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몽골 사이버교육 환경 및 설계 연구

        어용슈렝보리아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orm and introduce Distance Learning, particularly Cyber education in Mongolia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cal achievement and developm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apidly developing field in the world and is also penetrating broadly in our living society and economy. One of the examples influencing in educational field i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cal achievement, Cyber Education which is a type of Distance Learning. In order to survive global competition, people need to update and increase their knowledge and skills immediately. Consequently people are able to keep pace with social development. Not depending on time and location, offering flexible, accessible and systematic learning in cyber environment is one of the essential means of education. There are no act related to learning techniques, making contents and teaching tutors which are the components of cyber learning in Educational Law, in Mongolia. Additionally there is no clear understanding about cyber learning even there is no legal regulation to conduct it throughout the nation. Based on the above real situation, this paper clarifies the following points: 1. Make a study to form legal framework for Distance learn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Korean Cyber Universities 2. Find every possibility to open Cyber University for under populated Mongolians who have vast area to provide their educational demands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As a result of environmental study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 Mongolia, I think it is the best suitable way to adapt cyber education examples, which is being developed successfully in other countries, appropriating for Mongolian situation. In that cas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s including technical devices and preparation and production of tutors and experts who are able to work and teach in cyber environment which is the most deficient points in Mongolia. Furthermore, even though there is no legal regulation for Distance Learning in Cyber Environment, a few universities already started conducting Internet based learning courses in cyber environment . In case of forming legal frameworks related to Distance Learning into the Law of Education as Distance learning is an appropriate method both in and out class learning,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 amendments about the standards for techniques and technology, experts and tutors. The additional important thing is to make up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o conduct internet based learning in cyber environment. For instance there should be every educational technologies and tools such as personal computer, speedy internet, and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These are the also problems facing to conduct Distance Learning too. 몽골은 인구수에 비해 비교적 넓은 땅을 가진 나라이다. 따라서 몽골국민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통신기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내용과 대상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평생교육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쟁점이다. 이 연구는 원격교육 특히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사이버교육을 몽골에 도입하기 위해 원격교육 관련 법제 정비 방안 및 사이버대학 설립․운영 과정에 대한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의 사이버대학 설립․운영 과정 및 사이버대학과 관련한 법제를 살펴본 후 몽골에 사이버교육을 도입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몽골의 정보통신기술 현황과 정보화 수준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급속한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라 인터넷 기반의 원격교육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평생교육으로써 원격교육, 특히 원격대학 관련 법적 근거가 미리 조성되어 있다. 한편 몽골의 경우에는 인터넷 기반의 원격교육(사이버교육)은 대학교 부설기관 형태로 실험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몽골 교육 분야에는 현행 법률 중에 원격교육 설립․운영 및 원격교육 설비 기준, 인적 자원에 대한 규정이 없는 상태이다. 또한 분석 결과, 국민들의 의식 속에 원격교육이라는 신지식, 신교육방법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몽골에서 부족하게 나타났던 원격교육 설립․운영에 대한 법적 환경을 보완하여 한국의 원격대학 설립․운영 관련 법적 근거와 법적 환경 경험 및 현대 교육의 요구에 대한 충족을 바탕으로 넓은 땅, 적은 인구를 가진 몽골에서 적용 가능한 사이버대학 수립·운영을 위해 사이버교육 제안을 제시하였다. 사이버교육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수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강의콘텐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사이버교육 강의 콘텐츠 개발 사례로 법에 대한 기초 소양이 없는 학생들 특히 유학생들에게는 한국의 현행 법률에 대한 <한국 법의 이해> 강의 콘텐츠를 개발한다. 몽골은 세계역사 상 실크 로드라는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했듯이 현재는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를 연결하고 정보화 사회에 잘 적응하여 새로운 시대에 낙오되지 않고 발전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의 노력이 요구된다. 이 연구는 몽골에서 사이버대학을 어떻게 설립 및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몽골에서 사이버교육이라는 새로운 지식, 새로운 학문을 도입함으로써 몽골의 정보통신기술계와 교육 분야에 또 하나의 연구를 제공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원격교육을 활용한 군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김주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미래사회가 정보지식 기반 발달로 인해 정보가 실시간에 광역화, 공통화, 일상화됨에 따라 전 세계가 국경을 초월하여 하나의 가상(사이버)공간으로 새로운 지식을 학습, 공유, 전파, 가공,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새로운 사회로 변천해 가고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요소들이 에너지와 물질을 대신하여 국가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군사 환경 역시 정보체계 기반의 발달로 인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특히 정찰자산의 발달은 전장 전장(戰場) : 전투가 벌어지고 있는 현장, 전쟁 터 상황을 실시간 확인, 평가할 수 있으며,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지휘관의 신속한 결심을 유도하는 한편, 무기 효과도 극대화하고 있다. 