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한 연구

        곽혜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의 정도가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의 정도는 도시와 농어촌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2.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의 정도는 유아교육 교사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3.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의 정도는 유아교육 관련 소지 자격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4.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의 정도는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의 정도는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현직교육의 이수여부와 참여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6.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의 정도는 과학에 대한 개인의 흥미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교사 4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Enoch와Riggs (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 교수 효능감 검사도구 STEBI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서소영(1997)이 번역 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연구문제1> 및 <연구문제3> 에서의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2> , <연구문제4> , <연구문제6> 에서의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 하였고 추후분석으로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5> 에서는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현직교육의 이수여부에 따른 과학 교수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현직교육의 참여횟수에 따른 과학 교수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추후분석으로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와 농어촌 지역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교수 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인 과학 교수 개인효능감에서는 농어촌 지역의 교사들 보다 도시지역의 교사들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 교사경력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교수 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경력이 '5년이하'인 집단과 '6년~15년'인 집단보다 '16년이상'인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 관련 소지자격증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교수 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최종학력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도 과학 교수 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현직교육의 이수여부의 경우 과학 교수 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인 과학 교수 개인효능감에서 현직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집단 보다 이수한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현직 교육의 참여횟수의 경우 과학 교수 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현직교육의 참여횟수가 '0회'인 집단, '1회'인 집단, '2회'인 집단, '3회'인 집단 보다 '4회이상'인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과학에 대한 개인의 홍미도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은 과학 교수 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에서 과학에 대한 개인의 흥미도가 '매우 낮은 집단', '낮은 집단', '보통'인 집단, '높은' 집단 보다 '매우높은'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과학교육 분야와 연관된 유치원 교사의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의 계획과 구성에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effectiveness for the science teaching of the teacher of kindergarten change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ble factor. The established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or this purpose. 1.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rea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in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for the teacher of kindergarten? 2.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 of infant education in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for the teacher of kindergarten? 3.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sessing of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relating to infant education in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for the teacher of kindergarten? 4.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inal schooling of the teacher in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for the teacher of kindergarten? 5.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and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education on the job for infant education in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for the teacher of kindergarten? 6.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est on science in the degree of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for the teacher of kindergarte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474 teachers of annex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city, Kwangju city, and Chollanamdo. The investigation tool for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STEBI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was used, STEBI was developed by Enoch and Riggs (1990) and translated by Seo So Young (1997) and revis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treated by a t-verification for <study question 1> and <study question 3>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addition, to know the difference of groups between <study question 2>, <study question 4>, and <study question 6>, the unitary analysis of variables (ANOVA) was executed. As a post analysis, Scheffe´ verification was executed. In the <study question 5>. in order to find the difference of the effectiveness for the science teaching according to the completing the education on the job concerning to infant science education, t-verification was performed, and also to know the difference of the effectiveness for the science teach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education on the job, the unitary analysis of variables (ANOVA) was performed, and as a post analysis Scheffe´ verification was performed. The result outlin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of kindergarten's teacher according to the city and the area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showed a difference of meaning higher from the teacher of city area than from the teacher of farming and fishing area in the whol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and the individual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which was a low level factor. Second,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of kindergarten's teacher according to the career of infant education teacher represented a difference of meaning higher from the carrier group over 16 years than from the carrier groups under 5 years and the carrier groups of 6 years to 15 years in the whol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and a low level factor. Third,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of kindergarten's teacher according to the possessing of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relating to infant education represented no difference of meaning in the whol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and a low level factor. Fourth,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of kindergarten's teacher according to the final schooling of teacher represented no difference of meaning in the whol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and a low level factor, too. and the expectation for the result of science teaching which was a low level factor. Fifth, in case of the completion of education on the job, the group who had not completed the education on the job represented a difference of meaning higher than the group who had completed the education on the job in the whol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and the individual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which was a low level factor. In addition, in the participation frequency of education on the job concerning to infant science education, the group with over four times represented a difference of meaning higher than the groups with zero, one, two, and three times in the whol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and a low level factor. Sixth,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of kindergarten's teach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ividual interest about science represented a difference of meaning higher from the group with 'very high' individual interest for science than from the groups with 'very low' , 'low' , 'ordinary' , and 'high' individual interest for science in the whole effectiveness of science teaching and a low level factor. The result for this study can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plan and the construction of pre-job education and on the job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s teacher relating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동향 비교분석

