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연변지역 정풍운동 연구

        이홍화 연변대학 인문사회과학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摘 要 1957年發生的整風運動是中國共產黨在探索社會主義道路中的一次重大事件,整風運功的初衷是積極的,但是它的擴大化深深的影響了建國之後中共的政治走向,而且也嚴重的影響了一代黨員和知識份子的命運。 本論文通過研究延邊地區整個整風運動發展過程,分析作為少數民族地區在整個運動過程中社會各界的反應與態度,揭示出延邊地區進行反地方民族主義整風的根源以及給延邊地區政治、經濟、文化等各方面造成的影響。 本論文由緒論、本論和結論部分組成。 第一章緒論部分主要介紹本論文的研究目的、意義、相關領域研究的現狀以及研究方法。 第二章介紹主要的是延邊地區整風運動的背景。主要介紹建國以後到1957年整風運動開始,延邊地區發展狀況以及延邊州的黨組織與幹部隊伍狀況,通過分析少數民族幹部比例以及社會結構和政治、經濟、文化教育等各方面發展的狀態,揭示延邊地區進行整風運動的歷史背景以及可能影響整風運動發展的各種因素。 第三章作為本論部分主要闡述的是延邊地區整風運動的開展情況。延邊地區根據上級指示於5月份真正開始整風運動。在運動發展為反右派鬥爭以後,1958年4月,根據黨中央的指示,由於少數民族地區出現的地方民族主義的現象,將整風運動的主要內容由反官僚主義、宗派主義和主觀主義轉為反地方民族主義。當全國整風基本結束之後,1959年,延邊地區又進行了新一輪的反地方民族主義整風運動。文教系統作為延邊整風最重要的領域,此次運動一定程度上阻礙了朝鮮族文化的發展。 第四章總結延邊地區整風運動的歷史教訓。運動的擴大化致使不少幹部和知識份子被打成了右派或是民族主義分子,特別是誤傷了部分民族幹部,使他們長期蒙受冤屈。總之,整風運動在一定程度上阻礙了延邊地區社會主義民主政治的發展,使得延邊地區民族文化的健康發展受到挫折。 第五章為結論部分,主要是對延邊地區整風運動進行總結,反思作為一個少數民族自治州,怎樣在維護國家統一的同時,促進朝鮮族社會各項事業的迅速發展。 Abstract The rectification movement in 1957 is an importent event on explore the socialist roa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ough it’s original intention was positive, the supersize of the rectification movement was influence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fter nation-building deeply. This paper studies on Yanbian area through the rectification movement, the process of development as ethnic minority areas in the motion and the community's response, the analysis of Yanbian area in a place at the root of the nationalist movement, and the area of Yanbian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of the impact, and reflective as one of China's ethnic autonomous areas, how to correctly understand the state of the minority nationalities policy and a correct view of the motherland. This paper is consist of introduction, main tenet,and epilogue.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mainly introduces the study purpose, and related fields of research and work methods. The second chapter is about the background of Yanbian area in the rectification movement. It’s mainly introduces: after the founding of the rectification movement began in 1957, Yanbian regional development and Yanbian party organizations and cadres, by analyzing Yanbian the state of nationality, the ratio of cadres and social structures and political, economic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all aspects of the state of Yanbian area,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ctification movement, and may affect the rectification movement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factors. This part also deals with the reason of central committee and Chairman Mao to the party. Chapter three of the theory part of Yanbian area are mainly expounds the rectification movement. local-nationality chauvinism yanbian area, in accordance with the higher levels really began to the rectification movement and sp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struggle, from April 1958 and the central committee's instructions, the minority nationality areas in the place of nationalism, the rectification movement is the main contents of the bureaucracy, sectarianism and subjectivism to the place of nationalism. when the rectification movement was over in 1959, Yanbian area and a new round of the place of nationalism is the rectification movement. in the entire sports, cultural and educational system is yanbian the rectification movement the most important sector, greatly affect the Chaoxian nationality and cultural development. Chapter four is a summary of Yanbian area where the rectification movement of the nationalist movement extend. many of our cadres and intellectuals have been made in the right or ethnic nationalism, especially harming the part of the ethnic minority cadres, they suffer under the long term. in short, the place of nationalism is the rectification movement has the Chaoxian nationality social development process and impeded the Chaoxian nationality the healthy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and seriously harmed the Chaoxian nationality’s national feelings. Chapter five is for the conclusion of Yanbian, in particular the rectification movement against local-nationality chauvinism review and reflection and analysis to the other is the rectification movement of the ethnic minority areas. finally, as a minority nationality autonomous prefectures and how to safeguard national unity and promote Chaoxian nationality various social undertakings developed rapidly.

      • 연변 조선어의 친족어 연구

        南明玉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국 연변지역 조선족들이 사용하는 친족어를 조사, 분석하여 연변 지역 친족어의 체계와 사용 양상을 밝히고, 아울러 남북한 친족어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변은 중국 조선족의 가장 큰 집거지로 중국 조선족인구의 절반 정도가 이곳에 거주하고 있다. 그 중 대부분은 함경북도 출신 또는 함경북도 이주민의 2,3 대이다. 이 지역은 예로부터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인 중부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언어적인 고립이 이어져 왔고, 언어의 보수성이 강하여 옛 형태가 많이 남아 있다. 더욱이 19세기 후기부터 중국 연변지역으로 이주하여 온 조선족들은 대부분 동향인들이 집단을 이루어 거주하였기 때문에, 언어적으로 전통적인 지역 방언을 보존할 수 있었다. 연변 조선어의 이와 같은 특성은 친족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연변 조선어의 친족어는 국어 친족어가 기본적으로 사용되지만 지리, 역사적 원인으로 인해 북한 특히 함북지역의 친족어가 주로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남한의 그것과 다른 친족어도 아주 많다. 또한 중국이라는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새로운 친족어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원래 사용되던 친족어들이 모습을 감추기도 하였다. 한중 수교 이후부터는 언어생활에서 남한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변 친족어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연변 조선어의 친족어에 대한 소개와 함께 연변의 친족어를 연구하게 된 목적과 의의, 그리고 연구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남북한 및 연변 친족어에 대한 선행 연구도 함께 알아본다. 2장에서는 친족과 친족어의 개념을 살펴보고 기존 논의들에서 설명되었던 친족어의 여러 가지 하위 유형을 알아본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연변 친족어의 체계를 만들고 각 체계에 해당하는 친족어를 정리한다. 3장에서는 연변 친족어의 사용 양상을 ‘연변 및 남북한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친족어’, ‘연변과 북한에서만 사용하는 친족어’, ‘연변에서 사용하지 않는 친족어’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개별 친족어의 어원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제2, 3장을 바탕으로 연변 친족어의 특성을 어휘적 특성, 조어적 특성, 사용상의 특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5장에서는 본고의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확인한다. 또한 본 연구의 부족한 부분과 국어 친족어의 연구 방향을 제언해 본다.

