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haracteristics of migrating population in China

        장, 요우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유동인구 규모의 확대는 이미 오늘날 중국 경제, 사회의 중요 현상이 되었으며, 가장 전형적인 현상은 다수의 농촌 인구가 도시로 모여드는 것으로, 그들은 중국 도시 노동력 시장의 주요 구성 부분이 되었다. 그들은 도시, 농촌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최근 정부가 유동인구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유동인구가 중국 경제 발전과 사회 안정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과 지위를 차지하는 것을 반영해주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유동인구 및 지역 경제 발전에 유동인구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오늘날 중국의 인구 유동이 경제 발전의 지역 경제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명시하였고, 그리하여 중국 현재 경제 발전 현황에 서로 적합한 인구와 노동력 유동 관리 정책을 제정하기 위해, 지역 경제가 협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정책 결정 참고 내용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교육 정도, 거주 방식, 공간 분포 특징, 도시 생활 만족도와 사회보장 상황 등 유동인구의 특징 연구를 통해, 정부와 관련 부서가 유동인구의 생활, 취업 등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 더욱 잘 이해하고, 정부가 유동인구에 더욱 유리한 조건을 편리하게 제공하도록 하며, 유동인구의 도시 생활을 안정시키도록 하며, 유동인구의 관리와 서비스에 필요로 하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동시에, 유동인구와 지역 경제의 상호 관계를 통해 양자 간의 상호보호 촉진 관계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만약 유동인구가 일정한 수를 넘어서면, 현지의 경제 발전을 가속화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현지 경제에 이후의 현상이 나타나도록 하며, 많은 사회 문제를 동반하도록 한다. 경제와 유동인구를 좋은 방향으로 발전시키려면 반드시 유동인구를 합리적인 범위 내에 규제시켜야 한다. 그리하여, 다른 지역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수량을 규제할 경우, 사회 안정을 보장하고, 신속한 경제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다.

      • 중국 지역간 유동인구의 공간적 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

        만리청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유동 인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현상으로 참여자로서의 역할이자 도시 인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런 점에서 유동 인구와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한다는 것은 아주 큰 의미가 있다. 급속한 경제발전과 함께 나타난 중국의 유동 인구는 새로운 추이를 보이지만 유동 인구를 수용하는 도시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며 유입된 인구가 현지의 도시 발전에 큰 공헌을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유동 인구와 관련된 개념, 중국 유동 인구의 현황과 변화의 특징을 소개했다. 그런 다음 중국 유동 인구의 공간적 구조의 기본적인 특징과 중국 유동 인구의 공간적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이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floating population is the main participating force in the development of urban construction and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urban popula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deal with the relevant issues of the floating population. In the new era, China's floating population shows new trends. On the one hand, some big cities are still important importers of floating populations. The foreign population contributes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local towns. This article first introduced the related concep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China's floating population. After that, it summariz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China's floating population spatial patter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China's floating population spatial pattern. Finally, based on this, it put forward corresponding policy implications.

      •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한 강화학습 기반 상권 유동인구의 행동패턴 예측

        장지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에서 생성되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활용하여 유동인구의 행동패턴을 예측하는 강화학습 모형을 만드는 것이다.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와 유동인구 사이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태원 상권 유동인구의 행동패턴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간패널모형과 강화학습을 활용하였다. 먼저 사용자 생성 콘텐츠 변수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하여 사용자 생성 콘텐츠와 유동인구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LTE 시그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동인구를 집계하는 서울시의 ‘생활인구’ 데이터와 자체적으로 수집한 인스타그램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사용하여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유동인구와 사용자 생성 콘텐츠는 집계지역을 기준으로 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관측된 공간 패널자료이기 때문에, 시간요인과 공간요인을 통제할 수 있는 공간패널모형을 사용하여 두 변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스타그램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 변수가 유동인구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유동인구의 행동패턴을 모방하는 에이전트를 학습시키기 위해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강화학습을 적용하기 위해 환경, 에이전트와 마르코프 결정 과정을 정의하였고, 이를 서울특별시의 중요한 상권 중의 하나인 이태원 상권에 적용하여 유동인구의 행동패턴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에이전트는 상권 방문객으로 이태원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태와 보상을 받는다. 이태원 상권의 각 지역별로 상이하게 분포한 사용자 생성 콘텐츠를 기반으로 에이전트는 지역을 방문한다. 에이전트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많은 지역을 방문하는 경우, 높은 유명도를 지닌 지역을 방문하기 때문에 높은 보상을 받고 그렇지 못한 지역을 방문하는 경우 낮은 보상을 받게 된다. 또한 같은 지역에 오래 머무르는 경우, 해당 지역에 대해 지루함을 느끼기 때문에 지역의 보상이 시간에 따라 반감되는 요인을 에이전트 속성으로 설계하였다. 실제 환경을 모사하기 위한 이와 같은 설정으로 인해, 에이전트는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에이전트가 관측하는 상태가 변화하고 학습 자료에 따라서 보상이 변화하는 동적인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최적 행동 정책을 학습한다. 강화학습의 대표적인 알고리즘인 SARSA, Q-learning, DQN을 적용하여 정의된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고, DQN이 가장 높은 누적 보상을 얻으며 가장 빠르게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스타그램’의 사용자 생성 콘텐츠가 유동인구에 영향을 주는 공간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점포 단위로 발생하는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특성상 좁은 공간 범위를 가지는 공간 자료를 발견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실제 상권에서 유동하는 인간의 움직임을 모사하는 에이전트를 학습시킨 의의가 있다. 에이전트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에 따라 상태와 보상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DQN을 적용하는 경우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며, 미래의 정보를 이용하여 에이전트를 학습시키는 경우 더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권의 예측된 유동인구 행동패턴 정보에 기반하여 향후 소상공인 입지선정과 관련하여 창업 지원 및 재난상황의 인구대피 시나리오 등 정책적 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유동인구 분석을 위한 머신러닝 기법 성과 비교에 관한 연구 : Kaggle 시계열 데이터 중심으로

