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음악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 2000년~2010년 유아음악교육방법에 관하여

        박순희 성결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유아음악교육 관련 석 · 박사 학위논문의 영ㄴ구내용과 연구방법의 경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나아가 유아음악교육 관련 연구에 균형적이고 발전적인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음악교육방법 관련 학위논문 연구내용 경향은 어떠한가? 2. 유아음악교육방법 관련 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경향은 어떠한가? 2-1 연구대상의 경향은 어떠한가? 2-2 연구방법의 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유아 음악교육 관련 학위논문 139편을 대상으로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의 분석기준은 이미리 · 이은혜 ·박은혜(2006) 등의 연구를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기준은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 의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분석기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Microsoft Excel(2007)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첫째, 연구내용으로는 음악교육이론 영역의 논문, 주제별 내용으로는 이론 외는 59.0%(82편)으로 이루어졌으며 음악교육이론의 교육영역으로 이론외의 교육방법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음악교육방법의 음악활동영역에서는 통합활동 58.3%(81편)으로 이루어졌으며, 통합활동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졌다. 음악교육이론의 하위영역에서는 포괄적음악 18.7%(26편)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달크로즈음악교육가의 이론에서 달크로즈 11.5%(16평)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음악활동에서의 하위영역인 음악요소에서는 리듬 11.5%(16편)이며, 통합적 개념에서는 88.5%(123편)으로 매우 편중된 경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으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100%(139편)로이며, 이중 유아혼합연령 71.9%(100편)을 차지하였다. 영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43.2%(60편)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동시에 혼합연구 18.7%(26편)는 대부분이 실험연구와 조사연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제한점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방법에 한 학위논문의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유아음악교육방법 관련 경향분석의 체계적인 정립을 위해서는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경향에서 연구내용이 지나치게 편중되어있다. 그러므로 유아교육에서 유아를 위한 교육방법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대상에서 지나친 유아중심, 특히 영아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영아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endency for Master and Doctoral theses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2000-2010.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to know the contents, variables, methods, subjects of studies for Master and Doctoral theses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or this study, analyzed 1 Doctoral thesis and 138 Master theses in KERIS. Study results, The first, In the contents of the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of the others theoretical studies(59.0%). And In the musical activity studies, combination activity was best(58.3%). The second, In the variables of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of comprehensive musical activity(18.7%). The third, In the methods of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of the study about musical literature(43.2%). The fourth, In the subjects of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of combined age(71.9%).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many of quantitative researches in the study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 M.Montessori의 유아음악교육 이론과 그 지도에 관한 연구

        이지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몬테소리 교육에서는 유아들이 특별한 환경에서 몬테소리 교구를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이 후 스스로 주의를 기울이고, 비교하고, 판단하는 연습을 통해 자신의 감각을 통해 대상을 개념화 및 세련화할 수 있도록 한다. 몬테소리 교육을 지도할 때 교사의 역할은 스스로 개념을 잘 확립할 수 있도록 옆에서 도와주는 지도자여야 한다. 이는 현재 일반 유치원이나 어린이 집에서는 교사 중심 수업으로 인해 지도 교사의 체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몬테소리 교구 활용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몬테소리 교육론 및 교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몇몇 몬테소리 유치원을 제외하고 일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몬테소리 교구 전체가 갖추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몬테소리에 대한 학습을 소홀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또한 몬테소리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지도안이 갖추어지지 않아 교수-학습지도시 손쉽게 다루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몬테소리 교육과 교구에 대한 학습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 당위성을 재조명하여 체계적인 몬테소리 유아음악교육 지도를 위한 단계적 지도 방안을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기초 이론 · 표현을 교육하는데 있어 몬테소리 교구의 활용 가치를 알아보았고, 이를 근거로 몬테소리 유아음악교육론을 적용한 제재곡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몬테소리 유아음악교육론은 유아가 자신의 감각으로 음악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음악적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몬테소리 교육을 어떻게 제재곡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제시해 보았다. 몬테소리 음악교육론을 바탕으로 유아기초음악학습에 적합한 음악을 선별하여 단계적 지도방법에 따른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음표 노래(Note song)」는 ‘선 따라 걷기’를 통하여 리듬감을 학습하기에 적합하며, 음악에 맞추어 창의적으로 동작을 표현할 수 있어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해 준다. 또한 「도레미 송」은 ‘음감벨(Musical bells)’과 ‘악보 읽기’를 통해 음계를 학습하기에 적합하다. 「강강술래」는 ‘선 따라 걷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음계와 시김새의 특징을 학습하기에 적합하다. 