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미지 메이킹 프로그램 체험이 소비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임경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의 이미지 중요성에 주목하여 이미지메이킹 컨설팅의 효과 를 포괄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체험이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는 참여자들이 프로그램 체 험 전후로 자기결정성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이러한 변수들이 모두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체 험이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복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또한 참여 유형(자발적 및 비자발적 참여)가 이러한 심리적 변화에 미치 는 영향을 고려했다. 분석 결과, 참여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성의 변화는 각각 독립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자기결정성 면에서는 참여 유형과 체험 전후의 상호작 용이 이러한 심리적 변화에 부분적으로 추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참가자들과 비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참가자들 모두 프로 그램 체험을 통해 자기결정성과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경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견은 의류 및 패션 마케팅 분야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소비자의 향 상된 자기결정성과 자아존중감이 의류 선택과 구매 결정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션 브랜드와 기업들은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에 기반한 마케팅 전 략을 개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컨설팅이 개인의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성 향 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재확인하며, 이를 의류 및 패션 산업의 마케팅 전략 에 적용함으로써, 브랜드와 기업들이 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제공한다.

      • 이미지 메이킹이 긍정적 사고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김예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retely analyze the effect of Image Making on Positive Thinking and Self- esteem. Image making is an effective of finding one’s true self-ego and to improve sef-esteem and interpersonal skill. The efficacy of image-making means the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confidence to manage an express one’s self- image. the Positive Thinking and Self-esteem.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from 20years old to over 50years old who work 6th of Hotel, Hotel&Hospital, Hospital in Seoul and Jeju that they studied Image Making before. An analysis applying SPSS v.12.0 came to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Image making on the Positive Thinking showed that the Image mak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Thinking.(pⅤ〈0.01). Second, the effect of Image making on the Self-esteem showed that the Image making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pⅤ〈0.01). Third,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Positive Thinking on the self-esteem and Positive Thinking showed that they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commutatively .(pⅤ〈0.01). By above-mentioned results, if People's satisfaction through their Image making rises, their Positive Thinking and Self-esteem are on the increase, and the increase of the Positive Think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steem. This means that the rise of satisfaction through their Image making will be connected by the increase of Positive Thinking by giving a confidence of their choice and behavior. Meaning a strong confidence of excellent results for confident behaviors and efforts with interest on any case, the increase of Self-esteem is to behavior with confidence of any behavioral ability by thinking as oneself leads a positive, valuable and worth while life. This is connected by a psychological state, Self-esteem, being at case without being insufficient or nervous through the satisfaction on one's desire. As above after analyzing how image-making efficacy affects Self-esteem and Positive Thinking, Image-Making improves active thoughts and positive character building. This implies that the dfficacy of Image making is highly correlated with inner image. Image making 이미지 메이킹은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긍정적 사고 및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자기의 이미지를 관리하고 표현하는 능력에 대한 심리적. 기능적 자신감을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지 메이킹 교육을 이수한 적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미지 메이킹이 긍정적 사고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즉 이미지 메이킹이 심리적, 정신적인 측면에 해당되는 긍정적 사고뿐만 아니라 자아 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20세에서 50세 이상의 직장인으로 이미지 메이킹의 인식이 긍정적 사고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미지 메이킹에 대한 의식도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미지 메이킹이 긍정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이미지 메이킹의 인식은 긍정적 사고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이미지 메이킹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이미지 메이킹의 인식은 자아 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0.01). 셋째, 긍정적 사고와 자아 존중감이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긍정적 사고와 자아 존중감은 상호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이미지 메이킹은 긍정적 사고와 자아 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미지 메이킹의 교육을 통한 인식에 의해 긍정적 사고가 상승되는데, 긍정적 사고가 상승되면 자기 자신에 대해 만족감이 높아지고,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쪽으로 삶을 영위하며, 따라서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하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욕구가 만족되어 부족함이나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자아 존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전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미지 메이킹은 긍정적 사고와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취적인 사고와 긍정적인 성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지 메이킹이 내적 이미지에도 많은 영향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청소년 자기이미지 및 자기주도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승진 국제문화대학원 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 이미지의 만족도가 높아짐으로써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경기도 화성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으로서 실험처치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일주일에 90분씩 2주일에 걸쳐 총 180분 동안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의 분석은 SPSS Windows1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에게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사고,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및 참 자아 인식이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론은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사고,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및 참자아인식이 내적·외적·사회적 이미지와 ?