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공간구성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수정 연세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최근 건축이나 실내디자인의 분야에서 공간의 장식 또는 시각적 강조를 위해 사용하는 하나의 디자인 방법으로 공간에서의 개별성의 강조가 오브제 방법으로 차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랑크 게리의 건축물들의 경우, 도시의 맥락과 연관되지 않은 독자적인 조형성을 구축하여 지역이나 배경을 배려하지 않고 전혀 다른 성향의 건축물을 강조함으로서 물체의 오브제화를 구축한다. 즉 도시의 맥락과 연관되지 않은 독자적인 조형성을 구축하여 배경과 물체의 경계를 시각적으로 분리하는 건축물의 오브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하겠다. 실내디자인에서도 친숙함과 관습적인 것을 역이용해서 공간 안에 전혀 예상치 못한 물체를 놓거나 이용하는 등 원래의 기능과 역할보다는 스케일의 변환을 통한 실내디자인 요소의 오브제화를 이룰 수 있다. 실내디자인의 패러다임은 더욱더 완전 합리성과 분석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려는 세계관을 요구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내디자인 요소의 폭넓은 적용은 다학문성이 강화되고 매체와 방법에 있어 점점 혼성화가 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디자인 형식도 새로운 사고와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포괄적 의미 외에, ‘오브제’ 라는 단어에는 다양한 측면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국내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일반적인 의미와 역할과 작품경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실내디자인에 나타나는 오브제의 공간구성 표현특성을 분석하여 실내디자인 방법론의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오브제를 어떠한 관점에서 보고 연구하고 있으며, 실제작품에 나타나는 오브제의 표현특성은 무엇인가 하는 제반 상항을 분석 하고 자 한다.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의 일반적인 의미와 역할은 공간의 텍스트적인 요소로써 그것을 체험하는 관찰자의 잠재의식이나 정신작용을 강하게 일으키는 역할로 순수미술에서의 오브제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실내 공간의 오브제는 동선을 유도한다. 관찰자는 공간내의 오브제 사이를 움직여 다니며 또한 공간내의 오브제는 공간의 벽으로 가구로 존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공간을 분할해 주거나 연결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는 공간의 장소성을 나타내주는데 공간의 장소성이란 특정지역 또는 지역 내 집단의 전통과 관계되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장소성은 한 시대의 문화양상과 지역관의 밀집 도에 따라 판단한다. 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는 공간에 의해 그 의미가 부여되고 공간의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 하면서 전체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오브제의 성격에 따라 천정, 벽, 바닥 등이 될 수 있으며, 동선 유도, 공간을 분할하는 축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공간의 장소성을 나타내는 의미적 역할을 하기도 한다. 실내디자인에서의 오브제는 예술적 의미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을 지닌 물체로서 작용하며, 건축이나 조각과는 달리 mass가 존재하지 않은 특성으로 인해 실내 공간에서 각 공간 구성요소들로 분산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오브제는 디자이너의 창조적 사고 과정을 거쳐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 어휘로 작용하고 있으며 실내 공간에 풍부한 의미를 전달해 주고 있다.본 연구는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가 중심적인 논제로 대두되어 실제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면서도 이러한 현상을 보는 체계적인 관점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진행된 연구이다. 구체계적인 과정은 기준을 먼저 설정하는 접근이 아니라 전문가 사이에 통영 되는 논문 및 전문매체에 게재된 작품들을 분석 하였다. 오브제가 갖는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오브제는 개념의 중요성이 강조된 것에 비해 여전히 모호하여, 이에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 현상을 총괄적으로 재고해 보는 관점을 제시 하였다.첫째,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개념과 배경은 오브제는 이전에는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기본적으로 고려하는 배경적인 요소 또는 제한적인 요소로 여겨졌으나, 그 개념이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하여 실내디자인의 대안으로 모색되는 중심 개념으로 부상하게 되었다.둘째, 연구결과 내부의 바닥, 천정, 벽, 가구, 스케일 변형, 빛, 소리, 재료, 색채 등의 실내디자인 요소를 사용내부체계에 편심을 일으켜 시각적인 반응으로 변이하면서 형태적 또는 비물질적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셋째, 국내전문매체의 사례분석에서는 작품에서의 오브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미래의 시점의 측면에서 방향성 제시를 하는 작품경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마지막으로 실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표현특성에 대한 작품 경향은 크게 두 축으로 오브제의 독특한 요소를 활용하는 물성 측면과 오브제의 지향점을 의미하는 이상성 측면으로 분류되며, 물성은 전반적으로 전통성과 현대성 보다는 다양한 오브제의 절충을 통해 구현하려는 절충성의 경향이었다. 한편, 이상성 측면에서는 자연을 지향하는 개념에서 기술을 지향하는 개념으로 전이되는 변화를 보였다.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4장에서는 오브제의 영역을 종합적으로 보는 틀을 제시 하였으며 구축된 틀에 분석대상에 나타난 표현특성을 대입함으로써 오브제의 현재의 위상과 경향을 보여 주며, 향후 나가야 할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본 연구는 오브제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제시한 접근 방법의 틀은 실제적인 공간계획과 해석에서 하나의 접근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연구의 결과와 비교가 이루어진다면 오브제 영역을 형성 하고 있는지에 대한 패턴을 발견하게 될 것이며, 나가야 할 방향도 예측하게 될 것이다.

