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영전>의 인물 간 관계 분석과 교육적 적용 : - 사제관계와 교우관계를 축으로 한 고찰 -

        강영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학생들이 학교 교육을 통해 고전문학을 친근하게 여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고전문학의 가치를 미처 알지 못한 채 고전문학을 지루하고 재미없다고 여기는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고전문학의 가치를 일깨우고 고전 읽기의 즐거움을 알게 하기 위한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이를 깨닫게 하는 방법으로 고전문학을 학생들의 생활에 적용하여 읽는 ‘동시대화’를 제시했다. 동시대화를 통해 고전문학이 자신과 동떨어져 있는 것이 아닌 생활에 연계되어 있는 것이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또 이 방법을 통해 고전문학 내의 문제 상황을 자기 문제로 받아들이고 사유하는 자기화가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그에 적합한 작품으로 <운영전>을 제시했다. <운영전>은 이미 그 문학적, 교육적 가치가 많이 논의된 작품이다. 흔히 이를 운영과 김진사의 사랑이야기로 독해하곤 한다. 본고에서는 안평대군과 궁녀들, 궁녀들과 운영의 관계에 주목하여 학교 상황과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사제관계와 교우관계의 맥락에서 <운영전>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의 생활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인간관계가 바로 사제관계와 교우관계이다. 이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에서 갈등이나 오해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그 갈등에 바람직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아 인성교육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운영전>은 사제관계, 교우관계를 축으로 독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하나의 예시가 될 수 있다. 특히 궁녀들과 운영의 관계는 ‘소통’을 매개로 변화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갈등 해결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제시할 수 있다. 그런데 학교 내 인간관계의 맥락에서 독해를 하는 것만으로는 학생들이 고전문학에 흥미를 느끼고 자기화하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운영전>을 사제관계와 교우관계의 맥락에서 독해하는 ‘고전문학의 동시대화하기’를 거친 후에 ‘토론을 통한 상호 소통’과 ‘창조적 활동을 통한 간접경험’의 활동이 필요하다. ‘토론을 통한 상호 소통’은 갈등 상황에서 인물의 대처 방식과 태도에 대한 토론과 인물의 입장에서 자기 투영하는 토론으로 두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 토론이 자신의 입장에서 작품 내 인물을 평가하는 활동이라면 두 번째 토론은 인물의 입장에서 자기를 투영하여 비판, 옹호하는 활동이다. ‘창조적 활동을 통한 간접경험’은 각색을 통한 역할극을 제시했는데 몸소 표현하고 인물이 되어 이야기하면서 작품 내 상황을 간접 경험하는 것이다. 특히 인물 관계의 변화 계기에 주목하여 인간관계에 있어 중요한 것이 ‘소통’임을 깨닫게 한다. 더불어 작품 속 인물을 현대 학교에 적용하여 현대적으로 각색함으로써 학생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좀 더 문학을 자기화할 수 있게 한다. 이렇듯 본 논문은 학생들이 고전문학을 접할 때 자신의 삶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전 읽기의 즐거움을 깨닫게 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한다. 즉 고전문학을 읽을 때에 작품 그 자체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삶,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학교에서의 생활에 연관하여 읽을 수 있도록 시도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고전문학의 상황을 자기 문제로 받아들여 자기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학교운영위원회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김제지역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김명수 全北大學敎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School Council was introduced to realize school autonomy and responsibility management in the school seven years ago.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school council, it is very important for parents, teachers, and community elites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council actively and to have a professionality in its management. Thu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in school council management process and suggest some alternative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sets some questions as follows; First, how is the school council members elected and composed? Second, how is the school council operated? Third, what is the major problems of and alternatives for school council?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s and makes a questionnaire. By using the questionnaire,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ing 253 school council members from 4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Kimje Educational District. From data analysis, this study found some important facts as follows; First, it is relatively lower for the school council members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and functions of the school council. However, it is relative higher for them to participate in school council in order for education development. They are relatively positive to the current institution of school council management. Second, the school council members prefer to have the school council become discussion and decision-making organization. However, they answered that it does not function its suggestions or petition of any important issues, and that the small council is not active very well. They also answered that the major matters are decided by its majority, but by school principal's intention. Third, they evaluated that their participation in the school council is very positive, and that the democratization and transparency of school management is getting higher. Finally, they also confessed some problems of the current school council; passive participation in election of school council members,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discussion matters, non-professionality, little cooperation with existing organization, formal discussion by school principal intention, difficulty in democratic election of regional council members. These problems seem to be specific to rural community. From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alternatives for overcoming the above problems. First, it is very important to induce school components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council by repeating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to increase the school council members' representation and responsibility by including the existing organization's representation as the non-elected members of school council, and to establish an organic relation with the existing organization by distributing the school council members to all classes evenly. Second, in order to prevent formalistic decision-making and to overcome the difficulty in establishing small councils in all school units, and to increase professionality and efficiency of the school council in rural community, it is important to get a school council in community education district center and to use it as a network for information exchange. Third, it is important to institutionalize teacher's discussion and decision-making and parents' association and to collect various voices from many school components including students representation. Finally, even if the nature of school council is professionality, democrat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school management, it is very important to lead all decision-making processes to be educational and it is careful not to weaken the internality of education after reducing the peculiar authority of principal.

