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레 동작을 적용한 움직임 창작교육이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양보현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발레 동작을 적용한 움직임 창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들에게 적용해봄으로써 움직임 창작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발레 기본 동작을 적용하고 미술, 음악, 작문, 놀이, 발표 등을 활용하여 예술통합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분량은 2개월간 총 24회로, 각 30분씩 실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12개의 주제(높낮이, 방향, 크기, 이동경로, 빠르기, 수, 모양, 강/약, 상상하고 표현하기 Ⅰ- 동물, Ⅱ- 신체, Ⅲ- 색깔, Ⅳ- 자아)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내용의 객관도와 신뢰도를 얻기 위하여 15년 이상의 무용경력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 3명과 유아 교사 2명에게 수정, 검토를 요청하였으며, 수정된 내용을 보완한 후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 실험에서 문제가 제기된 부분은 확인 작업 후 필요한 부분을 수정 보완하여 본 실험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O 유치원 만 6세 유아 20명(남아 10명, 여아 10명)으로 주 2회씩 6주간에 걸쳐 개발된 움직임 창작교육 프로그램 수업을 받게 하였다. 측정 도구로 사용된 검사지는 여덟 가지의 영역에 대해 총 64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로, 서울대학교 도덕심리연구실(책임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문용린 교수)에서 개발하고 ㈜대교 한국교육평가센터에서 제작하여 2003년 발행한 MI적성진로 진단검사지에 근거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SPSS 13.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종속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의하여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레 동작을 적용한 움직임 창작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유아들의 다중지능은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유아가 여덟 가지 모든 영역의 향상을 보인 것은 아니고, 유아 개개인에 따라 향상 된 영역에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아와 여아에게서 같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지능의 향상을 보인 영역은 신체운동, 논리수학, 음악 영역으로 나타났다. 남아는 다중지능 영역 중 신체운동, 논리수학, 인간친화, 음악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여아는 신체운동, 논리수학, 자연친화, 음악, 공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움직임 창작교육 프로그램이 남아보다는 여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발레 동작을 적용한 움직임 창작교육이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움직임 창작교육의 교육적 타당성을 입증하고 예술통합형 교육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중지능 향상을 위한 움직임 창작교육 프로그램의 단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종래의 방법을 개선하고 체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움직임의 시간성을 적용한 도심공원으로서의 architectural landscape 계획안

        곽진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간이란 그 자체만으로는 지각 가능한 물리적 형태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 추상적 개념의 실체이다. 그러나 시간은 모든 현상의 부분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과 관계하며 의미의 전부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간은 우리가 지각하고자 하는 모든 속성 그 자체와도 같다. 우리가 시간을 인식함에 있어 시간의 형상은 하나의 객체로서 분석 가능한 물질적인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시간을 감지한다는 것은 시간을 포함한 또 다른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로서의 시간의 이해는 인식주체자의 경험의 문제이며 이는 시간과 함께 물질세계의 기본 형식인 공간의 체험을 통해 실현 가능하다. 공간 내에서의 움직임에 의한 경험은 건축 공간의 시간개념에 관한 문제이며 시간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공간의 형태를 구축하는 가능성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 구축의 중요한 개념으로서의 ‘시간’을 인식의 중요한 단서가 되는 움직임을 통하여 형태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간의 형태화에 있어 공간은 시간의 지각행위의 주체가 되는 중요한 대상이며 이러한 공간내에서의 시간은 움직임의 행위에 의한 경험으로 인식 가능한 개념으로서의 형태가 된다. 따라서 시간의 형태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서는 움직임의 속성에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움직임의 행위에 의한 공간을 구축함으로서 시간의 공간화에 대한 표현을 전개하고자 한다. 프로그램은 도심내의 공원으로서의 Architectural Landscape이다. 건축의 요소로 이루어진 인위적인 자연 공간으로서의 Architecture Landscape의 형태는 기존의 대지가 가지고 있는 순수지형의 Layer 위에 Site의 시간성이 표현된 또 다른 Layer의 건축적 text가 표현된 새로운 라인으로서의 지형이다. Architecture Landscape의 Layer를 통해 지형이 가지고 있는 전후의 Level차이를 극복하고 Site의 흐름을 지속함으로서 연속적 경험을 유발하는 시간성의 지각과 공간 내에서의 행위에 의한 새로운 공간으로서의 시간차원의 형성으로 시간성이 표현되는 공간으로서의 도심공원이 본 프로그램의 주 기능이 된다. Architecture Landscape의 도심공원은 사용자들의 요구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의 형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기 다른 건축적 형태와 행위를 형성함으로서 건축공간의 시간차원을 형성하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Time itself does not have physical form we could recognize since it is an abstract concept. Time, however, is related to all parts of phenomena and is critical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phenomena. Time is the main property we intend to perceive. When we try to understand time, it is unfeasible to analyze time, which is not a material object, as an object. Therefore, in order to recognize time, we ne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and other objects including time. The understanding of time depends on the experience of each subject of recognition and each subject needs to understand 'space', which is the basic form of material. Experience by movement in space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time in architectural space an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of various spaces. The study approached the formation of time by investigating the movement that is a critical factor to recognize 'time' as an important concept for space establishment. Space is the subject that recognizes time in the formation of time and time in the space is turned into the concept that could be recognized as the experience by movement. Therefore, the attribute of move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time. The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ovement and establish the space based on the movement. All the works are done to incorporate 'time' into 'space.' Architectural Landscape is the program for the downtown park. Architecture Landscape the artificial natural space, which consists of architectural elements. The landscape is the mixed geographical feature of two layers: an architectural text of a layer in that time is embodies and the original layer of existing site. In the program, the downtown park is the space that is converted into a new space by time. The park realizes time that induces the continuous experience. The layer of architecture landscape helps the levels of site get into harmony with each other. The downtown park in Architecture Landscape is the adjustable space according to the demands of users. The park forms various architectural features and activities depending on the passage of time. It shows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time into architectural space.

