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 분노 및 용서에 미치는 효과

        강순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 분노 및 용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으로써,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위치한 J병원 단주자조모임에 참여 중인 알코올중독자 19명(실험군)과 B병원 단주자조모임에 참여 중인 알코올중독자 19명(대조군)으로 총 38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11월 26일부터 2014년 2월 14일까지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인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Enright(1996)의 용서과정 모형에 근거하여 개발된 김광수(1999)의 용서교육 프로그램, 박희룡(2009)의 용서상담 프로그램, 김영호(2006)의 용서집단 프로그램과 문헌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자아존중감, 상태-특성분노, 용서 및 자기용서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Version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χ²-test, Kolmogorov - Smirnov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4.13, p = .001) 2. 제 2 가설 :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분노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10.44, p = .001) 3. 제 3 가설 :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특성분노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t = 1.51, p = .138). 4. 제 4 가설 :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용서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7.31, p = .001). 5. 제 5 가설 :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용서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 = 4.78, p = .001).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 용서 및 자기용서를 높이고 분노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용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알코올중독자의 건강한 단주생활과 재발예방 및 정신사회재활을 위한 유용한 간호중재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용서신념과 층간소음에 대한 용서행동 간 불일치와 부정정서의 관계에서 자기모니터링과 사적 자의식의 조절효과

        김주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s of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crepancy between forgiveness beliefs and forgiving behavior towards floor noise pollution and negative emotion, an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monitoring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The author administered the Forgiveness Belief Scale, the Floor Noise Forgiveness Situation Scale, the self-monitoring Scale, and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cale to 206 (female 153, male 53) adults living in multiunit housing. Consistent with prediction, results revealed that private self-consciousness strengthened the link between discrepancy between forgiveness beliefs and forgiving behaivor towards floor noise pollution and negative emotion. However, contrary to prediction, self-monitoring didn’t moderate the relation. The limitations and intervention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forgiveness, forgiveness belief, floor noise, negative emotion, Self-monitoring, private consciousness 본 연구에서는 용서신념과 층간소음에 대한 용서행동 간 불일치와 부정정서의 관계에서 자기모니터링과 사적 자의식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남녀 성인 206명(여성 153명, 남성 53명)을 대상으로 용서신념, 층간소음 용서상황, 자기모니터링, 사적 자의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서에 대한 긍정적 신념과 층간소음에 대한 용서행동의 불일치가 클수록 층간소음으로 인한 부정정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서에 대한 긍정적 신념과 층간소음에 대한 용서행동의 불일치가 층간소음으로 인한 부정정서에 미치는 효과는 사적 자의식이 높을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용서에 대한 긍정적 신념과 층간소음에 대한 용서행동의 불일치와 층간소음으로 인한 부정정서의 관계에서 자기모니터링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용서에 대한 긍정적 신념과 층간소음에 대한 용서행동의 불일치가 클수록 층간소음으로 인한 부정정서가 높아지며, 이 두 변인의 관계에서 사적 자의식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용서, 용서신념, 층간소음, 부정정서, 자기모니터링, 사적 자의식

      •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목회자 부인들의 용서, 분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윤영숙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목회자 부인들의 용서, 분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 (오오현, 2001)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교파적으로 목회자 사모세미나에 모인 100명의 목회자 부인들을 대상으로 사전용서 검사지를 실시 한 뒤 대인관계에 상처 경험이 있으면서 상처의 정도, 심각성, 부당성 점수의 합이 10점(4-16범위) 이상이고, 집단에 참가하기를 희망한 사모들 22명이었다. 실험집단은 2004년 5월 14일부터 2004년 7월 2일까지 총 8주간 8회기, 매회기 120분씩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용서, 분노, 심리적 안녕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10.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질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 경험 보고서와 행동 관찰을 활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대한 평가 질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이 목회자 부인들의 용서수준은 통계적으로 향상되었고, 분노정도는 의미 있게 감소되었다. 심리적 안녕감에는 6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개인적 성장 등 4가지 항목에서는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대인관계와 삶의 목적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목회자 부인들이 겪는 여러 가지 억압된 감정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므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ristians on forgiveness, ang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nisters’ wiv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Oh Oh-hyun’s(2001) forgiveness counseling program for christians was constru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 ministers’ wives drawn from 100 ministers’ wives who showed above the total score of 10 out of 16 on the three subscales, that is, the degree of being hurt, its severity, its unfairness, of the forgiveness test and reported the length of being hurt as longer than 1 week.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ight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were administered from 14th May 2004 to 2d July 2004. Each group was administered pre-tests and post-tests of forgiveness, ang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SPSS 10.0 program.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n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alculated and the effects were examined by ANCOVA. In addition,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s qualitatively, open ended questionnaire and following-up repor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forgivenes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anger. It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4 subscales out of 6 subscale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and personal growth. Its seems like ministers’ wives have many kinds of deep stress, but they have no chance to learn how to cope with stresses.

