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영상위원회의 운영 및 발전 방안 : 부산 및 해외 영상위원회의 사례연구

        이정헌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Film Commission is a nonprofit civilian organization which contributes to developing each local community's and nation's Film Industry, accordingly having extensive economic effect, by attracting and supporting movie shooting and production. Recently, Korea, stimulated by prosperous activities and outcome of Busan Film Commission, visualizes the establishment of Film Commission in Jeonju and Seoul. The method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focused on the synthetic generalization of data in relation to domestic and foreign Film Commissions and are focused on the discussion of foundation background, purpose and role of Film Commission.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structure and management of representative foreign Film Commissions, the research aims to suggest development method of Busan Film Commision and contribute to helping Busan and Korea's Film Industry and Film Commission. The focus of Chapter One discusses the purpose, subject and method of the research. Chapter Two surveys the function of Film Commission, its prospective effect and present situation of domestic Film Commission. Chapter Three, as a case study of foreign Film Commissions, attempts to study Association Film Commissioners International(AFCI), California Film Commission(CFC), Film Liaison in California, Statewide(FLICS) as an extensive location network institution in California, Entertainment Industry Development Corporation(EIDC) which supports movie shooting and production in L.A., British Film Commission(BFC), London Film Commission(LFC), French Film Commission, Film Service Office(FSO) in Hong Kong, Kobe Film Office(KFO), Osaka Film Council(OFC) in Asia, in relation with the foreign media business in each country. Chapter Four concerns the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plan of Busan Film Industry,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business of Busan Film Commission, and attempts to discuss the foundation background, purpose, main business(affairs), present situation, promotion method and achievement, hereafter, and improvement of urban cultural environment and place marketing as function of Busan Film Commission. Chapter Five is the conclusion of the dissertation which suggests advices for developing Busan Film Commission in relation to excellent foreign Film Commissions.

      • 보로노이 거리와 기하정보를 이용한 영상 등록에 관한 연구

        배기태 全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제약되지 않은 카메라에서 얻어진 회전과 크기 변화를 가진 영상들을 특징 기반의 보로노이 거리 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등록하는 기법에 관해 기술한다. 기존의 특징점 기반 매칭 기법들이 사람의 개입에 의해 영상을 정합하거나, 크기나 회전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형태의 영상들을 처리하는 것과 달리 회전이나 크기변화요소가 포함된 입력영상들을 사람의 개입이 없이 자동으로 정확한 중첩영역을 빠르게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특징 점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특징 공간을 빠르게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 한다. 논문의 전체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영상내의 특징 점을 잡음에 강한 Susan 코너 검출기와 조명변화에 강한 Harris 코너 검출기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둘째로 이를 통해서 얻어진 특징 점들의 고유값 및 분산정보를 기반으로 가장 두드러진 샘플 특징 점 집합을 자동 선택한다. 구해진 특징점을 기준으로 기준 영상에 대해 우선 순위 기반 보로노이 거리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특징 점들의 위상 정보와 특징 점들 사이의 거리 정보를 가지는 보로노이 맵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샘플 특징점 집합이 포개지는 기준 영상의 보로노이 평면에서 보로노이 거리의 합이 최소화되는 대응점을 추출하여 2차원 투영의 초기 변환 행렬을 구한다. 다음으로 비선형 자승오차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변환 행렬을 구한 후, 마지막으로 구해진 변환 행렬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영상을 합성한다. 제안한 방법의 장점은 첫째로 영상간의 중첩이 일어날 부분을 제한하고, 특정한 샘플 영역 안에서만 특징 점을 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대응영역을 찾는데 걸리는 계산시간을 줄였다. 둘째로 샘플 영역 내의 특징 점들의 기하 위상 정보와 특징점 사이의 거리 정보를 가지는 보로노이 맵(Voronoi Map)을 이용하여 샘플 영역내의 특징 점들의 배열구조가 유사한 대응영역을 쉽고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셋째로 우선순위 기반 보로노이 거리 계산법에 의해 특징점 수에 상관없이 빠르고 효율적인 특징 공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넷째로 특징 점들의 기하 위상 정보를 이용하여 회전이나 크기가 다른 영상 간에 정합영역을 검색하는데 있어서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실험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이 기존의 대응점 검색 방법들에 비해 검색 속도 및 정합영역의 매칭률, 샘플 영역 선택 자동화 부분에서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describes image registration technique that registers images with different size and rotation element by using Voronoi distance matching method based on feature point. This thesis proposes scale and rotation invariant searching method without user-interac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s which match images by user-interaction or do not consider rotation and scale element. Also, this thesis presents a method which makes a new feature space rapidly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feature points. The whol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it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adjacent images by well-known detectors like Susan or Harris corner detector. Secondly, it selects the dominant sample patch area automatically using the eigenvalue and variance information of feature points. Thirdly, it creates a voronoi map which has distance information among feature points in the reference image with Voronoi distance computation method based on priority-order. Fourthly, it extracts the nearest overlapping area from the candidate areas in the Voronoi surface of reference image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sample area using Voronoi map and calculates the initial transform matrix. And then, it calculates the accurate transform matrix with Levenberg-Marquardt method. Finally, those images are stitched into one large scale image by applying the transform matrix. This technique has several advantages. First, it can considerably reduce computation quantity by restricting overlapped area between images and using a method which extracts feature point from only the particular area in input image. Second, it can rapidly search exact correspondent area with a structure similar to array structure of feature points in sample area by using geometry-phase information of extracted points in images and the Voronoi map which has the distance value among feature points. Third, it can rapidly compose a efficient feature spac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feature points using Voronoi distance computation based on priority-order. Finally, it has a good performance to search exact correspondent area among images with different scale and rotation elemen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it is guaranteed that this thesis presents a good performance in the searching speed and the accuracy of area matching and automatic sample selection comparing to other registration method.