        홍일영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floating population refers to the amount of walk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specific area, and is an important data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administratio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real estate development and commercial area analysis. However, unlike the general census, the floating population should consider not only spatial correlation but also correlation over time.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census,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and the survey method of it is not standardized,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data on the floating population. Accordingly, the floating population as a basic data used in various fields needs a model that can accurately estimate the floating population through prediction, not the existing social survey method.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is time series data observed over time and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time series analysis techniques. Time series analysis mainly uses prediction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but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have a limitation in not making proper predictions when time series data has a nonlinear relationship or when there are special fluctua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limitation of thes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a lot of time series prediction through deep learning-based analysis techniques has been made due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is known that deep learning can predict by considering various nonlinear relationships and can produce proper predictive performance even though a data has various types of variables. To verify this, this study generates a floating population prediction model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it using Seq2Seq, an applied model of LSTM, with the ARIMA model, which is a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widely used in time series analysis, and the LSTM model, which is widely used in deep learning-based analysis techniques. Performance evaluation is conducted based on RMSE and MAE used for continuous variabl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easured performance of the models, a model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the floating population is presente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s Kaggle's floating population data in Seoul, and this study divides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in Seoul into 25 district data, and divides each district data into 3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atio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and generates ARIMA, LSTM, and Seq2Seq models in each data. As a result, when the ratio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is 88% and 12%, in RMSE, Seq2Seq shows good performance in 18 districts, LSTM shows good performance in 6 districts and ARIMA shows good performance only in 1 district. In MAE, Seq2Seq performs well in 19 districts and LSTM performs well in 6 districts. ARIMA do not perform well even in one district. When the ratio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is 77% and 23%, in RMSE, ARIMA shows good performance in 23 districts, and Seq2Seq shows good performance in 2 districts. In MAE, ARIMA performs well in 21 districts, and Seq2Seq performs well in 4 districts. LSTM do not perform well in both RMSE and MAE even in one district. When the ratio of learning data and test data is 52% and 48%, in RMSE, Seq2Seq shows the best performance in 19 districts. ARIMA performs well in 6 districts. In MAE, ARIMA performs best in 23 districts, and Seq2Seq performs well in 2 districts. LSTM do not perform well in any indicators. Compar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amount of learning data is, the better the deep learning-based prediction model perform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performs well when the amount of data is small. In addition, among the deep learning-based models, it i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Seq2Seq is better than that of LSTM. 유동인구란 특정 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의 보행량을 뜻하는 말로, 도시 행정, 교통 인프라, 부동산 개발, 상권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유동인구는 일반적인 인구 조사와는 다르게 공간적인 상관관계뿐 아니라 시간의 흐름의 따른 상관관계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인구 조사 특성상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조사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유동인구 자료를 구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유동인구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기초 자료로서 기존의 사회조사 방식이 아닌, 예측을 통하여 정확하게 유동인구를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하다. 유동인구 자료는 시간에 흐름에 따라 관측되는 시계열 자료로, 시계열 분석 기법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시계열 분석은 주로 통계적인 분석 기법을 통한 예측이 많이 활용되었으나, 통계적인 분석 기법은 시계열 자료가 비선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경우나 특수한 변동요인이 있을 때 제대로 된 예측을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통계적인 분석 기법의 한계와 더불어,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딥러닝 기반 분석 기법을 통한 시계열 예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딥러닝은 다양한 비선형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예측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변수를 가지고 있는 자료에서도 제대로 된 예측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시계열 분석에서 많이 사용되는 통계적인 분석 기법인 ARIMA 모형과 딥러닝 기반 분석 기법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LSTM 모형과 더불어 LSTM의 응용모델인 Seq2Seq를 사용하여 유동인구 예측 모형을 생성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는 연속형 변수에 사용되는 RMSE와 MAE를 기준으로 진행하였다. 모형의 측정된 성능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여 유동인구 분석에 어떤 모형이 적합한지 제시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Kaggle의 서울시 유동인구 데이터이며, 서울시 유동인구 데이터를 25개 지역구 데이터로 분할하고, 지역구별 데이터를 다시 학습데이터와 검정데이터 비율에 따라 3가지로 나누어 각 데이터에 ARIMA, LSTM, Seq2Seq 모형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학습데이터와 검정데이터 비율이 88%와 12%일 때, RMSE는 Seq2Seq가 18개 지역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고, LSTM이 6개 지역구, ARIMA는 1개 지역구에서만 좋은 성능을 보였다. MAE는 Seq2Seq가 19개 지역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고, 6개 지역구에서 LSTM이 좋은 성능을 보였다. ARIMA는 한 개의 지역구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이지 못했다. 