      • 오브제의 발견과 변용을 통한 조형적 표현 방법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강윤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Goods(Products) - no matter if they are handicrafts or industrialproducts - are made because they have their original use and purposeto be produced. But, sometimes, in the aspect of the way to use them,they are brought out in the world as reflecting the producer's intentionand purpose than being tailored to the consumer's needs or demands.And a product sometimes changes its way to use in various ways whenconsumers can not be equipped with everything necessary. It means thatthe way to use the same produc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user's given situation or condition, as the same kind of seeds grow alittl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y face in ecosystem. Wecan get a sense of the user(accepter)'s life - his characteristics or lifestyle - that they use the same goods in different ways. That is, as anobject can be used in different ways from its original purpose, theuser's will and lifestyle is reflected in the object whose ways to use arechanged. It means that based on the aspect of the changed ways to usethose goods, we can talk about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hissurroundings. 'The story of a family through the object an user changed its way toused...' This is the subject of my project now I'm doing. At first, I'mgoing to talk about my mother. This is the story about a spoon mymother had always used as a lock(Later, the story of my father's battlehelmet used as a dung dipper and my brother's toe used as a remotewill follow). I intend to speak of the life of most common Korean people and theirneighbors who willingly accepted the harsh conditions of their life in thepast and reinterpreted it in the new ways through their story who livedusing some objects in a little strange way though it can be somewhatsimilar story of Korean history in the past 20th Century. My mother experienced Korean War soon after marriage with myfather. My father has experienced two wars - first one is the Greate EastAsian War and second, Korean war. My father, of course, was draftedinto the army and my mother hasped and locked the door with a spoonfrom the day whenever she slept. It may not be so strong - she just put a spoon on the wooden frame of a paper sliding door - but she maysought comfort in doing so. This spoon was a kind of a shield whichprotected my family. I'm the youngest among my 6 brothers and sisters,so I was born 30 years after the Korean War ended. Nevertheless, mymother used to hasp and lock the door with the spoon when she sleptuntil the day we rebuilt our house recently and I still remember thespoon as a lock. In many cases, when a man faces a harder situation, can not learnmuch or lives more difficult life economically, he tends to reinterpret anobject more newly in his own way and use it differently... How exitingthis is! By contrast, how dry and boring this era is! People in the highincome bracket in this plentiful times don't know how to use objects ina different way. That's because they need not to do so. All they need todo is buy and consume goods constantly corresponding to their needsand desires. 동시대 미술 속 오브제와 오브제의 재전유(Re-Appropriation), 차용의 개념과 변용의 개념 등을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 후기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대략적으로 살피고 이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논하고, 특히 오브제(Objet)와 레디메이드, 개념미술의 현대적 의미를 분석하고 설치미술 등을 통하여 제시되는 기성의 작가와 연구자의 작품을 비슷한 맥락에서 분석하여 미학적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 그래픽 디자인에서 오브제(Object) 표현의 시각전달 효과에 관한 연구 : 사물의 의인화를 중심으로

        소신애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술사 속에서 오브제 표현은 무한한 영역으로 확대되어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면서 전개되어 왔다. 사물(事物)은 그러한 미적 창조의 수단으로 인간과 함께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 이제 오브제는 하나의 인식 대상으로 작용하며, 사물 전반에 걸친 것으로 모든 사물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사물과 관계를 맺는다. 사물이란 자연이라는 선험적인 연속성과는 독립된 하나의 일반 개념이다. 우리는 그것을 수량화시킬 수 있으며 개념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사물이 인간에 의해 실제로 분류되고 수량화될 때, 우리는 그것을 '사물(object)' 이라고 부른다.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함께 존재해 온 사물은 우리의 시선에 대하여 자기들의 시선으로 응답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을 것이다. 사물은 우리가 그것을 무심한 눈으로 보기 때문에 무심하게 보이는 것이다. 똑같은 사물일지라도 그것을 인지하는 측면에 따라 다르게 지각할 수 있다. 