      • 심장 MRI에서 영상변수에 따른 호흡정지기법과 비호흡정지기법의 비교평가 : 소아 및 호흡협조가 어려운 환자의 MRI검사시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영상변수에 따른 호흡정지기법과 비호흡정지기법의 비교평가

        김정식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소아환자를 비롯한 호흡조절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비호흡조절 검사시 좀 더 높은 질의 결과를 얻기위해 영상변수를 변경하여 호흡조절 검사와 근접한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심장질환 환자 중 소아 및 호흡 협조가 어려운 환자에게 영상변수를 변경한 검사가 사용하기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실험으로, 심장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호흡조절을 하여 기본검사를 진행한 후, 호흡조절이 없는 상태의 차분한 상태에서 추가로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환자의 성별은 남자 11명, 여자 4명 이었으며, 연령대는 13세~79세까지 고르게 나타났다. 먼저 호흡조절을 하여 NEX 1로 기준검사를 진행하고, 비호흡조절 상태에서 NEX 1,3,5로 변경하며 검사를 진행 하였다. 검사 부위는 Left ventricle의 middle section의 1 slice를 기준으로 검사하였다. 다음으로 같은 조건에서 NEX만 1, 3, 5로 변경하며 검사하여 분석결과값의 비교를 목표로 진행하였다. breath hold기법을 사용한 기존 NEX 1의 영상과 non breath hold로 진행된 NEX 1, 3, 5 영상의 세가지 분석 결과를 비교한 뒤, 결과 값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hilips IS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Left ventricle의 ejection fraction 값과 심근의 두께, 심장단면의 크기를 비교하여 진행하였다. 결과: Ejection fraction, 심근두께, 심장단면크기의 비교에서는 NEX를 변경한 영상분석이 각각 100%, 83.3%, 80%의 가장 낮은 오차건수비율이 측정되었으며, 특히 NEX 3으로 변경한 영상 분석에서는 각각 2.1%, 3.2%, 1.8%의 평균 오차율로 Breath hold NEX 1의 기준검사에 가장 근접하게 측정 되었다. 모든 실험에서의 표준표차는 NEX 3에서 가장 적게 측정되어 가장 적은 변화량과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결론: 결과적으로는 NEX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더 기준검사에 근접한 분석결과와 영상자체의 질도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냈다. 특히 NEX 3에서는 모든 비교결과의 표준편차가 적게 나타났고, 기준검사에 가장 가까운 수치로 측정되었다. 하지만 낮은 확률로 NEX 1, 5에서도 적절한 경우도 존재하였고, NEX 3이 절대적인 수치로 적합한 결과가 나오진 않았다. 환자의 상태에 따른 NEX의 적절한 변화는 검사 결과에 좋은 결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자의 상태와 질환, 호흡크기 등에 따라 적절한 NEX 조절이 소아 및 호흡조절이 어려운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가 더 진행된다면 더 낮은 연령대의 소아 환자들에게 직접 진행하여 실질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호흡협조가 정상적인 환자들에게도 예상외의 변수가 발생하듯 소아 환자들에게도 또 다른 예상 못한 변수가 생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소아환자 및 호흡조절이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한다면 상대적으로 좋은 영상과 분석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중심단어: 심장 자기공명영상, 여기횟수, 호흡조절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ipulate the image parameter to obtain results similar to a breath hold MR, which is superior to non breath hold MR, often taken in patient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breath control including pediatri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whether it is adequate to utilize examinations with manipulated image parameters on patients with cardiac diseases with limited breathing cooperation, including pediatric patients. Basic examinations were conducted on patients with cardiac diseases under breath control, followed by non breath hold examinations under a calm situation. 11 participants were male and 4 were female. The age of the participants ranged evenly from 13 to 79. Breath control exams were conducted under NEX 1 and were set as basic examinations. Non breath hold exams were conducted under NEX 1,3,5. All exams were conducted on a single slice in the middle section of the left ventricle. With other variables fixed, results obtained under NEX 1,3,5 were compared. They were also compared with the basic exam, which was a breath control exam conducted under NEX 1. The Philips ISP program was utilized to compare the ejection fraction, myocardial thickness, and section size of the left ventricle. Results: Image analyses taken under the manipulated NEX returned the lowest error ratio, in the comparison between ejection fraction, myocardial thickness, and section size, which were 100%, 83.3%, and 80%, respectively. Image analysis taken under NEX 3 returned an average error ratio of 2.1%, 3.2%, and 1.8%, which were similar to that of the breath hold exam taken under NEX 1. Examinations conducted under NEX 3 returned the smallest standard deviations in all experiments, with the least error ratio and variables. Conclusion: Increasing the NEX resulted in superior image quality and analysis closer to the baseline examination. NEX 3, in particular, returned a lower standard deviation with results closest to the baseline examination. However, NEX 1 and 5 also returned adequate results albeit its low proportions, and NEX 3 failed to return adequate results in its absolute values. Adequate NEX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atient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Furthermore, NEX manipulation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the specific disease of the patient and his or her ventilatory rate may help pediatric patients and patient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regulating his or her breath. Further research may be conducted on pediatric patients within an early age group to return practical results. As unexpected variables come into play in patients with normal breath cooperation, it may be expected that unexpected variables may also occur to pediatric patients. Improved images and results are expectable o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fined and applied to pediatric patients and patient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regulating his or her breath. Keywords: Cardiac MRI, Number of acquisition(NEX), Respiratory control