        이난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Korean kindergarten & elementary school teacher’s rights from 1985 to February 2019, and to explore im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system for guaranteeing the right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Q1. What about the trends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rights? Q2. What about the trends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ights? Q3. How about a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o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ights? To this end, 84 stud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the right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ch were published from 1985 to February 2019. The criteria for analysis of the research were divided into the subjects of the study, the period of the study, the methods of the study,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and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in subjects of the study, the rights-related research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conducted mainly on human subjects, while the rights-related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of the studies in literature, but also actively on human-rights studies. Second, in terms of the research period, the amou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ights research was 1.7 to 1.8 times larger than kindergarten’s, but both showed a steady increase. In particular, although there has been a sharp increase since 2008,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auses of the increase and decrease are different for different periods.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on the rights of kindergarten teachers accounted for a majority of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earch on the righ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using the method of literature and quantitative research relatively evenly. However, both sides showed less percentage in the qualitative and mixed research methods. Fourth, in terms of research content, the research on rights of kindergarten teachers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tuation, countermeasures and concepts, while the study on righ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hown in many order to understand concepts, conditions, and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Kindergarten teacher's rights research trends were able to seek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rights of kindergarten teachers would move forward. This study will allow u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rights-related studi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vide basic data to supplement the deficiencies. 본 연구는 1985년부터 2019년 2월까지의 국내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향후 유치원교사의 권익 보장 체제구축을 위한 시사점 및 연구방향을 모색하는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동향의 비교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1985년부터 2019년 2월까지 발표된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과 관련한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총 84편의 연구물을 수집·분석하였다. 연구물의 분석기준은 연구대상,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내용으로 나누어 내용분석과 문헌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측면에서 유치원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는 주로 인적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는 문헌대상 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인적대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시기 측면에서 연구물의 양은 초등학교가 1.7배에서 1.8배 많으나, 유치원과 초등학교 모두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08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나, 내용분석 결과 각 시기별로 증감의 원인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 측면에서 유치원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방법이 다수를 차지하였고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방법과 양적연구를 비교적 골고루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양 쪽 모두 질적연구방법과 혼합연구방법의 비중은 적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 측면에서 유치원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는 실태, 대책, 개념 이해 순으로 많았고 초등학교 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는 개념 이해, 실태, 대책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의 권익 관련 연구 동향에 기반하여 유치원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 동향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치원교사의 권익 관련 연구에 대한 현 상태를 검토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나가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교사의 지각 및 기대 비교

        성혜자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하여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 자신과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과 기대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의 각 하위영역에 있어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의 지각과 기대간에 차이가 있는가? 나.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의 각 하위영역에 있어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과 기대간에 차이가 있는가? 다.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과 기대는 역할수행 하위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교육청 산하 11개 지역교육청의 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직중인 원(교)장 131명과 교사 216명이었고, 본 조사에서 수집된 설문지를 SPSS를 이용한 일원분산분석(ANOVA), t-test검증과 Scheffe와 Dunnett T3 사후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의 지각과 기대간의 차이를 조사해 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기대를 지각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과 기대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교육과정 및 학습지도영역이었고, 지각과 기대의 차이가 가장 적은 영역은 시설 및 재무관리영역이었다. 원(교)장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역할수행 하위영역 중 원(교)장 경력에 따라 교직원관리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원(교)장 경력이 3년이상인 원(교)장이 원(교)장 경력이 3년미만인 원(교)장에 비해 교직원관리영역 역할수행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과 기대간의 차이를 조사해 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기대를 지각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과 기대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평가영역이었고 지각과 기대의 차이가 가장 적은 영역은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영역이었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역할수행 하위영역 중 유치원 소재지에 따른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영역에서 군지역 교사들이 시지역 교사들보다 원(교)장이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영역 역할수행을 잘한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경력에 따른 생활지도영역에서는 교육경력이 5년미만이나 15년이상의 교사들이 10년이상~15년미만인 교사들보다 원(교)장이 생활지도영역의 역할수행을 잘한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에 따른 평가영역에서는 교육경력이 5년이상~10년미만인 교사들이 교육경력이 15년이상인 교사들보다 원(교)장이 평가영역의 역할수행을 잘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의 지각 및 기대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에서는 원(교)장이 교사보다 모든 하위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큰 지각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인사 연수영역이었고 가장 적은 지각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교육과정 및 학습지도영역이었다. 