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합위험요소를 고려한 복합재해위험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한상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복합위험요소를 고려한 도심지역의 재해위험지수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개발된 재해위험지수는 태풍(강풍), 강우, 홍수범람 및 침수(홍수피해)에 영향을 받는 도심지역의 상대적 위험도를 측정한다. 최근의 태풍은 강풍과 강우를 동반하여 복합적인 영향으로 피해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태풍(강풍), 강우, 홍수범람 및 침수(홍수피해)로 인한 재해가 대부분을 차지함으로 이러한 복합위험요소를 고려한 복합위험지수를 개발하였다. 복합재해위험지수는 인천광역시를 대상지역으로 비교하며 태풍(강풍)의 위험요소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복합재해위험지수는 4가지 주요소(재해위험성, 노출성, 취약성, 대응·복구성)로 구성되며 각각의 주요소는 세분화된 요소로 분류한다. 주요소와 요소를 나타내는 지표들은 주관적인 방법과 객관적인 방법에 의해 가중치를 산정하였으며 지표들을 비교할 수 있게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표준화 방법은 Z-score법과 스케일 재조정법, 범주 스케일법의 비교를 통하여 수정된 Z-score법의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주요소와 지표에 관련된 가중치 산정은 주성분분석과 델파이 기법으로 최종계산에 이용하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통해 지수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복합재해위험지수와 과거 10년간의 실제피해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복합재해위험지수는 인천지역이 아닌 다른 도심지역과 여러 복합적 위험요소에 의한 위험도 평가에 사용될 수 있어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복합재해위험지수는 도심지역의 피해양상을 예측하여 지역 및 국가 정부기관의 재해예방 결정을 위한 예산배분, 자원분배 등의 미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 치매환자의 위험요소 및 Life-care Monitoring요소 추출을 위한 연구

        이행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노인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항상 보호와 감시가 필요한 치매노인의 경우 Healthcare system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치매노인의 케어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국소적인 생체신호 측정이 아닌 치매노인의 생활전반에 걸친 행위패턴 및 위험인자, 라이프-케어 모니터링(Life-care Monitoring) 요소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가치매노인 55명(남자 16명, 여자 3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기본특성, 행동특성, 노인인지기능(Short form of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S-SDR),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사고사례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치매노인들의 사고 사례에 keyword를 부여한 후 출현빈도가 높고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keyword를 ‘위험요소’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위험요소들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이용하여 발생빈도, 발생장소를 분석하였다. 위험요소 중 손상이 발생한 요소들을 따로 분리하여 ‘손상발생위험요소’라 하고 교차빈도표(Crosstabulation Frequency table)를 이용하여 발생빈도, 발생장소, 신체 손상의 부위, 손상정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추출된 위험요소간의 공발생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을 이용한 공발생 빈도분석(Cooccurrence 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인지행동특성(행동특성-5범주,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노인인지기능(S-SDQ)과 위험요소간의 빈도 관계를 파악하기위하여 교차빈도분석(Crosstabulation 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라이프-케어 모니터링 요소를 다각적으로 제시하였다. 추출된 위험요소는 나감, 넘어짐, 폭력, 부딪힘, 가스방화, 미끄러짐, 수돗물, 과식, 떨어짐, 용변, 이식, 자해이고 손상발생위험요소로 추출된 요소는 넘어짐, 부딪힘, 미끄러짐, 떨어짐이다. 위험 요소 중 가장 빈번히 발생된 요소는 나감이고, 손상발생위험요소 중 가장 빈번히 발생된 요소는 넘어짐이다. 위험요소 중 나감, 넘어짐, 부딪힘, 떨어짐이 자주 공발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험요소 발생장소는 집주변이 가장 많았으며, 손상부위로는 무릎, 손상정도는 타박상이 가장 많았다. 교차빈도분석결과 인지행동특성(행동특성-5범주,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S-SDQ)의 정도(level)에 따라 위험요소들이 출현되는 빈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위험요소와 라이프-케어 모니터링요소는 향후 치매노인의 라이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주얼리 소비자의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위험요소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영옥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소비자들 사이에 구전 커뮤니케이션은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구전이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며, 특히, 긍정적, 부정적 구전이 구매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부정적 구전 커뮤니케이션과 구매 행동 관계에서 위험감수, 위험회피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과 긍정적, 부정적 구전 커뮤니케이션과 위험감수, 위험회피관계에서 구전의 효과를 결정짓는 여러 요인 중 소비자의 심리 특성인 자아조절초점성향이 조절변수가 조절역할을 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조절초점 성향이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과 위험요소간의 인과관계에서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구전 커뮤니케이션과 구매행동 관계에서 매개변수와 