      • 영상 콘텐츠 이용에 있어서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대체관계 연구 : 시간 재할당 가설을 중심으로

        최수진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영상 콘텐츠 이용에 있어서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상호 관계성을 시간 재할당 가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대체관계에 대해 기존 연구들은 미디어 대체 가설이나 이용과 충족 접근을 중심으로 다루었는데, 전자의 경우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미디어 영역이 아닌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지 못했고, 후자의 경우는 이용 동기가 미디어 이용 행위로 연결됨을 입증하지 못했으며 이용자 중심의 미디어 이용 동기에 대한 탐구를 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존재했다. 이를 탈피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시간 재할당 가설에 근거하여 인터넷 시청으로 인한 생활시간 전반의 변화에 대해 탐색하고, 영상 콘텐츠 시청이라는 특정 이용 행위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 동기를 분석하여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대체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인터넷 이용률이 높고 직업, 소득, 학력 수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등에서 격차가 비교적 적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30분 단위로 일일 생활일지를 작성토록 했다. 인터넷과 텔레비전 이용 동기는 루빈(1981)의 시청동기 항목을 바탕으로 9개의 이용 동기를 만들어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 후, 생활일지에 기록된 시간량을 기준으로 텔레비전보다 인터넷을 통해 영상콘텐츠를 더 많이 혹은 같은 양을 시청한 사람을 인터넷 의존 집단으로, 그 반대의 경우는 텔레비전 의존 집단으로 분류했으며, 인터넷과 텔레비전 모두 시청하지 않은 응답자는 제외하였다.‘영상 콘텐츠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 의존 집단과 텔레비전 의존 집단은 생활시간 패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라는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 학습시간과 인터넷 이용 시간은 인터넷 의존 집단이 상대적으로 많으며, 미디어 이용 시간은 텔레비전 의존 집단이 더 많다는 연구 결과를 획득하였다. 특히, 인터넷 의존 집단의 텔레비전?라디오 이용 시간이 텔레비전 의존 집단보다 적어, 영상물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과 텔레비전?라디오가 대체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인터넷 의존 집단의 경우 라디오, 신문, 잡지 등 기존 미디어를 인터넷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용하는 반면, 텔레비전 의존 집단은 정보 검색, 채팅 등 인터넷의 쌍방향적 기능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경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비록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성을 갖진 않았지만, 김병선(2004), 린(Lin 2004) 등 선행 연구들을 통해 두 집단 간에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실제로 차별적인 경향성이 존재함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둘째,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데에 있어서 각 집단별 인터넷과 텔레비전 이용 동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정보/학습 동기와 구체적인 프로그램 시청 동기를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표출하여, 텔레비전 이용 동기가 인터넷 시청 동기와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특히, 인터넷 이용 동기 면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텔레비전 이용 동기 면에서는 텔레비전 의존 집단이 인터넷 의존 집단보다 모든 텔레비전 이용 동기 정도가 평균적으로 높다는 점을 통해 인터넷으로 영상 콘텐츠를 많이 볼수록 텔레비전에 대한 의존도가 하락함을 알 수 있다.셋째, 영상 콘텐츠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 이용 정도는 두 집단 모두에게서 미디어 이용 행위보다 미디어 이용이외의 행동과 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의존 집단에서는 인터넷으로 영상 콘텐츠를 시청한 시간과 학습시간이 부적인 상관관계를, 정보검색, 채팅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인터넷 이용 시간, 미디어 이용 시간, 수면 시간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드러냈다. 반면, 텔레비전 의존 집단에서는 인터넷으로 영상 콘텐츠를 많이 소비할수록 이동시간이 감소했으며, 인터넷 이용시간은 증가했으나, 미디어 이용시간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차이가 미약하긴 하나, 텔레비전 의존 집단에서는 인터넷 시청 시간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미디어 이용 이외의 시간보다 인터넷 이용 시간과 관련성이 더 높은 반면, 인터넷 의존 집단에서는 일상 생활 시간과의 관련성이 더 높았다. 이는 인터넷 시청 중이용자일수록 일상 생활 시간을 줄이면서 인터넷 시청에 적극적으로 몰입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용 시간 면에서는 대체 관계를, 이용 동기 면에서는 보완 관계를 이루거나 그 반대의 연구 결과가 도출되어 해석의 어려움을 겪기도 한 선행 연구들과 달리, 본 논문에서는 영상콘텐츠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이용 동기와 이용 시간 모두 대체 관계에 놓여 있다는 일관된 연구 결과를 획득하였다. 이는 강명신(2001)이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넷이 기존 미디어의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기존 연구들과 달리 인터넷 자체에 대해 기존 미디어와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지 않고, 특정 이용 행위 또는 기능별로 구분하여 기존 미디어와의 관계성을 연구했기 때문이다. 또한, 영상 콘텐츠 시청에 있어서 인터넷 이용 정도는 미디어 이용 행위보다 미디어 이용이외의 행동과 더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미디어 영역을 벗어나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미디어 간의 관계를 바라봐야 함을 주장한 시간 재할당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비록 한정된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고 생활시간 일지 작성에 대한 응답자들의 성실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등 여러 가지 한계가 존재하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본 논문이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Internet and television substitution in viewing visual content at the perspective of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The former studies about Internet and television substitution used media substitution hypothesis or uses-and-gratifications approach. However, media substitution hypothesis failed to explain the effect of new technology on daily life, and studies applying uses-and-gratifications framework to researches on media substitution did not prove that media using motives are directly linked to media usage and explored media using motives based on medium itself, not