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幼兒院生의 乳齒우蝕經驗率 및 關聯要因

        이은숙 慶北大學校 保健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711

        유아원생의 유치우식경험률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1989년 4월 3일부터 4월 15일까지 김천시내 3∼5세 유아원생 352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사를 실시하고, 어머니들에게 설문지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 유아원생들의 유치우식경험률(dmf rate)은 86.3%, 우식경험유치지수 (dmft index)는 5.3이었다. 다단계 중회귀분석결과 우식경험유치지수(dmft index)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당분식품 선호도, 수유방법 및 이유시기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즉, 유아의 연령이 많을수록, 당분식품을 좋아할수록, 인공수유보다는 모유수유를 하는 경우가, 그리고 이유시기가 늦을수록 우식경험유치지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우식경험률(dmf rate)은 이유시기가 늦을수록, 부모의 관심이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치우식경험도나 잇솔질 실시여부와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른 dmf rate와 dmft index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아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로 볼 때 유아원생들의 유치우식예방을 위해서는 어머니들에게 3세 이전부터 어린이 치아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면서 이유시기를 조기에 실시하도록 하고, 유아원에서 부터 올바른 잇솔질 방법과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on the basis of 352 children (male;188, female;164) who had lived in Kimcheon by means of oral inspection and questionnaire, from April 3 to April 15, 1989. The dmf rate and the dmft index for deciduous teeth was 86.3 percent and 5.3, respectively. The dmf rate and the dmft index ha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oothbrushing practice application and monthly income of household.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 to the dmft index is age, preference of the sugar containing food, feeding method and weaning time after birth. Namely, the dmft index of 5 years old was greater than that of 3 years old, and the dmft index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reference of sugar containing food. Also, the dmft index of the breast-fed child had greater than that of bottle-fed child, and the children eating the weaning diet late had greater than those who eating the diet earlier. However, the dmf rate and dmft index ha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ooth brushing practice application and monthly income. As a result, for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in deciduous dentition, we suggest that the early application of the weaning time after birth, education of the correct toothbrushing method and eating the meals habit should be done in nursery school.

      • 교사의 유아원격교육 경험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 컴퓨터 효능감의 다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백수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7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eaning of technology use, and the direction of appropriate teacher support. This reflects the fact that the use of technology can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ocial change in whic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rapidly changing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nfluence and mediating effect of variables related to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vestigated with a focus on ‘technolog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and TPACK, TUA, BI, TE, and CSE? 2. Are ther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TE and CSE on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on TPACK, TUA, and BI? This study used the results of a survey of 217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for a total of 30 days from March 22, 2021 to April 20, 2021 as research data.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teachers using the scales of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TPACK, TUA, BI, TE, and CSE scale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rends of variables of the SPSS Statistics 26 program,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and teachers using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The significance of inter-variable influence was verified with SPSS PROCESS macro 4.0 program Model 4.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and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path were identified by the bootstrap technique. The main resul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the trends and influenc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related variable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and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on effe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TPACK, TUA, BI, TE, and CSE showed the highest average of CSE.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TPACK, TUA, BI, TE, and CSE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th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TE and CSE on TPACK, TUA, and BI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total effect and direct effect verificati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PACK and TUA, bu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did not directly affect the BI. In addition, TE and CS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PACK, TUA, and BI.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TE and CSE, the indirect effect of TE and CSE was significant in all pathways, indicating that there is a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TE and CSE. In conclusion, although the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d not directly affect BI, the indirect effects of TE and CSE were significant and had a direct influence and correlation between each teacher-related variable, except that they had a fully mediated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variables and contextual factors rather than considering only a single asp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e of technolog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 mediated by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provide support based on thi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and support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various aspects of teachers can also affect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technology us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to improve the appropriateness and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and the use of technology. 본 연구에서는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 테크놀로지 활용의 의미와 적절한 교사 지원의 방향성을 알아보려는 목적을 지녔다. 이에 테크놀로지의 발달이 급변하고 있는 사회적 변화와 유아교육을 함에 있어서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 경험과 유아 교사 관련 변인들의 영향 및 매개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목적에 의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 및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TUA),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BI),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TUA),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BI)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다중 병렬매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2021년 3월 22일부터 2021년 4월 20일까지 총 30일간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인천 지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217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원격교육 경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 (TUA),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 (BI),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 척도를 사용해 설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과 원격교육 경험 및 교사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 SPSS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 Model 4로 변인 간 영향의 유의성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랩(bootstrap) 기법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 및 경로에 따른 다중 병렬매개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한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 테크놀로지 중심 유아 교사 관련 변인들의 경향, 상관관계, 영향 및 다중 병렬매개 효과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TUA),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BI),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일반적 경향은 컴퓨터 효능감(CSE)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TUA),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BI),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TUA),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BI)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다중 병렬매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총효과 및 직접 효과 검증결과,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TUA)에는 정적으로 직접 효과가 있어 영향을 주었으나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이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BI)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또한,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이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지식(TPACK), 테크놀로지 활용 태도(TUA),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BI)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간접효과 유의성 검증결과 모든 경로에서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다중 병렬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 교사의 원격교육 경험이 테크놀로지 수용 의도(BI)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교사효능감(TE), 컴퓨터 효능감(CSE)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는 점 이외에는 각 교사 관련 변인 간에 서로 직접 영향을 주고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에 유아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해 단일적 측면만 고려되기보다는 다양한 변수와 맥락적 요인을 파악해야 하며 특히 교사의 효능감이 매개하는 효과를 고려하여 이를 중심으로 지원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곧 교사의 다양한 측면의 영향력이 유아 테크놀로지 활용의 방향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반영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 원격교육 및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적절성과 방향성을 제고 하기 위한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