      • 學校運營委員會의 活動成果 分析

        林年喜 大邱가톨릭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active situation of a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after enforcing the system of committee, and is to scheme out a plan of activation for an autonomous management of the unit school by analyzing the result of a sphere that had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on education. A primary school developed an instrument to analyze and measure the result about an activity of a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The objects for my study were teachers in primary school in the area of Daegu wide city and Gyungsangbookdo. As 561 persons among 600 persons responded my question, the ratio of collection of papers for question was 93.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rogram of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I produced frequency and percentage to grasp a general character of teachers and enforced the inspection of t-test and F, One-way ANOVA, and x²(Chi-square) to consider teachers' cognition about the influence of a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on school administration. The respondence of teachers about the influence of a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on school administration was as follows. The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didn't have an influence on the extension of autonomy for school. School administration cleared by a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There was no substantiality of administration for a special activity after school by the committee. The committee contributed to open tendency for unit school and didn't monopolize school administration. The influence of a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on teachers and a manager was as follows. The committee reflected teachers' opinion, but the ratio of teachers' participation about school administration was the same. And also the committee didn't make much weak the right of schoolmaster. There were no troubles between teachers and schoolmaster, teacher and teacher by the committee. But teachers' business was increased by the committee. The influence of a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on parents of students and school was as follows. The participation of a parents' association about school administration was positive, and the relation of school and a local society was comparatively strengthen by the committee. But intervention of a parents' association in teacher unjustly increased through the committee. The swish of mothers' skirt on school didn't much increased. The administr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committee was comparatively rational, and considered matters were nicely managed. But there was an inclination for infringement of teachers' authority at a ratio of 52.2%. Especially there was an infringement of the committee against teachers at a rate of 38.8% in the management of educational course. And also there was teachers' discontent against committeemen's nature at a ratio of 15.8%. The positive influence of committeemen was 3.04, and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m was 2.7. Accordingly the management of the committee was on the whole good. There is a need today for a successful settlement of a steering committee for school as a practical sphere of an educational reformation by enforcing the self governing system, a responsible management, and a local course for school education.

