기록의 활용으로 변화되어가고 있기에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록관의 콘텐츠는 이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콘텐츠가 아닌, 단순히 이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지나지 않는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용자, 콘텐츠, 제작자 간에 상호작용할 수 있게 제작된 NARA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인 DocsTeach를 분석하여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고, 이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후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국내 기록관에서 이용자 참여형 콘텐츠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제조건에 대해 제안하였다. It has become important to directly reflect the user's demand for consuming the content to the content as the value of the content increases. As a result, in many cases, the user's needs are grasped and the directionality is set in the content production stage. However, not all content can be cont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users. What comes out of this alternative is interactive content. Among the interactive contents, the user participatory contents directly influenc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since the user directly constructs the contents by interacting with the contents, the producer, and the users. Recently, the importance of contents is also increasing in the field of record management. Since the ultimate goal of archival preservation is changing to the use of archival records, contents are produced and provided for user-centered services. However, the content of the archives is nothing more than content that the user can interact with, but merely accessible cont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NARA 's online education contents, DocsTeach, which is designed to interact with users, contents, and producers, and analyzes how they can construct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proposed the preconditions for activating user participation contents in the domestic archives.

      • 공공도서관 이러닝 이용자교육 콘텐츠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정미숙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식정보화사회는 정보를 활용하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이 중시되는 사회이다. 공공도서관은 정보격차를 해소하고 누구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공공기관이다. 따라서 지식정보화사에서 도서관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 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역할을 위해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교육하는 이용자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공공도서관에서는 아직까지 이러닝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지 않아 대학도서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공공도서관을 위한 이러닝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참고가 될 평가항목들을 조사하였다. 이와 함께 이러닝 콘텐츠 평가기준들과 공공도서관 사서들과 면담을 통해 요구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학습내용, 교수설계,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4개 영역에서 총 37가지의 공공도서관 이러닝 이용자교육 콘텐츠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전국 공공도서관 사서들에게 평가항목의 적합도를 설문하여 평가항목으로 적합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평가항목들의 평균이 사서들의 사이버학습경험 유무와 이용자교육경험 유무, 근무연수별 평균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이버학습경험이 있는 사서들의 학습내용영역 적합도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항목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이러닝 이용자교육 콘텐츠 평가기준에 대한 인식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 중 적합도 평균이 다른 항목보다 높게 나온 항목들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 이러닝 이용자교육 콘텐츠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페이스는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도서관의 특성상 누구나 항상 비용 없이 접근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버튼이나 아이콘 등은 의미가 명확해야 하며, 원하는 학습단계로의 이동도 자유롭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습내용에는 도서관의 기본 안내를 충분히 포함해야 하고 정확하고 최신의 내용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이용자들의 주의와 관심을 끌만한 효과적인 멀티미어를 적절히 사용하여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학습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학습시간은 너무 길지 않게 하며, 학습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교수 설계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평가항목들은 공공도서관에 적합한 이러닝 이용자콘텐츠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이용자들의 요구가 반영된 이러닝 이용자교육 콘텐츠가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Access to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the most important tool for a society to attain literacy. The primary role of the public library is to make knowledge and information easily accessible to all citizens in an effort to reduce the information gap between social classes. The Public library is trying to help all library users through library instruction. In an effort to make it easier for a user to navigate the library, the e-learning library system was design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ublic library e-learning contents evaluation items and understand the reasons why this evaluation items were created for use in the public library. At first, excellent University libraries's instruction programs were analysed to ascertain if they would be of practical for use in a public library, and then decide what best met the needs of public library from librarians. As a result, thirty-seven items of the public library's e-learning user instruction contents were created. They are listed in 4 separate categories which include: learning contents, method of learning, interface and design.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using the public library's e-learning instruction are as follows: 1st. The instruction should be accessible at all times and at no charge to the user. And the user should feel at ease while navigating from one site to another to find more information. Also the program should provide explicit icons and a good navigational system. 2nd. The library guide with instructions should be easy to follow and clearly stated. And new materials should be promptly updated into the system. 3rd. The instruction should use multimedia to make the material more interesting. 4th. The learning goal should provide clear and concise instructions. And should give rise to motivation. This evaluation items is not absolutely. Therefore it need to reflected requirement of public library user and practical proved when the programs is spread many public library. This study is expected to basic study when public library librarian is design and develop e-learning user instruction contents.