사물을 무심하게 보고 그것의 내면을 들여다보지 못한다면 우리는 그 안에 내재된 무한한 세상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물의 내면을 지각함으로써 인간은 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반성하게 되고 사물과의 놀라운 감응(感應)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0세기 미술의 흐름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오브제 미술은 그래픽 디자인에서도 다양한 표현양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인간과 특별한 관계를 맺은 '사물'을 이용한 '오브제 표현' 은 시각적으로 독특하고 강한 전달효과를 줄 수 있어 사물이 보여주는 또다른 미술 세계를 접할 수 있으며, 인간과 사물과의 관계에서 오는 커뮤니케이션의 커다란 효과를 오브제 표현을 통해서 누릴 수 있음을 제시 할 수 있겠다. In the history of art, the graphic design has been progressed for the human being through infinite development and growth. Objects also have been varied continuously as a way of aesthetic creation for the human being. Now object effect one of the recognition subject, that means the whole of thing and designate the whole of object. People have been connected with objects in their ordinary life. Objects have a common concept of their self-reliance compared with the nature which has a transcendental sequence. We can make it quantity and also classify as conceptual step. Only when objects are divided by the human being, we can call it an object. We figure out the object reacts on our sight to their style. Because of our unconcern about objects, they look like reacting unconcernedly. With the same object, we can see its other aspects as how we can recognize them. If we recognize unconcernedly objects, we don't have a chance to catch their infinite world. Therefore, by recognizing their inside aspect, we can reflect on our life and respond to object. In the history of art in the 20C, object is so important and also progressively various in the graphic design. The unique object connected with people is used for the art namely 'object expression' which has special visual communication effects, so we can see their infinite inside aspects. Besides we can enjoy great communication effects in their relationship through we use this object expression.

      • 화예디자인에 내재된 오브제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진현주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브제(object)는 일반적으로 물체, 대상, 객체 등을 의미하나 미술용어에 있어서는 주제에 대응하여 일상적, 합리적인 의식을 파괴하는 물체 본연의 존재방식을 위해 사용된 언어이다. 따라서 창조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현재료와 대상 표현을 어떻게 결부시키느냐 하는 점에서 볼 때 조형예술분야에 나타난 오브제의 개념 범위는 광범위하며 그 영향은 실로 크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화예디자인(Floral art & design)에서의 오브제의 개념은 매우 한정된 의미로만 파악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형 예술사적인 측면에서 오브제의 개념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생성되고 변화되어 현대에 이르렀는지 20세기 미술사에 나타난 오브제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자연성과 예술성에 근거하여 그 근본부터 오브제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화예디자인과 오브제의 상관적 관계성을 규명하고 화예디자인의 오브제적 의의를 논한다. 그리고 오브제로서의 화예작품을 한정적 내부공간과 외부 자연환경에 도입했을 때 환경·설치로서 화예오브제(Floral object)의 표현특성에 대해 순수와 응용예술로서의 화예오브제로 나누어서 각각의 특성을 고찰한다. 환경·설치로서 화예오브제의 표현특성을 토대로 오브제적 연출기법에 의한 화예오브제의 사례를 입체와 공간예술로서의 화예오브제로 나누어서 연구한다. 즉 초현실주의의 데페이즈망기법, 콜라주기법, 자연기법, 키네틱 아트의 키네틱기법, 팝아트의 확대기법, 반복기법, 컴바인기법 그리고 누보레알리즘의 앗상블라주기법, 재현기법, 포장기법으로 분류하여 각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화예디자인에 내재되어 있는 오브제적 표현특성에 대해 논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브제로서 화예디자인이 갖는 함축적인 의미를 인식하고 공간 내에서 새로운 조형언어로써의 화예오브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화예디자인과 오브제의 관계성은 하나의 시도이며 이 시도가 화예디자인계의 다양한 해석과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또 다른 시도를 위한 밑거름이 되길 바라며, 다양한 실험적 사고에 의한 화예오브제가 재료영역과 표현영역의 확대뿐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현실을 예술로 승화시켜 예술과 대중이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오브제로서 새로운 장(場)을 마련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An object usually means a thing and a subject, but is used for a way of existence of the true thing that destroys routine and rational consciousness by corresponding to the theme in an art term. In considering how expression materials must be connected with object expression as means for cre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conception of an object expressed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 is of a very wide range an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However, it is true that the conception of object in floral art and design has been understood as so a limited meaning.