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후기 倭館窯의 運營 硏究

        허현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왜관요(倭館窯)는 조선 후기 부산 지역의 왜관에 설치되어 대마번(對馬藩)의 주문자기를 생산했던 가마를 이르는 것으로 조선의 흙, 사기장 그리고 대마번의 자본이 왜관으로 투입되어 운영되었다. 왜관요의 정확한 첫 개요는 현재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다만 『倭人求請謄錄』에서 등장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은 1639년이며 이후 대마번의 경제적 지원 하에 1718년까지 운영되었다. 왜관요가 설치된 이유는 차노유 문화에 의해서 인기가 많았던 고려다완 때문이다. 고려다완(高麗茶碗)은 조선 시대에 제작되어 일본으로 수출되었던 다완이다. 본래 이것은 일반 서민이 쓰는 생활자기였다. 이에 한국에서는 보통 막사발로 불렸다. 하지만 이것이 일본으로 수출되면서 다기(茶器)로 전용(轉用)되어 일본의 궁정귀족과 무사계급에게 사랑받았다. 왜관요의 설치 이후 대마번을 통해서 주문을 받은 자기가 생산이 되었으며 이러한 자기를 고혼[御本]이라고 불렀다. 왜관요에서 제작되는 모든 자기는 조선에서 흙과 땔감, 부지, 사기장등을 이용했다. 대마번에서 이 모든 제자(制磁)활동을 감독할 도공두를 파견하였고, 도공두를 비롯해서 화공왜, 조각왜등이 함께 파견되어 제작활동에 참여하였으나 일본 자체 기술보다는 조선인 사기장의 손을 거쳐서 제작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두는 작업이었다. 후에 왜관요에 들어오는 주문에는 단순하게 다완을 비롯한 차노유의 차구 뿐만 아니라 생활 기물까지도 요구하는 것으로 변화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왜관요의 운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2장에서 왜관요의 운영을 보기에 앞서 조선후기 임진왜란 이후 부산에 설치되었던 왜관의 운영 상황을 간략하게 정리할 것이다. 절영도, 두모포, 초량으로 이어지는 왜관의 성립과정과 그 구성원들을 살피고 최종적으로는 동래부와 왜관의 관계에 대해서 정리를 한다. 3장에서는 왜관요의 성립과 대마번의 자기 구청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본에서 고려다완이 성행했던 배경을 살피고 왜관요의 설치 과정을 살핀 뒤 대마번에서 있었던 자기구청과 그에 따른 조선의 대응을 살필 것이다. 4장에서는 왜관요의 운영에 대해서 시스템, 도토, 사기장, 땔감등의 재료의 수급 그리고 주문서와 주문자를 정리할 것이다. 특히 주문서의 경우에는 현재 왜관요의 기록 중 유일하게 주문자, 주문내용까지 정확하게 나와있는 자료이기 때문에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주문서에서 등장하는 기형, 주문자들과 주문서 내용의 변화, 문양, 유약의 종류, 주문 내 규격 등의 부분을 나누어서 현재 남아있는 자료를 함께 비교해서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왜관요 주문이 어째서 이렇게 선호되었는지를 나름대로 고찰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여 왜관요의 성격과 그 도자사적 의의를 정리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지금까지 개략적으로만 알려져 있었던 왜관요의 운영을 한발 섬세하게 살필 수 있는 하나의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Waegwanyo(倭館窯) was installed in a Japanese embassy in Bus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used to produce orders for porcelain. Joseon's raw materials, experts and Deamabun(對馬藩) capital were invested and operated in Busan. It is not known when the kiln started operation. The earliest recorded time was 1639 and later operated until 1718 with economic support from the Japan. The kiln was set up by the Japanese tea culture. Because of popularity of Goryeodawan(高麗茶碗). It was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exported to Japan. Originally, it was a common denominator. However, when it was exported to Japan, it was used as a potter and was loved by the royal court nobility and the warrior clas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Waegwanyo , they received orders through the Daemabun. and called as "Gohon(御 本)". All the pottery produced in Waegwanyo used the soil, firewood, land, and fraudsters of Joseon Dynasty. Deamabun also sent potters from Japan and artists and sculptors. However, Joseon's technology was used more than Japanese technology. Later on, they received orders not only for Tea set but also for household goods, including furniture. The main building conducts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kilns.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summarize the operational situation of the Waegwan, which was installed in Busan after the Imjin W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Waegwan, which runs through Jeolyeongdo, Dumopo, and Choryang, examines its members and ultimately organ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naebu and Waegwan. After then in Chapter 3, It look at the formation of Japanese porcelain vessels and the establishment of Waegwanyo. To look at this, we look at the background of the Goryeodawan in Japan. Afterwards, we will examine the process of installing Waegwanyo and examine the request for the production of pottery from Japan and the response of Joseon. Chapter 4 will organize the operation of Waegwanyo, the supply and demand of system, clay, fraud, firewood and other materials, and order and orderer. Especially, in the case of an order, we are going to analyze it closely because it is the only document that contains the exact order and the contents of the order. Let's compare the remaining data by dividing the parts of the order form, the order contents change, pattern, type of glaze, and the specification in the order. Lastly, we will consider why the Waegwanyo's order has been so favored. Lastly, Chapter 5 will summarize these contents to summarize the nature of Waegwanyo and their ceramic meanings.