on use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both well-known approaches, this study used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which focuses on the overall change of daily lifetime pattern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and analyzed the motives of the specific using behavior, Internet viewing in this research.A sample of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who show high percentage of Internet usage and have similarities in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occupation, income, academic background, and digital literacy, wrote the daily lifetime diary. The diary demands subjects to fill in daily activities throughout the day in thirty minute intervals. People who watch Internet more than television or watch Internet with the same amount of time viewing television are classified as Internet-depending group, and television- depending group is defined vice versa. People who do not watch both Internet and television a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Questionnaire on Internet and television using motives is composed of nine motives based on Rubin(1981)'s television viewing motives with the five point Likert scale.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hat the differences of lifetime pattern are between Internet-depending and television-depending groups, the study obtained the result that Internet-depending group spent more time in doing study and using Internet, while television-depending group consumed more time in media usage. In particular, the statistic data that television and radio using time of Internet-depending group are less than those of television-depending group prove that viewing content via Internet substitutes watching television and listening to the radio. Interestingly, Internet- depending group has a tendency to spend more time in using traditional media via online than television-depending group, while the latter tends to use interactional Internet services such as chatting and information searching more than media services. Though this difference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considering the studies of Byoungsun Kim(2004) and Lin(2004), it is reasonable to assess that two groups have distinguishing disposition in using Internet.Second, Internet and television using motives of two groups in viewing visual content have positive correlation except for learning and specific program watching motives, which means that Internet and television viewing motives turn out to be similar. What is remarkable is that two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et viewing motives, but the degree of television watching motives of Internet-depending group was less than those of television-depending group in all television viewing motiv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people who watch Internet more than television depend less on television than the people who view television more.Third, the degree of viewing Internet came out to have closer relation with non-media activities than media use in both groups. Internet-depending group h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viewing time and study time, while Internet viewing tim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media using time and sleeping time. In contrast with Internet-depending group, television-depending group produce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viewing time and moving time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viewing time and Internet using time, but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dia using time. Though the difference is trivial, Internet viewing time of television-depending group has closer correlation with Internet using time than non-media activities, while that of Internet-depending group is in reverse. This implies that Internet heavy viewers reduce time spent in daily activities and devote themselves to Internet viewing.Previous studies, which concluded that Internet replaces television in media using time, but complements television in media using motives, or vice versa, had difficulties in explaining the contradictory result. Unlike the former researches, this study obtained a consistent result that Internet substitutes television both in using time and in motives. As Myoungshin Kang(2001) mentioned, Internet has all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edia, so it is more reasonable to compare specific usage or function of Internet to other media, not Internet itself as most previous researches did.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degree of Internet viewing has closer correlation with non-media activity time than media using time, which reconfirms the validity of time reallocation hypothesis. Because of these reasons, this study still stands on the firm ground though it has some defects that the sample is limited to students and it is hard to sec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respondents' time diary.