기대에서도 지각과 마찬가지로 원(교)장이 교사보다 모든 하위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큰 기대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생활지도영역이었고 가장 적은 기대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평가영역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 자신은 현재의 유치원 원장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이 기대에 못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유치원 교육의 전문성을 절실하게 요구하는 교육과정 및 학습지도영역의 역할수행이 가장 기대에 못미친다고 지각하는 것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병설유치원 교사들도 원(교)장 자신의 지각과 기대와 마찬가지로 현재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이 기대에 못미친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평가영역의 역할수행이 가장 기대에 못미친다고 지각하는 것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원(교)장과 교사의 지각과 기대를 비교해 본 결과 지각과 기대 모두 원(교)장이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원(교)장 자신은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역할수행을 긍정적으로 보았고 교사들은 원(교)장 자신에 비해 원(교)장의 역할수행에 대해서 만족스럽지 못하게 보았기 때문에 원(교)장과 교사간의 지각과 기대 차이를 좁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원장의 역할수행 중 유치원 교육의 전문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교육과정 및 학습지도영역이나 평가영역에 대해서는 유치원 원장으로서의 전문성을 도울 수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 등을 적극 개발·적용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03년 8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s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expectation between kindergarten directors(principals) and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For this purpose the detailed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a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directors(principal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2. Wa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3. Wa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between kindergarten directors an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reviewed and survey were performed. The survey instrument used was a questionnaire which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oi(2000) and revised the content for the study by the researcher partially. The subjects were 131 directors(principals) and 216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province of Chungbuk.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OVA, t-test, Scheffe and Dunnett T3 using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directors(principal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directors by the directors(principals) demographic variables. 2.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role performance of the kindergarten directo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3.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expectation between the directors(principals) and teacher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he elementary schools on the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director. The comparison of perception and expectation between directors (principals) and teachers attached to the elementary schools shows the expectation of directors(principals) scored higher than one of the teachers in all subareas. The largest difference was in the subarea of career education and the smallest difference were in the subarea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Expectation, as with perception, shows the directors(principals) obtaining a higher score than teachers in all subareas. The largest difference was shown to be in the subarea of counseling and guidance and the smallest was in evaluation.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ecause the directors' perceptions in the kindergartens attached to elementary schools are not as high as their expectations in all subareas. In-service education for directors(principals) about professional role of kindergarten director is needed. 2. In case of teachers, their perception is not as high as the expectation. Especially, the largest difference is showed in the area of evaluation. 3. The directors scored higher in both perception and expectation than the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directors consider their role as director more positively compared to teachers, which indicates a solution must be found to decrease the gap between the directors' perception and their expectation, in comparison to teacher.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August, 2003.

      •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박수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를 경력과 학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교직윤리의식과 교사역할수행정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윤리강령 제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치원 교사의 전직교육과 현직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직윤리의식은 어떠한가? 1-2 유치원 교사의 학력에 따른 교직윤리의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정도는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사의 경력에 따른 역할수행정도는 어떠한가? 2-2 유치원 교사의 학력에 따른 역할수행정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동부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218명의 응답을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자료 질문지는 5단계 평정척도를 점수화 하였다. 교직윤리의식에 관한 질문지는 조형숙 ․ 박은주 ․ 류혜숙(2008)의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의 질문지를 토대로 유치원 교사의 윤리의식에 알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역할수행정도를 묻는 질문지는 박향숙(1994)의 유치원 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질문지자료를 역할수행정도에 알맞게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질문지의 신뢰도(Cronbach α)를 구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Frequencies Analysis), 일원량분석(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 Pearson의 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은 평균 3.61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가정에 관한 윤리의식(M=3.76, SD=.45)이 가장 높게 나왔고 지역사회와 사회에 관한 윤리의식(M=3.42, SD=.43)이 가장 낮았다. 교사의 변인에 따른 교직윤리의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교직윤리의식이 높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교직윤리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정도는 평균 3.72점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설계자로서의 역할(M=3.84, SD=.52)과 상담자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M=3.83, SD=.51)이 높게 나왔으며 연구자로서의 역할(M=3.54, SD=.60)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역할수행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집단 간에는 5년이상 경력집단이 3년이하의 경력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 따른 역할수행정도는 4년제이상 졸업 학력이 높은 교사의 역할수행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는 모든 관계에서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교직윤리의식이 높을수록 역할수행정도를 잘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직윤리의식이 높을수록 수업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을 가장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의 상관에서는 지역사회와 사회에 관한 윤리의식과 연구자로서의 역할이 통계적으로는 유의하나 다른 하위 영역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결과에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집단이 교직윤리의식이 높으며 역할수행정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학력에서는 학력이 높은 교사집단이 교직윤리의식이 높게 나왔으나 역할수행정도에서는 학력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는 매우 높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이 높을수록 역할수행을 잘 한다고 할 수 있다.

