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행정과 음악행정에 관한 비교조사 연구

        박율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예술행정의 변천에 따른 올바른 예술행정구조를 정립하고, 예술음악행정에 관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예술행정과 음악행정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상호공조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보다 낳은 예술음악행정의 체계와 가치를 격상시킬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예술가로 하여금 자주적이고 적극적이며 더욱 왕성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차질 없이 기획하여 실행에 옮기며, 어떠한 문제가 야기되는지를 살펴보고 보완하여 개선하고자 하는데도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예술가와 관객 그리고 예술행정가와의 관계에 균형을 꾀함으로서, 우리사회에 예술의 과잉공급이나 수요 부족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발전, 유지시켜 관객들에게 예술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여 보다 나은 예술기획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국내의 문화예술의 변천과 예술단의 현황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외국의 실질적인 기구들을 소개함으로써 음악행정에 연관되어진 조직의 역할에 관하여 설명하였고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대두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언급하였다. 우리나라 예술행정의 제1기에서부터 제5기까지의 변천기간동안 행정과정을 살펴보고, 현재의 행정과정을 통해 예술행정을 재조명하여 보다 효과적인 새로운 예술행정의 구조수립을 도모함과 동시에 외국의 실례로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살펴 보았다. 두 나라의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국의 예술행정과정에 관한 구조적인 상황과 행정적인 과정을 통한 프로그램과 방송국과의 전반적인 계약관계, 출연자의 역할분야와 사례금, 음반제작에 대한 준비, 제작, 협력자, 제조, 출시, 비용, 음반회사와의 계약 종류 및 유형 등 일반적인 계약자와 기본적인 절차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계약내용과 음악행정의 기획(매니저)역할과 음악행정 절차에 필요한 협력단체들을 소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역점을 두었다. 이로써 본 연구가 폭넓은 예술행정과 음악행정과의 연관성, 절차 과정 역할 등 국내의 현황과 외국의 사례 등을 통해 국내외의 음악행정에 관한 여러 가지 장ㆍ단점과 문제점을 비교 연구하여 앞으로 음악행정의 구조적인 문제와 진행절차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Following the policy of culture and Art Administration, this paper is aimed at establishing a structure of desirable Art Administration, and elevating the system and the value of Art and Music Administration by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ses of Art and Music Administration maintaining mutually cooperating relationship. Also,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lan and practice for improvement by examining what problems may happen so that an artist can do more self-governing, positive and active creative work. Furthermore, this study focuses on making a better art plan to induce interest from the audience by pursuing balance of relationship between an artist, the audience and an art administrator through protecting from oversupply or lack of demand. It also describes change of domestic culture and art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art groups. It also mentions various problems in Korea by introducing foreign organizations related Music Administration. Looking at the process of Korea's Art Administration from the first through the fifth term, this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a new effective structure of Art Administration by re-examining Art Administration through the administrative process of the present time with an actual example of Germany and Austria. It also puts a highlight on introducing actual contents of a contract, the role of art administrating planner(manager) and cooperating groups needed for the process of Music Administration through the basic process of a contract that includes contract relationship between programs and broadcasting system through the two countries' structural situation and administrative process, guests' roles, reward, preparation for record-making, cooperators, manufacturing, release, cost and kinds of types of contracts with record companies. Finally, I hope this study will provide information of the structural problems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Music Administration by comparing the good and the bad of domestic and foreign Music Administration through the domestic situation and foreign examples such as relation between wide-arranged Art Administration and Music Administration, the process and the roles.

