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30대 여성들의 외모인식과 화장품 실태에 관한 연구

        이민아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문화적으로 20∼30대 여성에게 요구되는 미적 기준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외모관리 행동을 하고 있다. 외모관리행동으로 패션, 운동, 성형 및 시술, 헤어스타일링, 피부와 손톱 관리, 메이크업 등 다양한 분야로 나눠지고, 이중 외적으로 여성 개인이 원하는 방향에 맞춰서 빠르게 변화를 줄 수 있는 방법으로 화장행동이 있다. 20∼30대 여성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외모관리 방법이 화장행동이기 때문에 화장품 구매와 사용이 많아지면서 화장품 산업도 매년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요구하는 미적 기준에 맞춰 20∼30대 여성들의 외모인식과 화장품 사용과 구매실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20∼30대 여성들을 연령, 학력, 직업, 결혼여부, 월 평균 외모관리 비용별로 나누어서 모바일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0년 4월 1일 ∼ 4월 29일까지 총 29일 동안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총 430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불성실한 답변 30부를 제외한 40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5.0을 사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여성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를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여성의 외모 인식, 화장품 구매와 실태, 화장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 χ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여성들의 외모관리를 위한 메이크업 정도는 풀 메이크업을 하는 여성이 69.8%로 나타났으며, 일주일을 기준으로 화장행동을 매일 한다는 여성은 35%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여성들의 사회활동 증가와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풀 메이크업을 하는 여성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피부관리 여부에서 피부관리를 한다는 여성은 65.8%로 외모관리를 위한 미용 투자가 전혀 아깝지 않다는 여성이 32.5%, 기회가 된다면 성형 및 시술을 하겠다는 여성이 75.8%로 나타났다.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과거와는 달리 낮은 연령대인 여성들도 피부 관리를 하고 있고, 성형 및 시술이 일반화 되면서 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여성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모관리를 위한 화장품 구매를 선호하는 여성은 76.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월 평균 2∼3회 제품을 구매한다는 여성이 49.2%, SNS(인스타그램, 페이스북)를 통한 제품 구매가 4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품의 구매 종류는 립 제품이 46.6%로 가장 높았으며, 구매 시 품질이 중요하다는 여성은 44.3% 로 나타났다. 저가와 고가 화장품의 효능 인식은 보통이라고 응답한 여성은 50.0%이며, 고가 화장품 선호 여부에서 선호하지 않는다는 57%로 절반 이상 차지하였다. 이를 통해 20∼30대 여성들의 화장품 구매 행동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화장행동의 차이에서는 월 평균 외모관리 비용이 15∼20만원 미만인 여성이 화장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5만원 미만인 여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외모관리를 위한 화장행동은 월 평균 외모관리 비용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30대 여성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화장행동, 화장품 구매와 같은 외모관리 행동을 하고 있었으며, 고가 화장품을 선호하지 않았고, 화장품의 성분과 같은 품질에 중요성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장품 구매 시 정보를 습득하는 경로는 20대 여성에게는 SNS(인스타그램, 페이스북)가, 30대 여성에게는 인터넷(블로그, 카페)이 외모관리를 위한 화장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화장품 업체에서는 제품의 성분과 같은 품질에 대해 광고를 하면서 여성들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주고, 연령대에 맞는 매체를 이용해 활발한 광고를 하면서 여성 소비자의 특징에 맞춘 제품 마케팅을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가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사료된다.

