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 개선방안 연구

        이화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옛길은 2007년 문화재의 범주에 포함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문화재로 지정하는 단계에 그쳤으며 관리나 활용의 분야에서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다. 최근 연구에서 문화재로 지정된 옛길 활용프로그램 개발이 진전되었으나 그 실행은 미비하였고 옛길을 문화재로 지정 후 보존관리나 보호활용에 관한 통합적 연구나 방향이 없다는 문제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옛길의 보존관리와 보호활용 개선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의 이론으로 국제협약인 이코모스 버라 헌장과 이코모스 문화루트 헌장에서 길 유산의 인식에 대해 고찰하였고, 국내의 옛길 관련 법령과 제도를 검토하였다.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의 현황파악을 위해 국제협약인 이코모스 문화루트 헌장에서 제시된 문화루트 관리를 위한 방법론을 분석틀로 국내·외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을 비교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옛길은 오랜 역사성과 인간의 문화적 과정으로 형성된 유형과 무형의 요소를 지닌 지역 고유의 유산이다. 문화루트가 인간의 문화적 과정이 쌓인 길이라는 점에서 옛길과 일부 정의를 동일시하였다. 이코모스의 문화루트 헌장의 방법에서 제시된 관리, 보호, 지속가능한 이용, 대중 참여의 항목으로 옛길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실크로드와 국내 문화재 옛길인 문경새재, 문경토끼비리, 대관령 옛길, 비지정문화재 옛길인 경기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재 옛길의 관리에 있어서 다른 사례에 비해 관련 연구나 국가 중심의 사업이 미비했다. 옛길의 보호에서는 문화재의 경우 문화재보호법상에서 명승의 범주에서 보호를 받고 있었지만 조례에서는 보호에 관한 항목은 미비했다. 옛길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있어서 관광 활동과 연계는 문화재 옛길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해 현저히 부족했다. 옛길 관리에 대한 대중 참여 또한 미흡했다. 사례분석을 통한 옛길의 보존관리 및 보호활용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옛길 보존관리의 개선방안으로 유·무형요소의 통합적 연구와 유·무형요소의 통합 모니터링을 제안한다. 기존의 보존관리는 주로 유형요소에만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유형과 무형을 통합적으로 관리에 포함하여야 한다. 둘째, 옛길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유·무형요소의 통합 활용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옛길은 길에서 일어난 문화적 과정이 유산이기 때문에 유·무형이 통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옛길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옛길의 관리에 지역공동체 참여를 제안한다. 옛길은 지역의 고유한 자산으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여 옛길의 관리에 지역의 공동체를 포함한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도록 지속가능한 활용과 관리를 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Since it wa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heritage in 2007, the Old Road has only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property, and there has been little movement in the fields of management or utilization. In recent studie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utilize the Old Road of cultural heritage was advanced, but the practice was inadequate, and there was no integrated research or direction on management for conservation or utilization for safeguarding after designating the Old Road as a cultural property. Therefore,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for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for the safeguarding of Old Road has been raised. This study examined the recognition of cultural route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ICOMOS Burra Charter’ and the‘ICOMOS Cultural Route Charter’, and reviewed laws and systems related to Old Road in the Republic of Korea.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management for conservation or utilization for safeguarding, the methodology for cultural route management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ICOMOS Cultural Route Charter’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servation and safeguarding of Old Road in home and abroad. The Old Road is a local heritage with a long history and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formed by the cultural process of humanity. The cultural route equates some definitions with the Old Road in that the cultural process of humanity is a built-up path. It derived implications by analyzing Old Road cases with items of management, safeguarding, sustainable use, and public participation presented in the methodology of ‘ICOMOS Cultural Route Charter’. The subject of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management for conservation or utiliza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Silk Road of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Mungyeong Saejae, Mungyeong Tokkibiri, Daegwallyeong Old Road, and Gyeonggi Old Road of an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lated research and state-centered project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cases in the management of the Old Road. In the safeguarding of the Old Road, cultural heritage was protected under the category of scenic sites unde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aw,' but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were inadequate. In the sustainable use of the Old Road, tourism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acking in the old road of cultural heritage compared to other cases. Public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the Old Road was insufficient in the Old Road of cultural heritage. Measures to improve the conservation, management, safeguarding, and utilization of the Old Road through case study are the following as: Firstly, the integrated research and monitoring of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are proposed as a way to improve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Old Road. Existing management for conservation was mainly limited to tangible elements. Therefore, tangible and intangible types should be included in an integrated system. Secondly, utilization programs which are integrated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are proposed for the sustainable utilization of the Old Road. The Old Road should be dealt with in an integrated manner, as the cultural process that took place on the road is heritage. Thirdly, for the sustainable use of the Old Road,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the Old Road is proposed. The Old Road is a unique asset of the locals and needs to provide a system for sustainable utilization and management so that various subjects can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the Old Road by the public-private consultative body.