      •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육과정 변천 및 교사 인식 분석

        이정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tended to explore changes and feature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ince the founding of China. Additionally,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A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source material for exploring development and normalization strategies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literatures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a survey on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conducted,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WIN SPSS program. Background variable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re school, position class, scholarship, and age. Th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such variables were calculated. χ2 test was appli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Then, perceptions about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content, sugges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learning evaluation)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Changes and Feature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China were divided five period. The first period was 'Reconstruction Period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firs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China was promulgated in 1956. At that time, Russia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regarded as a model. From then on, reconstruction and reform were administered for many years. In 1961, the seco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promulgated. The system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insists "Improving physical constitution as a focus" was established. The feature of this period 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hysical exercise and labor. Additionally, the government is grasping political power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t this period,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was also administered by this curriculum, except for Wushu section. The second period was 'Stagnation Period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his perio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s transmuted into a political tool of "The Culture Revolution". In this period,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was not administered well, due to "The Culture Revolution". The third period was 'Restoration Period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1978, the thir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promulgated. In this period, "Improving students' physical constitution" was especially emphasized, and was integrated with "National Physical Exercise Standard". Additionally, textbook was reformed actively. In this period,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modified to fit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 in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The fourth period was 'Reform Period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four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promulgated in 1987; the fifth was in 1988. In 1992, the six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compulsory education diffusion phase was promulgated. In this curriculum, students' interests cultivation, personality development, and health education were brought in, in order to do the spadework for life-long physical excercise. In August 1987,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the Korean nationality was firstly promulgated. In this curriculum,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onality were considered, and compil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 was intended. The fifth period was 'Development Period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0, the seven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promulgated. In 2001, the eighth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promulgated. Chinese education advocated broad learning. China actively communicated with foreign countries. In school education, "Heath First" was established as the guiding ideology, and quality oriented education was implemented. Furthermore, various aspects of health were pursued, such as physical health,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adaption. Some of the contents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were not included in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were contained as a reference. Second,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Findings about the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bjective in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reveal that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objectives, on the whole. Teachers believe that enhancing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exercise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greement degree about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adaption were low. The findings reveal that teachers understand the fact that specific teaching contents are not included in the curriculum. In PE lessons, requirements from the curriculum can be achieved. The biggest barrier was the absence of equipments and devices. When teachers select teaching contents, students were considered firstly.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most difficult thing to teach is physical strength and skill. The solution is organizing classes with peer teachers and students, instead of teacher-centered method. When teachers reconstruct teaching plans and contents, various assignments which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 should be designed.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purpose of teachers' teaching is to improve their teaching. Teachers are conducting research on teaching, when they teach. However, they have difficulties in research. Because there is no evaluation standard. Thus, it is needed to acquire knowledge about evaluation by having teacher training. Teachers use reference books, or get help from peer teachers to make evaluation assignments. Teachers consider evaluation as the most important thing. Problems in Objective and Solutions for Improvement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problem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bjective in Korea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which were point out by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re a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Moreover, there are too much sub-objectives. Evaluations of psychological health, exercise participation, social adaption are difficult. According to these objectives, it is difficult to define lesson objective. Therefore, solu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Review about the curriculum objectives is need, in order to make teachers understand and practise easily. Also, examples of teaching plan and theory learning are needed. Problems in Contents and Solutions for Improvement were as follows, The teaching contents in the curriculum are difficult to understand whether it presented the guiding ideology of "Health First". Due to lack of equipments, it is difficult to define teaching contents. Solu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each district in China, theory learning is needed, in order to make teachers have the right to select teaching contents. Moreover, share of reference books, as well as Internet materials are needed.