      •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의 영향력 확인을 중심으로

        변주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and agency level indicators factors on client-centered practice of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3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of social workers in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verage difference of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of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it was foud that relig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ient-centered practice. Third, the relevance and extent of client-centered practice, social worker's and agency factors, and control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religion, social welfare value suitability, creativit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client-centered practice. In addition, social welfare qualification criteri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client-centered practic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client-centered practice, the higher the religious practitioners, the more appropriate the social welfare values, the more creative the social welfare values, the better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supervisor,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Fourth, as a major problem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injecting demographic, social worker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to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client-centered practice. In the final analysis model 3, 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the client-centered practice level were shown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person in charge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person in charge.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an be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better the social welfare center practitioners' communication skills, the more significant the client-centered practice, the mor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super vision should be supported to enhance social welfare workers' communication skill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he higher the degree of client-centered practice, it suggests the need for experience and leadership education that can promote creativity to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alize flexible thinking and ideas. Third, it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users, ethical attitudes, education and self-development on the identity and responsibilities of social workers, and systematic super vision should be actively attempted based on social welfare values. 본 연구는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이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내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의 평균 차이를 확인한 결과, 종교 유무가 이용자 중심 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이용자중심실천, 독립변수인 실무자 요인 및 조직요인, 통제변수 간 관련성 여부와 정도를 분석한 결과, 통제변수인 종교와 독립변수인 사회복지 가치적합성, 창의성, 대인의사소통능력, 수퍼바이저-수퍼바이지 관계, 혁신적 조직문화가 이용자중심실천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제변수인 사회복지 자격기준은 이용자중심실천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종교를 가진 실무자일수록, 1급 사회복지 자격기준을 갖출수록, 사회복지 가치와 적합할수록, 창의적일수록,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수퍼바이저와 관계가 좋을수록, 혁신적 조직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 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본 연구의 주요 문제로서 실무자 요인과 조직 요인이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이용자중심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인구사회학적 요인, 실무자 요인, 조직 요인을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분석 모델3에서 이용자중심실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는 실무자 요인의 대인의사소통능력과 조직 요인의 혁신적 조직문화 순으로 영향력을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 제시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관 실무자의 대인의사소통능력이 좋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무자의 의사소통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수퍼비전을 지원해야함을 시사해준다. 둘째, 혁신적 조직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용자중심실천 정도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토대로, 유연한 사고와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창의성이 촉진될 수 있는 경험과 리더십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셋째, 사회복지가치를 기반으로 이용자에 대한 이해, 윤리적 태도,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책무성에 대한 교육과 자기개발, 체계적인 수퍼비전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 이용자들간 정보 획득 차이에 관한 연구

        양혜승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보화 시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아주 다양하다. 그러한 시각들 중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는 것 중의 하나는 바로 정보 격차의 문제이다. 어떤 이들은, 뉴 미디어의 기술적인 속성상 이용자들간의 정보 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어떤 이들은, 단지 이러한 뉴 미디어의 기술적 속성만이 정보 격차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며 이용자들의 인적 요인(human factor)이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뉴 미디어의 대표 주자라 할 수 있는 웹 이용자들간의 정보 격차는 과연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그 변인들의 영향력이 이용자들의 이용 기간의 추이에 따라서, 즉 단기·중기·장기 이용자의 경우에 있어서 각각 어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과연 어떠한 변인들이 정보 격차를 지속 또는 심화시킬 개연성이 있는 변인인지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뉴 미디어 중에서도 웹이라는 매체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게 된 것은, 웹이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이론들과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여 크게 네 범주의 변인들을 도출하였는데, 웹 이용자들의 정보 획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 네가지의 범주는, 이용자들의 개인적인 특성, computer literacy, 사회경제적 지위 그리고 이용자들이 소속된 집단의 특성 등이었다. 이에 대한 하부 변인을 설정함에 있어서, 개인의 특성으로는 인지 욕구와 인터넷에 대한 태도를, computer literacy에는 정보 검색 능력과 영어해독 능력을, 사회경제적 지위에는 경제 수준, 교육 수준 그리고 성별을, 마지막으로 소속 집단의 특성으로는 가족의 인터넷 이용 여부와 동료 집단의 인터넷 이용 정도를 포함시켰다. 이러한 연구 목적 아래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범주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번째 연구 문제와 관련해서는 모두 4개의 관련 가설들을 수립하였으며, 두번째 연구 문제는 가설을 수립하지 않는 탐색적인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문제 1-1, 웹 이용자들간 computer literacy의 차이는 정보 획득의 양적 ·질적인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 가설 1-2, 인터넷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이용자일수록, 그리고 인지 욕구가 높은 이용자일수록 웹을 통한 정보 획득 과정에서 양적으로 많고 질적으로 나은 정보를 획득할 것이다. 연구 문제 1-3, 웹 이용자들간 사회경제적 지위의 차이는 정보 획득의 양적·질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 가설 1-3,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이용자일수록 웹을 통한 정보 획득 과정에서 양적으로 많고 질적으로 나은 정보를 획득할 것이다. 연구 문제 1-4, 웹 이용자들이 속한 소속 집단의 특성은 정보 획득의 양적·질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연구 가설 1-4, 웹을 활발하게 이용하는 집단에 소속된 이용자일수록과 웹을 통한 정보 획득 과정에서 양적으로 많고 질적으로 나은 정보를 획득할 것이다. 