이는 청각과 시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학습 경험을 부여해 줄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몬테소리 교육에 적합한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몬테소리 음악교육에 대한 지도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Montessori education is to teach preschoolers to learn on their own by using Montessori teaching aids in a particular setting and then to practice paying attention, comparing and judging for themselves to conceptualize and refine things through their senses. As for the roles of teachers, teachers who provide Montessori education should serve as leaders who help preschoolers to build concepts for themselves. Currently, teacher-led instruction is prevail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hich results in making teachers exhausted, and the utilization of Montessori teaching aids is expected to resolve this problem. In fact, there is a tendency to disregard Montessori education on the ground that teachers need to have a prior understanding of this education and its teaching aids, and another reason is th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ren't equipped with all the Montessori teaching aids. Besides, these institutions are devoid of separate lesson plans for this- 91 - education. In a word, it's not actually easy to actualize Montessori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ughtness of Montessori education and that of the utilization of its teaching aids in an attempt to suggest some sequential teaching plans for Montessori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s it seemed definitely worth doing to receive this education by using its teaching aids. In addition, it's also meant to shed light on the usefulness of Montessori teaching aids as a way to teach basic music theories and musical expression and to present some lesson plans based on Montessori theory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s Montessori theory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s to let preschoolers feel and express music through their senses, this theory can be used as a means to help them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music. In this study, how to teach music based on Montessori education was suggested. After the kind of music that could be used to teach the basics of music was selected, lesson plans were mapped out according to a sequential teaching method. "Note Song" is good for learners to learn a sense of rhythm by walkling along a line. They are able to gain various musical experience while they move to music in a creative way. "Do Re Me Song" is good to learn scale through Musical bells and score reading. "Ganggangsullae" is good for learners to learn Korean sca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gimsae by walking along a line. It's possible for them to acquire diverse learning experience involving auditory and visual experi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provide Montessori music education for preschoolers for whom this education is especially suitable in a bi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about this education.

      •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권오선 덕성여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and to report the effect of such program on musical aptitude and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stated purpose, following study questions are raised: 1. W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1-1. What are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program? 1-2. What ar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1-3. How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program? 1-4. What is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2-1.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usical aptitude of young children? 2-2. What is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performed status analysis on music curriculums i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nd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supplement the found deficiencies from the analysis, preceding study an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music education, musical concepts, singing training, songs, musical aptitude and musical creativit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goals and purpose,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were planned, and valid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ased on a pilot study and feedback from eleven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is to enhance musical aptitude and musical creativity. Furthermore,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innate musical abilities in young children and to lay foundation for aesthetic experience, which is the essence of music education. Following were set as goals: i)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hythm and melody; ii) Singing with accurate rhythm and melody; iii) Enhancing musical fluency, musical flexibility, musical originality and musical elaboration; iv) Ability to experience and enjoy songs and singing. Contents of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compose of 4 following stages: Recognition of musical concepts, Exploration of musical concepts, Advanced musical concepts 1, Advanced musical concept 2. Recognition of musical concepts is a stage in which comprehensive musical concepts are recognized through rhythm and rest, length and patterns of rhythm, and comparison and contrasting of high and low melodies. Exploration of musical concepts is a stage in which relationship between rhythm and beat, various lengths of rhythm (half note, quarter note, eighth note, sixteenth note) and types (off beat, dotted rhythm , syncopation), and components of a melody (major, minor, consonance, dissonance, monophony, polyphony) are