조절변수를 검증하는 것이며, 구전 커뮤니케이션과 구매행동 관계에서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아닌 매개변수인 위험요소와 조절변수인 자아조절초점을 중심으로 연구에 추가하여 간접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이론적이며 실무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첫째,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위험요소(위험감수, 위험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소비자의 부정적 구전을 최대한 억제하는 등 부정적 면을 보다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를 주얼리 산업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위험요소(위험감수, 위험회피)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특성을 파악하여 위험을 감수하려는 소비자에게는 주얼리의 장점을 광고하여 소비심리를 자극하고, 위험을 회피하려는 소비자에게는 주얼리의 부정적인 부분에 대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함으로써 주얼리의 부정적인 면을 개선하여, 위험을 회피하려는 소비자에게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소비자의 자아조절초점이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에 따라 위험요소에 영향을 주며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입증함으로써 자아조절초점성향에 따른 시장세분화와 이에 기초한 마케팅전략이 주얼리산업의 성과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핵심단어: 구전 커뮤니케이션, 위험요소, 자아조절초점, 구매행동

      •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자아탄력성이 상담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신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자아탄력성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무환경 위험요소(도전,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업무과다)와 자아탄력성(자신감, 효율적인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각 하위요소(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심리적 소진, 직무환경 위험요소, 자아탄력성이 경력,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둘째, 심리적 소진, 직무환경 위험요소, 자아탄력성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셋째, 직무환경 위험요소(도전,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업무과다), 자아탄력성(자신감, 효율적인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이 심리적 소진의 각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주는지 이를 위해 서울, 경기도, 충청북도의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Wee센터, 학교, 사설상담기관 등 여러 기관에서 정규직, 비정규직 및 시간제로 근무하는 청소년 상담 경험이 있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종이 설문지와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먼저, 경력, 고용형태에 따른 심리적 소진, 직무환경 위험요소,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직무환경 위험요소(도전,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업무과다), 자아탄력성(자신감, 효율적인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이 심리적 소진의 각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결여에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경력과 고용형태에 따른 심리적 소진, 직무환경 위험요소, 자아탄력성의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 초보상담자(3년 이하), 중간상담자(4년-9년), 숙련상담자(10년 이상)로 나눠 경력에 따른 차이를 보았을 때 각 변인 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사후검증을 통한 잡단 간의 차이로 보았을 때는 심리적 소진과 자아탄력성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환경 위험요소는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용형태에 따른 차이에서는 정규직, 비정규직, 시간제로 나눠 변인 간의 차이는 유의미 하나 사후검증을 통한 집단 간의 차이는 심리적 소진과 직무환경 위험요소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자아탄력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소진, 직무환경 위험요소, 자아탄력성의 상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직무환경 위험요소(도전,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업무과다)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높아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반대로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소진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자아탄력성(자신감, 효율적인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감소되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직무환경 위험요소(도전,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업무과다), 자아탄력성(자신감, 효율적인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과 심리적 소진의 각 하위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고갈에 대한 39.2%의 설명력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정서적 고갈이 일어났을 때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소진을 감소 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특정 모집인원에 대한 어려움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힘든 점과 명확하지 않은 경력수준, 자기보고식의 설문에 대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점을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점으로 두었다.