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object expressed in the 20th century art history including what the conception of object is in the respect of formative art history and how it has been formed and changed and then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objects and floral art and design with an inherent element as an object on the basis of naturalness and artistic beauty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floral art and design as an object. Introducing floral arts both to the limited interior space and to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it divides expressional properties of floral object as environmental installment into that as pure or applied art to consider each property. Based on expressional properties of floral object as environmental installment, this study examines the cases of floral object by objective expressional technique by dividing them into floral objects as cubic or spatial art. That is, by classifying them into depaysment, collage, and natural method of surrealism, kinetic method of kinetic art, enlargement, repetition, and combine method of pop art, and assemblage, representation, and wrapping method of Nouveau Realism, it analyzes each case and discusses expressional properties as an object in floral art and design. This study understands the implicit meaning of floral art and design as an object and tries to find possibility of floral object to be a new formative language in a space. To correlate floral art and design with an object is one of the attempts, which is expected to be a basis of another attempt in diverse interpretations and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floral art and design. It is also expected that floral object by various kinds of experimental thinking not only expands material and expression areas but also sublimates social and cultural realities in art to prepare a new place as an object enabling the public and art to keep tune with each other.

      • 오브제를 이용한 종이 조형 연구 : 한국 전통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임지연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One of the outstanding trends in the area of contemporary arts including industrial arts is 'configuration' which means 'formation' but different from what it used to be. This study started from Papier colle´, Assamblage, tried by famous artists such as Picasso, Braque through William Morris and Bauhaus around the 19th century. This made it possible to be free from snapshotting the object of nature, a plane and also encourage trying to conduct its materials several times by different ways, and finding out new way of expressions. They are the very driven-force which could bring out the modern concept of 'object', being considered the most distinctive area in the current arts. This word 'Objet' stemmed from the French word 'Objet' which is originally Latin. It has many diverse meanings like concerned, it means the denial of real perception, especially when it is assembled with in a new environments. More exactly, it's like creating something a new image, while losing its real meaning of use. Basically, all kinds of things in spired by an individual, having a subjective meaning, can be called 'Objet'. These shocking trends didn't allow the artists to stick to stereotypes like classical beauty concept. Free from old fashioned thinking ways, the artists started trying to choose things from their usual life and reassemble them while studying their proper use. Here, identifying between the usual life and the art, and destroying some barriers among many divisions finally came true for that period. Along with this stream 'breaking the existing old ones', the fiber art came out to the surface as a form of extending subjects. Around 1960, the concept of the fiber art precipitated such a spreading atmosphere in Korea and started building a strong basis as a pure art. But underwent many side-effects in accepting international leading streams, since suffering from the Korean war and also we didn't have enough time to filter out the impurities. Now, the most influential catch-phrases in these day is "Our own cultural assets are the best way to surviv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With living up to this public's expectations, the artists are paying a special attention to expressing the Korean's unique style of thinking and emotion. This thesis also deals fully with groping out the right directions for those things and suggesting some specific materials which can contribute to this directly. Peel of onions, gardenia seed, barberry root... etc... by dying these materials, the artist was able to pull out the most approachable nature color. Korean paper also has a rough quality of surface which can be another Korean thing! Old usual stuff like thimble, a fine-toothed bamboo comb, spool and Korean drum are attached on the collage Korean paper which is rolled up diagonally. That's why this thesis is more focused on the matter's configuration than practical use and endowing meaningful values to the trivial substances. Additionally, I wanted to put a higher priority in accepting various expressions from all over the world and as a further step, develop them as creative Korean spirit. Reconstructing our genuine beauty concept, so that it can afford today's modern lifestyle and situation ! That's exactly what this thesis is aiming at.

