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브루너의 민속적 교수법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감상수업 지도 방안 연구

        황소연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fact that music has been a significant motive in society across culture and time implies that it not only is an individual phenomenon but also plays a crucial social role. Music contributes to the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and integration by providing means to transfer values and culture of a community to which an individual belongs. In this regard, Bruner's later theory of 'folk pedagogy' which is a teaching-learning method emphasizing an interaction provides an insight for music education. A community of students is established through interaction, hence establishing a community with interactive learners can be a key qualification to become a competent teacher. Abilities of music appreciation include an ability for auditory perception for music components such as melody, rhythm, harmony, tone, dynamic, texture, and an ability to identify artistic meanings of music expression as a whole and react to it, based on the knowledge o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music. To appreciate music as an art form, aspects of intelligence, emotion, and senses should be used comprehensively. Thus, a necessity of teaching a systemic music appreciation at school is justified by the fact that music appreciation requires ability to perceive components of music, background knowledge, and emotional reaction. Subsequent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educational theories of Bruner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to apply his method to music education. Moreover a significance of th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 was defined and an efficient method for teaching music appreciation class was presented by applying folk pedagogy. A teaching method for music appreciation class by applying folk pedagogy was presented in which an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a group presentation were encouraged instead of cramming or lecturing-oriented teaching. As a result class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were enhanced. Contrary to the existing passive appreciation method,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enables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class so that they could have a better memory of the music pieces used in the class, and an easier access to the appreciation class which was considered to be a difficult class.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folk pedagogy will be applied in the actual school environment as a teaching method effective both for a teacher and students. 음악이 모든 시대와 문화권의 사회에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해 왔다는 점은 음악이 단순히 개인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음악안 한 개인이 속한 공동체의 가치와 문화를 전승하는 수단의 역할을 함으로써 공동체의 정체성 확립과 통합에 기여한다. 이렇듯 브루너의 후기 교수-학습 방법인 민속적 교수법(Folk pedagogy)은 상호작용을 중요시함으로써 학생과 학생간의 공동체 형성, 즉 상호 학습자의 공동체 형성도 훌륭한 교수를 위한 관건이 된다. 음악의 감상 능력에서는 가락, 리듬, 화음, 음색, 셈여림, 짜임새 등의 음악 구성요소에 대한 청각적 지각 능력과 음악의 사회 · 문화적 맥락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음악이 표현하고자 하는 예술적 의미를 총체적으로 감지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음악의 예술적 감상을 위해서는 지성, 감성, 감각의 모든 요소가 사용되어야 한다. 음악의 감상을 위해 구성 요소에 대한 지각 능력, 배경적 지식 및 정서적 반응 등이 관여한다는 사실은 학교에서의 체계적 감상교육의 당위성을 뒷받침해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루너의 교육 이론은 기존에 연구되어 진 문헌을 통해 알아보고 음악교육에 적용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중학교 음악 교육에서 감상 교육의 중요성을 살펴 본 후 이를 실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민속적 교수법을 적용한 감상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민속적 교수법을 적용한 감상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여 주입식 교육이나 강의법 수업이 아닌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모둠별 발표수업을 통해 수업 참여도와 흥미를 높였다. 이러한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기존의 감상 위주의 수업 보다는 직접 참여함으로써 감상 제재곡에 대하여 더욱더 잘 기억되고, 어렵게만 생각되었던 감상수업을 보다 쉽고 가깝게 느껴질 것이다. 또한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민속적 교수법이 적용되어 교사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수업 방법으로 제시되길 기대한다.

