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중생의 성적 지향성에 따른 자기수용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성소수자에 대한 개방성과 자기성찰을 중심으로

        이승화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여중생의 성적 지향성에 따라 성소수자에 대한 개방성/자기성찰과 자존감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다. 설문 조사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여자 중학교 1,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303부의 설문지가 분석 되었다. 여중생의 성적 지향성에 따른 성소수자에 대한 개방성과 자기성찰의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이 사용하였고, 성소수자에 대한 개방성/자기성찰과 자존감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접근에 따른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신의 성적 지향성을 ‘이성애자’로 응답하지 않은 여중생이 약 1/4 이상으로 나타났다. 자존감과 자기수용은 성적 지향성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 성소수자에 대한 개방성과 자기성찰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적 지향성을 ‘양성애자’라고 응답한 여중생은 성소수자에 대한 자기성찰이 자존감에 부적 영향을 주었으나, 자기수용이 성소수자에 대한 자기성찰과 자존감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보이면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연구 결과 여중생의 성정체성 혼란을 줄이기 위해 자기수용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성정체성 관련 상담에서 여중생이 자기수용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으로서 형성된 자존감은 건강한 성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overal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penness to sexual minority/self-reflection and self-esteem according to sexual orientation of middle school girl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303 first and second year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Korea. One-way ANOVA was used for analyzing difference of openness to sexual minority and self-reflection according to sexual orientation. And according to the Baron and Kenny(1986) approach,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penness to sexual minority/self-reflection and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more than a quaters of respondents responded they're not heterosexual. Difference of self-esteem and sexual orientation according to sexual identity was not significant, but difference of openness to sexual minority and self-reflection according to sexual identity was significant. For middle school girls responded they're bisexual, self-reflection to sexual minority has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But self-acceptance has positive effect on self-reflection to sexual minority and self-esteem, demonstrating complete medi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role of self-acceptance has revealed important for reducing confusion about sexual identity. Helping middle school girls to accept themselves when counseling about sexual identity will help them form self-esteem, and that self-esteem will help them to form healthy sexual identity.

      • 여중생의 우울과 불안이 학교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지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여중생의 우울과 불안이 학교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여중생들의 정서를 함양시키고, 체육수업에 흥미롭게 참가하여 학교체육수업태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동작구와 은평구에 위치한 중학교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중학교 여중생을 대상으로 서울 지역 여중생 350명과 전주지역 여중생 34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690명 중 설문지에 응답한 수는 690명이었으나,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13부는 제외시켰으며, 총 677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사용된 분석기법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 α,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우울과 불안, 학교체육수업태도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 우울과 불안의 하위요인이 학교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여중생의 우울과 불안이 학교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중생의 우울에 차이가 있었다. 지역에 따른 여중생들의 우울에서는 서울지역의 여중생들이 전주지역의 여중생보다 우울 정서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주지역의 여중생이 서울지역의 여중생보다 긍정적 정서가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여중생들의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2학년이 1학년과 3학년보다 우울 정서,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 신체적 저하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중생의 불안에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 따른 여중생의 불안 요인 중 상태불안과 특성 불안의 부정이 2학년과 1학년에 비해 3학년이 높게 나타났으며, 2학년, 1학년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여중생의 불안은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전주지역의 여중생들이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의 부정에 약간 높은 평균값을 얻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중생의 학교체육수업태도에 차이가 있었다. 