acknowledged and explored. Advanced musical concepts 1 is a stage during which, going beyond simply understanding the rhythm and melody reading, various rhythm and melodies are visualized in a music to enable comprehension of component principles for reading and writing of pictorial and symbolized music score. Advanced musical concepts 2 is a stage during which acquired musical concepts from past stages are utilized to find patterns in rhythm and melody and to creatively apply and express new patterns. Evaluation of program’s teaching-learning method was conducted in 3 stages: i) exploration of various methods to recognize musical concepts; ⅱ) application of musical concepts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in singing; ⅲ)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understanding of concepts using various expressions, quizzes, games and ensembles. In order to verify the applied effect of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total of 28 session program over 14 week period from April 11th, 2016 through July 15th, 2016 on fifty-nine 5-year olds at Y-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experimental group: 29, control group: 30) based on pretest-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NCOVA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18.0 program by using pre-scores of musical aptitude exam and musical creativity exam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s covariate variables, and using post-scores as dependent variabl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average musical aptitud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F=52.56, p<.001). As for sub-factors of musical aptitude, both rhythm(F=51.45, p<.001), and melody(F=45.78, p<.00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overall average musical crea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F=46.64, p<.001). As for sub-factors of musical creativity, musical fluency(F=37.12, p<.001), musical flexibility(F=55.15, p<.001), musical originality(F=38.14, p<.001), and musical elaboration(F=53.00, p<.001) were all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signify that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hold positive effect in musical aptitude and in musical creativity. Furthermore, it signifies laying foundation for aesthetic experiences, which is the essence of music education. By applying the new song teaching program based on musical concepts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n the young children education field, possibility of movement toward formation of systematic musical environment and proper aiming for frequent the new song teaching is implied. 본 연구의 목적은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적성,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어떠한가? 1-4.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2.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성 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 및 교사용 지도서에 나와 있는 음악수업 실태분석을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새노래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완하기 위해 음악교육, 음개념, 노래 부르기 지도, 노래, 음악적성, 음악적 창의성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을 수집 ․ 고찰하였다. 문헌 분석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등을 계획하였고, 11인의 유아교육 및 음악교육 전문가 협의와 예비검사를 기초로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가 음개념에 기초한 새노래 교육을 받음으로써 그들의 음악적성 및 음악적 창의성이 향상되는데 있다. 이는 유아의 음악적 향유 능력을 높이고 음악교육의 본질인 심미적 체험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리듬과 가락의 특징 이해하기 둘째, 정확한 리듬과 가락으로 노래 부르기 셋째, 음악적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향상시키기 넷째, 노래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노래 부르기 즐기기 등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음개념 인식, 음개념 탐색, 음개념 심화1, 음개념 심화2’ 4단계로 구성하였다. 음개념 인식은 리듬과 쉼표, 리듬의 길이 및 규칙성, 가락의 높고 낮음 비교 등 대조를 통해 음개념의 전체적인 개념을 인식하는 단계이다. 음개념의 탐색은 박, 박자, 리듬과의 관계, 다양한 리듬의 길이(2,4,8,16분음표) 및 종류(엇박, 부점, 당김음), 가락의 구성요소(장단조, 협화음 ‧ 불협화음, 단선율 ‧ 다선율) 등이 존재함을 알고 탐색하는 단계이다. 음개념 심화 1은 리듬과 가락 악보를 이해하는 단계를 넘어 다양한 그림악보 혹은 기호화된 악보를 읽고 쓰기 위한 구성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노래에 포함된 다양한 리듬과 가락을 시각화하는 단계이다. 음개념 심화 2는 지난 단계에서 경험하고 습득한 음개념을 활용하여 리듬과 가락의 패턴을 찾아보고 새로운 패턴을 창작 ․ 적용하여 표현하는 단계이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를 위해서는 음개념을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탐색하기,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노래 부르기를 접근한 음개념 적용하기, 다양한 표현, 퀴즈, 게임, 앙상블 등을 통해 개념의 이해가 정확하게 되었는지 평가하기 등 3단계로 진행하였다.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제집단 사전 사후 검사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에 기초하여 경기도 Y유치원 만5세 59명(실험집단 29명, 통제집단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1일 주부터 7월 15일까지 총 14주 동안 28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음악적성 검사, 음악적 창의성 검사의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 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공변량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성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조정된 사후검사 전체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점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52.56, p<.001). 음악적성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리듬(F=51.45, p<.001), 가락(F=45.78,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적 창의성의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검사 전체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점수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46.64, p<.001). 