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상도식을 활용한 서사 감상 교육 방법 연구

        김동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des of narrative appreciation and to suggest the methods of narrative appreciation education applying image scheme. In this study, it will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response-based literary education and assist a learner to connect between their life and literature, to form relevant appreciation to their life. Specifically, it first examined the modes of narrative appreciation applying image scheme in a theoretical aspect. It then discussed the function of image scheme and suggested methods of applying image scheme in narrative appreciation education. Finally, it designed education activities and performed at a classroom for narrative appreciation education applying image scheme and analyzed outcomes from the class. Image scheme is a structure organized embodied experience of humans. It might be used to composite meaning of human language and to enjoy literature as a language art. A reader might be identifying a scene of a literary work in terms of an image scheme. The composed meanings of the scene by the reader are not shrunk in the words of the text because the reader brought embodies experiences while reading. Then, the reader materializes the meanings of the scene by metaphorical projection of an image scheme on the scene. In this time, the reader might comprehend the various aspect of life in the literary work by bringing more embodied experiences. Finally, the reader will relate the scenes of the literary work and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background in the work by using the structure of the image scheme. Through this appreciation, the reader might check the context of the work and coordinate the meanings of the scenes. Image scheme functions as follows in narrative appreciation education, it will contribute to fulfil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image scheme can make a path to connect learner’s experiences and a literary work. The learner will regard the work as a being related their and can take the work by bringing their experiences. Second, image scheme can assist the learner to do as an independent reader for appreciation. The learner will imaginary experience the scenes of the work and individualize the meanings of the scene. Finally, image scheme induces the learner to composite a response with imaginative rationality. The learner will bring their experiences from various levels that contain the literary work and their circumstances applying the image scheme. According to the trait of the image scheme that using unconsciously, the methods of narrative appreciation education applying image scheme begin to recognize and examine a image scheme. First, a learner will recognize that their experiences organize a image scheme and examine that. Then,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recognize a narrative scene applying the image scheme. Using this method, the learner might comprehension the meaning of the scene by schematizing and materializing the scen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composite a response from the literary work. In this way, the learner might acquire a response with imaginative rationality through imaginary experience the scenes, individualize the meanings of the scene, and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background in the literary work.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designed education activities and planed a class for narrative appreciation education applying image scheme based on the methods suggested above. The research class was conducted for sixth-grade learners in consideration of the traits of this study and the learners. This study was able to achieve these results by analyzing the recording records, outcomes from the learners, and interview data from the learners. First, the learners can organize a image scheme from their experience, and use the image scheme in their language practice. Second, the learners can comprehend the meaning in a scene of a literary work richly. Also, in this process, they can connect their life to literary work. Finally, the learners can imaginary experience the literary work and composite a response with imaginative rationality.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to connect the experience of a learner to a literary work and composite a relevant response. The learner of narrative appreciation education will develop their life with the relevant responses. 본 연구의 목적은 서사 감상에서 영상도식의 활용 방식을 밝히고, 영상도식을 활용한 서사 감상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학습자가 삶과 작품 사이의 연결을 강화하고 유의미한 감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서사 수용에서 영상도식이 활용되는 방식을 이론적으로 탐구한다. 둘째, 서사 감상 교육에서 영상도식 활용의 기능을 논의하고, 영상도식을 활용한 서사 감상 교육 방식을 제시한다. 셋째, 영상도식을 활용한 서사 감상 교육의 학습 활동을 구안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는다. 영상도식이란 인간의 신체화된 경험이 조직화된 구조이다. 영상도식은 인간이 언어의 의미를 구성하는 데 활용된다. 언어 예술인 문학작품을 파악하고 감상할 때도 영상도식이 활용될 수 있다. 독자는 영상도식의 관점에서 서사 장면의 의미를 파악한다. 이때 독자는 신체화된 경험을 동원하므로, 파악한 장면의 의미는 축자적이지 않다. 독자는 영상도식을 서사 장면에 은유적으로 투사하며, 장면의 의미를 구체화한다. 이때 독자는 더욱 많은 경험을 동원해 서사 작품을 수용하며, 작품에 담긴 삶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할 수 있다. 독자는 영상도식의 구조를 활용하여 서사 장면을 연관 짓고, 서사의 이면을 확인한다. 이때 독자는 작품의 맥락을 확인하며 앞서 수용한 장면의 의미들을 점검한다. 서사 감상 교육에서 영상도식은 다음의 기능을 하며, 본 연구의 목적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우선, 영상도식은 학습자의 경험과 서사 작품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마련한다. 학습자는 서사 작품을 자신과 유관한 것으로 여기며, 자신의 경험을 동원하여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영상도식은 학습자가 서사 감상 주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자는 영상도식을 활용하며 서사 장면을 상상적으로 체험하고, 서사 수용을 주관화한다. 한편, 영상도식은 학습자가 상상적 합리성을 갖춘 감상을 형성하게 한다. 학습자는 영상도식을 활용하며 서사 작품을 포함하여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층위의 신체화된 경험을 동원한다. 영상도식을 활용한 서사 감상 교육 방법은 영상도식이 무의식적으로 활용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영상도식을 인식하고 탐구하는 데서 시작한다. 먼저, 학습자가 경험이 조직화되어 영상도식을 이룬다는 점을 인식하고, 영상도식을 탐구한다. 이어서, 영상도식을 활용해 서사 장면을 파악한다. 여기서는 학습자가 서사 장면을 도식화하고, 구체화하며 서사 장면에 담긴 의미를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서사 작품에 대한 감상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가 앞서 수용한 서사 장면을 상상적으로 체험하며 수용을 주관화하고, 서사 작품의 이면을 확인하며, 상상적 합리성을 갖춘 감상을 형성한다. 앞서 제시한 교육 방법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교육 계획을 마련하고, 학습 활동을 구안하여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수업은 본 연구의 흐름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수업 녹음 기록, 학습자의 활동 결과물, 학습자와의 면담 기록 등의 자료를 살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는 언어 활동에서 자신의 경험을 조직함으로써 영상도식을 인식하고, 서사 수용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영상도식을 활용하여 자신의 삶과 서사 수용 과정을 연결함으로써 서사 장면의 의미를 풍부히 파악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영상도식을 활용하여 서사 작품을 상상적으로 체험하고, 상상적 합리성을 갖춘 감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사 감상 학습자가 영상도식을 활용하여 작품을 자신과 관련짓고 유의미한 감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서사 감상 학습자가 유의미한 감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삶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영상도식을 활용한 한국어 유사 문법 교육 방안 연구 : ‘-어서’와 ‘-니까’를 중심으로