교육 분야의 경우에도 현재 제한된 지식 및 공간과 교수 및 교사중심의 공급자 위주의 능동적이고 개방적인 교육환경에서 정보체계 기반을 토대로 학습자 중심의 유연한 교육환경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새로운 교육환경은 정보체계의 발달과 더불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통신 기술 발달은 미래 교육환경 변화를 가속화할 것이며, 군사교육 또한 많은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육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앞서가기 위하여 현재의 원격교육 체계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해 이해하며, 원격교육 체계 시스템 구축시 구성 요소을 식별, 구성 요소별 역할을 분석하며, 현재 제한적이지만 한?미군에서 운영중인 원격교육과 민간 교육기관의 사이버 교육 실태분석 및 문제점을 발췌하고, 최근 부각되는 e - 러닝의 표준화 개념 및 특징과 국내외 표준화 동향 분석을 종합하여, 군내 원격교육 체계 구축시 저해 요인을 사전에 발출 도출, 추진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군내 원격교육을 통한 군사교육에 적용 가능성 판단 및 원격교육 체계 구축방안과 CBT를 활용한 효율적인 화생방 원격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ue to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frastructure, information and knowledge have been widespread, unified and common, thus, making the globe as one cyber community which is a brand new society that can learn, share, deliver, process, and recreate new knowledge. These features of the community have become the core factor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Military environment are also evolving enormously because of the advancement of the infrastructure. Especially progress of surveillance assets lets commanding officers to check and evaluate the battlefield situation in real time, to make a quick and firm determination by sharing intelligence on the situation and to maximize the weapon effects. In education field, situation is in the process of evolving from current passive, and closed education environment where knowledge is limited, space is restricted, and professors and teachers are centered to active, opened, and flexible education environment where learners are centered. New education environment are transforming rapidly as the information system is advancing. Therefore,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ing, it is predictable that transformation of future education environment is going to be accelerated, resulting increased demand for changes in military education. To fit ourselves into and to take the lead in education environment, I suggest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remote education system, identify and analyze the roles of the components when building remote education system, compare the realities of and point out the problems from remote education operated in Korean and American military though limited along with civil education organization's cyber education. In addition, by summing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standardization which recently has been highlighted with analyzation of standardization trends home and abroad, I expect to find the obstacles of the building remote education inside the military in advance and present the right direction so that I can present analyzation of the application and establishment possibility of military education through remote education within the army and effective CBR warfare remote education program using CBT.

      • 원격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시간관리 데이터에 따른 수료가능성 예측

        차성현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Based on learning analytics,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learners’ time management data (the regularity of connecting to the system, total learning time, the number of accessing the system) accumulated on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could predict their total scores that determined the completion of a course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It also attempted to determine learning progression points that could predict learners’ course completion significantly and to classify them into three status groups, a risk group, a border group, and a safety group at each significant time poi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nsent of a typical distance lifelong education center (DLEC)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1 students who had taken five courses offered by the DLEC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6. It was assured that they did not take more than one course among the target courses of the study. A log data of the subjects was anonymized and extracted from the LMS of the DLEC and the regularity of connecting to the system, total learning time, and the number of accessing the system were calculated by tracing the time to connect and disconnect to the LMS. After refining th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of all the research variables―the regularity of connecting to the system, total learning time, the number of accessing the system, and total score―were conduct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lso check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time management and the total scores. In order to decide learning progression points at which total scores can be predi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each quarterly point of total 16 weeks for a course to predict total scores in terms of time management data accumulated. At each quarterly point that proved to be significant to predict total scores, they were calculated and learn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atus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sting the significance of predicting total scores two time management variables the regularity of connecting to the system and the