      • 주제 중심의 음악 감상 지도방안 :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김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음악 교과의 본질은 학생에게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고, 음악 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과 음악성을 기르며, 풍부한 음악적 정서를 함양하도록 체계적으로 도와줌으로써 음악을 생활화 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음악과 활동의 네 가지 하위 학습 영역 중 모든 활동의 기본이 되는 감상하기 활동이 수동적인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음악적 경험과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음악적 주제 중심의 폭넓은 음악적 이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주제 중심의 음악 감상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음악 감상의 과정과 음악적 반응 유형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음악 감상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음악 감상 학습 과정을 미리 예상하고 그에 알맞은 다양한 활동의 음악 감상 방법을 연구하였다. 둘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2010년 기준 중학교 1학년 16종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을 분석하여 제재곡을 모두 포함하며 교육과정에 적합하고 음악적 개념과 활동을 포함하는 통합적 음악 감상 수업이 가능한 주제를 선정하였다. 크게 세 가지의 대주제와 그에 따른 소주제는 ‘다양한 소리의 탐색’-악기의 소리 탐색, 자연의 소리 탐색, 우주의 소리 탐색, 목소리 탐색, ‘표제음악의 표현’-이야기와 음악, 움직임과 음악, 자연과 음악, 그림과 음악, 정서와 음악, ‘절대 음악의 아름다움’-음악의 구성요소, 음악의 구성원리(주제와 변주, 주제와 응답, 주제와 전개, 주제와 일탈)이다. 이렇게 선정된 주제에 따라 교과서의 감상곡을 분류하고 주제에 적합한 교과서 외의 곡도 선정하여 주제 중심의 음악 감상 수업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악 감상 수업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셋째, 음악 감상의 과정과 음악적 반응 유형 이론을 기초로 한 음악 감상 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각각의 대주제 아래 소주제 하나씩을 선택하여 감상 학습 모형에 따른 지도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음악 감상 학습 모형의 감상 수업 단계는 감각적 수용단계, 정서적 반응 단계, 지적 이해의 단계, 미적 통찰의 단계로 구성되었고, 감상 수업 단계에서의 음악적 반응의 형태는 감각적 반응, 연상적 반응, 형식적 반응, 창의적 반응의 4단계로 각 단계에 따른 다양한 활동들을 지도의 실제에 제시하였다. 주제 중심 음악 감상 교육은 기존 음악 수업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제재곡 중심의 단편적인 감상 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통합적인 음악적 주제로의 접근을 이끌어 내며 수동적인 듣기 활동에서 감상 과정 단계에 따른 다양한 활동을 통한 능동적인 듣기 활동의 음악 감상 수업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변화는 궁극적으로 학생들이 클래식을 접할 때의 어려움을 해소시키고 다양한 음악 경험을 통한 풍부한 음악적 정서가 함양되며 학생 스스로 음악을 생활화하는 바탕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에듀테인먼트 개념을 적용한 리듬 학습 중심의 감상수업 지도 방안 : 리듬액션 게임을 활용하여

        정희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음악 수업에서 학습자 스스로 음악에 흥미를 가지고 음악을 즐기며 몸으로 경험할 수 있는 감상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 에듀테인먼트를 적용한 리듬 학습 중심의 감상 수업 지도 방안을 개발함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에듀테인먼트와 켈러의 학습동기 이론, 에듀테인먼트의 콘텐츠로 선정된 리듬액션 게임, 리듬 교육과 감상 지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다양한 리듬액션 게임 중 감상수업에서 활용하기 적합한 게임을 선정하기 위해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앱 스토어에 출시되어있는 22종의 리듬액션 게임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리듬액션 게임은 <Pianista>이며 선정된 게임의 구성과 수록곡을 분석하였다. 이후 교과서와 연계하여 현장 적용에 더욱 용이하도록 지도 악곡을 선정하였다. 지도 악곡의 선정을 위해 먼저 2015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을 고찰하여 리듬의 학습이 제시된 감상 악곡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악곡과 <Pianista>의 수록곡을 비교하여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3개의 지도 악곡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도 악곡은 모차르트<작은 별 변주곡>, 슈베르트<마왕>, 쇼팽<피아노 연습곡, Op.25-11>이다. 지도 악곡의 수업 지도안에 체계성을 더하기 위해 학습동기 이론을(ARCS) 적용한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감상수업 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감상 수업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악곡에서의 음악 요소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과정’을 리듬액션 게임을 통해 쉽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리듬액션 게임을 통한 공감각적 체험과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는 악곡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음악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하고 즐기며 생활화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21세기 교육의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감상 수업의 교수방법 개발 및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보다 체계적인 음악교육 플랫폼이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 인성함양을 위한 중학교 음악 감상수업의 지도 방안 연구