      • 수용-전념 치료를 적용한 용서의 과정 연구

        김기은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용서는 의지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에 많은 과정을 필요로 한다. 피해자가 상처로 인한 고통에서 자유해지고, 가해자와 자신을 용서하려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본 논문은 문헌과 선행 논문들을 통해 용서의 과정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6명의 학자들이 말하는 용서의 과정들을 정리한다. 학자들이 제안한 용서 과정들의 특징과 한계점을 논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수용-전념 치료를 대안으로 제시한다. 수용-전념 치료는 인지행동치료의 제3세대 모델로서 수용의 과정과 전념의 과정을 포함한다. 그것은 고통을 회피하거나 통제하지 않는다. 고통을 있는 모습 그대로 바라보는 탈융합을 통해 고통을 수용하도록 권한다. 그리고 자신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향해 전념함으로써 삶을 생기 있게 살아갈 것을 요청한다. 중요한 것은 이 수용 과정과 전념 과정을 위해서 자신과 타인을 맥락적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융합, 인지적 탈융합, 수용, 기꺼이 경험하기, 맥락으로서의 자기, 가치 명료화, 전념에 대해 설명함으로 수용-전념 치료의 이해를 돕는다. 본 논문은 수용-전념 치료를 용서의 기술로 적용하여 기존의 용서 과정의 한계점을 보완한다. 수용-전념 치료를 적용한 용서의 과정을 다음의 5단계로 분류하여 제시한다. 첫 번째 과정은 분노하기, 두 번째 과정은 처참한 피해 살피기, 세 번째 과정은 인지적 탈융합과 수용을 통해 고통을 놓아주기, 네 번째 과정은 맥락으로서의 자기이해로 가해자를 놓아주기,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과정은 가치에 부합하는 삶에 전념하기다. 수용-전념 치료는 용서를 목적으로 하는 과정이 아니다. 용서가 되지 않고 분노가 사그라지지 않을 때 분노를 수용하며 자신의 가치에 전념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용서의 과정을 걸어가는 도구다. 수용-전념 치료를 포함한 용서의 과정은 피해자가 자신의 고통과 가해자의 입장을 수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피해자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가치에 전념하는 삶의 태도까지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상황 속에 처해 있는 피해자들이 용서의 과정을 걸어 나가는데 힘과 방향의 지혜를 얻어 자유를 누리게 되길 소망한다.

      • 용서성향과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의 관계: 면책귀인의 매개효과

        김애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용서성향과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의 관계에서 층간소음에 대한 면책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남녀성인 219명(여성 150명, 남성 69명)을 대상으로 용서성향, 층간소음에 대한 면책귀인,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서성향과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서성향과 면책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수귀인과 통제 외 귀인은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매개모형 검증 결과, 용서성향과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 사이에서 실수귀인과 통제 외 귀인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용서성향과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의 관계에서 층간소음에 대한 면책귀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루었다. 주요어: 용서성향, 층간소음에 대한 면책귀인, 층간소음 중지요구행동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mediating effect of not-their-faults attribution between forgiveness and floor noise complaints. The author administered the Heartland Forgiveness Scale (HFS), the Floor Noise Not-Their-Faults Attribution Scale, and the Floor Noise Complaints Scale to 219 (female 150, male 69) adults living in multiunit hou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giveness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loor noise complaints. Second, forgive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ot-their-faults attributions. Third, mistake attribution and out-of-control attribution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floor noise complaints. Fourth, mistake attribution and out-of-control attribu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giveness and floor noise complaints.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forgiveness, not-their-faults attribution for floor noise, floor noise complaints