      • 안면움직임에 의한 감정 변화와 관련된 중추신경계 기전

        은슬기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BACKGROUND It is common sense that facial expression is a product of emotion. But on the contrary to this, Facial Feedback Hypothesis which insists that facial muscle movement induces emotion has been proposed and researched for a long period of time. Until now, it is believed that physiological changes induced by facial movements generate emotions. In this thesis, we requested normal people to execute emotionally neutral facial movements (mouth stretching and forehead narrowing) in MRI scanner. We investigated brain correlation with emotion generated by facial movement with physiological change data, subjective feelings caused by facial movements, and functional brain data. METHOD Thirty two normal participants (mean age: 40.9±8.4 years old) were recru-ited for fMRI experiment. Before fMRI scanning session, they were trained to be familiar to tasks (finger tapping; mouth stretching, MS; and forehead narrowing, FN) that would be done in the scanner. In scanning session, they executed movement tasks and physiological signals (electrocardiogram, skin conductance response, and respiratory signal)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Functional brain data were acquired that focusing on brain cortical and subcortical areas with high resolution. Right after the session, subjects filled out emotion questionnaires that asking their feelings when they executed facial movements and emotion indices (happiness and anger) were calculated.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indices were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physiological responses (orienting, OR; and defense responses, DR). Brain data were processed with a series of preprocessing procedure and analyzed with group-mean analysis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ith emotion index and ANS index. RESULTS The difference-map result from finger and facial movements showed that they had different activations in primary motor area (MI) that finger tapping activated upper area than facial movements. Facial movement activated MI, primary sensory area (SI), supplementary motor area (SMA), premotor, middle cingulate cortex (MCC), Insula, Thalamus, Putamen, Amygdala, superior temporal gyrus (STG), and superior temporal sulcus (STS). MS and FN mainly generated happiness and anger respectively and results from ANCOVA with brain data and emotion indices showed activations on orbitofrontal gyrus (OFG) in both cases. MS with happiness index showed additional activation on subgenual anterior cingulate cortex (sAC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S and FN in OR index but in DR. Results from ANCOVA between brain data and OR index showed activation on OFG, medial OFG (mOFG), and sACC in both facial tasks and ANCOVA results with DR showed negative correlation on mOFG and sACC. MS showed additional correlation in MCC, STG, and fusiform gyru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different activations on MI from finger and facial movements can be explained by existing researches that found different body parts’ movements have different activations on MI area. Though core affective areas (Amygdala and Insula) were found in group mean results from facial movements, specific areas (in ACC) for each emotion were not found. The reason is speculated that the difference in executing facial muscle movement makes different activations on ACC area so that the average activation doesn’t exceed statistical threshold. The activations on OFG and sACC from ANCOVA results between brain data and emotion indices imply that facial movements arouse past experience and emotions at that time so that facial movements generate emotions. ANCOVA results between brain data and ANS indices showed similar patterns of activation to those emotion results and it suggested that ANS response changes from facial movements come into generating emotion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acial movements can induce emotions by investigating brain mechanisms of emotion generation during facial movements and also contributes to disclose relation between facial expressions, emotions, and other physiological outcomes. 연구배경 감정 발생의 결과로 나오는 얼굴 표정이 반대로 감정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지에 대해 Facial Feedback 이론이 제안 되었고, 19세기부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연구에서 얼굴 표정을 지었을 때 발생하는 생리적 변화가 감정 경험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하여 정상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감정 중립적인 안면 근육 움직임(입 늘이기, 이마 좁히기)을 하도록 요구하였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자율신경계 변화(심전도 및 피부전도도)와 주관적인 감정 변화, 그리고 중추신경계 반응을 관찰하여 감정적으로 중립적인 안면 근육 움직임에 의한 감정 경험 유도와 관련된 중추신경계 기전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정상인 32명(평균나이: 40.9±8.4세)의 데이터가 최종적으로 사용 되었고, 피험자는 fMRI 실험을 하기 전 Training session을 거쳐 스캐너 안에서 하게 될 운동 과제(손가락, 입, 이마 움직임)에 대해 충분히 훈련 받았다. fMRI 스캐닝 session에서는 Training session에서 훈련 받은 운동 과제들을 수행 하였고, 이때 생리신호(심전도, 피부 전도도, 호흡신호)를 동시에 획득 하였다. 뇌 기능 데이터는 대뇌 피질 일차 운동 영역 및 감각 영역과 대뇌 피질하 영역을 중심으로 높은 해 상도로 획득하였다. 스캐닝 직후 피험자는 안면 운동 시 발생된 감정에 대해 설문을 받았고, 이를 이용하여 행복 및 분노 감정 지표를 얻었다. 또한 심박수 변화 분석을 통해 Orienting response(OR)와 Defense response (DR)의 자율신경계 변화 지표를 계산하였다. 뇌 기능 데이터는 일련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평균 뇌 활성 분석 및 감정 지표와 자율신경 계 변화 지표를 이용한 공분산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손가락 움직임과 안면 움직임의 평균 뇌 활성도 차이 결과에서 MI 영역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한 뇌 활성 분포가 안면 움직임에 의한 뇌 활성 분포보다 상단에 위치했다. 