      • 영상 간의 밝기 변화와 구조적 유사성을 이용한 의료 영상 개선 정도의 정량적 평가 방법 연구A Study o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of Image Improvement Using Brightness Change and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Medical Images

        이상화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최근의 의료용 방사선 영상은 대부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되었으나 의료 영상의 화질을 평가하는 방법은 원본 영상대비 비교 영상 간의 픽셀 오차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는 MSE, RMSE, PSNR을 사용하거나 구조적 오차를 판단하는 SSIM 화질 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 화질 평가 방법들은 일반 영상을 대상으로 화질을 평가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의료 영상에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의료 영상 화질을 평가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의료 영상의 화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방법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영상 화질 평가에 사용한 팬텀은 CIRS 사의 PHANTOM PATIENT FOR STEREOTACTIC VERIFICATION MODEL 038과 CT Localizer 사용하였고 GE사의 LightSpeed VCT 64 CT 모델을 이용하여 CT영상을 촬영하였다. 영상의 화질 평가를 위하여 촬영한 팬텀 CT 영상과 팬텀 영상에 임의로 Gaussian noise(sigma 3, filter size 5x5)를 생성한 영상을 비교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방법은 영상의 각 픽셀이 변할 수 있는 최대 값과 변화 값을 나누어 픽셀 변화율을 계산하였고, Dice 계수를 이용하여 구조적 변화율을 계산하여 평균값을 영상의 화질 평가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결과: 기존 의료 영상 화질 평가에 사용되었던 PSNR이나 SSIM방법을 사용한 평가 결과는 노이즈의 양이 증가함에 결과 값이 선형적으로 감소하였지만, 감소의 폭이 좁아 영상의 화질 평가를 쉽게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영상 간의 밝기 변화와 구조적 유사성을 이용한 영상의 화질 평가 방법은 큰 폭의 변화량을 갖고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영상의 화질 평가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의료영상 화질 평가에 문제 중 하나인 공기 영역이 포함된 영상에 대해서도 영향이 작은 것을 확인하여 새로운 의료 영상의 화질 평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Most recent medical radiographic images have been converted to digital images, but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quality of medical images is to use MSE, RMSE, or PSNR to determine the degree of pixel error between the original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or SSIM to determine the structural error. It is evaluated using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method. Since these image quality evaluation methods are methods of evaluating image quality for general images, it is difficult to use such methods for medical images. Therefore, in this paper, a new evaluation method was studied to diagnos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medical image quality evaluation method an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medical image quality. Method: The phantom used for image quality evaluation was CIRS's PHANTOM PATIENT FOR STEREOTACTIC VERIFICATION MODEL 038 and CT Localizer, and CT images were taken using GE's LightSpeed VCT 64 CT model. For image quality evaluation, a phantom CT image and an image in which Gaussian noise (sigma 3, filter size 5x5) was randomly generated on the phantom image were compared. In the experimental method, the pixel change rate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maximum value and the change value of each pixel of the image, and the structural change rate was calculated using the Dice coefficient,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as an index for image quality evaluation. Results: In the evaluation results using the PSNR or SSIM methods, which have been used to evaluate the existing medical image quality, the result value decreased linearly as the amount of noise increased,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predict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because the width of the decrease was narrow. However,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method using brightness change and structural similarity has a large amount of change and linearly decreases, making it possible to predict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result easil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small even for images including air regions, which is one of the problems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medical images,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new method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medical images.