        조동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imilar grammar education plan using image schema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xisting studies on similar grammar education depended o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rather than focusing on the meaning to discriminate grammar.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in-depth and superficial structure of grammar based on another grammatical meaning that can distinguish grammatical expressions. And this study has the point of view that image schema is useful to explain the structure of such grammatical meanings. Therefore, in this study, similar grammar items were selected as causative conjunction endings '-어서' and '-니까', In addition, 'listener information sharing status' and 'justification' were reviewed as grammatical meanings that can be usefully used to distinguish two grammatical expressions and teach them, and this was constructed as a image schema. Next, the principles of grammar education and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examined in order to materialize similar grammar education plans. In general grammar education, various language teaching approach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can be appli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grammar education. However, similar grammar education is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the learner has already progressed learning about grammar items. Therefore, similar grammar education, unlike general grammar education, must be given an explicit presentation by the teacher and aim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learner's grammar selec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result-oriented grammar education was appropriate for similar grammar education, and the PPP model was applied to discuss the similar grammar education method in detail.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quantitative growth of research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not many attempts to conceptualize grammatical meaning using image schemas from a cognitive linguistic perspective.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in that, unlike the existing educational method that lists grammatical information, a method was suggested to extend education to the superficial structure based on the in-depth structure of grammatical meaning using image schema. Keyword: Korean education, Similar grammar, Image schema, Causative conjunction ending, PPP model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영상도식을 활용한 유사 문법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유사 문법 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문법을 분별할 의미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형태적, 통사적 특징에 기대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법 표현을 구분해 줄 수 있는 또 다른 문법 의미를 바탕으로 문법의 심층적 구조와 표면적 구조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문법 의미의 구조를 설명하는 데 영상도식이 유용하다는 관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유사 문법 항목을 인과관계 연결어미 ‘-어서’와 ‘-니까’로 선정하고, 두 문법 표현을 구분하는 교육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청자 정보 공유’와 ‘당위성’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영상도식으로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유사 문법 교육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문법 교육 원리와 문법 교수 학습 모형을 살폈다. 일반적인 문법 교육에서는 유사 문법 교육과 달리 문법 교육의 목적에 따라 여러 언어 교수 접근법과 교수 학습 모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사 문법 교육은 이미 학습자가 문법 항목에 대해 학습을 진행하였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된다. 따라서 유사 문법 교육은 일반적인 문법 교육과 달리 교사의 명시적인 제시가 전제되어 있어야 하며 학습자의 문법 선택의 정확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결과 중심 문법 교육이 유사 문법 교육에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PPP 모형을 적용하여 유사 문법 교육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적 관점을 가지고 영상도식을 활용하여 문법 의미를 개념화한 시도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연구의 양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영상도식을 활용하여 기존의 문법 정보 나열식의 교육과 달리 문법 의미의 심층적 구조를 바탕으로 표면적 구조까지 확장하여 교육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데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주요어: 한국어 교육, 유사 문법, 교육 방안, 영상도식, 인과관계 연결어미, 결과 중심 문법 교육

      • 영상도식을 활용한 은유적 인식이 중등 영어 학습자의 구동사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수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영상도식을 활용한 은유적 인식이 중등 영어 학습자의 구동사 학습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도식을 활용한 은유적 인식이 한국인 중등 영어 학습자의 구동사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구동사의 불변화사 ‘Up, Down, In, Out, On, Off’를 포함한 구동사 35개를 사전 구동사 평가를 통해 선별하고, 중학교 2학년 2개 반에서 영어 성적이 중급 수준인 3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3주간 3회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참여 학생들을 임의로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매회 20분의 동일한 학습 시간 동안 불변화사 2개를 포함한 약 12개의 구동사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실험집단은 불변화사의 은유적 의미를 보여주는 영상도식이 포함된 예문을 제공하여 불변화사의 은유적 의미를 설명하고, 학습자들이 구동사의 의미를 유추하도록 하였다. 통제집단은 영상도식 없이 불변화사가 포함된 구동사의 예문을 읽고, 구동사의 의미를 추론한 후 해석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실험 후 두 집단 학습자들이 학습한 구동사의 의미를 단기적, 장기적 기억하는 능력과 학습하지 않은 구동사의 은유적 의미를 추론하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한 구동사와 학습하지 않은 구동사가 포함된 사후평가와 지연 사후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동사 학습 전, 후에 학습자들의 구동사 인식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 사후 설문과 각 집단의 2명의 학생들과 사후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도식을 활용하여 구동사를 학습한 실험집단이 학습한 구동사의 의미를 단기적, 장기적으로 기억하는데 통제집단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학습하지 않은 구동사의 의미를 추론하는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후평가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을 가졌지만, 지연사후평가에서는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영상도식을 활용한 구동사 학습이 학습하지 않은 구동사의 은유적 의미를 추론하는 능력에 있어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되었지만, 기존의 암기식 구동사 학습에 비해 장기적으로도 효과가 있는 것인지는 알 수 없었다. 셋째, 사후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통해 구동사 학습 후 기존의 암기식 구동사 학습과 영상도식을 활용한 구동사 학습 모두 학습자들의 구동사 학습 인식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도식을 활용한 은유인식은 단순 암기식 방법에 비해 구동사의 의미를 기억하고 유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학습자들이 영상도식을 활용하여 좀 더 장기적으로 구동사를 학습한다면 장기적인 구동사의 의미 유추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상도식을 활용한 구동사 학습 방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할 때 체계적인 구동사 지도 방법을 통해 구동사를 지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상도식을 활용한 은유적 인식의 향상을 통한 구동사 학습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구동사의 의미를 추론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 영어 수업에 등장하는 구동사를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시켜 영상도식을 활용하여 학습한다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Effect of Metaphor Awareness Using Image Schema on Learning Phrasal Verb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hancing metaphor awareness using image schema on learning phrasal verb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30 Korean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intermediat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participated in the study. Before the lessons, thirty-five phrasal verbs were selected from the pre-phrasal verb test.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r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learned 12 phrasal verbs including two particles during the class once a week. The lessons lasted for 20 minutes by the same instructor. Over a period of three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phrasal verbs with image schema which shows metaphorical meanings of particles, while the control group studies the phrasal verbs by reading the examples including them and memorizes the L1 definitions of them. Pre-, post-, delaye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access the learners’ achievement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arning phrasal verbs with image schema on the learners’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Uninstructed phrasal verbs were added in the post- and delayed post-test to check the learners’ inferential ability. Lastly, pre-and post survey and post interview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s of learners' affective attitud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improvement in learning English phrasal verbs than did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of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phrasal verbs with image schema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short-term and long-term memor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inferential ability to uninstructed phrasal verbs in post test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n between two groups in delayed post test.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and interview results, learners' affective attitude in both groups positively changed after the lesson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eaching English phrasal verbs using image schema can be helpful for enhancing learner’s learning. However, the study on learner’s inferential ability to uninstructed phrasal verbs should be studied later to check the effect of inferential ability to long-term memory. If the instruction in this study was applied in schools, it might help Korean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learning English phrasal verbs.