지역에 따라 여중생들의 학교체육수업태도에서는 서울지역 여중생들의 기술/체력적 태도가 전주지역의 여중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기본적 태도가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1학년이 기본적 태도, 기술/체력적 태도, 심리적 태도, 사회적 태도에서 2학년, 3학년보다 높았으며, 2학년과 3학년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넷째, 여중생의 우울이 학교체육수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여중생들의 우울 요인 중 우울 정서가 기본적 태도, 기술/체력적 태도, 심리적 태도, 사회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주지역 여중생들의 우울 요인 중 긍정적 정서가 기본적 태도, 기술/체력적 태도, 심리적 태도, 사회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중생의 불안이 학교체육수업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과 전주지역 여중생들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요인인 긍정이 기본적 태도, 기술/체력적 태도, 심리적 태도, 사회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주지역의 특성불안 긍정과 부정은 사회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eachers with useful guidelines for managing their class more effectivel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depresstion and anxiety on the physical education attitudes in middle school girls and, as a result, to improve class participation by motivating students to enjoy class. For this study, I have sampled 350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Dongjak-Gu and Eunpyung-Gu in Seoul and 340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ju. This survey had 690 questionnaires but I only used 677 questionnaires except 13 questionnaires which had low reliabilities. For analyzing the data from this study, Cronbach' α was used to identify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also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s and grades.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ubfactors in depression and anxiety on class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more depressed than those in Jeonju and students in Jeouju have more positive feelings than those in Seoul. According to grade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 but second grade students reached higher than average score in depression, positive feelings, peer relationships, and physical depress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garding regions, state anxiety in third grade students scored highest. Second and first grade students followed in order. In addition, trait anxiety in third grade students scored highest. Second and first grade students followed in order. There were no big regional difference but students in Jeonju reached a bit higher than average score in state and trait anxiet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ass attitud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garding class attitude, technical/physical attitude has biggest difference between two regions. Seoul has far better attitude in those two attitudes compared to Jeonju. Basic attitude follows next. Regarding grades, first grade students have better scores in basic, technical/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ttitude compared to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 between second and third grade students. Fourth,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s great influences on class attitude. In Seoul, a subfactor in depression, a depressed feeling, affected basic, technical/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ttitude and, in Jeonju, a subfactor, a positive feeling, affected basic, technical/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ttitude. Fifth, it was found that anxiet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has great influences on class attitude. A subfactor in state and trait anxiety, positive feeling, affected basic, technical/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ttitude in both Seoul and Jeonju and subfactors in trait anxiety,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affected social attitude.

      • 여중생의 메이크업 인식과 자가 메이크업 교육 프로그램 개발

        송지선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the 21st century is the period of one-person media, many middle school girls easily obtain makeup information unlike the past and follow it imprudently without correctly understanding and knowing exact ways of makeup. In this sense, the need to give correct awareness and education of make-up to them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keup awareness and the need and preference for self-makeup education and develop a self-makeup program in middle school girls. A total of 83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2 middle schools(300 girls from each) located in Jeonbuk, Jeonnam, and Gwangju(2 coeducational schools and 2 girls’ middle school from each) from August 1~30, 2015.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in middle school girls, the effect of their inclination on makeup awareness was analyzed. Interest in makeup was high in those having a boyfriend in the present or past. For importance of appearance, more than half of them answered ‘important’. For the period of starting makeup,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1st graders answered ‘the 5-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3rd graders answered ‘middle school’ and the percentage of the answer was higher than other graders. Most of them started makeup because of their friends or sister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resent middle school girls started makeup in earlier age than the past girls. Second, the eff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awareness of self-makeup education was analyzed in middle school girls. Most of them had high interest in makeup but had not received makeup education. Thus, high percentage of them