      • TV 뉴스 영상구성 특성에 대한 시청자 인식에 관한 연구

        이창훈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 뉴스 영상의 특징은 무엇이고 이에 대해 시청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기억, 이해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뉴스 영상의 형식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3일 분량의 KBS, MBC, SBS 3사 저녁 종합뉴스의 내용 분석을 실시했다. 도출된 영상의 특징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해 각 독립변인을 잘 반영한 방송된 영상과 조작된 영상, 두 가지 버전의 뉴스영상을 서울 소재 대학교 신방과 학부생 67명을 두 실험집단으로 나눠 시청 실험 을 실시했다. 영상의 특징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방송 3사 뉴스는 보도영상 비율이 56%이고 아이템 당 19.2커트를 사용하고 커트 평균 길이는 3.2초로 영상의 전개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기법 중에서는 카메라워킹이 많이 사용되고, 디지털 영상효과, 재생속도 조절도 빈번하게 사용돼 제작자가 사전단계인 촬영, 사후단계인 편집단계에서 영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작위적인 영상구성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 3사간에는 KBS가 카메라워킹, 디지털영상효과 등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해 보도영상에 인위적인 개입이 가장 적고 MBC와 SBS는 사전, 사후단계에서 많은 영상기법을 사용해 운동성이 강하고 다양한 영상효과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도출한 빠른 영상속도, 카메라워킹, 디지털영상효과, 재생속도 조절영상기법을 독립변인으로 한 실험 연구 결과 빠른 속도의 영상이 평균속도의 영상에 비해 객관성, 신뢰도, 세련도가 낮고 역동성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내용의 이해에 있어서는 빠른 속도 영상이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독립변인 2 카메라워킹에서 인식의 차이는 없었지만 카메라워킹이 많은 영상에 대한 기사내용 이해가 낮았다. 디지털영상효과에서는 디지털영상효과를 많이 사용한 영상이 커트편집위주의 영상에 비해 신뢰도와 완성도가 낮게 나타나 일반적인 제작자들의 인식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재생속도조절에 있어서는 재생속도를 조절한 영상에 대한 완성도와 세련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한국 TV뉴스영상은 다양한 영상구성기법을 이용해 제작자의 의도를 반영하는 작위적인 영상구성을 하고 있는데 제작자들의 의도와는 반대로 시청자들은 그런 영상구성기법들에 대해 신뢰도, 객관성, 완성도 측면에서 오히려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성, 객관성이 중요시되는 뉴스의 특성상 시청자가 이성적 판단을 할 수 있는 형식적 사실주의 패러다임의 영상구성을 위해 노력해야한다. 뉴스영상이라는 특성상 뉴스제작자는 다른 방송프로그램 제작자와는 달리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제작의도를 100% 반영하기보다 오히려 한발 물러서 시청자들이 직접 보고,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게 가장 쉬우면서도 어려운 뉴스영상제작의 기본 원칙인 것 같다. 본 연구는 특정 연령대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의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 성별, 학력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해 연령대별, 학력별, 성별 인식의 차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formal features of Korean TV news image and how the formal feature and news image production techniques influence on viewer information recognition, understanding, memory and evaluation of news. To find out formal features of Korean TV news image, implemented content analysis of 3 days of KBS, MBC, SBS's evening news. For viewer's recognition difference on news image's formal feature and production techniques, executed news watching experiment research with journalism majored 67 university students.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watched two original version and two revised version of news clips. The result of study presents formal features of Korean TV news are fast paced visual image, frequent camera walking such as zoom, pan, tilt, moving, increasing digital visual effects, play speed control. Viewers recognized fast paced news image less objective, reliable, polishing but more dynamic and understandable. Camera walking didn't effect on viewer's recognition but had negative effect on understanding of news content. Digital visual effects were regarded as less reliable and completed but play speed control recognized more completed and polishing. The study found out that news producers try to make artificial news image, which is well reflexed their intention, with various image production techniques. But, on the contrary of their intention, viewers evaluate such image production techniques less reliable, objective, completed. News producers try not to put their intention and artificial ways on new image but make an effort to be one step away from news image so that viewers can watch, understand and judge the news by themselves. That will be the easiest but hardest basic guide line for new image production. I suggest further study continues on what level of each production technique influence positive effects on viewer's news information processing.

      • 하둡 분산 환경 기반 고해상도 위성영상 처리 시스템 설계

        전민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GPS 데이터와 같은 위치정보와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기술을 활용한 지도 정보 서비스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융합을 통해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의 발달과 기술 수요의 증가로 환경, 재난, 기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전과 다양한 스마트 장비, 센서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종류의 영상과 공간 데이터들이 지속적인 수요에 의해 끊임없이 생성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서비스와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기술의 연구 개발도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자율 주행 기술이 개발되면서 대용량의 영상을 처리하고 분석하는 빅데이터의 서비스와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와 과제들이 지속적으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위성영상의 경우도 최근 위성 센서 기술의 성능 향상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높은 공간해상도와 분광해상도를 가지는 고해상도의 영상들이 빈번하게 획득되고 있으며 각 영상들의 특성에 따른 영상처리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고해상도의 위성영상은 획득되는 정보가 증가함에 따라 영상의 데이터 크기 또한 증가되고 있다. 영상의 데이터 크기가 클수록 영상을 처리하는 소요되는 시간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된다. 이러한 대용량의 고해상도 위성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이를 위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으로 아파치 하둡이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술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대용량의 데이터를 가지는 데이터 처리의 경우 병렬 처리 수행에 따른 성능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의 영상 처리는 영상에서의 데이터 처리 시간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공간의 확보 문제가 큰 비중과 중요성을 차지하고 있다. 하둡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장점으로 데이터의 분산 저장과 데이터의 분산 처리를 목적으로 구성된 프레임워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해상도 영상들을 분석하는데 있어 아파치 하둡의 분산 환경 기반 고해상도 위성영상 처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비분산 환경과 분산 환경에서의 성능을 비교하고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분산 환경에서의 영상처리 성능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고해상도의 위성영상일수록 영상 데이터의 처리시간과 영상 데이터의 공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하둡 분산 파일 시스템과 영상 데이터의 분산 처리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둡 분산 파일시스템의 분산 데이터 저장을 통해 데이터의 유실에 따른 불안정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p information service, which utilize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data and remote exploration technology using satellite images, is actively being provided through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with the development of remote exploration using satellite images and increasing demand for technology, the use in various fields such as environment, disaster and climate is increasing. Also, with the development of network infrastructure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smart equipment and sensor technologies, various kinds of video and spatial data are continuously generated by continuous dem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hat analyze these data to create new services and value added are also increasing. In particular, as autonomous driving technolog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re developed, services of big data that process and analyze large amounts of video are continuously being actively researched. In case of satellite images, high-resolution images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and spectroscopic resolution using various sensors are frequently acquired, and video processing technology is need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ideo. The data size of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are increasing as the information of the images become larger. The larger the data size of an image, the longer it takes to process the image is also continuously increase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handle this high-capacity,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data, and technology for processing big data is being introduced. Among them, Apache Hadoop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s a technology for big data analysis. In particular, data processing with large volumes of data is known to perform better parallel processing. It is important that the matter of data processing time and securing space of storing data when image processing is conducted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Hadoop is an advantage of addressing these challenges, a framework that is structured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and the processing of data. In this study, we designed Apache Hadoop's distributed,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processing system to analyze these high-resolution images, compare performance in non-distributed and distributed environments, and analyze the results.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s and image data was effective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processing time of image data and increasing space of image data with higher resolution satellite images. In addition, we verified that the problem of instability from data loss was also solved in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 포스트모던映像이 視聽者에게 미치는 影響 : 텔리비젼 廣告를 中心으로