      • 기업박물관 운영에 따른 필요성 및 효과에 관한 기초연구

        문성원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는 문화산업이 국가 경제를 선도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많은 기업이 다양한 형태의 문화산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활동 전개의 일환으로 기업 고유의 정보를 지역사회와 공유하고자 ‘기업박물관’ 운영에 참여하는 기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국/공립박물관이 인력과 운영 예산 상의 문제를 들어 지역사회의 요구(Needs)에 부응하지 못하는 반면, 경제력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이 특화 분야에 대한 전문박물관을 설립 운영하게 되면서, 기업과 박물관 그리고 지역사회의 삼각 구도는 상호 협력적이고 보완적이며 효율적인 관계를 갖추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비해 기업박물관에 대한 개념적 정의가 명확하고, 400여개의 기업박물관이 운영되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지리적 환경이 유사한 일본의 기업박물관과 한국의 기업박물관 총 6곳을 선정하여 기업이 박물관을 운영하게 된 계기에서 운영상의 방향성 그리고 이에 따른 효과 및 문제점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박물관은 공기업이 운영하는 경우, 다국적기업이 운영하는 경우, 지역의 대표적인 산업을 이끌어 온 기업의 경우, 공장과 더불어 운영되는 경우, 전 그룹사가 하나가 되어 운영에 참여하는 경우 등 운영 주체 및 운영상의 특이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기업박물관은 현재 상황에 적합한 최선의 정보발신력으로 지역과의 공존에 주력하고 있었다. 그리고 기업박물관은 지역주민이 쉬고, 배우고, 즐길 수 있는 공간 구성을 위하여 노력하며, 새로운 형태의 여가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의 기업박물관이 이상적인 형태를 갖추기 위해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는 1인3역을 요구하는 업무 체계 유지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박물관 또한 여느 박물관과 마찬가지로 박물관장, 학예연구원 그리고 사무, 관리 직원 등 그 역할과 기능은 다양화되었다. 그 중 박물관장은 박물관 조직의 최고책임자로서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여야 하며 동시에 기업과 박물관의 중개역할을 수행하는 막중한 임무를 띠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장은 박물관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경인차 역할을 수행하고 기업의 문화전략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인재이어야 할 것이다. 학예연구원의 기능은 기업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 관리하기 위한 체계를 확립하고 해당 특정 분야의 전문박물관으로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조사 연구활동에 주력하여야 할 것이며, 지역사회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박물관에 적합한 정보발신 수단을 확보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기능상의 체계화가 이루어진 기업박물관은 운영을 통하여 기업과 지역 사회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기업은 자사의 다양한 정보 자료를 보존 관리하고, 기업 수익의 사회환원을 통한 기업 이미지 전환의 기회와 홍보 효과를 창출하게 하며, 상징적 이미지까지도 부여받게 된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지역 구성원의 지적 향상을 가능하게 하고,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게 되며,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게 된다. 우리의 기업박물관이 한정된 인원으로 정보의 보존 관리기능에서 한차원 높아진 새로운 정보발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문박물관이라는 자부심에서 인력구성과 업무방향의 체계화를 꾀해 뮤지엄 매니지먼트를 확립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업박물관이 확보한 정보 그리고 이후로도 수집하게 될 기업 정보가 개인의 소유물이 아닌 지역사회의 공유물이라는 인식이 확립되어, 기업환경의 변화로 존재의 위협을 받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며, 정보가 영구히 보존되고 연구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박물관은 일방적(一方的)인 보여주기를 위한 공간이 아닌 지역사회와 함께 연구하고, 발전해 나가야 한다는 공존의식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기업박물관은 기업과 지역사회가 함께 만들어가는 곳이기에 지역사회가 원하는 박물관상을 찾기 위해 열린 귀와 눈으로 주변을 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박물관은 ‘정보의 공원’이다. 정보의 공원에는 새로운 정보를 찾아 사람들이 모여들고, 커뮤니케이션 해 나갈 것이며, 호기심을 충족하고 이를 통하여 창조적인 사고와 삶의 기쁨을 만끽하게 된다. 기업과 지역사회 모두는 기업박물관을 통하여 이러한 활동을 공유하게 될 것이며, 21세기의 기업박물관은 그러한 의미에서 기업, 지역사회 모두에게 영향력 있는 새로운 공간으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 <운영전>의 서사 공간 이해 교육 연구

        이지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서사에서의 공간의 위상에 주목하여, 공간 범주로 소설을 이해하는 방법을 <운영전>을 중심으로 구안하고자 한다. <운영전>의 핵심 공간인 수성궁은 작품의 주요 무대로 기능하며, 서사의 핵심 갈등과 인물의 심리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서사 구성의 핵심 원리로서 기능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운영전>의 공간적 접근은 <운영전>에 대한 기존의 해석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운영전>의 비극성을 새로운 차원에서 조망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그간 <운영전>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활발하게 다루어진 화두는 안평대군의 성격 규정과 <운영전>의 비극성에 대한 것이었다. <운영전>에 대한 공간적 접근은 안평대군을 중세적, 봉건적 질서, 성리학적 이념을 추구하는 인물로 해석하여 안평대군이 취하는 반중세적 행위들을 해명하지 못한 