연구 문제 2, 웹 이용자들의 이용기간의 추이에 따라 웹 이용자들간 정보 획득의 양적·질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 연구는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직접 면접법과 E-mail을 통한 설문지 총 239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웹 이용자들의 정보 획득에는 다양한 변인들이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특별히 정보 검색 능력, 영어 해독 능력과 같은 computer literacy는 웹의 이용 시간뿐만이 아니라 정보 획득의 질적인 부분에도 관여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한편, 인지 욕구와 성별은 웹 이용 시간에 영향을 미쳐, 정보 획득의 양적인 측면에 관여하고 있었으며, 인터넷에 대한 태도, 교육 수준, 가족이나 동료 집단의 이용 등은 정보 획득의 질적인 측면에 관여되어 있었다. 특히, 정보 검색 능력과 같은 변인은 이용 기간의 추이에 관계없이, 즉 단기 이용자, 중기 이용자, 장기 이용자 할 것 없이 정보 획득의 양적·질적인 측면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변인으로 나타남으로써, 이용자간의 정보 격차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 중요 변인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우리가 적어도 민주적인 정보화 사회를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computer literacy와 같은 새로운 literacy 측면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그에 대한 정보화 교육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There are various views on the age of information. It is the views on the information gap among the user of new-media that is the most salient one. Some insist that the technological attributes of new media will widen the information gap of the users. On the contrary, the others insist that there are other variables or human factors that are the main causes of the information gap of the users.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explore what variables affect on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of the users of new media. In addition, this study also try to explore the variation of effect of the variables as the time of Web use, comparing the short-team, mid-term and long-term users. Web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mong a lot of new media because it is the representative information database which is being used by a number of people around the world. The tour variables were selected out of previous theory and research and those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the computer literacy of the users, the socio-economic statures of the users and the traits of social structure to which the users affili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included cognitive desire and the attitude toward Internet, computer literacy of the users did the skill in information search, translation proficiency in English, the socio-economic statures of the users did the level of economy and education and the sex and the traits of social structure to which the users affiliated did the rate of Internet use of family and colleagues. The research questions was as following: 1-1, D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b users affect the degree of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1-2, Do the computer literacy of the Web uses affect the degree of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1-3, Do the socio-economic statures of the Web users affect the degree of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1-4, Do the traits of social structure to which the Web users affiliated affect the degree of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2, How vary the effect of the variables on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s the duration of use of new-media? This study used such survey methods as direct survey and E-mail survey, 239 subjec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Computer literacy such as the skill in information search and translation proficiency in English were not only the variables that affected the time of Web use, but also the ones that affected the qualitative acquisition of information. In addition to such variables as cognitive desire and the sex affected the tune of Web use, and the attitude toward Internet,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use of family or colleagues affected the qualitative acquisition of information.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that the skill in information search was the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of Web users because it affec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cquisition of information of Web users no matter how long the duration of web use. In conclusion, if we are to live in democratic information society, it is obvious that we must concern about new literacy or computer literacy and that the education about that should be strengthened, because the ability of new media use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s to explai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cquisition of information.

      • 대학도서관 이용자 맞춤형 교육의 효과적 도입과 운영 방안 연구

        정미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practices of the customized bibliographic instructions (CBI) at four-yea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The study also examined instruction librarians’ perceptions of the obstacle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effective adoption and delivery of the CBI. A survey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and eight in-depth interviews with CBI librarians at eight different academic librar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popul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cademic libraries of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Korea and the instruction librarians working in the academic libraries. There were a total of 206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at the time of the study. The study sampled an instruction librarian of the main campus library from each of the 206 universities. When there were multiple instruction librarians at a library, the librarian who was primarily delivering the CBI was selecte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a web version and distributed via their emails in September 2013. As a result, a total of 149 out of 206 BI librarians responded, resulting in the response rate of 72.3%.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e overall picture of the CBI operated in Korean academic libraries and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the obstacles and facilitators in adopting and operating the CBI. Key findings of the study include the following: 63.1% of academic libraries in Korea were providing some sort of CBI for their faculty and students, and the number has been increased steadily since 2000. Regarding the facilitators of CBI, respondents perce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ulty and librarians, librarians’ willingness to provide the CBI, and their service-oriented attitudes were more important than educational facilities and librarian’s professional background. Yet, the study uncovered the fact that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s and librarians’ professional backgrou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gram size, perceived obstacles, and librarians’ qualific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useful strategies to apply in adopting and operating the CBI in academic libraries in Korea.