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행정 업무 수행 시 느끼는 업무부담 및 적합성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행정 업무의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행정업무는 무엇인가?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행정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느끼는 업무부담은 어떠한가? 셋째,.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수행하고 있는 행정업무에 대한 적합성은 어떠한가? 공립유치원 교사의 행정업무에 대한 업무 부담과 적합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지역 공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기도교육청 산하 25개 지역교육청에 소속된 공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2014년 2월부터 4월까지 공립유치원 행정업무의 부담정도와 적합성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다.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171부를 수거하였다. 질문지의 문항은 유치원 교사들이 수행하는 주요 행정업무를 13가지로 분류하여 각각 수행하는 절차와 내용에 따라 세부 문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평정은 5단계 평정척도를 이용하여 정도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의 각 문항을 점수화 하여 SPSS/WIN 통계프로그램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방법, t-test,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논의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지역 공립유치원 교사가 수행하는 행정업무의 양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아학비지원 업무의 경우 병설유치원 교사, 1학급, 전임원감이 없는 곳, 혼합반의 업무의 수가 더 많게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행정업무에 대한 업무부담정도를 살펴보면, 유아학비지원, 에듀파인, 무상급식, 방과후과정, 방과후과정 관련 인사(특성화강사, 보조인력관리), 정보공시, 유치원 운영위원회, 현장학습, 자료집계, 교원능력개발평가. 유치원평가, 유치원시설관리 모두 업무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업무의 부담에 대하여 나타나는 특성은, 급식, 학비 지원, 비용 정산 업무등 회계성 업무에 대한 부담을 높게 느끼고 있었다. 셋째, 공립유치원 교사가 수행하는 행정 업무의 적합성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적합성에 대한 점수가 모두 절반이하의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본인들이 수행하는 행정 업무에 대하여 유치원 교사가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무상급식 업무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업무로 응답했고, 현장학습 업무가 가장 적합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행정 업무의 부담이 높더라도, 특정 업무에 대해서는 적합성을 높게 인식하고, 부담이 낮지만, 적합성을 낮게 인식하는 등 업무에 따라서 다양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업무의 부담보다는 실제로 교사의 전문 지식과 운영책임자로서의 의사 결정이 필요한 경우 높은 적합성을 인식하고 있다. 반대로 업무 부담과 관계없이, 전문 분야 외의 회계성 업무이거나, 유치원 교사로서 전문 지식이 필요하지 않거나, 반복적인 업무의 경우, 교사의 업무로서 적합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을 벗어난 여러 회계와 관련된 행정업무의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공립유치원 교사의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전담 행정 실무사 배치 등 다양한 행정 업무 경감 지원 정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최영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비정상적인 유아의 조기교육 실태 및 부적응 현상이 사회적으로 부각되면서 학계뿐만 아니라 정부 주도로 이루어진 여러 가지 심도 있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유아가 직면하는 스트레스는 대부분 성인들에 의해 유발되었으나, 그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스트레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 또한 부족하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 비전공자인 전문상담교사와 함께 유아교육에 경험이 많아서 실질적인 전문지식을 소유하고 있는 협력교사(mentor)를 개입시켜 피자문가인 유치원교사의 문제해결 능력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이에 외국의 자문모형 고찰, 기존에 개발된 모형, 유치원교사들을 상대로 한 요구조사를 토대로 협력자문모형을 구안하였다. 본 모형은 평소 유아생활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을 위해 유치원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었고, 상담관련 전문가들과 유아교육 관련 전문가들에게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자문의 과정은 자문요청(Interview), 문제 규명(Name), 목표 설정(Form), 실행(Action), 재진단(Neo-diagnosis), 종결(Terminal)의 6단계(INFANT)로 구성하였다. 모형을 적용한 결과 자문가(전문상담교사). 협력자문가(협력교사), 피자문가(교사)들이 문제해결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변화가 유발되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협력자문모형은 전문상담교사들이 문제를 호소하는 유치원교사들에게 적절한 자문을 제공하기 어려운 현 제도적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과도기적 산물이다. 전문상담교사들이 아직 자문을 경험하지 못한 유치원교사들을 상대로 충분히 자문을 수행한 후에는 새롭고 발전적인 자문모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이 어떠한지를 비교해 보고,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위의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내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중인 유치원교사 149명과 어린이집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혜린의 유치원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1993)과 김지연의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1997)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조부경과 Saracho(1997)가 개발한 교사 자신이 평정하는 역할수행 평정도구(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ECTRRS)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신뢰도, t검증,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는 보육교사보다 전체적으로 전문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교사는 보육교사보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요인인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성에 대한 필요성, 자율성, 직업윤리, 전문직 단체에 대한 요구,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서도 모두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는 보육교사보다 전체적으로 역할수행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교사는 보육교사보다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교육과정설계자로서의 역할, 