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중학교 합창 교육 프로그램 모형 연구 :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모형을 적용하여

        이민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2015 maintains the basic vision of an educated person, but directs emphasis in the core competencies in music by adding the Characters section. Jang (2019) points out that music teachers are not fully aware of the exact meaning of the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that there is a lack of materials or information to refer to in class. To address these problems, she proposes to arrange practical measures such as designing a music subject competency-oriented class and developing an evaluation tool linked to it. She also mentions that music as a subject is not helpful for students in college admission and that the textbooks are not provided as obstacles to successful differentiation between the newly proposed music subject competency class under National Curriculum of 2015 and the existing music class. Yang (2017) argues that despite having conducted several studies on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th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the lack of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ly proposed music subject competencies and the core competencies necessitates exploration of possibilities 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relationship among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Cho and Jung (2020) mentions the need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helps students achieve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curriculum in the classroom by developing and distributing guides or textbooks for differentiated music subject competency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strengthen core competencies through choral singing,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activity in the field of public education music instruction. To this end, an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maximize individual roles and competencies in the large-scale community activities of school music classes and to encourage independent in-class participation. In addition, practical measures that music teachers can utilize were attempted, such a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ith consideration of music subject competency along with suggestions of class design and related evaluation tools. This study was targeted at the secon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It developed and utilized multilingual online chorus activity, a genre of choral music unexplored by previous studies. The activity included sign language chorus, online chorus, and translating the Korean lyrics to foreign languages, thus enhancing the multifaceted musical experience of the students while remaining in the familiarity of choral activities. Lee Jeok's “Natural Things” (Dangyeonhan Geot-deul) was selected as the song for this program. It has a range that does not overwhelm the various musical expression activities experienced over a total of 5 lessons, and has the lyrics that reflect the current events that allow students to relate and discuss.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 originally sung by a single person,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reate a novel and unique video work by freely presenting creative opinions with a structure of solo-unison singing rather than traditional division of voice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lies in enhancing specifically the 'musical creativity and convergence thinking competency' and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mong the music subject competencies. In addition, students are expected to experience singing and performing the song in sign language, with translated lyrics, in an online setting. They are to work together in groups to finish a choral work in the new genre of multilingual online chorus activity. Based on this, students will be able to enhance their core competencies and check the results of their experiences autonomously, thus improving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in real life while enjoying the music experiences in the learning process.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기본적인 교육 목표와 인간상을 유지하지만 성격항을 다시 신설하여 ‘음악과의 역량’을 명시하는 개정 방향을 갖고 있다. 장근주(2019)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들의 정확한 의미를 음악 교사들이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음과 수업에 참고할 자료나 정보가 부족함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인식과 함께 음악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한 수업 설계 및 연계된 평가도구의 개발과 같은 실질적인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또한 음악 교과가 진학에 도움이 안 되는 점과 교재가 지원되지 않아 음악 교과 역량 수업과 기존의 음악 수업의 차별화를 이루지 못함을 이야기 하였다. 양종모(2017)는 그 동안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역량의 의미와 적용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새롭게 제시된 음악 교과 역량이 핵심역량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며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 교수·학습 내용과 활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탐색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조혜영과 정주연(2020)은 차별화된 음악 교과 역량 교수학습과 평가에 대한 지도안이나 교재가 개발되고 보급되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방향성을 수업 현장에서 이룰 수 있도록 돕는 환경 제공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공교육 음악 지도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활동 방식인 합창으로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수의 인원으로 진행되는 학교 음악 수업의 공동체 활동에서 개인의 역할과 역량을 극대화 하며 자주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기 위하여 자율적 협동 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음악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음악 교과 역량을 고려한 교수학습 활동의 다양한 사례 제시와 음악 교과 역량 중심 수업 설계 및 연계된 다양한 평가도구 제시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2학년을 학습 대상으로 삼은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합창의 장르인 ‘다중 언어 랜선 합창’ 활동을 새롭게 개발하여 수어 합창과 랜선 합창, 가사를 외국어로 직접 번역하여 부르는 합창까지 합창의 친숙함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다면적인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제재곡으로 선정한 이적의 <당연한 것들>은 총 5차시에 걸쳐 경험하는 다양한 음악 표현 활동에 무리가 가지 않는 음역대를 가지고 있으며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학생들이 친숙하게 음악을 느끼고 공감대를 형성하며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가사를 담고 있다. 기존에 독창 형식을 가지고 있던 가요의 특징을 살려 성부의 분할이 아닌 독창-제창의 구조를 가져 창의적인 의견 제시를 통해 참신한 영상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교과 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과 ‘음악정보처리 역량’이 중점적으로 증진되고, 자율적 협동 학습 모형을 적용한 ‘다중 언어 랜선 합창’이라는 새로운 장르에서 수어와 랜선, 외국어로 번역한 가사로 부르는 합창을 경험하며 모둠원들과 함께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는데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핵심역량들을 함양하고 함양된 결과에 대해 학습자 스스로 확인하여 학습 과정에서 경험한 음악을 즐기며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 해결력이 향상되길 바란다.