은 관련이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청소년 자기주도 학습태도르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자기주도 학습이 학습자 스스로가 선태권과 결정권을 갖고 학습의 과정을 계획·실행·평가하는 것을 의미하듯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감을 갖고 유목적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하도록 이끄는 학습동기 유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청소년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사고,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및 참 자아 인식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런한 결론은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사고,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및 참 자아 인식은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느 고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에게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사고, 이미지메이킹 효능감 및 참 자아 인식 및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기주도 학습태도의 향상은 모든 학생들에게 필요하며 가능한 빨리 개발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이 성인학습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조외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통해 성인학습자들의 자아만족과 사회적인 대인관계의 자신감을 얻으며,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들에게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성인학습자의 이미지 효과분석과 성인학습자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학습자로 대학평생교육원에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에 참여한 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과정 진행을 위해 학습지도안을 제작하였으며, 총 12주의 120분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에 따라 성인학습자들의 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성인학습자의 이미지 개선효과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Windows 1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변화정도는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프로그램 실시 후에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본인의 이미지를 높게 평가하였고, 연령별로는 2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성인학습자에게 가장 이미지변화를 많이 보인 것은 매너 이미지였으며, 그 다음이 헤어 이미지, 자세 이미지, 화장 이미지, 표정 이미지, 그리고 스피치 이미지 순으로 변화를 보였다. 셋째, 개선을 희망하는 부분에서 복장 이미지의 개선욕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여 성별과 관계없이 타인에게 보여지는 외적이미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성인학습자들은 이미지 개선 후 적극적인 행동과 자신감이 생겼다고 언급하였다. 다섯째, 이미지 변화의 정도가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미지변화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일반적 자아존중감보다는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난 것은 이미지의 개선이 본인의 자아 만족뿐 아니라 만족스러운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연구로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울산지역 대학평생교육기관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차후에는 타 지역의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조사하는 것도 필요하다. 둘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 실시 전 참여자의 이미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새로운 진단 도구 개발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전체 연령과 직업을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나, 차후에는 특정 연령별, 직업별로 구분된 정교화된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넷째,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에 대한 이미지와 자아존중감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나, 향후에는 시기별로 프로그램 실시 전, 중간, 후에 따른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의 이미지와 자아존중감 효과을 분석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done among various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dult learners get pride from social personal relations, self-satisfaction and to what extent Image Making Program can influence improvement of self-esteem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ecute the Image Making Program to adult learners and to verify adult learner's image effect analysis and their self-esteem about Image Making. This study executed research to 60 adult learners who are enrolled in the Image Making Program of university lifelong-education and in Ulsan. This program made study guidance plans for effective process progress, and consisted of process 120 minutes over 12 weeks totally.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image and self-esteem of the learner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know. How Image Making Program influences adult learner's image improvement effect and self-respect,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and SPSS windows 12.0 for data analysis. Examine the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as following: First, changing the degree of Image Making substantially different rates, after program practical application than its application before. Women estimated their image higher than men, and the highest marked at 20 ages. Second, through the Image Making Program practical application, the most image changes showed was personal manners image, the next showed hair image, posture image, make-up image, expression image, and speech image. Third, in part of hope for improvement, improvement in desire about style of dressing appeared most frequently. This showed that women and men, irrespective of sex, are recognizing importance of external image. Fourth, after improvement, all adult learners realized that they had active action and pride. Fifth, the lower the degree of image, the lower the self-esteem and the higher the image change, the higher the self-esteem appeared. Sixth, that the social self-respect was higher than the general self-respect not only shows the importance of satisfied personal relations, but an improvement of image self-satisfaction. Research hereafter wishes to propose as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will be executed with participants who are enrolled in university lifelong-education Image Making program. In Ulsan, but it will also need to be examined with another area's Image Making program participants. Second, for the more correct diagnosis about participants' image before the Image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 will need to be done about new diagnosis tools for development. Third, this Image Making Program study mainly executed whole ages and specific profession but next, influences get in self-esteem should be studied through specific ages, divided by various occupations, and sophisticated the Image Making Program. Fourth, this study, analyzed comparison between image of before and after Image Making program practical application and it's effect on self-esteem hereafter, however, it needs to be analyzed over time, before the practice, during practicing and after the practice.

      • 한국의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에 대한 연구경향 분석