음악적 창의성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음악적 유창성(F=37.12, p<.001), 음악적 융통성(F=55.15, p<.001), 음악적 독창성(F=38.14, p<.001), 음악적 정교성(F=53.00,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이 리듬과 가락의 차이를 구별해내는 음악적성과 음악을 유창하고 융통성 있게, 독창적이며 정교하게 표현해내는 음악적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음악교육의 본질적 목표인 심미적 체험의 기틀마련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됨으로써 체계적인 음악 환경을 형성하고, 음악교육 중 가장 빈번히 실행되는 새노래 교육의 올바른 지향점을 향한 움직임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 학령기전 아동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윤소연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유아음악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는 현 시대에서 학령기전 아동의 음악이라는 영역은 교사들에게 교수방법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 훌륭한 교사 밑에서 훌륭한 학생이 배출되는 것은 자명한 이치이나 교사의 능력부족을 탓하며 시간을 보내기보다는 모든 관심과 노력을 학령기전 아동의 유아음악교육을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연구는 경기도 수원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및 유사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교육심리학자, 음악교육학자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설문지 구성내용은 4개의 영역으로 유아 음악 활동내용, 교수방법, 유아음악 교육환경, 유아음악 학습평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보다 자세한 학령기전 아동의 유아음악교육의 실태 파악을 위해 교사들의 학력, 경력, 연령, 근무지역에 따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상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유아음악 활동내용에 있어서 가창, 악기연주, 신체표현, 감상, 창작지도의 영역에서 가창, 신체표현 위주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작지도와 악기연주는 교사들의 능력부족으로 인해 가창, 신체 표현 활동과 비교해 보았을 때, 수업 시수와 빈도수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방법에서는 가창, 악기연주, 신체표현, 감상, 창작지도의 영역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이 획일적인 지도 방법을 고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활동내용보다는 그대로 답습해온 전통적인 내용으로 교수방법이 획일화 되어있다. 또한, 내청, 고정도법, 이동도법, 계명창 등의 음악용어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리듬교육에 있어서도 모두 손뼉 치기 위주로 교수방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음악 교육환경에서는 음악 수업의 공간의 크기, 바닥의 재료, 벽면의 색상, 소음의 실태를 분석해 본 결과, 인적, 물리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은 파악되지 않았으나 음악수업의 기기 활용에 있어서 대부분의 교사들이 카세트와 CD Player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음악 학습평가에서는 평가시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표현적, 독창적인 측면보다는 기술적인 측면을 기준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는 교사의 문제이다. 유아 음악 평가 횟수에 관한 내용에서는 교사들의 잡무의 비중으로 인해 개별적으로 유아들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학령기전 아동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실태를 알아보았다. 문제점을 바탕으로 후행 연구자가 앞으로의 유아음악교육 발전을 위해 문제점 해결방안을 연구한다면 유아음악교육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for preschoolers makes teachers feel difficult in teaching method even in the modern times when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is regarded as important, according to the worldwide trend. It is logical that excellent students will be cultivated under excellent teachers. However, we should make every effort in music education for preschoolers, rather than spending time only criticizing lack of teachers' capabiliti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teachers of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uwon, Gyeonggi-do and other similar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ducational psychologists and music educators, a questionnaire was made.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divided into 4 scopes such as little children' s music activities, teaching methods, little children's music education environment and little children's music learning evaluation. For identification for more in-depth situation, comparative analyses according to teachers' education background, work experience, age and work region were carried out.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the above research: First, in relation to little children' s music activities, singing and body expression-centered activities were mainly conducted in such areas as signing, musical instrument play, body expression, listening to music and creation work teaching. When comparing creation work teaching and musical instrument play with singing and body expression activities, the number of classes and frequency was lower. Second, in relation to teaching methods, most teachers took almost a uniform teaching method in such areas as signing, musical instrument play, body expression, listening to music and creation work teaching. The teaching method was uniform with traditional contents, rather than with creative and original activities contents. Most teachers did not understand musical terminologies such as inner hearing, fixed Do method and singing with syllable names. In rhythm education, teaching was conducted with almost clapping. Third, in relation to little children' s music education environment, the personal and physical problems, were not found, as a result of the analyses of music class space size, material of its floor, color of its wall and noise status. However, most teachers depended on cassette tape recorders and CD players in terms of musical equipment utilization. Fourth, in relation to little children' s music learning evaluation, a technical aspect was based on, rather than the expressive and creative aspects. This became a problem, since teachers did not understand the basics of music.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the music evaluation for little children, teachers could not precisely identify little children individually, due to their heavy miscellaneous duties.