      •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특성 분석 :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정다정 숙명여자대학교 정책ㆍ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one in order to provide basic and standard data with Korean universities as it analyzes curriculum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ion in graduate programs by the type of college, and identifies it. Firstly,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Arts Administration by comparing with Arts Management because they are similar each other, and explains the necessity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ion in view of theory and field demand with analyzing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studies which show the difference betw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are referred. Next, it shows which filed of study more related to general understanding of Arts Administration is, and which title of subjects most frequently used is by classifying AAAE's member schools in standard of their degree and college. Both of Arts Administration and Arts Management are used for the title of Arts Administration curriculum. MA is the most common, and MFA is there the next in view of degree. Humanity․Arts i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Social Science, Management․Law, and Education in view of college. Next, it shows 10 essential subjects which are the standard of AAAE graduate curriculum('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rt', 'Financial Analysis / Budget Management', 'Income Generation : Marketing and Development', 'Strategic Planning', 'Legal and Ethical Environments for the Arts', 'Policy for the Arts', 'Institutional Leadership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Environment for the Arts', 'Research Methodology', 'Technology Management / Training') and other subjects in view of 'Degree Requirements', and focuses on the specialty of 3 types of college('Education', 'Humanity․Arts', 'Social Science, Management․Law). This study is consist of two type of analysis. One of them is macro method that focuses on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and the other one is micro method that focuses on qualitative text of every subject in order to identify each college. Three points are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the different method of manage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keep the essence of Arts Administration. Secondly, subjects which deal with internet and smart-phone have to be opened. Lastly, Internship program should be operated as an essential course for the degree by aligning the regular curriculum. This study could be contribute to academic world of Arts Administration because it provides the domestic universities with systematic blueprint of curriculum. 본 연구는 AAAE 회원 학교들을 중심으로 대학원 예술행정 교육의 교과구성을 대학의 유형별로 파악하고, 특성을 도출해 내어 국내 학계가 예술행정의 교육과정을 설계하는데 있어 표준으로 삼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먼저 예술행정의 등장배경과 유사개념인 예술경영과의 비교를 통해 예술행정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나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예술행정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이론과 현장수요의 면에서 설명하였다. 또한 대학원 예술행정 교육의 특성이 학부와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기 위해 학부 예술경영 교육의 특성을 설명한 연구를 찾아보았다. 그 다음에는 조사대상인 AAAE의 회원 학교들을 각각 졸업 시 수여하는 학위와,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단과대학(원)에 따라 분류하여 예술행정의 보편적인 인식이 어느 학문에 더 가까운지, 전공과정명으로는 무엇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명칭에 대해서는 보편적으로 예술행정과 예술경영 두 가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여하는 학위에 대해서는 인문학석사학위(MA)가 가장 많았으며, 예술학석사학위(MFA)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예술행정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대학의 유형에 대해서는 인문․예술대학 분류군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사회과학, 경영․법학대학 분류군과, 교육대학 분류군 순이었다. 다음으로 AAAE가 대학원 교과과정 기준으로 제시한 10개의 예술행정 필수과목(‘예술 창작과 보급’, ‘재무 분석 / 재정 경영’, ‘수익창출 : 마케팅과 관객개발’, ‘전략 기획’ ‘예술의 법적․윤리적 환경’, ‘예술 정책’, ‘조직 리더십과 경영’, ‘예술의 국제적 환경’, ‘연구방법론’, ‘기술 경영 / 훈련’)과 학위 취득조건을 중심으로 모든 교과목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에서 분류한 단과대학(원)의 3가지 유형(‘교육대학’, ‘인문․예술대학’, ‘사회과학, 경영․법학대학’)별로 특성을 파악하는데 치중하였다. 분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단과대학(원)별로 강조하는 과목이 있는지를 과목의 개수와 분포도를 통해 거시적으로 분석하였고, 두 번째는 개설된 과목들이 단과대학(원)별로 지니고 있는 특성을 도출해내기 위해 학과목 분류별로 모든 과목들의 설명을 참고해 미시적인 분석을 하였다. 예술행정 교육의 교과구성 특성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예술행정 교과과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술행정의 본질을 흐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 기업과는 다른 경영의 방법론을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둘째, 인터넷과 스마트폰 활용 기술과 관련된 교과목을 개설하는 것이다. 셋째, 인턴십을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위 취득을 위한 필수 과목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예술행정 교육과정의 단과대학별 특성은 향후 국내 예술행정학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갖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술행정에서의 민간 전문인력 활용에 관한 연구

        최용석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코로나19 펜데믹(Pendemic)은 문화행정 기반이 취약한 지방정부 단위 문화예술 생태계를 회복 불가능으로 만들었으며, 예술인은 자기 방어로 생계로 인하여 문화 현장을 떠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기초 단위 지방자치단체 문화행정 공무원이 “문화예술행정의 관심과 역량이 높았다면…. 지역 예술계 상황을 올바르게 파악하였다면…. 향후 지역 문화생태계 복원을 위한 정책 입안을 할 수 있을까?”라는 개인적인 의구심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 현장의 다양한 경험을 축적한 “전문성이 높은 민간 전문인력”을 공공 문화행정에 유입하여 ‘문화예술행정 전문성 확장’, ‘지역 문화진흥 발전 및 문화예술 관련 공공 서비스 확대’ 등을 제공하여 수혜 대상자의“문화적 삶 증진”의 공공 행정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근간으로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술행정 업무 담당자 관점에서 효과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될 수 있도록 심층 인터뷰 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로 담당 공무원과 예술인이 “공공예술에 대한 인식의 전환”은 문화예술 활동을 활성화시키며, 둘째로 담당 공무원의 자발적 학습은 점진적으로 업무 능력을 높이며 부서 내 업무 환경을 조성하게 한다. 셋째로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술행정에서의 ‘민간 전문인력 채용’이다. 이를 통한 문화행정직을 늘리고,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행정 전문성과 교집으로 문화예술행정의 전문성을 확대하며 지속 가능한 지역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문화예술행정 전문화를 위한 단순한 사례분석 연구가 아니라 순환보직으로 문화 관련 부서에 배치된 일반행정직 공무원은 담당업무 추진과정으로 획득한 경험으로 “공공 문화예술 행정에 전문성이 필요하며 이는 민간 전문인력을 임기제 혹은 개방형 상위직급 임용 등으로 채용한다.”라는 주장을 공무원 스스로가 인정하였다는 사실에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향후 문화예술행정 취약성이 높은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예술행정의 효율화, 안정화, 전문화 등 지속 가능한 지역문화 균형 발전을 위하여 중앙정부 차원에서 ‘문화행정 직렬제’도입을 위한 법률적 근거 마련과 지역 문화예술계 관심 및 학계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文化藝術行政敎育 制度의 改善方向에 關한 硏究