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olutions for Improvement were as follows, Due to lack of equipments and teaching tools, there is limitation in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Teachers' motivations about teaching student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the curriculum are not enough. The solutions for improvement are as follows. Theory learning about teaching methods is needed, and examples of practical lesson are needed. Problems in Evaluation and Solutions for Improvement were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too much works are needed.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degree of exercise participation, psychological health, and social adaption. The solutions are as follows. Because evaluation is in close relationship with students' development, an evaluation system that can understand students' levels is needed. About the five areas, front line teachers should experiment the evaluation with the guidance of experts. It is need to make students know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nd standards for peer evaluation among students and self-evaluation are needed. 이 연구는 중국 건국 이래 체육교육과정의 변천 과정과 특징을 고찰하고, 연변조선족자치주 중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의 조사를 통해 체육교육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교육과정 발전과 정상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체육교육과정에 관한 문헌 연구를 하였으며,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을 이용하여 체육교사의 배경변인 학교별, 직급별, 학력별, 연령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변인요소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을 통하여 체육교육과정(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변조선족자치주를 포함한 중국 체육교육과정 변천의 특징은 다섯 개의 시기 구분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체육교육과정의 개조기’는 1956년 1차 체육교육과정이 중국에서 처음 반포된 시기로 당시 중국 사회주의 건설을 위하여 체육수업을 소련의 체육교육과정을 모델로 결합하여 전개하였다. 이로부터 다년간의 개조와 개혁을 거쳐 1961년 제2차 체육교육과정이 반포되었다. 체육수업에서는 ‘체질 증강’을 중심으로 하는 체육교육과정의 체계가 수립되었으나 체육과 노동의 개념이 구분 없는 것은 이 시기 체육교육과정 특징이다. 이때의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교육과정 특징은 국가에서 고시한 체육교육과정에서 무술부분만을 삭제하고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따라 운영하였다. ‘체육교육과정 정체기’의 체육교육과정 특징은 ‘문화대혁명’의 정치적 도구로써의 교과로 성격이 변질되었다. 이 시기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교육과정도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아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하였다. ‘체육교육과정의 부활기’는 1978년 제3차 체육교육과정이 반포로 체육교육의 재도약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체육교육과정에서는 ‘학생 체질 증강’을 특별히 강조하였고 체육수업에서는 ‘국가체육단련표준’과 결합하는 특징을 나타냈으며 체육교육과정에서 교재 개혁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시기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체육교육과정 특징은 민족특색에 알맞은 체육교육과정을 편집하여 체육수업을 진행하였다. ‘체육교육과정의 개혁기’에는 1987년 제4차 ,1988년 제5차, 1992년 제6차 의무교육 보급단계 체육교육과정을 반포하였다. 체육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흥미 양성, 개성발달 및 보건교육이 도입되어 학생의 평생체육기초를 닦아주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 시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는 1987년 8월에 처음으로 조선족 체육교육과정을 고시하였고, 과학적으로 조선족 특징을 고려하였으며 체육교재건설의 편찬도 시도하였다. ‘체육교육과정의 발전기’에는 2000년 제7차, 2001년 제8차 체육교육과정이 반포되었다. 중국교육은 학습의 폭을 넓히고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하게 시도되었다. 학교교육에서는 ‘건강제일’ 지도사상을 수립하고 소질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며 학생의 신체, 심리, 사회적응면 등에서 전체 건강을 추구하는 체육교육과정 특징을 보였다. 이 시기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육과정의 특징은 국가 체육교육과정에 없는 교수내용을 참고로 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중국 체육교육과정 변천 특징은 각 시기 역사, 전통, 문화, 교육, 경제에 의하여 결정되어 하나의 교육과정이 탄생하기 때문에 그 교육의 정책의 시대배경이 다를수록 체육교육과정도 다양하게 제정되고 있다. 중국의 체육교육과정은 서로 다른 통치계급에 따라 서로 다른 체육교육과정이 생성되었다. 그러나 체육교육과정 변천은 세계성과 민족성이 병행하는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체육교육과정은 국외의 선진 경험과 중국 본토의 전통을 계승하는 과정에서 부단히 발전하고 전진하였다. 중국 체육교육과정 변천은 사회수요 ,학생심신특징 등 외적 요소에 의하여 변천하고 발전하여 왔다. 체육교육과정의 내재적 모순은 체육교육과정 변천 발전에서 내적 동력이 되어 체육교육과정이 발전하는데 내적 역할을 하였다. 이런 내적, 외적 동력의 영향을 받아 체육교육과정은 지금으로까지 발전해 왔다. 중국 건국초기는 단지 사회주의 소련의 모텔로 중국 사회주의 성격의 체육교육과정을 건립하여 중국 체육교육과정의 단일화를 나타냈다. 자본주의 국가와의 거래는 봉쇄되었고 특히 ‘문화대혁명’에서 쇄국정책으로 인하여 중국 체육교육과정의 발전은 후퇴하게 되었다. 이는 중국 체육교육과정 변천에서 하나의 중요한 경험이다. 또한 체육교육과정의 통일성과 융통성은 중국 체육교육과정의 변천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중국 체육교육과정 변천을 고찰 할 때 체육교육과정의 특징은 통일성은 들어있지만 융통성은 부족함을 나타냈다. 중국의 체육교육과정은 국가 통일요구의 기초로부터 융통성을 나타냈다. 지금까지 체육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운영 등 면에서 적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중국 특색을 현명하게 나타내는 체육교육과정은 아직 생성되지 않았다. 둘째. 연변조선족자치주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에서 먼저, 연변조선족자치주 중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볼 때 총체적으로 목표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고,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운동참여와 운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체육을 통하여 가장 중요하다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건강과 사회적응의 인정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체육교육과정에서 구체적인 교수내용을 정하지 않은 점을 이해하고 있는 편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을 통하여 내용의 요구에 도달하는 편으로 나타났고 수업할 때 가장 큰 장애 요인은 시설 및 기구 부족으로 나타났다. 수업내용을 선정할 때는 우선 학생을 고려하여 교수설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지도하기 가장 어려운 영역은 체력 및 기능이라 나타났고 지도하기 어려운 영역의 대책은 교사위주의 교수방식으로부터 동료교사, 학생과 함께 참여하여 수업을 조직하는 교수형식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계획 및 내용을 재구성 할 때는 학생들의 흥미를 끌만한 다양한 과제제시가 수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육과정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볼 때 체육교사들의 수업의 목적은 향후 개선을 위한 것이고 교수를 통하여 교수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 기준이 정해지지 않아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수연수를 통하여 평가에 대한 지식을 얻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나타났다. 이에 따라 참고 자료를 활용하거나 동료 교사의 도움을 받아 평가 과제를 작성하고 학생의 학습과정 평가를 우선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기술된 목표를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위 수준목표가 너무 많다. 심리건강, 운동참여, 사회적응 목표에 대해 평가하기 어려움과 이 목표에 대한 수업목표를 정하기 어렵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교사들이 쉽게 습득하고 실제로 실험 할 수 있도록 과정목표의 재고가 필요하며 교수안의 예시와 이론 학습이 필요한 것이다. 내용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연변조선족자치주 중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제정한 교수내용이 '건강제일' 지도 사상을 체현했는지 파악하기 어렵고 기자재 부족으로 교수내용을 정하기 어렵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중국의 지역 간 차이를 고려하여, 교수내용 선정 주도권이 교사에게 이양될 수 있도록 내용에 대한 이론 학습이 필요하고 참고자료와 인터넷 자료의 공유가 필요한 것이다.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연변조선족자치주 중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기자재, 교구 등의 부족으로 교사의 교수방법을 다양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교육과정 이념에 의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 교사의 적극성이 부족하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교수방법에 대한 이론 학습이 필요하고 모범 실기 수업에 대한 사례 제시가 필요한 것이다. 평가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연변조선족자치주 중학교 체육교사의 체육교육과정의 평가에 대한 문제점에 대하여 평가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작업량이 너무 많고 운동참여, 심리건강, 사회적응 등의 평가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평가는 학생의 성장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전면적으로 학생의 수준을 알 수 있는 평가 체계를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개 영역에 대하여 전문가의 지도하에 일선 교사가 평가를 실험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평가의 중요성을 습득시켜야 하며 학생 상호 평가, 자기 평가의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과정의식을 반영하고 교사의 과정에 대한 가치관이다. 또한 하나의 의식형태이다. 이는 기술 수업처럼 즉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과정의식 수준의 제고는 장기적이고 어려운 문제인 것이다. 그러므로 교사의 과정의식을 제고하는데 있어서 유의할 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의 학력수준을 제고하고 전면적으로 전문 소양의 제고가 필요하다.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이론교육과 학습을 강조하고 교사의 사고력, 비판력, 창의성, 등 현실적인 교수의식에서 과정의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교사의 재직연수와 장기적인 연수계획을 세우고 교사의 개인 발전을 추진하고 교사의 과정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제고하여 과정개혁은 즉 교사 학습과 발전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깨달게 하는 것이다. 학교 측에서는 계획적으로 교사 연수를 제창하고 능동적으로 교사 발전을 위하여 견학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체육교육과정 개혁에서 교사는 제일 순위로 새로운 교과서를 면하게 된다. 수업 조직의 변화, 교사역할, 교사행위의 변화는 교사지식과 이해의 변화이며 또한 교사 가치관 및 이념의 개혁이다. 교사의 이념이 변화되지 않으면 새로운 교수사상이 수립되지 않으며 교사의 이념의 전환은 단기연수, 장기연수 및 사범교육과 밀접히 연계하여야하는 것이다.

