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감사 결과에 나타난 정책오류 유형 및 원인에 관한 연구 : 기초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박의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공공감사에서 나타난 정책오류의 유형에 관한 연구로서 정책오류 관련 선행연구들에 나타난 정책추진 과정에서의 오류 유형들에 기반하여 대한민국 기초과학 정책의 한축을 담당하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주요업무에 대한 각 공공감사 주체들의 감사결과보고서에 대해서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분석된 정책오류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유형화 시키며, 이중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오류 유형에 대해서는 주된 발생원인과 개선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알아본 정책오류의 유형은 정책설계, 정책집행, 그리고 정책결과 및 환류의 각 단계에서 도출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책설계에서는 ① 정책문제 및 정책목표의 부정확한 정의와 공유 부재, ② 비인과적 기획, ③ 불충분하거나 잘못된 자원 확보, ④ 왜곡된 의사전달체계, ⑤ 획일적 및 복잡하거나 미흡한 관리체계로 인한 5개의 오류 유형을 도출하였고, 정책집행에서는 ① 절차의 미이행 및 형식적 적용, ② 집행 주체의 비전문성 및 비도덕성, ③ 정책자원의 부적정 관리 및 활용, ④ 정보공유 및 정보활용의 방해, 왜곡적 활용, ⑤ 비협조 및 합의・조정의 문제, ⑥ 정책집행 지연 및 연기, ⑦ 정책목표나 수단의 임의변경, ⑧ 부집행 및 불응으로 인한 8개의 오류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정책결과 및 환류에서는 ① 목표의 부당한 미달성 및 성과왜곡 현상, ② 요구된 개선, 시정조지 및 환류의 미흡, ③ 반복적 문제의 해결 미흡으로 인한 3개의 오류 유형을 포함하여 총 16개의 유형을 최종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원의 정책추진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결함에 대한 오류들이 분석하고자 하는 공공감사 주체별 감사결과보고서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유형화 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내용분석 방법을 준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기관인 기초과학연구원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원의 주요업무를 R&D 분야와 Non-R&D 분야로 구분하고 총 4가지 업무로 분류하였다. R&D 분야는 연구조직이 수행하는 국가 기초과학 정책의 핵심사업인 기초과학연구단사업과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으로 정하였고, Non-R&D 분야는 행정조직이 수행하는 연구지원 업무와 연구원 운영에 필요한 일반행정 업무로 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8년 동안의 연구원의 공공감사 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총 165건의 감사지적 및 처분사항을 확인하였고, 이를 앞서 정리한 4개 주요업무 분야별로 30개씩 무작위 추출하여 120개 표본으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감사결과보고서의 내용분석결과 빈도와 비중의 일정 수준 이상의 일관된 측정을 띄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신뢰도 검증 결과는 86.4%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으며 도출된 분류유형의 총 개수는 236개였다. 연구원 감사결과보고서의 내용분석 결과 감사대상 주요업무별로는 기초과학연구단사업(36.8%)>일반행정 업무(30.1%)>연구지원 업무(20.8%)>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12.3%)의 순으로 정책오류가 나타났고, 이중에서 주된 정책오류 유형으로는 절차의 미이행 및 형식적 적용에 따른 오류(1순위, 25.5%)>미흡한 관리체계로 인한 오류(2순위, 19.5%)>정책자원(예산, 인사)의 부적정한 사용관리로 인한 오류(3순위, 17.4%)로 나타났다. 특히, 이를 R&D 분야와 Non-R&D 분야로 구분하여 분석해보면 R&D 분야에서는 예산이나 인사 등 정책자원의 부적정한 사용관리로 인한 오류 유형(1순위, 26.7%)>절차의 미이행 및 형식적 적용(2순위, 16.4%)>비도덕성(3순위, 15.5%) 순으로 오류유형이 나타났으며, Non-R&D 분야에서는 절차의 미이행 및 형식적 적용(1순위, 34.2%)>획일적이거나 미흡한 관리체계(2순위, 31.7%) 순으로 오류유형이 확인되는 등 R&D 분야와 Non-R&D 분야 간에 오류유형은 차별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차별적으로 감사결과의 내용분석을 통해 오류의 유형을 분류하는 기존의 연구방법을 넘어서 그 원인과 개선방법까지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원 자체감사인과 감사수감 등 업무경험이 많은 직원을 대상으로 연구원에서 반복적으로 지적되는 오류의 발생 원인이 무엇인지 제도적‧환경적 분석과 개선방안에 대한 심층면접조사(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R&D 분야에서는 연구자들이 예산사용이나 인력활용에 관한 기준이나 절차 등에 대해서 인식이나 관심이 부족하고, 각 유치기관(대학), 연구실별 관행적인 연구행태와 연구중심 문화가 존재하며 이에 대한 비판적 사유가 부족하고, 불명확한 연구지원 행정설계와 소극적인 연구지원의 문제, 그리고 낮은 수준의 내부통제시스템 운영 등이 주된 오류의 원인으로 조사되었다. Non-R&D 분야에서는 행정직원들이 불완전한 행정체계를 무비판적으로 답습하고, 합법성 감사를 대비하여 소극적인 행정 처리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으며, 조직관점에서는 업무성적에 연동하는 보상체계나 전담 현장교육이 부족하였으며, 불명확한 임무와 역할에 따른 부문 간 갈등 발생의 문제가 주된 오류의 원인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연구단 운영체계를 보다 명확히 설계하여 운영하고, 각 연구단별 편차가 있는 업무체계를 표준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연구단장의 권한범위와 그 대상을 합리화하고 이를 견제할 수 있는 최소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원은 적합한 내부통제 체제를 운영하여 성숙된 연구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인적자원의 육성과 배치 등에 대한 합리적 인사제도를 운영하며, 조직목표와 하부조직의 임무와 역할, 직무분장 체계 간에 전략적 연계성을 갖고 이를 측정・평가할 수 있는 성과관리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오류분석을 통한 쓰기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중학교 2학년생을 중심으로