기존의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방법은 안평대군을 수성궁을 학문의 장으로 삼아 문화적 욕망과 문필적 가치를 추구하는 인물로 바라봄으로써, 안평대군의 열린 태도 및 반중세적 행위들을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운영전>에 대한 공간적 접근은 <운영전>의 비극성을 단순히 운영과 김진사의 사랑 성취의 실패와 죽음으로 인하여 환기되는 비극이 아닌, 수성궁으로부터 벗어나고자 추구한 수성궁 외부 공간에서조차 다시 패배하고 마는 중층적 비극으로 조명하여 <운영전>의 독특한 비극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서사 공간론에서 논의되는 공간의 핵심적인 역할을 도출하여 공간이 서사의 총체적 의미 연관 구조의 핵심 요소로 작용함을 규명하고, 둘째로 도출된 공간의 역할을 바탕으로, <운영전>의 핵심 공간인 수성궁이 서사에서 행하는 기능을 핵심 갈등 구조의 형성, 인물의 성격과 특징 부각, 그리고 비극적 분위기의 환기의 차원에서 살핌으로써 이를 통해 드러나는 <운영전>의 총체적인 서사 세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학습독자의 <운영전> 공간에 대한 이해가 서사 세계에 대한 이해로 확장될 뿐만 아니라, <운영전>의 서사 공간 이해가 학습독자와의 내적 연관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하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 의식과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Ⅱ장에서 서사에서의 공간의 개념을 의미 표상 및 세계 함축으로서의 공간으로 규정하고, 서사에서의 공간의 기능과 역할을 논의한 유리 로트만(J. M. Lotman), 미케발(M. Bal), 그리고 골덴스타인(J. P. Goldenstein), 데종(J. F. De Jong)의 논의를 참고하여, 서사 공간의 기능을 ‘갈등·대립 구조 형성 및 함축, 인물의 성격 및 특징 부각, 작품의 분위기 및 미감 환기’로 항목화하였다. Ⅲ장에서는 <운영전>의 공간 구성 양상을 작품의 배경이 된 실제 공간과 작품 속에 형상화된 공간으로 나누어 객관적으로 살핌으로써, <운영전>의 핵심 공간이 실제 공간을 소재로 하나 작가에의 의도에 의해 변형되어 형상화된 허구적 공간임을 이끌어내었다. 또한, <운영전>의 핵심 공간인 수성궁의 폐쇄적인 속성으로 인해 수성궁이라는 공간 테두리 안팎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 양상을 운영과 김진사의 애정 장애, 안평대군과 궁녀들의 갈등, 서궁과 남궁 궁녀들의 완사(浣紗) 장소 갈등으로 항목화하여 수성궁이 갈등 및 대립 구조의 형성의 요인으로 작용함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갈등을 야기하는 공간에 대해 인물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대응 태도를 보이는가를 분석함으로써, (1)안평대군은 수성궁을 문필적, 미적 세계로 삼아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이중적 인물임을, (2)운영은 애정 성취를 통해 본능적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폐쇄성에 대해 저항하는 인물이자 안평대군의 의리 사이에서 고뇌하는 인물임을, (3)김진사는 수성궁의 극복 불가능성을 인식하고 타인에 의존하는 수동적 인물임을, (4)자란은 수성궁의 폐쇄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인식하여 합리적 성격을 보여주는 인물임을, (5)유영은 황폐해진 수성궁에서 비회의 감정을 느끼고 운영과 김진사의 처지에 공감하여 두 인물과 정서적 관계를 형성하는 인물임을 도출하여, 수성궁이 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부각하는 요인으로 작용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성궁의 공간 구성과 수성궁 옛터의 묘사에 의해 환기되는 비극미와 비회적 정조를 살핌으로써, <운영전>의 공간으로부터 드러나는 비극적 세계의 모습과 그 의미를 규명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추출한 <운영전>의 서사 공간 이해 교육 내용을 토대로 학습독자의 <운영전> 서사 공간의 이해 양상 및 문제점을 살피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최종적인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설정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 1)서사 공간 분석과 공간 구성 방식 파악하기, 2)서사 전개와 관련한 서사 공간의 역할 이해하기, 3)서사 공간을 통해 서사 세계의 의미 구성하기, 4)서사 세계를 공감적·비판적으로 내면화하기의 네 단계를 설정하여 구체적인 활동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사회·역사적 맥락과의 연관 속에서 연구되어 온 <운영전>의 공간을 텍스트 내적 차원에서 세밀하게 살핌으로써 <운영전>의 온전한 이해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독자가 <운영전>의 서사 공간을 단순히 분석적으로 읽어나가는 방법의 차원에서 나아가, <운영전>의 서사 공간을 실제 학습독자의 삶 및 자신과의 연관 속에서 이해하는 것을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진정한 이해 교육으로서의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 관점에 따라 <운영전>의 실제 현실 공간으로 서사 공간의 의미를 밝히지 않고, 공간을 통해 드러나는 서사의 의미와 세계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작품의 배경이 된 실제 공간과 작품 속에 형상화된 공간 사이의 불일치성을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당대의 수성궁에 대한 역사적 고증을 충분히 이끌어내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성궁을 포함한 <운영전>의 전체 공간에 대한 역사적 자료의 검토가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운영위원회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분석