학습데이터와 검정데이터 비율이 77%와 23%일 때, RMSE는 23개 지역구에서 ARIMA가 좋은 성능을 보였고, Seq2Seq가 2개의 지역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다. MAE는 ARIMA가 21개 지역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고, Seq2Seq가 4개의 지역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다. LSTM은 RMSE와 MAE 두 지표 모두 한 개의 지역구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이지 못했다. 학습데이터와 검정데이터 비율이 52%와 48%일 때, RMSE는 19개 지역구에서 Seq2Seq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ARIMA는 6개의 지역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다. MAE는 23개 지역구에서 ARIMA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고, Seq2Seq가 2개 지역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다. LSTM은 어떠한 지표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이지 못했다. 성능 평가를 비교하여 볼 때, 학습데이터의 양이 많을수록 딥러닝 기반 예측 모형의 성능이 좋아지고, 데이터의 양이 적을 때 통계적인 분석 기법의 성능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딥러닝 기반 모형 가운데서도 Seq2Seq의 성능이 LSTM보다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유동인구분석을 통한 여성의 공간이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아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적인 논의 주제로 볼 수 있는 ‘여성’에 관련된 연구들이 국내에서도 많이 진행되었지만 여전히 여성문제는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여성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이론적인 측면에서 인구학적인 특성을 정의내리거나 여성관련 정책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주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여성관련 문제가 사회적 공간을 떠나 물리적인 공간으로까지 드러나는 현 시점에서는 새로운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단순히 성별에 따른 특성을 구분하는 것만이 아니라 여성의 실질적인 수요와 성향에 맞는 공간의 변화까지 유도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특성을 일상생활의 공간이용에 대한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유동인구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여성이 많이 이용하는 지역과 특성에 대해 연구 하고자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전체적인 여성의 공간이용을 살펴보면, 여성의 활동이 저조하여 본연의 특성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남성과 상대적인 개념의 지표설정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전체적인 사람들과 여성에 대한 지표를 그룹화 하여 공간이용패턴과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커널밀도분석과 공간계량모델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생활 속에서 여성은 여전히 공간이용에 있어서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많은 지역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이용이 저조하였다. 여성이 주로 활동하는 공간은 여전히 주거지와 인접한 공간이었으며, 그에 대한 가설과 유사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공간의 약자로서 여겨 온 여성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른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 전에 우선적으로는 여성의 공간이용이 어떻게 불평등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기꺼이 알아야 한다. 더불어, 여성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간의 특성을 통해 사회문제를 현실적으로 보아야 한다. 단순하게 여성과 남성을 구분하였던 ‘여성전용시설’과 같이 오히려 공간분리를 초래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학적인 접근으로 공간의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아이의 엄마’로서의 여성이 아닌, 다양한 여성의 입장으로 보며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제안되어 온 여성관련 정책에서 놓쳐지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난 여성의 특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의 뒷받침이 될 수도 있으며 추후 관련 연구의 발전방향이 될 수 있다. 여성공간을 이론적인 관점에서 벗어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때문에 이와 같이 새로운 관점의 실증적 연구는 큰 의의가 있다. 여성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도시공간분석은 공간이용 현상에 대한 단순한 분석뿐만 아니라 양성평등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정책과 도시공간의 변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lobal debating issue about ‘Women’ had been studied a lot in Korea, but the women’s problems intensified in these days. Study held in Korea was about suggesting women related policies or by defin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oretical aspects. However, need for new point of view aroused as women’s problem exposed not only in social places but also in physical places. Not only defining characteristics by one’s gender, but analyzing factors which directly affecting women and alternating such spaces are needed. So we aimed to analyze women’s characteristic which exposed in their ordinary life through the point of their activity. Through Kernel Density Estimation analysis by utilizing floating population data which can represents pattern of ordinary life and through Spatial Econometric Model analysis, we tried to analyze pla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here women visit a lot. In research, we use relative concept against men to deduct women’s hidden characteristics which are not exposed in normal space utilize. Characteristics of women’s place use are very similar with other hypothesis but also have other properties, too. As it turned out in analysis, women in ordinary life do not serve autonomous role in space utilization. Act of women besides housing, consumption, and culture related area appeared lower than man. So, women who used to be perceived as the weak of place utilization should be viewed in new aspects of view. Before doing so, it is essential to know why the women’s place utilization appeared unequally. Also, such women related problems should be viewed realistically about places’ characteristics where women used a lot. Not causing separation of places such as ‘facilities only for women’ through dividing people only by gender, but should induce alteration of places through approaching in feministic view. Also should view women in various perspectives, not only in ‘mother of children’ to satisfy social demands.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suggest new opinions to women-related policies about things they miss. Or it can be used as back up data about women’s characteristics which showed up in advanced researches. Actually study deviated from theoretical perspective about gender and women’s place is lack in Korea. So such empirical research from the new view has great significance. Not only that, it provides lots of implications which can be deducted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eople or whole population. Not only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many aspects such as analyzing businesses which have women as potential buyer or so. Finally this research can be a great help to solving social problem of women inequality not only for analyzing women’s place use. Through this, we expect this research to be contributed to policies for gender equality or alteration in city’s regions.