      • 연변지방 퉁소「신아우」의 음악적 고찰

        김충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au has been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ed in throughout Korea since long ago, which has the same meaning with Sinawi, Sinawi, Sinao, and so on. I have tried to research Sinau of Yeon-byeon province which hasn't been known to Korea. The preface of this thesis contains the meanings, the range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 of Sinau, including its areas of distribution and various styles of handing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body of the thesis is to explain the musical characters of Mun Teabong·Kim Honam's Sinau and Han Woncheol's Sinau that have been transmitted widely in Yeon-byun province. Especially I have focused on some musical features included in these musics - rhythms and ending types, a few changes of the melodies according to ending types, some structures and tones of the melodies on its each passages, and rhythm types in its individual paragraphs. In addition, I hav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 above mentioned factors, Sinau of Yeon-byeon province with that of Hamgyeong-do province and Jeonra-do province.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the following: Mun Taebong·Kim Honam's Sinau - which has been handed down widely in Yeon-byeon province - has been played with a six-holed bamboo flute and actually in accordance with 4/4 tempo and 2/4 tempo, which is not a divided-rhythm pattern but a half-rhythm. Then 2/4 tempo would be mainly used both in an ending part of the music and for noticing the beginning of the next part to each other between a player and an accompanist. In addition, Sinau has been played with a rhythm such as Hwimori in the first half but with a compound rhythm of 2/4 and 4/4 tempo in the whole. When we divide Mun Taebong·Kim Honam's Sinau into smaller paragraphs , we can recognize that the flow of this music goes along with the sequence of G, F, D, C, B♭tones and ends gradually with D tone. This is a very rare example in the 5-sound scale which uses Do as a primitive one So there are 4 paragraphs in this music in respect of its ending phrase. And this 4-paragraph structure is found twice in the whole music. Besides, 1 or 3 kinds of melodies show up in every paragraph except the ending melodies, and then these melodies make up of each paragraph as a form of simple or complex mixtures of 2/4 tempo and 4/4 tempo. Each paragraph keeps Korean traditional 5-sound scale, while having the following various derived patterns: Using Sol as a basic tone, ending at Do, Using Ra as a basic tone, ending at Ra, Using Do as a basic tone, ending at Mi, Using Re as a basic tone, ending at Sol, Using Mi as a basic tone, ending at Mi, Using Mi as a basic tone, ending at Ra, etc. In the playing process, we are able to find a unique upward-shift from A up to B♭ as much as minor 2 degree. And this makes a unique melody proceeding from Si to Do, using mainly Sol. It is the most important feather in this Sinau. In every paragraph, we can see some various kinds of rhythms - repeated, transformed, divided, compressed types - which make up each paragraph of 2/4 or 4/4 tempo. So throughout this Sinau, the repetition and variation of rhythms are a key to interpret it. In the other hand, Han Woncheol's Sinau is using both 2/4 and 4/4 tempo. And unlike Mun Taebong·Kim Honam's Sinau, we can find 2/4 tempo in the first half of the music and distinguish 2/4 tempo from 4/4 through the strength or weakness of its beat. The way to decide how to play rhythms is the same as Mun-Kim's Sinau., how the player would promise with a accompanist in advance. Han Woncheol's Sinau is a little different from Mun-Kim's in the division of its ending melodies. There are three types in its ending melodies ; the sequence of G, F, D, C, B♭, D, that of G, F, B♭, D, and that of G, F, D. All of them include D sounds as the ending sounds and could be described as the unique forms omitted from the middle sounds between G and D sound. The whole music is divided into 9 paragraphs by this D ending-type and the 1st~4th paragraphs are almost similar with Mun-Kim's Sinau because most of the musical scales in Mun-Kim's Sinau appear in it as well, while the next 5~9th paragraphs seem to be Han Woncheol's own impromptus, which are repeatedly composed of long continuant sounds and 2/4 tempo. The above character of this song makes players' impromptus possible not only in Jaejoo playing(a type of playing where a few player perform the same kind of instruments together) but also in individual's recitals. As a result, this music is free to play according to individuals' interpretation about it. So now we can find a great deal of kinds of this music Because I think Mun-Kim's Sinau is a typical bamboo flute playing in Yeon-byeon province, I tried to compare it with five Sinau musics of Hamgyeong-do, so I found the same or very similar rhythms and melodies. In a lot of parts, especially in a few musical scale mainly using Sol, I saw a unique and similar rhythmical feather with these Sinaus in proceeding from Si toward Do. In conclusion, Yeon-byeon's Sinau seem to be a kind of Hamgyeong-do's. Sinau in Jeonra-do province is played with Jinyang, Gutgeori, and Jajinmori rhythm, etc. and with the musical pattern of this region which all of traditional music in this area have in common. I can't find anything similar between Jeonra-do province's Sinau and Yeon-byeon's in respect of music pattern. Now for further study, I think we should approach the relationship of origins of those word among each province's Sinaus. 「신아우」는 「시나위」, 「신아위」, 「신아오」등과 같은 말이며 전국적으로 연주되던 곡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연변지방「신아우」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론에서 「신아우」의 뜻과 연구범위, 연구방법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에는 「신아우」의 분포지역과 전승양상을 알아보았다. 본론에는 연변지방에 전하는 「문태봉·김호남 신아우」와 「한원철 신아우」의 음악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장단과 종지형태, 종지 형태에 따른 선율의 단락, 선율단락별 선율구조와 음조직, 선율단락별 리듬형태를 알아보았다. 이를 종합하여 연변지방「신아우」를 정의해 보았으며 끝으로 함경도지방「신아우」와 전라도지방「신아우」와 비교를 통하여 연변지방「신아우」의 위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변지방에서 전해지는 「문태봉·김호남 신아우」는 퉁소로 연주되어졌으며 4/4박과 분박개념이 아닌 반장단형태의 2/4박을 기본으로 연주되어졌다. 2/4박자는 주로 선율이 끝맺음을 할 때 쓰이고 있으며 다음선율이 시작되는 것을 반주자와 연주자가 서로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곡의 전반부가 ‘휘모리’와 흡사한 장단으로 연주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2/4와 4/4가 섞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태봉·김호남 신아우」의 단락을 나누어보면 그 구조를 알 수 있는데 G, F, D, C, B♭음의 순서로 하행 하다가 D음으로 상행하여 종지하는 종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는 ‘도’음을 중심음으로 사용하는 5음 음계(도레미솔라)에서 ‘미’음이 종지음으로 사용된 흔하지 않은 예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종지형태로 단락을 나누어 보면 「문태봉·김호남 신아우」가 4개의 단락으로 구성된 곡을 두 번 반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단락 마다 종지선율을 제외한 1~3종류의 선율이 쓰였는데 이러한 선율들은 2/4박 또는 4/4박으로 이루어진 선율의 단순한 반복과 변형된 반복의 형태로 각 단락을 구성하고 있다. 각 단락은 전통적인 5음구성의 음계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솔’ 음을 기본음으로 하며 ‘도’ 음으로 종지하는 형태, ‘라’ 음을 기본음으로 하며 ‘라’ 음으로 종지하는 형태, ‘도’ 음을 기본음으로 하며 ‘미’ 음으로 종지하는 형태, ‘레’ 음을 기본음으로 하며 ‘솔’ 음으로 종지하는 형태, ‘미’ 음을 기본음으로 하며 ‘미’ 음으로 종지하는 형태, ‘미’ 음을 기본음으로 하며 ‘라’ 음으로 종지하는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이한 점은 제4단락의 제67〜71마디에 A음에서 B♭음으로 단2도 상행 진행하는 선율을 볼 수 있는데 ‘솔’음을 중심으로 사용하며 ‘시’음에서 ‘도’음으로 진행하는 독특한 선율을 만들어낸다. 이는 「문태봉·김호남 신아우」를 특징적으로 만들어 주고 있다. 각 단락에는 다양한 종류의 리듬이 쓰였는데 이 리듬들은 2/4박 또는 4/4박의 단위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리듬을 반복·변형·분할·압축하여 각 단락을 구성하고 있다. 특히 ‘기본 리듬’과 ‘변형된 형태로 반복된 리듬’을 하나의 리듬으로 만들고 이 리듬을 다시 반복하는 형태의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한원철 신아우」는 2/4박과 4/4박이 고루 쓰였으며 「문태봉·김호남 신아우」와 는 달리 북이 곡의 전반부부터 2/4박자를 최소단위로 연주를 하고 있으며 강약으로 2/4박자와 4/4박자를 구별할 수 있게 연주 되었다. 장단은 「문태봉·김호남 신아우」와 같이 반주자와 연주자 서로에게 약속을 하는 식으로 되어있다. 「한원철 신아우」역시 종지선율로 단락을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문태봉·김호남 신아우」와는 약간 다른 형태의 종지선율을 보여준다. 첫 번째로 G, F, D, C, B♭, D의 순서, 두 번째로 G, F, B♭, D의 순서, 세 번째로 G, F, D의 순서로 종지하는 형태로 종지선율을 만들어 낸다. 이는 G음에서 D음으로 가는 중간의 음들을 생략한 형태로 종지음은 모두 D음이다. 이 종지음으로 단락을 나누어 보면 9개의 단락으로 나누어지는데 앞의 제1∼4단락은 「문태봉·김호남 신아우」와 대동소이 하다고 할 수 있다. 「문태봉·김호남 신아우」에서 쓰인 음계들이 고루 쓰였으며 뒤의 제5∼9단락은 한원철의 즉흥연주인 것으로 보여 진다. 그의 제5〜9단락의 선율은 긴 지속음과 2/4박으로 이루어진 선율의 음이 변형된 반복의 형태가 대부분을 이룬다. 이는 여러 명의 연주자들이 제주형태로 연주할 때는 정해진 약속에 따라 곡을 연주하고 한명이 독주를 할 때는 즉흥적인 연주를 하기도 하는 자율성이 있는 음악형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성의 영향으로 퉁소로 연주되는 「신아우」가 여러 종류로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문태봉·김호남 신아우」를 연변지방 퉁소「신아우」의 전형적인 형태라 보고 다섯 곡의 함경도지방「신아우」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는데 장단과 선율형태가 똑같거나 유사한 곳이 있었다. 여러 관련된 곳 중에서 특히 ‘솔’음을 중심으로 사용하는 음계에서 ‘시’음에서 ‘도’음으로 진행하는 독특한 선율을 만들어 내는 특징이 그대로 나타나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특징을 포함한 유사, 동일성은 함경도지방「신아우」사이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연변지방「신아우」가 함경도지방 「신아우」중 하나라는 것이라고 보기에 충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전라도지방「신아우」는 진양, 굿거리, 자진모리 등의 장단과 전라도지방의 음악어법으로 연주되었다. 이것은 퉁소를 포함한 전라도지방의 모든 「신아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전라도지방「신아우」는 연변지방「신아우」와는 음악어법상의 관계는 전혀 없었으며 「신아우」의 어원적인 관계성을 연구해 보는 것이 더욱 깊게 접근해볼 수 있는 방법일 것으로 생각 한다.