        노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예술행정이란, 문화정책의 방향과 목표설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책을 연구하고 발전시키는 능력의 총체를 말하며, 이러한 문화예술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인력을 문화예술행정가라고 한다. 이들은 일반 행정가나 예술가와 구별되는 창의성과 행정 및 경영효율성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전문지식과 기술 및 미적감수성(美的感受性) 등의 능력을 지니게 되며, 중앙과 지방의 기관 및 단체 그리고 일반대중들의 문화예술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전문가들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공공과 민간부문에서 문화예술행정 및 경영을 담당하게 될 전문인력의 적극적인 양성과 인식제고 그리고 사회전반에서 필요로 하는 수요를 제대로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능력을 개발하는 일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문화예술행정과 문화예술행정학이 새로운 개념일 뿐만 아니라 전문직종으로서의 인식도 낮고, 대다수의 국·공립, 사립대학교와 예술대학교에서는 이를 위한 집중적이며,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지도 못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기관은 아직까지도 관습적, 타성적인 인식에 의해 운영되고 있을 뿐이며, 타 부문과 비교해 볼 때 낙후된 상태에 놓여져 있다. 이러한 현실 인식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문화예술행정 교육기관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내용과 방법이 무엇인가를 고찰하고, 현행 문화예술행정 교육 체계에 대한 개선방안을 비정규교육과 정규교육으로 구분하여 제시 하고자 하였다. 먼저 비정규교육의 행정기관 관리교육에 대한 개선방향으로서 문화예술 관련부서에 임명된 공무원을 근무전에 전문연수기관에서 해당분야 교육을 의무화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연수대상자들이 교육에 직접 참여하는 <참여지향적 방법>과 기존 워크샵 강화 그리고 효율적인 현장학습을 위한 교육형태의 전환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연수프로그램 강화방안을 논하였으며, 세 번째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등 다양한 기관에서 비정규교육을 담당하는 연수기관을 확대하도록 하며 네 번째 개선방향으로, 문화예술행정직 전문화제도 시행에 대해 살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외국 주요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자격증(수료증) 수여제도 도입의 타당성과 당위성을 제시하였다. 다음은 비정규 교육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분야의 교육방법에 대한 개선방향으로서, 문화예술분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교육대상자에 대해서는 문화예술의 이해와 미적감수성(美的感受性)을 개발할 수 있는 소양교육프로그램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정규교육의 행정기관 관리교육에 관한 개선방향으로서, 먼저 교육목표를 우선적으로 확립하는 문제가 시급함을 언급하였다. 두 번째로는, 직업적인 실무전문가 양성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으로 교과과정을 전문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세 번째로는, 문화예술행정의 특성상 다른 유사 분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각 학과별 프로그램 외에 통합교과프로그램을 편성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네 번째는, 학생들의 참여지향적 교과 진행방법을 도입하여 실무현장에 대한 응용능력을 배양하는 교과적응능력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는 중점사항으로서, 미국과 영국 등 유럽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현장실습(Internship)의 의무화와 방학기간 중에도 워크샵(Workshop)을 의무화하는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일곱 번째와 마지막 방향으로서 전문교수인력확보와 전문인력들의 자긍심 및 의욕을 고취시키는 자격증(수료증)제도의 실시에 대한 내용을 비정규교육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정규 교육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분야 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서는 현재의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교과편성을 전환하고 학생 스스로가 교육의 주체가 되어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적극적인 토론자세를 갖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문화예술행정교육의 개선방향과 관련해서 일종의 간소주의적 접근의 한계에 빠져 있음을 밝히지 않을 수 없다. 이는 기본적으로 본 연구가 기능주의적 접근 전략을 취하고 있는 데에서 비롯되는 한계이다. The arts and cultural administration is the whole of the ability to set up the directions and the goals of culture politics and to research and develop for achieving them. We call the administrator of culture and art a specialist being in charge of the arts and cultural administration as above. They have the abilities as creativity distinguished from general administrators and artists, special acknowledge and techniques diminishing some troubles between the administra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and sensibility of culture and art. And they also are who play the role of satisfacting the needs of culture and art that centural and local agencies, organizations, and the general public desire. In order to produce many specialists as above, first it is proceeded to educate and train them professionally. Becau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ir systematic and complexable ability enough for meeting the demands of the whole society on them, training others professionally, and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them. However, so far in Korea, it is not only a new concept, but also isnt recognized to a profession. As well, there is no education system which is proceeded and systematically in college. Especially, the organizations of culture and art is managed in the customary and inertia recognition and is falled behind as compared with other fields. Based on this reality, in this article, I inquired what ar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education for keeping pace with the times, through the case studies about the education institutions of arts and cultural administration I Korea and abroad. In the results, I tried to present the directions how we can improve the administration education system of culture and art dividing into the formal system and informal system. First of all, I represented the directions of the improvement in the informal education system of the administration as follows; First, it has to be obligated that people who are appointed the officers of the department to relate the culture and art participate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relative fields. Second, the training programs have to enforced with inducing the methods that they can directly participate the education, enforcing the workshop, and changing the education form to do efficiently a field study. Third, the training centers have to be diversified as the various institutions such as Korea culture and art promotion center are in charge of informal education. Fourth, we have to proceed the expert system of arts and cultural administration. Finally, we have to induce the certification system that is proceed in many foreign countries as I proved that systems appropriateness and propriety in my article. I also re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in the informal education system of culture and art, as it has to be diversified that people who are lacking in understanding about culture and art fields can develop the comprehension and the sensibility of culture and art. And then I represented the directions of the improvement in the formal education system of the administration as follows; First, we have to establish the goal of the education immediately. Second, we have to specify a curriculum for focusing on training the practical expert as concrete contents. Third, we have to have the unified curriculum besides each fields in order to understand broadly other fields. Fourth, we have to induce the education that they can positively participate and cultivate their practical ability in the practical fields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flexability. Fifth, it has to be obligated that students participate the internship as like practicing in many countries such as USA, England, and the most of Europe countries. Sixth, it have to be obligated that students participate the workshop on the vacation. Seventh, the special professors have to be secure and guaranteed. Finally, we have to induce the certification system in order to inspire the will and the pride of experts as like the case in the informal education. I re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in the formal education system of culture and art, as we have to induce the methods of research and discussion that students can positively participate and can be the mail instead of the methods of the uniformed cramming education system. However, there is the limitation for me to approach so simply about the education of arts and culture administration. Foundationally that reason is because I approached my study based on functionalism.