        구수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s purpose is to provide a music appreciation class guidance which can cultivate character through esthetic experience within music appreciation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oretical backgrounds lies within literature and advanced research about music appreciation class and cultivation of character. For a concrete character cultivation, some certain factors which can be learned through music appreciation class are extracted. As a result, ‘Respect’, ‘Consideration’, ‘Fairness’, ‘Citizenship’ were found and class guidance focused on each factor. Music appreciation class guidance for cultivation of character is the same as followings. First, in a class for ‘Respect’, the repertoires Mozart’s Little Star Variation will lead students to learn about ‘Respect’ by allowing them to understand their personal feeling, emotion and to sympathize with others. Creating variations on their own will allow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 character and appreciating other’s variations will lead them to self-respect and respect for others. Second, in a class for ‘Consideration’, students learn about ‘consideration’ by understanding the repertoire Schubert’s Erlkönig character, discussing and creating a poem with personal feelings from the piece. Third, in a class for ‘Fairness’, Beethoven’s Destiny will lead the students to learn about ‘fairness’ by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e Sonata form. The ‘fairness’ is also going to be cultivated through formative evaluation which learners will define the form of Sonata and write down their feeling in a provided standard. Fourth, South Korea’s national folk song ‘Arirang’ will be the repertoire for ‘Citizenship’ cultivation class. The character will be cultivated by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e ethnic’s feeling, cultural background. In addition, singing in unison and beating time in hand with their friends will create a community spirit. Self-assessment were built to cultivate the character, too. This study’s guidance was made mainly for esthetic experience and concrete character cultivation within a music appreciation class. These music appreciation classe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the student’s life by cultivated characters. Key Words: music appreciation class, cultivation of character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미적 체험을 통해 인성이 함양 될 수 있는 음악 감상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인성교육과 음악 감상교육에 관한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인성함양을 위해 음악 감상수업에서 배울 수 있는 인성요소들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존중’, ‘배려’, ‘공정성’, ‘시민성’을 찾을 수 있었으며 각각의 요소에 초점을 맞춰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성요소 함양을 위한 음악 감상수업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존중’을 함양할 수 있는 감상수업에서는 제재곡인 모차르트의 <작은 별> 변주곡을 통해 학생들이 주관적인 느낌과 정서를 이해하고 공감함으로써 존중을 배우도록 하였다. 그리고 직접 변주곡을 창작하면서 자신의 감정과 성격을 표현하고, 타인의 변주곡을 감상하는 활동을 하면서 자기 존중감과 타인에 대한 존중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배려’를 함양할 수 있는 감상수업에서는 제재곡인 슈베르트의 <마왕>을 통해 학생들이 작품의 등장인물을 파악하고, 작품에서 받은 주관적인 느낌을 바탕으로 모둠원과 토의ㆍ토론하여 시를 창작해봄으로써 ‘배려’를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공정성’ 함양을 위한 감상수업에서는 제재곡으로 베토벤의 <운명> 교향곡을 선정하였으며, 소나타형식을 이해하고 감상함으로써 ‘공정성’이라는 인성요소를 배우도록 하였다. 그리고 형성평가에서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소나타형식에 대해 정의를 내려보고, 제시된 기준에 따라 느낌을 글로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공정성’이 함양되도록 하였다. 넷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감상수업으로 우리나라 민요 <아리랑>을 선정하였으며, 이 곡에 담긴 민족의 정서, 시대․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을 통해서 ‘시민성’이라는 인성요소를 배우도록 하였다. 그리고 동료들과 손장단에 맞춰 제창을 하면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자기평가에서도 시민성을 보다 더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음악 감상수업 안에서 미적 체험과 구체적인 인성요소 학습을 목표로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음악 감상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인성이 함양 되어 삶의 질을 향상 시키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주요어: 음악감상수업, 인성교육

      •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 지도 방법 연구 :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봄' 1악장 Allegro 중심으로