      • 한국어교육을 위한 유사 문법 연구 : [거리] 개념을 적용하여

        김훈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67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신체화(embodiment)에 기초한 [거리] 개념을 한국어 유사 문법에 적용, 해석함으로 유사 문법을 변별하는 의미 자질로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의미 자질로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밝히기 위해 화자 중심의 인지언어학의 ‘해석’ 방법을 적용하고, 이를 다시 영상도식으로 나타낸다. 또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한국어 유사 문법 {-어서}와 {-니까}, {-겠다}와 {-을 것이다}에 적용, 해석함으로 그 타당성을 밝힌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인지언어학적 ‘해석’(construal)과 영상도식(image schema)에 대해 살펴본다. 인지언어학적인 ‘해석’의 개념과 투사된 세계로서의 ‘장면’, 또한 ‘해석’의 다양한 개념들을 살펴보며, 이어 영상도식을 통해 언어의 의미가 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개념화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거리] 개념을 설명한다. 3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인지언어학적 ‘해석’(construal)과 영상도식(image schema)을 기존의 ‘거리’ 개념에 적용하여 화자와 청자, 화자와 정보, 청자와 정보 사이에서 화자가 해석하는 [거리] 개념을 도출한다. 그리고 이것이 화자의 해석 아래 유사 문법의 선택을 결정하는 의미 자질임을 밝힌다. 화자는 본인의 인식 범위 안에서 화자와 대상(청자와 정보) 사이의 관계의 거리를 해석한다. 또한 화자가 청자의 입장이 되어 청자와 정보 사이의 관계의 거리를 해석하기도 한다. 이때 화자의 인식 범위를 하나의 그릇 도식으로 보고, 화자(청자)의 인식 범위를 하나의 원으로 도식화한다. 그리고 대상(청자 또는 정보)이 원 안에 들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를 [거리] 개념 [가깝다]와 [멀다]로 해석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해 낸 [거리] 개념을 직접 한국어 초급 문법 중 대표적인 유사 문법인 {-어서}와 {-니까}, {-겠다}와 {-을 것이다}에 적용하여 [거리] 개념의 타당성을 보인다. {-어서}와 {-니까}는 [원인, 이유]의 의미를 갖는 유사 문법이다. {-어서}가 갖는 [공손성], 통사적 제약, [객관성], [정보 미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멀다]로 해석되고, {-니까}가 갖는 [친밀성], 통사적 제약 없음, [주관성], [정보 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가깝다]로 해석된다. {-겠다}와 {-을 것이다}는 [의지], [추측]의 의미 자질을 갖는 유사 문법이다. {-겠다}가 갖는 [참여 허락], [주관성], [현장성], [근거 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가깝다]로 해석되고, {-을 것이다}가 갖는 [참여 불가], [객관성], [비현장성], [근거 미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멀다]로 해석된다. 즉 [거리] 개념을 통한 해석에 있어 유사 문법 {-어서}와 {-니까}는 각각 [멀다]와 [가깝다]의 의미를 지니고. 또한 {-겠다}와 {-을 것이다}는 각각 [가깝다]와 [멀다]의 의미를 지닌다. 이와 같은 검증의 결과를 통해 유사 문법 간의 변별성을 [거리] 개념인 [가깝다]와 [멀다]로 좀 더 명확하고 가시적으로 표현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다. This research aims to draw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as the meaning features discriminating the similar grammar by applying, interpreting the concept of [Distance] based on the somat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similar grammar of Korean language and to disclose the validity. The method for the interpretation of speaker oriented cognitive linguistics is applied to disclose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as the meaning features; this shall be appeared as the image schema again. Also, the validity is disclosed by applying, interpreting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in the similar grammar of Korean language, {-eoseo}, {-nikka}, {-gedda} and {-eul geotsida}. The cognitive linguistics ‘interpretation’ (construal) being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and the image schema are examined in the Chapter 2. Diverse Concepts of ‘scene’ as the concept of cognitive linguistics ‘interpretation’ and the projected world, also ‘interpretation’ are examined; subsequently the concept of [Distance] is explained on the premise that the meaning of language is conceptualized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 through the image schema. The concept of [Distance] that the speaker interprets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the speaker and content and the listener and content is drawn by applying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strual and image schema examined earlier in the Chapter 3. And this is disclosed to be the meaning features deciding the selection of similar grammar under the interpretation of speaker. The validity for the concept of [Distance] is shown by applying the concept of [Distance] drawn in the Chapter 3 in the {-eoseo}, {-nikka}, {-gedda} and {-eul geotsida} being the representative similar grammar out of beginning level grammar of Korean language directly in the Chapter 4.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politeness] that the {-eoseo} has, syntactic restriction, [objectivity] and [non-share of information]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distant] as the concept of [Distance],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the intimacy] that the {-nikka} has, there is no syntactic restriction, [subjectivity] and [information share]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close as the concept of [Distance]. Also,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the permission of participation] that the {-gedda} has, [subjectivity], [site] and [the basis share]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close as the concept of [Distance],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impossibility of participation], [objectivity], [non-site] and [non-share of basis]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distant as the concept of [Distance]. Namely, the similar grammar, {-eoseo} and {-nikka} has the meaning of [distant] and [close] respectively in the interpretation through the concept of [Distance], also, the {-gedda} and {-eul geotsida} have the meaning of [close] and [distant] respectively