일과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 상담자 및 조언자로서의 역할, 연구자로서의 역할,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역할에서도 모두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역할수행을 잘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Does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differ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2. Does the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differ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3. What relations exist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The questio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149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138 child care center teachers, who are currently teaching in Seoul. The instrument of the study was questionnaire based on a measurment for the recognition of expertise in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ed by Hye-lin Kim(1993), Ji-Yeon Kim(1997),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ECTRRS)"s according to the study of Cho. & Saracho(1997). The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kindergarten teachers is relatively higher than child care teachers for the general recognition of professional. kindergarten teachers is relatively higher than child care teachers for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factor, the demand of their highly intellectual ability, the socially serviceability through their profession, the necessity of autonomy, the necessity of ethics of their profession, and the socio-economical position.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is relatively higher than child care teachers for the general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kindergarten teachers is relatively higher than child care teachers for the general recognition of role performance factors, the role of making daily schedule as well as role performance, the role of the designer of the curriculum, the role of consultant or adviser, the role of researcher, and administrator. Third, the general rela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and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showed comparatively a high level of relations.
이미령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논 문 요 약 유치원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의식과 정보윤리의식 실태 이 미 령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소 향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의식과 정보윤리의식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의식은 어떠한가? 1) 유치원교사의 경력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의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교사의 학력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의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교사의 기관 유형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의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정보윤리의식은 어떠한가? 1) 유치원교사의 경력에 따른 정보윤리의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교사의 학력에 따른 정보윤리의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교사의 기관 유형에 따른 정보윤리의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남 양산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교사 각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328부(93.7%)가 회수되었고 성실히 응답한 설문지 각 305부에 대하여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유치원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의식과 정보윤리의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를 토대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의식 및 정보윤리의식 수준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사후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의식에 대해 살펴보면 학력이 높고 근무 경력이 많을수록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교사보다 국공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교사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력이 높고 근무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개인정보 관련 연수의 이수시간이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되어 관련 연수의 이수시간이 높은 교사들이 조금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정보윤리의식에 대해 살펴보면 학력, 경력, 근무 기관에 따른 정보윤리의식의 총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치원교사들을 위한 정보윤리 교육의 확대와 효과성의 측면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을 재고하여 정보윤리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치원교사의 개인정보보호 의식과 정보윤리의식은 전반적으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교사의 학력, 경력, 근무 기관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관련 교육이나 교육 자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측면을 보완할 연수가 이루어지고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유치원 직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공립과 사립 교사의 인식 비교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현장에서 직무수행 시 교육활동 및 유아의 보호․지도, 행정 및 사무처리, 전문성 신장, 대인관계 조성 및 유지 영역에서 느끼는 어려움에 대하여 공립과 사립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여 차이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직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공립과 사립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교육활동 및 유아의 보호․지도’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1-2. ‘행정 및 사무처리’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1-3. ‘전문성 신장’에 대한 어려움의 인식 차이는 어떠한가? 1-4. ‘대인관계 조성 및 유지’에 대한 어려움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교사 124명이며, 사용된 연구도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정화(2007)를 비롯한 선행연구물(김은영, 2006; 정유진, 2016)과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과 1,2차 면접 시 작성한 면접기록지를 토대로 예비질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예비조사 과정을 걸쳐 수정․보완하여 질문지의 내용을 최종 구성하였다. 