show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elf-makeup education, indicating high interest and needs for the education. Preferred methods to obtain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self-makeup was to receive practice-focused education for 1-2 hours by professionals or theory and practice in the ratio of 5:5 in school. Third, the effect of makeup awareness on awareness of self-makeup education was analyzed. Those having high interest in makeup and usually applying makeup in general including lips, eyes, and a cheek had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 program which offers makeup demonstration and skin care information. Those starting makeup in earlier age and having high frequency of makeup preferred to obtain beauty knowledge from professionals. Preferred education was a more professional method such as theory and practice in the ratio of 5:5. Those having low interest in makeup preferred to get skin care information. Fourth,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a correct program for self-makeup education. The self-makeup program was developed to help understand a correct way and concept of makeup, find better self-image according to eyebrows and face types, and use learned information in daily life more easily with higher confidence through more natural base and color makeup.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more satisfying self-makeup programs based on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o supplement its insufficienc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education data for correct makeup information, increasing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middle school girls. 21세기는 1인 매스미디어 시대인 만큼 과거와 달리 손쉽게 메이크업에 대한 정보를 얻고 메이크업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정확한 방법도 모르고 무분별하게 따라하는 여중생들에게 올바른 미용인식과 교육의 필요성이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여중생들을 대상으로 메이크업인식과 자가 메이크업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여중생을 위한 자가 메이크업교육의 필요성과 선호도를 알아보고 이를 반영한 자가 메이크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5년 8월 1일∼8월 30일까지 전북, 전남, 광주 중학교 대상으로 각 지역 남녀공학중학교 2곳, 여자중학교 2곳에 재학 중인 전교생 여학생을 대상으로 각 지역 300명 총 12곳 중학교 총 835부의 설문지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중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해 이들의 성향을 분석하여 메이크업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메이크업의 대한 관심도는 현재 이성친구가 있거나 경험해 본 친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외모의 중요도는 여중생의 절반 이상이 외모가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메이크업을 처음 시작한 시기는 1학년은 초등학교 5∼6학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학년은 중학교에서 다른 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메이크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친구들이나 자매의 화장하는 모습을 보고 접하여, 이는 과거보다 현재 여중생들의 메이크업을 시작하는 시기가 낮아지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중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해 이들의 자가 메이크업 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메이크업에 관심도는 높았으나 미용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없어 자가 메이크업 교육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 미용에 대한 지식과 정보는 전문가를 통해 학교에서 교육시간은 1시간∼2시간 실습위주의 또는 이론과 실습을 5:5로 구성하는 교육 방법을 선호하였다. 셋째, 여중생들의 메이크업 인식에 관련해 자가 메이크업 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평소에 입술, 눈, 볼의 전체까지 메이크업을 하는 학생들이 메이크업 시연과 피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참여 의사가 높았으며, 메이크업을 시작한 시기가 낮을수록 평소 메이크업의 빈도가 높을수록 자가 미용에 대한 지식을 전문가에게 얻기를 선호했고 교육방법은 이론과 실습을 5:5로 구성하는 좀 더 전문적인 교육방법을 선호하였다. 또한 메이크업에 관심도가 낮은 학생들은 피부관리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를 바탕으로 여중생을 대상으로 올바른 자가 메이크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메이크업의 올바른 방법과 개념을 이해하고 눈썹의 형태, 얼굴형에 따른 자기 자신의 이미지를 찾아 자연스러운 베이스 메이크업과 색조 메이크업 교육을 통해 본인 스스로가 좀 더 자신감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통해 배운 내용을 생활 속에서 쉽게 활용하고 실천 할 수 있도록 본 자가 메이크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자 메이크업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하여 보다 만족도 높은 자가 메이크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여중생들에게 올바른 메이크업 정보제공을 위한 교육적 자료의 기초를 마련하고 자신의 외모만족도를 높여 여중생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女中生의 化粧品 使用實態와 購買行態에 관한 硏究 : 서울과 파리 지역 女中生을 比較 中心으로

        김수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to survey the understanding on cosmetic and real purchase behavior of the western and eastern middle school girls who has different cultural and ethnic backgrounds.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is to prove detailed and useful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to pre-occupy the teen’s cosmetic market in global area. For this study, 50 questionnaires were made up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osmetic usage, patterns of cosmetic purchasing and the understanding on the image making and appearances among the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Korea and Paris, France.