        김정원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sult reviewing the study trend about the image making system from previous years before 2000 to the period of 2000~2011. First, the overall papers about image making pap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3 aspects: 1) the research topic; 2) the year; and 3) region. The results analyzing total domestic 121 papers about image making are as follow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opic and methodology trends, the most experiment papers focused on the analysis on image making styles, image making theoretical approaches, the image making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nd image making effects.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future experimental studies should research more various topics and can prove scientific objectivity. The result analyzing the papers according to the year published them showed that the papers published since 2002 have reported more various methods applying image making programs and the interest about image making have been increased. Additionally it was appeared that more experimental papers and programs about image making in different fields have been increased since 2002. Third, in terms of regional trend analysis, most research paper trend about image making was focused in Seoul and Metoropolitan area. Contrary to that, it was found tha the image making system study trend in local regions was gradually developed centering relevant theoretical studies.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making papers' research topic trends, it was identified that an image making system‘s internal and external effects should be occurred simultaneously in order to increase an interviewee'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to establish good relationship. So then the man's internal positive aspect will be maximized and his/her social abilities will be improved. The result analyzing the papers by age showed that study trend about image making programs focused on over 20s, so the research could know that experimental papers and researches about employment and relevant program development have actively been developed in various fields. The result reviewing the papers by job kind, various studies on teenagers, undergraduate schoolers and company employees as well as specific job groups like entertainers or politicians are actively developed. Third, the result analyzing some image making system programs, it was considered that the interview(an interviewee's first impression) have applie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employment interview capability, conducted manpower training education and various attitude & etiquette lessons in order to increase an interviewee's confidence at an interview. The personal color program makes an interviewee's confident and positive image, reducing his/her demerits and maximizing merits. So the interviewee can get socially good evaluation, and maximize his/her abilities in confident and positive attitude. It was identified that the make-up programs have the psychological effect of more-positive self and some social effects like improving an interviewee's external image and relationship. The hair-making program was considered to make more effective image by suitably using the illusion effect of hair-making in order to meet an interviewee's intention reducing his/her demerits and emphasizing merits. And as a communication tool expression a person, so the fashion coordination programs were found as an important factor in employment interview situation or company life because the clothe allowed to predict an interviewee's internal factors like personality and attitude as well as external factors. It was found that CS programs could make an interviewee's relationship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about his/her organization and its culture, so could help him/her to raise sociality and to keep good relationship. This study was limited in that it focused on external effects of image making system programs, rather than their internal effects, so it is expected that balanced program developed and systemic research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dern people's access. 현대사회는 이미지 경쟁의 시대이다.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개인에 대한 이미지의 역할이 또 하나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고 있으며, 외모가 개인을 판단하는 중요한 가치기준이 되면서 아무리 뛰어난 능력을 가졌다 하더라도 그에 맞는 적절한 이미지와 자세가 갖춰지지 않으면 그 사람에 대한 평가는 실제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메이킹은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과정이며, 직장인이나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지속적인 관심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계속되면서 뷰티산업에서도 뷰티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비중이 점점 커져가면서 프로그램이 많이 개설되고 교육과정도 진행되고 있는 추세지만 아직까지 자신의 기본적인 신체 이미지에 내적인 이미지 형성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연결시켜 보다 합리적, 개성적으로 차별화된 이미지를 표현하려는 인식과 교육프로그램개설이 미약한 실정이다. 각 분야에서 현실성있는 이미지메이킹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매뉴얼이 부족하며, 이미지메이킹의 효과에 관하여는 아직 미비한 실정으로 기존의 이미지메이킹 관련 선행논문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한 후 이미지메이킹 분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보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미지메이킹 분야에 발표된 기존의 선행논문을 수집·분석하여 향후의 체계적인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보기 위하여 첫째, 이미지메이킹 관련 논문의 전체적인 연구경향을 연구주제 및 방법별 경향 분석과 연도별, 지역별로 고찰해보고, 둘째, 이미지메이킹 관련 논문의 각 연구 주제별로 내·외적 효과와 이미지메이킹 시스템 비교 및 연령별, 직업별로 고찰하고자 하며, 셋째, 뷰티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미지메이킹 시스템의 프로그램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메이크업의 효과에 관한 연구

        정영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areer women's image management mind-set as well as their makeup propensity and satisfaction, and to thereby comparatively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of makeup in favor of desired image making, so that it could contribute to finding out self-psychological effects and image improvement effects of makeup and highlighting social effectiveness for 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motivate all career women, particularly woman undergraduates in preparation of their social career, to positively try to make their good images by various image presentations using makeup, so that it could provide a reference data for relevant marketing studies of cosmetics producers. To meet the above goals, this study targeted woman students, career women and housewives who lived in domestic urban areas of Korea (Seoul- Gyeonggi, Chungcheong, Yeongnam and Honam area) and were also in their 20's to 40's. Based on such population, this study took total 400 persons for survey by random sampling, and they were subdivided again into 4 academic career groups, i.e. high school group, 2-year college group, 4-year college group and graduate group, whether they were graduate or not. And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form for survey.