      •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 역량모델 개발

        최혜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한국사회에서 한부모가족에 대한 정부지원은 1950년 6.25전쟁 이후 전쟁미망인들을 보호·지원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몇 차례의 관련법 제·개정을 근거로 지원대상과 지원내용이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오늘날 한부모가족에 대한 정부지원은「한부모가족지원법」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 법의 제1조(목적)는“한부모가족의 안정적인 가족기능을 유지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한부모가족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학계에서도 한부모가족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정책과 한부모가족 대상자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었고,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부모가족에게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과 인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의 한부모가족을 위한 관련법의 제·개정, 지원내용과 지원대상의 확대와 같은 양적증대는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의 전문성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역량에 주목하고,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고 역량모델링 과정을 통해 이를 체계화하여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복지시설 특수성을 반영한 사회복지사 역량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Dubois(1993)의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과 Lucia와 Lepsinger(1999)의 검증된 역량모델로부터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총4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한부모가족복지시설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주요내용, 역량과 역량모델에 관한 이론적 배경, 사회복지사 역량과 역량모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역량모델의 기본틀로 Spencer와 Spencer(1993)의 대인서비스직 일반역량모델을 타당성이 검증된 역량모델로 선정하였다. 둘째, 한부모가족복지시설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한부모가족복지분야 전문가 심층면접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역량모델 초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전문가 델파이 조사(3차)를 실시하여 역량모델 초안을 정교화하고 역량모델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넷째,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역량모델은 5개역량군-18개역량-84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었다. 역량군은 성취와 행동 역량군, 대인서비스 역량군, 관계 역량군, 인지 역량군, 개인효과성 역량군으로 구분되었다. 각 역량군은 3∼5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역량에는 3∼6개의 구체적인 행동지표가 제시되었다. 성취와 행동 역량군은 과업을 성취하기 위한 행동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 향상이나 보다 나은 성과를 위해 행동하는 역량으로 주도성과 적극성, 정보수집과 활용, 자원개발과 연계 역량이 포함되었으며, 대인서비스 역량군은 한부모가족들의 관심과 요구에 공감하고, 이를 충족시키려는 의도와 한부모가족들의 발전을 도모하는 역량으로 대인이해, 고객지향성, 타인육성 역량이 포함되었다. 관계 역량군은 과업을 성취하기 위해 관계를 형성하고 우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 증진시키는 역량으로 신뢰형성, 대인관계, 네트워크, 갈등관리 역량이 포함되었으며, 인지 역량군은 어떤 상황, 과제, 문제점, 기회 또는 지식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지적인 능력을 직무상황에 응용해서 성과를 높이려는 역량으로 전문성, 문제해결력, 기획행정력 역량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효과성 역량군은 타인 혹은 업무 관계에 있어서 개인의 성숙도를 반영하며, 다른 역량의 효과성을 지원하는 역량으로 자기조절, 유연성, 윤리적 태도, 자기성찰, 일에 대한 신념 역량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 역량모델은 사회복지사 개인차원에서 객관적인 자기평가를 토대로 자기개발 및 역량강화 계획수립에 활용될 수 있으며, 조직차원에서는 선발, 평가, 승계계획, 교육계획 수립 및 교육훈련, 슈퍼비전 제공 등에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술적 관점과 실천적 관점에서의 시사점과 함께 역량모델 활용방안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of social workers in the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s and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for them.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mainly four-stage procedure.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about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of social workers, and development method and application of competency model. After then, the researcher selected the competency model of helping and human service professionals developed by Spencer and Spencer(1993) as a competency model that was proven to be valid. Second, the researcher conducted death interviews with 9 experts and open-ended questions surveys with 26 social workers to reflect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parent family institutions in the competency model developed by Spencer and Spencer(1993).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questions surveys, the researcher developed a draft competency model using the competency dictionary of Spencer and Spender(1993). Finally, the researcher verified the degrees of validity on the respective definitions of the competency model structure and the model components using questionnaires in a three-round Delphi survey with a panel of 10 experts. In addition experts' opinions were reflected to comprehensive redefinition of the competency structure and its components.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model of social workers in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s was secured. The competency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5 competency clusters, 18 competencies, and 84 behavioral indicators. The competency clusters were divided into achievement and action competency cluster, helping and human services competency cluster, relationship competency cluster, cognitive competency cluster, and personal effectiveness competency cluster. The competencies included in each of the competency clusters are as follow: (1) Achievement and action competency cluster include initiative and aggressiveness, information seeking and utilizing, and resource development and connection. (2) Helping and human services competency cluster include interpersonal understanding, customer service orientation, and developing others. (3) Relationship competency cluster contain trust buil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twork, and conflict management. (4) Cognitive competency cluster include expertise, problem solving, and planning administration competencies. (5) Personal effectiveness competency cluster contain self-control, flexibility, ethical attitude, self-reflection, and belief in work.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discussed implications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standpoint for the competency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suggestions for the use of the competency model for competency building of social workers in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s and proposals for a follow-up study. Key words: Single Parent Family Welfare Institution, Social Worker, Competency, Competency Model

      •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과 그릿(Grit)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강선영 부산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역량과 그릿, 직무만족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의 300병상 이상의 3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임상경력이 1년 이상이고 환자 간호를 직접 수행하는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20일부터 2022년 5월 1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최종자료는 응답이 부실한 4부를 제외한 158명을 통켸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Lee[13]가 개발한 공감역량 측정 도구를 Lee & Seomun[14]이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 Park 등[34]이 개발한 그릿 측정 도구(Clinical Nurses Grit Scale: CN-GRIT), Lee 등[35]이 개발한 직무만족 측정 도구(Job Satisfaction Scale for Clinical Nurses; JSS-CN)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3.81±0.33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민감성’ 4.02±0.37점, ‘소통력’ 3.80±0.40점, ‘통찰력’ 3.63±0.46점 순이었다. 그릿은 4점 만점에 평균 2.94±0.36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간호 전문가 열정’ 3.11±0.35점, ‘환자 지향성 내적동기’ 3.04±0.43점, ‘장기목표달성’ 2.68±0.47점 순이었다.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63±0.47점이었다. 하위영역별 평균은 ‘책임완수’ 3.93±0.52점, ‘전문적 역량발휘’ 3.89±0.64점, ‘존중 및 인간관계’ 3.60±0.50점, ‘직업의 안정성과 보람’ 3.59±0.55점, ‘인격적 성숙’ 3.51±0.73점, ‘조직차원 지원과 인정’ 3.23±0.62점 순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연령(F=4.87, p=.009), 결혼상태(t=-2.85, p=.005), 종교(t=-3.16, p=.002), 직위(t=-3.17, p=.002), 근무형태(t=-3.52, p=.001), 근무부서(t=-2.47, p=.015), 보수 만족도(F=9.00,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직무만족은 공감역량(r=.57, p<.001), 그릿(r=.74, p<.001)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4.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그릿(β=.60, p<.001), 공감역량(β=.22, p<.001), 결혼상태(β=.14, p=.006)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직무만족을 60.0% 설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상간호사의 공감역량, 그릿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공감역량,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실무에서 공감역량과 그릿 향상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안 모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육군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모델링과 요구도 분석 연구