        홍영은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근래에는 음악 감상 활동이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화되었다. 특히 중학생들이 정서적·감성적 역량을 함양하는 데 있어 음악 감상 수업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음악 감상 수업에서 학생들의 참여도와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감상 수업이 필요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을 살펴본 결과, 성안당에 게시되어 있는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과 미래엔 교과서에 게시되어 있는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봄’ 1악장 Allegro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중학교 교과서의 전체 감상곡들 중에 바이올린 곡의 수가 적음을 보여준다. 또한, 바이올린 곡을 제재곡으로 한 연구도 많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을 위해 바이올린곡을 중심으로 수업 지도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에 대해 알아보고 감상 수업의 효과적인 방법에 관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본 수업 지도안의 연구 대상으로는 중학교 3학년으로 설정하였고, 고전 시대 사회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소나타의 구조적 특징을 중학교 학생들이 이해하기 쉬운 수준으로 수업내용을 구성하였다. 바이올린의 악기 구성 및 특징에 대해서 사진과 실제 악기를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였으며,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5번 ‘봄’ 1악장 Allegro의 개요와 함께 총 3차시에 걸쳐 수업 지도안을 연구하였다. 1차시에는 고전주의 시대적 배경과 바이올린 소나타 ‘봄’작곡 배경을 살펴보며 중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소나타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2차시에는 바이올린의 구조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소나타 악곡에 나타난 악상기호를 학생들이 알기 쉽게 접근하여 연구하였다. 마지막 3차시에는 조별 발표와 함께 형성평가도 2차시로 나누어 문제를 내고, 3차시까지 모든 수업이 끝난 뒤에는 해당 내용에 대한 감상문을 제출하게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음악 교과서를 활용한 감상 수업의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바이올린이라는 악기와 바이올린 소나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통합예술교육을 통한 능동적 음악 감상 수업지도안 :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를 중심으로

        박찬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감상은 때론 기악 연주나 창작보다도 더 많은 음악적 노력과 집중이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수동적인 자세나 즐기면 되는 행위로 간주되기도 하며 다른 영역의 활동보다 소홀히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이 감상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활동이 적고 듣는 행위로 그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능동적인 음악 감상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며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의 악곡 중심으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통합예술교육에 대한 개념과 정의를 정리하고 고찰하였으며 미국과 우리나라의 실제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둘째, 능동적 음악 감상의 수업 유형, 목적, 필요성을 통해 능동적 음악 감상 수업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통합예술교육을 위해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의 문화·예술적 배경을 연구하고 이에 따라 음악, 미술, 건축 각 분야의 대표성을 띤 작품 및 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통합예술교육을 통한 능동적 음악감상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으며, 음악 외의 다른 예술 분야와의 통합수업을 통해 감상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과 음악을 통해 음악감상을 청각적 요소뿐만 아니라 시각적 요소로 접근할 수 있게 시도하고 각 분야의 시대 적 배경과 예술적 특징의 공통점을 통해 음악이 사회와 연관되어 발전해오고 있음을 이해하도록 설명하여 더욱 능동적인 음악 감상 수업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ppreciation is sometimes regarded as a passive attitude or an act of enjoying, even though it requires more musical effort and concentration than instrumental performance or creation, and tends to be neglected than activities in other areas. One of the reasons why students prefer appreciation classes is that they are less active and only list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llow students to reach active music appreciation through integrated art education, and a class guidance plan was presented centering on the Renaissance and Baroque eras.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integrated art education were organized and reviewed, and actual cases i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were examined. Second, active music appreciation classes were considered through the type, purpose, and necessity of active music appreciation. Third, for integrated art educat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background of the Renaissance and Baroque era was studied, and accordingly, works and styles that represented each field of music, art, and architecture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contents, a plan for active music appreciation classes through integrated art education was presented, and various approaches to appreciation were constructed through integrated classes with other art fields other than music. This study attempted to access music appreciation as well as auditory elements through art and music and to understand that music has been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society through the common feature.