        양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공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초등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취지 및 필요성, 역할 및 운영, 활성화 방안과 관련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의 실태를 파악·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운영위원회가 제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전광역시의 초등학교 8개교의 학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SPSS WIN(ver 12.0)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백분율, χ²검정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취지 및 필요성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학부모와 교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 및 운영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학부모와 교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으로 인한 학교경영에 교사·학부모·지역사회의 의견반영과 참여, 수요자 중심 교육풍토 조성, 소위원회 구성을 통한 안건 심의, 학교운영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인식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으로 학교운영상 가장 큰 변화에 대해 교사는 학부모의 인식변화를 가장 큰 변화로 인식하고 있었고 학부모는 학생의 복지 변화를 가장 큰 변화로 인식하여 그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운영위원회를 활성화 하는데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교사는 학교운영의 자율성 침해와 단위학교의 자율성 확보, 학부모는 학부모의 자발적인 참여와 인식부족과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 필요를 문제점과 개선방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교 학교운영위원의 도입취지 및 필요성, 역할 및 운영,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그 인식의 차이를 교육적 관점에서 좁혀가야 할 과제가 있다.

      • 私學運營의 自律性 伸張을 위한 學校運營委員會 活性化 硏究

        전진수 西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사학의 특성과 현황을 살펴 한국 사학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공공성과 자율성 논의에 기초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원리를 살펴보고, 충청북도 내 사립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 규정분석을 통해 그 운영실태를 파악하여, 한국 사학의 발전과 학교운영위원회의 효율적 정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학은 공공성과 자율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한국 사학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한국 사학이 지닌 구조적 문제와 해결되어야 할 쟁점들은 첫째 사학교육의 특성결여이다. 한국 사학은 독특한 설립이념 및 건학 정신의 승계가 모호하다는 근본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획일성으로 국·공립과 다른 사학 고유의 독특성과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다. 둘째 중등교육의 확대와 보편화에 따른 국가의 공적 관여와 개입 증대로 인하여 사학운영의 자율성은 심각할 정도로 약화되어 있다. 세째 교육여건의 부실문제이다. 교원 1인당 학생수가 국·공립에 비해 높으며 학생 1인당 교지 면적 및 교실확보율, 실험실습실, 도서관 확보율 등이 국·공립에 비해 현저히 저조하다. 네째 사학교육재정의 영세성 및 재정지원 미흡의 문제이다. 이렇듯 한국 사학은 공공성과 자율성이라는 사학의 특성이 조화롭게 발휘되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들을 안고 있다. 충청북도는 학교운영위원회를 설치한 사립학교에 대한 보조금 지급 정책이 발표되면서 전국에서 가장 먼저 도내 전 사립학교에 학교운영위원회가 구성되어 운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충청북도 내 39개 중·고등학교의 단위학교 규정을 분석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은 국·공립과 다른 사립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사립학교는 상위법의 심의 사항이 사립학교법에 명시된 이사회의 기능을 침해한다고 하여, 중요한 심의 사항을 자문기능에서 제외시켰다. 학교헌장 및 학칙의 제·개정, 학교예산·결산 심의, 교원초빙제 등이 그것이다. 반면 재정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학교발전기금 조성에 대한 관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위원선출에서 상위법을 위반하여 비민주적인 절차와 내용을 규정한 사례를 다수 찾아볼 수 있다. 3) 운영위원회 조직에서 임원선출 방법을 구체적으로 규정하지 않은 학교, 임원 선출 규정이 없는 학교, 조례에 의하여 단위학교 규정으로 정하여야 하는 위원의 임기 개시일이나 소위원회의 종류나 운영을 위한 절차 등이 규정되지 않은 학교, 규정은 잘 되어 있으나 실제 선출 시 적용하지 않은 사례가 다수였다. 국·공립과 다른 사학의 특수성을 고려한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의 기본원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의 공공성과 설립의 민간주체에 따른 자율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2)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법인 이사회의 상호위상 및 관련성을 고려한다. 3) 학교운영위원회와 학교법인의 상호협력과 보완기능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상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 사립학교 운영위원회의 성격은 자문기관과 심의기관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게 한다. 학교헌장의 제정, 법인회계예산의 심의, 초빙교원제와 같은 사안은 자문기관을 성격을 지니고, 그 이외의 사항은 국·공립과 같은 심의기관의 성격을 지니게 한다. 2) 위원 구성에 교원위원, 학부모위원, 지역위원과 함께 학교법인 이사회의 추천위원을 포함시킨다. 3) 정보제공 및 활성화를 의무화한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운영에 관한 정보를 교사와 학생, 학부모, 교육청 등에게 보고하고, 학교 홈페이지에 모든 사항을 공개하도록 한다. 4) 운영위원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킨다. 학교운영위원회가 단순한 견제기능이 아니라 학교발전과 교육발전을 위해 존재한다는 점을 위원 모두 충분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5) 학교운영위원회가 이사회와 충돌 시 이를 중재할 제3자적 기관이 필요하다. 6) 사립학교의 자율성과 학교운영의 다양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7) 단위학교 학교운영위원회 규정 제정과 개정에 대하여 관할청의 지속적인 검토와 교육을 실시한다. 