질문지는 4개 영역의 총 5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료분석은 연구 문제에 따라 유치원 직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공립과 사립 교사의 인식이 어떤 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 유치원 교사는 행정 및 사무처리를 가장 어려워하며 전문성 신장, 대인관계 조성 및 유지, 교육활동 및 유아의 보호・지도 순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사립 유치원의 경우 행정 및 사무처리를 가장 어려워하며 전문성 신장, 교육활동 및 유아의 보호・지도, 대인관계 조성 및 유지 순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둘째,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직무 하위영역별 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 차이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활동 및 유아의 보호・지도 영역에서 ‘교수-학습 준비’에서는 공,사립에 관계없이 교육계획안을 가장 어려워하며 ‘교수-학습 실제’에서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공립 유치원 교사는 자유선택활동 지도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며, 사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 현장학습 지도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평가’에서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공립 유치원 교사는 유아평가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며, 사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 유아평가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생활지도’에서는 공,사립에 관계없이 인성 및 사회성 지도를 가장어려하며, ‘유아 건강・안전지도’에서는 공,사립에 관계없이 안전교육을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외 환경구성’에서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공립 유치원 교사는 생활주제별 실내외 환경구성을 가장 어렵게 인식하며, 사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 생활주제별 실내외 환경구성을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관련 행사’에서는 공,사립에 관계없이 행사 계획 및 준비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 및 사무처리 영역에서 ‘회계 관리’에서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공립 유치원 교사는 유아학비지원을 가장 어렵게 인식하며, 사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 유치원 운영비 예산 계획 및 집행을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관리’에서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직무수행에 대항 어려움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공립 유치원 교사는 정보공시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며, 사립 유치원 교사는 교원능력개발평가를 가정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서관리’에서는 공,사립에 관계없이 공문서 작성 관리를 가장 어려워하며, ‘교육자료 관리’에서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공립 유치원 교사는 기자재 관리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며, 사립 유치원 교사는 교재·교구 관리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신장 영역에서 ‘연수활동’에서는 공,사립 유치원에 따라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공립 유치원 교사는 원내연수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며, 사립 유치원 교사는 원내연수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관활동’에서는 공,사립에 관계없이 공개수업 참관을 가장 어려워하며, ‘장학활동’에서는 공,사립에 관계없이 상급자로부터의 장학지도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활동’에서는 공,사립에 관계없이 연구대회 참여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조성 및 유지 영역에서 ‘교사-유아 간의 관계’에서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학부모 간의 관계’에서 공,사립에 관계없이 학부모 상담 및 지원 요청을 가장 어려워하며, ‘교사-교사 간의 관계’에서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자와의 의사소통’에서는 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 보다 직무 수행 시 더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행정직원 간의 관계’에서는 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직무 수행 시 더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정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이 이야기하는 교직생활의 어려움과 보람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경험에 어떻게 의미를 부여하는가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이 이야기하는 교직생활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 태안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단일학급 교사 3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2008년 12월까지 개인적 기록 수집인 이야기 쓰기, 심층 면담, 기타 문서 수집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수집된 자료를 통합, 분석, 해석하여 요약,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이 이야기하는 교직 생활은 크게 『가르치기』, 『살림꾸리기』, 『함께하는 사람들』등으로 구성된다. 첫째, 『가르치기』에서는 단일학급 교사가 혼합연령 학급의 교수 활동을 하면서 막막함을 경험하지만 그 속에서 힘을 얻는 이야기, 가족 같은 유아와의 관계, 교사 스스로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않도록 노력하는 적극적인 의지를 엿볼 수 있다.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은 혼합연령 학급 특성으로 인해 구조화된 계획과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확보, 교사의 철저한 수업준비가 되어야 하나 과중한 수업량과 업무량으로 계획적인 수준별 지도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교사들은 혼합연령 학급을 운영하면서 나이 많은 유아들은 어린 유아들과의 관계 속에서 인내와 배려 등을 배우고 나이 어린 유아들은 나이 많은 유아들에게 학습과 경험의 모델을 배우는 또 다른 교육의 장을 발견하면서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와 유아와의 관계는 자녀와 같은 애정적이고 애틋한 관계를 유지해 나간다. 