        이용범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대를 대변하는 문화활동으로서 문학, 미술, 음악, 영화 등 많은 분야가 있으나 그에 못지 않게 광고 또한 한 시대를 代辯할 만큼 우리 생활문화에 깊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텔레비젼 광고는 다른 광고매체 보다도 우리의 문화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광고는 소비자에게 제품을 팔고 기업과 공공기관의 이미지를 높이는 한편 국민의 정신세계를 이끄는 데에도 至大한 공헌을 하고 있다. 예술가가 한 시대를 앞서서 정신세계를 이끌어 가듯 광고를 이끌어 가는 리더그룹 또한 앞서가는 안목이 있어야 하겠다. 우리나라의 광고환경을 돌아볼 때 80년대를 접어들면서 영상기재의 발달과 더불어 외국의 문화, 광고가 복사, 복제되어 우리의 생활문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서구에서 비롯된 포스트모더니즘 이라는 새로운 문화가 우리 주위에 자리를 잡기 시작하였다. 과연 우리는 생소하면서도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을 거부감 없이 그냥 받아 들여도 될 것인가? 더우기 영상세계에 있어서는 포스트모던映像의 새로운 기법에 편승하여 외국인들의 생활문화가 그대로 우리의 생활문화에 유입되어 젊은이들 층에서는 그들의 몸짓, 언어 등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의 尖端器機, 尖端테크닉, 尖端器材, 尖端技法, 등을 받아들이되 그 새로운 그릇에 우리의 것, 우리의 혼과 생활이 담겨있는 새로운 작품들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국민들의 의식세계를 바람직한 길로 유도하여 우리의 생활속에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는 광고물 제작에 있어 좀더 수준높은 작품을 제작하고 우리의 고유문화를 지켜나가는데 기여해야 한다. Among the culture that represent a time, We can say they-literature, painting, music, movie, etc-do that role. But advertising influence our life as well as aboves especially TV commercials of Korea do more than the other media. Advertising is not only to sell the products, to up the image of the company but also to lead the spirits of peoples. Leading group in advertising have to have a good eye to go ahead as well as artists. Recollecting the advertising environment of Korea, copied foreign culture and advertising much influence our life with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equipments after 80's. And new culture-postmodernism from the western-is being formed in Korea after 80's. Then, we may receive strange and strong postmodernism without any reaction? Specially in visual world, young ages in Korea follow the foreign culture from new technique of postmodernism. But we can not refuse the culture convenience. Receiving their Hi-tech equipments and Hi-technology, on the other hand we must try hard to develop new works that have our soul and life, to lead people's spirits into right way.