      •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한 현대중국어 신조어 연구 : 'X門'형, '微X'형, 'X族'형 신조어군을 중심으로

        유예림 延世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8666

        본 논문의 목적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생성된 중국 신조어 중 생산성이 높고 안정적인 신조어군을 개념적 혼성 이론(Concepture Blending Theory)으로 분석하여 그 생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혼성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생성된 중국 신조어 3448개를 수집하여 연도별로 분류한 후,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도별 생산량, 음절 수의 구성, 한자어와 비한자어의 분포 정도, 신조어의 구성방식, 신조어의 특이한 형태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같은 형태를 띠는 신조어군을 추출하고, 이 신조어군을 다시 연도별로 분류한 후, 매년 꾸준히 생성되고 소속된 신조어가 가장 많은 신조어군을 추출하였는데, ‘X门’형 신조어군, ‘微X’형 신조어군, ‘X族’형 신조어군이 이에 해당되었다. 그래서 이 세 가지 신조어군을 본고의 분석대상으로 삼고, ‘고생산성 신조어군’이라 이름하였으며, 개념적 혼성 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과정은 먼저 각 신조어군에 속하는 신조어들의 연도별 생산 수량과 해당 신조어들을 제시하고, 그 중 개념 혼성적 분석을 명료하게 보여줄 수 있는 신조어를 선택적으로 분석한 후 마지막에 그와 유사한 혼성 과정을 갖는 신조어들을 함께 제시하는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본고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X门’형 신조어군의 모든 신조어는 사건 진행에 있어 장애물의 유무에 따라 혼성공간에 열린 문/닫힌 문 경로도식이 활성화된다. 또 일반적으로 어떠한 국가적으로 큰 이슈가되는 사건을 ‘X-gate’라 지칭하기 때문에 ‘X门’형의 단어들이 모두 상당한 규모의 사건을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데, 본고에서 분석한 바로는 일반적인 사건보다 규모가 큰 경우에도 ‘X门’형태가 사용되는 현상이 포착되었고, 중국어에서 ‘X门’형 신조어의 ‘门’이 어떠한 사건을 가리킬 때 의미 정도가 ‘事件 < 门₁(大事) < 门₂(gate)’의 단계를 가진다. 그리고 ‘X门’형 신조어군에서는 새로운 사건을 이해하기 위한 기반으로 다양한 영상도식이 활성화되는데, 그중 경로영상도식이 가장 많이 활성화되며, 따라서 추상적인 사건 상황을 개념화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영상도식은 경로영상도식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마지막으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생성된 ‘X门’형 신조어군에서는 인지모형과 창조된 부분의 발현 외에 다른 혼성적 특징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X门’형 신조어군은 혼성도가 낮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微X’형 신조어군은 ‘微’의 의미에 따라 다시 ‘微(微博/微信)X’형과 ‘微(작다)X’형으로 나뉜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의 ‘微X’형 신조어에서는 비교적 인지적 활동이 적었다고 할 수 있으며, 2014년에는 微博를 의미하는 ‘微X’형 신조어는 생성되지 않았다. ‘微X’형 신조어에서 비교적 강한 인지 작용이 발생한 시기는 2010년과 2016년이며, 그 정도는 2016년이 더욱 강하다. 또 혼성 과정에서 의미요소 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고, 대부분의 요소가 의미를 더 구체화시키는 역할을 했으며, 微博 혹은 微信을 통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신조어들이 많다. 또한 ‘微X’형 신조어군은 크기 단일 척도와 창조된 부분 발생 외에 다른 혼성적 특징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微X’형 신조어군은 혼성도가 낮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X族’형 신조어군의 신조어는 모종의 공통된 특성을 지닌 사람들의 무리를 지칭하며, X의 의미를 더욱 세분화하여 분류하면 행위, 사물, 심리, 동물, 상태, 인물, 식물 의미항목 순으로 많았다. 이를 통하여 ‘X族’형 신조어가 생성될 때 무리의 특성 중 행위에 가장 강하게 초점이 맞추어진다는 것이 드러났다. 또 ‘X族’형 신조어군의 신조어를 개념적 혼성 이론으로 분석하면, 전경과 배경으로 정신공간이 구축되어 혼성 과정을 거치는 신조어류와 은유 대상의 인지모형이 활성화되어 정신공간이 구축되고 혼성 과정을 거치는 신조어류로 양분되었다. 전경-배경을 기반으로 한 혼성 과정과 대혼성공간의 존재, 창조된 부분 발생 등의 혼성적 특성이 상당량 드러나며, 혼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개념적 혼성 이론이 중국어 단어에 대한 의미 분석 도구로 적합한 지, 단어의 생산방면에서 의미는 단순 합산이 아닌 창조적 의미가 가미되어 단어의 최종 의미를 구체화시킨다는 개념 혼성적 주장이 중국어에서도 적용 가능한 지에 대한 의문에 답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의 분석과정에서 발생한 창조된 부분은 개념적 혼성 이론의 우수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부분 중 하나로, 합성어가 형태소의 단순 합성이 아님을 증명할 수 있는데, 특히 창조력이 강한 신조어 분석에서 더 빛을 발한다고 할 수 있다. 창조된 부분의 존재 여부는 개념적 혼성으로만 얻을 수 있는 분석 결과이다. 즉 개념적 혼성 이론의 특징이 상당히 잘 드러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창조된 부분이 발생한다는 것은 창조력이 강하다는 것이다. 신조어란 머릿속 사전에서 새롭게 조합되어 만들어진 단어이므로 ‘신조어는 곧 창조적이다’라고만 인식하기 쉽지만, 그 안에서도 창조력이 강한 단어군을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을 본고의 개념 혼성적 분석에서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대혼성공간의 존재, 다양한 영상도식의 활성화, 창조된 부분의 발생 등과 같은 혼성적 특징을 기준으로 신조어군의 혼성도를 정리하면 ‘微X’형 신조어군은 두드러지는 혼성적 특징이나 다양한 영상도식의 활용이 없으므로 혼성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X门’형 신조어군은 두드러지는 혼성적 특징은 없지만, ‘微X’형 신조어군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영상도식의 활용이 있었으므로, ‘X门’형 신조어군 보다 인지적 활동이 강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혼성도가 중급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X族’형 신조어군은 영상도식의 활발한 활성화는 없었지만 창조된 부분 발현, 대혼성공간의 존재, 개념적 은유 등의 혼성적 특징을 다양하게 갖고 있으므로, 인지적 활동이 강하며, 혼성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고의 연구 결과가 향후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한 중국어 연구 방면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本論文的硏究目的是以概念整合理論(Concepture Bending Theory)來分析2010年至 2016年間産生的中國新詞語中生產率高且穩定的新詞語群,具體指出在此産生過程中所顯 現的認知性、整合性的特徵及其演變。 首先收集了2010年到2016年産生的所有中國新詞語後,為了掌握整體的狀態,對新詞 語的年產量、音節數的構成、純漢字詞和非純漢字詞的分佈程度等進行了考察。並根據不 同時期分析出了中國的新詞語群是如何在意義和形態上所産生的。最後提取出了“X門”型新 詞語群、“微X”型新詞語群、“X族”型新詞語群成為本論文的硏究對象。在分析過程中,首 先提出了屬於各新詞語群裡的新詞語年度生產量和相應的新詞語,再來選擇能夠確實體現 概念整合分析的新詞語來進行分析,並提出與之類似的新詞語。本稿討論的主要內容如下: 第一,“X門”型新詞語群在事件進行時,將根據障礙物的有無,會活化在整合空間中開 門/關門的意象圖式。還有一般把國家大事件稱為“X-gate”,因此“X門”型詞彙都可能被認 為是相當規模的事件。但據本稿分析,在規模比一般事件大的情況下,也出現了使用“X門” 形態的現象。因此,在漢語中,“X門”型新詞的“門”指某一事件時,其意義程度就相當於 “事件< 門₁(大事) < 門₂(gate)”的階段。另外在“X門”型新詞語群中,以了解新事件為 基礎,將活化各種意象圖式,其中以路徑意象圖式最多。因此,可以將抽象的事件狀況概 念化,最恰當的意象圖式可以說是路徑意象圖式。最後,在2010年到2016年生成的“X門”型 新詞語群中,除了認知模型和創新性的出現外,沒有出現其他整合特徵,因可指出“X門”型 新詞語群的整合度較低。 第二,“微X”型新詞語群根據“微”的意義再次分為“微(微博/微信)X”型和“微(小)X” 型。從2011年到2013年的“微X”型新詞語的認知性活動較少,2014年並未産生意味着微博的 “微X”型新詞語。在“微X”型新詞語中產生較強認知作用的時期是2010年和2016年,而2016 年更強。此外,在整合過程中,意義要素之間並不相互衝突,大部分的要素都起到了使意 義更加具體化的作用,通過微博或微信服務而顯現的新詞語有很多。另外,“微X”型新詞語 群除了大小單一的標準和創新性外,沒有出現其他整合特徵,因此可表示“微X”型新詞語群 的整合度較低。 第三,“X族”型新詞語群的新詞語是指具有某種共同特點的人群,如進一步細分X的含 義並進行分類的話,依序是行為、事物、心理、動物、狀態、人物、植物。由此可以看 出,“X族”型新詞語産生時, 對行為的關注度最高。另外,如果用概念性整合理論分析“X 族”型新詞語群的新詞語,可分爲以全景和背景構建的精神空間,以及經過整合過程而活化 的新詞語類和隱喻對象的認知模型,相當程度體現了以全景-背景為基礎的整合過程和大整 合空間的存在,以及產生創新性等的整合特性,可以說整合度很高。 在本稿的分析過程中,多數出現的創新性是最能體現概念整合理論優秀性的部分之 一,它可以證明合成詞不是語素的單純合成,特別是在創造力強的新詞語分析中,更是光 鮮亮麗。創新性的存在與否,是只能通過概念整合來獲得的分析結果。換句話說,這是相 當能體現概念整合理論特徵的一部分。新詞語是在腦詞典中重新組合而成的詞彙。人們容 易認為“新詞語就是創造性的”,但在本稿的概念整合分析中可證明,創造力強的詞彙群也 可被進行分類。另外,以整合特徵為標準來整理新詞語群的整合度的話,“微X”型新詞語群 沒有突出的整合特徵或多樣的意象圖式,可以說整合度較低。“X門”型新詞語群雖然沒有突 出的整合特徵,但與“微X”型新詞語群相比,具有較為豊富的意象圖式應用。因此可以說比 起“X門”型新詞語群,認知性活動更強,因此整合度可以說是中級。 最後,“X族”型新詞語群雖然沒有意象圖式的活躍,但具有創新性的出現、大整合空間 的存在、概念隱喻等整合特徵,認知性活動強,可以說整合度高。筆者期望本論文的研究 今後能對概念整合理論的漢語研究方面提供些微幫助。