      • 유치원 음악교육의 동향분석 : 환경, 교육내용, 교수, 교사를 중심으로

        배정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1970년부터 2009년까지의 유치원 음악교육 관련 연구문헌 67권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환경, 교육내용, 교수, 교사변인을 중심으로 유치원 음악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로써 바람직한 유치원 음악교육을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찾고 나아가 유치원 음악교육의 개선․보완․발전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음악교육의 환경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음악교육의 교육내용 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음악교육의 교수 동향은 어떠한가? 넷째, 유치원 음악교육의 교사 동향은 어떠한가? 분석연구대상 문헌은 국내의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67편이다. 연구도구는 유아음악교육학자들의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 후, 임하인(1985), 곽이정(1999), 강미희(1999), 김미옥(2003), 박미용(2003), 이영주(2006), 배미영(2007) 등의 분류를 참조하여 환경, 교육내용, 교수, 교사 등의 변인으로 구성한 후 이를 분석도구로 사용하여 분류․집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의 환경 동향에 있어서 공간 확보율은 199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다소 향상되었으나 음악환경에 대한 개선과 자료 확보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담교사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개선되었다. 교재․교구에 있어서도 현장 활용도가 높은 교재 개발과 효율적인 교구활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의 교육내용 동향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가창활동이 주를 이루었으나 1990년대 이후부터 음악영역내의 통합활동 유형이 점차 생겨나게 되고 2000년대에는 소리탐색하기, 음악 만들기 등의 용어 사용으로 활동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셋째, 음악활동유형은 1980년대부터 교사들은 유아중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활동은 대체로 교사주도로 이루어졌고 2000년대에는 유아중심활동이 고려되기는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교사주도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1980년대 이후 2000년대까지 교사들은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실기능력 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1990년대 이후 통합활동과 2000년대의 창의적 활동의 증가로 교사들의 교수법에 대한 전문성이 점점 더 많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재교육에 임하는 교사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다양한 성격의 연수가 준비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an implications for desirable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to seek proper ways for improvement, complement, and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by studying the trends of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This study was focused on four main variables of music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teacher. The data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67 theses related on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published from 1970 to 2009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trend of the environment for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Second, how is the trend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Third, how is the trend of the teaching for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Fourth, how is the trend of the teacher for music education in kindergart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r analysis consisted of 54 domestic master's theses and 13 academic published theses, total 67 volumes. A research tool consisted of the environment,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teacher after consider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ors' theory and previous study, and then referring to the classifications of Lim, Ha-In(1985), Kwak, Yi-Jung(1999), Kang, Mi-Hee(1999), Kim, Mi-Og(2003), Park, Mi-Young(2003), Lee, Young-Ju(2006), and Bae, Mi-Young(2007). Using this as tool, the research data were classified and group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n the trend of environment of kindergarten, the extension of space is somewhat enlarged in the 2000s compared with 1990s. However, an improvement of environment still needed and teachers were required to realize the importance for collecting teaching materials. Teachers' realization about the necessity of the early childhood music-specialized teacher was improved. On the teaching materials, it needed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which can be used well at educational field, and to study for the effective ways of using teaching materials. Second, on the trend of educational contents in kindergarten, the main activity was ‘singing’ in 1970s and 1980s, but it began to be integrated with other areas of music activities from 1990s. Then the music activities began to be diversified as using terms like ‘sound-exploring’ and ‘music-making’. Third, on the pattern of activity in teaching, teachers realized the needs of child-centered education, but they led still teacher-centered activities although they considered child-centered activities in 2000s. Fourth, teachers believed they lacked appropriate practice ability and knowledge about music education from 1980s to 2000s. Teachers need to develop professionalism related to musical teaching method as increasing the needs of integrated and creative music activities from 1990s. This results show that various types of music education programs for in-service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eir demands.