number of accessing the system proved to predict total scores significantly. More regularly students connected to the system, higher total scores they recorded. More frequently they accessed the system, higher total scores they showed. However, total learning tim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otal scores. Second, in order to find learning progression points at which total scores can be significantly predicted, students’ total score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time management data accumulated every four weeks. As a result, the regularity and number of connecting to the system were found to predict total scores significantly from the first quarterly point: 32.4% of the students who did not actually completed the course were categorized into the "risk group" showing the lowest probability of course completion. This means that just four week time management data can fairly predict the students who are at high risk of course incomple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learners’ total score, which determines their course completion, can be predicted from the 4th week after opening a course that runs at 16 week semester base. Thu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support plan especially for the learners who are at high risk of course incompletion from the first quarterly point of the semester. 원격평생교육은 1972년 한국방송통신대학의 설립을 계기로 법제화 되었으며, 2000년대 초부터는 온라인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원격평생교육 기관을 이용하는 학습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원격평생교육 기관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KOCW(Korea Open CourseWare), K-MOOC(Korea Massive Open Online Course)와 같은 새로운 평생교육 수단이 등장하면서 기존 원격평생교육기관들은 경쟁력 제고와 성과관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온라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원격교육에 대한 최근의 경향은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 관리 시스템) 상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성과를 예측하고 학습적 처방을 내리는 학습분석학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원격평생교육과 관련하여 이러한 접근은 보고된 바 없다. 원격평생교육의 역사가 근 15년에 이르는 만큼 LMS 상에 방대한 데이터가 축적되어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원격평생교육 기관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여지가 크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분석학에 기반하여 LMS 상에 축적된 학습자의 시간관리 데이터(학습시점 간격의 규칙성, 총 학습시간, 학습 접속 횟수)가 학습자의 수료를 결정하는 총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예측 가능한 학습 진행 시점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총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 각 시점에 수료가능성에 입각하여 학습자들을 위험군, 경계군, 안전군으로 분류함으로써 향후 맞춤형 학습지원 서비스를 위한 토대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 원격평생교육원의 동의하에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2016년도 봄 학기에 개설된 5개 과목을 수강한 411명의 학습자였으며, 이들 중 대상 과목을 1개 이상 수강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 원격평생교육원 LMS에서 대상 학습자의 로그데이터를 익명화하여 추출하고 학습자의 시간관리 데이터 변인(학습시점 간격의 규칙성, 총 학습시간, 학습 접속 횟수)을 산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학습접속 시간과 종료시간을 활용하여 각 변인을 계산해내는 작업을 거치고 데이터를 정제하였다.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 변인과 총 점수의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후 총 점수 예측 모형을 구성하기 위해 단계적(Stepwise)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총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시점을 규명하기 위하여 16주 과정의 강의를 4등분하여 4주 단위로 누적된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에 입각하여 총 점수를 예측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점수를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 학습 진행 시점에 총 점수를 계산하고, 학습자를 3가지 단계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 변인들이 총 점수를 예측할 수 있는지 확인한 결과, 학습시점 간격의 규칙성과 학습 접속 횟수는 총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접속이 규칙적일수록, 학습 접속 횟수가 많을수록 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총 학습시간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총 점수를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시점을 알아보기 위해, 4주 단위로 누적된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로 총 점수를 예측한 결과, 개강 후 4주까지의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만으로도 총 점수에 대한 유의한 예측이 가능했다. 예측된 총 점수를 바탕으로 원격평생교육 분야의 평균 미 수료 비율을 참고하고 학습자를 분류한 결과 수료가능성이 가장 낮은 ‘위험군’에 최종적으로 미수료한 학습자 중 11명(32.353%)이 포함되었다. 이는 4주까지의 학습자 시간관리 데이터로도 미 수료의 위험이 높은 학습자들을 상당수 분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16주차 과정에서 개강 후 4주부터 학습자들의 총점수를 예측하고, 특히 미 수료 위험이 높은 학습자들에 대한 지원책을 수립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학습자 중심의 WBI를 활용한 실시간 원격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초등학교 재량활동영역중 ICT영역 중심

        전원배 東義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이에 따른 사회 경제의 구조 변화에 따라 교육분야에서도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정보화의 진전에 따라 교육은 동일한 지식의 일방적 전달인 전통적인 교육에서 시·공간을 초월하여 학습자-내용간, 학습자-교수자간, 학습자-학습자간 다차원적으로 학습자 스스로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하는 양방향 교육 및 수요자 중심의 평생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에 맞추어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방법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WBI를 활용한 실시간 원격교육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설계하고 계획하여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개별학습과 학습자들의 건전한 토론과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 모둠원들간의 집단별 프로젝트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동기 교육방법에서 나타나고 있는 교수-학습과정에서의 단절현상을 실시간 원격교육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러나 좀 더 성공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아주 다양한 상호작용과 화이트 보드기능을 동반한 실시간 양방향 통신 시스템, 면대면 수업과 다름없는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시스템의 설계가 지속적으로 