상위법을 위반한 잘못된 법규정은 형식적, 비민주적 운영의 모태가 된다. * 본 논문은 2004년 2월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relating to the properties and situations of Korean private schools and to present the principle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 based on the arguments relating to the property of its independence and public. Furthermore, it i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operation with th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regulation in the private school in Chungbuk and suggest a plan to develop the Korean private schools and to make the settlement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 have examined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rivate schools, which have the property of independence and public. They have the problems which are (ⅰ) a lacking of properties to educate at the private school; (ⅱ) a weakening of the properties to be independent in operating the private schools; (ⅲ) a problem of the educational conditions; (ⅳ) a problem of the financial support for the private schools. I analyzed the regulations of 39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buk and examined the situation to operat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The results for this is as follows: Firstly, the func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national and public schools carries out to consider all articles suggested by the higher laws. But the private schools excluded to consider the important items in its functions because the items to be considered disturb the function of board directors which is clarified in the law of private schools.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schools showed much interests in the developing fund for school to overcome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ly, many examples are discovered in non-democratic procedures and contents to violate the higher laws in a election of the committee members. Thirdly, There are schools which do not have the methods for electing officers and the regulations for the working day of committee members, kinds of small committee, and the operational procedures. The basic principles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which is considering their special character, are following. Firstly, they have to consider the independent character, based upon the private main body of establishment as well as the public character of education. Secondly, they have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ard of the school corporation directors and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Thirdly, they have to strengthen the correlative corporation between school corporation and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 will suggest the plan which can activate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to make the application the above basic principles. First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are characterised as both advisory and consultant organization. Second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n the private schools includes the teaches's committeeman, the studensts' parents committeeman, the region committeeman, and the recommendation committeeman by the school corporation. Third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s bound to provide the informations and activate the management. Four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is ought to strengthen the education for the operation committeeman. Fif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needs the third organization which mediates to clash with the board of directors. Sixthly,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guarantee the independent characters and varieties to operate in the private schools. Sevethly, the education for officers are made to examine the regulat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and make its revision of School Administration Committee.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4.