      •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행정지원책에 대한 방안 연구

        이송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행정지원책에 대한 지원 방안 연구를 주제로 작성하였다. 논문의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에 대한 적절한 행정지원의 중요성을 밝히고 다양한 측면의 지원방법과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해 알아보며 대상에 따른 지원사례와 방향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화예술계에 대한 행정지원책에 대한 방안을 강구해보는 것이다. 연구방식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과 행정적 지원에 대한 선행논문, 보고서 등을 통해 이론적 배경과 행정적 지원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문화예술교육이 가지는 역할과 그 가치에 관해서는 다수의 사람들이 그 중요성에 동의하고 있지만, 다양한 이유에서 문화예술교육은 가장 우선시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문화예술에 대한 철학적 관점의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측면에서 행정지원에 대한 방법을 지속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현실성 있는 문화예술정책과 적절한 행정지원을 바탕으로 집행 가능한 예산을 지원해야 하며, 사회문화적으로 마땅히 가치 있는 방향으로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은 분명하다. 적재적소의 효율성 있는 적극적인 행정지원은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구조, 행정시스템에 대한 특별예산 편성, 행정인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제고를 위한 노력 등이 필요하다. This paper was written under the theme of a study on support measures for administrative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proper administrative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support methods and factors to consider, and to devise measures to support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based on analysis of application cases and directions. The research method focu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rough leading papers and report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As a result, many people agree with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erms of its role and value, but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not the priority for various reasons. Therefore, discussions o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culture and art should be continued, and methods for administrative support need to be continuously considered in various ways. It is clear that realistic cultural and artistic policie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site and appropriate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with enforceable budgets, and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in a socially and culturally valuable direction. Effective and active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right place requires long-term development, such as systematic and organized structures, special budgets for administrative systems, and efforts to recognize and enhance the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personnel.