        박종옥 아주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 모델링을 통해 교수역량 구성요소를 구명하고 요구도(변화필요도) 분석 연구에 있다. 이를 위해 군사학교 교관 1,35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이며, 문헌분석, 초점그룹 면담(FGI), 행동사건 면담(BEI),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교수역량 모델링을 실시하였고, 그 역량모델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학교 교관의 도출된 교수역량 구성요소는 총 4개 역량군(기초전문역량, 수업역량, 조직가치 구현역량, 디지털역량), 11개 상위역량, 27개의 하위역량에 대한 90개의 행동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교수역량 구성요소 문항의 Cronbach's α 계수를 조사한 결과 문항의 내적일관성은 확보되었고, 3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교관들의 설문을 통해 교관 구성요소의 내용타당도 및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군사학교 교관의 역량 수준을 진단한 결과 기초전문역량과 수업역량과 관련된 역량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보유한 반면, 조직가치 구현역량에서의 교관 리더십 발휘와 학습 조직화, 디지털역량과 관련된 역량은 중요성은 인식하나 상대적으로 실행도는 낮아 향후 교수학습센터에서의 교관 소집교육과 같은 교수개발(Faculty Development) 프로그램 반영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관들의 교수역량에 대한 요구도(변화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교관의 공통적인 의견으로 군사학교의 학습 조직화, 디지털 기기 및 콘텐츠 수업 활용, 전문지식 습득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았다. 이것은 군사학교 교육정책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군사학교 교수역량은 군 교육훈련 현장에서 교관이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어떤 교수역량을 개발해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군사학교 교육현장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군사학교 교관 0000명 전체를 대상으로 군사학교의 특성 및 현장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최초의 연구로써 향후 군 조직에서 그 유용성을 인정받을 수 있고,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역량과 행동지표, 그리고 요구도 분석결과 등은 군 교육훈련 정책의 도움이 된다. 둘째, 기존의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교수역량인 기초전문역량, 수업역량에서 확대된 조직 차원에서의 새로운 시각으로서 조직가치 구현역량과 디지털역량을 포함한 폭넓은 연구 자료를 제공해준다. 특히나 개인역량에 국한된 교수역량보다는 환경과 조직의 범위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수역량까지 연구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셋째, 최근 COVID-19로 인한 세계적인 교육방법의 변화에 대처하는 디지털역량을 구명함으로써 평생교육 측면에서 새로운 시각으로 개념적 틀을 구성할 수 있으며, 21세기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체계적인 군사학교 교수자와 학습자 역량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of Army Military School Instructor and Needs Analysis Research Park, Jong Ok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Lifelong Education & HRD The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onents of teaching competency through the modeling of teaching competency of army military school instructors and to analyze the demand (need for change). To this end, data collected from 1,356 military school instructors were analyzed, and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FGI), behavior event interview (BEI), and expert Delphi survey, and the demand for the results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rived teaching competency components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consist of a total of 4 competency groups (basic competency, class competency, organizational learning leading competency, digital competency), 11 higher competencies, and 90 behavioral indicators for 27 lower competencies.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componen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 was secured, and the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of the instructor component were verified through three expert Delphi surveys and instructor surveys. Third, as a result of diagnosing the competency level of military school instruct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etency related to basic professional competency and instructional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 but the importance of instructor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digital competency was relatively low.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and for instructors' teaching competencies (need to change), most of them had high priorities in the order of learning organization of military schools, utilization of digital device and content classes, and expertise.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military school education policy. The military school teaching competencies derived in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on what teaching competencies instructors must develop in order to successfully perform their duties in th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field. Therefore,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military school education site. First, it is the first study to comprehensiv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military schools for all 0000 military school instructors, and its usefulness can be recognized by military organizations in the future, and the analysis results of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policies. Second, it provides a wide range of research data that encompasses organizational learning leadership and digital competencies as a new perspectiv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expanded from basic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instructional competencies, which are existing personal competencies. In particular, by considering the scope of the environment and organization rather than the teaching competencies limited to individual competencies, the scope of research can be expanded to the teaching competencies that have a more substantial impact. Third, by identifying the digital capabilities to cope with the recent changes in global education methods caused by COVID-19, a conceptual framework can be constructed from a new perspective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military school instructor and learner capabilities in response to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21st century. Keywords: Teaching competency, Basic professional competency, Lecture competency, Organizational learning leading competency, Digital competency, Needs analysis(need to change)

      •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이 높은 아동과 낮은 아동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비교

        오지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아동들의 일상적 스트레스(부모영역, 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학업영역, 교사 및 학교영역, 주변환경영역)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적극적 대처(문제 집중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소극적 대처(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들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부모영역, 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학업영역, 교사 및 학교영역, 주변환경영역)는 차이가 있는가? 2. 아동들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적극적 대처(문제 집중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소극적 대처(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한 이론적 근거로써 아동들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 일상적 스트레스(부모영역, 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학업영역, 교사 및 학교영역, 주변환경영역), 스트레스 대처방식(적극적 대처(문제 집중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소극적 대처(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과 경기도 부천 및 인천 시내 3개 초등학교 4, 6학년 각각 2개 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수집된 검사지 550부를 연구분석 자료로 삼았다. 