      •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 지도안 연구 : 슈베르트 「마왕」을 중심으로

        이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제이콥 비숍(Jacob Bishop)과 매튜 베레거(Mattew Verleger)의 거꾸로 수업 모형을 기반으로 음악 감상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1차시 지도안은 예술가곡을 이해하고 프란츠 패터 슈베르트(Franz Peter Schubert, 1797~1828)의 「마왕」의 특징을 학습하면서 제재곡을 감상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선행학습 동영상을 통해 학생들은 ‘가곡의 왕’이라고 불리는 슈베르트의 생애와 예술가곡의 특징에 대해 이해하면서 제재곡을 감상하였다. 기존의 감상 수업은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작품의 음악적인 구조와 요소들을 설명하는 주입식 강의로 진행되었다. 이런 수업 방식은 음악 자체의 특성 및 관련된 배경 지식을 학생들 스스로 이해하고 습득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 음악 감상 수업에서는 선행학습 동영상 강의를 통해 작곡가의 전반적인 생애와 그 시대적 맥락을 먼저 이해하고 숙지할 수 있다. 교실 안의 본 수업에서는 「마왕」의 각 등장인물의 특징을 이해하고 모둠별로 배역을 정해 연기해보는 시간으로 진행하였다. 이때 학생들은 선행학습 동영상 강의에서 예술가곡의 탄생배경을 이해하고 등장인물에 따라 바뀌는 선율을 구분하여 연기하는 활동을 통해 ‘심미적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2차시 지도안은 이전 차시의 예술가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리듬인 셋잇단음표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피아노가 더 이상 반주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곡의 분위기나 특징을 표현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1차시와 2차시에 걸쳐 음악의 외적, 내적인 구조를 학습하고 제재곡을 감상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심미적 체험’을 경험하였다. 즉 그림이나 글로 써서 표현하는 행위를 통해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음악 감상의 가치를 느끼고 그 가치를 스스로 주도하여 내면화할 수 있다. 거꾸로 수업이 음악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음악 교사들에게 교사 양성 프로그램과 같은 실질적인 연수를 통해 ‘온라인 선행수업’ 활용능력 배양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향후 교실에서 능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도의 문제, 선행학습과 본 수업에서의 괴리감 등의 이유로 선행학습 강의 동영상을 시청하지 않고 본 수업에 오는 학생들을 교실 안에서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도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 설계 및 지도 기반 예비음악교사 PCK 검증

        한정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 설계 및 지도 기반 예비음 악교사 PCK 검증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자는 연구 문제 로, 첫째, 예비음악교사의 일반 음악감상수업의 개발은 어떠한가?, 둘째, 일반 음악감상수업의 설계와 지도에서 예비음악교사의 PCK는 어떠한 가?, 셋째, 예비음악교사의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의 개발은 어떠한가?, 넷째,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의 설계와 지도에서 예비음악교사의 PCK는 어떠한가?, 다섯째, 예비음악교사의 일반 음악감상수업과 ZEP 활용 음악 감상수업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을 통 한 예비음악교사의 PCK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가?를 설정하였다. 또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헌 및 사례, 선행연구 분석 및 질적 연구의 특성,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고찰한다. 연구자는 예비음악교사 8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일반 음악감 상지도안을 시연하고 예비 음악교사가 개발한 일반 음악감상수업지도안 과 일반 음악감상수업 시연을 PCK 검증 관찰검사지의 PCK 요소로 관찰,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ZEP 소양학습을 통해 ZEP을 활용하는 내용과 방법에 대해 지도하였고, 연구자가 개발한 ZEP 활용 음악감상지도안을 적용하여 시연하였다. 