      • 공연예술의 대중적 활성화를 위한 예술행정 연구 : 춤 공연기획을 중 심으로

        김진희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87

        Recently, the culture and art world in Korea has accommodated in reality only limited audience giving cultural benefits to a specific class unlike the governmental standpoint which aims at a 'cultural nation' for the leap toward the 21st century. It can be said that this is because of inadequate art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ctually, Koran performance art organizations suffer severe financial oppression on account of the continuous increase of expenditure needed for artistic activites and insufficient revenue. Fundamentally, the balanced development of economy and cultural art is necessary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human life. In addition, all men have the right to freely participate in the culture and art life of the communal society as it can be seen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which the United Nations adopted, so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those who engage in the art world have the duty to support art so that such human right may be realized. Hereby, this thesis studied the art administration for the popular activation of performance art. Speaking of the studying method, I examined the books and theses related with administration, management and marketing limiting the range to private administration which respresents the management of citil organizations rather than public administration which represents the policy of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tried to apply its principles to artistic organizations. Seeing on the basis of such study, the private administration to enlarge the lowest startum of dance art is related with beforehnd legislative procedure, the selection of works and the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 of performance places, and it is ultimately related with the schemes for marketing strategies and fund-raising aiming at financial stability. One the aspect of finance, producing fund except the revenue of selling tickets to the audience is claasified into the support of government and that of enterprises, and it is also classified into material, human and financial support. In conclusion, the elevation of peole's cultural consciousness and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performance art world can be expected only when the autogenous power of performance art organizations is cultivated and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private administration is conducted. 최근 한국은 21C를 향한 도약으로 '문화입국'을 지향하는 정부의 입장과는 달리 주로 일부 계층에 문화적 혜택이 주어지는 등 문화예술계의 실제는 제한된 관객만을 수용해 왔다. 이는 적절하지 못한 예술행정과 경영에 원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공연예술단체는 예술활동에 소요되는 지출의 계속적인 증가와 이에 미치지 못하는 수입의 문제로 심한 재정적인 압박을 받고 있다. 근본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경제와 문화예술의 균형적 발전이 요구된다. 또한 유엔이 채택한 세계인권선언에서도 볼 수 있듯이 모든 인간은 공동 사회의 문화생활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권리는 지니기 때문에 인간의 이러한 권리는 실현시킬 수 있도록 행정당국이나 예술계 종사자들은 예술을 지원할 의무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중적 활성화를 위한 예술행정을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행정당국의 정책적 측면인 공행정(Public Administration)보다는 민간단체의 경영적 측면인 사행정(Business Administration)으로 제한하여 행정과 겨영, 마케팅 관련 단행본과 논문을 통해 그 원리는 예술단체에 적용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춤예술의 저변확대를 기본으로 한 사행정은 법적인 선향절차와 작품선정, 공연장지역 특성의 분석을 거쳐 재정적인 안정을 목표한 마케팅 전략안과 자금생산안으로 귀결되었다. 재정적 측면에서 관객의 매표수입외로 자금을 생산하는 일은 정부차원의 지원과 기업 차원의 지원으로 분류되어 이는 구체적으로 물적, 인적, 재정적인 지원방법으로 산출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공연예술단체의 자생력을 배양하기 위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행정의 실행을 통해야만 비로소 국민들의문화의식의 고양과 공연예술계의 질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 공연예술작품 수용자 집단의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전주지역 관객을 중심으로