측정도구는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척도 질문지」(Harter, 1985)와 「일상적 스트레스척도 질문지」(한미현, 유안진, 1995),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 질문지」(Lazarus & Folkman, 1985)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아동들의 일상적 스트레스(부모영역, 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학업영역, 교사 및 학교영역, 주변환경영역)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신의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아동들은 자신의 역량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아동들보다 일상적 스트레스를 더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6개의 하위 척도(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 중에서 4개의 하위 척도(학문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아동들은 각 역량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아동들보다 일상적 스트레스 6개의 모든 하위 영역(부모영역, 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학업영역, 교사 및 학교영역, 주변환경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더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6개의 하위 척도(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 중에서 사회적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아동들은 사회적 역량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아동들보다 일상적 스트레스 3개의 하위 영역(가정환경영역, 친구영역, 주변환경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더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6개의 하위 척도(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 중에서 운동적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아동들은 운동적 역량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아동들보다 일상적 스트레스 2개의 하위 영역(부모영역, 친구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더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아동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적극적 대처(문제 집중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소극적 대처(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 사고))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신의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아동들은 자신의 역량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아동들보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신의 역량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아동들은 자신의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아동들보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6개의 하위 척도(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 중에서 5개의 하위 척도(학문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아동들은 각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아동들보다 소극적 대처방식(정서 완화적 대처와 소망적 사고)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6개의 하위 척도(학문적 역량, 사회적 역량, 운동적 역량, 신체적 역량, 행동적 역량, 전반적 역량) 중에서 사회적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아동들은 사회적 역량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아동들보다 적극적 대처방식(문제 집중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 추구)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that exist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scholastic excell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ability,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overall self-worth) levels and the amount of stress(parents, home environment, friends, studies, teachers & school, and their surroundings) they feel daily and how they cope methods(the proactive stress-coping(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the negative stress-coping(emotion-focused coping and wishful thinking)) with it. Areas specifically studied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 (scholastic excell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ability,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overall self-worth) levels and their daily stress(parents, home environment, friends, studies, teachers & school, and their surroundings) level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scholastic excell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ability,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overall self-worth) levels and their stress-coping methods(the proactive stress-coping(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the negative stress-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wishful thinking))? Previous studies done in the area of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scholastic excell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ability,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overall self-worth) levels , their daily stress(parents, home environment, friends, studies, teachers & school, and their surroundings) levels, and their stress-coping methods(the proactive stress-coping(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the negative stress-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wishful thinking) were reviewed to build support for our finding. For the study, 3 elementary schools from the cities of Seoul, Keyongkido Pu-cheon, and In-cheon were selected. Children from 2 different grade levels, 4th and 6th,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each school 550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data for the analysis. Measuring device utilized were 「Self-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Harter, 1985), 「Daily Hassles Questionnaire」(Han, Mi-hyune & You, Ann-jine, 1995), and 「The Ways of Coping Checklist」(Lazarus & Folkman, 1985). Data was analyzed using SPSS/PC+ program to arrive at reliability and t-test.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scholastic excell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ability,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overall self-worth) levels and their daily stress(parents, home environment, friends, studies, teachers & school, and their surroundings) levels are as follows. Those Children with perception of higher competence level were found to have less daily stress compared to those children with perception of lower competence level. Specific findings are as follows.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competent in the 4 out of 6 domains of competency(scholastic excellence,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overall self-worth) were found to have less stress in all of the 6 categories of stress(parents, home environment, friends, studies, teachers & school, and their surroundings).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competent in the social acceptance domain of competency were found to have less stress in the 3 out of 6 categories of stress(home environment, friends, and their surroundings) compared to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less competent in the same domains.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competent in the athletic ability domain of competency were found to have less stress in the 2 out of 6 categories of stress(parents, friends) compared to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less competent in the same domain 2.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scholastic excellence, social acceptance, athletic ability,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overall self-worth) levels and their stress-coping methods(the proactive stress-coping(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the negative stress-cop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wishful thinking)) are as follows.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competent were found using more of the proactive stress-coping methods compared to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less competent.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less competent were found using more of the negative stress-coping methods(emotion-focused coping and wishful thinking) compared to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competent. Specific findings are as follows.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less competent in the 5 out of 6 domains of competency(scholastic excellence, athletic ability, physical appearance, behavioral conduct, and overall self-worth) were found using more of the negative stress-coping methods(emotion-focused coping and wishful thinking) compared to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competent in the same domains.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more competent in the social acceptance domain of competency were found using more of the proactive stress-coping methods(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compared to those children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less competent in the same domain.