      • 현대중국어 능격동사구문의 인지적 의미 특징과 인지 경로 분석

        박나현 延世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8666

        본 논문은 현대중국어에서 자주 쓰이지만 개념적 혼동이 있었던 능격동사구문의 정의를 재확립한 뒤, 인지적 범주를 고찰하여 각 범주의 대표적인 예들을 중심으로 구문에 내재하는 인지 경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존슨(1987)이 제시한 영상도식 목록의 하위 목록인 경로 영상도식을 채택하여 능격동사 구문 분석의 토대로 삼았다. 본고는 먼저 능격동사와 비능격동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능격동사의 특징으로는 첫째, 내재논항을 유일논항으로 가진다. 둘째, 두 개의 용언성 성분으로 동결식을 이루어 ‘V-V’형식 또는 ‘V-A’형식의 결과 복합어로 나타나며, 활동-결과 사건구조를 나타낸다. 셋째, 행위에 대한 비자발성이 있다. 넷째, 수동자 지향적인 동사이라는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한편, 비능격동사의 특징은 첫째, 외재논항을 유일논항으로 가질 수 있다. 둘째, ‘The (actor) (verb)ed the (object), therefore the (object) (verbed)’의 검증틀로 의미유지가 가능하지 않은 동사이다. 셋째, 행위자 지향적인 동사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능격동사 구문의 인지적 범주 및 능격성 실현을 살펴보고, 능격동사와 비능격동사의 비교를 통해 능격동사만이 가진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다루는 능격동사를 원형적 범주, 즉 이음절 동결식으로 구현되는 능격동사(V-V식/V-A식)과 비원형적 범주, 즉 형용사에 ‘-化’를 더한 동사화로 나누어 분류하고 정리했다. 또한 ‘NP1+V+NP2’와 ‘NP2+V’의 전환 및 동일한 의미의 공유와 ‘使’자 삽입으로 인한 사역성 검증을 통해 능격성을 검증하였다. 상술한 원형과 비원형의 개념을 바탕으로 원형적 범주의 동사는『汉语動詞用法词典󰡕(1999)을 기준으로 추출하고 비원형적 범주를 위한 일음절 형용사는『形容词用法词典󰡕(2003)을 기준으로 삼아 분류하였다. 분류 결과 본고는 108개의 이음절 동결식 능격동사가 우선적 분석 대상이 되었다. 아울러 능격동사 구문의 인지적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인지 의미 연구의 세 가지 접근법 중 언어내적접근법을 적용한 함의관계를 바탕으로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격동사가 [Vt구조]로 실현될 때 ‘NP1’는 ‘암시적 행위자’ 의미를 갖는다. 둘째, 능격동사 ‘V’에 대한 상태 변화를 수반한다. 마지막으로 능격동사 구문은 종결(Telic, 有界)의 인지적 의미특징을 지닌다. 다음으로 능격동사 구문의 인지적 의미특징을 바탕으로 한 경로 본질의 방향성을 탐색하고, 현대중국어 능격동사 구문 인지적 의미에 따른 경로 영상도식을 도출하였다. 먼저, 조지 레이코프(1987), 산드라 패냐(2003), 마크 존슨(1987), 졸탄 커베체쉬(2006)의 인지 경로 영상도식의 이론을 참고하여 능격동사 구문의 인지적 경로 본질을 논하였고, 그 기본적 방향성을 수평 경로, 수직 경로, 순환 경로 등의 세 가지로 나누었다. 이어서 레이코프와 존슨(1999:33)이 제안한 경로 영상도식의 구조적 요소와 역할에 따라 능격동사 구문의 인지적 의미 경로를 ‘확장-축소 경로 영상도식’, ‘힘 경로 영상도식’, ‘과정 경로 영상도식’ 등 세 가지로 나누었다. 최종적으로 능격동사 구문의 인지적 의미를 바탕으로 하는 하나의 경로 영상도식을 도출하였다. 즉 각 논항의 의미특징 ‘암시적 행위자 의미’, ‘상태 변화 의미’, ‘종결 의미’를 모두 포괄하는 하나의 경로로 구현하였다. 이러한 능격동사 구문의 인지적 의미 경로 영상도식으로 능격동사 구문의 가장 큰 특징인 [Vt구조]와 [Vi구조]의 전환 및 의미의 불변화성을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었다.