      • 유치원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연구

        임선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정보화 시대에 신문활용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있어 유치원 교사들의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가 제반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태는 도시와 농어촌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치원 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태는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치원 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태는 교사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넷째, 유치원 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태는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에 반응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본 연구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x²와 t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 그리고 추후분석으로 Duncan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와 농·어촌지역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서는 도시지역보다 농·어촌지역의 교사들이 신문활용교육의 실시경험이 유의한 차이로 많았고, 교사의 지식 및 기술이 더 부족하다고 여겼으며,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이 신문활용교육을 실시하기에 적당함을 나타냈다. 둘째, 학력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서는 구독성향과 신문활용교육에 대해 잘 안다고 하는 부분에서 2년제 대학 졸업집단이나 4년제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대학원 졸업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2년제 대학 졸업집단이 4년제 대학교 졸업집단이나 대학원 졸업집단보다 더 많은 횟수를 실시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여겼으며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 시간이 실시하기에 적당하지 못함을 나타냈다. 셋째, 경력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서는 구독성향에서 15년 이하 경력 집단보다 16년이상 경력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신문활용교육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것과 연수 받은 경험, 신문활용 교육이 필요한 이유 중 창의력 신장, 표현 능력을 신장, 매체의 다양한 활용경험 제공, 신문활용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 중 가정과의 연계성이 부족에서 6년∼10년경력 집단이 다른 경력 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일과 중 대·소집단 활동시간, 주말과제로 부모와 함께에서 1년∼10년 경력 집단이 11년 이상의 경력집단에 비해 실시하기에 적당함을 나타냈다. 넷째, 설립유형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서는 사립에서 구독 부수가 높게 나타난 반면 국·공립에서 구독 횟수가 높게 나타났다. 현장에서의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인식, 연수경험, 실시횟수의 적당성에 있어 사립이 국·공립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문활용교육이 필요한 이유 중 다양한 삶의 모습에 대한 이해, 필요하지 않은 이유 중 지식과 기술 부족, 일과에 따라 실시하기에 적절한 정도에서 사립보다 국·공립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신문활용교육 분야와 연관된 대학교 교육과정 및 유치원 교사의 현직교육의 계획과 구성에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statu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use of the NIE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variables,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ith the importance of NIE increasing. The established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or this purpose. 1. Is there any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status of NIE between city and countryside of farming and fishing? 2. Does the scholarship make any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status of NIE? 3. Does the teacher's career make any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status of NIE? 4. Does the type of the institute make any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status of NIE? This questionnaire was given to 191 teachers of kindergarten located in Kwangju and Jeonnam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several steps of verification of 'x2 and t', ANOVA, and Duncan to get frequency, percentage, standard deviatio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ach group. The result outline of this study is as follow. 1.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countryside had considerably more experiences of NIE use than those in the city but considered they had less knowledge and skill. They thought they could properly perform the freely selective activities during their daily works. 2. As for the study of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status of NIE concerning the scholarship, the group of the graduates of the graduate school showed even higher percentage than the group of the four year university graduates or the group of the two year college graduates in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tendency of newspaper subscription and their knowledge of NIE. The group of two year college graduates thought they should practice NIE use more often and that they could not properly have the freely selective activities during their daily work. 3. As for the study of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status of NIE concerning the teacher's career, the teachers with the career of 16 years and over showed even higher percentage than those with the career of 15 years and under, in the newspaper subscription tendency. In the questions like 'I know well about NIE', 'the experience of training', 'the need for NIE' and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expression ability, and service for experiences of various media usage through NIE', the teachers with 6 to 10 year career marked higher percentage than others. In the questions like 'the activity time for small and big group during the daily work' and 'to be with parents for weekend homework', the teachers with 1 to 10 year career indicated 'proper' when compared with the teachers with 11 years and over. 4. As for the study of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nd status of NIE concerning the type of the institute, the teachers in private institute subscribed more newspapers than the teachers in public institute while the latter read the newspaper more times than the former. In the questions of 'how you understand the various life styles' for the need of NIE and 'the deficiency of knowledge and skill' and 'properly performing NIE use', the teachers in private institute marked higher percentage than the teachers in public institut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serve a basic information for the teachers' planning and constructing the field education and for the college curriculum concerning NIE.