교사들이 바쁘고 힘든 업무를 하면서도 교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원천은 유아들의 발전된 과정을 지켜보면서 많은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다. 또한 ‘우물 안 개구리’가 되기 일쑤인 여건 속에서 교사들은 나태해 질 수 있으나 안일한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수업공개를 자청해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단독으로 교육과정을 계획하기 어려운 현실에도 인근 유치원 교사와의 협의 하여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둘째, 『살림꾸리기』에서는 단일학급 교사가 유치원 전반적인 업무와 초등학교 업무까지 해야 하는 갈등과 어려움, 유치원 운영에 있어 교사의 주관에 의해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 현재 유치원이 처한 상황에서 유치원을 살리기 위한 열정을 보이고 있다.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은 원아모집, 행사운영, 공문처리 등 모든 업무를 혼자 처리하고 있으며 겸임원장과 원감이 있다고는 하나 대외적인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을 할 뿐 실질적인 유치원 운영 전반에 관한 모든 것은 교사에게 일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업무의 체계적인 계획 및 운영이 어렵고 수업준비나 수업연구를 해야 할 시간이 부족해 갈등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유치원 일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의 한 교직원으로서 업무를 해야 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 일정에 유치원 교육과정이 따라가야 하는 일들이 발생할 경우 교사들은 부정적 인식과 태도를 갖게 되나 교사들은 이를 지혜롭고 융통성 있게 잘 해결해 나가고 있다. 또한 단일학급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과정 운영의 실질적 권한을 부여하고 있는 기관이 많아 교사들의 교육관 및 교육 철학에 맞게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학급수가 많은 교사들에 비해 대인관계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덜 받고 교사 나름의 의사결정권을 발휘해 나갈 수 있다. 그리고 단일학급 교사들은 소규모 농·어촌 지역의 병설유치원으로 원아모집이 어려워 폐원될 위기에 처하자 지역 교육청뿐만 아니라 도교육청 및 다른 지역 유치원까지 연락을 하면서 폐원되지 않도록 힘을 썼으며 평소에도 매일 자가로 유아들을 등·하원 시키는 적극적인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셋째, 『함께하는 사람들』에서는 단일학급 교사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격려․인정해 주는 학부모, 초등학교 교사와는 긍정적인 부분에 위안을 삼으며 적절한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이야기, 교육과정 운영 지원에 한계를 보이나 격려와 지지를 해 주는 관리자와의 관계를 볼 수 있다.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와 학부모들은 서로 어렵고 힘든 과정의 노력을 인정해 주고 그에 조금이라도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려고 애쓰는 모습에서 가족 못지않은 애틋한 정을 느끼며 생활하고 있다. 단일학급 교사들이 바쁘고 힘든 업무를 하면서도 교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원천은 유아들의 발전된 과정을 지켜보면서 많은 보람과 성취감을 느끼고 학부모에게 이를 인정받고 많은 격려와 지지를 받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동료 교사와의 관계는 한 울타리 안에서 함께 생활하고 있기는 하나 서로 교류하고 공감할 시간적 여유가 많이 부족해 서로의 업무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단일학급 교사들은 자신의 인력을 초등학교에 제공하기도 하고 알게 모르게 초등학교의 인적·물적 자원을 많이 공유하며 활용함으로써 긍정적인 측면에 위안을 삼고 단일학급의 부정적인 측면을 극복해 나가고 있다. 원감·원장과의 관계에서는 유아교육을 전공하지 않은 관리자가 대다수여서 실질적인 원감·원장의 역할은 모두 교사의 몫이다.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교수활동 및 정보지원, 원내장학, 연수, 환경, 자료 등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 운영 지원에 한계를 보이기도 하지만 관리자의 성향이나 인품, 교직관에 따라 물품지원, 학교차량지원, 환경개선 등 적극적인 지지를 해 주고 있다. 이러한 격려와 지지 속에서 단일학급 교사들은 자신의 위치를 재정립하고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노력을 기울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what difficulties and worth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go through and what meanings the teachers give to those difficulties and worth. For the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set up and addressed: 1. What is the teaching profession narrated by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Thre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in Tae-an, Chu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utilized their personal documentations including anecdotes, in-depth interview, and other documents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2008. The researcher summarized and arranged the collected data using integration, analyses, and interpretatio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teaching profession broadly consists of 『teaching』, 『housing』, and 『accompanying persons』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First, with regard to 『teaching』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go through desolate feelings while they teach children of mixed-age. Nonetheless, they gradually brace themselves up, have family-like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actively exercise their own intention of not being 'a babe in the woods.' The characteristics of mixed-age class require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to plan their teaching in a structured way, to secure variou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o thoroughly prepare their teaching. In reality, heavy teaching and office work keeps the teachers from giving ability-appropriate effective lessons. The teachers go over these difficulties, however, by finding out a breakthrough in which older children learn patience and care for younger children, while younger children get learning and experiencing models from older children. Additionally, the teachers and children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keep their relationships very affective and family-like ones. Much worth and accomplishment the teachers feel while watching their children's growth seem to be one of the main sources that the teachers busy in doing hard work manage their teaching profession. Despite of the working conditions where teachers tend to be 'a babe in the woods,' the teachers resist settling into their routines, try to enrich their teaching profession by opening their classes, and try to operate joint curriculum through discussing with teachers of nearby kindergartens. Second, for the 『housing』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have the conflicts and difficulties of handling primary school's work as well as kindergarten's whole work, the merit of administering the kindergarten autonomously, and the enthusiasm for strengthening and heightening kindergarten education.