      • 영상녹화와 원격화상시스템의 형사절차상 활용방안 연구

        이정열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2020년 1월부터 시작된 ‘COVID-19’ 감염병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많이 바뀌게 하였다. 학교, 직장, 공공기관 등 사회 전반에 비대면 문화를 정착시켰고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두려워하게 만들었다. 형사절차에서도 어느 구치소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되어 수사나 재판이 모두 연기되는 등 한차례 소동이 지나가고 수사기관에서는 가능하면 비대면 조사나 비대면 증거 수집 방법을 선택하여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가 근무하는 검찰청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기존에 잘 사용하지 않았던 ‘화상조사시스템’을 통해 구치소 등에 수감 중인 수용자들을 조사하게 되었고 그 방안은 시스템 개선과 활용의 빈도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을 맞이하였다. 실무적으로 화상조사시스템은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재판에 증거로 제출되어 증거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기에는 아직 넘어야 할 문제들이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앞으로 이러한 ‘원격화상시스템’은 우리 형사절차에 더 많이 이용되어 질 것이 분명하기에 ‘기술, 법률적인 문제들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라는 명제만 남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2007년부터 법률상 허용되었던 ‘영상녹화’는 14년이 지난 오늘에도 증거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2022년부터 검사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특칙규정이 변경되면서 ‘영상녹화’는 거의 증거법상 쓸모없는 증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에서는 ‘원격화상시스템’에 대한 형사절차를 도입을 얘기하면서 아직도 ‘영상녹화’에 대한 증거능력 여부에 대해 서술한다는 것이 선·후가 뒤 바뀐 것 같지만 어찌되었던 오늘, 우리 형사절차에 규정된 ‘영상녹화’와 ‘원격화상시스템’에 대한 모습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녹화’에 대한 증거능력에 대해 다시 한 번 진정 ‘불량증거인가?’에 대해 살펴보았고, 적어도 일정한 조건하에 증거능력을 부여해 주는 방안과 최소한 약식명령 제도에 있어 증거능력을 인정해 주는 방안에 대해 제안을 해 보았다. ‘원격화상시스템’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의 사례와 현재 우리 형사사법절차에 사용되고 있는 현황을 기술하였다. 앞으로 우리 형사절차에도 시대 상황에 맞는 제도들이 정착되어 인권을 보장하고 국민에게 편리하고 편안한 형사사법 서비스를 제공하며 형사사법 절차의 효율화도 기대해 보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 Hyperspectral 위성 영상을 이용한 지질 매체 분류

        최은영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높은 분광 해상도(spectral resolution)를 갖는 hyperspectral 영상은 가시·근적외선(visible, near-Infrared) 영역을 10nm 정도로 미세하게 나누어 200여개의 밴드로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암석과 광물의 원자 배열에 따른 분광 정보가 잘 정리되어 있는 기질 분야에서 유용하다. 외국에서는 일찍부터 이러한 hyperspectral 영상의 특징을 도입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탑재 hyperspectral 센서(spaceborne hyperspectral sensor)인 HYPERION으로 촬영한 국내 영상으로 지질 매체를 분류하여 지질 연구 분야에서의 hyperspectral 영상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HYPER10N 영상의 분류 결과를 같은 공간 해상도를 갖는 일반 광학 영상인 Landsat 7 ETM+ 영상을 분류하여 결과를 비교하였고, 연구 지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탄전의 영향을 고려하여 HYPER10N 영상에서 분류된 광물이 산성 광산 배수에 의한 2차 광물일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지형도, DEM 자료로부터 지형적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Landsat 영상으로 광물, 암석, 식생을 대상으로 분광 특징을 이용하여 분류를 시도하였으나 나대지와 수계, 식생의 일반적인 분류 결과만을 나타낸 반면, HYPER10N 영상은 기반암인 화강암(granite), 유문암(rhyolite), 2차 광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침철석(goethite), 적철석(hematite), 페리하이드라이트 (ferrihydrite)를 endmember로 선정하여 분류한 결과, 기반암은 육안 식별이 가능한 분포를 나타내었고, 광물은 영상을 확대했을 때 몇 개의 픽셀로 나타나는 정도였으나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EM과 지형도로 확인한 결과, 분류된 광물은 대개 저지대(colline zone)의 수계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광산으로부터 산성 광산 배수(AMD: Acid Mine Drainage)가 유출되었을 경우 수계를 따라 저지대로 유입되어 2차 광물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Hyperspectral images with the high spectral resolution divide visible and near-infrared wave region as wide as 10nm to show the continuous spectrum with 200 bands. These characteristics are useful in Geology where a spectral feature which is decided by chemical compositions and crystalline structures is recorded well. While many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hyperspectral images in foreign countries, the studies are not popular in Korea and in the early stage. In this study, geological materials were classified by using EO-1 HYPERION data which is a spaceborne hyperspectral image,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processed Landsat 7 ETM+ image, a general multispectral image in order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hyperspectral image in the filed of geological survey. Considering the effect of mines located near the study area, the topographical possibility that classified minerals would be secondary minerals by the AMD(Acid Mine Drainage) was researched by analyzing a topographical map and DEM. Using the Landsat data, minerals, rocks and vegetation was attempted to be classified by spectral features, but the result showed that exposures, water and vegetation appeared. Using the HYPERION image, granite and rhyolite which are main rocks and goethite, hematite and ferrihydrite which are the secondary mineral were attempted to be classified and as the result, main rocks were distributed visibly and distribution of secondary minerals were sparsely confirmed when the mapped image is zoomed i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opographical map and DEM, classified minerals from HYPERION data usually appeared near a river in the colline zone so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AMD from a mine could form the secondary miner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