      • 유치원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안경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치원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 담임교사 3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은 연령, 교육경력, 학력, 근무시간 등에 따른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는 표면행동과 내면행동과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영역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중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심리적 소진 전체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중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심리적 소진 전체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유치원교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은 감정노동 중 내면행동, 직무스트레스 중 낮은 대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감정노동 중 내면적 행위, 직무스트레스 중 낮은 대우가 높아지면 심리적 소진 전체도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심리적 소진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력은 감정노동 중 내면행동, 직무스트레스 중 권위상실, 업무과다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소진 중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직무스트레스 중 권위상실, 업무과다가 부(-)적인 영향을, 낮은 대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활용하였음으로 향후 연구는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연구대상이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공립, 사립유치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for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 survey was conducted in 308 class teachers at kindergarten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vary by their socio-demographic background? Second, what associations are there among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for kindergarten teachers? Third, what are the relativ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an SPSS 23.0 program to determine the responde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vari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y age, teaching career, education, and working hours in their socio-demographic background. Second,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surface and deep act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ntire job stress and its sub-areas.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emotional lab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nd burnout in general;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job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nd burnout in general. Third, as for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in general, deep acting and poor treatment, positively affected burnout in general.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higher level of deep acting and poor treatment, the higher level of burnout in general. As for the effects of the sub-areas of burnout on emotional exhaustion, deep acting, authority loss, and excessive work positively affected emotional exhaustion. As for the relative effects on the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among the sub-areas of burnout, it was negatively affected by authority loss and excessive work and was positively affected by poor treatment. Since this study involved a survey,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involve a qualitative study; besides, since this study covered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과 문제 인식

        고현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에 따라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2. 유치원 교사의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에 따라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1.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의 선호지표에 따라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2.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의 기능별 특성에 따라 기관에서의 문제인식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3.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의 기질별 특성에 따라 기관에서의 문제인식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44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판으로 표준화된 MBTI검사(김정택, 심혜숙, 1990)를 사용하였고, 유치원 교사의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Micklo(1993)의 Teacher Problem Checklist Public Prekindergarten(TPC-PPk) 검사의 제시 형태를 참고로 김신영(1998)이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아교육기관의 문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제의 측면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에 따라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고, F검증을 실시한 후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은 MBTI의 16가지 성격 유형 중 ISTJ유형의 분포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선호지표에서는 I, S, T, J의 분포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격 특성의 기능별 특성은 ST, SF, NT, NF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질별 특성은 SJ, SP, NT, NF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은 유아의 교수학습, 시간 운영, 프로그램, 교사의 능력개발, 제도, 부모와의 관계, 시설·설비, 기관장과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의 순으로 문제가 발생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성격 특성과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은, 선호지표에서는 S-N 지표와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T-F 지표와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성격 특성의 기능별 특성과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은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문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사후검증 한 결과 ST형의 교사가 SF형의 교사보다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문제 인식이 더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질별 특성과 기관에서의 문제 인식간에는 모든 문제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2.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3.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3-1.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eachers' index of psychological types? 3-2.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eachers'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psychological types? 3-3. What 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eachers' temperamental characteristic of psychological types? Subjects were 144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Chungnam. As a measure of psychological types, Myers-Briggs Types Indicator (MBTI) was used (Kim & Sim, 1990). And, to measur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vised Checklist for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was used (Kim, 1998). This checklist is based on the Teacher Problem Checklist Public Prekindergarten (TPC-PPk) (Micklo, 199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ile to find out kindergarten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problem aspects to find out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t-test, F-test, and Scheffe post-hoc test to test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16 psychological types, ISTJ type was the most frequent one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Similarly, I, S, T, and J indices were the most frequent ones among the indices of psychological types. And the frequency of ST was the highest amo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types, while the frequency of SJ was the highest among the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types. Second, regarding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biggest problem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was teaching and learning, followed by time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of teachers' instructional abilities, educational policy, relation with parents, educational facilities, relations with chief, and relations with colleagues. Third, with regard to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lated with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significant difference of problems in educational program was found according to the S-N (p<.05). Also significant difference of problems in relation with parents was found according to the T-F (p<.01). However, E-I and J-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e of kindergarten teachers'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psychological types,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roblems with parents was found (p<.05). Scheffe post-hoc test revealed that ST had more problems with parents than SF.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 perceptions was found according to kindergarten teachers' temperamental characteristic of psychological types.