      • 기지국(통신) 로그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동인구 추정방법 연구

        유종필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에서는 기지국에서 수집되는 통신 로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케팅이나 공공의 서비스에 활용 할 수 있는 유동인구를 추정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동인구를 추정의 기초데이터와 분석 방법에 대하여 공간빅데이터 및 공공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동인구 추정 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기반의 빅데이터와 공간정보(Spatial information) 빅데이터를 통합하기 위한 기준을 정의하고 결합방법까지 연구해 일반데이터와 공간데이터를 결합방법까지 제시 하였다.

      • 코로나19가 인천광역시 유동인구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강해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기간 동안 인천광역시 동(洞)별 유동인구 변화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모바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월별 유동인구를 기준으로 2020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비교하였다. 유동인구는 상주인구, 상근인구, 방문인구로 구분하였으며, 분석대상 동은 토지이용적 특성을 고려하여 6개 동을 선정하였다. 각 유동인구의 유입지역별 거리를 산정하고 이동거리별로 구분하여 월별 변화를 검토하고, 2019년 동월과의 변화율, IQR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상반기에는 분석대상 모든 동에서 유동인구의 감소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하반기에는 확진자가 증가하여도 유동인구는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2021년과 2022년에도 상반기 및 하반기 모두 유사한 패턴으로 나타났다. 상업․업무지역, 관광지역, 특화지역에서는 방문인구의 감소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 IQR 변화는 공업지역, 송도신도시, 중심 상업․업무지역의 상근인구가 높게 분석되었다. 이는 코로나19 확진자의 자가격리, 재택근무 실시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확진자수와 유동인구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확진자 감소 및 증가 시기와 상주·상근·방문인구 증가 및 감소의 상관관계는 낮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도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상주인구의 외부 활동량 감소로 양(+)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방문인구는 일부 거리구간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역에서 상관계수가 낮아서 상관관계는 낮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확진자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상근인구 및 방문인구 또한 증가하여 상관관계가 양(+)의 계수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수도권의 확진자수 증가 현상에 정부에서 선제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강화를 실시함으로써, 인천광역시 대상 지역의 확진자수와 유동인구와의 상관관계는 낮거나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발생 등 사회적 재난 발생 시 원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정보 제공,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정책 집행의 필요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s in floating population in each district(dong)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using mobile big data,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measures due to the occurrence of COVID-19. To achieve this, the monthly floating population from 2019, before the COVID-19 outbreak, was compared with the period from January 2020 to October 2022. Floating population was categorized into resident population, commuter population, and visitor population. Six district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considering their land use characteristics. The distances from the origin of each population flow were calculated, segmented by travel distance, and changes were examined monthly. The analysis included the comparison of changes from the same month in 2019, interquartile range (IQ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during the first half of 2020, when COVID-19 cases occurre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floating population in all analyzed districts. However,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despite an increase in confirmed cases, floating population increased. This trend continued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halves of 2021 and 2022. A higher decrease in visitor population was observed in commercial & business areas, tourist areas, and specialized zones. Changes in IQR by region showed a high analysis of commuter populations in industrial areas, Songdo New City, and central commercial/business areas. This was attributed to self-isolation and telecommuting measures due to COVID-19.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VID-19 confirmed cases and floating population revealed low or almost no correlation between the timing of decreases or increases in confirmed cases and the increase or decrease of resident, commuter, and visitor populations. Yearly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in the decrease of external activities of resident populations. Visitor population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some distance segments but were generally low or almost nonexistent. Over time, despite the continuous increase in confirmed cases, commuter and visitor populations also increased, showing a tendency of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analysis of the increase in confirmed cas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the proactive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measures by the government, revealed low or almost nonexistent correlations between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floating population, with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accurate analysis and information provision on the causes of social disasters such as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It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government's swift response and policy execution, 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social distancing measures. Keyword : COVID-19, mobile big data, floating population, land use, social distancing