      • 범죄피해자의 용서에 관한 형사정책적 고찰

        장석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용서 개념은 오래 전부터 여러 문헌에서 자주 표현되고 논의되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용서의 기능과 역할이 언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야 사회과학의 연구가 시작되면서 이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용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은 용서개념에 대한 정의(definition)와 연구, 용서의 법철학적 이해, 용서의 모델, 용서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분석, 정치적 범죄에 대한 용서, 용서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등으로 본격화되고 있다.지금까지 이루어진 용서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들은 용서가 범죄로 말미암아 입은 부당한 상처를 치료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며, 바람직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루어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내적 성장과 정서적 건강 및 대인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인간적 능력으로 인정되는 용서가 교육적·치료적 적용을 통하여 증진될 수 있는 형사 피해자학적 목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사람들의 용서 형태에 차이가 있고 이러한 차이에 따라 용서하는 방식이 달라지며 이러한 용서 형태가 발달해 나간다는 주장과 이에 대한 경험적 지지는 사람들이 진정한 용서를 통해 상처를 치료하고, 내적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용서 형태를 점검하고 성숙한 용서 방법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용서교육을 받기 전에는 사람들이 범죄 피해로 말미암은 문제해결을 위해 용서를 가능한 해결전략으로 고려조차 못하는 점과 상처를 경험한 사람이 용서를 하겠다고 말하거나 용서하기로 결심한다고 해서 용서가 저절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범죄피해자 지원 차원에서 용서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진다.용서 프로그램은 일회적·단기적 대처와는 달리 보다 근본적인 범죄피해자 원조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범죄피해자들에게 용서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용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다. 정의로운 판단과 더불어 돌보고 베풀어 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용서는 정의로운 판단에 기초하되 범죄의 상처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용서가 개인 내적인 변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지만 그러나 그러한 변화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외부 환경요건의 영향을 결코 무시할 수가 없다. 용서과정을 촉진시키는 개인 외적 환경요인을 강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의 현행 형사사법제도는 용서를 위한 실제적인 공간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본질상 우리의 형사소송절차는 가해자들이 자신들의 범죄를 어떻게든 부인하게끔 만들고 있으며 피해자와 가해자를 분리시켜 적대적인 관계를 지속시킬 뿐만 아니라 발생한 범죄사건에 대한 공통된 이해와 건설적인 해결책 모색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신체범 피해자나 유족이 가해자로부터 손해배상금 또는 합의금을 수령한 후에는 공포감 또는 가해자를 중벌에 처해야 한다는 보복감정이 완화되고, 용서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고 한다. 심지어 합의 또는 손해배상에 관하여 가해자와 대화하는 것만으로도 용서의 감정이 싹튼다고 한다. 재산범의 경우에도 피해금품의 반환이 피해자의 보복감정과 증오심을 완화하고 용서의 감정을 갖게 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배상과 화해는 피해자의 경제적 손실을 회복하는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그가 입은 심리적 외상의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용서과정을 촉진시키는 개인 외적 환경요인으로써 법제도적 차원에서 피해자에 대한 배상과 화해를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는 회복적 사법(restorative justice)의 형사사법체계로의 적극적인 도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용서와 내적치유의 상관관계

        신용준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용서와 내적 치유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효과적인 용서 의 방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은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여러 가지 갈등과 상처를 경험한다. 부정적인 대인관계 갈등경험으로 상처를 받았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며, 상처에 따른 분노 등의 부정적 감정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필자는 사역하고 있는 교회에서 여러 성도들을 만나는 가운데 상처를 안고 살아가며 몸에 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되었다. 종종 그 가운데 상처를 회복하고 몸이 건강하게 되는 경우도 보게 되는데 이는 미움의 관계에 있던 사람을 용서하고 나서 생기게 된 변화였다. 이와 갈은 실제 사례를 이론적으로도 정리하고 더욱 많은 성도들이 용서를 통해 치유를 받기를 소원하고 싶은 마음에 이 연구를 하고자 한다. 선교 현지에서도 사역 보다 중요한 것이 선교사와 현지인과의 관계라고 생각한다. 또한 선교 현지에서의 선교사들간의 갈등도 무시하지 못할 상황이다. 따라서 선교사들에게도 용서를 통한 내적 치유의 도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용서와 내적치유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This research studies corelation between forgiveness and inner healing and searches methods of effective forgiveness. People from children to the aged experience several conflicts and wounds somewhat in the various human relations. It is necessary to worry about how to react on the wounds of negative human relationship and conflict experiences, how to treat negative feelings like anguish from wounds. I saw several people in many cases in the churches suffering physical diseases in the lifes of wounds. Sometimes I saw people recover from the suffering and be healthy. Its change come from the forgiving others who are in the hating relations. I think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 relation missionaries with natives than ministries. And the troubles between missionaries become issues in the mission fields. Therefore I researched a corelation between forgiveness and inner healing to challenge missionaries with inner healing through the process of forgiveness.

      • 대학생의 가족용서용서동기 및 용서성향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김수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가족용서, 공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용서동기 및 용서성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가족용서와 용서동기 및 용서성향 간의 관계에서 공감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의 대학생 39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들은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용서의 하위 요인인 회복과 공감의 하위 요인인 인지공감이 용서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용서의 하위 요인인 개방성과 회복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재평가가 용서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은 가족용서와 용서동기 간을 매개하였다. 넷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가족용서와 용서성향 간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족용서가 용서동기 및 용서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감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각각 다르게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용서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개입방법을 시사하고 있다.