예비음악교사가 구축한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을 PCK 검증 관찰검사지의 PCK 요소로 관찰 결 과를 분석하였고, PCK 측정 검사지 문항을 바탕으로 예비음악교사들과 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 ZEP 활 용 음악감상수업을 통한 예비음악교사의 PCK를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 첫째, 예비음악교사의 일반 음악감상수업의 개발은 어떠한 가에 대한 해결로, 예비음악교사는 다음과 같이 일반 음악감상수업을 개 발한다. 학습 단계는 도입, 전개, 정리의 3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에 할 애할 시간을 설정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자료와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인지한다. 도입 단계에서 주의집중과 동기유발, 학습목표를 제시하 고 전개 단계에서 본격적인 음악감상 활동을 계획하고 정리 단계에서 심 미적 감상, 음악의 느낌과 감정을 음악의 특징적인 요소와 연결시키며, 학생의 일상생활과 연결된 성찰이 이루어지는 활동을 제시하거나 오늘 학습한 내용의 확인과 복습, 다음 차시예고를 한다. 위 내용을 중심으로 일반 음악감상수업지도안을 개발하여 일반 음악감상수업 시연을 진행한 다. 연구 문제, 둘째, 일반 음악감상수업의 설계와 지도에서 예비음악교사 의 PCK는 어떠한가에 대한 해결은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일상적인 대 화로 학생들과 소통하며 자연스럽게 수업의 시작으로 이끌거나(예비음악 교사 B; F; G; H) 전 차시 수업에서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며(예비음악교 사 F; ;G; H), 수업을 매끄럽게 진행하는 교수방법 지식을 사용하기도 한 다. 그리고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학생들과 큰 소리로 함께 읽어보며 오 늘 수업에서 진행할 내용의 목적을 인지시키며 이상적인 학습목표를 제 시하는 교육목적 지식을 보여준다(예비음악교사 A; B; C; D; E; F; G; H). 지도하고자 하는 해당 악곡의 음악적 요소와 특징, 배경을 상세히 설 명하면서 예비음악교사는 실제적인 지식이 있는 교과내용 지식을 제공하 고 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학습자료나 교수내용지식을 완벽히 준비하는 자료와 자원 지식의 함양을 보여준다(예비음악교사 A; B; C; D; E; F; G; H). 이런 분석적 감상에서 감상을 하며 음악의 요소(악곡의 형 식, 음색, 리듬, 박자 등)을 제재곡에서 구별하거나(예비음악교사 C; E; F; G; H) 같은 작곡가의 혹은 비슷한 분위기의 두 곡을 듣고 비교 평가 하거나 악곡의 악기 구성을 구분하는 과정은 깊이 있는 감상을 경험하며 음악적인 상황을 조성하고 학습자가 적극적⋅안정적으로 활동을 할 수 있는 물리적⋅심리적 수업환경을 조성하는 상황 지식의 구현이다(예비음 악교사 A; B; C; D; E; F; G; H). 분석적 감상에서는 학습자가 잘 이해하 고 습득하고 있는지 학습지나 퀴즈를 통해서 확인하는 과정을 구성하여 학습목표와 일체화된 평가를 통해 교육목적 지식이 반영된다(예비음악교 사 B; C; D; E; F; G; H). 또한 모둠으로 활동을 구성해 서로 의견을 나누며 다른 학생들과의 사 회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공감하고 소통한다(예비음악교사 A; C; D; C; F; G). 다음 차시에 배울 내용을 공지하면서 연속된 계열의 내용과 체계 를 설정하는 교육과정 지식을 반영한다(예비음악교사 A; B; C; D; E; F; G; H). 연구 문제, 셋째, 예비음악교사의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의 개발은 어 떠한가에 대한 해결은 다음과 같다. 구축한 ZEP 주소에 접속하여 제일 먼저 도착한 위치에 도입 단계의 활동을 구성하는데 학습 동기유발을 위 한 동영상이나 사진을 오브젝트를 통해 팝업으로 연동되게 구축하여 제 시한다. 그리고 오브젝트에 공간 안에서 어떤 미션이 주어지는지 소개하 는 텍스트를 설정한다. 이는 ZEP에서 공간을 탐색하여 오브젝트 안에 숨겨진 기능을 찾아내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심이 되는 일이기 때문이 다. 대체적으로 오브젝트 안에 설정해 놓은 기능은 퀴즈를 통해 문제를 맞추어야 위치해 있던 오브젝트가 사라지고 다음 공간으로 이동하게끔 구축되어 있거나 오브젝트에 말풍선이나 텍스트 팝업 기능으로 많은 양 의 음악적 지식을 제공하거나 ‘어디로 이동해라, 어디에서 무엇을 찾아 라’의 지시하는 내용 또한 텍스트 팝업이나 말풍선에 입력해 놓는다. 연구 문제, 넷째,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의 설계와 지도에서 예비음악 교사의 PCK는 어떠한가에 대한 해결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전개 단 계에서 아바타가 오브젝트 가까이 가면 텍스트 팝업을 통해‘음악을 들 어보세요’또는 악곡의 제목을 설정해 놓아 F를 눌러 실행하면 해당 음 악이 재생되는 동영상을 감상하게 되는데 이는 음악적인 상황을 조성하 는 상황 지식의 구현이다(예비음악교사 A; B; C; D; E; F; G; H). 음악을 감상한 후 오브젝트에 연동되게 구축해 놓은 패들렛을 통해 감상평을 쓰 도록 한다. 패들렛으로 학생들의 의견이나 생각을 공유하는 것은 예비음 악교사가 학습자의 의견에 공감하는 평가 지식의 반영이다(예비음악교사 D; E; F; G; H). 예비음악교사가 ZEP의 맵을 구축할 때 여러 스페이스를 선택하여 각 공간을 이동하며 탐색할 수 있게 하거나 한 스페이스 안에 서 위층 공간에서 아래층 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포털기능을 지정해서 학 생들이 공간을 재미있게 탐색하는 것은 신체적 활동으로 학습자의 흥미 를 유발하는 교육학 지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예비음악교사 A; B; D; E; F; G; H). 