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both institutional level and individual level were discussed in two aspects: adoption stage and development stage. 21세기 정보사회에서 대학도서관과 대학도서관 이용자는 급격한 환경 변화를 겪고 있다. 대학도서관은 전자도서관 구축, 다양한 전자자료 소장 등으로 정보가 급증하고 그 유형이 다양해졌으며, 대학도서관 이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로의 접근이 자유로워졌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서 이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선별, 검색, 활용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을 더욱 필요로 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대학도서관은 대학구성원들의 교육과 학습,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은 대학도서관만이 갖는 특징이자 책임으로, 도서관 환경 변화와 이용자 요구의 다변화 현상에 맞추어 적절한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대학도서관에서는 이용자의 도서관 및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유형의 이용자교육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이용자의 저조한 참여와 낮은 만족도는 기존 이용자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문제로, 이용자 교육방법과 내용 등에서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 이용자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한 교육으로, 이용자의 요구와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교육을 적시에 제공한다는 특성이 있는 ‘맞춤형 교육’이 일부 대학도서관에서 도입·시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 맞춤형 교육의 제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교육 운영의 장애요인을 조사하고, 교육의 효과적 도입과 운영을 위한 조건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맞춤형 교육의 운영 현황, 맞춤형 교육 미시행 도서관의 특성,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이 이용자 맞춤형 교육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 심층면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맞춤형 교육의 정의, 유형별 장단점, 교육내용, 연구동향 등을 고찰하였다. 심층면담은 본 설문조사를 위한 예비조사로 수행되었으며, 현재 맞춤형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경기지역 소재의 대학도서관 사서 8명을 대상으로 각 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맞춤형 교육 운영 현황, 교육 경험, 그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와 심층면담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전국 206개 4년제 대학의 중앙도서관에 재직 중인 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이용 가능한 총 149부가 회수됨으로써 72.3%의 응답률을 보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맞춤형 교육의 운영 현황, 맞춤형 교육 미시행 도서관의 특성,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맞춤형 교육의 효과적인 도입 및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 대학도서관의 맞춤형 교육 도입 및 운영현황을 살펴보면, 연구에 참여한 대학도서관 중, 이용자 맞춤형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은 63.1%, 그렇지 않은 도서관은 36.9%이었다. 맞춤형 교육에 배정된 전담사서의 수를 보면, 1명인 도서관이 54.3%로 가장 많았고, 3명 이상인 도서관은 24.5%였다. 맞춤형 교육의 도입은 1990년대 이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2006년 이후에 도입한 곳이 72.3%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 유형으로는 교수 요청에 의한 강의연계교육이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었다. 맞춤형 교육은 대상별로 신청하는 교육 내용에 차이가 있었는데, 학부생은 기본적인 도서관 이용 방법과 전자도서관 활용 방법을 주로 요청하는 반면, 대학원생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교육내용을 요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맞춤형 교육을 시행하고 있지 않은 도서관의 경우, 도입 의사나 시행 계획 유무에 관계없이 사서 인력 부족과 교육에 대한 이용자 요구 부재가 맞춤형 교육을 도입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 조사되었다. 맞춤형 교육 담당 사서들의 인식 조사와 관련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사서들은 교육 운영을 가능하게 한 핵심요인으로 이용자의 요청을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다음으로 사서의 서비스 정신, 교수진과의 협력을 주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성공적인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필요조건에 대해서는 교수진과의 협력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 담당자 배치, 사서의 인력 수, 교육 지원 등 역시 중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맞춤형 교육 담당 사서들은 교수진과의 관계나 사서의 교육 의지, 봉사정신 등의 측면은 중요도를 높게 인식한 반면, 도서관 인프라나 사서의 역량 측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중요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육의 활성도, 장애요인 인식, 사서의 자질 및 자격 인식과 도서관의 인프라나 사서의 역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남으로써, 이들 요인이 사서의 인식에서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았을 뿐 교육 운영 자체에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식과 실제 현상에서의 차이(gap)는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예산, 교육 인력, 교육 시설 등의 제 여건이 조성되지 않은 최소한의 상태에서 교육을 운영하기 때문에 교수진과의 협력, 담당자 배치와 인력, 사서의 봉사정신, 교육 의지와 같이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교육의 운영현황에 따라 대학도서관을 도입단계와 발전단계로 구분하고, 단계별로 사서 개인적 차원과 기관적 차원에서 맞춤형 교육의 도입 및 운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맞춤형 교육 도입단계에서 사서는 첫째, 맞춤형 교육은 사서의 교육 의지와 봉사 정신에서 시작됨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교육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와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주요 신청자를 대상으로 한 전략적인 홍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교육 도입단계에서는 교수진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강의연계교육'을 중점적으로 개발해 가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기관적 차원에서는 도서관 운영을 담당하는 기본 인력 이외에 교육전담인력을 따로 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 지원 중에서 특히 교수법을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맞춤형 교육 발전단계에 있는 도서관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서는 소수 집단을 위한 개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심화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문적인 교육 제공을 통해 교육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다. 둘째, 심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 담당 사서는 주제 지식과 교수법 등 학술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셋째, 맞춤형 교육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교육운영의 각 단계에서 개선 및 보완이 필요하며 이용자의 피드백 점검이 필수적이다. 넷째, 맞춤형 교육의 연장선에서 사서가 대학 교육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현장주재사서(embedded librarian)의 역할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한편 기관적 차원에서는 첫째, 교육을 담당하기에 충분한 다수의 사서 인력이 배정되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교육의 운영 활성화와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도서관 시설 및 인프라 등의 자원을 충실히 확보해 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 담당 사서의 재교육 과정 및 교육지원 방안이 필요하며, 나아가 담당 사서들이 교육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나눌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의 중앙도서관을 전수 조사하여 현재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맞춤형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담당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실무자들에게 맞춤형 교육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다양한 관점에서 후속연구가 수행되는데 기반이 되는 연구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한다.