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solely treat all the work including child recruiting, advancing educational events, and receiving and sending official documents. The affiliated director and vice-director just do external decision-making, while the practical administrations of kindergarten are mostly left in the hands of the teachers. This working condition cause the teachers to feel not only the difficulties in planning and operating various work but also the conflicts that they have insufficient time to prepare and research their lessons. What is worse, their difficulties are doubled by the work of primary school. The teachers, at first, get negative perceptions and attitude when kindergarten curriculum have to follow the schedule of primary schools' curriculum. But they again try to resolve this problem in intelligent and flexible ways. Luckily, many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have actual authority over administering kindergarten. This means that they can exercise their autonomy in educating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educational viewpoint and philosophy. Furthermore, compared with the teachers of many-class kindergartens, they feel less psychological stress coming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exercise their own decision more often. Surprisingly enough,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which are mostly located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make every effort for their kindergartens not to be closed due to the child shortage and show their strong wills by commuting their children using their cars. Third, regarding 『accompanying people』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have parents who recognize the difficulties teachers have and help them overcome those difficulties. The teachers manag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the teachers of primary school by emphasizing bright sides. They also have the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the director and vice-director who provide the teachers with warm encouragement and support, though lack the backups for curriculum administration. The teachers and parent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get along with family-like affection, since they show deep gratitude to each other as well as understand each other's difficulties and effort. The teachers with heavy work can manage their teaching profession mainly thanks to the fact that the teachers feel much worth and accomplishments while observing their children's growth and get clear recognitions and much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parents. The teachers' relations with primary schools' teachers have some limitations because they don't have enough time to interact, sympathize, and understand each other, although they work in the same schools. The teachers go over these limitations, however, by realizing that they share and use primary school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hile providing primary schools with their own human resources. The practical roles of director and vice-director are left into the hands of the teachers, since most of the affiliated director and vice-director don't have any special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ffiliated director and vice-director reveal some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kindergarten curriculum and supporting for kindergarten administration such as teaching activities, educational inspection, in-service train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aids and materials. Some of the affiliated director and vice-director, depending upon their personality or educational viewpoint, provide strong support for commodity, transporta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With these encouragement and support, the teachers of one-class public kindergartens redefine their roles, feel heavy responsibility, and endeavor to do their duties.
유치원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관심사의 발달단계별 차이와 특성