입 늘이기와 이마 좁히기 운동 시 공통적으로 MI, SI, SMA, Premotor, MCC, Insula, Thalamus, Putamen, Amygdala, STG, STS 영역에서 활성이 있었다. 입 늘이기 시 행복과 관련된 감정이, 이마 좁히기 시에는 분노와 관련된 감정이 주로 발생 했고, 발생한 감정과 뇌 활성 간 공분산 결과, 공통적으로 OFG영역이 활성화 되었다. 입 늘이기 시에는 이와 함께 sACC 영역의 활성이 관찰되었다. 안면 운동 시의 자율신경계 지표분석 결과 OR 에서는 입 늘이기와 이마 좁히기 간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DR의 경우 입 늘이기가 통계적으로 더 큰 경향을 보였다(p<0.001). 안면 움직임 시 뇌 활성 데이터와 OR간의 공분산 분석결과, OR이 증가할수록 OFG, mOFG 및 sACC 영역의 활성이 증가했다. 반면 DR이 증가할수록 mOFG 영역과 sACC영역에서 활성이 감소했고, 입 늘이기의 경우 MCC, STG 및 Fusiform Gyrus에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토의 및 결론 손가락 및 안면 움직임 시 운동과 관련된 뇌 영역에서 활성이 있었고, 각 운동의 MI에서의 차이는 신체 부위의 차이에 의해 설명된다. 평균 뇌 활성도 결과에서는 Amygdala, Anterior Insula와 같이 감정을 인지하고 처리하는 영역의 활성이 있었지만, 행복, 분노에 특이적인 뇌 영역 (ACC)에서의 활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피험자 간 안면 움직임 차이에 의해 뇌 활성 차이가 발생하여 평균값이 통계적 역치를 넘지 못하여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안면 운동 시 느낀 감정의 정도가 증가 함에 따라 OFG와 sACC영역의 활성이 커졌는데, 이는 과거 얼굴 움직임과 관련된 상황과 경험들을 회상하고, 그 상황에서 느꼈던 감정이 동시에 불러일으킴으로써 감정이 생성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 결과와 함께 자율신경계 변화 지표(심박수 변화)가 커질 수록 유사한 뇌 활성도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안면 움직임에 의한 자율신경계 변화가 감정 발생 기전에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안면 근육 움직임에 의한 감정발생을 증명하고, 얼굴 표정과 감정 발생 간의 복잡한 관계에 대한 해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마음챙김움직임명상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년기 여성의 신체심리 조절력 향상을 중심으로

        여청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indful movement meditation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it to middle-aged women. In Study 1, the mindful movement medit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its content and construct validity were established by focus group and expert panel review. The Sussman's six steps were applied to secure validity as a development model, indicating planning, prior research and field observation, topic and goal setting, preliminary program composition, validity establishment, preliminary research, and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e program stage is composed of body, mind, feelings, and objects based on the structure of Satipaṭṭhāna (四念處;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practice of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大念處經). Through literature review, five themes were extracted, which are the core principles of relaxation, attention, awareness, acceptance, and gaining insight. The goal to achieve the core themes was set as body awareness, emotion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gulation.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gram's content and structure was confirmed. In addition,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somatic movements were used as a means of mindfulness. Halprin's body-part centered movement ritual and mindfulness yoga were employed, and the 8-week mindfulness movement meditation program was composed by referring to Feldenkrais' body awareness technique. In Study 2,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middle-aged women for improving somatic psychology for 8 weeks, and its effectiveness was examined. For the analyses, independent sample t-test, mixed ANOVA, and covariate analysis (ANCOVA) were performed for body awareness, emotion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according to tim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As a result,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awareness and its sub-factors (sensory awareness, mind-body connection awareness, sensory return, trust) in both pretest-posttest interaction and posttest-follow up test interaction.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otion awareness and its sub-factors (clear recognition of emotion) in pretest-posttest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and its sub-factors. These results were also found through the participants' sharing of feelings that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ed the study results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timing of this program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and social distancing caused by the spread of COVID-19. Furthermore, although it did not appear in the quantitative methods, the experimental reports from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 program's positive impact on emotion regulation. In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ese two studies together(study1 and study2) suggest that the mindful movement meditation program helps to improv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gulation by increasing body awareness and emotion awareness of middle-aged women.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program and the program for the COVID-19 pandemic were discussed, and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This study contribut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extension of somatic movement focusing on body parts to the mindfulness movement meditation

      • 호흡과 움직임에 의한 사물놀이 삼도풍물 분석 연구