      • <<延邊民報>>를 통해 본 해방 직후 中國 延邊人民民主大同盟 연구

        문미라 서울市立大學校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제국 일본의 패망으로 연변은 만주국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후 연변에서는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의 주도 아래, 각종 사회개혁을 통한 급속한 사회주의화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연변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한 延邊人民民主大同盟(이하 민주대동맹)이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연변 사회주의화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고는 민주대동맹의 성립과 활동, 그리고 그 성격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토지개혁을 중심으로 한 연변지역의 사회주의화를 이해하는 데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 이전부터 연변에 거주하였던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은 해방을 기회로 공개적인 활동을 시작하면서 군중단체의 조직과 확대에 노력하였다. 이들은 군중운동을 기반으로 延邊勞農靑總同盟(이하 총동맹)을 결성함으로써 자발적으로 정치세력화 하였다. 그러나 중공의 항일연군 계열 인물들이 연변에 들어오면서, 연변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활동은 중공의 세력범위 내로 귀속되게 되었다. 그리고 총동맹도 중공의 지도를 받는 민주대동맹으로 재편되었다. 이후 민주대동맹은 하부조직 확대에 노력하여 연변 각지의 말단 행정단위까지 세력을 확장하면서 자신들의 활동영역을 구축하였다. 민주대동맹의 활동은 1946년 중반부터 중공에 의해 본격화된 연변지역 사회주의화의 기초가 되었다. 그들은 먼저 군중집회와 선전활동으로 연변 대중들에게 사회주의적 가치와 이데올로기를 전파하였다. 이러한 활동이 연변 사회주의화의 정신적 기반을 닦는 것이었다면, 민주대동맹의 인재양성과 토지개혁 사전整地작업은 연변 사회주의화에 직접적인 밑거름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민주대동맹의 간부들은 중공의 지방정권 수립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조선인 집거구라는 연변의 특성상, 이곳에 중공의 행정기구가 건립되는 과정에서 민주대동맹에 집결한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다. 이렇듯 민주대동맹의 활동은 사회주의적 건설을 지향하였지만, 민주대동맹 자체는 계급노선이 아니라 보다 많은 대중을 포괄할 수 있는 통일전선조직을 표방하였다. 민주대동맹이 통일전선적 성격을 띠었던 것은 통일전선적인 항일활동과 대중조직의 중요성을 경험한 항일연군 출신들의 혁명단계 인식이 작용한 결과였다. 이 밖에 민주대동맹의 성격으로 거론할 수 있는 또 한 가지는 대중동원조직으로서의 속성이다. 일반 민중을 동원하여 그들을 정권 유지의 근간으로 삼고자 한 민주대동맹의 대중동원조직으로서의 면모는 滿洲國協和會와 본질적으로 유사한 것이었다.