        배수연 서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55

        오늘날 21세기 현대사회를 문화예술산업시대라고 말한다. 과거 전통적인 방법으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재화와 용역의 생산ㆍ분배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양식의 문제해결 방식에 대한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국민소득의 증가와 생활양식의 향상으로부터 파생되는 소비적 행태의 변화는 국민 개개인의 정서적 만족이나 가치관 확립과 같은 윤택한 삶의 질을 추구하기 위한 소비적 행태로 변환되어 가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소득의 증가와 경제적인 여유로부터 파생되는 국민들의 여가시간 확대는 주5일 근무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낳게 하고, 이에 대한 오락적ㆍ예술적ㆍ교육적ㆍ문화적ㆍ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단순히 먹고 마시는 기본적인 욕구충족 단계에서 벗어나, 품위 있고 정서적이며 예술적 만족을 달성시키기 위한 주민들의 삶의 용구 방향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불어 닥친 지방자치의 실현이라는 정치적 시류와 맞물려,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서 공연예술작품에 대한 생산성과 상품성을 인지하고, 국민적 행사를 위한 주민통합의 목적과 맞물려 다양한 지역 예술작품을 특화 전략적 차원에서 경쟁력 있는 예술상품으로 발굴 육성하기에 이른다. 이는 그동안 단순히 먹고 마시는 기본적인 욕구 충족 단계에서 벗어나 품위 있고 정서적이며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한 주민들의 삶의 질적 향상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예술행정과 관련된 지방문화정책이 국민들의 여가와 오락적 욕구뿐만 아니라 정체성과 관련된 교육적 목적을 동시에 달성시켜 주고, 주민들의 소득증대와 관련된 관광 및 경제적 효과까지도 증대시키고자 하는 복합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연예술작품 수용자들에 대한 특성들을 파악해 보고, 파악된 특성 요인들을 분야별로 비교ㆍ분석 해 보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야별로는 순수예술작품 분야라 할 수 있는 국악(창극), 음악(오페라), 무용(발레), 연극(뮤지컬) 4개 분야로 한정하였다. 4개 분야의 수용자 집단이 갖고 있는 특성 요인들을 조사한 다음 그 결과를 비교ㆍ분석 해 본 것이다. 이렇게 나타난 분야별 연구내용을 필요한 공급자들에게 제공해 주고, 수용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만족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공급자들의 기획적 측면을 효율화하고, 예술종사자들에게 작품제작에 대한 방향을 알려줌과 동시에 예술행정가들에게는 문화정책의 방향 제시 및 전략적 예술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순수공연예술 분야에 해당하는 국악(창극), 음악(오페라), 무용(발레), 연극(뮤지컬) 4개 분야 전주시 수용자들 380명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관람 특성은 평균 1개월에 1회 정도 1-2만원의 관람비용을 지출하고, 예매와 작품선택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작품성과 예술성이 강한 작품을 선택하고, 친구나 가족과 함께 문화생활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은 20-30대의 여자 수용자가 약 70%를 차지하고, 월수입 200만원 이하의 기독교를 믿는 대학생들로서 감성적인 성격의 아파트 거주자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악 수용자들은 품성적, 마케팅 자극 반응, 관객 반응 특성이 아주 강하게, 환경적, 상황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고, 정보적 특성은 약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 수용자들은 정보적 특성이 강하게, 품성적, 환경적, 상황적 특성이 약하게, 마케팅 자극 반응, 관객 반응 특성이 아주 약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무용 수용자들은 정보적 특성이 아주 강하게, 마케팅 자극 반응, 관객 반응 특성이 약하게, 품성적, 환경적, 상황적 특성이 아주 약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극 수용자들은 환경적, 상황적 특성이 아주 강하게, 품성적, 관객 반응, 마케팅 자극 반응 특성이 강하게, 정보적 특성이 아주 약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생활양식과 관련된 소비자 모형을 좀더 구체화하고 공연예술작품 수용자 집단 연구모형에 새로운 변수와 지표를 적용하였으며, 수용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비교ㆍ분석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둘째, 그동안 공연예술작품 분야에 대한 연구가 하나의 분야만을 선정하여 연구되었던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4개의 공연예술분야를 통합적으로 선정하여 무형의 예술상품에 대한 정보처리와 구매의사결정이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둘 수 있다. 셋째, 공연예술작품 분야별 수용자들의 의사결정과정과 작품선택과정이 이루어지는 내적요인 특성 변수 6개와 외적요인 특성 변수 2개에 대한 지표 개발 모형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작품 수용자 집단의 표본이 전주지역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선정 조사한 관계로 전국적 표본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다. 둘째, 각 분야별 수용자 집단을 명쾌하게 구분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수용자 집단의 특성 구분에 대한 모호성의 한계를 들 수 있다.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논문의 일반화를 위해 특정 도시에 국한하지 않고 여러 도시를 기준으로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보다 더 좋은 변수나 모형을 개발하고, 수용자 집단을 명쾌하게 구분할 수 있는 표본 선정이 선행되어 객관성 확립과 측정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되어야 한다. 셋째, 분야별 수용자들의 특성 변인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흐름을 이해하여 수용자들의 욕구 충족과 공급자들에게 유익한 자료로 활용 되어야 한다. 넷째, 수용자들의 욕구 충족은 삶과 관련된 문화적 가치의 충족과 관련이 있으므로, 예술작품의 방향성과 경쟁력 있는 특화 상품에 대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Today's 21st century modern society is referred to as the era of the culture and arts industry.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methods of meeting human demand through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oods and services, there is a need for an approach to new problem solving methods. In today's reality, changes in the consumption pattern caused by increased national earnings and enhanced lifestyl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onsumer actions that seek quality lifestyles supporting individual emotional satisfaction, value establishment, etc. Extension of national free time, resulting from increased earnings and well-to-do economies has given birth to a new paradigm of a 5-day work week and interests, breaking away from the mere everyday survival but focusing on a more entertaining, artistic, educational and cultural life have brought on a fundamental change in national lifestyle preferences that seek a more elegant, emotional and artistic satisfaction. In line with the shift to local self-governments that rose in the 1990'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began to acknowledge the productivity and commercial importance of the performing art. As such governments, also with the objective for peoples' unity, began specializing local arts and strategically developing and nurturing competitive art products. Aside from existing methods of simple methods of entertaining oneself through food and drink, these new initiatives bring change to the table in which resident needs are met from an elegant, emotional and artistic perspective, ultimately enhanc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Furthermore, such local government policies regarding the arts administration not only help meet peoples' entertainment needs but also establishes an educational objective relative to identity as well as extends itself to effect tourism and economy relative to increased earning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consumers, then compare and analyze the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res. Genres covered in this study include Korean classical music (Korean classical opera), music (opera), dance (ballet) and theater (musicals). After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groups for these 4 genres of performing arts,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study hopes to provide the results to relative suppliers, support efficient planning of performing arts to maximize consumer satisfaction and enhance their lifestyles as well as provide a direction for artists while also doing the same for art administrators so as to provide future direction and support strategic art polici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d 380 performing arts consum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Korean classical opera), music (opera), dance (ballet) and theater (musicals) from Jeon-ju city.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spectator characteristics showed that approximately 10~20 thousand Korean won is spent at an average of once per month. Various elements are considered and selection of the performance is made depending on production artistic values. Most spectators enjoyed the arts with a friend or family. Seco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70% of consumers were females in their 20's~30's. Most consumers were also found to be those with less than 2million in monthly income,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ly inclined and residents of apartment complexes. Third, consum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showed very strong reaction to characteristic and marketing stimuli, strong reaction to environmental and situational stimuli and weak reaction to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Fourth, consumers of music showed strong reaction to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weak reaction to characteristic, environment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and very weak reaction to marketing stimuli. Fifth, consumers of dance showed very strong reaction to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weak reaction to marketing stimuli and audience characteristics and very weak reaction to characteristic, environment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Sixth, theatrical consumers showed very strong reaction to environment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strong reaction to characteristic, audience and marketing stimuli characteristics and very weak reaction to informational characteristic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has established a more concrete consumer model relative to lifestyles, applied a new variable and index to study models of performing arts consumer groups and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compare and analyze consumer characteristics. Second, while existing studies regarding the performing artswas mostly limited to study of a single selected genre, this study can be highlighted in the fact that it selected 4 different genres of the performing arts to apply a theoretical approach to how consumers process information, make decisions and react with regard to an intangible art product. Third, this study was successful in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 development model for indices relative to 6 internal and 2 external variables for consumer decision-making and selection process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performing arts consumer subjects for the study were limited to those residing in the Jeonju area, it fails to establish a nationwide sampling or generalization. Second, due to realistic difficulties in clearly categorizing consumers of each gener, there is a limitation resulting from the ambiguity of consumer groups. The following can be proposed relative to the study's direction. First, the study must establish greater objectivity and credibility by breaking away from a specific area but selecting its subjects from a greater number of cities. Second, development of better variables and models as well as sampling that allows clearer categorization of consumers groups must precede the study in order to establish objectivity and enhance the level of accuracy. Third, the study must understand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flow of consumer characteristic variables per genre so as to be utilized as beneficial information by suppliers to satisfy consumer demand. Fourth, as satisfaction of consumer demand is relative to satisfaction of life's cultural values, the study must be utilized as reference in providing artistic direction and producing specialized products.