      • 외모관리행동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 광주광역시 대학생을 중심으로 -

        박소애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외모관리행동은 의복 관심, 체중 관리, 헤어 관리, 피부 관리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의 4개 차원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2개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2는 기각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3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의복 관심 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외모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헤어와 피부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제공하는 것이 외모만족도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이 자신이 외모를 관리하더라도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영향관계가 무관함으로 말하고 있다. 셋째,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중 의복 관심 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헤어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소 자신의 의복에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학생일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 가능성이 높으며, 평소 자신의 헤어와 피부에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학생일수록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높은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의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심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외모관리행동의 헤어와 피부가 외모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으므로 헤어와 피부는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외모 표현 수단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외모 만족 행동의 헤어와 피부, 의복은 각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미용 분야에서의 외모관리행동의 중요성을 시 사 하는 것으로 향후 대학생들을 위한 외모관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외모관리행동, 외모만족도, 자아존중감 This research verified that university student’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fluence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stitutes four aspects which are interest in clothing, weight management, hair style management, and skin care while self-esteem consists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To be more specific, the four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igured out what influences was brought to appearance management and both low and high self-esteem. The following paragraphs briefly explai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Firstly, becaus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partially influenced appearance satisfaction ,the fist hypothesis was only partially accepted correct. To be more detailed, the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con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id not bring meaningful influence on high self-esteem rendering the second hypothesis to be rejected.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howed partial negative influence toward self-esteem which makes the third hypothesis partially accepted. To put it more specific, behaviors of being interested in cloth gave negative influence toward low self-esteem, while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s gave positive influence on low self-esteem. The following paragraphs explain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Firstly, university student’s two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ir management behavior and skin care behavior, showed positive result toward appearance satisfaction. Therefore, when providing services of appearance management, the hair and skin should be considered as key factors when creating or providing services since it will be an efficient way to make appearance satisfaction most effective. Secondly, the result showed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did not give meaningful influence to high self-esteem. These results in the end, showed that managing one’s appearance did not have any effects on creating high self-esteem which also means that there is not relation between high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irdly, results also showed that, behaviors shown by being interested in clothing, which is one of the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gave negative influence toward low self-esteem, while hair management behaviors and skin care behaviors gave positive influence on low self-esteem. This means that, university students who focuses on managing their cloth from being interested in clothing is more likely not to have low self-esteem while, students who is generally interested and takes care of their hair style and skin care most likely has low self-esteem. Thus, in order to decrease having low-self este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nd have interests in clothing. In conclusion, the two asp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mong the four aspects, hair and skin care, has meaningful influences on appearance satisfaction, which also shows that hair and skin care is being utilized to show important expression by the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o this, the three aspects among the fou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ir, skin care, and clothing behaviors, each has positive and negative influences on low self-esteem.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statements suggest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s important in the field of Beauty. Thu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research for university student is needed. Key terms :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self- esteem

      • 외모 관리 :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신체