      • 초·중 통합운영학교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 연구 : 충남 서산시 S초·중학교를 대상으로

        김선중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comparison of the cognition of the faculty regarding a variety of topics related to unity schools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Those topics were : the opinions on unified schooling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student counseling; school events; financial management; the method and criteria for electing the principal; social relations among the faculty members of two schools; educational facility; the responses of the local community; the contributions made to the local community; who leads the unity school & what the desirable direction 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specific points were investigated. First, what are the expectations of the faculty (the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dministrator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the unity school?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them, and if so, what are they? Second, what are the actual perceptions of the faculty (the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dministrator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on the unity school?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them?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ctations before unification and actual perceptions of the faculty (the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dministrator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fter unification? Fourth, what are the research's instructions in seeking out improvement of policies related to better operation of unit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was set to studying references to gather knowledge on the unity schools, current status of the unity schools, problems and direction of operations of unity schools, and the expected outcomes. Based on the theories and the outcomes of the previous researches, perception of the key-memb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ethnographic interviews. 15 faculty members of S Elementary School and S Middle School were interviewed before unification. And then 17 faculty members of the unity school of the two schools after unification were interview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of free answering style were given and were collected after 3 weeks as the supplementary data.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various categories to suggest as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pponents against unification was overwhelming after unification although pros and cons were about the same before unification. The opponents thought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operation of the schools after unification. Those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ing curriculum, club activities, independent studies arranged by schools, and unified classes of extraordinary club activities are due to the lack of faculty trained for multi-disciplines, disharmony in the start and the end of different classes, attitude of avoiding support of teaching, differences in school day amongst different grades, unidirectional support asked to middles school,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knowledge between elementary students and middle schoolers. The opponents thought that those problems were so enormous that unified classe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would be impossible. In club activities, the interviewees answered that cooperation of classes would be feasible in certain departments, and the examples were art and sports classes. Second, there was change in perception on counselling of students between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Unification did not cause particular difficulties in guiding students. It was effective to counsel the students showing improper attitude because of shared information on students' behaviors. These were opposite to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faculty of the elementary school before unification. Third, it was desired that the principal would be elected in turn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middle school. Interviewees wanted that the principal elected should be able and qualified to operate the unity school. The difficulty in building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faculties of two schools were turned out to be due to differences in emotional aspect, culture, and customs. Therefore, it will be desirable to operate the meeting for friendship in two different ways: one for the whole and the other for the subgroup of each school. Fourth, the educational facility was considered satisfactory. However, the interviewees thought that financial resources were wasted because the beneficiaries of the facility are few due to the small number of the students. The size of the school was considered unnecessarily large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which creates serious finan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management of the facility and hibernation. Special financial support is requir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members of unity school possess negative perception on operating unity schools. Therefore, there should be legal and institutional actions for improvement in the level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o continuously carry out the policies of unity schools and to effectively operate already unified schools.