        이윤순 全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807

        외국어를 습득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1학년 때 가장 흥미 있고 재미있었던 과목인 영어가 점점 재미없으며 지루하고 어려운 과목이 되어 간다. 이는 영어학습에 아직도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이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 같다. 본 논문에서는 아직 영어학습의 초기단계라 볼 수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작문에 나타나고 있는 오류를 수집, 분석하여 그 원인을 규칙 확대와 언어전이에 의한 것으로 분류하여 보았다. 1차에 실시한 오류분석 결과규칙 확대에 의한 오류가 언어전이에 의한 오류들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오류빈도는 동사 사가 가장 많았으며 명사의 복수형 어미, 관사, 전치사, 소유격 사용등이었고 그 밖 의 사항들은 비슷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기초로 다음 세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 학생들의 오류를 추출하여 집중적으로 지도하면 학생들의 작문실력이 향상될 것이다. 가설2 : 오류를 파악하고 지도하기 때문에 오류수가 상당히 줄어들 것이다. 가설3 : 학생들은 영어에 대한 관심, 흥미도 그리고 학습의욕이 상당히 향상될 것이다. 학생들의 오류를 줄이며 영작문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지도 방법과 과정을 모색해 보았는데 지도방법으로는 (l)Peer-correction을 통한 지도 (2)기호를 이용한 지도 (3)Three-pencil Method (4)Indrection and Drection Correction (S)Copyreading Technique등을, 지도과정에서는 (1)교재내용을 copy하는 일 (2)Dictation으로 연습하는 일 (3) 기본문형을 활용한 입고 간단한 문장 만들기 (4)Guided Writing (5)Reproduction (6)국문영역 (7)Free Writing등의 과정을 통해 지도하였다. 본 학습방법과 과정을 통해서 지도한 결과는 2차와 3차의 실험을 통해서 나타나고 있듯이 가설1에서 설정된 학생들의 작문력이 상당히 향상되었으며 가설2에서의 오류의 수가 상당히 줄어들었고 가설3과 갈이 규칙확대의 오류가 언어전이의 오류 보다 훨씬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동안에 영어에 흥미를 잃었던 학생들까지도 미미하나마 흥미를 갖기 시작했으며 영어에 대한 태도를 학생들이 적극적 이도록 하는 바람직한 현상이 나타났음은 매우 의의 있는 결과였다. 그러나 오류분석을 통해서 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의의 있는 일이라 여겨지지만 오류분석 시 분석자의 주판이 어느 정도 개입되는가의 문제와 무엇을 오류로 선택한 것인가의 문제 등에 대해서는 분석자에 따라서 상당히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분석목적에 따라서 방법들은 다양하게 선택되어 질 것이며 영어의 작문력을 향상시키는 문제 역시 다른 세 기능과 마찬가지로 언어학적인 문제, 심리학적인 문제 그리고 교육학적인 문제 등이 내포되어 와기 때문에 계속 연구해 볼 문제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on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rror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mpositions of English and but to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through the error analysis. This paper limits its analysis to the overgeneralization and the language transfer. For this study 120 students who are in the second grade at the Kongju Middle Schco1were chosen. They were given tests of Korean-Englishtranslationof 30 sentences. of course these sentences are supposed to be e easy enough for them to translate the Korean sentences into English ones. These errors were then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vergeneratization and Language Tranfer. There of this analysisshow that errors generalization (34.8) are greater than from language my trans In the viewpoint of error analysis, error is an evidence that students are confronted with acquistion step toward target language competence. In this paper in order to decrease the errors and improve the stsudents' writing ability five error-correction techniques and seven teaching writing steps were used. After teaching through these techniques and steps students were given to testsin1ateJulyandOctober.Thesentencesfortestingsa their test type. They made a lot of errors, too. But the numberof errors were much decrea and their writings were improval, compared with the first analysis.