      • 놀이를 통한 유아음악교육의 실태 및 조사연구 : 광주문화센터를 중심으로

        박미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유아기 때 다양한 음악 활동의 경험은 창의력과 상상력을 발달시켜주며 정서적 안정감과 풍부한 심미적 감각을 소유하게 되고 더 나아가 그들의 생활을 즐겁고 풍요롭게 하기 때문에 음악교육 측면에서 볼 때 이 시기는 대단히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최근 유아의 신체표현이나 놀이를 통한 학습, 통합교육이 강조됨에 유아를 위한 음악 프로그램으로 문화센터에서 학부모들의 호응을 얻고 있는 아마데우스 클래스, 유리드믹스, 뮤직가튼에 관한 연구로 교육현장의 참관을 통해 나타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과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수업참관과 설문지를 통하여 유아놀이 음악프로그램 수업의 과정 및 유아들의 반응과 교사들의 인식, 학부모의 의식과 참여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학부모들은 유아 음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대단히 긍정적이었고, 유아 음악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놀이 음악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만족하고 있었고 실질적으로 80% 이상의 유아가 수업에 대한 흥미를 갖고 있었으며, 수업 후 가정에서 실제 수업내용을 복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유아들과 학부모들이 놀이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수업에 사용된 교구를 구할 수 없어 수업내용의 반복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수업횟수나 수강인원에 대해서도 적당하지 못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수업현장의 참여관찰과 유아놀이 음악프로그램을 수강한 유아들의 학부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유아놀이 프로그램의 문제점들은 크게 수업내용의 지속성에 관한 것과 수업 장애요인에 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수업내용의 지속성에 관한 문제점으로는 첫째, 유아들이 수업내용을 습득하기에는 주1회 40분이라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으며 둘째, 수업 후 엄마의 역할에 대한 지시나 언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셋째, 일상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악기가 수업에 사용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수업 장애요인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첫째, 신체표현에 있어 소극적인 유아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부족하다는 점과 둘째, 집중력이 떨어져 수업 내내 산만한 유아들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다는 점, 셋째, 프로그램마다 참여자의 성향에 따른 접근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 넷째로 수강인원과 문화센터의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모든 프로그램들이 주1회 실시되는 수업으로 끝나지 않고 유아의 생활에 이어짐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부모가 제2의 교사가 되어야 할 것이며, 교사는 유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유아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문화센터에서는 수강인원에만 집착하는 프로그램을 벗어나 유아의 성향에 따른 새로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various types of music activities help infants develop creativity and imagination and have stability and abundant aesthetic senses, and make their life more joyous and prosperous, this period is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of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Amadeus Class, Eurythmics and Musicgarten that have been admired by student parents in cultural centers as music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as learning through bodily expressions and play and integrated learning have been emphasized, and to present methods of effective music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purposes, we visited centers and used questionnaire to examine music programs for infants, responses of infants,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by parents, and presented future plans based on the problems found at class. Pare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very positive to the necessity of music education for infants, and had proper recognition on the purpose of music program. For the questionnaire of music activity program,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were satisfied, more than 80% of the infants were interested in the class, and after the class, they attempted to review what they learned in class. However, manu infants and parents had difficulties in reviewing what they learned as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program completely and obtain the same teaching tools as they used in class and complained about the number of program and number limits. Through the questionnaire given to parents whose children took the music activity program and sitting in on the class, we found that the problems they presented were in respect to consistency of the program content and obstacles to the class. First, in respect to the consistency of the program content, 40 minutes a week is not long enough for infants to understand the program. Second, no instructions or guides are not provided to mothers after class. Third, the program uses musical instruments that can not be easily purchased in marketplace. In respect to obstacles to the program, first, there are no definite measures for shy children in bodily expression. Second, there are no measures for infants who have lack of concentration during class. Third, there is no how to approach according to dispositions of infants. Fourth, there are problems on the number limit of the class and management of cultural centers. To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outside the program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should be assistant teachers and teachers should make consistent efforts to understand varied aspects of infants so as to induce them to enjoy the programs spontaneously and actively. In addition, we need further research on new programs according to dispositions of infants rather than being attached to the number limits.