      • 유치원 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지지의 역할

        김정숙 부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유치원 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지지의 역할 논문요약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그에 따른 심리적 소진 사이에서 보호요소로 작용하는 사회적지지의 역할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교사들이 심리적으로 소진되는 것을 예방하고 직무안정성을 높여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궁극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치원 교사의 심리적 소진, 사회적 지지, 직무환경의 위험요소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은 유치원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직무환경의 위험요소가 유치원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에 의 달라지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사립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육경력 1년 이상의 교사 24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Maslach와 Jackson(1986)의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김정휘(1992)가 번안한 도구를,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 박지원(1985)의 도구를 임진형(2000)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Jayaratne과 Chess(1981)의 도구를 윤부성(2000)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문제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를 많이 경험한 유치원 교사는 심리적 소진을 많이 느끼며, 사회적 지지는 유치원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은 유치원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에 설명력을 갖는 위험요소는 도전기회의 부족과 역할갈등이었고, 역할의 모호성과 업무과다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교사들이 경험하는 직무환경의 위험요소가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유치원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중재효과를 알아본 결과 직장 내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직장 외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의 유형중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유치원 교사들 간에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하고, 교사들이 서로의 지식,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심리적 소진을 유발하는 직무환경의 위험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대형 수산물 판매시설의 안전설계를 위한 위험요소 도출 및 저감대책 연구

        장호윤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2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are mostly public facilities that are used by unspecified people in the form of multi-use facilities or central wholesale markets, and among many coastal facilities, large sections are mostly constructed for raising and selling marine products. In addition, new or modernized foreign facilities are planned as a closed structure, but existing domestic facilities are special facilities with open structures that rapidly reduce durability due to the use of seawater according to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affect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Nevertheless,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the Fisheries Act, the Basic Act on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and the Fisheries Cooperatives Act are not specified as facilities, and the concept itself is ambiguous. If you do, it is only specified as a consignment sales facility for fishing and fishing in the Busan Metropolitan Ordinance's attached Table 2 to impose road occupancy fees. However, the recently enacted Act on the Management and Support of Distribution of Marine Products in 2015 rai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and their old age, resulting in a legal system for a large-scale investigation and support of facilities. As a public facility, large-scale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are referred to as the head of the fishery market, and at a time when the law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improving, we will investigate the status and status of public facilities and seek alternatives, maintenance and management development. 1) The concept and status of large-scale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are investigate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acilities, a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2) Based on the design safety review system, the actual conditions of facilities, types of disasters,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age, and problems of large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are reviewed through surveys and case studies. 3) Investigate and analyze the management importance, maintenance items, and maintenance measur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arge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to derive risk factors. 4) The comprehensive repair and reduction measures and data and maintenance measures performed for many years are studied and reviewed to provide safety design standards for facility users by reflecting them in the design safety review. Large-scale projects such as Noryangjin Modernization Project, Busan Gamcheon International Fish Market, and Busan Joint Fish Market Modernization Project were carried out due to national policies. The modernization project has been completed for Japan's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which are competing with Korea. The main purpose is to prepare for safety accidents during construction with construction workers, but it is to expand them to large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so that safety design can be reflected throughout the project from the design planning stage to maintenanc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afety design through continuou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in Korea.