      • 청주시립교향악단의 운영 개선방안 연구

        김자영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지식을 포함한 문화와 정보가 모든 산업의 경쟁 우위를 결정하는 시대이며 지금은 많은 산업분야에서 문화상품과 관련되어 그들의 전성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이들 문화상품과 관련된 모든 산업은 급속히 변화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략도 과감하게 새로이 변화해야 적응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순수공연예술 활동을 하는 예술 단체들은 외부의 지원에 의존하여 생존을 도모하고 있으며, 지역 문화적 기반이나 정책 방안도 없이 설립된 지방자치 예술 단체들은 운영에 있어 자치단체의 예산을 확보함에 있어서도 한층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시대적 흐름을 과감히 수용하지 못하는 예술경영과 행정의 비 전문화로 시립예술단체 본래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성취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계의 흐름에 따라 서울시립교향악단은 이미 서울시 행정체계로부터 독립하여 재단법인으로 출범하기도 했다. 본 연구는 국공립교향악단중의 하나인 청주시립교향악단을 대상으로 현재의 상황과 문제점, 그리고 보다 발전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현재까지 청주시립교향악단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논문이 발표된 적이 없어,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한 청주시립교향악단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체계는 청주시립교향악단은 물론 청주시의 음악공연활동의 활성화를 꾀하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제1장에서는 지역 문화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청주시립교향악단을 연구의 대상으로, 조직 및 인력 구성 면, 그리고 공연예산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위한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 제2장에서는 청주시립교향악단을 비교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국공립 교향악단인 KBS교향악단과 서울시교향악단, 수원시립교향악단 그리고 5대 광역시의 시립교향악단을 중심으로 연혁과 직제별 등 현황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청주시립교향악단의 운영현황을 연혁과 인력 구성 및 조직, 재정현황, 공연활동을 각각 분석한 후,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청주시립교향악단이 새로이 갖추어야 할 조직체계 및 인력 구성을 제시하고, 총예산 확보율의 증대의 필요성과 총예산내의 공연비용 증액, 그리고 관객개발 및 마케팅전략, 다양한 공연프로그램 등 발전적인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청주시립교향악단의 운영이 성공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마케팅의 혁신·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관객을 끌어들이고 지원을 이끌어 내는 과정이 반드시 예술경영학적 관점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이런 밑바탕 위에 청주 문화 예술의 행정 체계를 새롭게 정리함으로써 새로운 문화발전 정책의 추진이 이루어지고 나아가서는 시민 개개인의 문화수준의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The 21st century will be remembered as the period where culture, coupled with knowledge is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ies collective competitive priorities. This century will be remembered as the heyday for industries related to cultural commodities. In this century industry is very resilient, very adaptable to change in both action and the strategies to deal with those actions. Currently the municipal artistic institutions are dependant on external support for their survival. The poor management of the municipal artistic institution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without regional cultural basis and policy plans, intensify the inherent difficulties brought out by the tight budgets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Furthermore, the purpose for establishing municipal artistic institutions is not yet fulfilled due to the poor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which fails to receive new, relevant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urrent situation, problems and the more effective management plans of the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As of now, no reserch on the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has been made, so the plans suggested in this study for an effici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will serve both as a plan for seeking the activation of the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and of the citywide musical activities as well. Chapter one discusses both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s of this study. Chapter two presents data of other orchestras to locate the present state of the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It includes the history and office organization, of the KBS Symphony Orchestra, which is representative of Korean orchestras, of other public symphony orchestras such as the Seoul Symphony Orchestra, the Suwon City Philharmonic Orchestra and of other Philharmonic Orchestras, based on five major metropolitan areas. Chapter three analyzes the history, the manpower structure, the organization, the present financial situation and the performance activities of the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and discusses the problems discovered. Chapter four investigates the further step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Steps such as the increase of the total budget security rate, the expansion of the performance expenditures in the total budget, audience promotions, various strategic marketing programs and various performance programs are suggested. The conclusion is that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should draw support from the audiences through marketing innovations and development of programs from artistic and business administration viewpoint, in order to successfully operate the Cheongju Philharmonic Orchestra.