      • 이태원 상권 업종 구성 변화의 영향 분석 : 유동인구와 매출액 관계를 중심으로

        우정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0

        이태원 상권은 이태원역 주변에서 한남동, 경리단길, 해방촌 등으로 확장되며 성장하였지만, 최근 이태원 상권의 변화에 대해서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현상으로 인한 상권의 쇠퇴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임대료와 공실률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유동인구도 감소하여 상권이 더는 활성화되지 못하고 침체상태에 접어들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태원 상권의 변화는 이러한 관점에서만 접근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상권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이 상이하며 그에 따른 변화도 상권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히 이태원 상권이 지속해서 쇠퇴하고 있다는 통념에서 벗어나, 이태원 상권을 상권영역 단위로 나누어 보다 세밀하게 변화 현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상권의 변화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단순히 양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 아닌 질적인 측면도 고려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에 상권의 업종 구성에 초점을 맞춰, 그 변화가 상권의 질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기준으로 설정하고 양적인 측면으로는 유동인구와 매출액의 변화를 활용하여 업종 구성 변화에 따른 이태원 상권의 변화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의 업종 구성 지표를 통해 업종별 비율을 산출하여 연도별 비교(2014, 2019)를 통해 상권 내 중심 업종의 변화를 파악한다. 둘째, 업종 구성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상권영역을 대상으로 유동인구 및 매출액의 양적 변화 패턴을 2014~16년과 2017~19년으로 구분하여 도출하고, 그 변화 양상을 비교‧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유동인구 및 매출액의 변화 패턴을 상권의 업종 변화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유동인구와 매출액의 관계를 고찰하고, 이태원 상권의 변화 특성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태원 상권 내 업종 구성은 크게 소매업 또는 외식업 중심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주로 인접 상권과 함께 나타난다. 즉, 이태원 상권은 동종 점포, 특히 양식음식점, 카페 등의 외식업과 패션‧의류 등의 소매업종 간 밀집하는 양상을 띠며 상권 변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이태원 상권은 시기별로 유동인구와 매출액의 변화 패턴이 다르게 나타난다. 2014~16년도에서는 유동인구 감소, 매출액 증가의 변화 양상을 보였으나, 2017~19년도는 반대로 유동인구 증가, 매출액 감소의 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이는 2014~16년과 그 이후 시기인 2017~19년 모두 대부분의 상권이 유동인구와 매출액이 음(-)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유동인구가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2014~16년에 중심 업종이 패션 및 의류 또는 외식업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게 나타나는 상권은 유동인구가 감소하지만 매출액이 증가하는 변화 양상을 나타냈다. 해당 상권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은 명확한 목적이 있어 유동인구가 아닌 실제 소비자들이 상권의 매출액에 영향을 끼치며, 이에 유동인구가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업종 다양성 정도가 큰 상권은 유동인구가 매출액 간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2017~19년도는 중심 업종이 변화함에 따라 유사한 업종을 가진 인접 상권과의 경쟁이 발생하여 유동인구가 증가하지만 타 상권으로 흡수되어 매출액 감소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이태원 상권은 업종 변화에 따라 유동인구와 매출액의 변화 패턴이 달라지며, 이는 주로 인접 상권 간 또는 상권 내 점포 간 경쟁으로 인해 유동인구가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방향으로 상권의 특성이 지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태원 상권을 어느 하나의 특정 상권만을 다룬 것이 아닌, 한남동, 경리단길, 해방촌 상권을 모두 포함한 상권영역 단위로 상권 내 업종 변화에 따른 질적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나타나는 상권의 양적 변화 지표인 유동인구 및 매출액의 변화 패턴을 도출하여 이태원 관련 선행연구에서 주로 언급된 시기인 2014~16년과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2017~19년의 변화 양상 비교‧분석을 통해 이태원 상권의 변화 특성에 논의했다는 점에 그 시사점이 있다. 상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해서 변화하며, 그 원인과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내용이 그러한 상권 변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e Itaewon commercial district grew around Itaewon Station, expanding to Hannam-dong, Gyeongridan-gil, and Haebangchon, but most of the recent changes in Itaewon commercial districts are seen as the decline of commercial districts due to gentrification. The rent and vacancy rate have increased, and the floating population has also decreased, making the commercial district no longer active and entering a recession. However, the change in Itaewon commercial districts is a little too much to approach from this perspective alone.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ercial district are different, and the resulting changes will also be different for each commercial district. Therefore, this study wanted to look at the change in more detail by dividing the Itaewon commercial district into commercial district units, rather than simply deviating from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the Itaewon commercial district is constantly declining. It was also intended to take into account the qualitative aspects,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the changing perspective of the commercial district. Therefore, focus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business sector, the change is set as a basis for explaining the quality aspects of the commercial district, and in quantitative term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in Itaewon commercial district due to the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the industry. The analysis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dustry-specific ratio is calculated through the merchant's industry composition indicators to identify changes in the core industry within the commercial district through annual comparisons (2014, 2019). Second, quantitative change patterns in floating populations and sales are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2014~16 and 2017-19 years for commercial areas wher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industries are evident, and the changes are compared and analyzed. Finally,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floating population and sales volume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s in the business secto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sales amount and to discuss the nature of the change in Itaewon commercial distr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 of industries within Itaewon commercial districts has changed significantly to the retail or restaurant businesses, which are mainly seen with neighboring commercial districts. In other words, Itaewon commercial districts were concentrated among the same stores, especially restaurants, cafes, etc., and retail industries such as fashion and clothing, resulting in changes in commercial districts. Second, Itaewon commercial districts have different patterns of changes in the floating population and sales volume depending on the time period. In the 2014-16 period, there was a decrease in the floating population and a change in sales, but in the 2017-19 period, there was a change in the floating population and a decrease in sales. This means that most commercial distric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loating population and sales in 2017-19 and the period after 2014-16 and that the floating population had a small impact on sales. Third, the commercial districts, where the central industry is clearly seen as fashion and clothing or restaurant businesses in 2014-16 showed a change in sales despite a decrease in the floating population. Consumers visiting the commercial district have a clear purpose, so it is interpreted that the actual consumers, not the floating population, affect the sales of the commercial district, and the floating population has a small impact on sales. In addition, commercial districts with relatively large levels of industry diversity showed a correlation of the amount (+) between sales of floating populations. It is interpreted that as the central industry changed, competition with neighboring commercial districts with similar industries occurred in 2017, it was absorbed into other commercial districts despite the increase in the floating populat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sales. Finally, Itaewon commercial district has a different pattern of changes in its current population and sales volume, which is constantly changing in a way that the floating population has less impact on sales, mainly due to competition between adjacent businesses and stores within the commercial district. This study does not cover just one particular commercial district, but rath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changes as a result of industry changes in the commercial district, including Hannam-dong, Gyeongridan-gil, and Haebangchon. The commercial sphere will continue to change over time, and its causes and methods will vary widely. Therefore, we hope that the contents of this study will help us look at such commercial change from a new perspective.