      • 호남대로 ‘갈재옛길’의 보전가치 및 활용방안 연구

        이상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study, I shed light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of the Old Road Galjae on the Honamdaero, which is one of the nine major roads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field surveys of the route, I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construction. I also conducted a survey of the flora and fauna around the road. In addition, I examined the curr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status, and proposed necessary measures for rational management and activation. In summary, my results suggest possible management strategies and utilization plans to effectively preserve and promote the value of the Old Road Galjae. 1. Although the first recorded mention of the Galjae ancient road appears in the book "Goryeosajeolyo" in 1011,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it is estimated that the road was actually built during the early Three Kingdoms period when there was a lot of movement of people and good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Honamdaero, including the Galjae route, was one of the nine major highways that connected Seoul to Jeju Island. Many scholars who traveled through the Honam region during this time left poems and literature related to Galjae, providing insight into the social norms, history, culture, and scenery of the time. 2. The Old Road Galjae route and its surrounding areas are rich in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including the Mireuksa Buddha statue in Wonseong-ri of Jangseong-gun, Hongbyeongwi Bulmangbi in Jangseong Busa, old springs, and Galae Rocks. There are also many local legends and storie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Additionally, there are remnants of the old Honam Line railway tunnel, as well as the national highway route 1, Honam Expressway tunnel, and Honam Line railway tunnel located around Galjae, which allows us to witness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this area in modern times 3. The measured length of the route, consisting of 80 surveyed points, is 2,071.3m, with the Jeongeup section being 780m and the Jangseong section being 1,271.3m. The route follows the terrain and includes hairpin urves, while using stone-piling methods on steep slopes to construct paths of both dirt and stone. The width of the route ranges from a minimum of 1.2m to a maximum of 6.0m, but the majority of it is between 1.4-2.0m. The gradient ranges from 0-2.0% on the longitudinal slope and from 0-4.0% on the cross slope, which is suitable for cart traffic and natural drainage without a side ditch. 4.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of the route, this study has depicted the planimetric alignment of the Old Road Galjae on aerial photographs. 5. A total of 204 taxa were surveyed among the flora colonizing the visible range of the Old Road Galjae section, consisting of 75 families, 161 genera, 179 species, 1 subspecies, 19 varieties, 4 cultivars, and 1 hybrid. Among them, there were 99 taxa of trees and shrubs and 105 taxa of herbaceous. The highest number(117) was observed in a section adjacent to farmland,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 Chrysosplenium barbatum , Ajuga spectabilis site. Meanwhile, 9 taxa of rare and endemic Korean plants, such as Adonis amurensis, Gentiana scabra, and Cirsium nipponicum var. maackii, were identified. In addition, 1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also found. 6. Fifty-eight old-growth trees were selected as valuable ecological resources for use in ecological exploration and interpretation in the visible range of the Galjae old road section. These trees, including Celtis biondii var. heterophylla ,P runus sargentii , Zelkova serrata , Cornus controversa , Quercus variabilis , Quercus acutissima are deemed important for their educational and aesthetic value. 7.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urr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facilities and exploration systems in the Old Road Galjae. Based on this research, I proposed rational management and activation plans, including designating the site as a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 installing and maintaining facilities, preserving the old road structures, improving interpretation panels, developing diverse exploration routes and programs, and deploying professional personnel