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determined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performed Chi-square (χ2)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awareness about importance of image making, it was found that absolute majority of respondents had been ever worried about image making, and most respondents recognized why it is important for women to manage and make their good images in their life of social career in a timely step with the era of image communication in the 21st century. Moreover, most respondents recognized that first impression of a person has more or less influences on his or her life of social career, and selected outer appearance as the biggest determinant of the first impression, and answered that facial look or impression has more effects on one's first impressions than any other facial image factors, because image making is considered a prerequisite for our contemporary people to share better 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enjoy the successful life of social career. Secondly, most of respondents recognized that makeup has very crucial effects on changing one's images, and the purpose of makeup is to care for images of outer appearance and also observe good manners to others, which indicates that makeup is not option but a requirement for the social career of woman. In addition, most respondents felt that their facial images got better or more attractive after makeup, and was told from their colleagues that facial impression became much better after makeup. This finding also demonstrates very significant effects of makeup upon changing one's images. Thirdly, it was found that lower percentage of total respondents (40.3 %) had ever completed makeup lesson or course than expected, and most experienced respondents took makeup lessons opened at private schools, but relatively few respondents ever took makeup course opened at their company. Moreover, most respondents recognized that makeup technique is most crucial to the effective presentation of makeup. Based on these findings, we can find it necessary for cosmetics producers to make more proactive marketing strategy for color makeup in parallel with appropriate makeup lessons for woman pre-graduates. Fourthly, most respondents selected different makeup colors depending on daily clothes or feeling, and recognized that makeup is a part of total coordination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is very central to making overall balance of appearance. Fifthly,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focused on expression of clean and pure skin conditions in makeup, which was followed by eye makeup. For eye makeup,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preferred eye shadow + eyeliner + mascara, and loved brown more as the favorite color of eye shadow than any other colors. For lip makeup,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preferred lip gloss to other lip makeups, and also loved pink as the favorite color of lip glass than any other colors. For cheek makeup, it was found that most of respondents preferred intellectual but feminine cheek makeup using brown and pink because of their highest preference for feminine feeling and pink coloring. Here, it is found that our women's preference for makeups depends on social trends and marketing strategy of cosmetics producers. Sixthly, it was found that makeup had high psychological effects upon our respondents, which demonstrates that makeup gives a sense of balance and confidence to our women beyond simple expression of exterior beauty, and is also effectively helpful for their life of social career.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는 나이와 시대를 초월한 영원하고 본능적인 욕구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21세기 이미지커뮤니케이션 시대를 열어가며 상대방에게 좋은 이미지를 보일 수 있도록 외모관리를 비롯한 이미지메이킹은 필수조건이 되었다. 취업에 대비한 대학생들이 성형수술과 비만관리를 하고 메이크업 기술을 배우는 등, 외적이미지 관리를 하는 것은 치열한 취업전선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기 때문에 첫인상에서 좋은 이미지를 보이기 위한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만큼 대인관계 향상과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위하여 첫인상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호감 가는 첫인상을 만들기 위한 얼굴관리에서 메이크업은 필수가 되었고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여성들의 이미지 관리에 대한 인식과 메이크업의 성향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메이크업의 효과성 및 필요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메이크업이 자아 심리적 효과는 물론 이미지를 개선하는 효과와 더불어 대인관계를 위한 사회적인 효과성을 부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회생활을 하는 모든 여성들, 특히 취업을 앞둔 여대생들의 메이크업을 활용한 다양한 이미지 연출로 적극적인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더불어 화장품 회사의 마케팅 연구에 기초자료 제공을 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 도시권 지역(서울 경기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에 거주하는 20~40대 여성 중 학생, 직장인,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하여 400명을 임의표집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메이킹의 중요성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미지메이킹에 대해 고민해 본 여성이 8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21세기 이미지커뮤니케이션시대에 맞추어 대부분의 여성들은 사회생활에서 이미지를 관리하고 만들어 나가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첫인상이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으며, 첫인상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로는 외모를 선택하였고, 얼굴 이미지 요소 중 첫인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곳이 얼굴 표정이나 인상이라고 선택한 것은 이제 내면의 세계가 자연스럽게 표현되는 얼굴과 외모를 가꾸는 것이 지극히 정상적인 행동이며 이미지메이킹은 대인관계 향상과 성공적인 사회생활을 위한 현대인의 필수조건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메이크업은 이미지 변화에 매우 많은 영향을 주며 메이크업을 하는 목적은 외적 이미지 관리와 상대방에 대한 예의라고 인식하는 결과로 여성에게 메이크업은 사회생활을 위한 필수적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이크업을 한 후에 얼굴 이미지가 매우 좋아졌다고 느꼈으며 주변 동료의 메이크업 후의 느낌이 훨씬 좋아졌다고 응답한 것은 메이크업이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메이크업을 통한 이미지 변신이 크게 나타나는 부분을 피부와 눈이라고 지각하였으며 대체로 여성들은 세련되고 개성 있는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셋째, 메이크업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이 의외로 적었고(40.3%) 교육은 학원의 강습을 통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회사의 강습을 통한 교육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과적인 메이크업 연출을 위해서는 메이크업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는데 이 결과를 볼 때 메이크업 교육을 통한 화장품 회사의 보다 적극적인 색조화장품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넷째, 메이크업 색상은 의상이나 당일 기분에 따라 선택하였고 메이크업은 외모관리에서 토탈코디네이션의 개념으로써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는데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메이크업 시 여성들은 깨끗한 피부표현에 중점을 두었으며 다음으로는 눈에 중점을 두었다. 여성들에게 깨끗한 피부는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는 결과로 연령이 많을수록 깨끗한 피부에 더욱 중점을 두었고 연령이 적은 여성은 피부가 깨끗하므로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에 가장 중요한 눈에 포인트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 화장은 아이섀도우+아이라인+마스카라를 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아이섀도우 색상의 선호도는 갈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하듯이 여성들의 관심도가 높은 부분으로써 3단계로 세심한 눈 화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입술화장 정도는 립글로스가 가장 많았고 색상은 핑크를 가장 즐겨 사용하였다. 이는 현재 진하지 않고 투명하게 하는 입술화장의 사회적 트렌드가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볼 화장은 여성적인 느낌과 핑크 색상을 가장 선호하는 결과로 여성들은 갈색과 핑크를 이용한 지적이면서도 여성스러운 메이크업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트렌드와 화장품 회사의 마케팅 전략에 의해 메이크업의 선호도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메이크업의 심리적 효과성이 높게 나왔다는 것은 여성들에게 메이크업은 단순히 외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기능 이외에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게 해주며 사회생활에 도움을 주는 효과성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사회생활을 위한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첫인상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외적 이미지 관리를 위하여 얼굴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이크업은 여성들이 표현하고 싶고 기대하고 싶은 이미지를 얼굴에 연출하는 매우 가치 있는 작업으로 이미지메이킹을 위한 메이크업의 높은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메이크업의 여러 가지 효과성을 토대로 성공적인 사회생활이 되도록 메이크업의 다양한 활용을 기대한다.