장혜진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논 문 개 요 본 연구의 목적은 Katz의 교사 관심사 이론에 기초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있는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치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경력별 관심사의 차이를 알아보고,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관심 및 요구 특성에 대한 질적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라 Katz의 교사관심사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관심사의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총 216명이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유치원 교사들의 교사관심사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사 관심사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는 Tsai(1990)의 유치원 교사관심사 평정척도(KTCRS: Kindergarten Teacher Concerns Rating Scale)에 기초하여 우리 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하여 윤영애(2002)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육의 경력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관심사 및 요구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질적접근으로 관심사 특성에 관련된 개방형 질문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인적 변인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유치원 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관심사 발달단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변량분석 (MANOV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하였고, 각각의 경력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력에 따른 교사관심사의 항목을 살펴보기 위해 항목별 평균을 통해 경력별 항목 순위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관심사의 질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는 주관적 진술을 Hatch(2008)가 제시한 유형적 분석의 단계로 분석될 유형을 확인한 후 유형에 따라 표제어를 표시하며 데이터를 해독하였다. 다음으로 각각의 표제어 내의 핵심 개념을 요약지에 기록하면서 유형에 의거하여 표제어를 해독하여 유형 내에서 패턴 및 관계와 주제를 찾았다. 확인된 패턴에 따라 표제어를 부호화하고 패턴간의 관계를 찾는다. 패턴들을 한 문장으로 된 일반화로 작성하여 일반화를 지지하는 데이터를 발췌 선택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관심사 분석을 한 결과 갱신관심사와 성숙관심사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교사관심사 단계에 따라 갱신관심사와 성숙관심사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에 따른 교사관심사 항목의 차이에서는 갱신관심사는 3년 이상 5년 미만의 교사에게서부터 나타났고, 성숙관심사는 1년 이상 3년 미만의 교사에게서부터 나타났다. 둘째, 각각의 경력별로 교사들의 관심이 다른 곳에 있고 경력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미만 유치원 교사는 유아와의 만남의 기쁨, 미숙과 시행착오, 시간적 여유와 조언에 대한 요구, 처우에 대한 불만족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1년 이상 3년 미만의 유치원 교사는 유아와의 상호작용, 유아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걱정, 교사들의 교수자료에 대한 요구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3년 이상 5년 미만의 교사관심사는 유아의 행복을 공유하는 것, 피로함과 과다업무, 자기발전에 대한 요구의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5년 이상의 유치원 교사는 유치원 전반에 대한 흥미와 의사소통에 대한갈등, 전문성 향상에 대한 지원요구의 특성을 나타냈다. 이상 결론을 기초로 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경남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된 것이므로 이를 전체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더 다양한 대상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가 추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교사의 발달을 1회로 국한된 질문지를 통한 조사로 알아보았으나 발달이라는 것은 장기간에 걸쳐서 일어나는 변화이므로 좀 더 심층적 연구로서 소수를 대상으로 하는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연속적이고, 심층적 통찰을 통한 교사발달 이해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의 관심사에 대한 개방형 질문의 연구방법에 있어 교사들의 심층적 면담 또는 전화면담이나 추가자료 수집 등의 심도 있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완을 통한 교사의 발달에 대한 심층적이고 질적 접근의 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 본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 Katz의 경력에 따라 교사의 발달단계를 말한 것과는 일치하지 않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교사관심사는 시대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교사의 관심사가 직선적으로 발달한다고 보는 견해는 검증될 필요가 있고, 교사관심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따라서 교사 발달에 관한 연구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질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추후 교사관심사의 발달이 어떤 사회적 변인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가에 대한 좀 더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교육정책 및 교사 처우 개선 등에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김구영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대처방법을 살펴보고 교사 및 기관관련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규명하여, 유아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은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교사의 특성별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은 어떠한가? 넷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의 방법으로는 서울시내의 사립유치원 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구성은 유치원교사들의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하위문항으로 원아들과의 활동 요인(5문항), 업무관련 요인(6문항), 행정적 지원 요인(8문항), 대인관련 요인(6문항), 경제적 안정 요인(6문항), 개인관련 요인(5문항)으로 Clark이 개발하고 D'Arienzo등이 수정한 것을 우리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처방안에 관한 하위문항으로 증상관리 방법(11문항), 통제 방법(6문항), 회피 방법(2문항)을 Latack의 연구를 토대로 개발한 질문지를 수정?