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program was used toanalyz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s are calculated to find the general characters of the sample. Chi-square, the frequency analysis, T-test(verification) and the One-way ANOVA are alsoused to find out the level of kowledge, the tendency of choice and purchasing cosmetics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ppearances and imag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Korean and French middle school girls use basic cosmetics, many of the Korean girls start to use from year 5 or 6 in primary school while the French from their pre-school ages. The ratio of using make-up kits among Korean girls occupies 60.5 % while the French 81.3%. The Korean girls most often use lip gloss and BB cream while the French use lip gloss and eye liner. Most of the girls from both countries make up every day. Korean girls tend to focus on covering the facial faults while French girls give focus on eye make up. Both groups make up in order to look better. Second, the pimpled face was considered most troublesome to the both groups. Many of the French girls believe that they will have better facial skin in their adulthood with careful skin treatments onwards while only few Korean girls believe that way. It shows that the two groups have different views on the facial treatment. Third, most of the girls buy cosmetics by themselves. Many Korean girls also accompany their parents when they buy cosmetics. As to the places to buy cosmetics, both groups chose cosmetic stores for their conveniences. But more of the French girls use skin care shops than Korean girls. Fourth, as the average cost of purchasing cosmetics, both groups spend around 10,000-20,000 Korean Won. They also tends to buy on impulse as answered that they buy cosmetics at any time when they found interesting commodities. Regarding to the source on the cosmetic information, many Korean girls get it from their friends while the French get from TV. However, both groups consult with their friends when they gratify cosmetic curiosities. Fifth, both groups show high interest on participating in make-up demonstrations and skin information programs.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ose programs would affect on the purchasing. Many of the girls care about the makers of the cosmetics and this tendency is higher on the Korean girls than the French. Sixth, the Korean girls show high interest and purchase intentions in sun-block and whitening products while French girls show high interest and purchase intentions in eye shadow and eye liner. This result comes from the different ethnic and cultural background. Also it shows that social favor to white skin affects even to the young girls. The Korean girls take the price and the quality as the important factor for choosing cosmetics while French girls reckon the pric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is means that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cosmetics which has high quality with lower price to enter into the European market. Seventh, lots of girls from both countries hope to have plastic surgeries, especially Korean girls show its tendency more than those of the French.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Korean girls have high desire on the beauty and positive attitude to the plastic surgery. Most Korean girls want plastic surgery on eyes while most French girls want it on nose. Additionally the French girls want to have it on the hip and breast. This means that the dissatisfactions on the appearance caused by the different cultural and ethnic background. It also shows different understanding on beauty according to the cultural and ethnic background. Eighth, both of the groups pointed out that the appearanc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image. The Korean middle school girls reckon the academic performanc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mage making while the French middle school girls regard the appearance as the most important one. 본 연구는 동서양 여중생들의 인종과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화장에 대한 인식과 사용 실태의 조사를 통해 청소년 화장품 시장에서의 성공 전략과 해외 새로운 세분 시장 선점에 구체적이고 유용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한 도구는 한국의 서울과 프랑스 파리의 여중생들의 화장품 사용 실태와 구매행태, 외모와 이미지 메이킹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총 50문항으로 구성돼 있는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한국과 프랑스 여중생들의 화장품 사용과 지식, 화장품 선택과 구매 성향, 외모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 검증과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프랑스 여중생들의 대다수가 기초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 여중생의 경우 초등학교 5~6학년 때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학생들이 많았고 프랑스 여중생들은 유치원 때 처음 사용하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의 여중생 60.5%, 프랑스 여중생 81.3%가 메이크업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국의 경우는 초등학교 5~6학년 때, 프랑스의 경우는 유치원 때 메이크업 제품을 처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여중생들은 립글로스와 비비크림을 프랑스 여중생들은 립글로스와 아이라이너를 많이 사용하였고 한국과 프랑스 여중생 대다수가 매일 메이크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여중생들은 피부 결점을 커버하는 데에 프랑스 여중생들은 눈 화장에 많은 신경을 썼으며 양국의 여중생들은 모두 더 예쁘게 보이기 위해 메이크업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피부 최대 고민으로는 양국의 여중생들 모두 여드름을 꼽았고, 프랑스 여중생의 대다수가 지금부터 피부 관리에 신경을 쓴다면 성인이 되었을 때 더 좋은 피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여중생들은 극히 일부만이 인식하고 있어 피부 관리의 인식에 있어 양국 여중생들의 큰 사고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셋째, 화장품 구매는 양국 여중생 모두 본인이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고, 한국의 경우 부모님과 구입하는 학생의 비율이 프랑스 여중생보다 높았다. 