      • 20-40대 여성의 대인관계 Ego gram과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의 관계 연구

        윤두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Image making is really just self-marketing where we emphasize our strong points and down play our weaker points. Everybody knows importance of image. It is important not only being sincere to others but also to oneself. Therefore, image making is the key and the author presents ways to improve oneself into a sophisticated and mature person. First impressions are so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discover one's existing image; analyze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You have to manage the elements that can affect your image exposed to the others, such as position, status, words, behavior, writing, attitude, voice, facial expression, smile and clothing to name just a few. For the research purposes stated above,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were formulated. First, measure the sense of one's worth, in other words, the level of self esteem and self acceptance aspects. Second, analyze one's inner image, character, habits, personality and nature. Third, analyze one's external image and facial expression diagnosis. Fourth, analyze one's first impression and appearance, personality and inclination (A.P.I.) compensation evaluation analysis chart. Fifth, Ego gram is a mental type test that works as a tool to understand basic characteristic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analyze one's mental energy quantitatively. Six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7 types are identified. This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empirical research through a survey, and experimental research. For theoretical part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image communication was confirmed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on effective image making and self marketing, 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mage making and self marketing. For empirical part of the study,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235 college students and adults in their 20s, 30s and 40s from wide ranging back grounds were used. And finally, the author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teams of 6 people.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taught 5 subjects in the self image making program: 1. Methods to Improve first impressions. 2. Methods to manage facial expressions. 3. Methods to manage appearance. 4. Methods to establish basic characteristic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improvement goals for self. 5. Method to produce one's image by reading one's whole impression and external image, evaluating and analyzing them. The research tools used for this study include self esteem scale, nonverbal external and internal images of self, analysis of 7 typ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effects of appearance, personality, and inclination impression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alysis of one's facial expression diagnosis, Appearance, Personality, Inclination impression evaluation analysis, and Ego gram interpersonal relationship(understanding one's basic personality and using it for the production of image)scale.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Package Program) 12.0. Of the 7 types, comparative analysis of type M and type N was done. To find out the effects of image making and self market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t test, chi 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graphs using Excel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ypes from the Ego gram were formula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self esteem and self acceptance aspect by factor In general, the higher self esteem correlates with stronger the internal image. The self esteem level was classified into types M and N,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ype N with high level of self esteem and strong self image. Second, to determine the self image index,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group with strong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a group with strong internal image, and a group with weak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When the self image index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45.5%, the highest percentage of subjects had weak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Among type M, 33.3% had strong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and the percentage of subjects with weak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was high also. When the internal image of the self was examine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The subjects with higher internal image tended to have stronger external image, higher sociability, and higher level of self esteem. Third,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Using the external image index of the sel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group with strong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a group with strong external image, and a group with weak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The percentage of subjects with weak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was the highest. Among type M, the percentage of subjects with high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was high.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When the relationship with one's own facial expression diagnosis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a factor was rela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facial expression diagnosis analysi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 esteem, comparative analysis of types M and N was carried out. The facial expression diagnosis and the level of self esteem were related. When the level of self esteem was high, the level of facial expression diagnosis was high.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ype M and facial expression diagnosis. Fourth, correlation between API analysis and first impression was examined. The higher the self esteem levels the higher the facial expression diagnosis index. M typ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hen the API correlation was examined,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among appearance, personality and inclination impressions. Among type M, the correlation was lower but among type N,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and inclination impressions.. Fifth, internal imag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analyzed using the Ego gra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5 ego states of CP, NP, A, FC, and AC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go states NP and CP. Ego states A and CP had the strong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go states of CP, NP, A, FC, and AC among type M was examined, ego states NP and A had str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en the social inclination mental energy of ego states of CP, NP, A, FC, and AC among type N was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go state and social inclination was higher for NP and A and FC and NP and lower for A and FC. When the correlation between A and NP for types M and N were examined, type M had higher correlation.