      • 현대중국어 'V在(到)一起' 구문 연구

        김승현 延世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1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중국어 ‘V在(到)一起’ 구문의 전반적인 고찰을 통해 ‘V在(到)一起’ 구문의 어법특징과 형성 기제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말뭉치 분석 방법, 의미 특징 분석 방법, 인지적 분석 방법, 공시와 통시적인 고찰 방법 등 다각도의 분석을 시도하여 ‘V在(到)一起’ 구문의 어법특징과 그 형성 기제를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이 다룬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는 현대중국어에서 ‘V在一起’ 구문과 ‘V到一起’ 구문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두 구문의 통사, 의미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V在一起’ 구문의 통사, 의미 특징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동사의 의미 특징과 구문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또한, ‘在’의 통사 특징, ‘一起’의 의미 특징과 ‘NP’와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V在一起’ 구문의 동사와 구문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 의지동사의 분포가 많았으며, 이들이 출현할 때 ‘V在一起’ 구문은 기본적으로 ‘동작 완료 후 상태지속’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在’의 통사 특징 분석을 통해 개사 ‘在’가 동사와 부착하려는 경향성이 있고, 구문에서 ‘一起’가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되어 ‘복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공간적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이 외에도 본고는 ‘在一起V’ 구문과의 비교를 통해 ‘V在一起’ 구문이 가지는 의미 특징과 화용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고는 ‘在一起V’ 구문과 ‘V在一起’ 구문의 특징을 동작참여자 NP의 유생성, 동사(구)결합의 특징과 보충성분의 결합, 설문조사 등을 통해 살펴본 결과, ‘在一起V’ 구문이 동작참여자의 동작 행위의 지속을 나타내는 동태적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V在一起’ 구문은 결과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어 정태적 특징이 강하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두 구문의 정보구조 분석을 통해 정보초점의 실현에도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V到一起’ 구문에 대한 통사, 의미 특징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본고는 ‘V到一起’ 구문에 대한 통사, 의미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동사의 의미특징, ‘到’의 통사 특징, ‘一起’와 ‘NP’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V到一起’ 구문의 동사를 이동성의 관점에서 이동동사와 비이동동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고, ‘V到一起’ 구문이 ‘동작참여자가 같은 공간(종점)으로 도달하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V到一起’ 구문에는 비이동성의 ‘집합류’ 동사들이 많이 출현하는데, 이는 ‘一起’의 영향으로 파악된다. 본고는 이 외에도 ‘到’의 통사 특징과 ‘一起’의 의미 특징을 살펴본 결과, ‘到’ 역시 동사와 부착하려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一起’의 공간의미가 ‘NP’의 영향을 받아 구체성과 추상성이 동시에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V到一起’ 구문과 ‘V在一起’ 구문의 차이를 동사 비교와 방향보어 ‘来’, ‘去’와의 결합을 통해서 확인한 결과, ‘V在一起’ 구문에는 상태성을 나타내는 동사가 많이 분포하고, ‘V到一起’ 구문은 ‘V在一起’ 구문보다 이동성이 강한 동사가 많이 분포하여 두 구문의 상태성과 이동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V到一起’ 구문과 ‘V在一起’ 구문에는 ‘집합’류 의미의 동사가 모두 출현하였는데 이는 ‘一起’와 호응을 이루기 위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본고에서는 인지어법의 다양한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V在一起’ 구문과 ‘V到一起’ 구문의 인지적 특징을 분석한다. 본고는 영상도식, 주사방식, 타동성 이론을 활용하여 ‘V在一起’ 구문, ‘在一起V’ 구문, ‘V到一起’ 구문의 인지적 의미와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V在一起’ 구문과 ‘在一起V’ 구문의 인지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在一起V’ 구문은 그릇 영상도식으로 구성되고, 순차주사방식을 보였으며, ‘V在一起’ 구문은 경로와 그릇도식이 상호작용하고 요약주사방식으로 구성된 구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V到一起’ 구문의 인지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V到一起’ 구문 역시 ‘V在一起’ 구문과 같이 경로와 그릇도식의 조합으로 구성되어있고 요약주사방식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두 구문의 내부적인 인지적 특징은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였다. 