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product sales facilities located on the coast, this study analyzed major aging factors and established the optimal safety design (DfS) application plan. Detailed facility specifications were proposed so that they could be applied to the partial design even when performing partial remodeling and renovation of the current old sales facilitie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maintenance. 수산물 판매시설은 대부분 다중이용시설이나 중앙도매시장 등의 형태 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시설물이며, 많은 해안가 시설 중에서 도 수산물 양육과 판매를 위해 대경간을 철골구조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한, 신설되거나 현대화가 추진되는 국외 시설들은 밀폐형 구조로 계 획되고 있으나 현존하는 국내 시설들은 개방형 구조로 태풍과 같은 자 연재해와 염해에 영향을 받는 입지적 특성과 기능에 따라 해수를 사용 하는 특성으로 내구성이 급속도로 저하되는 특수한 시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에 관한 특별법이나 수산업법 및 수산 업 어촌 발전 기본법, 수산업협동조합법에도 시설물로써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 개념 자체도 모호하다. 굳이 찾는다면 도로점용료를 부과하 기 위해 부산시 조례 별표2 점용료 사용 기준표에 어업 및 어획물 위탁 판매 시설 정도로 명기되어 있을 뿐이다. 그나마 최근 제정된 2015년도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 률에서 수산물 판매시설의 중요성과 그 노후도 등의 위험의식이 제고되 어 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와 지원을 위한 법적 제도가 마련되었다. 이처럼 공공시설물로써 대형 수산물 판매시설은 수산물 산지위판장으 로 지칭하고 있으며, 법과 제도적으로 지원과 개선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공공시설물로서의 위상과 실태를 조사하고 운용 및 관리 시 발생하는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저감대책을 연구함으로써 안전설계의 체계화와 수 산물 판매시설의 발전 방향을 아래와 같이 모색하고자 한다. 1 ) 대형 수산물 판매시설에 대한 개념과 현황을 조사하여 시설 규모에 따라 분류하고,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여, 2 ) 설계안전성 검토 제도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질의응답 및 의견 청취 등)과 사례조사를 통하여 대형 수산물 판매시설의 시설물의 실태와 재해 유형, 시설물의 특성, 노후도, 문제점 등을 검토한 후 3 ) 시설물의 중요도, 중점 관리사항 및 시설물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위 험요소를 도출하고, 유지보수 방안과 저감대책을 조사 분석하여 4 ) 다년간 유지보수를 수행한 자료와 유지보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재건축, 시설현대화, 시설개선사업, 유지보수, 안전관리 등 대형 수 산물 판매시설의 안전설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 정책으로 노량진 현대화 사업, 부산 감천 국제수산물 도매시장,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 등 대규모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우리나 라와 경쟁 관계에 있는 일본의 후쿠오카 어시장, 마쯔우라 어시장과 사 세보어시장 등은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다. 게다가 동북아 최대 산지 수산물시장으로써 도쿄의 도요스 어시장이 개장되어 대형 수산물 판매 시설의 경쟁이 치열하고 가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건설근로 자와 건설 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 등의 대비가 주요 목적이나 이를 대 형 수산물 판매시설까지 확대하여 시설물 전반의 안전관리가 가능하도 록 기획 설계단계부터 유지관리까지 사업 전반에 걸쳐 안전설계가 반영 될 수 있도록 위험요소 도출과 저감대책을 연구하고자 한다.

      • 플랜트 공사의 위험요소 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연구

        방홍순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With the enlargement, complexification, and modernization by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business, one of the areas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risk elements. Risk elements with the latent nature are hard to be predicted. As they can largely influence the success and failure of business like delay of business period and excess of business expense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measures to prevent numerous risk elements that could occur during the process of busine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management of risk elements in domestic/foreign construction business, there have been diverse researches on the analysis of risk elements and techniques. Out of methods used to prepare for the occurrence of risk elements, the checklist is important. Therefore, each construction company creates/uses a checklist to analyze/prevent risk elements. However, each construction company has different risk elements considered as important, and the checklist items are all different. Thus, this study aims to select items of checklist. On top of selecting preceding researches to draw risk elements suitable for it, it aims to establish a checklist for the management of plant risk elements through the checklist currently used in site. First, after drawing risk elements from preceding researches and also drawing risk elements from a checklist of plant company A, risk elements for the composition of checklist for the management of risk elements are established. Verifying the checklist for the management of risk elements by applying it to the past case,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importance of each risk element are conducted through a survey with experts. After verifying its applicability by applying the risk elements to an actual project, the checklist for the management of plant risk elements is suggested. By suggesting the checklist for the management of plant risk elements, it is highly possible to prevent risk elements and also the decrease of corporate profits.