      • 현대 일본 다완에 관한 연구

        이현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324

        본 연구는 일본의 도자기 중에서 다도구(茶道具)의 하나인 다완(茶碗)을 중심으로 현대 일본의 지역대표성을 갖는 작가들과 작품을 고찰하였다. 다완의 역사는 약 9세기경 일본에서 차를 마셨다는 문헌의 기록이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이지만 차 재배와 음용습관의 전파는 13세기에 이르러서야 가능하게 된다. 당시의 다완(茶碗)은 중국계의 다완(茶碗)이 애용되었고, 16세기 후반 모모야마(桃山)시대(1573~1615)에 이르러 조선의 사발이 ‘고려다완 (高麗茶碗)’이라는 이름으로 사료에 등장하게 된다. 조선의 사발에서 전용되어 크게 유행한 일본의 고려다완(高麗茶碗)은 자국의 다완 문화가 발전한 17세기 이후는 물론 현재까지도 다도계는 물론 일반인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일본 도자 다완(茶碗)의 역사는 전체 일본 도자기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하며, 에도(江戶)시대 이후 일본 전체 도자기 번성(繁盛)의 계기가 되었다. 이후,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을 거쳐 1900년 파리 만국 박람회를 계기로 일본에서는 개인 도예가(陶藝家)들이 처음 등장하여 자신의 이름을 건 작품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다양한 현대 일본의 도자기 기법과 양식 중 다완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고려다완(高麗茶碗)의 유행을 전후(前後)로 한 일본 도자 역사의 시기별 제작 상황과 함께 일본 다완의 지역별 작가와 작품을 선별, 수록하였으며 조선에서 영향을 받은 현대 일본 다완의 전파와 발전 과정을 살펴보려고 한다. This study examines tea bowls used in Japanese tea ceremonies focusing on the works by contemporary Japanese potteries. Although the earliest record on the drinking of tea in Japan dates back to the 9th century, tea cultivation and the culture of tea drinking were set about later around the 13th century. Tea bowls of Chinese origin had long been favored in Japan in those early days until a new form of tea bowl called 'Koroy Chawan' was introduced in the historical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the latter period of Momoyama era. Derived from a Korean rice bowl, this Koroy Chawan has been well known to the general population as well as the community of tea ceremonies in Japan. While the development of tea bowl making in Japan had a keen relationship with the history of Japanese pottery in general, it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post-Edo prosperity of Japanese pottery. Going through the Meiji Restoration and taking the Paris Universal Exhibition in 1990 as a chance, private potters began to produce art works in their own names. Among varied techniques and styles of modern Japanese pottery, this study pays a special attention to how Japanese tea bowl making evolved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Koroy Chaw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