      • 주거·공업 혼재지역의 성격 변화에 따른 성수동 유동인구 특성 분석

        박성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0

        서울시 준공업지역은 도시의 경제 성장에 큰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산업이 변화하고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준공업지역에 위치하던 대규모 공장 부지들이 여타 지역으로 이전하기 시작하였고, 정부의 수도권 억제정책으로 다른 용도지역에 비해 용적률, 용도 등에 대한 행위 제한이 적은 준공업지역 이전 적지에 고급 아파트, 대형할인매장 등의 시설이 대거 몰려들게 되었다. 쇠퇴한 준공업지역에 지속적인 개발 수요로 인해 서울시는 준공업지역에 대한 산업 특화 공간육성, 주거·산업 분리 개발, 복합개발 등 여러 도시재생사업들을 시도해 왔다. 하지만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공업용도지역 대부분이 직접적으로 주거 및 상업용도로 전환한 것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토지이용 용도혼재로부터 일어나는 많은 문제점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서울시 준공업지역은 토지이용 변화를 중심으로 토지이용의 물리적·기능적인 변화 및 실태를 파악하고, 토지이용전환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여 준공업지역의 정비방향과 토지이용정책 제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거나 나아가 도시재생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 및 관련 사업에서는 지역 내 인구행태 분석 없이 대부분 물리적이고 경제적인 부분에만 치중하고 있어 그 지역을 이용하는 사람에 대한 사회적인 분석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6년 길 단위 추정 유동인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변화하고 있는 성수동 준공업지역의 유동인구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성수동의 토지이용 유형별로 각 시간대, 연령대별 유동인구를 분석하여 용도혼재에 따른 준공업지역의 유동인구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공간적 특성에 따른 유동인구 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토지이용 기능이 혼재된 서울 도심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준공업지역을 포함하는 동시에 녹지지역인 서울 숲, 그리고 입지 분포가 높아지고 있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 등 여러 토지 이용이 혼재되어 있는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하였다. 성수동 지역을 간선도로와 보조간선도로를 기준으로 9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 성수동의 토지이용현황을 A구역은 고밀주거위주 상업지역, B구역은 상업위주 주·공 혼재지역, C구역은 공업위주 상업 혼재지역, D구역은 중·저밀주거위주 상업지역, E구역은 상업위주 주거혼재지역, F구역은 공업·상업 혼재지역, G구역은 공업중심지역과 기타혼재지역, H구역과 I구역은 고밀주거상업위주 주거·상업 혼재지역으로 정의하였다. 다음 각 구역별 단위 유동인구 밀도 및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성수동의 유동인구 특성을 몇 가지로 기술 할 수 있었다. 구역별 성수동 유동인구 분석 결과 첫째, 주로 주거지와 상업지 위주의 토지유형으로 구성된 구역에서 유동인구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E구역: 상업위주 주거 혼재지역, H구역과 I구역: 고밀주거상업위주 주거·상업 혼재지역에서 일평균 유동인구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공업위주지역의 특성이 나타난 구역에서는 유동인구 밀도는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특히 C구역: 공업위주 상업 혼재지역은 전 구역 중 공업지역의 면적이 가장 높은 구역으로 가장 낮은 유동인구 밀도를 가졌다. 셋째, 연령대별, 시간대별 성수동 유동인구 밀도 또한 모든 연령대와 모든 시간대에서 주거·상업의 토지이용 유형의 면적이 높은 E구역, H구역, I구역에서 높았으며, 공업지역이 포함된 구역에서 가장 낮은 유동인구 밀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정 시간대나 특정 연령대가 특정 구역에서 인구의 집중도가 확연히 변화하는 구역은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30대와 40대가 성수동의 유동인구 중 약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간대별 유동인구의 경우 오후시간에 집중적으로 분포했다. 또한 심야시간대에 유동인구 밀도가 오후시간대와 큰 차이를 가지고 있어 주간 인구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예측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를 계획하거나 도시 정비 등 다양한 도시 분야 관련 연구에서 유동인구 빅데이터가 도시의 활성 인구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임을 제시하며, 특히, 새로운 데이터의 접근을 도시계획 및 설계에 접목시킬 수 있는 기회임을 시사한다. 하지만 길 단위 추정 유동인구의 경우 SKT 통신데이터에서 추정된 점 단위 유동인구를 재가공하면서 시간대를 임의로 합쳐 한 시간 단위의 유동인구 데이터가 아닌 점, 그리고 월 단위 유동인구로 평일과 주말의 일평균 데이터로 한정된 점으로 인해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다. 향후 길 단위 유동인구의 데이터 보완과 함께 빅데이터의 활용이 보편화 될 수 있길 바라며, 본 연구에서는 성수동 준공업지역의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유동인구 특성을 기술하는데 그쳤다면 향후 유동인구 분포 특성을 바탕으로 도시계획 및 설계에 적용까지 가능 할 것으로 예상한다.

      •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on the change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adjacent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Seoul