        김해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자기애적 성격성향에 대해 알아보며, 이러한 성향에 따라 나타나는 외모관리 관여도를 살펴보고,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현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외모관련 사업에 있어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수립과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자대학생의 자기애적 성격성향을 알아본다. 둘째, 여자대학생의 외모관리 관여도를 알아본다. 셋째,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외모관리 관여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실증연구는 1차 예비조사, 2차 예비조사, 본조사의 세 단계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다. 1차 예비조사 단계에서는 외모이미지관리 문항과 일반적인 식음습관, 생활특성, 피부관리 행동 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의류직물학과 전공 대학원생 20명에게 문항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애적 성격성향과 외모관리관여도, 외모관리행동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전공 대학생 90명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본조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조사 단계에서는 여자대학생 450명에게 설문지법이 실시되었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11.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분산분석(ANOVA), t-test, ··^(2)-test, 회귀분석, Multiple response test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연구 대상자의 자기애적 성격성향의 평균은 3.18이었고, '고 집단'이 평균 3.63이상인 67명(15.7%), '저 집단'이 평균 2.72이하 63명(14.8%), '중 집단' 297명(69.6%)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는 전공은 생활계열, 가장의 직업이 경영관리직인 집단과 한계절 의복지출비용, 한달 피부관리비용, 가정의 총 월수입이 많을수록, 사회계층은 상류층 일수록 자기애적 성격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만족도는 '만족' 집단이 98명 (23.0%), '보통' 집단이 276명(64.6%), '불만족' 집단이 53명(12.4%)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계는 가정의 총 월수입이 '1000만원 이상'인 집단과 사회계층이 '상류층'인 집단이 신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특성별 만족도는 '키와 몸무게'의 신체적인 비례에 가장 만족하고 있었으며 신체 부위로는 '얼굴부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외모관리이미지 요인으로는 신체관리와 의복관리로 분류할 수 있고, 중요도는 신체와 의복 중 의복을 통한 이미지 관리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에는 신체관리와 의복관리로 구성되어있고, 의복을 이용한 관리 방법을 더 선호하였다. 여대생의 신체를 직접적으로 통제하는 식음습관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하루 식사횟수 '3회', 곡식류를 가장 선호하며 과일1개, 초콜렛 1개이하, 물 500ml이상∼1000ml미만, 우유 1잔∼2잔, 커피는 1잔∼2잔 마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흡연과 음주는 하지 않는 사람이 많았다. 또한 비타민은 '복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여대생의 피부관리행동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일상적인 피부관리 행동은 하루 평균 '2회'세안, 세안시 '세안전용 제품만을 사용'하며 '미지근한 물'을 사용하고, 80%정도가 '각질제거'를 하고 있으며, '팩과 맛사지'를 하고 있다는 응답자도 70% 정도로 나타났다. 화장 횟수는 일주일에 '1회∼2회'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클린징 폼'을 사용해 지우며, 70%정도가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전문적인 피부관리행동으로는 피부관리실 이용경험이 있는 사람이 155명(36.3%), 경험이 없다는 사람이 271명(63.5%)로 나타났다. 피부관리실을 무경험의 이유는 '피부관리실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보지 않았다', '비용이 비싸다',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대생들을 '전문 피부관리실' 보다 '피부과 병원'을 더 선호하고 있었으며 '얼굴관리'를 가장 받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관리에 관한 정보는 '친구·가족·친지'에게로부터 가장 많이 얻고 있었다. 셋째, 자기애적 성격성향이 높을수록 외모관리 이미지 중요도, 신체만족도, 신체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부위별 중요도와의 관계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얼굴'부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나타났다. 자기애적 성격성향의 '고 집단'의 인구통계학적인 분포는 연령은 20세∼21세가 25명(37.3%)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학년은 고학년(3, 4학년), 전공별로는 '인문계열', '예체능계열'의 수가 각각 20명(29.9%), 19명(28.4%)으로 높았다. 가정의 총 월수입은 '500만원이상∼1000만원미만', 가장의 직업으로는 '경영관리직'이 가장 많은 수를 나타내었고, 거주지역은 '강남생활권'에 거주, 사회계층으로는 '상류층'이 가장 많은 수를 보였으며 한 계절 당 평균 의복 지출비용은 '20만원이상∼50만원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신체만족도 분포는 '만족' 집단이 27명(40.3%), '보통' 집단이 36명(53.7%), '불만족' 집단이 4명(6.0%)로 나타났다. 일상 생활 습관에 있어서는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수면시간이 불규칙하며, 변비가 있고, 생리가 불규칙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면에 신체관리의 직접적인 방법인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으며, 긍정적으로 생각하려 하고, 항상 웃는 얼굴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이나 화장품 사용시에는 자신과 맞는 제품인지 꼼꼼히 더 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음습관에서는 '과일'을 좀더 많이 섭취하며, '물'을 조금 더 많이 마시는 경향이 있으며 '비타민'을 복용하는 사람이 전체집단에 비해 10%정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피부관리실 무경험의 이유를 조사한 결과에서 '비용이 비싸다'가 14명(3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 피부관리실'에서의 관리를 더 선호하고, '얼굴 관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루키즘이 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운동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휴먼이미지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정유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재 우리는 이미지개선을 위해 외모관리행동과 운동소비행동을 하며 산다. 여성의 루키즘은 삶의 영역을 넘어 사회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인식으로 형성되어왔다. 하지만 휴먼이미지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변화하는 시대에서 루키즘이 부정적 측면 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측면에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여성의 루키즘이 외모관리행동과 운동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가치를 매개효과로 분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들은 자신과 유사한 대상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고, 외모관리에 대해 관심을 갖고 노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모관리행동, 운동소비행동, 개인가치의 향상을 위해서는 올바른 루키즘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며, 개인가치에 따라 외모관리행동과 운동소비행동을 하는 목적과 목표가 다양하게 표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루키즘, 외모관리행동, 운동소비행동, 개인가치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휴먼이미지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운동소비행동을 예측하는데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운동소비행동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긍정적 루키즘에 대한 인식은 올바른 개인가치를 형성하고 외모관리행동과 운동소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밝힌 의의를 갖는다. 