      • 청소년활동역량과 방어기제간의 관계연구

        이지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적 특성(성별·학교·활동여부)에 따른 활동역량과 방어기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서울·경기도 권에 거주하는 중, 고등학생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50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에 적용한 통계적 기법은 빈도, 백분비, t-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적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교급별로는 청소년활동역량의 차이가 있는 반면 활동경험에 따른 역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별, 교급별로 적응의 방어기제 활용에서 여학생은 승화를 남학생은 전능과 부정의 방어기제를 잘 이용하고 있었으며, 교급별로는 중학생은 부정, 분리, 철수와 같은 형태의 방어기제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활동역량 수준(상, 하집단) 별 집단차이에서 전체적으로는 역량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긍정적 방어기제를, 역량이 낮은 집단은 부정적 방어기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① 자아역량이 높으면 자존감이 높아서 어려움을 잘 극복하여 긍정적인 자아방어기제(유머, 전능 등)를 잘 활용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낮은 집단은 부정적 방어기제(수동공격, 투사, 행동화, 철수, 억제, 격리 등)의 활용이 높게 제시되었다. ② 신체역량이 높으면 유머나 전능 등의 방식으로 자신을 보호하는 반면 낮은 집단은 분노나 불안 등 충동적 경향으로 노출하거나 자기억제와 같은 방식의 방어기제를 활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③ 갈등조절능력이 떨어지면 자신의 긍정적인 문제로서의 해결하려는 방어기제보다는 타인에 전가, 분노나 감정적 통제나 억제, 체념과 같은 행동을 하고 있었다. ④ 문제해결역량이 낮으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기 보다는 타인에게 전가하거나 감정적 갈등의 형태를 보일 개연성이 높아졌다. ⑤ 성취동기가 높으면 자신의 목표의식을 통해서 얻고자 하는 결과를 잘 추진하는 반면 반대의 경우는 쉽게 좌절하고 포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⑥ 대인관계역량이 높은 집단은 적응의 방어기제(유머, 전능 등)를 잘 활용하는 반면 낮은 집단은 미성숙(투사) 태도로서 타인에 전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⑦ 리더십역량이 높은 집단은 유머와 전능의 방어기제를 잘 활용하고 있었으며 낮은 집단은 미성숙(수동공격, 투사, 행동화, 공상, 분리 등)의 방어기제를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⑧ 시민성역량이 높은 집단은 유머와 전능에 대한 방어기제활용이 높았으며 반대로 미성숙에서는 시민성역량이 낮은 집단이 수동공격, 투사, 행동화와 같은 방어기제를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활동과 방어기제의 후속적 연구로서 청소년활동의 역량과 방어기제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내면화된 요소나 분석의 틀을 체계화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청소년활동의 영역을 구분하여 종단적 관점의 연구가 추진되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청소년활동의 참여에 대한 범주화를 명확히 하여 활동참여결과를 얻기 위한 실험연구가 수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nse mechnism and youth activity competency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 Data was collected the 50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Gyonggi Province and Seoul Metropolitan area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as used to the SPSS 18.0. Analytical methods were to frequency, percentile, t-test, correlation an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th activities competency were differences by gender, school yea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ctivity experienced Secon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gender, the female students was used for the defense mechanism of sublimation, but male students was often used for the almighty and negative defens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injustice, isolation, and withdrawal etc. Third, The positive and negative defense mechanism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upper and lower youth activity competency groups. ① High self-competence groups were utilizing the positive self defense (humor, omnipotent, etc.), In contrast, the lower self-competency groups were utilizing the negative defence mechanisms(passive attack, projection, enacted, withdrawal, depression, isolation, etc.) ② The upper physical capability group has protected that their own humor and almighty. But low-physical group has protected themselves by anger or anxiety. ③ If youth can not control the conflict, there were more used for the negative defense mechanism than the positive factors. ④ Whereas high achievement motivation group has to strong goals consciousness, but lower motivation group was easily frustrated and give up what they have to do. ⑤ High interpersonal skills groups were utilized to adaption defense mechanism(humor, almighty) very well. But low group was transferred others by immature (projection) attitude. ⑥ The upper group of leadership and civic competency had taken of humor and omnipotent defenses. And low group had taken a lot of immature defence mechanisms(passive attack, projection, etc.). Based on the above results, to b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e longitudinal analyze to relationship of youth activities and the defense mechanism research will be continued. Second, According to the type of youth activity participation, the relationship with youth activity and defense mechanism will be carried out.