      • 공공도서관 이용자 행태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김은자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사람들에게 영혼을 심어주고 생명을 나누어 주는 책과 사람을 연결시켜주는 공공건축물”이며, 지역사회의 ‘문화공간’이요 ‘사랑방’이라 할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이러한 공공건축물의 기능을 어떤 형태로 구성하느냐가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의 과제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지역인 과천시(이하에서는 “G시”로 칭한다)는 경기도 중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21,609세대 60,905명(2008. 10월 기준)이다. 남․여 성별구성 비율은 오차범위가 ± 1%미만이며, 장서 수는 인구1인당 약 8.6권으로 1개 도서관 당 서비스인구가 약30,450명으로 지역 내에 2개의 공공도서관이 소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방법으로 공공도서관의 국내ㆍ외 공간기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하였으며 이용자 행태조사를 위하여 통계조사를 병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 행태분석을 활용한 탐색적 공간구성 방법을 위한 연구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국내ㆍ외 공공도서관의 시설기준 및 공간사례를 분석하였다. 공공도서관 이용행태, 동선이동경로, 공간별 체류시간 등을 분석하여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관계 분석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과 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연구로서 공간구성에 필요한 건축 계획적 이론에 대한 시설기준을 살피고 둘째,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대한 사례는 사용자 행태에 대한 관찰조사이며 셋째,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방문자료를 활용하여 이용자행태와 공간 사용상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과정에서는 그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5년간의 도서관 주변상황을 정리하여 단위가 다른 시, 분, 초의 통계처리 방법을 모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가 각각 다른 셀에 들어가 있고,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계분석을 통한 검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자료를 다시 통합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후 연․월․일 등의 기준을 통일 시킨 후 엑셀 환경에서 구동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였다. 회원과 비회원 등 회원유무별로 다르게 수집된 각종 정보를 표준화 시킨 후 엑셀에서의 정렬(sort) 기능으로 이상치(out-lier)를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통계전용 소프트웨어인 spss(ver.2.0)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분석절차를 거쳤다. 첫째, 비교집단간 및 집단내의 체류시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으며, 성별 공간이동 순서 및 공간이용 수를 비교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하였다. 둘째, 전체 평균체류시간 및 성별ㆍ회원유무별 체류시간은 평균값(mean)을 산출한 후 비교분석하였는데 유의도 검정을 위해 T-검정(t-test)을 하였으며, 연령대별 체류시간은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고 사후검정으로 쉐페(scheffe)를 사용하였다. 도서관 이용자 수와 이용시간에 따른 성별, 연령별, 요일별, 월별, 체류시간별, 공간 이동경로 및 공간 이용률 등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5년 동안 실시간으로 수집된 일반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그 중에서 1ㆍ2차 표본 데이터를 본 연구의 주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그 과정에서 연구자의 근무경험을 토대로 데이터 수집기간의 외적인 현상을 근거로 수차례의 데이터 편집과 데이터 업데이트를 거쳤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도서관 이용자의 평균체류시간은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한 검정방법으로 분산분석(ANOVA)을 한 후 교집단간의 표본수가 다를 때 검정력이 강한 Scheffe를 사용하여 사후검정을 하였다. 결과로는 전체 공간 이용률은 어린이실 34.6%, 자료실Ⅱ 29.85%, 자료실Ⅰ 26.5%, 가족열람실 9.05%이며, 성별 공간 이용율은 여자 61.50%, 남자 38.50%, 계층별 공간 이용율은 성인 43.80%, 초등학생 26.70%, 중ㆍ고생 18.30%, 유아 11.20%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 이용자는 남성보다 여성이용자가 더 많았으며, 계층별로는 성인 이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유아가 가장 적게 이용하였다. 전체 공간 점유율은 어린이실이 가장 높았고, 가족열람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료실Ⅰ․Ⅱ 공간이용률의 오차범위가 ±10% 이내이므로 공공도서관의 자료실과 대출카운터를 단일공간으로 통합하는 공간계획을 하여야 하며, 공용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 이용행태 분석결과 나타난 데이터를 근거로 공용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공용공간(현관홀, 화장실, 휴게공간, 카페테리아, 엘리베이터, 옥외정원, 계단 등) 구성 프로그램도 계획하여야 한다. 한편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인 어린이실은 성인자료실과 교차되지 않는 독립형 공간으로 구성하고, 도서관 규모 및 환경에 따라 다소 편차는 나타나겠지만 가장 낮은 수치의 이용률을 보인 공공도서관의 일반열람실 성격이 강한 가족열람실의 공간구성은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용하는 장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공간점유율로 인해 지금까지 전통적인 관례처럼 답습되고 있는 십진분류 순서의 서가배치보다 자료이용 우선순위 중심의 서가배치가 정보접근에 효율적인 공간구성 연결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도서관내에서의 공간 이동률은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다를 것이다.”라는 가설을 카이제곱검정으로 회원과 비회원의 공간이동률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 모두 1개의 공간만을 이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비회원에 비해 회원집단이 좀 더 다양한 이용 횟수를 보이고 있었으며, 분산분석으로 4개 집단의 공간이동 횟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중․고생이 가장 다양한 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독립적인 행동이 어려운 유아의 이용 공간 수가 가장 작아, 집단 간의 차이는 0.01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요일별로 이용자의 이용공간 수를 비교분석한 결과 토요일이 가장 많았고, 수요일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분산 분석결과 요일별 차이는 0.01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는 “도서관 방문시각은 이용자의 행태에 따라 다를 것이다.”라는 가설에 대한 결과로 전체적인 도서관 방문 시각은 13:26:25초이며, 연령대별 도서관 방문시각을 비교해 본 결과 성인의 방문시각이 13:22:49로 가장 빠르고, 그 다음은 중․고등학생으로 13:54:33, 초등학생은 14:45:50, 유아는 14:10:45 등의 순으로, 연령대 별 방문시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P<0.01)하게 나타났다. 여기서 유아와 주부들의 방문시각을 검토하고자 30대 주부들의 방문시각을 검토하였으나 13:41:06으로 성인 이용자들과 표준오차범위가 차별되지 않았다. 따라서 도서관이 서비스해야 할 지역의 특성과 그 도서관이 서비스해야 할 대상들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개관시간을 지역별, 요일별로 탄력적으로 도입하여 이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도서관서비스가 되도록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jor role of a public library is to be "a public structure which links people with books that offer people with mind and soul and also with each other", "a cultural space" or "social circles". Our goals of organizing space for a public library is to compose and distribute functions of this public structure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Gwacheon-si ('G'city as an abbreviation), the area of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ocated in the middle western area of Gyeonggi-do and has 21,609 families with 60,905 people (based on Oct. 2008.). An error tolerance of a gender ratio of this city is less than 1 percent and a collection of books is about 8.6 books per capita. There are two public libraries in the region and about 30,450 people can be accommodated with each library. This study tried to refer to sundry records and performed a case study, as a basic study method for space organization of a public library, to understand standards domestic and overseas and kept its pace with statistical research for users' behavioral investigation. Accordingly, this study can be a research for probing space organization through users' behavioral investigation. The author analyzed standards of