      • 사적 고증을 통한 양평군 구둔치 지역의 산림문화자산에 관한 연구

        최봉주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78

        사적 고증을 통한 양평군 구둔치 지역의 산림문화자산에 관한 연구 최 봉 주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녹색생명산업정책학과 지난 2013년 산림청에서는 ‘숲길서 만나는 보존가치 높은 유․무형 자산’ 후보지 16곳을 선정하면서 양평군 구둔치를 후보지 중 하나로 꼽았다. 산림청은 보존 가치가 있는데도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후보지를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보호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이었다. 양평 구둔치는 거리가 2.6km에 불과하지만 조선시대 서울과 강원도를 잇는 평해로, 일명 관동대로의 동대문 밖 첫 고개로서 지리적․역사문화적 가치가 크다. 또한 고개 정상부에 습지가 발달하고 있고 반딧불이가 서식하고 있는 바, 생태․환경적 가치 또한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둔치가 가진 자산을 보존하고 활용하고자 하는 중장기 마스터플랜은 말할 것도 없이 지명의 어원 등 기초적인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둔치의 문화․역사자원 및 지리․환경․생태자원을 조사․연구하여 산림문화자산 구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공간적 대상지는 구둔치 옛길 구간과 구둔치의 양 기점이 되는 양평군 지평면 일신리와 동군 양동면 매월리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구둔치 주변의 지역개관, 고개 명칭의 고증, 문헌자료는 물론이고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구전되는 옛이야기와 민속 관련 행사 등 무형의 산림문화자산을 포함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구둔치 지역은 관동대로의 본선(本線)이며 서울과 강원도를 연결하는 지름길로서 중앙선이 개통되는 1940년대까지 활발히 이용되었다. 구둔치는 서울과 강원도를 오가는 가장 빠른 길이었기 때문에 일찍이 길이 잘 발달했던 것이 확인되었다. 구둔 삼거리 분기점에서 각각 옛 양동면 고을인 석곡리까지의 거리는 각각 구둔치 경유시 5.8km, 못저리 7.1km, 그리고 서화치는 15km인 바 구둔치가 무척 빠른 지름길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길의 이용 상황은 구한말~일제강점기 초기 신작로가 개설되어도 큰 영향을 받지 않다가 1940년대 철로가 개설되면서 상황이 많이 바뀌게 되었다. 구둔치 구간의 시작지점과 종착지점을 역사적 근거에 의해 산림문화경관의 하나인 도로표지물이 될 수 있는 정자목(느티나무)과 주막으로 설정하여 향후 산림문화자산 개발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조선시대 도로표지물로서 이제는 산림문화경관의 하나가 된 일신리 노거수를 구둔치 고개의 시점 또는 종점으로 삼는 것도 충분히 검토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다른 한쪽으로는 동쪽의 양동면 매월리 월은주막터이다. 매월리 월은 마을에는 마방과 주막으로 쓰던 건물이 지금도 일부 남아있는 것을 현장조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둘째, 구둔치 지역은 구둔치 옛길을 비롯하여 국가등록문화재인 구둔역사, 구둔치 습지, 구둔치 항일의병유적지, 못저리서낭제 등 유무형의 문화자산이 많이 내재되어 있는 산림문화자원으로서 역사성과 문화경관이 깃든 길이였다. 구둔치는 길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문화․경관적 공간이다. 이 길을 넘나들었을 대소인원이 만들어 낸 갖가지 이야기로 미루어 볼 때 그 의미가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구둔역사는 일제강점기인 1939년 준공한 간이역 건물로 1940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던 건물이다.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역사(驛舍)는 2006년 문화재청이 국가지정 등록문화재 제296호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 근래에 첫사랑을 모티프로 한 유명 영화와 CF 등의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이곳을 찾는 발길이 꾸준하다. 셋째, 구둔치 습지는 구둔치의 핵심 산림생태자산 중 하나이자 타 고로(古路)와 차별화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산림자원이었다. 습지 전문가 사이에서는 이 숲 속 비오톱을 형성하는 습지 자체가 자연․환경적으로는 구둔치 자체보다 더 귀중한 산림문화자산이라고 언급되기까지 한다. 넷째, 구둔치의 지명은 우리말의 ‘구질 또는 구즌 고개’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개 정상의 습지의 자연환경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구둔치 지명의 원형은 관동대로의 본선답게 고문헌과 고지도에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는데 명칭의 기록이 지금과 사뭇 다른 것을 밝혀냈다. 즉, 기록된 명칭을 크게 대별하면 구질(仇叱)과 구존(九存)이 공존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07년 의병 전쟁기에 일본군이 クツンチ(구즌치)로 명칭을 받아 적었다는 기록이 있다. 1910년부터 ‘九屯’이란 한자표기가 나타나는데 ‘九屯’의 처음 발음은 ‘구즌’을 한자발음으로 옮긴 “구준”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빈도가 매우 적지만 ‘屯’의 음에는 ‘준’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 대부분이 ‘屯’을 주로 ‘둔’으로 읽었던 바 지금은 완전히 ‘구둔’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구둔치의 항일의병유적지는 구한말 외세에 대항한 항일의병의 숨결이 녹아있는 역사의 현장이었다. 관동대로의 교통적 요충지이자 주변 산악으로의 빠른 이동이 가능한 지리적 잇점, 나아가 고지대이면서도 물이 풍부했던 자연․환경적 특성으로 이곳은 진을 치고 적을 방어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던 곳이다. 특히 1907년도 정미의병 봉기 당시, 서울을 일본으로부터 되찾고자 전국 각지에서 모였던 의병들의 전초기지가 구둔치에 있었음은 이를 ‘토벌’하려고 했던 일본 측 기록에 자세히 나와 있다. 