휴먼이미지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루키즘은 향후 다양한 휴먼이미지를 제시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루키즘을 통한 여성의 외모관리행동과 운동소비행동이 개인과 기업에 경쟁력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rom a human image designer’s perspective, in the era of rapidly changing trends, lookism can affect diverse aspects as well as negative aspe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ground to predict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exercise consumption behavior from a human image designer’s perspective by structurally investigating relationships among lookism,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xercise consumption behavior and personal values. Self-confidence on appearance can help people have a positive mindset and behave with confidence, enhancing their personal values. In other word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appearance can improve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s.

      •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최지수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본 연구는 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하여 건강한 자아실현과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 24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내용은 독립변수는 외모관리행동, 매개변수는 자아존중감, 종속변수는 심리적 안녕감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외모관리행동은 외모관리비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최종학력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최종학력과 외모관리비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은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모관리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외모관리행동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즉, 자아존중감이 외모관리행동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여성의 심리적인 안녕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헤어나 네일 관리, 체중조절을 위한 운동 등 외모관리행동 수준을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외모 뿐만 아니라 내면의 가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며 나아가 심리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후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외모관리나 자아존중감을 고양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무용전공대학생의 외모관리 행동, 전공만족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무용전공대학생의 외모관리 행동, 전공만족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dagag

        김민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major satisfaction and dance persistence intention of college dance major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so a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ntinuing the dance of college student majors.   To this end,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nd questionnair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re distributed to college dance majo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April 2018. A total of 29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rough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to be able to respond freely after explanation about how to respond. The analysis of all data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using PASW 21.0 Version Statistical Program for Windows. The specific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at minimizes loss of information is used as a factor extraction method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Varimax among orthogonal rotation methods was used as a rotation method.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ronbach′s α, which measures internal consistency. Third,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major satisfaction, and dance persistence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college dance majors on major satisfaction and dance persistence inten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major satisfaction, and dance persistence intention according to grade, the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were higher in upper grades than lower grad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 according to major, visit appearance management, a sub-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howed that Korean dance was higher than foreign danc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ase of major satisfaction,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at foreign dance was higher than Korean danc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careers, makeup and skin care factor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with 7 years or more care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ase of dance satisfaction, psychological, educational,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mong those with more than 7 years of career than those with less than 7 year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ase of dance persistence intention, more than 7 years of career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less than 7 year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 of maj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ize-winning, environmental satisfaction showed higher satisfaction among a prize-wining group than a non-prize winning group,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case of dance persistence intention, reinforcing factors showed a higher level of persistence intention than the group without priz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ifth,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appearance satisfaction, makeup and