      • 용서증진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용서,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미선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용서증진프로그램을 통해 중학생의 용서, 공격성 및 또래관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하였다. 용서증진프로그램은 Enright & Human Development Study Group(1991)의 용서 과정 모형과 김광수(1999)가 개발한 용서프로그램을 토대로 하 고 청소년용으로 구성된 선행연구논문을 재구성하여 예비프로그램을 시행 후 상담심리전문가의 감수를 받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본 프로그램을 서울시 소재 남자 중학교에서 협조를 얻어 실험집단에게 주 1회, 매회 90분씩 총 8회 기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사전-사후-추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 남학생들에게 용서증진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용서증진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용서증진프로그램을 통해 중학교 1학년 남학생들의 공격성의 낮추는데 유의한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거나 정서·행동발달 위험군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연구 빈도가 낮고 진로와 학업에 스트레스를 받아 학교부적응과 잠재적 비행행동을 야기할 수 있는 일반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내적치유와 공격성을 낮춰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용서증진프로그램이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더불어 자유학기제의 학교기반 SEL로 용서증진프로그램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주님의 기도에 나타난“용서”의미 연구

        김요한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Lord's Prayer is shown differently in Matthew and Luke. Especially the Lord's Prayer of Matthew emphasizes the theme of "forgiveness". In this paper I will represent what "forgiveness" means in Matthew and aim at what the special meaning of "forgiveness" is in the Lord's Prayer. In chapter 1 I found Mt. 6,5-15 is the core part of Beatitude a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comparative body, Mt. 18,21-35 in terms of the theme. I came to know the community of Matthew Gospel is the Jewish and Christian community which has the background of the Old Testament and Judaism and his interest is in the new life of the disciples for the Kingdom of God. In chapter 2 I presented in the Lord's Prayer the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God and its realization on the earth was expressed eagerly. In "Thy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the completed Kingdom of God is coming down to on earth. Bread, forgiveness, overcoming of temptation and delivery from evil show that it is the disciples' prayer who want desperately the Kingdom of God and are living in it. Especially "forgiveness" is shown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he disciples hope. In chapter 3 I showed the meaning of forgiveness expressed in the parable of the Unforgiving Servant. Because God forgave us in an endless way we have to forgive other people. The reason for forgiving other people is the forgiveness of God and the precondition for being forgiven by God. As we saw two bodies in chapter 2 and 3 there is commonality in terms that in Matthew the prayer, forgiveness of human beings is connected with the forgiveness of God. Through the parable of the Unforgiving Servant we can get the fruitful meaning like the motivation of forgiveness, its character and importance hidden in the Lord's prayer. Through the comparison of Luke and synoptic Gospels Matthew emphasizes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should be revealed more fully in a concrete life. I represented the disciples should live the life of forgiveness for the Kingdom of God in chapter 4. Until chapter 4 the meaning of forgiveness shown in the Lord's Prayer has the uniqueness and richness. In chapter 5 By looking at the meaning of forgiveness expressed in the Old Testament and Judaism I could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theological meaning of forgiveness. First of all, the forgiveness in the Old Testament makes the ultimate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people possible and means the activity of God. The prayer in Judaism has in formal common with the Lord's Prayer which has the similar petition. However, they are different in the light of the connection of God's forgiveness and human beings' forgiveness. The Lord's Prayer borrowed the form of Judaism and was the new prayer for wishing the Kingdom of God. By comparing the forgiveness of the Old Testament and Judaism with the Lord's Prayer we can know the forgiveness shown in the Lord's Prayer is the important duty of disciples in relation to the forgiveness of God. And we can know the forgiveness has been developed into the human behaviors. The Lord's Prayer coming from Matthew's intentional edition in Jewish Christian community is the core part of Beatitude and the prayer of community praying for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The Lord's Prayer which stresses the forgiving life of disciples who have to live the Kingdom of God was added by the parable of the Unforgiving Servant in terms of the endlessness, completeness, the motivation and importance of forgivenes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Gospel of Luke and synoptic Gospels the Lord's Prayer show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Kingdom of God and forgiveness. In the Lord's Prayer the forgiveness of human beings is the precondition for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The forgiveness expressed in the Lord's Prayer is the essential part of life of disciples who are living for the Kingdom of God. It is the motivation that makes the community life possible. Different from the Gospel of Luke, the Old Testament and Judaism it is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The forgiveness is a true part of life for the Kingdom of God where the will of God should be fulfilled in the lives of the disci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