      • 디지털 피아노를 활용한 유아음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방안연구 : 아마데우스클래스와칸타빌레뮤직클래스를중심으로

        명경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27

        유아의 조기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면서 음악교육 또한 어떤 시기에 어떤 방법의 교육이 적절한지에 대한 많은 연구와 교재가 나와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많은 교재들이 5세 이상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교재 위주의 기능적 학습으로 이루어져 있어 5세 미만의 유아에게 적합한 교재나 프로그램은 찾기 힘든 실정이다. 이 논문은 디지털 피아노를 활용한 아마데우스 클래스와 칸타빌레 클레스의 음악적 체험이 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위 두 프로그램은 교재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아닌 놀이나 활동적인 단체수업의 형태로 진행되는데 단체학습이란 3-4명에서부터 10명 이내로 분반된 그룹으로 수업하는 방법을 말한다. 단체음악활동은 음악적 경험을 균형 있게 제공하고 음악을 듣고 움직이는 어린이에게 음악적 능력을 기르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반면에 1대1 수업으로 진행되는 방식은 유아에게 긴장감과 부담감을 주게 된다. 디지털 피아노는 그 동안 많은 발전을 하여 기존의 피아노로는 어려운 앙상블이나 다양한 음색공부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건반의 터치상의 문제는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음악교사는 갈수록 강조되어지는 조기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점점 더 다양해질 프로그램과 교재, 또 악기의 변화에 관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필요로 한다. 많은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의 유아에게 적합한 음악교육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어진 책임이자 과제일 것이다. With the interest of early education getting bigger, many studies and teaching materials on when and how to teach musical education is appropriate were issued. But many teaching materials focus on children over five years old and for the most part consists of material-centered functional lessons, and so is difficult to find out adequate teaching materials or programs for children under five years old. In this treatise, what musical experiences through Amadeus Class and Cantabile Class using digital piano affect children was checked. These two class programs above mentioned were processed by not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but making use of playing and active group study. The group study means the way of teaching divided groups consist of three or four to ten children. Group activities provide balanced musical experiences and effective way of teaching to raise musical ability for children. On the contrary, man to man method gives burden and strain to children. Digital Piano has been much developed and has many good points that it enables difficult ensembles and diverse tone color studies existing piano can't make it possible before. On the other side, keyboarding problem still has to be improved. Music teachers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reschool education more and more emphasized as time goes by. And they has to research on diverse programs and developing musical instrument. It is responsibility and question that they should collect many informations on adequate musical education method and give opportunities for children to use them.

      •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황지선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and examine the application effects on child’s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creativity.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composition system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1-1. What ar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1-2. What is the content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1-3. What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effects of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on early children’s musical ability? 2-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on early children’s musical cognitive ability? 2-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on early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Research Question 1]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literature research, needs analysis, program content organiz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During the literature research stag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tures and research papers on the STEAM, Kodály Teaching Method, child’s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During the demand analysis stag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s on the STEAM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Next, this study conducted the expert’s consult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en organized the final program. [Research Question 2]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the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75 early children of 5-year age in H and B kindergartens located in G city of Gyeonggi-do province (38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37 children in comparison group). From Oct 4th 2016 till Dec 8th 2016,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30 minutes, total 20 times for 10 weeks for the children in experiment group, and the general music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the children in comparison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effects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on child’s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creativity,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o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COV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contents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musical talent through musical activities and improve the musical expression ability. For this purpose, the program contents were developed with the ideas of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musical elements,” and “thinking and expressing creatively in the musical activities.” The education contents of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musical elements” consisted of understanding the musical elements and classifying and analyzing musical elements. The education contents of “thinking and expressing creatively in the musical activities” consisted of suggesting various musical ideas according to the theme, and making original music. Teaching method of this program consisted of situation presentation, emotional experience, creative design, application, and evaluatio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were divided into teacher evaluation and child evaluation, and it was conducted by small and large group, and individual observation evaluation. Second, the musical cognitive 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poin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mparison group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STEAM program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musical cognitive ability development. Also, the musical creativ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points in comparison with that of comparison group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As for the sub-factor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was found in musical fluency, musical originality, and musical imaginativeness. This result confirms that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musical creativity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music-centered early childhood STEAM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due to its efficient organization connecting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purpose, go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program is applicable in the field as an alternative early childhood program that would promote the development of musical cognitive ability and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어떠한가? 1-1.