space organization and performed a case study of a public library both domestic and overseas. This mainly analyzed correlation that affects space organization with users' behavior, traffic line and the length of people's visit for each space. This study was progressed by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methods. First, we examined the structural standards of construction programming theory for space organization as records investigation. Second, cases about space organization of a public library was an observation research of users' behavior, and the last was, with visitor's log for users of a public library, to investigate relevance between users' behavior and usage of a public library. The author tried to find a statistical method with an hour unit, a minute unit and a second unit through arranging library circumstances for 5 years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 As Collected data were contained with each cell respectively, there was a disparity on the unit. It created problems and made it impossible to verify the data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author developed a new program reunifying the data. Then it was transformed into a format which can be operated on Excel environment after unifying standards such as year, month, and date, and so on. Standardizing every information collected from membership and non-membership, the author excluded out-lier with 'sort' function on Excel. Collected data with these methods were analyzed with SPSS(ver. 2.0) as an exclusive statistics software, which verified the following specific analysis procedure. First, the author used analysis of variance(ANOVA) to verify differences of time of visits between comparative groups and inter-groups and performed chi-square test as an analysis method to compare the space movement order and usage of the space by gender distinction. Second, the overall average residence time, gender distinction and membership/non-membership was comparatively analyzed after yielding 'means', which performed T-tests for the level of significance verification, and performed ANOVA for the residence time according to age groups, performed Scheffe as Post-hoc comparison. In order to comparatively analyze gender, age, daily, monthly, residence time distinc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blic library users and use hours, general data which was collected in real time over five years was used. Among those, first and second standardized data were used as core data for this study. During the process, numerous data editing and updates took place for external phenomena of data collection period based on researcher's work experience. Result on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Scheffe, which has a strong statistical power and frequent usage when there is a disparity of sampling numbers among comparative groups, was used for Post-hoc comparison after ANOVA as a test on the hypothesis based on "there could be a difference of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users of a public library according to users' own character." As a result, the whole occupancy rate was as follows : 34.6% for Children's room, 29.85% for Materials Ⅱ, 26.5% for Materials Ⅰ and 9.05% for Family's room. The occupancy rate by a gender distinction was as follows : 61.50% for female, 38.50% for male and the occupancy rate by levels was as follows : 43.80% for adults, 26.70% for elementary schoolers, 18.30% for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ers, 11.20% for infants. It shows that female users is more than male users, adult users ranks the top standing and infants the lowest by levels. And Children's room ranks the top standing and Family's room ranks the lowest by an whole space share. Hence, due to less than 10% of an error tolerance of Material Ⅱ․Ⅰ usage ratio, a space program unifying Materials and Loan desk is required. And building programming of public usage space(a lobby, a bathroom, a lounge, a cafeteria, an elevator, a garden and a stairway, and so on.) for promoting usage frequency is required based on the data of an analysis of users' behavior. At the same time, it is effective to make Children's room which ranks the highest usage rate be an independent space without crossing by Adults materials. And it also demanded that space organization of Family's room as a general reading room, which ranks the lowest usage rate, be approached carefully. Especially, It shows that the priority order-centered book distribution of materials usage is more effective way than the decimal classification sticking to an old tradition which was caused by space share rate that presents a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collection usage. Second, looking into membership/non-membership space organization rate using Chi-square test based on a hypothesis "the space movement rate in the library would be different due to users' character", both has a same conclusion: each group only uses 1 space. But membership group has more various usage frequency than non-membership group. Performing ANOVA, it shows junior-middle high schoolers enjoy the most various space after comparative analysis of 4 groups using numbers of space movement. Also, due to the smallest numbers of space for infants which has a difficulty doing an independent act, there is 0.01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among groups. By days, Saturday ranks the top standing and Wednesday the lowest and ANOVA shows the gap of 0.01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by days. Third, as a result based on hypothesis "the time of visit would be different by users' behavior", a whole average time of a library visit is 13:26:25. the fastest is 13:22:49 for adults by age groups, 13:54:33 for junior-senior high schoolers, 14:45:50 for elementary schoolers, 14:10:45 for infants; the difference of a visit time of the library shows the level of significance statistically(P<0.01). Concerning this, the author tried to investigate the time of visit of housewives of thirties to recognize the time of visit of housewives and infants but it was 13:41:06, which wasn't discerned with adults as an average error tolerance. Thus, this study shows that operating the user-oriented library is effective with a flexible system of opening hours by regions and dates based on the peculiarity of the region and conclusions of analysis about users which should be served by the library.