        전영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48698

        In the past, a city was usually maintained by large-scale development after complete demolition of buildings, but recentl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drawing attention for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while maintaining and preserving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city. The Moon Jae-In government, too, proposed urban regeneration as a major policy for urban management through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eginning with the New Town and Redevelopment Resolution Plan established in January 2012. Urban regeneration aims to revitalize the entire region by creating jobs, encouraging business foundation by both the young and the middle-aged, etc. based on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under the big goal of a comprehensiv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 Meanwhile, alleys are the base of the activities of the local residents, and most outdoor activities are performed in alleys. Therefore, alleys are very importa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revitalization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 formed in and around alleys will certainly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entire reg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index for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which is the major objective of urban regeneration, by elucidating the influence of urban regeneration on the change of alley commercial district through analysis of the change of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and near the areas of Phase1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influence of Seoul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n the change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and summarized Phase1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commercial districts systematically.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influence of urban regeneration on alley commercial districts by analyzing the change of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The research objects of this study chosen for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urban regeneration on alley commercial districts are the 5 areas of general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jects in Changsin‧Sungin, Seongsu-dong, Amsa-dong, Jangwi-dong and Sangdo 4-dong among the Phase1 urban regeneration areas in Seoul and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within 1km of radius from the areas of general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ject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the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of each alley commercial district and then extracted the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affected the change of commercial districts through review of preceding researches and examined the change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each area. Meanwhile,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the research object areas are adjoining each other, and thus people can use various commercial districts moving across them freely.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will occur due to such a locational characteristic. To verify it, spatial weighted matrix was made up and Moran’s I statistics were measured by using it for analysis of the pattern of spatial cluster.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pattern of change of the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s of the fourth quarter of 2018 compared to the fourth quarter of 2014, the average sales increased by 36.6% i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increased by 21.8% i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within 1km of radius from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increased by only 14.6% in the rest alley commercial districts. As for floating population, it decreased by 14.0% i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out of 1km of radius from urban regeneration areas while the rate of decrease of floating population was 11.6% and 6.3% i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i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within 1km of radius respectively. It shows that urban regeneration had a certain degree of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ange of sales of each type of business, the rate of change of sales was the highest in urban regeneration areas in all the types of business of food service, service industry and retail industry. In the case of food service and service industry, the rate of increase of sale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was more than double that of the areas out of 1km of radius, and the rate of increase of sales of retail industry was more than 4 times. The rate of increase of sales i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within 1km of radius from the boundary of urban regeneration areas was also higher tha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out of 1km of radius in all types of business. Thus, it can be estimated that urban regene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sales i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and near the urban regeneration area. Next, each alley commercial district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was examined in detail. Among the commercial district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ll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except Seongsuil-ro 6-gil in Seongsu-dong and Amsa-gil in Amsa-dong achieved increase of sales of the entire types of business. In contrast, Seongsuil-ro 6-gil saw decrease of sales of the entire types of business by 3.2%, probably due to the destruction of commercial districts for new construction of Knowledge Industry Center, etc. and decrease of workers in the area. Sales of Amsa-gil decreased by 17.8% but it is expected that sales will increase with the passage of time by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considering that the sales of Olympic-ro 98-gil, an adjoining alley commercial district of a similar characteristic, increased by 103.9%. The 322.4%~2,621.8% increase of sales of each type of business in Amsa-gil alley commercial district in the second quarter of 2019 supports such a prediction. Meanwhile, floating population decreased by 9.9%~63.4% in all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except Seoulsup 2-gil, Seongsui-ro 7-gil, Amsa-gil and Yangnyeong-ro 26-gil. It is the same as the general tendency of Seoul which saw average 14.0% decrease in the floating population of all alley commercial districts. Among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which had more floating population, Seoulsup 2-gil and Seongsui-ro 7-gil are located in Seongsu-dong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eas of gent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ise in floating population of the concerned alley commercial district was made possible by the existence of the representative cafe street of Seongsu-dong area. It is thought that Amsa-gil and Yangnyeong-ro 26-gil were affected by the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mplemented in the concerned alley commercial district such as the program of improvement of pedestrian space & street environment and the program of improvement & construction of parks and green space. It wa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spatial autocorrelation due to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which adjoin each other. Thus, the pattern of spatial clustering was analysed by measuring Moran’s I statistics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rate of change of sales of the entire types of business, the rate of change of sales of food service, the rate of change of sales of service industry, the rate of change of sales of retail industry and the rate of change of floating population. As a result, spatial autocorrelation occurred in service industry(-0.162), retail industry(-0.127) and floating population(0.323) in Changsin‧Sungin leading area and in service industry(0.482) in Seongsu-dong. In Amsa-dong, spatial autocorrelation occurred in the entire types of business(-0.331), service industry(-0.324) and retail industry(-0.258). In Jangwi-dong, spatial autocorrelation occurred in food service(-0.166) and floating population(0.202). Lastly, in Sangdo 4-dong, much spatial autocorrelation occurred in food service(0.270) and floating population(0.340). A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means a pattern of spatial clustering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with higher or lower rates of change of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by themselves, and a negative spatial autocorrelation means that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with higher and lower rates of change being distributed regularly in mixture taking turns. A spatial autocorrelation close to zero(0) means a spatial pattern of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s positioned randomly in the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urban regener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ange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but it was difficult to verify meaningful results in the change of sales or floating population by the specific factors of each typ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 synergy and ripple effect of comprehensively implemented various types of specific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lley commercial district in and near the loc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us, it will be necessary to implement the detailed programs of urban regeneration harmoniously with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plan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in order to restore the vitality of the area through revitalization of alley commercial districts. Meanwhile, it is expected that the types of business which can play a central role in each alley commercial district will appear among food service, service industry and retail industr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cerned commercial district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composition of population of the hinterland.