      • 오류분석을 통한 수준별 영작문 비교 연구 :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영작에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박현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이 영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영작문에 나타난 문법적인 오류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오류의 형태와 원인에 있어서 어떤 차이점이 있나를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대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이 영작문 교육에 있어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각 수준별로 학습자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안하여 영작문 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 연구 결과 영어 학습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기울임에도 불구하고 정답률이 고등학생이 45.5%, 대학생이 60.3%로 14.8%정도 높아지긴 했으나 학습자들이 비교적 간단한 문장을 영작하는데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의 오류를 형태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나타내는 오류의 형태별 비율은 고등학생과 대학생 두 집단 모두 대치, 생략, 첨가, 재배열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첨가와 대치형 오류의 비율은 대학생 집단이 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대학생들은 일반 규칙을 확대 적용하여 비문법적인 문장을 만들어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생략형 오류와 재배열형의 오류의 비율은 학습 수준이 대학생 보다 낮은 고둥학생 집단이 대학생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고등학생들은 한국어에 없거나 잘 발달되지 않은 문법 규칙과 개념들을 생략해 버리거나 한국어와 영어의 문장 구조의 차이를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여 영어의 어순을 무시한 채 한국어의 어순을 따라 그대로 영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등학생은 대학생 집단에 비해 재배열형 오류의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대학생의 경우 재배열형 오류의 비율이 현저히 낮아져서 한국어와 영어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의 차이에 대한 교육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두 집단의 오류를 원인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언어내 오류와 언어간 오류의 비율은 고등학생과 대학생 두 집단 모두에서 언어내 오류가 언어간 오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간 오류의 비율은 고등 학생 집단이 대학생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언어내 오류의 비율은 대학생 집단이 고등학생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습의 정도가 많아짐에 따라 모국어 의존도는 낮아지고 목표어 자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두 집단 간에 문법 항목에 있어서 나타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두 집단 모두 동사에 있어서 학습 상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용 면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생들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한국어에는 잘 세분화되어 있지 않은 시제를 대치하거나 시제 일치를 위반하거나 한국어에 없는 3인칭 단수 동사 어미와 진행형, 수동태를 표현할 때 문법항목을 생략하는 오류가 많았다. 반면 대학생들은 영어 자체내의 어려움으로 인해 특정 동사나 조동사를 대치하거나 동사의 복잡한 규칙의 예외가 있는 경우 일반 규칙을 확대 적용하여 불필요한 문법 항목을 첨가시키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대학생의 경우에 기능어로 분류되는 관사와 전치사에 있어서의 오류의 비율이 여전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체계적인 기능어(function word)에 대한 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ical errors mad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in English composition, an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o give some help in finding out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of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as a Second Language. For these purposes, 160 students of the high school third grade in Deajon and 50 college students in Kimhae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The students were asked to translate 30 simple Korean sentences into English within 45 minu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s of ommission and reordering error were higher in the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the college student group. On the other hand the rates of addition and substitution error were higher in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than in the high school student group. Second, in both groups, the students made more intralingual errors caused by specific properties and its overgeneralization of the target language than intralingual errors caused by interference of their native language. But, the rates of intralingual error were higher in the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the college student group. And, the rates of interlingual error were higher in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than in the high school student group. This shows that difficulties in target language itself influence the learners much more than native language transfer. Third, in both groups, the students made a lot of errors in using 'verbs', and the college students still have difficulties in using 'function words '. The following suggestions follow,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Contrastive analysis and error analysis are helpful to understand the causes of learners 'errors. We need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that can prevent students from intralingual and intralingual errors. We may decrease intralhgual errors by applying cognitive and repetitive learning focused on meaning, and interlingual errors by training students in ways of thinking in the English language.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n error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eaching source to improve English writing of Korean students. Also,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 on learners' errors for improvement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경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 적용하여 검증해 보려는 것이다. 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 나. 