      • 朝鮮族歲時風俗硏究 : 以延邊朝鮮族?對象

        유병수 延邊大學 2003 해외박사

        RANK : 247807

        현재 중국에는 200만이 넘는 조선족이 살고 있으며 연변조선족자치주에만 84만의 조선족이 살고 있다. 연변자치주는 민족구역자치법에 따라 조선족의 자치정부가 수립되어 있고 조선족의 자치가 보장되는 곳으로 조선족의 언어와 문화의 요충지라고 할 수 있다. 조선족은 이주초기부터 이미 자신들의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중국으로 들어와 집거지를 형성하며 생활했고 민족교육을 실시해 왔다. 때문에 조선족은 제 민족의 언어와 생활습관을 유지하며 문화정체성을 지속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한세기가 넘는 시간 속에서 조선족은 주체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었고 조선족의 문화정체성에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특히 산재지구에 있는 조선족은 주체민족인 한족의 문화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조선족의 문화정체성에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다른 지역에 비해 조선족의 문화정체성을 유지하며 주체문화의 영향을 적게 받고 있지만 인구의 감소, 교육환경의 변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조선족문화정체성의 변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연변조선족이 문화정체성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변조선족문화의 특성을 분석하고 민족문화를 보존 발전시켜나갈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필자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연변조선족의 세시풍속이 어떠한 양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또 어떻게 변화발전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했다. 그동안 조선족의 문화정체성에 관한 연구는 막연하게 이중성을 가진다고만 논의가 전개되었을 뿐 구체적인 문화현상을 가지고 이를 증명한 연구는 진행되지 못했다. 따라서 필자는 세시풍속을 통해 과연 조선족의 문화정체성을 이중성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필자는 조선족의 세시풍속을 이중적이라고 할 수 없으며, 조선민족의 전통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있는 다원화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At present there are more than two million Chinese-Korean in China, in which eight hundred and fifty thousand are living in Yanbian Chao-xian race Autonomous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autonomous law of national region, Yanbian Chao-xian race Autonomous Region established organ of self-government and ensured the self-government right of Chao-xian race, in pace with which it became the cultural centre of Chao-xian race. In the early days of immigration, Koran nationality came to China with the intrinsic language and culture, then in the following days they kept the national education so that Chao-xian race can continue to have the national language and custom, maintain the feature of their national culture up to now. But during the following one century, Chao-xian race inevitably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incipal culture and the cultural pattern experienced some changes. Especially, Chao-xian race scattering in the inhabitant region of Han nationality varied a lot in the custom and culture during the course of cultural collide. Compared with other origion Yanbian Chao-xian race Autonomous Region received less influence from the principal culture, so the original pattern can be maintained much. But some other elements, such as the reduction of population and the changes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inevitably cause the acceleration of changes. In order to maintain the original culture, we must analyse the cultural features of Chao-xian race in Yanbian first, and take necessary measures to maintain and develop the national culture. On the basis of the consciousness, the writer took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to the custom and its development situation. The former researchers just expressed their opinions on the dual character of the culture of Chao-xian race, but not utilize the concrete phenomena to testify and expound. On the basi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custom of Chao-xian race the writer analysed its cultural character and probed into the dual character of the national culture. The conclusion is that the culture of Chao-xian race is not dual character. In fact it accepted and merged several kinds of cultual ingredients, and became many-faceted.

      • 중국어 영향에 의한 연변지역 한국어의 변화

        최란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연변지역 한국어에 대한 중국어의 침투현상을 연구대상으로 조사, 분석하며 연변지역 조선족의 이중 언어 사용실태를 조사하고, 아울러 중국어 침투에 의한 연변지역 한국어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언어는 사회제도의 변화, 사회의 발전, 세월의 흐름에 따라 부단히 변화 발전하기 때문에 어떠한 언어라도 독자적인 고유의 언어라고 말할 수 없다. 중국 연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조선족은 한족(漢族)이 다수를 차지하는 중국의 한 소수민족으로서 공용어가 중국어인 조건하에 이중 언어와 이중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중국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이중 언어 화자들이다. 중국 연변지역 한국어는 역사적으로 볼 때 기타 한국 방언과의 내왕이 적었고 장기간 언어적인 고립이 이어져 왔으므로 자체의 고유성을 지키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의 큰 울타리 속에 포위되어 있는 연변지역 한국어는 어휘, 문법, 의미 방면에서 중국어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중국어 영향에서의 연변지역 한국어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연변지역 조선족의 이중 언어 현상과 조선족의 이중 언어 사용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중국어 침투에 의한 연변지역 한국어의 변화를 다루되 어휘, 문법, 의미 등 세 가지로 나누어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연변지역 한국어에 주는 영향을 긍정적과 부정적 두 가지 측면으로 살펴보고 더 나아가서 소극적인 중국어 차용을 극복할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延邊 産業構造發展에 關한 硏究

        안성률 昌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economic system in Yanbian was small-scale as self-sufficient form under the conventional planned economy structure. The economy has been rapidly developed since open-door policy, and especially at the end of 1990 the 3^(rd) industry has rapidly expanded in the area of Yanbian. It seemed that the local economy was in a prosperous condition at one time, but there were many problems as a matter of fact. In the case of the 1^(st) industry, of which business was mainly cultivation, the income of farmer didn't show growth but the burden grew heavier. In the case of 2^(nd) industry, the mining, which mostly depend on the natural resources, hold a great part.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light industries us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low-class material industries on the base of forest products were developed. However the processing industries, which required relatively high technology and lots of capital, remained in a very low level. So, the labor-intensive light industry with low technical level and production efficiency formed the main industrial structure. As the result, the industrial structure couldn't escape the backwardness compared with the average of nations. I tried to prove the disutility by use of lost of statistical data for that point. The 3^(rd) industry has most actively developed as open-door policy was carried out. The distribution and restaurant business became the most important industry. However, the scale was too small and the level was too low, so it couldn't meet the demands of grown economy. A new type of service industry shall be developed. I pointed out the problem of industrial structure in Yanbian - the 3^(rd) industry has excessively expanded even before the 2^(nd) industry took place. I also mentioned the influence by the change of surrounding economic modes and the adjustment of mid- and long-term industrial structure. When selecting the industry in Yanbian, the people shall give up the conventional types which focused on enterprises producing commodities for domestic markets. They shall make target to the markets out of Yanbian and in addition to the international ones, and make efforts to develop the leading industries on priority basis. As the scale of domestic market is very small in Yanbian, if selecting industry only on the base of domestic needs, the scale of industry will be minimized as a necessary consequence. Therefore the industries can't run on extensive scale nor the competitiveness be strengthened. Concentrate the investment for the specific industries with competitiveness in domestic and abroad markets and cultivate them to key industries. On the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industrial structure in Yanbian, development plan of the interested nations surrounding the Duman River, mutual control and mutual co-operation synthetically, the kernel in adjusting industrial structure on Yanbian is to cultivate the self-support power by accomplishing the optimum industrialization. Moreover in the view of long-term, the cultivation of the 3^(rd) industries related to material handling will be desirable as Yanbian has advantageous geographical terms for developing the area of Dooman River.