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the goal of urban regeneration to give a boost to the area through revitalization of commercial districts more easily i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lley commercial district is defined by analysis of the change of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of each type of business in alley commercial districts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change of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in alley commercial district and also examined alley commercial district, which is drawing much attention in recent times, in respect to the specific programs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change of alley commercial district. Especially, this study carefully examined the change of the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of the entire types of business, food service, service industry and retail industry separately for the short period of implementation of urban regeneration. Therefore,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plans for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t will be possible to revitalize alley commercial districts effectively by implementing a pilot project for a short time, give a boost to the regional economy using it and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the adjoining areas. Meanwhi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due to the problems in selection of the research object areas and the period of research. If sufficient objects of analysis can be secured after comple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generating much effect and a quantitative analysis could be made on the effects of the specific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change of commercial districts, it will become possible to make a real contribution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through urban regeneration. 과거에는 전면철거방식의 대규모 개발이 가장 일반적인 도시관리 방법이었으나, 최근에는 기존의 도시구조를 유지하고 보존하면서 생활환경을 정비·확충하고 개선하는 도시재생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통해 도시재생을 도시관리의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였으며, 서울시에서도 2012년 1월 뉴타운‧재개발 수습방안을 시작으로 도시재생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은 지역의 종합적인 재활성화라는 커다란 목표아래 생활환경 개선 및 공동체 활성화를 기반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뿐만 아니라 중장년층 창업 유도 등을 통해 지역의 활력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골목길은 주민들의 활동에 기반이 되는 장소로서 외부 활동의 대부분은 이 골목길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시재생에 있어서 골목길이 가지는 의미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골목길을 중심으로 형성된 골목상권을 활성화하게 된다면 지역의 재활성화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클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및 인접한 골목상권의 매출과 유동인구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이 골목상권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밝혀 도시재생의 주요 목표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표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추진되고 있는 서울형 도시재생사업이 골목상권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었으며, 1단계 도시재생사업과 상권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매출과 유동인구 변화량을 분석하여 도시재생이 골목상권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역으로 서울시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근린재생 일반형인 창신‧숭인, 성수동, 암사동, 장위동, 상도4동 5개의 지역과 해당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경계로부터 반경 1km 이내의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도시재생이 골목상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골목상권의 매출 변화량과 유동인구 변화량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통해 상권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재생사업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각 지역별 골목상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한편 연구 대상지역의 골목상권은 서로 인접하여 입지하고 있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이용자가 각 상권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며, 결국 이러한 입지적인 특징이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이를 확인하기 위해 공간가중행렬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Moran’s I 통계량을 측정하여 공간적 군집형태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골목상권의 2014년 4분기 대비 2018년 4분기의 매출 및 유동인구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골목상권의 경우 평균 매출액이 36.6% 증가하였고, 반경 1km 이내는 21.8% 상승한 반면, 그 외 골목상권의 경우 14.6%의 상승에 그쳤다. 유동인구의 경우에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반경 1km 외의 골목상권에서는 유동인구가 14.0% 감소한 반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와 반경 1km 이내의 골목상권 유동인구의 감소는 각각 11.6%, 6.3% 감소에 그쳤다. 이는 도시재생이 골목상권의 매출과 유동인구 변화에 일정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업종별 매출변화량에 대한 분석결과 외식업, 서비스업, 도소매업 모두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에서 매출의 변화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업과 서비스업의 경우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경계로부터 반경 1km 외의 골목상권에 비해 매출이 2배 이상 상승하였으며, 도소매업의 경우 매출의 상승폭이 4배 이상 높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경계로부터 반경 1km 이내의 골목상권의 경우에도 모든 업종이 반경 1km 외의 골목상권보다 높게 나타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와 인접한 지역의 골목상권 매출 상승에 도시재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 추론된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별 각 골목상권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골목상권 중 성수동의 성수일로6길과 암사동의 암사길을 제외한 나머지 골목상권은 전체업종의 매출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수일로6길은 전체업종의 매출이 3.2% 감소하였는데 이는 지역 내 지식산업센터 신축 등으로 인한 상가 멸실 및 지역 내 종사자수 감소 등에 따라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예상된다. 암사길의 경우에는 매출이 17.8% 감소하였는데 이는 성격이 유사한 인접 골목상권인 올림픽로98길의 매출이 103.9% 상승한 것으로 볼 때 도시재생사업의 효과가 아직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면 도시재생사업의 효과가 발생하면서 매출액이 상승할 것으로 추론된다. 실제로 2019년 2분기 암사길 골목상권의 업종별 매출액이 322.4%~2,621.8%까지 상승한 결과가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유동인구의 경우에는 서울숲2길, 성수이로7길, 암사길, 양녕로26길을 제외한 모든 골목상권이 9.9%~63.4%까지 감소하였다. 서울시 전체 골목상권의 유동인구도 평균 14.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서 이는 전체 골목상권의 유동인구 변화 경향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유동인구가 상승한 골목상권 중 서울숲2길과 성수이로7길의 경우에는 성수동은 젠트리피케이션의 대표적인 지역이며, 해당 골목상권에는 성수동 지역의 대표적인 카페거리가 입지하고 있음에 따라 유동인구가 상승한 것으로 추론된다. 그리고 암사길과 양녕로26길의 경우에는 해당 골목상권에서 시행된 보행환경 및 가로환경 개선, 공원녹지 조성 및 개선의 도시재생사업 요인에 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이러한 골목상권은 연접하고 있는 입지특성으로 인해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어 전체업종 매출변화율, 외식업 매출변화율, 서비스업 매출변화율, 도소매업 매출변화율과 유동인구 변화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Moran’s I 통계량 측정을 통해 공간적인 군집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신‧숭인 선도지역에서는 서비스업(-0.162)과 도소매업(-0.127), 유동인구(0.323)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나타났으며, 성수동은 서비스업(0.482)에서 나타났다. 암사동의 경우에는 전체업종(-0.331)과 서비스업(-0.324), 도소매업(-0.258)에서 나타났으며, 장위동은 외식업(-0.166)과 유동인구(0.202에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상도4동에서는 외식업(0.270)과 유동인구(0.340)에서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상당히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매출과 유동인구의 변화율이 높은 골목상권은 높은 골목상권끼리, 낮은 골목상권은 낮은 골목상권끼리 공간적으로 군집하여 입지하는 패턴을 의미한다.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변화율이 높은 골목상권과 낮은 골목상권이 서로 교차하며 규칙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의미하며,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0에 가깝게 나타날수록 골목상권이 지역 내에 랜덤하게 입지하고 있는 공간적인 패턴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도시재생은 골목상권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각 유형별 도시재생사업의 세부요인에 따른 매출변화량이나 유동인구의 변화량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다만 여러 유형의 세부 도시재생사업들이 종합적으로 시행되면서 이들 간의 시너지와 파급효과에 따라 도시재생사업이 시행된 골목상권과 인접한 골목상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골목상권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에 활력을 회복하고 종합적으로 재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의 각 세부사업들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계획 속에서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조화롭게 추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한편, 각 골목상권은 해당 상권의 입지와 배후지역의 인구구성 등 외부 요인에 따라 외식업, 서비스업, 도소매업 중 골목상권 형성에 중심이 되는 업종들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지역의 특성을 바탕으로 골목상권의 업종별 매출과 유동인구의 변화를 분석하여 각 골목상권의 특성을 규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보다 수월하게 상권의 활성화를 통한 지역의 활력 제고 및 재활성화라는 도시재생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효과를 골목상권의 매출과 유동인구 변화량의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골목상권에 대하여 도시재생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도출된 세부사업요인과 골목상권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시재생이 추진된 짧은 기간에 대하여 전체업종과 외식업, 서비스업, 도소매업으로 구분하여 매출과 유동인구가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세밀하게 살펴보았다. 따라서 향후 도시재생을 추진함에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하여 체계적인 계획수립을 통해 사업을 시행한다면 단기간의 마중물 사업 추진으로도 효과적으로 골목상권을 활성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재생활성화지역과 인접지역의 재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본 연구는 연구 대상지역 선정과 연구시기에 대한 문제로 인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도시재생사업이 완료되고 충분한 효과가 나타날 시기에 충분한 분석대상을 확보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세부요인들이 상권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면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다 실제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