수학 학습태도에 있어서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으로 서울시에 소재한 S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방학 중 특별학습을 할 학생을 모집하여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반과 실험반으로 각각 1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은 전체적인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전체 집단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수준에 따라 상·중·하위집단으로 분류하여 비교하면 상위 집단은 이미 수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수준이 높고, 하위집단은 수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없던 것으로 보여진다. 단지 중위집단의 경우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 A와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학습을 진행한 실험집단 B는 수학 학습태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학적 성향 검사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인 영역은 수학적인 의지, 수학적인 가치영역이다. 이는 자신의 오류에 대해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스스로 만들어 풀어보게 함으로써 수학에 흥미를 느끼고 학문적인 면보다 수학의 다양한 면을 발견하게 하여 학생들의 수학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과제는 오류 분석을 활용한 문제 만들기 수업에서 학생들의 개인적 성향에 맞추어 같은 오류를 반복하지 않게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지도하고 좀 더 긍정적인 수학학습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좀 더 다양한 학년, 다양한 단원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지도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 유치원생과 대학생의 영어작문에 나타난 문법적 오류의 비교 및 분석

        박소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영어유치원생과 대학생의 영어작문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교수법을 제공하려고 한다. 오류 분석을 위해 영어유치원생의 영어작문이 수집되었으며 대학생의 작문자료는 유경선(2004)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이 논문은 영어유치원생과 대학생이 자주 범하는 오류, 두 집단이 범하는 오류의 공통점과 차이점, 오류의 원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오류 분석을 통해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자주 범하는 오류는 관사의 생략과 명사의 복수 대신 단수명사 적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사의 생략과 명사의 단. 복수 오류는 모국어의 부정적 전이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오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생이 대학생보다 두드러지게 범한 영어쓰기의 오류 또한 두 언어 간의 부정적 전이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모국어 전이는 대학생에 비해 모국어의 노출시기가 짧았던 유치원생에게서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대학생이 유치원생에 비해 많이 범한 오류는 유치원생이 어려운 문장 구조의 사용을 회피하면서 대학생의 오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경우이다. 이는 회피의 오류로 설명된다. 두 집단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은 오류도 회피의 오류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회피의 오류와 완벽한 습득으로 인해 오류가 없는 경우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교수법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할 수 있다. 첫째, 자주 범하는 오류의 문법적 내용을 수업시간에 다루어야한다. 또한 문법 수업은 언어의 4가지 기능인 쓰기, 말하기, 듣기, 읽기의 통합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스스로 쓴 글을 교정하는 과업은 문법과 쓰기영역을 통합하여 오류를 예방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이 회피의 오류를 범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다양한 문장유형을 익힐 수 있도록 장려해야한다. 유도 작문과 문법 수업은 어려운 문장 구조를 가르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자료(authentic material)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여러 가지 문장 구조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회피의 오류를 범하지 않고 문장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하는 지도법이다. 학습자 오류 분석의 중요성만큼 오류에 따른 전략적 지도법도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s of grammatical categories in English kindergarten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English composition in Korea and to provide 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English. In order to analyze errors, data from kindergarten students was collected along with data from college students collected by Ryu(2004). This study examined high-frequency errors in each group; common errors in two groups; the difference of the errors that kindergarten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made; and the causes of the errors. The study indicated that common high frequency errors in two groups are omission of articles and using singular nouns instead of plural nouns which were caused by interference from their first language, Korean. Remarkable errors which kindergarten students committed more than college students can be analyzed as inter-linguistic errors. This study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first language caused errors in all ages. Many errors committed by college students are due to avoidance in kindergarten students' composition. Avoidance can also explain the small number of errors in both groups. Therefore, language teachers should distinguish avoidance and non-errors from mastery of language. The result of the study presents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methods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First, grammatical concepts of high frequency errors should be taught in class. Grammar lessons are necessary to language learners and should emphasize four language skills: writing,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 Proofreading should be a method of teaching which links grammar and writing. Second, English language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se various sentence patterns naturally without avoidance. Controlled-writing and grammar lessons could be ways to teach certain difficult types of sentence structures. However, exposing students to authentic material in English is also a great way for students to learn complicated sentence structures naturally. The teachers' skills to diagnose and treat errors are as important as analysis of the errors.