연구 문제, 다섯째, 예비음악교사의 일반 음악감상수업과 ZEP 활용 음 악감상수업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해결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자 한다. 일반 음악감상수업에서 계획하는 같은 활동을 ZEP에서 구축하 면 ZEP이라는 가상공간 자체가 귀엽고 현장감이 살아있어 해당 공간 안 에서 직접 체험하는 듯한 현실 재현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에 일반 음악 감상수업 시연 보다 훨씬 생동감있고 흥미롭다. 공간을 이동해서 탐험하 고 기능을 활용하여 색다른 경험을 해봄으로써 학습의 흥미를 유발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또한 시간적, 공간적 제한이 없기에 학생들이 지속적 으로 탐구하고 학습하여 지식을 습득하기에 훨씬 용이하다. ZEP은 일반 음악감상수업보다 디지털 영상 매체나 시각자료, 학습자료의 연동이 훨 씬 간편하여 자료의 확보 면에서 다양성과 수월성을 가진다. 수업시간 내에 학습 내용을 다 습득하지 못 하는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나 다시 접 속하여 맵을 탐험하며 학생 개개인의 페이스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어 학습의 효율성이 훨씬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음악감상수업 시 감상을 할 때 음악회 공간으로 이동해서 연동된 동영 상을 감상함으로써 실제 공연을 참석해 감상하는 것처럼 매우 실감나고 감상의 몰입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작곡가에 대하여 설명할 때도 전시 관 공간에 진열된 액자 속에 작곡가의 일생에 관련된 수많은 사진이 전 시되어 있어 실제 전시관에 온 듯한 현장감을 느끼고 아바타가 실제로 물리적 거리를 이동하며 전시를 관람하여 전시관 안에서 작품을 감상하 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그 안에서 생동감 있는 시각자료를 감상할 수 있 다. ZEP에서 패들렛 기능을 통해서 학생들의 생각과 의견, 느낌을 공유 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 음악감상 수업 시에는 모둠을 구성하여야 가능 한 활동이지만 ZEP의 기능으로 학생들 간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훨씬 수월하고 간편하게 조성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부각시킬 수 있다. 패 들렛에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 동시에 열 람하고 평가하여 빠르게 응답하고 공감할 수 있다. 연구 문제, 여섯째,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을 통한 예비음악교사의 PCK 인식과 태도는 어떠한가에 대한 해결은 ZEP 활용 음악감상수업의 예비음악교사 PCK 요소 면담 결과의 분석으로 대신할 수 있다. 이를 제 시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 교수방법 지식 측면에서 ZEP은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직접 공간을 탐색하고 지시사항을 수행하며 음악적 지식을 찾아보고 알아내어 습득하는 과정을 통해 직접 경험하는 교수방법임을 알 수 있다. 둘, 학생이해 지식 측면에서 ZEP 활용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사용하여 다양한 영상매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매체를 선호하고 가상세계에 관심 이 높은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고 ZEP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학 습자가 집중해야 할 대상이나 내용에 주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셋, 교과내용 지식 측면에서 예비음악교사는 ZEP에서 많은 양의 음악 적 지식을 말풍선이나 텍스트로 설정함으로써 실제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비음악교사는 ZEP에서 퀴즈를 통한 미션 수행, 다른 웹사이 트와 연계하여 구축하는 활동들, 숨어있는 오브젝트를 통한 정보탐색 등 맵에서 이루어지는 지속적 체험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수업을 구성한다. 넷, 교육과정 지식 측면에서 예비음악교사는 지난 차시에 지도한 내용 을 흥미유발 요소로 활동의 시작에 언급하거나 ZEP의 마무리로 오브젝 트 안에 말풍선이나 텍스트 팝업으로 다음 차시예고를 입력해서 연속된 계열의 내용과 체계를 설정한다. 다섯, 상황 지식 측면에서 다양한 음원과 동영상을 감상하며 음악적인 상황을 조성한다. 여섯, 평가 지식 측면에서 예비음악교사는 ZEP에서 퀴즈를 풀어야 다 음 장소로 이동하게끔 설정해 놓은 형성평가를 구성함으로써 이상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패들렛을 통해 학생들의 의견에 피드백을 제공하며 공감해 주고 학생들이 서로 생각을 공유하며 상호평가와 자기평가가 이 루어지도록 도모한다. 일곱, 교육학 지식 측면에서 예비음악교사는 ZEP의 특성상 시간과 인 원의 제한 없이 언제든지 다시 접속해 학습을 재경험할 수 있는 반복학 습을 통해 자기성찰을 도모하며 수업을 완결한다. 