      • Wee 상담인력의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소진의 관계 :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하상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대구·경북권 Wee 사업기관 상담사의 직무환경 위험요소 인식이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명의식과 내재적 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대구·경북권 Wee클래스 및 Wee센터, 병원Wee센터에서 근무 중인 상담인력 110명을 대상으로 상담사 직무환경 위험요소 척도, 상담사 소진 척도, 소명척도, 내재적 동기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Wee 상담인력의 소진은 위험요소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명의식, 내재적 동기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은 유의미하게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내재적 동기는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환경 위험요소가 상담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명의식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 본 조사연구는 대상자가 제한되어 있어 일반화하기 어렵고 자기보고식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객관성의 문제와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대구·경북 내의 Wee 상담인력의 소진에 대한 현장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요어: 직무환경 위험요소, 소진, 소명의식, 내재적 동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nse of Calling and intrinsic motivation in the process of job environment risk factors affecting psychological burnout in Wee counselors in Daegu and Gyengbuk provinces. Wee Counselors’ Job Environmental Risk Scale, Korea Counselor Burnout Inventory(K-CBI), Sense of Calling Questionnaire, and Intrinsic Motivation Scale were conducted to 110 counselors working in the Wee class. Results: First, the burnout of Wee counsel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nvironment risk factor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ing the sense of Calling and intrinsic motiva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risk factors and the burnout, perceiving the sense of Calling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hereas intrinsic motive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erceiving the sense of Calling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process of the job environment risk factors on the burnout of the counselor.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objectivity problem becaus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since the subjects are limited and it is measured by self report. However, We can find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the field study of the burnout of Wee counseling personnel in Daegu and Gyeongbuk. Key Word: Job Environment Risk Factors, Burnout, Sense of Calling, Intrinsic Motivation

      •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와 운동참여 여부가 고령자들의 건강도, 운동능력, 성인병 발병률 및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김남익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종단적인 연구로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와 운동 참여 여부가 10년 전과 현재, 남녀 고령자들에 있어서 건강도, 운동능력, C-reactive protein(CRP), 성인병의 발병률과 사망률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10년 전에 Y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에 건강 진단을 받고자 내원한 55세 이상의 남녀 가운데 10년 후인 현재, 본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들로 하였으며, 남자 55명, 여자 56명, 총 111명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연구 목적에 따라 Ⅰ: 운동 집단, Ⅱ: 비활동 집단, Ⅲ: CVD + 운동 집단, Ⅳ: CVD + 비활동 집단으로 분류된 대상자들을 최초 10년 전과 현재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였다. 검사 및 조사항목으로는 건강도, 운동능력, CRP, 성인병 발병률, 사망률을 분석하였는데, 먼저 건강도 평가에는 혈액검사, 체지방 및 안정시 혈압 측정 그리고 안정시 폐기능 검사가 포함되며, 운동능력 평가에는 심박수, 혈압, 산소 소비량, 심근 산소 소비량 그리고 심전도 ST 분절을 실시하였다. 성인병의 발병률은 집단 및 남·여별 발병률과 발병 원인을 조사하였고, 사망률은 집단 및 남·여별 사망률과 사망 원인 그리고 사망자들의 10년 전 생활 습관 및 운동습관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값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으며, 먼저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10년 전과 후 동일 집단 내에서 건강도와 운동능력의 통계적인 차이는 종속 t-test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도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에 따른 10년 전과 후 성인병의 발병률과 사망률 분포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집단의 10년 전과 후 안정시 의학적 검사 및 운동부하 검사 결과를 통하여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인을 추출한 결과, 남자 대상자들의 경우, 심장기능, 체지방, 심폐기능, 동맥경화 요인의 4가지로 분류되었고, 여자 대상자들의 경우, 체지방, 심폐기능, 동맥경화, 심장기능 요인의 4가지로 유의하게(p<.000) 추출되었다. 건강도 평가와 운동능력 평가는 운동에 참여하는 운동 집단과 CVD + 운동 집단이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비활동 집단과 CVD + 비활동 집단에 비해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 보유자라도 규칙적인 운동 참여가 성인병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지만,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비활동자들은 오히려 질환 발병률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성인병의 발병률은 운동 참여 집단에 비해 CVD나 비활동 집단이 높았으며, 발병 원인에 있어서는 혈청지질, 심장 질환, 당뇨, 고혈압, 폐기능 저하, 간 기능 이상, 비만, 신장 질환, 골 관절 질환, 전립선 비대, 통풍 그리고 파킨슨 질환 순서로 나타났다. 