보안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경제적 안정 요인과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고, 다음으로 업무관련 요인, 행정적 지원 요인, 원아들과의 활동 요인, 대인관련 요인 순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개인관련 요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대처방법 중 통제 방법을 가장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회피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증상관리 방법은 가장 적게 사용하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경력 1년 미만인 교사와 월평균 수입이 80만원 이하인 교사, 근무시간이 10시간 이상인 교사, 그리고 일반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유형 중 증상관리 방법과 통제 방법 대처는 학력이 대졸 이상인 교사가 전문대졸 교사보다 많이 하였고, 회피 방법 대처는 미혼 교사가 기혼 교사보다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은 원아들과의 활동 요인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낄수록 증상관리 방법과 통제 방법 대처를 적게 하였고, 경제적 안정 요인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느낄수록 증상관리 방법 대처를 많이 하였으며, 개인관련 요인으로 스트레스를 느낄수록 통제 방법 대처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경제적 안정 요이느로 인해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느끼고 있으므로, 교사라는 전문직에 상응하는 생활보장, 장래성, 사회?경제적 지위를 보장해주어야 하며, 근무환경의 개선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은 적극적인 문제해결 중심의 통제 방법을 많이 사용함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유형은 건전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소극적인 방법도 비교적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수입과 근무시간,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직무 부담과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보조교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tain basic data which would improve the effect of early child education by analyzing the occupational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taking into account its degree and the methods of coping with it, and by investigation how it vari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are considered. First, what is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for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how do the kindergarten teachers cope with the stress? Thir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ress and the methods of coping due to personal characteristics? Fourth, what is the relation of occupational stress to its coping method? 211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where surveyed for is research. The survey was Composed of 2 questionnaires;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and 'Coping Method Questionnaire'. The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six sub-sections; the factor of activity with children(8 questions), the factor of working duty(6 questions). The factor of administrative support(8 questions). the 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6 questions). the factor of financial stability(6 questions). The factor of personal matter(5 questious). This questionnaire was modified for fitting our conditions on the basis that developed by Clark and revised by D'Arienzo at all. The Coping Method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sub-sections; symptom-managing method(11 questions). control method(6 questions). withdrawal method(2 questions). This questionnaire ideas revised and modified on the basis of Latack'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he most stressful sources perceived by kindergarten teachers are 'financial un-stability', followed by working duty', 'administrative support', 'activity with children', and 'interpersonal relation' in order of dominant stress factor, But, 'personal matter' was found to be the least stressful source.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coping method against stress was 'control method', followed by 'withdrawal method'. 'Symptom-managing Method was the least used one. Third, it is found that stress is more severe in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for under one year, who receive less than 800,000 won a month salary, who work for ten hours a day and who are not in charge of class. Also, it is found that the method of coping with stress using 'symptom- managing and control method' were more frequently used by 4-year college graduate teachers than 2-year college graduate teachers, and the 'withdrawal method' was used more frequently by single teachers than-married teachers. Fourth, the kindergarten teachers who felt more stress because of 'activity with children' used the 'symptom-managing and control method' less, the teachers V/ho felt more stress because of 'financial un-stability' used the 'symptom-managing method' more, and the teachers who felt more stress because of 'personal matter' used the 'control method' less. Therefore, what is needed is as follows. First, as the kindergarten teachers were stressed mostly due to the factor of 'financial un-stability', they need financial security, vision, social and economical position in line with the status of teacher who is accepted professional man, and also they require positive assistance for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s.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s' coping method against stress was found to be sound because they use the 'control method', which solves problems in a positive way, but proper management is required because they still use negative ways. Third, as occupational stress is different due to income, working hours, and teachers' grade, assistant teachers are need in order to release the working duty and stress, and the government has to provide more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