      • 대학도서관의 온라인 이용자교육에 관한 연구

        정준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fter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the realities that is facing university libraries, to explain the problem about them and suggest the ways of Online User Education that university libraries pursue in the upcoming future. In order to do this aim, the study proposed the criteria for Online User Education. According to them, the specific evaluation has been performed to the membership libraries of Korea Private University Library Association. The items of appraisal are as follows; 1. The Autonomy of Education. 2. The Contents and Level of Education. 3. Interface. 4. The Evaluation of Education and Follow-up Measures.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ways in which Online Library Education are going to pursue are discussed and suggested.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온라인 이용자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평가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한 후, 향후 대학도서관이 지향해야 할 온라인 이용자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온라인 이용자교육의 개념, 방법, 특징 등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는 대상도서관의 온라인 이용자교육을 평가하기 위하여 영역별 평가항목을 설정하였다. 평가를 위해 제시한 온라인 이용자교육 평가기준은 교육의 자율성 영역, 교육의 내용과 수준 영역, 인터페이스 영역, 교육 평가 및 사후관리 영역 등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졌다. 세 번째는 제시한 평가기준으로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회원관에서 실시하는 온라인 이용자교육을 평가하였다. 네 번째는 평가 후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향후 대학도서관 온라인 이용자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의 자율성 영역 평가에서는 모든 도서관이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을 실시하고 있으나 참여의지 부여가 부족하고 강압적인 경우가 많았다. 2) 교육의 내용과 수준 영역 평가에서는 도서관 교육 유형의 항목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서지교육, 정보관리교육에는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터넷 이용교육, 참고정보원 교육, 보고서 및 논문작성법과 같은 정보활용교육 부분에서 부족함이 들어났다. 온라인 이용자교육의 수준별 구성도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족하였다. 3) 인터페이스 영역 평가에서는 보조도구의 미비를 들 수 있다. 용어집이나 찾아보기 서비스가 부족하였다. 4) 교육 평가 및 사후관리 영역 평가에서는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방법인 학습평가의 실행과 교육 후 보완점이나 이용자의 건의 사항 등을 전달할 수 있는 피드백 등의 제공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도서관 Library 2.0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김기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have developed, Web 2.0 is emerging with to cooperative interaction of users. Academic libraries have implemented Library 2.0 technologies which adopt the concept of Web 2.0 to develop library services. Although academic libraries provide bilateral services that produce good quality content, they are much less attractive to users than commercial web sites are.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and problems of Library 2.0 and suggests a method that encourages increased use of library services. The case studies analyze and compare the use of library services at three domestic and three foreign academic libraries; academic library staff were interviewed based on analysis results. The final results are summarized below.The user participating services of domestic academic libraries face a range of challenges that include helping users to refrain from regarding these services as they would a complicated web interface, problems related to inconvenient structure, lack of manuals, difficulties searching bibliographies and tags, passive promotion, absence of user instruction, and the problem of estimating user numbers.However, in foreign academic libraries, users can use Library 2.0 services easily because the user interface is intuitive and creates less page views to reach information they need.Based on this result, the study is divided two groups: the first includes those where users are active participant users, and the second includes those users who infrequently use library services. The results show that both groups are aware of the usefulness of user participating services and suggest that with active promotion of services and supplementing with manuals and help guides, there will be improvement of user interface. Furthermore, academic libraries need to make a stronger effort to sustain active promotion, improve user interface, and assure quality based contents.Both groups expressed an interest in and support for the adoption of an incentive system to activate user participating services. Incentives might include allowing users to extend the number and period of borrowing items, and redeem interlibrary loan payments. Additional possibilities include holding events to brainstorm creative ideas, using these in lecturess and provide sample data, and derive participation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This study concludes with method outlined below aimed at activating user participating services of Library 2.0 in academic libraries.The first step is to ensure that the user interface and manual are improved so users can use participating services intuitively and learn them on their own. User instructions should be helpful and basic so that beginners can access those services.Second, bibliography specialist librarians must ensure that the content provided and shared is academic, scholarly and contributes to the knowledge domain.Third, the powerful meta-search engine should be implemented so users can access content. User customized promotion as well as sustainable and active use must be practiced simultaneously so that users are assisted to access these services freely.Fourth, the incentive system to induce users to access in participating services should intrigue users, support access to research with connecting lectures, and promote the network of scholarship. Moreover, it can make the fundamental premise that users can create scholarly valuable contents by assuring academic content, quality, and developing collections.Academic libraries have a major role to play in strengthening knowledge based societies by adopting user participant services that encourage scholars to exchange their creative and scholarly ideas, research, and knowledge through this cooperative system.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급성장은 도서관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 기존의 Web은 사용자와 상호협력할 수 있도록 진화·발전하여 Web 2.0을 탄생시켰다. 대학도서관에서도 진화하는 웹을 수용하여 발전하는 도서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Web 2.0의 개념을 도입한 Library 2.0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서관은 그동안 한 방향 위주로 제공했던 도서관서비스가 아닌 이용자와 쌍방향의 서비스를 통해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고 우수한 학술자원을 공유하고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나 일반 상용 웹 사이트처럼 많은 이용자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이에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Web 2.0 기술을 적용한 Library 2.0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보다 많은 이용자를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Library 2.0의 개념을 국내 대학도서관 중 선도적으로 도입한 3개 기관과 국외 3개 학술정보관 사이트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의 제공사례와 이용현황을 비교·분석 후 대학도서관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국내 대학도서관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는 인터페이스의 복잡, 불편한 구조와 사용상의 어려움, 사용법 안내의 부족, 서평 및 태그 검색 불가능, 소극적인 홍보, 이용교육에 대한 부재, 어느 정도의 인원이 참여를 하는지에 대한 동향 파악이 어려운 점 등으로 나타나 이용자 참여가 미흡하고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반면 국외 경우에는 인터페이스의 편의성과 더불어 많은 페이지 이동 없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고, 생성할 수 있어 이용자 참여가 쉽도록 유도하고 있었다.