skin care factors showed more administrative action than an unsatisfied group,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major satisfaction, clothing management, which is the sub-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factors and rest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In the case of visit appearance management, psychological factors and physiological factors were negatively influenced, while the other facto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even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dance persistenc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 clothing management effect, which is a sub-facto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ossibility factors. In the case of visit management, it had a negative impact on reinforcing factors. Eigh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dance persistency intention, psychological factors and environment factor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endency factors and possibility factors, while physiological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tendency factors.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 전공만족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을 지속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서울·경기 지역에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에 근거한 설문지를 2018년 4월 배포하였다. 응답요령 설명 후 자기평가기입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자유롭게 응답할 수 있도록 실시하여 총 29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모든 자료 분석은 윈도우용 PASW 21.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목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요인추출방식으로는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 시키는 주성분분석, 회전방식으로는 직교회전 방식 중 베리멕스(Varimax)기법을 이용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는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전공만족, 무용지속의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t-test)을 실시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전공만족 및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ze)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학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전공만족, 무용지속의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은 모두 고학년이 저학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복관리 행동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방문외모관리는 한국무용이 외국무용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의 경우 환경적요인은 외국무용이 한국무용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력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차이 분석 결과 메이크업 및 피부관리 요인은 경력 7년이상이 7년미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만족의 경우 심리적, 교육적, 생리적, 환경적 요인 모두 경력7년이상이 7년미만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지속의도의 경우 가능성요인은 경력 7년이상이 7년미만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수상유무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분석 결과 환경적 만족의 경우 수상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무용 지속의도의 경우 강화성 요인은 수상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 지속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섯째, 외모만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분석 결과 메이크업 및 피부관리 요인은 외모에 불만족하는 집단이 만족하는 집단 보다 관리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섯째, 외모관리행동이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의복관리 경우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인 심리적요인, 휴식적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외모관리의 경우 심리적요인, 생리적 요인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외모관리행동의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인 의복관리의 경우 가능성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관리의 경우 강화성요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전공만족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은 심리적요인과 환경적요인은 무용지속의도의 경향성요인과 가능성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리적 요인은 경향성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백수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우리사회는 급속한 산업발달을 통해 경제적 풍요를 이루었으며 이러한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서 성장한 청소년들은 새로운 소비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문화들은 청소년에게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고 외모를 중시하도록 부추기고 있으며, 그에 따라 청소년은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을 통해 더 나은 외모를 갖고자 노력한다.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은 단순히 청소년을 둘러싼 일시적인 문화가 아닌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인식, 자아발달, 성격 형성 및 성인기발달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내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기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인구통계학적 변인, 심리사회적 변인, 미디어 변인과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이 자신의 외모를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관리하며 나아가 바람직한 자아형성을 하도록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각 구별 중ㆍ고등학교를 임의표집하고 학년과 학생 수를 고려하여 할당표집한 후 재학 중인 중학교 1,2,3학년, 고등학교 1,2학년 총 57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수거된 534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분석을 위해 SPSS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으로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Cronbach의 ⍺계수로 측정도구들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심리사회적 변인, 미디어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이들 변인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차이검정(t-test,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들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청소년들의 BMI(체질량지수)는 정상범위 비율이 가장 높은데 비해 그들이 바라는 ‘희망 BMI’는 저체중의 비율이 다른 범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3.32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으며, 외모만족도는 2.75점으로 비교적 