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노인의 의약품 제형 관련 선호도 조사

        이은주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65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건강과 복지, 안전과 삶의 질은 매우 중요한 사회 문제가 되었다. 복합적 만성질환으로 다제약제를 장기간 복용하는 노인들 중 특히 퇴행성질환이나 소화기질환 등으로 인한 연하장애를 겪는 경우 복약 불순응으로 이어져 치료목표 도달에 제약이 따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고형 경구약의 제형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는 노인들의 약물사용 실태와 복약 순응도에 대한 인식, 고형 경구제 복용 경험과 문제점, 경구약의 제형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추가비용 지불의향, 그리고 응답자의 특성을 조사하도록 설계되었고 모두 폐쇄형 질문 방식을 적용하였다.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심의면제 확인을 받고 2021년 10월부터 11월까지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대상자를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모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응답정보는 Microsoft Excel 2019를 이용하여 입력, 코딩되었다. 설문 문항별 응답 분포는 기술통계분석방법으로 응답자수(n)와 빈도(%)로 제시하였고 응답자 특성에 따라 약의 사용 실태, 알약 복용경험 및 노인 친화형 약제 제형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를 적용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2.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총 421명의 노인이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292명(69.4%)이 여성이었고, 연령은 65-70세가 214명(50.8%)으로 절반을 차지하였다. 만성질환 유병자는 311명(73.9%)이었고 구강건조나 위식도역류 같은 소화기질환이 117명(27.8%), 뇌졸중, 다발성경화증, 치매, 알츠하이머,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퇴행성질환 유병자는 55명(13.2%)이었다. 처방약 복용자는 345명(81.9%)이었으며 1일 복용 알약 수가 5개를 초과하는 경우는 99명(23.6%), 산제를 복용하는 노인은 29명(6.9%)이었다. 질병치료를 위하여 처방약을 잘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동의한 노인은 360명(85.5%)이었다. 알약을 삼키기 어렵다는 노인은 147명(34.9%)이었고 알약 삼킴이 어려워 복약을 하지 않은 경험을 갖고 있는 노인은 113명(26.8%)이었다. 알약 삼킴의 어려움이나 그로 인한 미복용 경험은 나이가 많을수록, 복용 알약 수가 많을수록, 소화기질환이나 신경퇴행성질환이 있을 때 유의하게 높았다. 270명(64.1%)은 알약 제형을 개선할 필요성에 동의하였고, 이는 남성보다 여성이, 자택거주자보다는 요양원 등 시설거주자가, 독거노인이, 그리고 알약 삼킴에 어려움이 있거나 그로 인한 미복용 경험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 선호하는 제형으로는 산제가 83명(19.7%), 액제가 243명(57.7%)으로, 액제 선호도가 더 높았다. 한편 제형 개선에 대한 추가 비용 지불 의향이 있는 비율은 218명(51.8%)으로 절반을 넘었고, 40-60%의 추가 비용을 수용하겠다는 응답자가 84명(20.0%)으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10-30%가 81명(19.2%)이었다. 본 조사에서는 노인들이 복약순응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고 알약 삼킴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제형 개선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고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향 또한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특화제형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하여 처방된 고형경구약을 약국에서 산제화하여 조제하는 임시방편적 대처는 약물의 안정성이나 불순물 혼입, 궁극적으로는 약물효과나 안전성 측면에서 적절한 방안이 될 수는 없다. 노인 인구의 지속적 증가를 고려할 때 연하곤란 문제가 수반될 수밖에 없는 노인에게 약물복용의 편의성을 통한 복약순응도 증가와 안전한 약물사용 측면에서 노인친화형 제형에 대한 관심과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가기 위한 논의의 시작점이 되었으면 한다.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the health, welfare, safe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ecome very important social issues. Among the elderly who take multiple medicines for a long time due to various chronic diseases, especially those who suffer from swallowing disorders due to degenerative diseases or digestive diseases, this cause medication non-compliance, which limits the achievement of treatment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blems related to the use of oral solid drugs in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and to investigate preferences for the elderly-friendly formul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7 questions, and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lderly's drug us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edication compliance, experience and difficulty of taking oral solid drugs, and the need to improve oral formulations, and their socio-demographics. All of them was closed-ended questions. This study was exempted from deliberation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CHA University,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nline and offline from October to November 2021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input and coded using Microsoft Excel 2019. Responses for each question were presented as the number of respondents (n) and frequency (%) a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drug use, experience of taking solid oral drugs,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elderly-friendly drug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an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2.1 program. A total of 421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292 (69.4%) respondents were women, and 214 (50.8%) respondents were aged 65-70 years old. There were 311 (73.9%) respondents with chronic diseases, 117 (27.8%) respondents with digestive diseases such as dry mouth and gastroesophageal reflux, and 55 (13.2%) respondents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stroke, multiple sclerosis, dementia, Alzheimer's, and Parkinson's disease. There were 345 (81.9%) respondents who took prescription drugs, 99 (23.6%) respondents who took more than 5 pills per day, and 29 (6.9%) respondents who took power drugs. 360 (85.5%) respondents agreed that it is important to take prescription drugs well for disease treatment. 147 (34.9%) respondents had difficulty swallowing pills, and 113 (26.8%) respondents had the experience of not taking pills due to difficulty swallowing them. Difficulties in swallowing pills or the experience of not taking pi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older, the higher the number of pills taken, and when they had digestive or neurodegenerative disease. 270 (64.1%) respondents agreed on the need to improve the pill formula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women than men, for facility residents such as nursing home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for those who had difficulty swallowing pills or had the experience of not taking pills due to the difficulty swallowing them. As for the formulation of the drug, 83 (19.7%) respondents preferred powder formulation, 243 (57.7%) respondents preferred liquid formulation, and the preference for liquid formulation was relatively higher. Meanwhile, 218 (51.8%) respondents had a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s for improved formulation. 84 (20.0%) respondents accepted 40-60% of additional costs, followed by 81 (19.2%) respondents accepted 10-30% of additional costs. Through this study, it were examined that a lot of the elderly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medication compliance, recognized the need to improve formulation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pill swallowing, and also they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costs for improved formulations. Although the elderly-friendly formulations are not properly provided, an alternative to powdering prescribed pills at pharmacies can not be an appropriate solution due to drug stability, impurity inflow, and ultimately drug effects and safety issues. Considering the continue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t is hoped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to find a fundamental solution and interest in elderly-friendly formulations to improve drug compliance and safe drug use.