먼저 영상도식에서 ‘V到一起’ 구문은 ‘동적인 경로도식’, ‘V在一起’ 구문은 ‘정적인 경로도식’으로 차이를 보였고, 주사방식에서는 윤곽 부여가 되는 부분에서 차이를 보였다. 즉 ‘V在一起’ 구문은 탄도체가 지나온 이동경로가 희미하고 최종적으로 정적인 위치에 윤곽이 부여되었고, ‘V到一起’ 구문은 탄도체가 지나온 이동경로가 명확하고 탄도체의 이동방향과 도달점에 윤곽이 부여되어 ‘V在一起’ 구문보다 훨씬 동적이고 종결성이 강한 구문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타동성의 인지적 분석을 통해 두 구문이 구성하는 행위자주어문, 대상주어문, ‘把’자문의 타동성을 분석하였고, 이들 유형마다 타동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도 분석을 통해 ‘V到一起’ 구문이 상적인 부분에서 ‘V在一起’보다 타동성이 높고, 동작의 완료성과 사건의 종결성이 명확한 구문임을 증명하였다. 넷째, 본고는 통시적, 공시적 분석을 통해 ‘一起’를 포함한 ‘一X’구성원(‘一塊兒’, ‘一堆’, ‘一處’)의 형성 과정과 발전 기제를 살펴볼 수 있었다. 통시적 분석결과, ‘一X’구성원의 기원과 출현 시기는 차이가 있었지만 서로 영향을 받으며 어휘화와 어법화 과정을 겪었다. ‘一X’구성원의 어휘화와 어법화 과정에는 층위화, 탈범주화, 의미지속성의 원리가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V在(到)一X’ 구문이 분석, 유추, 은유의 기제가 작용하여 통시적으로 형성됨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공시적 분석 결과, 一起’가 다른 구성원보다 많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고, 경쟁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V在’와 ‘V到’ 뒤에서 ‘一X’가 출현하게 된 공시적 발전 기제를 구문문법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V在一X’와 ‘V到一X’ 구문은 하나의 게슈탈트성을 갖는 구문으로, 두 구문의 구문 의미 형성에는 ‘상속’과 ‘강요’의 기제가 작용하고 있었다. 즉 이들 구문은 ‘V在NL’과 ‘V到NL’의 구문에서 각각 부분 상속으로 연결되어 있었고, ‘一’의 어휘강요로 인해 ‘一X’가 ‘V在’와 ‘V到’뒤에서 전체성을 갖고 공간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은 다각적인 분석 방법을 통해 ‘V在(到)一起’ 구문의 어법특징과 그 형성 요인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V在一起’와 ‘V到一起’ 구문의 통사, 의미 특징 분석을 통해 두 구문의 어법 특징과 이점을 분석하였고, 구문의 의미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영상도식, 주사방식, 타동성 분석을 통해 두 구문의 인지적 특징과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본고는 통시적, 공시적 분석을 통해 ‘V在(到)一起’와 ‘一X’의 통시적 발전 기제로는 재분석, 유추, 은유가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공시적으로 구문문법의 구문 상속과 ‘一’의 어휘강요로 인해 ‘V在一X’와 ‘V到一X’ 구문이 형성됨을 밝혔다. 本文以現代漢語中“V在(到)一起”結構爲硏究對象,對其句法、語義特徵進行了分析,並對該結構的形成機制進行了論述。以突出客觀研究結果爲目標,本文采用了語料庫分析、語義特徵分析及認知語言學理論分析等方法,同時從曆時和共時的角度對該結構進行了考察。本文主要內容如下: 第一,針對“V在一起”和“V到一起”兩個結構的句法語義特徵進行了硏究,“V在一起”結構的考察結果爲: 首先,通過對“V在一起”結構的動詞語義特徵、“在”的句法特徵、“一起”的語義特徵及結構中“NP”的相關性進行考察,發現以動詞的意志性及內部語義爲基準,進行語義特徵分類時,意志動詞分布最廣,它們進入“V在一起”之后具有“動作完成後仍保持狀態持續”的特徵。其次,介詞“在”表現出附著於“V”的傾向性,而且結構中的“一起”與複數成分“NP”共同構成空間義,在語義上受到“NP”的語義影響。綜上所述,通過與“在一起V”結構的對比分析,發現“在一起V”爲語義上具有[-結果], [+動作], [+持續]等特徵的動態性結構,而“V在一起”則爲語義上具有[+結果], [+狀態], [+持續]等特徵的靜態性結構。 第二,對“V到一起”結構的句法語義特徵進行分析,發現“V到一起”結構具有“動作參與者通過某種動作到達同一个空間”的語義特徵,也基本具有[+結果], [+位移], [+到達]等語義特徵。而且根據動詞的位移特徵差異區分出了位移動詞與非位移動詞。若非位移動詞出現在“V到一起”結構中,則結構具有“動作參與者通過某種動作到達同一个空間”的語義特徵。另外,“V到一起”結構的“到”也表現出附著於“V”的傾向,同時“NP”在語義上對“一起”的空間義有影響,因为“V到一起”結構中常使用位移性較強的動詞,继而結構常與方向補語“來”、“去”一起出现。而两种結構中常出現具有“集合義”的動詞,並和“一起”在語義上構成呼應關係。 第三,在對前文的句法語義特徵考察基礎之上,進一步運用認知語言學原理對“V在(到)一起”兩種結構進行了硏究。首先,本文從認知語言學的角度出發,比較“V在一起”和“在一起V”的兩個結構,明確考察了“V在一起”的認知意義。分析得出“在一起V”結構的意象爲次第掃描,由路徑與容器圖式構成;而“V在一起”結構的意象爲總括掃描,由路徑與容器圖式組成。值得注意的是,當對比“V到一起”與“V在一起”時,前者結構的動态路徑圖式凸顯了位移方向與终點,而後者結構的静态路徑圖式則凸顯出位移後的靜態位置。同時,兩個結構意象雖然都爲總括掃描,“V在一起”結構中射體的位移路徑較爲模糊,側面凸顯出位移後的最終終止位置;“V到一起”結構中射體的位移路徑較爲清晰明確,側面凸顯出射體的位移方向及終點,可看作位移性及終結性較强的結構。除此之外,本文還從認知語法中的及物性角度對結構進行了分析。考察發現“V到一起”結構更接近於及物性結構,而“V在一起”的及物性相對弱於“V到一起”的結構。 第四,本文從曆時和共時的角度,對“V在(到)一起”和“V在(到)”與之所連接的“一X”的使用現狀及變遷曆程進行了探索,並對詞彙化和語法化原理和其發展機制進行了分析。首先,從曆時的變遷過程來看,構成“一X”的成分間雖曆史起源各不相同,但都曾在曆經語法化的過程中相互受到了影響。特別是“一起”,從動詞結構出發,發展为數詞和量詞的數量結構,又先後經曆了名詞的詞彙化及副詞的語法化過程。另外,在對語法化原理及機制的分析中,發現“V在(到)一X”結構在詞彙化和語法化原理上具有層級化、非範疇化、語義持續性等特點,各原理間也具有細微關聯。同時,本文也證明出該結構具有隱喻、類推及重新分析等相關機制。從共時的使用現狀來看,現代漢語中的“一起”使用頻度最高,且更優先於句式中的其他成分。除此之外,本文在考察共時的發展機制中,還運用構式語法理論的傳承模式和詞彙壓制而證明“V在(到)一X”構式的語義形成原因。