자기외모에 만족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자신의 외모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매체는 인터넷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청소년들이 주로 접하는 미디어는 인터넷, TV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면에서 TV프로그램은 쇼ㆍ오락프로그램, 인터넷은 채팅(네이트온, MSN 등)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를 통해 얻은 정보에 대한 접촉반응은 3.19점으로 비교적 미디어를 통해 얻은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모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모관리행동 중 의복관리 비중이 가장 컸으며, 전문적 외모관리의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심리사회적 변인, 미디어 변인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저체중인 경우, 용돈을 많이 받는 집단에서, 인기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높은 그룹에서 외모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이었으며, 자아존중감이 낮은 청소년이 높은 청소년에 비해 전문적 외모관리와 체중관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만족도가 낮을수록 신장관리를 제외한 외모관리행동의 모든 영역에서 적극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인터넷과 TV의 이용정도가 높고 반응도가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에 적극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변인, 심리사회적 변인, 미디어 변인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외모관리행동은 용돈을 많이 받을수록, TV프로그램과 인터넷정보를 많이 이용할수록, 미디어에 대한 반응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외모관리행동 중 미용관리와 체중관리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이 하는 반면, 신장관리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MI(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체중관리를 많이 하는 반면, 낮을수록 신장관리를 더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의복관리, 미용관리, 전문적 외모관리는 용돈이 많을수록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관리와 미용관리는 인기가 많고, TV프로그램과 인터넷정보를 많이 이용할수록 적극적이었으며, 신장관리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그리고 인터넷 정보를 많이 이용할수록 더욱 많이 이루어졌다. 그 밖에 신장관리를 제외한 의복관리, 미용관리, 전문적 외모관리, 체중관리는 미디어에 대한 접촉반응이 강할수록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에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심리사회적 변인, 미디어 변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디어가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미디어의 사용 시간보다는 ‘미디어를 통해 어떤 정보를 접했고, 어떻게 받아들였느냐’에 따라 외모에 대한 지각과 관리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주로 이용하는 TV와 인터넷이용에서 주체성과 비판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정보이용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인간발달에서 중요한 시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이 겉으로 보이는 지나친 외모관리에 치중하지 않고 균형 잡힌 영양섭취를 통해 건강한 신체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건강교육이 필요하며, 자아존중감을 키워 외모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주변인의 지지가 필수적이다. 또한 학교에서는 청소년이 자율성과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적절 수준의 사회문화적 유행을 반영한 교복을 제작하거나, 시대와 문화적 상황에 따른 탄력적인 교칙을 적용하는 등 청소년의 외모관심이나 외모관리행동에 대해 보다 관대한 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처럼 청소년들이 이 시기를 잘 겪어내어 바람직한 청ㆍ장년기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청소년 본인, 가정, 학교의 노력, 사회적 인식의 전환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경험과 역할수행, 강박 및 외모관리행동의 관계

        김가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경험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을 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무용전공 고등학생의의 올바른 외모관리행동을 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선행연구와 이론을 기초로 무용경험과 역할수행, 강박, 외모관리행동으로 구성되는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 변인들 간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8년 9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서울과 경기도의 무용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락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총 396명을 대상으로 외모관리행동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경험에 따라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셋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무용경험, 역할수행, 강박 순이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청소년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건전한 외모관리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사회적 인식과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며, 무엇보다도 자신의 신체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올바른 자아인식을 통한 긍정적인 신체 및 자기관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offer base datum that can contro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dance major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with bases of preceding study and theory I tried to set a structural model composed by dancing experience, role execution, obsess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o inquire into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se factors. Making use of cluster sampling method, I deduced the next conclusions from the result to analyz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related factors for total 396 dance major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September, 2008 to March, 2009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here's no differenc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accordance with private characteristics of dance major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re's no differenc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accordance with dancing experience of dance major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relative in fluence on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s more considerable for dancing experience than for role execution and obsession. In conclusion, we need social cognition and education that can contro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young students. Also, as much as it is necessary to convert perception of student about themselves and to take positive self-management.