      • 오브제바디아트의 표현기법에 따른 심리적 반응 연구

        김금란 조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오브제바디아트의 표현기법에 따른 심리적 반응 연구 김 금란 지도교수 : 김 남 훈 디자인경영학과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인체를 표현대상으로 하는 일반적인 조각 작품에 바디아트의 다양한 채색기법을 응용한 새로운 아트장르를 제시하려고 한다. 이러한 새로운 아트장르는 인체조각 작품의 형태적 다양성과 인체를 대상으로 한 바디아트의 다양한 채색기법의 장점을 흡수하면서, 현대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감성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바디아트의 독특한 예술적 감성을 반영구적으로 보존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새로운 아트장르가 널리 인식․ 확산되면 새로운 아트장르로서의 역할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뚜렷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새로운 장르에 대한 개념규정, 장르의 등장배경, 사용소재에 대한 이론적 체계에 대한 제시 및 새로운 장르에 대한 관객들의 심리적 반응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결과들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부족은, 새로운 장르에 대하여 작품을 전개하는 방향에 대한 관점, 재료와 작업방식에 대한 지식 및 관객의 반응에 대한 이해 등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가는 향후의 작가들에게 의미 있는 정보체계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아트장르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오브제바디아트(Object Body Art)로 규정하고, 오브제바디아트의 개념과, 역사, 재료, 작업방식 및 도구와 표현기법 및 표현기법에 따른 관객의 심리적 반응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통하여, 향후 오브제 바디아트가 새로운 아트장르로서 기반을 다질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회적이며 설치가 불가능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바디아트의 한계를 극복하며 바디아트와는 다른 장르로서, 오브제바디아트의 예술장르를 새롭게 규정하고, 형태와 컬러의 표현이 자유롭고 설치와 전시가 가능한 다양한 기법의 오브제바디아트의 이론적 지식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오브제바디아트작품들을 다양한 표현기법에 따라 직접 제작하고 제시하여, 관객들이 이러한 새로운 아트장르의 작품에 대하여, 어떠한 심리적 반응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아트장르로서의 오브제바디아트에 대한 이론적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향후 새로운 조형예술장르로서의 확대와 발전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위한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바디아트의 일회적 특성을 극복하고 조형예술의 확대와 발전을 목적으로 전시와 설치가 가능한 조형물인 오브제바디아트의 등장에 대한 연구배경과 연구목적을 제시하였고 각 장별로 나누어 연구되어진 구성 및 연구방법에 대해 언급하였다. 제2장에서는 오브제바디아트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오브제바디아트의 개념과 등장배경, 오브제바디아트의 현황을 알아보고 오브제바디아트의 재료를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오브제바디아트의 작업방식과 도구를 브러시와 에어브러시, 스펀지 위주로 살펴보았으며 오브제바디아트작품의 형태를 정형적, 추상적인형태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오브제바디아트작품을 회화적 기법, 컴퓨터기법, 에어브러시기법, 오브제를 응용한 기법, U V 발광 기법, 일루미네이션 기법, 질감 표현기법, 형태 표현기법 등 표현기법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다시 주제별로 유형을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오브제바디아트의 표현장르에 대한 체계적 분류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오브제바디아트의 작품영역에 대한 관객들의 일반적인 인식조사와 더불어, 표현기법에 따른 심리적 반응을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여 관객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함으로써, 표현기법에 따라 관객들의 심리적 반응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새로운 조형예술장르로서의 관객의 인식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제5장 결론에서는 제3장과 제4장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결론과 연구의 시사성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는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오브제바디아트에 관한 일반인들의 심리적 반응을 조사하기 위한 선행설문조사인 〈바디아트의 인식 및 실태조사〉에서는 인체오브제를 응용한 바디아트작품이 전시와 설치가 가능하다면 조형예술 영역 확대나 발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응답자가 86%로 매우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 되어 향후 오브제바디아트의 전망이 매우 긍정적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실시한〈오브제바디아트의 표현기법에 따른 심리적 반응 1차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브제바디아트 작품들에서 느껴지는 느낌에 대한 응답결과는󰡐색상이 화려하고 다채롭다󰡑와 󰡐독창적이다󰡑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둘째, 전통적인 인체 조각 작품과 오브제바디아트를 비교하여 받는 느낌에 대한 응답은 색상과 표현의 다양성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셋째, 오브제바디아트의 예술장르로서의 의미에 대한 응답은 전통적인 조각 작품에 비교하여 작품제작참여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예술로서의 비중이 확대될 것 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오브제바디아트의 설치가능 장소에 대한 응답은 공원과 갤러리, 쇼핑센터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다섯째, 오브제바디아트가 예술장르로서 활성화되기 위한 보완점으로는 TV, 광고를 이용한 홍보와 전시회개최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오브제바디아트의 대중화, 일반화를 위한 홍보와 전시회개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세 번째 실시한〈오브제바디아트의 표현기법에 따른 심리적 반응 2차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브제바디아트 작품들에 대한 주요 심리적 반응결과는 전체적으로 독창성과 생동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오브제바디아트 작품들에 대한 선호 관객층 분석결과는 전체적으로 연령층의 특성에 따라 작품선호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선호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오브제바디아트 