되어야 한다. On account for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hanging of social economy structure, fields of education need new paradigm conversion. On account for information development, the education is changing from delivering of the knowledge that the same unliteral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to lifetime education able to a leaner's self-study and interactive education of multiple dimension as between a learner and information, between a learner and a teacher, between learner and learner accordingly of a user requirement, we need new education method. At this dissertation will introduce real-time remote education system of making self-study a learner and the maximum efficiency interaction using WBI A learner able to participate in an individual study case through multiple interaction with a learner s designing and planning study and a learner able to participate in group project study case though arrangements for a learner s healthy discussion and fields of conversation. Also, severance phenomenon of teaching-studying process at asynchronous education method will overcome the problem of web-lesson by real-time education. But, system must continuously designed with very multiple interaction and white board function included real-time communication system and happen to interaction like face to face class in oder to expect much better successful effect.

      • PC 방의 원격교육 기능에 관한 연구

        신희수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평생교육과 원격교육이 상호결합된 21세기 N 세대들의 평생학습장이 될 수 있는 곳이 PC방이라 볼 수 있다. 그래서 PC방이 평생교육의 학습장소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초등학생들의 PC방 이용현황, 교육환경, 학습유형, 학습효과, 학부모 의견 등을 조사 분석하여 PC방의 모든 시설을 포함한 환경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는 원격교육의 개념, 원격교육의 원리, 초등학교에서의 원격교육, 우리나라의 원격교육, 원격교육의 전망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PC방의 기능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PC방 이용현황은 한 달에 한 두 번 정도, 이용시간은 1시간 정도, 비용은 1000원에서 2000원 정도, PC방에서 주로 하는 일은 게임/오락이 압도적으로 많으나 채팅, 과제해결, 문서작성, 자기주도학습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었다. PC방을 이용할 때의 어려움으로는 PC방의 환경, 학부모의 이해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들이 다니는 PC방의 교육환경으로 PC방의 컴퓨터 기종과 기능은 만족하나 외적인 시설면은 불만족하며 분위기는 여가선용이나 학습공간으로 부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PC방을 이용한 학습유형은 채팅이나 전자우편을 포함한 의사소통, 인터넷을 이용한 자료검색이나 과제해결, 자기주도학습, 게임 등을 들 수 있으며 주로 30분에서 1시간 정도를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초등학생들의 PC방을 이용한 학습효과는 컴퓨터활용능력과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능력은 도움이 많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PC방 이용이 학습능력 향상과 학교에서의 컴퓨터 수업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나타났다. 다섯째, PC방에서 학습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은 교육용게임 개발과 싼 비용, 쾌적한 공간이라고 나타났다.. 여섯째, 초등학생들의 PC방 이용에 대한 학부모들의 의견은 자녀들의 PC방 이용은 인정하고 있으나 학습 가능한 공간으로는 보고 있지 않으며 필요한 용돈에 대한 태도도 부정적이었다. 앞에서 살펴 본 조사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PC방을 원격교육 기능 장소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몇가지 제시하면 첫째, PC방의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PC방이 지역사회의 정보화시설로 개방되어 학습공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PC방이 지역정보활성화의 중심지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용게임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PC방과 같은 시설이 학교에 갖추어져야 한다. 여섯째, 학습에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는 도우미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일곱째, 아이들의 생활지도를 위해 지역사회 학부모와 PC방 사용자들이 서로 협조하여야 하며 건전한 업소운영을 유도하는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원격교육의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조명숙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원격교육에서 강의는 원격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학습자에 대한 평가는 전통적인 교실의 면대면 수업의 평가요소들을 적용하고 있어 그 평가에 대한 준거가 정확하지 못하여,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결과위주의 평가는 학습목표의 달성여부에 큰 비중을 두는 평가이므로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나타내는 문제점을 개선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과정중심의 평가요소를 원격교육에 적용하는 것은 학습자를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과정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학습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함이다. 이에 포트폴리오 중심의 평가를 채택하면 지식의 습득 정도만 평가하는 결과위주의 평가보다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고, 기존의 일방적인 교수자의 평가에서 벗어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와 같은 다양화된 평가가 가능하며, 학습자가 평가에 대한 신뢰를 갖게 되어 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Lectures have been executed remotely in long distance education, but the evaluation factors in traditional face-to-face study have been applied to assess accomplishment of students. That causes evaluation criterion to be inaccurate. So it is hardly expected to evaluate adequately accomplishment of students. The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individual study shows a limit in being answered the question that the students encounter in the course of performing works. But applying the evaluation based on process to long distance education enables the students to control over their own course of studies and to provoke sustainable motivation for it. Adopting the portfolio evaluation enables us to evaluate more accurately the studies accomplishment of students when result-based-evaluation in which only the degree of knowledge is appraised. Moreover, instead of pre-existing one-sided evaluation of teachers. we can make the students have confidence on self-evaluating and self-directed leaning through various methods involving self-evaluation colleague evaluation.