여덟, 교육목적 지식 측면에서 ZEP 안에 오브젝트를 설정해 말풍선이 나 텍스트 팝업을 이용해 학습목표를 이상적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아홉, 자료와 자원 지식 측면에서 예비음악교사는 ZEP을 능숙하게 다 루어 시각적으로 귀엽고 체험적으로 흥미로운 공간을 구축할 수 있다. 예비음악교사가 다양한 음원과 동영상 등의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것 으로 보면 매체를 능숙하게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비음악교사의 ZEP 활용 음악감상 수업이 원활히 진행되고 PCK를 함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제언한다. 첫째, ZEP 활용 음악감상 수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ㆍ학 습 환경의 제고가 필요하다. 둘째, ZEP 활용 음악감상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교사의 에듀테크 소양에 대한 적극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셋째, ZEP 활용 음악감상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소양 능 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예비음악교사는 ZEP 활용 음악감상 수업으로 음 악감상 학습 장소나 공간 구축의 변화에 따라 학생(감상자)의 태도를 변 화시킬 수 있고, 음악 작품에 더 몰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브루너 표상이론을 통한 감상 수업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조연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논문은 브루너(J. S. Bruner)가 제시한 지식의 구조를 습득하는 방법인 표상이론(theory of representation)을 음악 교과에 적용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음악 교육의 기초인 감상 수업을 이용해 초등학교 감상 수업 지도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음악교육은 '감상'으로부터 시작된다는 말이 있듯이 학교 교육에서 감상 수업은 지나칠 수 없는 넓고 큰 의미를 지닌다. 음악 교육에 있어서 감상 교육은 심미적 경험을 줄 뿐만 아니라 음악성과 창의성을 길러주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음악 감상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활동으로는 '귀로 듣기' 가 있다. 그러나 '듣기' 에만 치우치는 음악 감상은 바람직한 감상이라 할 수 없으며 단편적이고 수동적이며 교사가 학생에게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교육이 될 수 있다. 음악교육에서 중요한 감상 교육의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브루너의 표상이론을 적용하여 보았다. 표상 이론은 어떤 지식이든지 세 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며 인간의 인지 발달순서와 마찬가지로 지식 습득 과정을 행동, 영상, 상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면 효과적인 학습에 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행동적, 영상적, 상징적 표상양식이 음악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 세 가지 영역을 활용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예상할 수 있다. 첫째,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세 가지의 표상양식을 적용함으로써 좀 더 쉽고 단계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개념에 대한 막연한 설명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수업에 참여하고 활동함으로써 개념을 습득하게 되고 흥미를 이끌 수 있다. 둘째, 수업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존재한다. 신체를 위한 행동적 표상양식과 시각화 되어 제시되는 영상적 표상양식은 학습자의 주의력과 집중력을 높이는데 충분하다고 생각되어진다. 셋째, 감상이라는 상위 목표를 두고 수업을 진행하며 타 교과와의 통합수업 및 가창, 기악, 창작의 영역을 활용함으로써 음악의 개념 습득을 위한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방안은 여러 가지 지도 방법 중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며 교사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응용하고 재구성하는 것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브루너의 표상이론을 통한 감상 지도 방안이 음악수업 현장에서 학생에게 효율적으로 적용되어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이 보다 수준 높은 단계에 이르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