      • 외식 서비스 종사원의 외모관리 행동이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창수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modern society, personal appearance has become a part of social competitiveness beyond individual personality expression and self-satisfaction, and many people are spending a lot of effort and time on managing their appearance. Appearance is an important external information that determines an individual's first impression, and takes up many par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many are taking care of their appearance in a way that complements their body shape to suit their external characteristics and are trying to create the ideal physical appeal that they want to convey to the others.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attractiveness obtained through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the individual leads to positive evaluation to the others, and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individual ego or self-esteem, and improved self-esteem increase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n most occupational groups. In the restaurant service industry, production and consumption take place at the same time therefore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is important because of it directs to the customer satisfaction. Thus,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restaurant service workers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customer satisfacti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restaurant service employees and job satisfaction and to see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impact.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ose who are currently working or has worked in the restaurant service industry before, including hotel restaurants and 239 responds were used to set up and analyze a valid sample of this study. Additionally, multiple regression and one-way analysis (ANOVA)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planned behavior for appearance management was extracted from five factors that divided into skin care, hair care, weight and body care, style (outfit) management, and makeup management based on prior research. Job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are job satisfaction, relative relationship and wag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kin care, weight and figure management, makeup management and style management, hair management and weight and body management, skin care and hair management, skin care and makeup management was significant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of items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is significant in order of job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terpersonal and wag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wage satisfaction. Last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mpa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job satisfaction by employees in the restaurant service were skin care, hair care, weight and body care, which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ersonal relationships, and skin care, hair care, weight and body care, the same as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having a positive effect on wage satisfaction even affects skin care, hair care, weight and body care, and style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been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r those who are activ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restaurant service organizations, so the tendency of restaurant service companies to consider appearance when hiring employees is deemed reasonable in some areas. It is a fact that the influence of employee who provides servic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either the success or failure of service companies in the restaurant service industry. In this sense, it can be great significant to study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at makes the employee’s appearance attractive.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외모는 단순히 개인의 개성표출과 자기만족을 뛰어 넘어 사회적 경쟁력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아 많은 이들이 외모관리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 외모는 개인의 첫인상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외적 정보이며, 대인관계에서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렇게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사람들은 자신의 외형적 특성에 적합하게 신체의 형태를 보완하는 방식으로 외모관리 행동을 하고 있고 자신이 타인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신체적 매력을 만들어 내고자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의 외모관리행동을 통해 얻어진 외형적인 매력 향상은 다른사람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 낸다는 것과 함께 개인 자존심 또는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렇게 향상된 자아존중감은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직무만족도와 직무성과를 높히는 요인이 된다. 외식서비스 산업은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서비스의 특성상 서비스 품질 제공과 그로인해 일어나는 고객만족이 중요하므로 외식서비스 종사자의 외모관리행동은 고객 만족 활동 중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외식서비스 종사자의 중요한 경쟁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서비스 종사원들의 외모관리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그 영향 관계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은 호텔 레스토랑을 포함 현재 외식 서비스업에 재직하고 있거나 근무를 했던 경험이 있는 사람들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239부를 연구에 사용하여 본 연구의 유효표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서 활용된 측정도구를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외모관리에 대하여 계획된 행동은 5개 요인으로 추출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피부관리, 헤어관리, 체중 및 몸매관리, 스타일(의복)관리, 메이크업 관리로 구분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3개 요인으로 추출되어 직무만족, 대인관계, 임금만족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연구의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항목 중 피부관리와 체중 및 몸매관리, 메이크업 관리와 스타일 관리, 헤어관리와 체중 및 몸매관리, 피부관리와 헤어관리, 피부관리와 메이크업 관리 순으로 상관관계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 만족도에 대한 항목들에 대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 만족과 대인관계, 대인관계와 임금 만족, 직무 만족과 임금 만족 순으로 상관관계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서비스 종사원의 외모관리 행동이 직무만족도에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모관리 행동 중 피부 관리, 헤어 관리, 체중 및 몸매 관리였으며,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직무 만족과 동일하게 피부 관리, 헤어 관리, 체중 및 몸매 관리였다. 끝으로 임금 만족에 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은 피부 관리, 헤어 관리, 체중 및 몸매 관리에 스타일 관리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결과는 외식서비스 조직에서 외모관리행동에 적극적인 사람이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규명되었으므로 외식서비스 기업이 종사원 선발시 외형을 고려하는 경향은 어느 부분에서는 타당성을 지닌다고 판단된다. 외식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서비스종사원의 영향이 서비스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번 연구는 그러한 의미에서 종사원의 외형을 매력적으로 가꾸어주는 외모관리행동에 대해서 연구한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