        송세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물놀이가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게 되자 초·중등 음악 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전통음악 교육과정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다. 제7차 교육 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다양화 시대 속에서 우리의 음악 문화를 창조하고 이끌어가기 위해 국악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각급 학교에서 특기·적성 교육활동이나 정규수업시간에 사물놀이가 다양한 형태로 교육되어지고 있으며, 사물놀이반이 조직되어 많은 학생들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사물놀이를 가르칠 수 있는 교사나 교재의 부족과 단순히 가락을 암기하고 칠 수 있다는 것만 갖고 우리 음악을 이해했다고 생각하거나, 사물놀이 가락을 틀리지 않고 치기만, 우리음악의 멋·맛·흥을 살린 연주를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은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락은 호흡법에 기초를 두고 지도되어져야 하는데 호흡법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대부분 구음 위주로 지도되고 있는 실정이며, 교재가 있어도 복잡한 서양음표로 기보된 악보가 대부분 이어서 이해하고 배우기에 어려움 점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음악교과 교육이나 특기·적성 교육시 사물놀이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우리의 장단을 바르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사물놀이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사사를 통해 전승되어 오던 '호흡법'의 적용을 통한 사물놀이 지도 자료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김덕수 사물놀이패의 삼도풍물 사물놀이를 호흡과 움직임에 기초하여 분석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에게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성과 아름다움을 살려서 지도하고 배울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채보'와 '분석'의 방법을 택하였다. 사물놀이에서의 '호흡'이라는 것은 실제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폐부의 호흡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장단의 얼개(구조)에 합당한 몸의 움직임과 마음쓰기 다시 말하면 '호흡'이란 어떠한 장단이나 가락에 잘 어울린 몸과 마음의 일렁임이므로 다소 관념적이고 이론적일 수도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물놀이 가락을 배우고 연주하는데 있어서 호흡법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가락을 연주할 때 호흡법이 필요한 이유와 실제 연주에서 호흡하는 방법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으로 가로 정간보와 함께 3소박, 2소박, 4소박 호흡과 움직임에 의한 『궁, 딱, 따, 궁·딱, 덩』 의 연습과정을 '호흡선'과 '원·방·각'을 제시하여 호흡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호흡법에 의거하여 1997년 킹레코드사에서 제작한 「김덕수 사물놀이 결정판Ⅱ」 의 음반을 바탕으로 김덕수 사물놀이패가 연주하고 있는 삼도풍물 사물놀이를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3소박의 호흡과 움직임, 2소박의 호흡과 움직임, 4소박의 호흡과 움직임에 의한 호흡법으로 김덕수 사물놀이패가 연주하고 있는 삼도풍물 사물놀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채질굿 가락은 49소박 19박으로 이루어져 3소박 호흡 11번과 2소박 호흡 8번 모두 19번의 호흡으로 짜여져 있다. 둘째, 우질굿 가락은 44소박 12박으로 이루어져 5소박(2+3)이 한번의 움직임에 실어 호흡하는 호흡법 3번과 5소박(3+2)이 한번의 움직임에 실어 호흡하는 호흡법 3번, 3소박 호흡 6번의 호흡으로 모두 12번의 호흡으로 짜여져 있다. 셋째, 좌질굿 가락은 40소박 8박으로 5소박(2+3) 3번과 5소박(3+2) 5 모두 10번의 호흡으로 짜여져 있다. 좌질굿 가락에서 다음 가락인 풍류가락으로 넘어갈 때 넘김 가락 역할로 장구 장단이 후드륵 가락으로 변주되는데 이때 10소박의 가락을 1(1)/(2)소박씩 잘라 4번의 호흡 또는 연주자의 기량에 따라 2소박씩 5번의 호흡으로 변주되어진다. 넷째, 풍년굿 가락은 3소박 호흡 6번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네 번, 다섯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2개 유형 가락 모두 4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다섯째, 굿거리 가락은 3소박 호흡 4번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다섯 번 3개 유형, 여섯 번 4개 유형, 일곱 번 2개 유형, 여덟 번, 열 네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12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여섯째, 양산도 가락은 3·3·3소박 3박자로 구성된 4개의 장단이 짝을 이루어 모두 12번의 3소박 호흡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열 세 번, 열 다섯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3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 다. 일곱째, 덩덕궁이 가락은 4번의 3소박 호흡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다섯 번 3개 유형, 여섯 번, 세 번 2개 유형, 두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8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여덟째, 별달거리 가락은 4·4 소박 2 박자로 구성된 4개의 장단이 짝을 이루어 모두 8번의 4소박 호흡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아홉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2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아홉째, 휘모리(짝쇠) 가락은 2번의 4소박 호흡으로 짜여진 기본형을 비롯하여 두 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2장단이 짝을 지어 3·3·3·3·4소박으로 5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3장단이 짝을 지어 3·3·3·3·3·3·3·3소박으로 8번의 호흡으로 짜여진 가락 모두 3개의 패턴 가락으로 짜여져 있다. 이와 같이 삼도풍물 사물놀이에서 연주되어지고 있는 각각의 가락들은 하나의 장단이 호흡법에 따라 호흡의 수를 달리하는 여러 개의 변주형으로 연주되고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호흡에 의한 분석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의 사물놀이 지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학교 음악에서의 국악교육이나 사물놀이 특기·적성 교육시 학생들을 지도하기 위해서는 사물놀이에서 연주되어 지고 있는 모든 곡목들이 호흡법에 의해 분석 연구되어지고, 사물놀이의 이론적 토대가 단단히 다져질 수 있는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도자 양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체계화되고 발전된 정간보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으로 악보에서 오는 혼선을 배제하여야할 필요성이 있어 발전된 채보 방법의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Thanks to its global popularity as well as its absolute support from the mother country, Samulnori has settled itself as part of the curriculum of traditional Korean music being introduc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textbooks. The Seventh Curriculum places an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ill help next generations refine and create the Korean music culture in the 21st century of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diversification. Responding to the aims, each school runs Samulnori-related programs of various forms embedded in the regular classes and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encourag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Samulnori clubs. But a closer look reveals some disappointing aspects of the inspiring changes; the provision of teachers and textbooks needed to teach Samulnori is far from being enough, they tend to regard themselves as masters of traditional Korean music just because they can learn some melodies by heart and play them, and a good number of Samulnori students seem to know nothing about how to bring the taste, flavor, and jo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to life with their rich knowledge of it. To make things worse, most teachers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reathing techniques