여섯째, 구둔치 지역에는 예로부터 사람과 물산의의 왕래가 잦았던 조선의 제3대로인 평해로(관동대로)답게 옛길이나 산림과 관련된 무형의 산림문화자산이 조사되었다. 구둔마을 인근에서 대대로 지냈던 못저리서낭제는 비록 그 명맥이 지금은 끊겼으나 기록이 남아 있으므로 복원이 가능하다. 구둔치 옛길 구간에 전해지는 ‘신사임당과 이율곡 이야기’, ‘송강 정철의 관동별곡 이야기’ 등 향후 조사해야 할 무형의 산림문화자산이 여전히 상존해 있다. 그리고, 구둔치 아래 마을인 일신리에 대한 지명유래는 구둔치 지역의 무형의 산림문화자산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끝으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향후 구둔치의 산림문화자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기초 자료이자, 향후 이를 기반으로 구둔치에 대한 중장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구둔치 지역의 전통적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조사․발굴 및 보존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반증한다. 또한 구둔치 지역의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지역 향토사학계 및 사회는 물론이고 대국민적 홍보 및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토대로 구둔치 지역의 전통적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체험 및 이용 확대를 안내하는 동시에 필요한 시설의 설치 및 보완이 뒤따르게 되면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tudy on the Forest Cultural Assets of Gudunchi, Yangpyeong County through a Historical Research Choi, Bong Joo In 2013 when Korea Forest Service selected 16 most suitable places for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worth conserving in paths through forests, it included 'Gudunchi(구둔치)' as one of them. This action has taken as a part of designating and preserving not-properly controlled proposed places as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by Korean Forest Service. The 'Gudunchi'(chi(峙) means hill) being no more than 2.6km long, it is of great geographical,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as Pyeonghaero(the road from seoul to Pyeonghae, in another name Grand Gwandong road axis connecting Seoul and Kangwon province in Joseon Dynastys, which was the first hill pass outside Dongdaemun Gate. Also around its hilltop wetlands are nicely laid out and fireflies inhabit there, which symbolizes for them to have great ecologic and environmental values. In spite of the fact that 'Gudunchi' has much value like this, nobody has studied the basic forest cultural assets including tracing a word to its place-name origin, not to speak of it not being included in any medium-and long-term master plan for preserving and applying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cision makers with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the forest cultural assets by investigating and studying cultural, historical, geographical, environmental and ecologic resources of the 'Gudunch'. The research object region is centered around the hill pass 'Gudunchi' section and Ilsin-ri, Jipyeong-myeon and Maewol-ri, Yangdong-myeon in Yangpyeong county,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both of 'Gudunchi.' The subject of study includes the view of local general around the 'Gudunchi',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ll pass name, and not only bibliographic data but also orally transmitted tales and concerned folkloristic events by studying the question on the spot. The study summaries are in as follows. Firstly, the name of the 'Gudunchi' is verified by the fact that it is derived from korean language hill pass 'Gujil[仇叱]' or 'Gujon[九存]' referred by those who crossed 'Gudunchi', seeing wetlands around it, which reflects the natural environmental special quality in wetlands around its top. I found the fact that the original place name 'Gudunchi' was recorded in every ancient documents and antique maps concerned Grand 'Gwandon' road axis like living up its name as a maine line, however, the name was recorded very different from the present one. These could be classified roughly into two types; Gujil[仇叱] coexisted with Gujon[九存]. After then, there is a record that when Korean righteous army fought against Japanese invaders in 1907, Japanese soldiers wrote down what they heard as クツンチ (Guzeunchi). Since 1910 a word ‘九屯(Gudun)’ written in Chinese has started to appear, which gives a hint that Gudun might have been written as Guzeun in chinese, for the sound ‘屯(dun)’ has also sound of 'jun' though the sound frequency is very low. But most of Koreans have mainly read ‘jun’ as 'dun', which has completely seemed to have taken deep root in their mind. Secondly, in the area of the 'Gudunchi', there are many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cluding Gudun railway station building which is nation-registered cultural property, Gudunchi wetlands, the righteous army's battle field fought against Japan, which means that it covers a historical importance and cultural landscape. The 'Gudunchi' itself is a great cultural landscape space. Guessing the tales spoken by those who went or came over the hill and held the 'Gudunchi' dear, we can think its importance. Gudun railway station building is a flag stop station built in 1939, end of the Japanese rule and started business as an ordinary station in 1940. Wholly preserved the original railway station building was designated as a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N0. 296 in 2006, it has been kept as a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since then. Known as the filming location for shooting famous movies with first love motif and commercial film, Gudun flag stop station has received a steady stream of visitors. Thirdly, 'Gudunchi' wetlands was not only one of core assets in the 'Gudunchi' but also an important forest resource different from other old paths. It is even said that among wetland experts, this wetland itself forming biotope in this forest, has more valuable cultural assets than the pass ‘Gudunchi’ has in respect of natural environment. Fourthly, ‘Gudunchi’ is a historic site saturated with righteous soldiers' breath who fought against Japanese, trying to beat off foreign powers. An important traffic hub along the Grand Gwandong road axis, Geographical advantages able to shift to mountains in the vicinity and natural environmental features rich in water, despite its high ground, provide righteous Army soldiers with the most defensible perimeter. Especially at the time of righteous army's uprising in Jeongmi(1907) many righteous Army soldiers built their garrison base in the ‘Gudunchi’ in order to recapture Seoul from the Japanese invaders, which was confirmed by the Japanese document written by Japanese punitive force. Fifthly, 'Gudunchi' is located in the main line of the Grand Gwandong road axis and a shortcut connecting Seoul and Kangwon province, which was made the best use of it until 1940 when the central railway line was opened. The fact that the ‘Gudunchi’ was the quickest shortcut for those who came and went through it caused them to develop a good way along it. From the intersection of 'Gudun' three-forked road to Seokgok-ri, an old town of Yangdong-myeon is 5.8km via the Gudunchi or 7.1km bia Motzori(못저리) or 15km bia Seowhachi(서화치), which means that it is the shortest shortcut from the intersection of 'Gudun' three-forked road to Seokgok-ri for us to get most rapidly. The availability using this way did not change much even when newly constructed roads were built from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o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ut since the establishment of railroad in 1940 the availability using this way was changed completely. Finall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segment from the start point to the other end one of the 'Gudunchi' to be developed as cultural assets in near future in a situation it set up as a shadow tree(a zelkova) and a tavern which can be a road sign based on the historic background. It is worthwhile for us to devote deep study to make the location of an old zelkova tree at Ilsin-ri be the start point or the end point of 'Gudunchi', though it has already been the road sign of the Joseon Dynasty era. And an old Woleun tavern site in Yandong-myeon east of 'Gudunchi' is also a subject to study. Through field investigation I could confirm traces of horse stables and a tavern at the village of Woleun. I hope the result of my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basic materials for preserving and utilizing the forest cultural assets of the ‘Gudunchi’, and it will be applied to establishing medium-and long-term master plan of it.