      • 한국 문화예술노동조합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주연경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4

        한국의 노동운동은 1960년 출범한 대한노총(한국노총의 전신)과 95년 출범한 민주노총의 양대 산맥에서 발전돼 왔다. 우리나라 최초의 예술인 중심 노동조합은 1999년 설립된 세종문화회관 노동조합으로 세종문화회관 법인화 과정에서 신분상 불안을 느낀 서울시 산하예술단체 예술가들로 조합이 구성됐다. 그 후 2003년 전국 국공립 예술단체 14개 예술노동조합과 대학로 직가입 지부 1곳을 포함한 총 15개 지부의 연합노조, 전국문화예술노동조합이 민주노총 산하 공공연맹 밑에 설립된다. 서구에서는 약 백여 년전에 예술노동조합이 건설되어 이미 미국, 프랑스, 영국 등에서는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세 나라의 대표적 예술노동조합인 미국 배우조합, 프랑스 FNSAC, 영국 배우조합을 비교분석하여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냈다. 그 세 노동조합은 첫째 재정적 기반이 튼튼하였고, 둘째 조합원들에게 제공되는 복지혜택이 탁월하였다. 셋째 조합원과 비조합원 사이의 유대와 신뢰가 강하였고, 넷째 투쟁의 방법이 공격적 파업에서 실리위주의 정책추진으로 변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는 인적자원의 능동적 조합 활동으로 조직이 활성화 돼있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전국문화예술노동조합은 출범 3년째인 현재 여러 문제점을 드러낸다. 우선 외부 단체·예술인과 단절돼 있고 둘째 폐쇄적 지부위주의 운영과 공감대를 얻지 못하는 투쟁방식으로 조합원의 결속력이 약해져 있다. 셋째 인적·물적 자원의 부족으로 제대로 사업계획을 추진하지 못하며, 넷째 선례가 없는 예술노동조합의 활동에 초창기 노사 양측의 신뢰가 손상을 입었고, 다섯째 상부조직의 지시에 따른 조합의 목표설정으로 진정 예술인들이 원하는 조합의 설립목적의 방향성을 잃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전국문화예술노동조합의 발전방안으로 본 연구는 다섯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조합운영의 목적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재정립하여 외부 예술가도 활동할 수 있는 신뢰적 연대를 구축하여야 하며, 문화예술노동조합의 활동이 국민의 문화향수권 확대와 연결된다는 믿음을 줄 수 있는 정책과 사업이 동반되어야 한다. 셋째, 안정적 재원확보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여 조합원과 비조합원의 상생을 도모함이 필요하며, 분별력 있는 정책활동의 강화로 조합원에게 신뢰받는 조직으로 발돋움함과 동시에, 내·외부 예술인의 실태와 원하는 바를 정확히 파악하여 정책으로 추진하는 인식의 재정립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