이를 토대로 대학도서관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이용자참여형서비스를 자주 사용하는 집단과 거의 사용하지 않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이용자참여형서비스의 유용성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으며 서비스의 개선사항으로 적극적인 홍보와 사용법 안내 및 도움말 기능 보완, 인터페이스의 수정 등을 제안하였고, 이용자참여형서비스를 위해 도서관이 노력해야 할 사항으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 및 인터페이스의 편의성과 질적으로 우수한 콘텐츠의 확보 등을 제안하였다.이용자참여형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인센티브 도입은 두 집단 모두 찬성하였으며 도입방식으로는 대출책수 확대 및 대출기간 연장, 상호대차 비용 대체 등이 있었으며 그 밖에 이벤트나 독창적인 아이디어 제공, 강의에 적극적인 활용, 많은 샘플데이터의 제공, 이용패턴을 분석한 참여 유도 등도 제안하였다.이와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의 Library 2.0의 이용자참여형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첫째, 이용자참여형서비스의 편의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초보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여 이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스스로 사용법을 숙지할 수 있는 이용 친화적인 서비스를 실시하여야 한다.둘째, 이용자가 생산하는 콘텐츠를 학술적으로 가치 있는 지식으로 창출하도록 서평사서 및 정보제공자를 확보하고 각 학문주제별로 다양한 정보를 생산하여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셋째, 생산되는 이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통합검색을 확장해야 하며,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와 함께 개인맞춤형의 홍보서비스로 이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넷째, 이용자참여형서비스에 많은 이용자를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여 이용자의 관심과 흥미를 갖도록 하며, 강의 및 수업과의 연계를 통해 대학의 핵심인 연구 활동을 적극 지원하여 학문의 흐름과 학문 간의 네트워크 형성을 촉진시켜야 한다. 또한 학술콘텐츠와 장서확충 및 개발을 통해 도서관 자원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보다 우수하고 가치 있는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근본적인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이러한 활성화 방안을 실현하여 대학도서관이 지식기반사회에 있어 이용자가 생산하고 창출하는 콘텐츠를 공유한다면 보다 창의적인 지식을 상호협력으로 함께 나눌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가 제고될 것이라 기대한다.

      • 利用者側面에서 본 綜合病院 外來診療部 待期空間 滿足度에 관한 硏究 : 光州廣域市 所在 綜合病院을 중심으로

        임충범 목포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이용자측면에서 대기실의 효율성을 높이고 외래진료 대기실 이용자들의 대기행위 활동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병원건축계획에 대기실의 구성과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광주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병원 외래진료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진료환자 중에서 내과의 경우 이용자의 26%로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어 진료과에 따라서 그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별 이용자의 분포를 고려하여 외래환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진료부서와 대기실과 동선설정의 위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2) 병원에서는 진료환자 이외에 63%이상이 동반자를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병원이용자의 대부분이 환자외에 동반자를 수행하기 때문에 대기실이 혼잡함을 더 느끼게 된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병약한 환자들은 보호자를 동반하여 대기실을 이용하게 되므로 대기실의 규모계획시 환자 동반자수도 포함돼야 하며 병원건축계획에서는 이들의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3) 종합병원 이용자의 진료를 기다리며 하는 행동에서 보면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낸 경우가 혼자 조용히 생각하고 있거나 의자에 기대어 있게 된다. 병원 이용자들이 대기중 하고 싶은 행동 중에시 가장 희망하는 행동이 독서이다. 따라서 이용자들이 대기중에 하고 싶은 행위의 충족을 위해서 책을 읽을 곳이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공간과 분위기를 연출해 내는 대기실이 건축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4) 병원대기실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병원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 또한 병원시설물의 내부환경개선에 따라서 환자 및 이용자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대기실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쾌적하고 넓은시설, 의자시설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종합병원에서는 중복도형과 편복도형보다는 홀형이 바람직 할것이다. 5) 내부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적인 대기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기실의 쾌적하고 넓은 공간형성은 이용자의 만족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과거 획일적인 병렬형 배치공간은 가능한 많은 사람을 앉히려는 공간의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최근 병원의 예약제도 활성화로 과거보다 대기밀도가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능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창출해낼 수 있는 대기실의 공간배치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present the basic material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waiting space in planning the hospital constru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waiting space from the side of users and satisfy activity of users in waiting space of outpatient clinic with the users of outpatient clinic of general hospitals in Kwangju-shi. The results of the rescarch are as follows. 1) Users of internal medicine occupy the most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the distribution of users is various according to clinic. So it is required to establish hierarchy of the clinic with relatively small outpatients and waiting space by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users of each clinic. 2) 63% except patients attends their companion to hospital. Since most of hospital users come to hospital with others except patient, thc waiting space is more confused. Since the patients who are physically and mentally week come to hospital with their companion and use the waiting space, the number of patient companions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the size of waiting space and their requirem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hospital construction plan. 3) In the activities during waiting the medical examination in hospital, thinking alone or leaning on chair are most frequent. The first requirement of hospital users in waiting space is reading. So the supply of space and atmosphere to read a book or listen music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struction plan of waiting space. 4) The whole satisfaction degree of waiting space users is varied according to hospital. Also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or users of hospital is relatively high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of hospital. Considering the comfortable and wide facility and convenience of chair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waiting space, it is desirable to design hall type rather than corridor type in goneral hospitals. 5) The satisfaction of interior design affects that of waiting space. It is found that comfortable waiting space and wide space are closely related to the users' satisfaction. Consequently, the past uniform and parallel space layout is profitable to accommodate more people in the side of spatial efficiency, but recently the waiting density in hospital is decreased due to the activation of appointment system in hospital. Therefore the spatial layout of waiting space which can create the users'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