      • 재외한인학생과 국내학생의 영어발화 오류 비교·분석

        노은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compare the speaking error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students focused on the reason and the grammar accuracy in speaking English and give some data to the learners and teachers to solve the error problem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kind of difference could have to the students who have received the different public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The findings from the test are focused on errors' frequency expecting to offer the data in making materials and developing teaching methods to help the English learners. In order to collect speaking utterances, the speaking test is designed based on the NEAT(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and PELT(Practical English Language Test), and the test that the researcher made i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For each format, preparation and response time was given, and took 10 minutes to complete. There are three parts, and six questions. The first part is composed with short questions of four. The second part is storytelling which is consist of one question. The last third part is description of a graph which has one question. The test was administered in natural environment by CBI(Computer Based Instruction) to reduce the stress or pressure of the students. The recorded speaking test of students are transcribed with great attention. The errors are identified and classified by the standards that the researcher made. The standards of errors are consulted in the reference books. The errors are analyzed by the reason such as L1 transfer, over-generalization, lack of L2 knowledge. And then, The data was rearranged according to the grammar, task, and part of spee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students have made errors in L1 transfer(84.4%); lack of L2 knowledge(8.6%), over-generalization(7%). Secondly, in the part of speech, the verb error are appeared as the highest error frequency of 32.5%. Most of students made the errors in the verb tense errors and third-singular verb agreement. The domestic students made the errors in the verb 142 times, but the overseas students made the errors in the verb 83 times. It shows that domestic students make more errors at twice. Not only in the verb, but also in the most of the part, domestic students showed more errors than overseas students at least in the twice gap. Most of domestic students made the errors caused by additions of unnecessary functional words or content words which usually occur because of the direct translation of Korean expressions. In conclusion, accuracy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as fluency, because omissions of words, phrases or even clauses needed for the meaning in the sentences can cause communication breakdown. This way could reduce the errors that might have arisen from the Korean ways of speaking that affect the structure and the sentences. Secondly, in the public education, instructional hours should be increased. The only difference between domestic students and overseas students is the instructional hours in learning English. They almost same at the term of studying English, and the private education reliance. Giving students more chance of speaking English might reduce the errors of speaking English.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teachers do group work activities to improve learners' rhetorical organization competence. Having students make stories and arrange them in the right order can help the learners focus on meanings and follow the plot of the story more effectively. Accordingly, this may help the learners develop their skills of storytelling.

      • 영작문에서 교사의 간접 형태 오류 수정 피드백의 효과

        한정화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eacher's indirect error correction feedback on students' revised-writing and new writing, and their responses to the feedback they received. Six L2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rote a story ten times in total (five first-draft writings and five revised writings) based on an unscripted seven-cut cartoon, and indirect feedback was given to their writings. Indirect feedback refers to coded error correction in which errors were underlined and marked with code. For the feedback and analysis of students' writing, this study used 5 error categorizes (articles, verbs, noun endings, wrong words, sentence structures) developed by Ferris and Roberts (200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five times of writing, comparing the number of errors of students' first-draft and their revised writing in each essay, the percentage of error of revised writings decreased by 50% compared with that of first-draft writings. This indicates that teacher's feedback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errors. Secondly, when comparing the first drafts of students' five essays, the number of errors decreased gradually. That is, the number of errors in the first draft of students' last essay (the fifth essay) was 11% less than that of the students' first essay. This indicates that students learn grammar implicitly with teacher's indirect feedback and it has an effect on the decrease of errors on students' new writing. Thirdly, articles, verbs and noun endings were amenable to student self-correcting but wrong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were not easy for students to correct by themselves. This suggests that indirect feedback can help students to correct error such as articles, verbs, and noun endings by themselves but it might not help students notice errors in the areas of wrong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was substantiated by the students' request for the teacher's direct feedback or direct explanation on these two error categories, wrong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Overall, despite teacher's feedback, students sometimes felt discouraged by consistent errors. However, they gained confidence in English writing once they found out the number of errors decreased little by little. This study can provide teachers with valuable information with which they can respond more effectively to the needs of L2 students.