      • 중국 문화대혁명기의 연변 조선족 교원 연구

        계, 근호 부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本研究认为教員是社会中具有代表性的知识分子、是需要高度技术的专家、是值得尊敬的师长,并欲以此为基础通过对文化大革命时期延边朝鲜族自治州朝鲜族教員的教学活动、政治经济生活方式及他们的教学经历来探讨公共敎育體制下“教員是一种什么样的存在”这一问题。 首先,与其他国家相比,在中国的国家体制特征上教育和政治具有更加密切且不可分的关系。特别是在文化大革命(以下简称“文革”)期间教員成了中国共产党执政下在第一线执行国家教育政策的“国家层面的存在”,并且扮演了为无产阶级专政而牺牲的“政治工具”这一角色。 在文革时期教員被看做是具有资产阶级世界观的敌对势力,是要接受思想改造、接受再教育的对象。起初,对教員实行争取·改造政策;到了文革时期因“阶级斗争”的加剧令许多教員变成了“斗争、批判、改革”的对象。 纵观文革时期延边朝鲜族教員的政治、经济活动,在农村社会主义教养(接受贫下中农再教育)时期开始对教員进行思想鉴定,而教員本人则进行自我检查及自我批判。在大字报和红卫兵造反时期教員被扣上了资产阶级知识分子的帽子,受到了被红卫兵拉出去批斗、被学生训斥的侮辱,这一切使得教員的地位一落千丈。在以夺权为目的的武斗期学校仿佛成了战场,教員们在极度恐怖中过着如履薄冰的日子。清理阶级队伍运动时期是朝鲜族教員受到残酷镇压的黑暗期。工人、农民、军人进驻学校剥夺了教員的教学权,并织罗了诸如“外国特务”、“现行反革命”、“走资派”、“修正主义分子”、“民族分裂主义分子”等各种罪名对教員进行了残酷的镇压。再有就是被下放到农村接受接受思想再教育过着困苦的生活。在文革期间教育成了为阶级斗争服务的工具,而教員作为当时具有代表性的知识分子被烙上了资产阶级的烙印受到了集团暴力的残酷镇压。在接下来的“批判师道尊严(批孔)”时期、学习“朝阳农学院经验”运动时期、批判“右倾翻案风”运动时期教員的处境也是如此。 文革时期教員的教学活动主要是以政治思想教育和阶级斗争教育为主。这是因为中国共产党明确指示:从大跃进时期开始提出的“教育要为政治服务”的教育方针在文革期间依然有效,并且对学生进行无产阶级世界观教育是教員的主要任务。 从文革时期教員的社会地位或权威这方面来看,教員已经丧失了在学校教学中的主体地位,挨学生的批斗,甚至连教书育人的权利也被剥夺了。在大学里工农兵学生负责授课,而在中小学工人、农民、军人也都负责授课,这使得教員们连起码的教育权都受到了限制。特别是随着批判“師道尊严”的开始,教員若向学生传授知识就会受到诸如“知识第一”、“分数第一”的非难。结果造成在文革期间教員的权威和社会地位一落千丈,沦落成为“臭老九”。 文革期间教員被打成资产阶级,政治地位岌岌可危。在学校教学中出现诸如剥夺教书权等严重践踏师道尊严的情况,而朝鲜族教員因是少数民族更是遭受了双重的苦难。文革期间民族问题摇身一变成了阶级问题,并实施了“强制民族同化”。很多朝鲜族教員被冠以“朝鲜特务”、“民族分裂分子”的罪名,遭到了残酷的镇压。 综合以上历史事实可以看出文革时期延边朝鲜族教員具有以下特征。第一、文革期间延边朝鲜族教員被作为政治工具受到利用。第二、延边朝鲜族教員缺乏专业性。第三、文革期间朝鲜族教員的政治经济地位一落千丈。与全国的其他地区一样朝鲜族教員丧失了在学校教学中的主体地位,被学生批斗,还被剥夺了教书的权利。特别是由于批判“师道尊严”使教員的权利和地位受到了极大损害。第四、文革时期延边朝鲜族教員由于是少数民族遭受了苦难和镇压。文革期间许多朝鲜族教員被扣上“走资派”、“民族分裂分子”、“特务”、“现行反革命”的帽子打倒,教員组织随之瓦解。 在采用公共教育体制的现代社会,政治和教育有着密不可分的关系。在此种状况下教育要与政治分离也可能只是一个政治口号罢了。然而,教員作为一个时代的知识分子、有才智的人,他们的生活、他们的存在不能维系在仅仅作为国家层面的存在这一点上。因此,归根结底教員不应对时代问题一味地逆来顺受,而应积极应对,成为引领社会变革、世界变革的主体。 Teachers are representative intelligentsias, experts who require high technology and respected person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question that is " What kind of existence was teacher?" under public education system based on educational activities, politico-economical life style and educational experience of the Korean Chinese teachers lived i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of China. Firstly, education and politics always go hand in glove under characteristics of state system of China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Especially,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teachers became "existence of national level" who carried out national education policies in the front lines and played a role who was a sacrificial "political tool" for proletarian dictatorship under governing of Chinese Communist Party. During the Great Cultural Revolution, teachers were seen as hostile forces who had bourgeois world outlook. Therefore, they were the persons who needed to accept the thought reform and reeducation. At first, winning over and reform policies were carried out on teachers. However,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many teachers became the targets of "struggle, criticism, reform" because of aggravation of class struggle. Generally, based on the politico-economical activities the teachers lived i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several periods can be divided. During rural socialist education period(receiving poor and middle peasant reeducation period), teachers were taken ideological identification and should undertake self-check and self-criticism. During big-character poster and Red Guard movement period, teachers were labelled as bourgeois intellectuals and insulted by Red Guard's criticism and struggle & students' severe rebuke. As a result, teachers' social status suffered a drastic decline. During the violent power-seizing period, schools became battle ground, teachers were like skating on thin ice and lived in extreme fear. Korean Chinese teachers were brutally suppressed during the dark class-purge movement period. Workers, peasants, soldiers occupied schools and deprived the right of teaching of teachers and made up a lot of accusations such as "foreign spy", "active counter revolutionary", "capitalist roader", "revisionist", "ethnic separatist" to brutally suppress teachers. Moreover, teachers were sent to countryside for through reeducation and lived hard life.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education became a tool for class struggle and teachers as representative intelligentsias were labelled with bourgeois mark and were brutally suppressed by group violence. During the following "criticism of dignity of teacher" period, "experience of Chaoyang Institute of Agriculture" learning period, criticism movement of "right deviation verdict-reversing campaign" period, teachers' situation was not changed.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period, the priority of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was political and ideological education and class struggle education. This was because Chinese Communist Party clearly instructed that the "education should serve politics" education guideline which was proposed in Great Leap Forward period remained valid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period. And the primary task of teachers was to take education of proletarian world outlook to students. In terms of social status or authority of teachers, teachers had already lost their subject status in education of school and were criticized and denounced by students so far as to be deprived of their rights of teaching. In universities, worker-peasant-soldier students were in charge of teaching. In middle and primary schools, workers, peasants, soldiers were all in charge of teaching, and this made the least teaching rights were also limited. Especially, with the beginning of "criticism of dignity of teacher", if teachers taught students knowledges, they would suffer the reproaches such as "knowledge first", "Score first". As a result,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authority and social status of teachers suffered a drastic decline and finally was reduced to "stinking ninth category".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teachers were labelled as bourgeois so that their politics position were very precarious. In schools, situations such as teaching rights of teachers were deprived which seriously abused dignity of teachers happened. And Korean Chinese teachers doubly suffered because of their minority status.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period, issues of nationality were upgraded to problems of class and "mandatory national assimilation" was implemented. Many Korean Chinese teachers were entitled "Korean spy", "ethnic separatist" accusations and were brutally suppressed. In summar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eachers lived i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of China can be concluded. Firstly, Korean Chinese teachers lived i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of Yanbian during the Great Culture Revolution were used as a political tool. Secondly, Korean Chinese teachers lived in Yanbian lacked of expertise. Thirdly, during the Greate Culture Revolution period, political and economic status of Korean Chinese teachers rapidly went down. As other parts of China, Korean Chinese teachers lost their subject status in teaching of school, and they were criticized and denounced by students and deprived of rights of teaching. Especially, because of "criticism of dignity of teacher" rights and status of Korean Chinese teachers suffered great lost. Fourthly, during the Greate Culture Revolution period, Yanbian Korean Chinese teachers suffered sufferings and suppression because of their minority status. During the Greate Culture Revolution period, many Korean Chinese teachers were labelled as "capitalist roader", "ethnic separatist", "spy", "active counter revolutionary" and teacher organization disintegrated along with it. In modern society, public education system is used, and politics and education closely connected. In this situation, separating education from politics maybe only a politics slogan. However, teachers as modern intelligentsias, intelligent persons, their existence can not only exist as national level. Therefore, in the final analysis, teachers should positively response and be the principal part of the persons who lead change of society and world, rather than simply resigning themselves to adversity to the issue of the era.