depend on oral sounds during lessons despite the fact that traditional Korean melodies should be taught based on the breathing techniques, and the existing few textbooks challenge the students being written in complex western notes and scores. It is highly necessary to apply the 'breathing' techniques that have been passed down among the Samulnori experts to the development of Samulnori instruction books and materials so that the students eager to learn Samulnori can understand the traditional Korean beats right during music classes and specialty and aptitude activitie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Samdopungmul data of the Kim Deok-su Samulnori Group based on the 'breathing' techniques, to provide some teaching materials that would help teach the traditional bea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melodies, and to equip the students with good learning materials to help them bring to life the taste, flavor, and joy of the traditional music and Samulnori. For those purposes, the 'transcription' and 'analysis' methods were adopted. In Samulnori, 'breathing' does not refer to respiration through the lungs as in the expressions of breathing in or breathing out. It refers to the body movements and mental operations proper for the structures of given beats. Since it represents the harmonious resonance between body and mind for certain beats or melodies, it can come off as conceptual or theoretical. This study provide an approach in the way that the breathing techniques could be concrete as much as possible by investigating their specific implications in learning and playing Samulnori melodies and by explaining the breathing process in the 'breathing rhythm' and 'Won, Bang, and Gak' in the horizontal Jeonggan Notation. Thus it made clear why it was necessary to make use the breathing techniques in playing the melodies and to practice them in a gradual and systematic manner. In addition to the Jeonggan Notation, 3-Sobak, 2-Sobak, and 4-Sobak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Gung, Talc, Ta, Gung & Tak, and Deong" according to movements. The Definitive Edition Ⅱ of Kim Deok-su Samulnori album made by the King Records in 1997 was chosen for the study, and the Samdopungmul Samulnori played by the group was analyzed. The Samdopungmul Samulnori played by the Kim Deok-su Samulnori Group was analyzed based on the breathing techniques of '3-Sobak breathing and movement,' '2-Sobak breathing and movement,' and '4-Sobak breathing and move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chaejilgut' consists of 49-Sobak and 19-Bak of 11 times of 3-Sobak breathing and eight times of 2-Sobak breathing, totaling 19 times of breathing. Second, 'Woojilgut' has 44-Sobak and 12-Bak, which can be played in total 12 times of breathing with three times of one movement delivering 5-Sobak(2+3), another three times of one movement delivering another kind of 5-Sobak(3+2), and six times of 3-Sobak breathing. Third, 'Jwajilgut' in 40-Sobak and 8-Bak consist of total ten times of breathing with five times of 5-Sobak breathing(2+3) and another five times of a different kind of 5-Sobak breathing(3+2). As 'Jwajilgut' is replaced by Pungryu Melodies, the Janggu beats serving as the passage melodies are turned into 'Hudreuk', during which process the player may take a needed breath four times of 1 1/2-Sobak or fives times of 2-Sobak according to his or her skills in order to express the original 10-Sobak melodies. Fourth, 'Pungnyeongut' has four melody patterns including the basic six times of 3-Sobak breathing, and the four-time and five-time breathing patterns. Fifth, 'Gutgeori' is comprised of total 12 melody patterns, which are the basic four times of 3-Sobak breathing, three patterns of five-time breathing, four patterns of six-time breathing, two patterns of seven-time breathing, and one pattern of each eight-time and 14-time breathing. Sixth, 'Yangsando' presents the basic pattern of 12 times of 3-Sobak breathing, which consists of pairs of beats in 3·3·3-Sobak and three time. In addition, it has two other patterns of each 13-time and 15-time breathing. Seventh, 'Deongdeokgungi' consists of total eight melody patterns, which include the basic one of four times of 3-Sobak breathing, three patterns of five-time breathing, two patterns of each six-time and three-time breathing, and one pattern of two-time breathing. Eighth, 'Byeoldalgeori' has two patterns, which are the basic one consisting of eight times of 4-Sobak breathing in 4·4-Sobak and two time, and a pattern of nine-time breathing. Ninth, 'Huimori(Jaksoi)' presents total three melody patterns, which include the basic one of two times of 4-Sobak breathing, the one of five-time breathing in 3·3·3·3·4-Sobak in pair beats, and the one of eight-time breathing in 3·3·3·3·3·3·3·3·3·3·4-Sobak in triple beats. In short, each melody of Samdopungmul Samulnori is played in many different variations requiring different numbers of breathing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breathing technique. Those analys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of great use in school where Samulnori is taught. In future study the breathing techniques could be a guide for teaching all the Samulnori pieces played during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classes and related specialty and aptitude activities. More efforts need to be made on the theoretical study of Samulnori and to bring up future Samulnori instructors more systematically. Finally, we need more advanced notation system in order to write Samulnori music properly.