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a group with high Ego gram type and a group with low Ego gram type. When classified into types M/N with higher self esteem and Ego gram and types M/N with lower self esteem and Ego gram, 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elf 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sults found, this study contributes to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y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image making and self marketing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이미지 메이킹은 특수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이다. 기존의 이미지를 파악하고 장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컨셉트를 결정하고 포지셔닝을 하여야한다. 자신의 이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직위, 신분, 말하는 방식과 행동, 글 태도, 목소리 특성, 표정, 웃음, 의상, 매력적인 외모, 카리스마 있는 리더쉽 등의 상대방에게 노출되는 모든 것을 설정된 컨셉트에 부합하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성격은 개인의 행동, 태도와 함께 인간성이라는 의미까지 포함, 자신의 내면화 되고 곧 외부로 표출되어 이미지로 형성 요인이 되는 이미지의 외적성향은 내적성향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지속적인 힘이 되어주는 실천적인 도구에 속한다. 자아존중과 함께 타인존중 그리고 사람존중의 철학과 가치관을 느끼지 않고서는 체득하기 힘든 직업이다.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 전략을 분석하여 이러한 의사소통의 요소와 기법의 이해를 통하여 사회생활이나 상대와의 커뮤니케이션을 극대화하기위한 스킬을 개발하고,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Ego gr- am과 이미지에서 셀프마케팅을 파악하는 것은 이미지메이킹 -셀프마케팅 전략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이미지 마케팅의 1차적 목적, 전달자가 수용자로 하여금 자신에게 호의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며, 내적이미지가 갖춰진 사람을 외적이미지를 높여 사회적 이미지를 높이고자한다. 대인관계 Ego gram을 유형화하고, 외적 이미지, 외모, 성격, 경향적 인상, 이미지메이킹 Ego gram에 따른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의 차이를 밝히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40대 여성의 대인관계 Ego gram과 이미지 메이킹-셀프 마케팅을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외적 이미지 지수와 자신의 표정진단에 따른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을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외적이미지, 전체 인상과 타인의 시각을 통한 자신의 첫인상과의 관계에 따른 이미지 메이킹-셀프 마케팅을 알아보고자 한다. 넷째, 내적 이미지분석과 전체집단, M과 N유형의 대인관계 Ego gram에 따른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이론적 연구는 주요 연구 개념인 대인관계의 Ego gram과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의 이미지와 이미지메이킹의 정의, 이미지메이킹 수단으로서의-셀프마케팅, 이미지메이킹 전략, 셀프마케팅에 대한 시각적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특성, 셀프 마케팅에 대한 시각적 요소와 의사소통 기법, 대화 이미지와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과 구성요소, 대인관계 의사소통전달자 구성요소와 자신의 신뢰도 등에 관한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서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20-40대 여성 235명이 최종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험연구는 교육헌장에 각6명을 1팀으로 구성하여 연구자가 직접 강사로 참여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총 7유형 중 M유형과 N유형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는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군집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Duncan test, 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정, Excel을 이용한 그래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대인관계 Ego gram과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측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40대 여성의 자아존중감을 유형화 한 결과 자아존중감 1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대인관계 Ego gram도구는 CP, NP, A, FC, AC에 해당하는 10개씩 문항을 포함, 총 50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대인관계 이미지 측정도구로, 측정 방법은 설문지 5번의 테스트에서 얻은 점수를 Ego gram상의 점선에 점을 찍은 후 꺽은 선 그래프를 그린다. 결과 M유형, N유형, 역N유형, 역V유형, 사선유형, 기타유형으로 분류된다. 유형을 분류하여 높은 순서대로 N유형, M유형, 역V, 기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M유형을 명랑한 유형으로 NP, FC 양쪽이 높게 나타났고, N유형은 헌신 유형으로 NP를 정점으로 하고 FC는 낮게 나타났다. 명칭은 M유형, N유형, CP, NP, A, FC, AC로 구분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CP를 지배, 관용적, NP를 헌신, 방임적. A를 현실지향, 즉흥적. FC를 개방, 폐쇄적. AC를 의존, 독단적이라 명명하였다. 다섯 가지 대인관계 Ego gram의 자아 상태를 판별하는 기준은 분류한 결과는 설문지 5번의 CP는 2, 6, 13, 24, 28, 30, 34, 43, 49, 50. NP는 1, 7, 12, 14, 23, 25, 26, 40, 45. A는 5, 9, 15, 19, 20, 22, 23, 33, 37, 41, 46. FC는 16, 27, 36, 38, 44, 48. AC는 3, 11, 32, 35, 39, 42, 47과 같이 분류되었다. 내적 이미지와 성격적 인상이 자아존중감 고. 저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N유형은 자아존중감. 고인 경우의 내적 이미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적이미지 지수, 자신의 표정진단, 외적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을 분석한 결과 표정진단 요인이 유형화한 결과 1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자아존중감과 표정진단 차이를 살펴본 결과 M유형인 경우 자아존중감이 고인 경우의 표정이 자아존중감. 저에 비해 낮은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외적 이미지와 외모적 인상이 자아존중감. 고저와 차이를 살펴본 결과 N유형은 자아존중감. 고 경우의외적 이미지, M유형은 자아존중감. 고 경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N유형의 경우 더 명확한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적이미지, 전체인상과 타인의 시각을 통한 자신의 첫인상과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을 분석한 결과 다섯 가지 대인관계는 경향적 특성 M과 N유형의 차이는 A와 AC는 N유형이 FC는 M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외적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높은 관계는 순서대로 외모적 인상과 경향적 인상, 성격적 인상과 외모적 인상, 성격적 인상과 경향적 인상으로 나타났다. M유형 외적 이미지와 N유형의 외적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M유형은 외모적 인상과 성격적 인상 사이에 N유형은 외모적 인상과 경향적 인상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인관계 Ego gram 다섯 가지 자아와 경향적 인상이 자아존중감. 고저에 차이를 살펴보고 이때 대인관계 유형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분석을 전체집단, M유형, N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유형의 경우 자아존중감 고인 경우의 CP가 저인 경우 CP에 비해 높은 비중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내적 이미지 분석과 전체집단, M과 N유형의 대인관계 Ego gram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이 내적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낮고 내적. 외적 이미지가 약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Ego gram 유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우 내적. 외적 이미지와 내적. 외적 이미지가 약하고 자아존중감이 고가 높게 나타났다. CP, NP, A, FC, AC와 대인관계 Ego gram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집단의 경우 NP가 높게 나타났다. M 유형의 경우 NP, FC가 높게 나타났다. N유형은 NP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 Ego gram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CP와 NP 사이에 강한 차이가 나탔다고, A와 CP에 대해서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과 N유형의 대인관계 Ego gram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FC와 AC 사이 강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유형이 FC와 AC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CP와 A에 대해서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내적 이미지. 고와 대인관계 Ego gram CP, NP, A, FC, AC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M과 N유형은 내적 이미지. 고가 높게 나타났고, N유형의 경우 내적 이미지. 