      •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학습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분석 : 원격교육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일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learning data obtain from dista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this research: 1. Is there any variance in academic achievement with respect to learner background in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learning activity?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number of accesses per day, average daily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data for this study was based on learning data obtained from teacher training programs operated by a public institution located in Seoul. Approximately 3,000 students participate in these programs annually. Among them, 2,743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and the rest who either withdrew, didn’t learn, or were underperformers were not subject to the research. For the analysis, a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data has yielded several finding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with respect to the age of the learner. Individuals in their 40s and 50s outperformed academic achievement rate than those in their 30s. Second,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certain times in which more studying occurred. A substantial amount of learning occurred between 8:00 to 16:00, and less than 2% of the observed learning occurred from 0:00 to 8:00. With respect to the day of the week, Monday witnessed the highest amount of activity with a total of 23.3%, and the lowest level of learning activity occurred in the beginning and steadily increased until 1 day before the end of the study session when participation was most active. Third,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earning type was observe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learners who performed a lot of learning at the beginning of learning period was high. And those who studied both during the weekdays and weekends performed higher than those who studied only during the weekdays. In addition, academic achievement of the those who studied both during working hours and off working hours was higher than those who studied only during working hours. And those who adhered to homework deadlines experienced even higher achievement than those who didn’t. Fourth, analysis of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relationship with each variable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verage number of times accessed per day, average learning time per day,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 correlation coefficients of .171 and .066, respectively. Several suggestions can be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First, program operators should analyze individual learning patterns and providing customized prescriptions for each learner. Also, officials who develop and manage an LMS should provide a summary of the diverse learning data of its learners for the operators. Second, learners who study at the beginning of the learning period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so operators and professors will have to work in the early stages so learners can participate in learning process early on. Such efforts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ird, in a distance lifelong education program, learning time and the number of access have littl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since learner progress rate and learning time are irrelevant to academic achievement, this evaluation standard should taken into consideration. Fourth, research on the analysis of subspecialized learning data needs to be carried out. For future research, when analyzing which aspects of the learning data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new implications can be found by discovering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after subdividing the study subjects and further controlling the variables of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Fifth, similar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Using the learning data of a large number of learn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istance lifelong education, various ways of enhancing the individual learning outcomes can be provided, and such efforts will be the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distance lifelong education. 본 연구는 원격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에서 수집된 학습데이터를 바탕으로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배경(성별, 연령, 근무학교급)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학습활동 형태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일별 평균접속횟수 및 일별 평균학습시간과 학업성취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를 위한 자료는 서울시에 위치한 한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교원 대상 원격직무연수 프로그램으로부터 획득한 학습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였다. 