      • 피하주사 의약품 및 히알루로니다제 제형분석

        이승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15983

        본 연구에서는 다른 투여경로의 의약품 대비 처치 시간, 처치 비용 및 환자 선호도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 피하주사 의약품에 대하여 FDA에서 허가를 받은 피하주사 의약품의 적응증, 허가연도 및 제형성분 등의 정보를 통해 피하주사 의약품의 허가 및 개발동향을 확인하고 개발의 한계점을 함께 파악하였다. 피하주사 의약품의 허가동향으로 면역체계 관련 질환 및 항암 치료제에 대한 피하주사 의약품 허가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제형성분으로 pH 6.0의 히스티딘 완충용액과 폴리올 계열의 안정화제, 단백질의 안정성 유지에 적합한 계면활성제로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단백질의 특성에 따라 점성 감소의 기능을 하는 아르기닌이나 항산화제 역할을 하는 메티오닌 등의 아미노산 계열 또는 EDTA, 방부제 및 염화나트륨 사용 사례를 다수 확인하였다. 또한 피하주사 의약품 주입 부피의 경우 상당수의 의약품이 2 mL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피하지방층 내에 그 이상의 약물 주입 시 통증 및 주사부위 부작용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 mL 이하의 약물을 개발할 경우 단백농도 증가가 불가피하여 의약품 생산공정 및 허가과정에 리스크가 발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히알루로니다제의 물질이 필요하다. 히알루로니다제는 피하지방층 내의 히알루론산을 분해함으로써 통증이나 부작용 없이 의약품 주입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고 15 mL까지 주입이 가능한 것으로 허가정보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단백농도를 무리하게 증가시킬 필요성이 사라져 의약품 생산공정 및 허가과정의 리스크를 극복할 수 있다. 히알루로니다제를 포함한 피하주사 의약품 개발 시 현재 허가 받은 히알루로니다제를 포함한 피하주사 의약품의 제형성분에서 확인된 공통적인 제형성분을 확인하여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백농도와 히알루로니다제 농도는 각각 120 mg/mL, 2,000 unit/mL로 동일하고 pH 조건은 5.5이며 히스티딘 완충용액을 사용한다. 안정화제는 모두 폴리올 계열의 부형제를 사용하고 항산화제 기능을 하는 메티오닌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히알루로니다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단독 제형 관련 사항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첫번째로 활성 유지력에 유리한 pH 6.0 조건에서 제형개발이 필요하고 다수의 피하주사 의약품에서 사용하는 히스티딘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활성 개선효과를 확인한 양이온 안정화제가 필요하며 2가 양이온의 활성 개선효과과 우월함을 확인하였다. 계면활성제는 히스티딘 완충용액을 사용할 경우 활성 유지효과가 높은 폴리솔베이트 80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계면활성제 사용 시 발생하는 히알루로니다제 산화작용을 막기 위해 항산화제 기능을 하는 메티오닌이 제형성분으로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