사망률은 운동 참여 집단에 비해 비활동 집단이 높았으며, 사망 원인으로 심장병, 암, 뇌졸중 그리고 당뇨의 순서로 나타났다. 사망자들의 생활습관 및 운동습관은 가족력, 카페인 섭취, 그리고 직업(생활) 활동 정도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C-반응성 단백의 결과에 있어서,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와 비활동인 집단이 유의하게 염증 질환을 일으킬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사망률과 발병률,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와의 관련성의 결과는 남자는 심장기능 요인, 여자는 체지방 요인이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비활동도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심전도 이상이나 혈압, 체지방이 높으면 합병증과 함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고, 심장기능과 체지방, 그리고 운동 부족에 의해 현저히 체력이 저하되면, 성인병으로의 발병률과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은 건강도, 운동능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와 성인병의 질환이 없는 고령자들이라도 신체적 비활동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를 보유한 고령자들이라도 적극적인 신체 활동에 참여한다면, 노화의 지연과 함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exercise participation on health, exercise capacity, morbidity and mortality of degenerative disease in 10 years before and after the elderly. A total of 111 elderly men(55) and women(56)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such as I: exercise, II: inactivity, III: cardiovascular disease + exercise, IV: cardiovascular disease + inactiv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y the factor analysis of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men 4 factors were appeared that a cardiac function, body fat,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atherogenic index(AI) factor, and in the women 4 factors were appeared that a body fat, cardiopulmonary function, atherogenic index(AI) and cardiac function factor. In evaluation of the elderly health and exercise capacity, it appeared that a group of the active elderly who participate in exercise and another group of cardiovascular disease, exercise are healthier and more capable of exercise than a group of the inactive elderly who do not participate in exercise and another group of cardiovascular discase, inactive exercise. 2. It appeared also that the morbidity of degenerative diseas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re higher in the group of the inactive elderly who do not participate in exercise than in the group of the active elderly who participate in exercise; and regarding the cause of morbidity, it appeared that serum lipids, cardiac disease,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decline of pulmonary function, abnormalities of liver function, obesity, kidneys disease, bone and joint disease, enlargement of the prostate gland, gout(uric acid) and Parkinson's disease are in the order of priority. It appeared that mortality is higher in the inactive group than the active group; and regarding the cause of death, it appeared that cardiac disease, cancer, stroke, and diabetes mellitus are in the order of priority. And it appeared also that the death subjec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living habit, exercise habit, comfort in a family, caffeine intake, and physical activity(job-related). 3. In the result of C-reactive protein(CRP), it appeared that the inactive group has mor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has a higher risk of inflammatory diseases. In conclusion, extracted results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men subjec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actors of cardiac function and women subjects significantly by the factors of their body composition; and their inactive physical exercise also significantly affects them. Therefore ECG abnormality, high blood pressure and too hyperlipidemia would significantly affect the complication of degenerative diseases and life span as well, and when decline of physical fitness is remarkably weakened by cardiac function, body composition and lack of exercise, it can be assumed that morbidity of degenerative diseases and mortality increase. However, it appeared that regular exercise is so effective on healthy and exercise capacity, and it is thought that even if the elderly who hav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positively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they will have aging delay and foster the ability to prevent diseases, thereby enjoying healthy, old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