      •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과 요구도 분석

        전성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의 교사경력에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분석이다. 구체적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1.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사경력에 따른 교수역량에 대한 요구도는 어떠한가? 조사에 앞서, 참조집단에 의해서 45개(5개 영역: '개인적 특성', '지식', '교수설계 및 개발', '교수실행', '평가')의 교수역량이 도출되었다. 그리고나서 4개의 고등학교에서 조사가 실시되었다. 교사경력에 따른 표본수는 31명(0~5년차), 46명(6~20년차), 42명(21년차 이상)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그룹간에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4개('학생에 대한 애정 및 존중', '교과지식', '평가에 대한 지식', '적절한 과제 제시')의 교수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5개의 교수역량 영역으로 비교하였을 때, 3개의 영역('개인저거 특성', '지식', '교수실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수역량에 대한 세 집단의 요구를 분석한 결과, 0~5년차는 16개의 교수역량을 다른 교수량들 보다 높게 요구했고, 6~20년차는 15개 역량을 높게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21년차 이상은 13개 역량을 높게 요구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몇몇 후속연구와 제언을 제안한다. 첫째, 교사역량강화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교수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교수역량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연구가 교사의 다양한 측면('예를 들어, 학위, 성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교사와 학생 양쪽의 입장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in high school. The specific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set up as following. 1. What is perception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2. What are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in accordance with the teacher’s career?’ Prior to survey, 48 teaching competencies(five areas: ‘personal characteristic’, ‘knowledge’, ‘instructional design & development’, ‘instructional practice’, ‘assessment’) were drawn by referent group. And the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4 high school. Sample sizes in accordance with career are 31(0~5 years’ career), 46(6~20 years’ career), 42(over 21 years’ career). Result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perception of importance about teaching competencie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our competencies(‘Affection and respect for the students’, ‘subject knowledge’, ‘knowledge for assessment’, ‘appropriate problem presenting’). And when compared to the five teaching competency area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areas(‘personal characteristic’, ‘knowledge’, ‘instructional practi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of the three group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0~5 years’ teachers high needed 16 competencies more than the other competencies. And 6~20 years’ teachers high needed 15 competencies. Finally, over 21 years’ teachers high needed 13 competenc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 some further studies and suggestions. First, understanding of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y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hat teacher empowerment programs are operated effectively. Second, research for finding out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should be done on teacher’ various aspects(e.g., degree, gender). Third, perception and needs about teaching competencies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 민주시민역량 함양을 위한 그림책 활용 질문하기 수업 실행연구

        박다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tudy is an action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question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fostering civic competence. Questioning activities can be considered an appropriate learning method for education to foster sovereignty and civic competence, which are the goals of civic education, as it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s the learning topic with the learners' lives. Therefore, this study implemented a question-asking class using picture books on the topic of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a content element of social studie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15 revised fourth grade, and organized the program around the activities of creating questions and answering questions. In the process, we aim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questioning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to improve civic competencies, which are categorized as social empathy, social decision-making, social participation, and reflection. An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on 27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ongin City. The program consists of reading a picture book together and identifying the topic, making individual questions, selecting and answering group questions, answering other group questions, and expressing opinions and thoughts. After applying the first and second programs, the following analyses were made based on the class results, teacher's journals, and students' reflection journals. First, the question-asking class using picture books is effective in cultivating civic competence. Through the activity of creating and answering questions, students connected the themes of the picture books with their own lives and empathized with the feelings and situations of the characters. This leads to respect for others, which acts as a way to develop social empathy. In addition, asking questions helps students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their surroundings and to understand others' perspectives. Secondly, questioning activities can increase students' engagement in class and help realiz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tudents enjoyed reading the picture book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d answering questions, which was enjoyable and interest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asking questions increased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broadened their thinking,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writing. Third, this program is useful for integrating civic education and various cross-curricular topics. Recently, many picture books with various civic values and a wide range of topics have been published. In addition, picture books have relatively little text, an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pictures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nt. These characteristics of picture books, combined with questioning activities, allow learners to draw out their own learning themes from a single text.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to the program. If the program is applied in a classroom where learners have not experienced a variety of social communication processes, the group questions may be off-topic or difficult to answer. In addition, since social participation is not directly conducted in the classroom,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fostering social participation skill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nd reflection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given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ction research, which is a qualitative study, further verification of individual effects related to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and civic competence is needed. Second,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questioning activitie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s to be discussed. Questions generated by students from their own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more. Third, it is expected that civic education that integrates various subjects and topics, such as questioning classes using picture books, will lead to actual changes in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s.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질문하기 활동이 민주시민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행 연구이다. 