      • 움직임 향상을 위한 운동 루틴 생성 방법에 관한 연구

        길영익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Exercise has become establish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life, the purposes for participating in exercise have diversified. In the beginning, the main purposes were diet and body change, but recently, they have expanded to healthy movements through body corrections. Exercise routines for healthy movement should be composed by identifying the body condition, establishing an appropriate exercise strategy, and taking appropriate exercise postures. However, ordinary trainers who are not specialists have difficulty in effectively achieving the purpose of exercise of the exercise participants because they cannot assess the body condition and compose appropriate exercise strategy and postur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methods and services that can establish an exercise strategy according to the body condition of exercise participants using movement assessment by trainers and to create an exercise routine by composing appropriate exercise postures in a personal training situation. The exercise routine creation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movement assessment, establishment of exercise strategy, and composition of exercise routine. In the movement assessment step, the body conditions of exercise participants a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basic information for creating an exercise routine is collected by measuring and assessing the movement ability of exercise participants using a motion capture system and a movement tracking model. The movement assessment in this study is characterized by dynamic movement assessment that measures the range of motion of exercise participants during exercise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measures the range of motion in static postures. Furthermore, the movement ability is assessed in six factor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allows easy identification of movement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overall movement ability. In the exercise strategy step, the exercise posture that can maintain and improve the balance of body movements identified through the result of movement assessment is matched. For the exercise strategy, an exercise curriculum and movement strategy to improve movement ability are suggested, and exercise posture that can induce a degree of difficulty and a range of motion appropriate for the body condition are provided. Through this process, the exercise postures of the exercise routine can be composed with exercise postures appropriate for the body condition of each individual, and step-by-step exercise goals for healthy movement can be established. In the composition of exercise routine step, exercise postures matched by the strategy established in the exercise strategy are selected and an exercise routine that can provide them to exercise participants is completed. This step also includes the exercise simulation function that generally provides the information of the completed exercise routine, and whether or not to apply the exercise routine can be decided through the composed exercise information. To show how the process of creating an exercise routine appropriate for the body condition for healthy movemen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movement assessment, establishment of exercise strategy, and composition of exercise routine. A basic exercise routine was composed and applied to each of two participants. The range of motion of each participant was collected and their movement conditions were assessed using a motion capture system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exercise routine. Based on the result of movement assessment, a strategy to improve the frontal plane movement ability of the ankle and shoulder joints and a strategy to improve the horizontal plane movement ability of the shoulder and trunk were established. In this way, the exercise posture appropriate for improving movements was matched through the exercise strategy established for each participant. Then the applicability of the exercise routine creation method was verified by completing an exercise routine with a three-day exercise program that can be performed for one week. In addition, a service concept based on an application that can service the exercise routine creation method from an actual personal training site was proposed. The proposed concept allows a personal trainer to create and manage member information and exercise routines for each member, which provides the recording of training and visualization of personal body information, which was impossible in traditional personal training sites. Exercise participants can easily find out their body changes through their personal body information and whether they are performing exercise according to their exercise goals. If the exercise routine cre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personal training sites, it can improve their exercise services above a certain level by strengthening the trainers’ knowledge and experienc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provide systematic exercise services that can effectively achieve the exercise goal by quantitatively recording the body and exercise information which was difficult to perform in the traditional personal training. 