      • 현대중국어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인지 의미 연구

        진의락 延世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1

        본 연구는 현대중국어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의미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이들 신흥 정도부사와 결합성분으로 구성된 구조를 추출한 후, 인지 이론을 토대로 신흥 정도부사와 결합성분 간의 의미관계와 의미 구축 방식을 비교․분석하여 그 의미확장 과정의 특징과 규칙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작성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인지언어학의 원형 이론을 기반으로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의미특징에 대해 인지 분석을 진행한바, 그들의 원형의미를 살펴보면 모두 주관성을 가지지 않으며, 각각의 실체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巨’의 원형의미만 ‘고량(高量)’의 의미특징을 가지고, ‘爆’, ‘超’의 원형의미는 정도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정도부사 의미를 살펴보면 ‘巨’와 ‘超’는 실체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爆’는 실체의미를 가지지만 이는 명확하지 않다. 아울러 ‘巨, 爆, 超’는 모두 높은 정도의미를 가지는데, ‘巨’의 정도의미만 상대적으로 낮은 ‘고량’이고, 나머지는 ‘극량’의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巨, 爆, 超’는 모두 높은 주관성을 가지고 있어 화자의 주관적인 감정과 평가의 의미를 더욱 잘 드러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실제 말뭉치를 바탕으로 陳振宇․王夢穎․陳振寧(2020)이 고안한 현대중국어 부사의 주관성 강도 인식 체계를 활용하여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주관성에 대해 양적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주관성 지수와 의존지수는 超<巨<爆 순으로 높았으며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주관성이 일반 정도부사 ‘特別, 極, 太’보다 더 강하고 의존지수도 더 낮지만, 통사 기능은 일반 정도부사의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 다음으로 본고는 말뭉치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근거로 여러 의미유형 분류 방법을 토대로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결합성분에 대해 의미분석을 진행하였는데,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 결합성분의 개수, 출현빈도, 음절 특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아울러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일반 결합성분과 탈범주화 결합성분의 구체적인 의미특징을 보면, ‘巨, 爆, 超’의 결합성분이 보편적으로 가지는 의미특징은 ‘주관’이다. 일반 AP와 VP 및 탈범주화 성분 NP는 모두 연속적인, 약함에서 강함으로, 분리되고 위치가 정해지는, 잠재적인 정도량의 폭을 가지고 있다.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때, 이 정도량의 폭은 구체적인 하나의 점으로 정해지고 구체적인 정도량을 나타낸다. 본고는 이것을 정도성이 활성화되는 과정으로 간주했다. 여기서 말하는 정도성은 정도가 활성화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이다. 이 의미특징을 ‘정도성’으로 표기했다. 탈범주화된 AP, VP가 가진 것은 잠재적인 정도성이 아니라 진정한 정도의미이다. 이 때문에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때는 정도의 활성화가 아니라 정도의 중첩이다. 상술한 의미특징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인지 영상도식 이론과 개념적 은유 이론을 바탕으로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의 원형의미와 정도부사 의미 간의 인지 의미확장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巨’와 ‘超’의 영상도식을 통해 원성분의 의미특징과 정도부사 의미특징들이 전형적인 의미연쇄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밝혀냈다. ‘고량’의 의미특징은 ‘巨’의 의미연쇄 과정에서 원형의미와 정도부사 의미를 연결시켜주는 의미고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했으며, ‘超’는 단어 내부 성분이라는 중간 단계를 거쳐 발생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단어 내부 성분 용법과 정도부사 용법이 나타나는 순서를 밝혔다. 또한 인지 영역 전환 모델에서 ‘巨’는 ‘실체’의 근원영역에서 ‘정도’의 목표영역으로 확장된 것이며 ‘爆’와 ‘超’는 모두 ‘동작’의 근원영역에서 ‘정도’의 목표영역으로 확장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신흥 정도부사 ‘巨, 爆, 超+X’에 관한 개념 혼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원형의미의 부분적 탈락이다. 둘째, 개념적 혼성의 핵심 요소들은 모두 추상적이다. 셋째, 개념 혼성의 핵심 요소들은 ‘巨, 爆, 超’의 결합성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넷째, 사상의 비대칭성이다. 다섯째, 의미의 발현과 주관성의 생성이다. ‘巨․爆․超+X’ 역시 화자의 주관적 의지를 포함하여 화자의 관찰배열(viewing arrangement)을 나타낸다. 이런 의미는 입력공간1에서 바로 입력공간2로 사상되는 것이 아니라 혼성공간의 요소를 비대칭적으로 합성시키는 과정에서 추리된 것이며 혼성공간에만 있는 구조이다. ‘巨․爆․超+X’ 구조 중 ‘巨, 爆, 超’는 화자가 설명하고자 하는 잠재적이고 주관적인 의미를 발현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에 의미발현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