      • 學校運營委員會의 運營에 關한 硏究

        장옥연 明知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chool Governance Committee is an organization that consists of parent members and local celebrities who participate directly into the school management to practice an education that relevantly fits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local area along with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in order to pursue an educational diversification for the creativity and spontaneousness of the school manage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resides on the successful abstraction of the fundamental data that are necessary for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Committee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cognitions and opinions about the Committee of the parent members and faculty members. The details for an effectiv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Examination on the degrees of basic cognizance about the Committee. 2. Analysis on the true-picture of the Committee operation and drawbacks of the Committee. 3. Analysis on prospective project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mittee operation. To perform the study, we first established a theoretical basis by synthesizing related treatise and previous studies and created a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the theory. After distribution and retrieval of questionnaires from 250 faculty members and 200 parent members of the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number of the effective repliers came out to be 233 faculty members(93.2%) and 183 parent members(91.5%). The followed are summarized results that we obtained from analysis after careful examining process. First, the degree of cognizance of the Committee turned out to be higher in male faculties from faculty group and higher in parent representatives and parents with relatively higher age from parent group. Second, a number of faculties and parents express low concerns towards the Committee. And especially those who are not representatives and who are of younger age in. faculty group showed relatively low interest. Third, in appointment process of Committee members, the active exercise of authority from parents is relatively low so that when electing Committee members a pertinent publicity was not made which represents the presence of problems in representativeness of parent members. Fourth, it turned out to be vital to provide necessary circumstances for an exchange of ideas and opinions among faculties and parents through utilizing the Committee as the means of school development and facility for opinion-trade. Fifth, a positive effort is required for the Committee to be operated by electing professional and competent members. Sixth, a various effort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parent members into the Committee is necessary by enlarging participation methods along with participation chances. Seventh, for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Committee, a solid pursuit for the device of spontaneous endeavor and participation is necessary for the vitalization of the Committee by maintaining the state of magnified publicity and participation so that both faculty and parent members can have positive interest in the School Governance Committee. Based on these conclusions, we offer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Committee to be operated efficiently. First, a persistent publicity should be made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managerial participation of the most of the non-members of the Committee. Second, to increase the representativeness and professionalism of the Committee members, a device should be searched which can vitalize the faculty committee that will collect the teachers' opinions, a parent committee that will collects the parents' opinions, a professional subcommittee according on consideration. Third, by inducting incentive system among faculty members, it will be possible for professional and interested teachers to participate positively and actively. Fourth, It is very important to inform considerations in details and in advance so that the School Governance Committee will not be a perfunctory meeting. And also even for the parents of the shims who are not members, a regular informations and notices will give them a chance to exchange informations an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about school education.

      •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 책임운영기관 공무원의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장보웅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 향상을 위하여 책임운영기관 소속공무원들의 인식을 통한 대응성 제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책임운영기관’이란 ‘정부가 수행하는 사무 중 공공성을 유지하면서 경쟁원리에 의거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한 사무에 대하여 책임운영기관의 장에게 행 · 재정상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그 운영성과에 대하여 책임을 지도록 하는 행정기관’으로 영국, 뉴질랜드, 캐나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오는 정부 형태다.책임운영기관은 보다 질 높은 행정서비스를 창출하여 고객(시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새롭게 도입된 혁신적인 정부 모델이다. 이는 기존의 경직적인 정부운영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정부의 조직 ·인력 및 예산의 탄력적인 운용을 통하여 행정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0년도부터 도입하여 실행해오고 있다. 그리고 책임운영기관의 도입 목적인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을 제고시키는 것이 가장 주요한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무원 인식요인’과 ‘책임운영기관체제에서의 대응성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공무원 인식요인은 ‘제도적 측면’,‘조직 · 인사측면’,‘업무 효율성 측면’으로, 책임운영기관체제에서의 대응성 요인을 ‘고객 만족도’,‘업무의 신속성’,‘접근 가능성’,‘고객 참여도(개방성)’,‘구제보상수단 활용가능성’으로 나누어 분석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한다. 첫째, 책임운영기관의 운영이 고객(시민)에 대한 대응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책임운영기관 공무원의 근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대응성이 높아질 것이다. 셋째,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고객참여가 적극적일수록 대응성을 향상시킬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를 거친 뒤, 책임운영기관체제에서의 대응성과 소속 공무원들의 인식도를 살펴본 뒤에 그 결과를 분석 · 정리하고 시사점을 통하여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 제고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본 연구의 2장에서는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과 관련된 이론적인 논의를 통하여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 개념과 구성요소를 분석한다. 그리고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 확보에 대하여 검토한다. 3장은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 제고에 있어서 공무원의 의식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항목으로서 책임운영기관 소속 공무원의 의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사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가설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에서 도출된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 제고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우선 먼저 책임운영기관 운영 및 업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기관장과 소속 공무원들 간의 열린 대화와 의식혁신 교육이 요구된다. 셋째, 책임운영기관 공무원들에 대한 인센티브제의 확대 및 향상이 절실하다. 넷째, 고객(시민) 중심의 서비스와 개방성의 확대를 해야 한다. 다섯째, 고객만족도에 대하여 다양한 on-off 설문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5장은 결론 및 함의로서 책임운영기관의 대응성 제고방안을 통해 바람직한 책임운영기관 운영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