질문하기 활동은 학습 주제와 학습자의 삶을 직간접적으로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민주시민교육에서 목표로 하는 주권자 교육과 시민적 역량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에 적합한 학습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4학년 2학기 사회과 내용 요소인 차별과 편견을 주제로 한 그림책을 활용하여 질문하기 수업을 실행하였고, 질문 만들기와 질문에 답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질문하기 활동을 통해 사회적 공감 역량, 사회적 의사결정 역량, 사회 참여 역량, 성찰 역량로 구분되는 시민적 역량이 향상되는지 그 효과성과 한계점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용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4학년 27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그림책 함께 읽고 주제 파악하기, 개별 질문 만들기, 모둠 질문 선정하고 답하기, 다른 모둠 질문에 답하기, 의견이나 생각 표현하기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차와 2차 프로그램을 적용 후 수업 결과물, 교사일지, 학생들의 반성 일지 등을 통해 다음과 같은 분석이 나왔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질문하기 수업은 민주시민역량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이다. 학생들은 질문을 만들고 답하는 활동을 통해 그림책의 주제와 자신의 삶을 연결하고 등장인물의 감정과 상황에 공감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는 타인에 대한 존중으로 이어져 사회적 공감 역량을 키우는 방법으로 작용한다. 또한, 질문을 통해 자기와 주변을 반성하고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는 성찰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둘째, 질문하기 활동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학생들은 그림책을 읽고 질문을 만들고 답하는 과정에서 즐거움과 흥미를 느끼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질문을 통해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이 활발해지고 사고의 폭이 넓어지며 글쓰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민주시민교육과 다양한 범교과 주제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데 유용하다. 최근 다양한 시민적 가치와 폭넓은 주제를 담은 그림책이 많이 출판되고 있다. 또한, 그림책은 상대적으로 글의 내용이 적고 글과 그림이 상호보완적 관계를 이룬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내용 이해를 돕는다. 이와 같은 그림책의 특성에 질문하기 활동이 더해져 학습자는 하나의 텍스트에서 자신만의 학습 주제를 끌어낼 수 있다. 반면 프로그램 적용 시 한계점 또한 발견되었다. 학습자가 사회적 의사소통 과정을 다양하게 경험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업에 적용되면 모둠 질문이 주제와 동떨어지거나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으로 선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수업을 통해 사회적 참여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적 참여 역량의 함양 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결과 분석 및 성찰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인 실행연구로 진행되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학생들의 인식 변화나 시민적 역량과 관련된 개별적 효과에 대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질문하기 활동이 갖는 의의와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학생이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만든 질문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질문하기 수업과 같이 다양한 교과나 주제를 융합한 민주시민교육이 이뤄진다면 학생의 실제 태도와 행동 변화를 이끄는 방안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역량 모델을 통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역량 측정 도구개발

        이희수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Competency for training teacher to conduct the role has been emphasized to achieve the purpose and meaning of vocational training, and successful operation. To provide high-quality vocational training service, it needs to develop scale to be able to measure competency level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methodical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competency model. Although there is existing study on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 to utilize it on vocational training field, the study up to scale development is not enough. According to this need,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scale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 teacher and find the building blocks which are required for training teachers. The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credible and reliable scale development of training teacher suitable for vocational straining field based on the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Three study questions were followed to achieve the purpose above. First, “How could a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be developed?” Second, “How could training teacher competencies be measured – in what way and by what criteria?” Third, “How could a training teacher competency scale be proven reliable and credible?” To solve these questions above, a scale of training teacher competencies were developed using three steps: definition of measurement concept and construction, selection of competency item pool & verification, and scale verification. In the first step, a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was outlined by construction of draft competency model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verification of draft competency model through a focus group meeting of vocational training field experts, behavioral event interviews of field training teachers. Education experts reviewed the resulting competency model. In the second step, to select and verify competency item pool, a competency item pool was developed by a focus group meeting of vocational training managers and field experts respectively. This was validated by education experts and further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58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In the third step of scale verification, 620 field training teachers were surveyed using the verified item pool. Cros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by dividing the samples between group A and group B.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mputed for group 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mputed for group B to finalize the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anded the range of subjects from restricted to qualified vocational training teacher on existing study to unqualified training teacher to develop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and scale. This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is developed reflecting hierarchy an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 generally usable in vocational training field. Second, competency model creation is followed by development of a validated competency scale. This training teacher competency scale is able to diagnose and evaluate area and blocks required to measure. This competency scale is consistent to extract and interpret the result of measurement, and also verified reliability by reproducability. Third, the training teacher competency model and scale could be utilized for selection, training, development, evaluation, succession plan to manage and develop human resource, and developing the foundation of workplace learning to manage human resource and enforce competency. Empirical study should continue by training teacher scale 7 competency groups, 18 competencies, 75 item pools finally built by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It is expected for this scale to be utilized for the selection of training teacher, training and development, reward and coaching through evaluation, succession plan throughout the training center after applying the study results to further samples. It is also expected to be utilized for objective evaluation index of training center and training course throughout the nation. 직업훈련의 목적과 의의를 달성하고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 훈련교‧강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고품질의 직업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역량 모델을 기반으로 훈련교‧강사의 역량 수준을 체계적이고, 체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역량 측정 도구 개발은 필요하다. 직업훈련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 역량 모델을 개발한 연구가 있지만 역량 측정 도구 개발까지의 연구는 미진하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훈련교·강사의 역량 모델을 개발하고 이들에게 요구되는 훈련교·강사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성된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을 토대로 직업훈련 현장에 적합하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 훈련교‧강사 역량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의 문항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셋째,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측정개념의 정의와 구성화, 측정문항의 선정 및 확인,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 및 검증이라는 세 단계를 거쳐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과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첫째, 역량 모델 개발 과정에서 역량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역량 모델의 초안 구성, 직업훈련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거친 역량 모델 초안 검증, 현장 훈련교‧강사를 대상으로 행동 사건 면접을 거쳐 역량 모델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역량 모델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교육 전문가의 검증을 받았다. 둘째, 측정문항의 선정 및 확인을 위해서 직업훈련 관리자와 직업훈련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각각 진행하여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추가로 교육전문가들을 통해 예비문항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해 직업훈련에 참여 중인 훈련교‧강사 58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진행하고 타당화하였다. 