작품의 제작참여의도 결과는 전체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의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별로는 20대와 50대 이상의 여성이 똑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오브제바디아트의 설치가능 장소의 응답결과는 전체적으로 갤러리, 야외 예술 공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뷰티 샵 및 쇼핑센터, 공원, 공연장, 건물입구 순으로 나타나 향후 오브제바디아트가 예술작품으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작품분야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조형예술인 오브제바디아트는 전통적인 인체조각 작품이 주는 무게감과 색채의 제한성을 탈피하여 다양한 형태와 자유로운 색채를 구사하는 조형예술의 영역 확대와 생활예술영역의 확대, 작품제작참여의도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일반인들의 참여예술영역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3차례의 실증분석결과를 통하여 나타난 오브제바디아트에 대한 일반인들의 반응은 향후 오브제바디아트의 전망이 매우 긍정적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esthetic Response on Object Body Art According to Expression Methods Keum-Ran, Kim Advisor: Nam-Hoon, Kim Dept. of Design Management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genre of art for which various coloring techniques of body art are applied for sculpture of human bodies. This new genre of art can preserve artistic senses of body art and induce emotional responses from modern people using advantages of various forms of body sculpture and coloring techniques of body art targeting human bodies. Therefore, if this genre of art is extensively recognized and expanded, it has a great possibility to become a new art genre. However, in spite of definite possibility, existing studies have not present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onceptual development, background and materials of the new genre and meaningful results on aesthetic responses of the audiences to the new genre. So, meaningful information system has not been provided to future artists who have interest in directions on its development, materials, knowledge on process, and understanding of audiences' responses. Therefore,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this new art genre, we have to define it as Object Body Art and develop bases as a new art genre through organized results on the concept, history, materials, process, tools, techniques and aesthetic responses of the audiences. To overcome limits of body art that it is temporary and impossible to be installed, this study defined Object Body Art as a new art genre as different from body art and developed its theoretical knowledge system with various techniques with which various forms and colors are used in liberal ways and installation and exhibitions are possible. And we made and presented works of Object Body Art and presented results of the study on what aesthetic response the audiences showed to the new art genr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theoretical information system on Object Body Art as a new art genre and plans to expand it to a new sculpture art. This study consists of as follows: Chapter 1, preface, presents background and purposes of Object Body Art that can be installed and exhibited. It has purposes to overcome the temporary property of body art and develop sculpture art further. And then it deals with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identifies the concept,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Object Body Art and analyses its materials carefully. And it focused on working methods and tools such as brushes, air brushes and sponge, and classified forms of Object Body Art into plastic and abstract. Chapter 3 classifies works of Object Body Art according to painting technique, computer technique, technique using objects, U V technique, illumination technique, texture technique, and form technique and sub-classifies them according to themes for organized classification on expression of Object Body Art. Chapter 4 analyses various aesthetic responses of the audiences to real works of Object Body Art according to expression techniques and presents recognition of the audiences as a new art genre and its future possibility. Chapter 5 summarizes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results of Chapter 3 and Chapter 4 and presents suggestions and directions on further studies. Thu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and theoretical system of Object Body Art and analyses aesthetic responses of the audiences to works of Object Body Art that is presented with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with an aim to develop it fur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