고 NP와 A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유형 versus N유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M유형이 A-NP, FC-NP, FC-A 높게 나타났다. Ego gram 전체집단의 대인관계 유형의 구성 비율을 살펴본 결과 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CP-NP, A-CP, CP-NP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40대 여성의 대인관계를 Ego gram과 그에 따른 이미지메이킹을 이해하여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청소년 이미지메이킹프로그램이 객체화신체의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봉선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search aims at developing image making youth programs for well-balanced and harmonious act of inner and outer appearance management. It also aims for finding out what effects these image making programs have on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self esteem. The objects of the research, th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n after-school academy between K and D city, a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f 35 each ; controlled and uncontrolled. An image making youth program was performed ten sessions which lasted sixty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between January 8th and March 9th, 2012.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introducing image making programs, the level of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etween experimental and regulated group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proves the effects on a decrease in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ird, the level of self esteem between experimental and regulated groups indicates a considerable gap after performing image making programs. Finally, the level of self esteem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미지메이킹프로그램 참여가 청소년들의 객체화신체의식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할 이미지메이킹프로그램은 내면과 외면의 균형 있고 조화로운 신체가치관을 형성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k시 청소년수련관 방과 후 아카데미 중학생 1,2 학년 남여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35명, 통제집단 35명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실시기간은 2012년 1월 08일부터 3월 9일까지 주 1회 60분으로 총 10회 이미지메이킹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지메이킹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객체화신체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이미지메이킹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실험집단의 객체화신체의식 사전-사후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이미지메이킹프로그램이 객체화신체의식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셋째, 이미지메이킹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점수와 사후점수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TV프로그램에 따른 放送人의 이미지 메이킹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 TV扮裝, 헤어, 衣裳을 中心으로

        김민신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sible factors affecting the image making of telecaster in TV program on the basis of makeup, hair styling and costume, so that it coul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broadcast staffs in broadcast fine arts, and help them to produce ideal broadcast progr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makeup and telecaster's image making, makeup coordinators thought that depending on program, broadcast makeup is different from common makeup in the aspect of technique and style, and valued face type, eyebrow and eye shape in the aspect of face profile as a makeup factor. In regard to main points for telecasters' makeup presentation, both male and female telecasters focused on image in news programs, while focusing on highlighting individual characters in entertainment programs. And for standing gag program, it was found that male gagmen focused on makeup true to script, while female gagmen focused on pretty makeup. Second, according to analysis on possible relations between hair styling and telecaster's image making, it was found that some hair styling factors were considered critical(e.g. face type, hair length, hair color and hair wave). In regard to main points for telecasters in hair styling, both male and female telecasters focused on style and image in news program, while focusing on highlighting individual characters in entertainment programs. For standing gag programs, it was found that our telecasters focused on character images expressed in script. Third, according to analysis on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costume and telecaster's image making, it was found that face type, stature, weight, costume color and style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costume factors. In regard to main points of telecaster's costume, it was found that male anchors in news program focused on selecting color of tie and shirts, while female anchors focused on design, neckline and color. For entertainment programs, both male and female telecasters focused on style. And for standing gag programs, both male and female gagmen focused on costumes true to given character.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n telecaster's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makeup, hair styling and costume, it was found that telecasters valued all the 3 factors, independent of program type. According to analysis on telecaster's awareness about the contribution of makeup, hair styling and costume to coordinating broadcast, it was found that our telecasters found makeup and hair styling helpful to coordinate broadcast, and MC had higher tendency to think makeup helpful for broadcast coordination than anchors and gagmen. Fifth, in view of telecaster's images depending on program, the analysis on telecaster's images broadcast staffs pursue showed that most ideal anchor images included reliability, intellect, approachability, sophistication, faithfulness, warm-heartedness, confidence and high culture. And it was noted that sensual image was the most ideal MC image in entertainment, while funny and cute image was the most ideal gagman image that would deserve pursuing. 현대사회는 이미지 시대다. 자신의 내적인 요소를 아름답고 훌륭하게 연출하여 외모를 가꾸는 사람이 인정받고 성공하는 시대다. 또한, 최근 디지털 방송의 실시와 HDTV의 본격적인 실시를 앞두고 방송미술 분야인 방송분장, 헤어, 의상분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방송인들은 자신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연출하는 이미지 메이킹에 관심을 갖고 있고 이러한 방송인의 이미지 연출에 분장, 헤어, 의상 등 시각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호감이 가는 방송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방송인의 이미지를 연출하기 위해 방송미술 분야의 분장, 헤어, 의상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방송 프로그램에 따라 적합한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을 위해 실무에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스미디어 중에서 TV프로그램에 따른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방송미술 분야인 방송분장, 헤어, 의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방송인의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있어 방송분장, 헤어, 의상이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방송미술 분야에 종사하는 실무자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물론 프로그램 제작에 따른 이상적인 방송을 만들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상파 방송국과 케이블 방송국에서 방송미술 분야인 분장, 헤어, 의상을 담당하고 있고 방송 프로그램별로는 뉴스, 오락, 개그 분야의 업무를 담당하는 20~40대 남녀 30명의 실무자와 앵커, MC, 개그맨 등 방송인 28명을 대상으로 표집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χ2(Chi-square)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장과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장사는 방송분장이 프로그램에 따라 분장의 테크닉과 스타일면에서 