매년 약 3,000명의 수강생이 학습을 진행하는데, 2016년에 프로그램을 수강한 3,292명의 학습데이터 중, 수강 취소자, 학습 미참여자 및 학습참여 저조자의 데이터 및 정확하게 추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데이터 등을 제외한 총 2,743명의 학습데이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t검증, F검증,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연령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와 50대 이상의 학습자들은 30대 학습자들에 비해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둘째, 원격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가 학습활동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시간대가 있음을 확인했는데, 8시부터 16시의 구간에 많은 학습이 발생했으며, 0시부터 8시의 구간에는 2% 미만의 학습이 진행되었다. 또한 요일별로는 월요일에 가장 많은 학습이 진행(전체의 23.2%)되었으며, 일차별로는 초반에 가장 낮은 학습활동을 보이다가 점차 증가하여, 학습종료 1일전에 가장 활발한 참여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학습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간 중 초반에 많은 학습을 진행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가 높았으며, 주중에만 학습을 진행한 학습자보다 주중과 주말 모두 학습을 진행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가 높았다. 또한, 근무시간에만 학습을 진행한 학습자보다 근무시간 이외에도 학습을 진행한 경우 학업성취도가 더 높았다. 그리고 학습과제기일을 준수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가 그렇지 않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보다 높았다. 넷째,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각 변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별 평균 접속횟수와 일별 평균 학습시간이 학업성취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상관계수는 각각 .171과 .066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제고를 위해 프로그램 운영자는 학습자의 학습유형을 수시로 분석하고, 학습자 유형에 따른 적절한 처방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LMS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관계자들은 운영자들이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데이터들을 쉽게 조회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요약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초반에 학습을 진행한 학습자가 비교적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이기 때문에, 초반부에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운영자 및 교수자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학업성취도의 제고는 물론, 원격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원격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서 학습자의 절대적인 학습시간 또는 학습 접속횟수 등이 학업성취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학습진도율 및 학습시간 등이 학습 점수 등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않도록 기준을 설계해야 한다. 넷째, 연구대상의 유형을 세분화한 학습데이터 분석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 학습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 영향요인을 분석할 때, 연구 대상을 세분화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변인을 더욱 통제한다면 집단 간의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새로운 시사점 등을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섯째, 이와 유사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원격평생교육의 확대와 발전을 통해 발생하는 수많은 학습자의 학습데이터를 활용한다면,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노력은 원격평생교육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 플립러닝 기반 한국어 초급 문법 수업 모형의 실효성 연구 - 사회통합프로그램 학습자를 대상으로 -

        김선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교육이 코로나19로 인하여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으로 전환됨에 따라 야기된 초급 문법 교육에 관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플립러닝 기반 수업에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 한국어 초급 문법 교육 시 문법 사용의 정확성을 전제로 하는 유창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플립러닝 기반 초급 문법 수업 모형을 설계하고, 구축한 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기한 가설을 검증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한다. 플립러닝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플립러닝의 특성을 파악한 후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를 분석해 볼 것이다. 이로써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의 한계점을 플립러닝으로 보완할 토대를 마련하고,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 한국어 초급 문법 교육에 접목할 수 있는 플립러닝 모형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한다. 제2장에서는 플립러닝의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플립러닝의 기대 효과를 알아보고, 한국어 초급 문법 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적용의 가능성과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의 플립러닝 적용 가능성을 살펴 기술한다. 제3장에서는 플립러닝의 특성과 수업 모형 설계 원리를 토대로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학습자의 상황과 목표에 부합하는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의 플립러닝 기반 한국어 초급 문법 수업 모형을 구축한다. 교재에 실려 있는 과제를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수업 자료를 제작하고, 플립러닝의 기본 단계인 ‘수업 전-본 수업-수업 후’ 단계로 나누어 구축한 플립러닝 모형이 실제 수업에서 실효성을 가지도록 각 단계의 세부 전략을 자세히 밝힌다. 플립러닝 모형과 기존강의식 수업 모형을 비교하여 플립러닝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는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 플립러닝 기반 초급 문법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통제 집단을 대상으로 기존강의식 수업을 진행하고, 실험 집단을 설정하여 구축한 플립러닝 모형을 기반으로 실험 연구를 시행한다. 각각의 수업을 종료한 후 문법 평가를 시행하여 비교·분석하고, 설문조사의 결과를 진단하여 플립러닝의 효용성과 수업 만족도를 알아보고 심층 면담을 통해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개별적인 의견을 조사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 플립러닝 기반 한국어 초급 문법 수업 방안에 대한 실질적 근거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비대면 방식의 일환인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 한국어 초급 문법 수업 시 나타나는 문제점을 플립러닝 수업으로 보완하고자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 적합한 플립러닝 수업 모형을 구축하였고 이를 토대로 실제 수업에서 플립러닝의 효용성을 실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실시간 원격화상교육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어 교수자에게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