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1.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1]에서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문헌연구, 요구분석, 프로그램 시안구성, 예비연구의 단계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문헌연구단계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과 코다이 교수법,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창의성 관련 문헌과 논문을 분석하였다.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 음악교육에서 STEAM에 대한 교사의 요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협의와 예비연구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G시에 소재한 H유치원과 Y유치원 만 5세 유아 75명(실험집단 38명, 비교집단 37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2016년 10월 4일부터 2016년 12월 8일까지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10주 동안 주 2회 30분씩 총 20회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일반적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음악적 창의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음악적 인지능력, 음악적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의 목적은 음악활동을 통해 음악적 요소를 탐색하고 이해하여 음악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증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교육목표는 ‘음악적 요소를 탐색하고 이해한다’, '음악활동 과정에서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한다'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교육내용으로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하기'는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기, 음악적 요소를 분류하고 분석하기였다. '창의적 음악 표현하기'는 주제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아이디어 제시하기, 독창적 음악 만들기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상황제시, 감성적 체험, 창의적 설계, 적용 및 평가로 구성하였으며 Kodály의 요소와 STEAM의 요소를 활동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구분하였으며, 소집단 및 대집단, 개별적인 관찰 평가로 이루어졌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인지능력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창의성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음악적 유창성, 음악적 독창성, 음악적 상상력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의 연계성 있는 구성으로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음악중심 유아 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창의성 발달을 촉진하는 유아프로그램으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유아기의 유아음악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달크로즈·코다이·오르프의 음악교육이론을 중심으로

        김영혜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7

        유아들은 호기심이 많고 탐구심이 높아 무엇이든지 빠르게 받아들이므로 이시기에 체계적이고 올바른 교육을 받게 된다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최근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유아기의 음악교육은 유아의 단순한 음악능력만이 아니라 유아의 신체, 언어의 발달 및 인지능력과 창의성을 발달시키고 자신감 및 다른 사람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사회적응력을 높여준다. 오늘날 유아들을 대상으로 음악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효율적이고 손쉽게 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잘 알지 못해 머뭇거리는 경우가 많다. 유아음악교육에 있어 기존의 딱딱하고 어려웠던 유아들의 음악교육방법을 대신하여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코다이나 오르프의 교육이론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달크로즈의 리듬 신체표현도 교육현장에 있어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미 잘 알려진 유아음악 교육학자인 달크로즈(Emile Jaques Dalcroze, 1865-1950), 코다이(Zoltan Kodaly, 1882-1967), 오르프(Carl Orff, 1895-1982)에 나타난 교육관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유아음악의 음악적 개념을 익히도록 하며, 다양한 음악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비교적 비슷한 시기에 유아음악교육을 다룬 이세사람의 유아음악교육방법론을 비교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은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유아교육이론을 중심으로 바람직한 유아음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을 통해 모국어를 익히듯이 음악을 자연적으로 듣고 익히도록 돕게 하며, 음악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리듬을 몸으로 느끼며, 가락의 흐름에 반응하게 하여 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유아 스스로의 생각을 표현하게 하는 창조적인 활동을 많이 하도록 하여 음악을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The infants are full of curiosity and the spirit of inquiry so they accept everything very quickly. If they receive a proper education, the effect of the education will be more larger. For that reason, the recognition and the interest about the importance of the infant education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infant music education is helpful not only to the advancement of the musical ability but also to the development of the body, language, and the originality. It promotes the affirmative interaction of confidence to the other people and raises the social adjustment power. Today the music education is plentifully but they hesitate in many cases because they do not know the instructional and easy method. Recently the music instructional method of the infants from Kodaly or Orff are becoming well known instead of the former hard and difficult method and the Dalcroze's rhythm body expression als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he infant before attending school. And the main ideas about the instructional methods are from the well-known music pedagogy Dalcroze (Emile Jaques Dalcroze, 1865-1950), Kodaly (Zoltan Kodaly, 1882-1967), Orff (Carl Orff, 1895-1982). in order to learn the various concept of infant music, this research presented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f these three people who treat an infant music education in similar time. The focus of the research presented the direction of desirable infant music education with the theories of Dalcroze, Kodaly, Orff as the center. Through the music education, the infants will be able to learn music as they learn their mother language.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integral part of music, feel the rhythm, react to the tune and develope the ability to understand music. Also through the creative activity which does to express an infant oneself think plentifully, they will be able to grow who can express and feel the music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