셋째,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인 및 검증을 위해서 현장에서 활동 중인 훈련교‧강사 62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집단 A와 집단 B로 구분하여 교차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집단 A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B를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측정 도구를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과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자의 범위를 기존 연구에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취득자인 훈련교사에 국한된 것을 훈련교사 자격미취득자인 훈련강사를 포함하였다. 개발된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은 직업훈련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활용 가능한 상황 속에서 위계 수준과 다차원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역량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역량 모델을 구성하고 개발할 때에는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 도구도 같이 개발하였다. 개발한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는 측정이 필요한 영역과 요소의 적절한 진단과 평가가 가능하다. 측정 결과를 도출하고 해석함에 있어서도 일관적이며, 재생 가능성이 높아서 신뢰성이 확보된 역량 측정 도구이다. 셋째, 훈련교·강사 역량 모델과 역량 측정 도구는 인적자원관리와 개발을 위해 선발,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 승계 계획에 활용된다. 그리고 일터에서 인재 관리와 인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일터학습에 토대가 된다. 후속 연구 제언을 통해 최종 구성된 훈련교·강사 역량 측정 도구 7개 역량군, 18개 역량, 75개 문항을 활용한 실증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한다. 추후 실증 연구를 통해서 실효성이 입증된다면 훈련기관차원에서 훈련교·강사의 선발,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를 통한 보상과 코칭, 승계 계획 등에 적극적 활용이 기대된다. 국가차원에서도 훈련기관과 훈련과정의 객관적인 평가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재외동포 아동 한국어 고급 교재의 역량 중심 접근법 기반 분석 : 5대 핵심역량 관련 과제 활동을 중심으로

        최혜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ask activitie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petency-oriented approach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 activities related to competencies. Since overseas Korean children grow up in a bilingual and bicul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ask activities in textbooks to develop the potential of various competencies and contribute to nurturing them as a successful bilingual who enjoys biculturality.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tasks of 『Machum Hangugeo(customized Korean)』level 5 and level 6 in English, French, German, and Spanish speakers’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five key competencies,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related activities, and identified characteristics revealed by each textbook. The five key competencies were the competency to think critically and creatively; the competency to harness data and information; the competency for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competency to enjoy cultural arts in Korean; and the competency for self-reflection and development, all of which were defined as necessary for overseas Korean children. The study analyzed task activities that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certain competencies in communication tasks of textbook based on the competency category,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ask activities by competency category, in the category of the competency to think critically and creatively. critical thinking activities were mainly related to arguments and grounds, and activities related to creative thinking were mainly based on learners’ imagination. In the category of the competency to harness data and information, there were many activities of writing according to the actual format of genres. The category of the competency for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alt with various topic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rrounding the learners, local communities, and global issues. and also considered intercultural competency through cultural comparison activities. In terms of performance, there was a lack of group or collective cooper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o individual-to-individual cooperation activities. Activities related to the competency to enjoy cultural arts in Korean were only found in English and French speakers’textbooks. In the category of the competency for self-reflection and development, there were interesting activities suitable for the learner’s age, but very few of them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s. The analysis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found that English speakers’textbooks had the largest proportion of complex competency tasks, and French speakers’textbooks had various and the larger proportion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competency to enjoy cultural arts in Korean compared to other textbooks. As for German speakers’textbooks, there was larg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between competency categories. Spanish speakers’textbooks had various and the higher proportion of self-reflection and development task activities than other textbooks. The above analysis revealed some points for improvement: the lack of tasks to cultivate learners’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the combination of critical and creative competencies, lack of texts suitable for genres and related activities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genres, and lack of self-reflection and development tasks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s. Through several examples that modified the existing tasks,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task composition was discussed. This study incorporated the potential competency development and tasks of overseas Korean children learners that have not been dealt with so far.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direction for diversity by focusing on competencies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of the academic community arguing that there is a lack of various task activities in the textbooks for overseas Korean children. 본 연구는 재외동포 아동 한국어 고급 교재의 과제 활동을 역량 중심 접근법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과제에 나타난 역량 관련 활동들의 특성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외동포 아동은 이중언어와 이중문화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들이 여러 역량의 잠재성을 개발해 성공적인 이중언어 구사자, 이중문화 향유자로 성장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재의 과제 활동들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맞춤 한국어』영어권, 프랑스어권, 독일어권, 스페인어권 교재의 5, 6권의 과제를 5대 핵심역량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과제에 나타난 역량 관련 활동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언어권 교재별로 드러나는 특성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5대 핵심역량 범주는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자료·정보 활용 역량, 공동체·대인관계 역량, 문화 예술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이었으며 재외동포 아동에게 필요한 내용으로 정의하였다. 역량 범주를 기반으로 의사소통 과제 중에서 특정 역량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과제 활동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량 범주별 과제 활동의 유형 및 특성 분석 결과,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범주에서는 비판적 사고 역량 관련 활동의 경우 주장과 근거에 대한 활동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사고 역량 관련 활동은 학습자들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는 활동들이 주를 이루었다. 자료·정보 활용 역량 범주에서는 실제 장르 형식에 맞게 글을 쓰는 활동이 많았다. 공동체·대인관계 역량 범주의 주제 측면에서는 주변의 대인관계, 지역 사회, 세계의 문제를 다양하게 다루었으며 문화 비교 활동을 통해 상호문화적 역량도 고려했음을 알 수 있었다. 수행적 측면에서는 개인과 개인 외에 그룹 또는 전체적으로 협력하는 활동이 다소 부족했다. 문화 예술 향유 역량 관련 활동들은 영어권, 프랑스어권 교재에만 나타났다. 자기 성찰·계발 역량 범주를 보면 학습자의 연령에 맞는 흥미로운 자기 성찰 및 계발 활동들이 있었으나 재외동포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구성된 활동들은 매우 적었다. 교재별 특성 분석 결과, 영어권 교재는 복합 역량 과제의 비율이 교재 중에서 가장 높고 프랑스어권 교재는 다른 언어권에 비해 문화 예술 향유 역량 관련 활동의 비중이 높고 유형이 다양한 점이 특성이었다. 독일어권 교재의 경우, 역량 범주 간의 비중 편차가 심하고 스페인어권 교재는 자기 성찰·계발 관련 과제 활동이 다른 언어권에 비해 비중이 높고 다양했다. 이상 분석 결과를 통해 비판적 역량과 창의적 역량의 결합을 통해 학습자의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과제가 부족하다는 점, 다양한 장르의 특성을 배울 수 있도록 장르에 적합한 텍스트 제시 및 연계된 과제 활동이 부족하다는 점, 재외동포의 특성이 드러나는 자기 성찰·계발 과제가 부족하다는 점이 개선점으로 드러났고 기존 과제를 수정한 몇 가지 예시를 통해 과제 구성의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다루어지지 않았던 재외동포 아동 학습자의 잠재적인 역량 개발과 과제를 접목하였다. 이는 재외동포 아동 교재의 과제에 다양한 활동이 부족하다는 기존 학계의 지적에 대해, 지향점을 역량에 두고 다양성의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