      •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김구영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법을 살펴보고 교사 및 기관관련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여, 유아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은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교사의 특성별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어떠한가? 넷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의 방법으로는 서울시내의 사립유치원 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유치원교사들의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하위문항으로 원아들과의 활동 요인(5문항), 업무관련 요인(6문항), 행정적 지원 요인(8문항), 대인관련 요인(6문항), 경제적 안정 요인(6문항), 개인관련 요인(5문항)으로 Clark이 개발하고 D'Arienzo등이 수정한 것을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처방안에 관한 하위문항으로 증상관리 방법(11문항), 통제 방법(6문항), 회피 방법(2문항)을 Latack의 연구를 토대로 개발한 질문지를 수정?보안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경제적 안정 요인과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고, 다음으로 업무관련 요인, 행정적 지원 요인, 원아들과의 활동 요인, 대인관련 요인 순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개인관련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대처방법 중 통제 방법을 가장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회피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증상관리 방법은 가장 적게 사용하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1년 미만인 교사와 월평균 수입이 80만원 이하인 교사, 근무시간이 10시간 이상인 교사, 그리고 일반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유형 중 증상관리 방법과 통제 방법 대처는 학력이 대졸 이상인 교사가 전문대졸 교사보다 많이 하였고, 회피 방법 대처는 미혼 교사가 기혼 교사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은 원아들과의 활동 요인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낄수록 증상관리 방법과 통제 방법 대처를 적게 하였고, 경제적 안정 요인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낄수록 증상관리 방법 대처를 많이 하였으며, 개인관련 요인으로 스트레스를 느낄수록 통제 방법 대처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경제적 안정 요이느로 인해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느끼고 있으므로, 교사라는 전문직에 상응하는 생활보장, 장래성, 사회?경제적 지위를 보장해주어야 하며, 근무환경의 개선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적극적인 문제해결 중심의 통제 방법을 많이 사용함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유형은 건전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소극적인 방법도 비교적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수입과 근무시간,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직무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보조교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tain basic data which would improve the effect of early child education by analyzing the occupational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taking into account its degree and the methods of coping with it, and by investigation how it vari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are considered. First, what is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for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how do the kindergarten teachers cope with the stres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ress and the methods of coping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ourth, what is the relation of occupational stress to its coping method? 211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where surveyed for is research. The survey was Composed of 2 questionnaires;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and 'Coping Method Questionnaire'. The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six sub-sections; the factor of activity with children(8 questions), the factor of working duty(6 questions). The factor of administrative support(8 questions). the 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6 questions). the factor of financial stability(6 questions). The factor of personal matter(5 questious). This questionnaire was modified for fitting our conditions on the basis that developed by Clark and revised by D'Arienzo at all. The Coping Method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sub-sections; symptom-managing method(11 questions). control method(6 questions). withdrawal method(2 questions). This questionnaire ideas revised and modified on the basis of Latack'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he most stressful source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re 'financial un-stability', followed by working duty', 'administrative support', 'activity with children', and 'interpersonal relation' in order of dominant stress factor, But, 'personal matter' was found to be the least stressful source.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coping method against stress was 'control method', followed by 'withdrawal method'. 'Symptom-managing Method was the least used one. Third, it is found that stress is more severe in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for under one year, who receive less than 800,000 won a month salary, who work for ten hours a day and who are not in charge of class. Also, it is found that the method of coping with stress using 'symptom- managing and control method' were more frequently used by 4-year college graduate teachers than 2-year college graduate teachers, and the 'withdrawal method' was used more frequently by single teachers than-married teachers. Fourth, the kindergarten teachers who felt more stress because of 'activity with children' used the 'symptom-managing and control method' less, the teachers V/ho felt more stress because of 'financial un-stability' used the 'symptom-managing method' more, and the teachers who felt more stress because of 'personal matter' used the 'control method' less. Therefore, what is needed is as follows. First, as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stressed mostly due to the factor of 'financial un-stability', they need financial security, vision, social and economical position in line with the status of teacher who is accepted professional man, and also they require positive assistance for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s.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s' coping method against stress was found to be sound because they use the 'control method', which solves problems in a positive way, but proper management is required because they still use negative ways. Third, as occupational stress is different due to income, working hours, and teachers' grade, assistant teachers are need in order to release the working duty and stress, and the government has to provide more support.