      • 조선시대 황산역로 역참 위치와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김영근 蔚山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2

        조선시대의 역참은 국가의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교통과 통신시설로써 지방의 군정보고 및 공문을 중앙으로 전달하는 기능과 공무수행에 있어 마필과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특히 조선의 유교적 중앙집권 체제의 확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국가 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조선시대의 역도체제는 시간적 변화에 따라 여러 문제점을 보이며 제도의 개편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종실록지리지』, 『경국대전』, 『도로고』등 고문헌에 기술되어 있는 내용을 통해 조선시대의 역도체제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고, 조선시대 41역도중 하나인 황산도와 속역의 위치와 현재 도로망과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과거의 기록을 통해 역의 개략적인 위치를 파악한 후 1910년부터 1918년 사이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제작된 지적원도와 구토지대장을 활용하여 각 역의 위치와 규모를 분석한 후, 현재 도시와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과거 역의 위치와 해당 지역이 어떠한 시간적 변화를 보여 왔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향후 도시계획과 개발과정에서 역의 위치를 보존하고, 지역유산으로 이를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역승(驛丞)의 위주의 역도체제와 『경국대전』의 찰방(察訪) 중심의 역도체제를 거쳐 1895년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조선 말 까지를 연구범위로 설정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는 조선시대 주요 도로중 하나인 영남대로에 속해있는 역로 중 황산도를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한정한다. 과거 황산도의 관할 지역 중 현재 양산시와 울산광역시, 경주시의 행정구역 내에 해당하는 역참을 공간적 범위로 한정한다. 과거 조선시대의 황산역의 속역 중 찰방에 의해 운영된 황산역과, 유산역, 위천역이 양산에 위치하며, 덕천역과, 굴화역, 잉보역이 울산, 노곡역은 경주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각 역의 터는 현재 개발로 인해 과거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지역이 있는 반면, 비교적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에도 과거의 대지 형태와 옛길에 대한 흔적이 남아있는 지역으로 분류 할 수 있는데, 유산동의 경우 양산유산일반산업단지의 개발로, 물금리의 황산역 터는 황산문화 체육공원조성, 굴화리의 굴화역 터는 굴화강변월드메르디앙아파트건설로 인해 과거 역에 관한 흔적이 존재하지 않거나, 대부분 소멸된 상태이며 노곡리와 석계리, 교동리와 서하리의 경우 현재까지 대규모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거 대지 형태와 옛길이 비교적 남아있음을 분석 할 수 있었다. 근대이후 우리도시에서 일어나는 각종 개발행위로 인해 다양한 역사유산이 파괴되어 왔으며, 조선시대의 역 또한 그 위치조차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채 사라져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라져 가고 있는 지역의 역사유산 연구에 관한 필요성을 깨닫고, 향후 발굴조사 및 복원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야외학습을 위한 화순 너릿재 옛길의 식물상과 생활형에 관한 연구

        이미경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12

        Field classes are necessary to grow the ability of and an attitude toward exploring nature and to shape the basic concept of natural science. I tried to develop a site for field classes and the old road Naori's hill is an ideal place with convenient traffic and established youth camps.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Fiv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Pinus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n all survey areas 100 family 336 genus 587 species of palants was found. Furthermore, it provides lots of plants throughout the seasons. Not only the flora but also flowering phenology, variety of floral color and growth habits can be used as teaching items. Incorporation of diverse knowledge of plants at the old road Naori's hill into biology teaching will give students academic stimuli and teachers an opportunity of retraining. With a combination of use of visual instruments, the purpose of conceptual and exploring biology is more easily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