운동이 삶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운동에 참여하는 목적들이 다양해졌다. 초기 다이어트 및 체형 변화의 목적이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신체 교정을 통해 건강한 움직임을 가지기 위한 목적으로 확대되었다. 건강한 움직임을 위한 운동 루틴은 신체 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운동 전략을 수립하여 적절한 운동 자세를 수행하도록 구성해야 하지만 전문 트레이너가 아닌 일반적인 트레이너의 경우 신체 상태를 평가하고 그에 맞는 운동 전략과 자세를 구성하지 못하여 운동 참여자의 운동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스널 트레이닝 상황에서 트레이너들이 움직임 평가를 이용하여 운동 참여자의 신체 상태에 따른 운동 전략을 수립하고, 그에 적합한 운동 자세를 구성하여 운동 루틴을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운동 루틴 생성 방법은 움직임 평가, 운동 전략 수립, 운동 루틴 구성과 같이 3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움직임 평가 단계는 운동 참여자의 신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며, 모션 캡처 시스템과 움직임 추적 모델을 이용하여 운동 참여자의 움직임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함으로써 운동 루틴을 만들기 위한 기초 정보를 수집한다. 본 논문에서의 움직임 평가는 기존 정적인 자세에서 관절의 가동범위를 측정하여 진행하는 방법과 달리 IT 기술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 운동 참여자의 관절 가동범위를 측정함으로써 동적인 움직임 평가를 진행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움직임의 능력을 6가지 요소로 평가함으로써 전체적인 움직임 능력과 더불어 움직임 특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운동 전략 단계에서는 움직임 평가 결과를 통해 파악된 신체 움직임의 밸런스를 유지하며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 자세를 매칭하기 위한 단계이다. 운동 전략은 움직임 능력 향상을 위한 운동 커리큘럼과 움직임 전략을 제시하며, 신체 상태에 적합한 난이도와 관절의 가동범위를 유도할 수 있는 운동 자세를 알려준다. 이를 통해 운동 루틴의 운동 자세를 설정할 때 개인별 신체 상태에 적합한 운동 자세들로 구성할 수 있으며, 건강한 움직임을 위한 단계별 운동 목표를 수립할 수 있다. 운동 루틴 구성의 단계는 운동 전략 단계에서 수립된 전략에 따라 매칭된 운동 자세들을 선택함으로 이를 운동 참여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운동 루틴을 완성한다. 이 단계에서는 완성된 운동 루틴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운동 시뮬레이션의 기능까지 포함되며, 구성된 운동 정보를 통해 운동 루틴의 적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건강한 움직임을 위해 신체 상태에 적합한 운동 루틴 생성 방법의 과정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여주기 위하여 움직임 평가, 운동 전략 수립, 운동 루틴 구성의 단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2명의 실험 참여자에게 각각 기본 운동 루틴을 구성하여 적용하였으며, 운동 루틴 수행 중 모션 캡처 장비를 통하여 실험 참여자의 관절 가동범위를 수집하고 움직임 상태를 평가하였다. 움직임 평가 결과를 통해 발목과 어깨 관절의 관상면 움직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과 어깨와 몸통의 수평면 움직임 능력 향상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처럼 실험 참여자별 수립된 운동 전략을 통해 움직임 향상에 적합한 운동 자세를 매칭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각 1주일 동안 진행할 수 있는 3일의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동 루틴을 완성함으로 운동 루틴 생성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운동 루틴 생성 방법이 실제 퍼스널 트레이닝 현장에서 서비스될 수 있는 앱 기반의 서비스 컨셉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컨셉은 퍼스널 트레이너가 회원 정보 및 회원별 운동 루틴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퍼스널 트레이닝 현장에서 불가능했던 트레이닝의 기록과 개인 신체 정보의 시각화의 기능을 제공한다. 운동 참여자는 개인별 신체 정보를 통해 신체 변화를 쉽게 파악하고 운동 목표에 맞게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운동 루틴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퍼스널 트레이닝 현장에 적용한다면 트레이너들의 지식과 경험을 보강하여 운동 서비스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퍼스널 트레이닝에서 진행하기 어려웠던 신체와 운동의 정보를 정량적 형태로 기록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운동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움직임 측정 정확성 분석을 통한 키넥트 활용 방안 연구

        박용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목적은 3가지 위치의 Kinect 카메라로 획득된 인체 움직임 데이터의 정확도와 에러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정확성의 기준이 되는 움직임 데이터는 반사마커기반 적외선 모션캡처 카메라(Qualysi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12가지 동작은 체육활동과 일상 활동으로 구분하였고, 주요 해부학적 평면을 고려하여 움직임을 선정하였다. 측정된 12개 동작은 걷기, 제자리 뛰기, 걷기(이동동작), 스쿼트, 런지, 제자리 점프, 팔 벌려 뛰기(운동), 골프 퍼팅, 테니스 스트로크(스포츠), 의자에 앉았다 서기, 시상면 팔 동작, 전두면 팔 동작(일상생활)이었다. 실험은 10명의 남자대학생 실험참가자를 대상으로 Qualysis 모션캡처 장비와 3대의 키넥트로 인체 움직임 데이터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3대의 키넥트는 3가지 위치(전방(KF), 우측전방(KM), 좌측방(KS)에 배치하였다. 모션캡처장비와 키넥트로 획득된 데이터는 Visual3D, iPisoft Mocap Studio Biomech Add-on로 분석되었다. 계산된 변인은 인체의 COM 3차원 위치좌표 값, 상지와 하지의 관절각도와 관절의 3차원 위치좌표 값이다. 변인의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해 모션캡처 데이터를 기준으로 RMSE값과 R-sqaured를 계산하였다. 에러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관절 각도의 크기에 따른 오차의 비율로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넥트를 이용해 측정된 인체의 무게중심(COM)은 X, Y, Z 모든 축에서 최대 RMSE값이 0.03m 이하였다. 키넥트 위치에 따른 비교에서는, COM 정확성이 가장 높은 위치는 정면(KF)조건 이였다. X, Y, Z축의 정확성을 비교했을 때, Z 축의 정확도는 모든 위치 조건에서 가장 나쁘게 나타났다. 둘째, 키넥트 위치에 따라서 인체 움직임 데이터의 RMSE값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주요 움직임이 발생하는 해부학적 평면에 따라서 인체 움직임의 측정 정확성이 높은 키넥트 위치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키넥트 위치에 따라서 X축의 무게중심 정확성(RMSE)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동작은 제자리 뛰기(p=.025, KF<KM), 스쿼트(p=.001, KF,KM<KS), 런지(p=.006, KF,KM<KS), 점프(p=.000, KF,KM<KS), 팔 벌려 뛰기(p=.000, KF,KM<KS), 의자에 앉았다 서기(p=.044, KF<KM), 전두면 팔 동작(p=.004, KF<KM,KS)이다. 