      • 피드백 제시 시기가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 거절 화행을 중심으로

        조이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immediate feedback and delayed feedback on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pragmatic errors correction. As the role of feedback becomes more important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the research on feedback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y are mainly pointed on feedback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feedback presented by Lyster & Ranta (1997), and the research for the feedback timing is very insufficient. Among previous studies of Korean education,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learners' preferences for the feedback timing. However,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many experimental studies about the feedback timing have been conducted. But, these studies mainly explored the effect of the feedback timing on the correction of English grammar errors. The impact of feedback timing on pragmatic errors correction has not been explored. So this study will examines the effects of feedback timing on pragmatic errors correction. In Chapter I, I clar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presents research questions in detail. Subsequentl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in the feedback timing and the correction of pragmatic errors, I revealed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and disscussed some aspects this study will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studies.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pporting the discussion of the study was argued from two espects: the theory of feedback timing and the theory of correction feedback of pragmatic errors. Through this, I explained the definition and type of feedback timing, then I also discussed the type of the pragmatic errors. So that the analysis frameworks were prepared. In Chapter Ⅲ, I explain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t contains research subjects, research procedures, research tools and task, and pilot test. In Chapter IV, I analysed the result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I analysed the differences in learner response to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the differences in effects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on pragmatic errors correction, and differences in learners' perceptions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And then I discuss the analysis results in depth. In Chapter Ⅴ, I summarized the research results and pointed ou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the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ces in learners' response to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learners who received immediate feedback usually had better reponses than the learners who received delayed feedback because they interact more actively with teachers. However, for alerters errors, syntactic down-graders errors, lexical & phrasal down-grader errors, the learners who received delayed feedback on them had better reponses. And for the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if the feedback is given in a short time, the effect of immediate feedback is better, but if the feedback is giving in a long time, there is not a big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And for the result of analysing the differences in learners' perceptions of immediate and delayed feedback, although there was no a statistical difference,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e can know that learners sometimes perceive feedback differently due to the feedback timing.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as the first study in Korean education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he feedback timing. In this study, I did not just compare the frequency of pragmatic errors of learner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but also checked learners' responses and perceptions to the immediate feedback and the delayed immediate feedback to approach the impact of feedback. And I hope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teachers in Korean class when they are giving feedback to Korean learners.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범하는 화용적 오류를 중심으로 교사가 학습자들의 발화 중 오류가 생길 때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경우와 학습자의 발화가 끝나고 나서 지연적으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경우가 각각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적 관점에서 피드백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한국어 교육에서도 교사 피드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이들은 주로 Lyster & Ranta(1997)에서 제시한 피드백의 유형 분류에 따른 각 피드백 유형에 대해서만 관심을 두고 있고 피드백의 제시 시기에 대한 탐색은 아주 미흡한 상황이다. 국내 연구 중, 단지 소수의 연구에서만 피드백의 제시 시기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을 뿐이다. 