      •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서명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about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and wha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1. What about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1-1. What about the whole tendency of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1-2. What about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by career? 1-3. What about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by academic background? 2. What about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2-1. What about the whole tendency of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2-2. What about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by career? 2-3. What about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by academic background? 3. Wha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3-1. What about the whol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3-2. Wha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by career? 3-3. Wha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by academic backgrou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Qualification Training and a Job Training by region, targeting total 761 persons in the final analysis. A research tool was used questionnaire that comprised 6 items for background factor, 65 items for thinking styles, and 24 items for job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items for thinking styles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used the thinking-style questionnaire that Yun, Mi-seon(1997) translated 'thinking styles Questionnaire Short Version' by Sternberg and Wagner(1991). In terms of the questionnaire items for job satisfaction, a researcher adapted the contents of '敎師の職業生活自己分析尺度' by 河村茂雄(2003), in line with a situation of our country's kindergarten by receiving a help of an expert for preschool education, and then corrected and supplemen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process on the appropriateness in phrases and contents, and the clarity in the meaning delivery, targeting 42 kindergarten teachers and 2 experts in preschool education, not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data processing was calculated Pearson correlation aiming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And all in data processing were used SPSS/ for Windows 12.0 program. The results, which were indica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 tendency in order of monarchic, external, executive, and liberal.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by career was indicated to be statistically higher significantly in kindergarten teachers with career of more than 9 years than kindergarten teachers with career of less than 9 years, as for anarchic and internal thinking styles(p<.01). In all the thinking styles except the local thinking styles as for a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more than being in graduate school were indicated to be higher than kindergarten teacher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2-3 year junior college and 4-year university. In the executive thinking styles, teacher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more than being in graduate school were higher than teacher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2-3 year junior college graduate. And, in the monarchic thinking styles, teacher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4-year university graduate were indicated to be higher than teachers with academic background of 2-3 year junior college graduate. Seco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dicated to be high in whole. By sub-field in job satisfaction, it was higher in order of a relation to preschool children and job-site environment, external assessment, job contents, and economic aspect. And, the lowest-shown economic aspect was indicated to be a little higher than the moderate. As for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by career, teachers with career of more than 9 years were indicated to be higher in the whole job satisfaction including all of four sub-fields for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eachers with career of less than 9 years.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by academic background were indicated to be also high in the academic career of more than being in graduate school. Third, the whol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A thinking styles is in order of external, liberal, monarchic, and anarchic thinking styles,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o have high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by career, teachers in more than 6 years - less than 9 year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job contents in all the thinking styles except the external thinking styles out of the scope and category.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by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with 2-3 junior college graduat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especially in the overall thinking styles and economic aspe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전반적인 관계는 어떠한가? 3-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지역별 자격연수와 직무연수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들로서 총 761명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배경요인에 대한 6문항, 사고양식에 대한 65문항,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대한 24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 질문지의 문항은 Sternberg와 Wagner(1991)의 'thinking styles Questionnaire Short Version’을 윤미선(1997)이 번역한 사고양식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 질문지의 문항은 河村茂雄(2003)의 ‘敎師の職業生活自己分析尺度’ 내용을 우리나라 유치원의 상황에 맞도록 연구자가 유아교육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번안한 뒤, 본 연구대상이 아닌 유치원 교사 42명과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을 대상으로 문구 및 내용의 적절성, 의미전달의 명료함 등에 대해 예비조사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자료처리는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모든 자료처리에는 SPSS/ for Windows 12.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사고양식은 군주적, 외부지향적, 행정적, 자유주의적인 순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경력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무정부제와 내부지향적 사고양식에서 9년이상 경력의 유치원 교사가 9년미만 경력의 유치원 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의 지엽적 사고양식을 제외한 모든 사고양식에서 대학원 재학이상 학력의 교사가 2, 3년제 대졸과 4년제 대졸 학력의 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행정적 사고양식에서는 대학원 재학이상 학력의 교사가 2, 3년제 대졸 학력의 교사보다 높았으며, 군주제 사고양식에서는 4년제 대졸 학력의 교사가 2, 3년제 대졸 학력의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영역별로는 유아들과의 관계 및 직장환경, 대외적 평가, 일하는 내용, 경제적인 면의 순으로 높았으며, 가장 낮게 나타난 경제적인 면은 중간 보다는 약간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9년이상의 경력 교사가 9년미만의 교사에 비해 직무만족도의 4가지 하위영역 모두를 포함하여 전체 직무만족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또한 대학원 재학이상 학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 전체와의 관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고양식의 외부지향적, 자유주의적, 군주제와 무정부제 사고양식의 순으로 직무만족도와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에서 6년이상 9년미만의 교사가 범위범주 중 외부적 사고양식을 제외한 모든 사고양식에서 일하는 내용과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에서 2, 3년제 대졸 교사는 특히 사고양식 전반과 경제적인 면과의 직무만족도와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