키넥트 위치에 따라서 Y축의 무게중심 정확성(RMSE)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동작은 스쿼트(p=.029, KF, KM<KS), 제자리 점프(p=.043, KF<KS), 팔 벌려 뛰기(p=.037, KF<KS), 시상면 팔 동작(p=.015, KF,KM<KS)이다. 키넥트 위치에 따라서 Z축의 무게중심 정확성(RMSE)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동작은 스쿼트(p=.041, KM<KS), 골프 퍼팅 동작(p=.016, KF, KM<KS)이다. 대부분의 경우 KF조건이 가장 정확하다. 관절 각도와 위치는 키넥트의 위치가 달라질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위치 조건에 따라서, 상지, 하지 모든 관절에서 정확성의 패턴이 동일한 유형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키넥트 데이터의 전체적인 정확성을 검토할 때 관절데이터의 정확성 보다는 COM데이터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관절데이터의 정확성은 실험조건에 따라서 일관된 패턴이 없기 때문이다. 셋째, 키넥트 데이터는 체계적인 에러(systematic error)를 갖는다. 에러의 특징은 키넥트 활용 시 유용한 정보 일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방 키넥트에서 정확한 움직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엉덩 관절의 굴곡이 큰 동작에서 측정된 엉덩 관절의 위치가 정확성이 낮다. 또한 관절의 움직임이 없을 경우 RMSE 신호와 에러의 비율이 높다. 분절이 겹쳐서 않을 때, 크게 팔, 다리를 움직임의 범위가 클 때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몸통과 팔이 붙어 있을 경우 팔과 몸통의 경계가 구분이 잘 되는 방향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다. Kinect는 발과 바닥면의 경계를 구분해 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발과 발목 에러 값이 크게 나타난다. 이것은 Z축의 움직임 정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위 결과를 종합해보면, 키넥트를 이용하여 측정된 관절 위치와 각도는 모션캡처 시스템과 비교하여 큰 오차를 갖는다. 그러나 무게중심(COM)은 평균적으로 3cm 이내의 작은 오차로 정확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이는 키넥트가 팔, 다리의 세밀한 움직임 보다는 큰 동작에서 신체 전체의 움직임 측정할 경우 매우 유용함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키넥트 시스템이 모션캡처 시스템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져서 운동역학 분석에 활용할 수 없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키넥트는 저렴한 가격과 실시간 정보 피드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키넥트가 기존 운동역학 분석 방식과는 다른 방법으로 인간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분석 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동작의 움직임 특성에 따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키넥트 위치를 선정 할 수 있다. 이는 향후 키넥트를 활용한 동작분석, 운동게임 콘텐츠 개발, 가상현실 코칭 시스템 개발 등에 중요한 통찰력과 노하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움직임 교육을 활용한 미술교과 관찰 표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이권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술교과 관찰 표현 교육이 그 본질적 가치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관찰 표현 교육은 세상을 바라보는 지각의 틀을 넓혀주어 삶을 풍성하게 하는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관찰 표현 교육은 그 본질적 가치가 아닌 단순히 대상을 보고 똑같이 그리기를 반복하는 피상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삶과 연결된 실질적 교육이 아닌 삶과 유리된 단편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몸을 이용한 ‘움직임 교육’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이 글의 목적은 미술교과 관찰 표현 교육의 가치를 검토하고 그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움직임 교육의 활용을 제시하는 것이다. 나아가 실제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그 정당성과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I장에서는 21세기 현대 사회에서 관찰의 중요성과 미술교과에서 관찰 교육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 우리나라 관찰 표현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움직임을 활용한 미술교과 관찰 표현 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입증하였다. II장에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미술 교과 관찰 표현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실제 우리나라 미술교과 관찰 표현 교육이 이러한 가치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지 검토하여 관찰 표현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그 해경방안으로 움직임 교육을 제시하고 그 정당성을 입증하였다. 먼저 학자들의 정의를 토대로 움직임 교육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움직임 교육의 교육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나아가 미술교과 관찰 표현교육에 움직임 교육을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검토하여 움직임 교육을 활용한 미술교과 관찰 표현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정당성을 입증하였다. III장에서는 프로그램 지도안 개발에 앞서 프로그램 실행의 대상이 되는 학생들에 대한 사전 조사를 하였다. 사전 조사는 프로그램 실행 전 같은 주제로 진행된 미술교과 관찰 표현 수업의 실제와 그 결과물, 사전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 다음 이를 토대로 본격적으로 움직임 교육을 활용한 미술교과 관찰 표현 교육 프로그램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IV장에서는 구안한 움직임 교육을 활용한 미술교과 관찰 표현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그램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프로그램의 실제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수업 전 후 결과물 및 설문지를 비교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V장에서는 연구의 내용 및 결과 분석을 토대로 결론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나아가 현대 사회에서 예술교육이 지향해야하는 교육의 방향성과 본 연구가 갖는 의의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 논문은 세상을 바라보는 지각의 틀을 넓혀주는 관찰 표현 교육의 본래적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위한 도구로써 움직임 교육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미술교과 관찰 표현 교육이 단순히 대상을 똑같이 옮겨 그리는 기술을 가르치는 교육이라는 선입견을 깨고 삶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임을 밝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