이와 달리, 국외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는 실험을 통해 피드백의 제시 시기가 학습자의 제2언어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당 연구들은 주로 제2언어 영어 교육에서 피드백의 제시 시기가 학습자가 범하는 문법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제2언어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정확한 발음, 어휘, 문법뿐만 아니라 주어진 맥락에 적절하게 발화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인 화용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범하는 화용적 오류에 대해 다른 시기에 제시되는 피드백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거절 화행 상황을 설정하여 학습자가 거절 화행을 수행할 때 범하는 화용적 오류에 대해 즉시 피드백(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 중에 제시되는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학습자가 과제 수행 완료 후 제시되는 피드백)의 영향을 살펴보고 비교하기로 하였다. 먼저 피드백의 제시 시기와 한국어 화용적 오류 수정 피드백 두 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밝혔고 본 연구가 어떠한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화되는지 논의하였다. 그 다음, 이 두 가지 측면에서 본 연구의 논의를 뒷받침해 주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피드백 제시 시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분석틀과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분석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실험 대상은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63명이고 사전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을 즉시 피드백 집단, 지연 피드백 집단, 통제 집단에 각 21명씩 배정하였다. 3주의 피드백 처치 전, 후에 구어 담화완성테스트를 통해 사전, 사후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실험 끝난 후 학습자의 피드백 제시 시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은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 분석 및 논의 부분이다. 녹음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즉시,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 반응 차이를 밝혔고 사전-사후 테스트 결과 비교와 실험 주차별 학습자 오류 양상 분석을 통해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의 효과 차이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사후 설문지에 대한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인식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화용적 오류에 대해 피드백을 제시할 때 즉시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가 교사와의 상호작용이 더 활발하고 오류 수정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시도하여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보다 반응이 좋았다. 하지만 호칭/지칭어 오류 같은 주로 발화 시작 부분에 나타난 오류를 수정할 때 즉시 피드백을 제시하면 학습자가 갑자기 긴장을 하게 되고 미완성 발화 부분도 많아서 피드백에 대한 반응이 별로 좋지 않았다. 다음에 통사적 완화장치, 어휘·구 완화장치 등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에 대해 학습자의 발화가 모두 끝나고 나서 교사가 천천히 설명해 줄 때 학습자의 반응이 더 좋았다. 하지만 존대법 오류와 같이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또 연속으로 범할 가능성이 높은 오류는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받을 때 학습자가 빨리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과제가 끝나고 반복적으로 동일한 오류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것보다 반응이 더 좋았다. 그리고 화용적 관례어 오류는 보통 학습자가 관례어의 화용 용법에 대해 잘 몰라서 범한 오류인데, 이런 오류는 과제가 끝나고 다른 오류와 같이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보다 오류 발생 즉시 피드백을 제시할 때 반응이 더 좋았다. 둘째,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의 화용적 오류 수정 효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사후 테스트 결과 비교를 통해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이 모두 학습자의 총 화용적 오류뿐만 아니라 호칭/지칭어 오류, 통사적 완화장치 오류 그리고 존대법 오류 수정에 효과적이지만 두 가지 피드백의 효과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실험 주차별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양상을 분석한 후, 이는 피드백 제시 시기가 아예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이 아닌 점을 발견할 수 있다. 1, 2주차 실험 때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보다 즉시 피드백을 받은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빈도가 유의미하게 적게 나타났는데 3주차 실험 때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빈도가 대폭 감소해서 즉시 피드백 집단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주로 1, 2주차 때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보다 즉시 피드백 집단 학습자가 피드백을 받고 과제 수행에 적용해서 연습하는 기회가 많고 3주차 때부터는 지연 피드백 학습자도 앞 차시 실험의 피드백을 적용해서 충분히 연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1, 2차시만 피드백을 제시할 경우, 즉시 피드백의 효과가 더 좋지만 더 긴 시간 동안 여러 회의 피드백을 제시할 경우,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의 효과 차이가 명확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오류인 어휘·구 완화장치 오류의 경우, 즉시 피드백보다 지연 피드백으로 학습자의 과제 수행이 끝난 후 천천히 설명해 주는 것이 효과가 더 좋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화용적 관례어 오류는 주로 학습자가 관례어의 화용 용법을 잘 몰라서 범하는 오류이기 때문에 이를 수정할 때 지연적으로 다른 오류와 같이 수정하는 것보다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시하는 것이 학습자에게 더 깊은 인상을 주고 수정 효과도 더 좋았다. 셋째,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 집단 학습자가 설문지의 모든 문항, 즉 피드백의 필요성, 유용성에 대한 인식, 피드백을 인지하는 정도 및 정의적 요인에 관한 문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설문지 질적 분석을 통해서 개별 학습자가 피드백의 제시 시기의 영향을 받아 피드백을 다르게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처음으로 실험, 교실 관찰, 설문 조사 3 가지 연구 방법으로 다방면에서 피드백 제시 시기의 영향을 탐구한 연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피드백의 제시 시기와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 수정과 연결하여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렇게 본 연구에서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차이,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의 수정 효과 차이, 즉시 피드백과 지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밝혀냈고 이는 장차 실제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가 언제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에 피드백을 제시해야 할지 고민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