일반화장과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분장요소 중에서는 얼굴윤곽 중에서 얼굴형과 눈썹, 눈의 형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방송인의 분장 연출시 주안점으로는 남녀 방송인 모두 뉴스 프로그램의 경우 이미지에, 오락 프로그램의 경우 개성을 부각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고, 개그 프로그램의 경우 남자 개그맨은 대본에 충실한 분장을 여자 개그맨은 예쁘게 분장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와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미용사는 방송헤어가 프로그램에 따라 헤어의 테크닉과 스타일면에서 일반헤어와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헤어요소 중에서는 얼굴형과 모발의 길이, 모발의 색상, 모발의 웨이브가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방송인의 헤어 연출시 주안점으로는 남녀 방송인 모두 뉴스 프로그램의 경우 스타일과 이미지에, 오락 프로그램의 경우 개성을 부각시키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고, 개그 프로그램의 경우 대본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상과 방송인의 이미지 메이킹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코디네이터는 방송의상이 프로그램에 따라 의상의 색상과 스타일면에서 일반의상과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의상요소 중에서는 얼굴형, 신장, 체중, 의상의 색상과 스타일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방송인 의상에 대한 주안점으로는 뉴스 프로그램의 경우 남자 앵커는 넥타이와 셔츠의 색상선정에 여자 앵커는 디자인과 네크라인, 색상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고, 오락 프로그램의 경우 남녀모두 유행과 스타일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으며, 개그 프로그램의 경우 남녀모두 캐릭터에 맞는 의상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분장, 헤어, 의상의 중요성에 대한 방송인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방송인은 프로그램에 상관없이 분장, 헤어, 의상이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분장, 헤어, 의상이 방송 진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해 방송인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방송인들은 분장, 헤어, 의상이 모두 방송진행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으나, 프로그램 중에서는 오락 프로그램의 MC가 앵커와 개그맨보다 분장이 방송 진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프로그램에 따른 방송인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스태프가 추구하는 방송인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신뢰감 있는 이미지’와 ‘지적인 이미지’, ‘교양 있는 이미지’, ‘자신감 있는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 ‘세련된 이미지’는 앵커 이미지를 추구할 때 가장 많이 추구하였으며, ‘관능적 이미지’는 오락 프로그램의 MC 이미지를 추구할 때 가장 많이 추구하였고, ‘재미있는 이미지’와 ‘귀여운 이미지’는 개그맨의 이미지를 추구할 때 가장 많이 추구하였다. 또한, 방송인이 추구하는 방송인의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신뢰감 있는 이미지’와 ‘지적인 이미지’, ‘편안한 이미지’, ‘따뜻한 이미지’, ‘교양 있는 이미지’는 앵커가 가장 많이 추구하였고, ‘세련된 이미지’와 ‘성실한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는 MC가 가장 많이 추구하였으며, ‘재미있는 이미지’와 ‘귀여운 이미지’는 개그맨이 가장 많이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호텔종사자의 이미지메이킹과 서비스품질,호텔이미지, 고객만족간 관계연구

        강남임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호텔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하여서는 시설 등 하드웨어적인 투자도 중요하지만, 종사자에 대한 투자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목적은 호텔종사자 이미지메이킹과 서비스품질, 호텔이미지, 고객만족간의 관계를 강릉, 평창의 4, 5성급호텔을 사용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호텔종사자 이미지메이킹 중요성과 필요성을 검증하고 호텔기업들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차별화 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의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호텔종사자 이미지메이킹, 서비스품질, 호텔이미지, 고객만족에 대한 이론적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수립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강원도 강릉, 평창소재의 4, 5성급 호텔에서 1박이상 숙박한 20대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대면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2022년 1월 25일부터 2022년 3월 15일까지 400부 배포하여 최종 388부를 설문 유효표본으로 분석 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V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분석,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분석을 하였다.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각 연구단위에 대한 모형적합도, 집중적 타당성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성개념들간의 확인적 요인분석, 가설검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설문척도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제시한 실증적 분석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에서는 연령은 조사장소와 조사시기가 겨울레포츠를 접할 수 있는 장소이므로 20대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4. 5성급호텔을 이용한 고객대상으로 한정하였으므로 소득도 일반 국민에 비하여 월수입 800만원 이상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은 대졸, 직업에서는 전문직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호텔종사자 이미지메이킹과 고객 만족에 관계가 있는지를 처음으로 연구한 것이다. 호텔종사원 이미지메이킹을 내적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외적이미지 등으로 추출하여, 이미지메이킹 종사자측면 뿐 만 아니라 사용자인 고객관점에서 호텔종사자의 이미지메이킹 형성 요소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종사자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호텔종사자 이미지메이킹이 서비스품질에 대한 영향관계에서는 사회적이미지요인, 외적이미지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으로 증명되었다. 외적이미지가 서비스품질에 영향을 주므로 현장 투입전 외모 관리 시간 주어야 한다. 그리고 외적이미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적이미지 관리 기법에 대한 교육과 정기적인 이미지 교육훈련을 실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호텔 종사자들은 자기 자신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감정이입, 대화의 내용이나 형식을 자기가 원하는 대로 유도할 수 있는 주장력, 언어적 또는 비언어(얼굴표정 이나 예시적인 제스처, 적절한 목소리 조정)를 적절히 구사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호텔기업에서는 직원들에게 전문적인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의사 전달 뿐만 아니라 얼굴 표정, 제스쳐 등을 함께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기에 직원 교육시 적극적인 활용방법 뿐 만 아니라 세부적 표현 방법에 대한 표준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파트타임 근무자에 대한 외적이미지 교육이 필요하며 각 부서장은 이미지 기초교육을 할 수 능력을 배양시켜야 한다. 둘째, 호텔이미지와 동일한 종사원 외적이미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호텔종사자 이미지메이킹이 호텔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 연구 결과 가설 모두 기각되어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대상호텔별 종사자들의 유니폼은 유사한 디자인과 컬러로 호텔만이 추구하는 차별화된 이미지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반증이기도 하다. 향후 유니폼을 개선 할 경우 호텔의 상징적인 이미지와 부합되는 디자인으로 개선할 것을 제안한다. 호텔이미지 형성은 종사원 이미지메이킹만으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호텔의 하드웨어 즉 건물이나 부대시설 등으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항공사의 경우 비행기 홍보보다는 승무원 이미지를 활용한 마케팅을 하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호텔종사자 이미지 교육효과와 이미지교육의 필요성, 호텔종사자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남으로 항공사의 홍보 마케팅 기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세째, 서비스 메뉴얼 지속적인 개선 및 서비스교육이 필요하는 것이다. 서비스품질이 호텔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호텔서비스품질을 통해 고객이 긍정적인 호텔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요인에 해당되는 서비스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서비스매뉴얼 업데이트 및 직원 서비스교육을 통해 호텔 경영에 적용하게 된다면, 호텔 이미지 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네째,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고객 접점 직원들은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근무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육체적인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충분한 휴식 시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다섯째, 호텔의 하드웨어 측면의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어야 한다. 호텔이미지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호텔기업은 종사원의 이미지 메이킹으로 고객 만족 달성에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호텔의 하드웨어 측면의 투자를 지속적으로 행하여야 한다. 대개의 호텔기업은 초기 개점시에 막대한 투자를 통하여 호텔이미지를 형성하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쇠퇴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리뉴얼을 통하여 호텔의 쇠퇴기를 극복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