      • 연변 지역어의 친척어 연구

        김선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연변 지역의 친척어를 한국 및 북한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연변 지역 친척어의 체계와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변 지역의 친척어를 친족어, 모계(母系) 척족어, 부계(夫系) 척족어, 처계(妻系) 척족어 등 네 계열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친척어를 부를 때 사용하는 부름말과 촌수를 나타내는 걸림말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주민으로 구성된 연변은 고국과 독립된 채 독자적으로 생활하다보니 연변 지역의 친척어는 한국어 유형의 친척어, 북한어 유형의 친척어, 그리고 연변에서 형성된 친척어 등으로 이루어졌다. 한국과의 수교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같은 사회주의 체제를 갖춘 북한의 영향을 많이 받아오다가 1992년에 한국과의 수교가 이루어진 후 한국의 영향을 매우 빠른 속도로 받고 있다. 또한 중국에서 생활하다보니 한국이나 북한에서 사용하지 않는 친척어도 형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한국에서 사용되지만 연변에서 사용되지 않는 친척어도 있다. 지역민 대부분이 북한에서 이주하여 와 자리 잡고 살고 있는 사람들이기에 북한어 유형의 친척어가 매우 많다. 현재 한국과 북한에서 공용으로 쓰이고 친척어는 북한에서 온 것이라고 말 할 수 있다. 한국 친척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변 지역의 친척어도 부름말은 주로 고유어 계열의 어휘들로 이루어졌지만, 걸림말은 한자어로 이루어지는 특색을 갖는다. 한자어 계열은 주로 고령층에서 사용하고 있다. 연변 친척어는 사회·문화·제도로 인한 특성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친척어에 비해 연변 지역의 친척어는 보수성을 지니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친척어가 한국이나 북한에 비해 단순화 된 부분도 있고 분화·발달된 부분도 있으며 사용층에 따른 특성도 가지고 있다. 연변 지역의 친척어가 보수성을 띠고 있음은 친척어가 고유한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가리킨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친척어가 친척이 아닌 남에게 사용되고 있으나 연변 지역에서는 친척어가 친척에게만 쓰이고 있다. 연변 지역의 친척어가 이와 같이 고유한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연변의 지리적 특성과 관련되어 있다. 즉 연변 지역민에게의 남은 곧 외국인(중국인)이니 친척어가 중국인에게 사용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연변에서는 고모와 이모, 고모부와 이모부에 대한 부름말이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다시 말하면 친족어인 고모와 모계 척족어인 이모의 부름말 형태가 같다는 것이다. 이는 아마도 남·여 평등이라는 사회주의 체제라는 원인과 아빠와 엄마, 즉 친가와 외가의 구분이 뚜렷하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친척어도 남(아빠)과 여(엄마)의 구분이 없이 단순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변친척어의 또 하나의 특성은 관계말이 분화되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말하는 이가 남자인가 여자인가에 따라 분화되고, 부르는 대상이 손위인가 손아래인가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이 연변 지역의 친척어의 체계와 여러 가지 특성을 밝힘으로써 연변 사회를 올바로 이해하게 함과 더불어 한국과 북한 및 연변 지역 친척어의 차이를 밝혀 한국 친척어를 이해하는 폭을 넓히기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