구매하는 장소에 대한 답변은 양국 여중생 모두 구입이 간편하다는 이유를 들어 전문점에서 구입한다는 학생이 많았고 프랑스 여중생의 경우 한국 여중생에 비해 피부 관리실에서 구입하는 학생이 많았다. 넷째, 월평균 화장품 구입비용은 양국 모두 1~2만원을 지출하는 경우가 많았고 관심 상품이 있으면 아무 때나 구입한다는 여중생이 많아 화장품 구매에 있어 충동적인 성향을 나타내었다. 화장품에 대한 정보는 한국 여중생은 친구에게서 얻는 경우가 많았고 프랑스 여중생은 TV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양국 여중생들 모두 화장품에 대한 의문점을 친구들과 상의하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한국과 프랑스 여중생들은 메이크업 시연이나 피부 정보 프로그램에 높은 참여 의사를 나타내었고, 양국 여중생들 대부분이 그러한 프로그램이 구매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화장품을 구매할 때 많은 학생들이 어느 회사 제품인지 확인하고 구입하였는데 그러한 경향은 프랑스 여중생보다 한국 학생들의 경우가 더 높았다. 여섯째, 한국 여중생들은 자외선 차단제나 미백 제품을 프랑스 여중생들은 아이섀도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제품에 많은 관심과 높은 구매의사를 나타냈다. 이는 인종과 문화의 차이를 확연히 나타내는 결과로 뿌리 깊은 동양인의 미백 피부에 대한 사회적 선호가 연령이 낮은 학생들에게 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여중생들은 화장품 선택 시 가격과 품질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프랑스 여중생들은 가격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어 유럽 화장품 시장 내에 품질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은 우리나라 저가 화장품의 진출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곱째, 많은 프랑스와 한국 여중생들이 성형 수술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한국 여중생들의 경우 그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나, 한국 여중생들의 미에 대한 강한 욕구와 성형 수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엿볼 수 있었다. 성형 수술을 원하는 부위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여, 한국 여중생들은 눈을, 프랑스 여중생들은 코를 성형하길 원하였고, 프랑스의 경우 기타 의견으로 엉덩이 가슴 부위에 대한 수술을 원하는 학생이 높은 비율로 조사되어 문화와 인종의 차이로 오는 외모에 대한 불만과 선호하는 미인상에 대한 인식 차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여덟째, 이미지의 영향 요소로 양국 여중생 모두 외모를 꼽았고, 한국 여중생들이 프랑스 여중생보다 자신의 이미지에 학업 성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한 비율이 높았고, 프랑스 여중생들은 한국 여중생들보다 외모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상기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매년 메이크업을 시작하는 연령이 낮아지고 있으며 또래 집단의 관여도가 매우 높고 메이크업의 유행주기와 속도 또한 빠르게 진행됨을 알 수 있다.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지식과 구매태도에서 니즈가 매우 다양하고 제품 정보나 화장 방법에 있어 정보 욕구가 강한 것이 특징이었다. 자신의 스타일을 총체적으로 완성시키기 위해 뷰티 산업 전반에 매우 강한 관심도를 나타내었고 높은 자아 존중감과 미적 탐구심은 뷰티 산업 전반에 걸쳐 큰 소비자층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 여중생의 뷰티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이여주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tudy on Beauty of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 for beauty of Middle School Girls Yeo Ju Lee Department of Convergence of Industry,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Chun-Sung Yun) As current trends change in the modern times, middle school girls who are obsessed with appearance have shown sensitive response and interest in cultural trends and created their own beauty behavior. In the early stage of adolescence, middle school girls tend to have their appearance assessed in relationship with peers. Therefore, they might have undesirable beauty behavior due to distorted perception or obsess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girls’ perception of beauty, beauty attitude and beauty behavior and analyze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beauty perception and beauty attitude on beauty behavior.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irection for desirable beauty attitude and beauty behavior by providing correct knowledge and diverse information on beauty for middle school girl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gainst 7th, 8th and 9th grade girls in Jeju,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rom August 24 to September 7, 2015. A total of 476 copies out of 500 questionnaires except for inadequate and poorly answered on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is divided in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auty perception, beauty attitude and beauty behavior. It consists of a total of 68 questions including a nominal scale.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ronbach's alpha test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 18.0.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middle school girls’ beauty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auty attitud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sub-variables of beauty perception, ‘importance of appearance’ and ‘necessity of appearance management’ were derived. In beauty attitude, ‘importance of appearance’ was important. In beauty perception, in contrast, ‘necessary of appearance management’ was a critical factor. Second, beauty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auty behavi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its sub-variables, ‘skin beauty behavior,’ ‘hair beauty behavior,’ ‘make-up beauty behavior’ and ‘nail beauty behavior’ were derived. In these four behaviors, beauty perception such as ‘importance of appearance’ and ‘necessity of appearance management’ was important. Third, beauty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beauty behavio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said four behaviors, beauty attitude was an important factor. Fourth, in beauty behavior,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interest in ‘skin beauty,’ followed by ‘make-up beauty,’ ‘hair beauty’ and ‘nail beauty.’ When asked how much they work on the field they are interested in, ‘nothing’ was most responded. When asked about what is the main source of beauty information, ‘friend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the reasons of their interest in beauty, ‘because my friend is interested in’ was most responded. These results reveal that middle school girls want to have attractive appearance because of conformity phenomena in a peer group.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re should be appropriate education which can help students have correct beauty perception, not focusing too much on their appearance and positive attitude on their body, which could in turn change their wrong beauty percep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middle school girls’ specific beauty behavior which accounts for a big portion in domestic beauty industry, helps them have appropriate beauty attitude and behavior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beauty program for middle school girls. 현대 사회의 유행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문화적 트렌드에 민감한 반응과 관심을 보이며 외모에 지나친 집착을 하는 여중생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뷰티행동을 만들어 가고 있다. 청소년 초기의 여중생들은 또래들 간의 관계 속에서 외모를 통해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으려는 경향이 있어서 왜곡된 인식이나 집착은 그릇된 뷰티행동을 갖게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중생의 뷰티인식, 뷰티태도, 뷰티행동의 관계를 조사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 뷰티인식, 뷰티태도가 뷰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여중생들의 뷰티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바람직한 뷰티태도 및 뷰티행동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여중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24일부터 9월 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해 총 500부를 배부하고 부실기재 및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한 47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 뷰티 인식에 관한 문항, 뷰티태도에 관한 문항, 뷰티행동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명목척도를 포함한 6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 빈도분석, 요인 분석, 신뢰도검증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의 전반적인 뷰티인식이 뷰티태도간의 관계에서 뷰티인식은 뷰티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뷰티인식의 하위변인으로 ‘외모 중요성’, ‘외모필요성’ 2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여중생의 뷰티태도에 있어 외모 중요성, 외모관리 필요성의 요인은 뷰티인식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여중생의 뷰티인식은 뷰티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피부미용행동’, ‘헤어미용행동’, ‘메이크업미용행동’, ‘네일미용행동’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여중생의 ‘피부미용행동’, ‘헤어미용행동’, ‘메이크업미용행동’, ‘네일미용행동’의 요인은 외모 중요성, 외모관리 필요성 등 뷰티인식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여중생의 뷰티태도는 뷰티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피부미용행동’, ‘헤어미용행동’, ‘메이크업미용행동’, ‘네일미용행동에 있어 뷰티태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뷰티행동 실태에서는 가장 관심 있는 미용분야는 피부미용, 메이크업미용, 헤어미용, 네일미용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관심 있는 미용분야를 위한 노력은 아무 노력하고 있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뷰티에 대한 주 정보원은 친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뷰티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주변 친구들이 관심이 있어서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러한 결과는 여중생들의 또래집단과 동조현상에 의해 매력적인 외모를 지향하려고 노력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연구는 인간발달에서 중요한 시기를 겪고 있는 여중생들이 지나친 외모관리에 치중하지 않고, 올바른 뷰티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절적한 인식교육이 필요할 것이며 자기 신체상의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여 행동으로 옮기는 뷰티인식의 전환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로서 뷰티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여중생들의 뷰티행동의 구체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분별력 있는 뷰티태도와 뷰티행동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며, 여중생의 뷰티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한국 광주광역시와 중국 산동청도시 여중생들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

        이로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 광주 지역과 중국 청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여중생들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기간은 2013년 8월 1일부터 2013년 9월 5일 까지 한국인 198명, 중국인 193명 총 391명 대상자에게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특성 8문항, 화장품사용에 관한 내용 20문항으로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한국과 중국 여중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화장품 사용실태, 화장품 구매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카이스케어 검정()을, 색조화장에 대한 의견과 화장을 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 여중생은 대부분 기초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중국 여중생은 58.0%이었고, 기초화장품을 처음 사용한 시기로 한국 여중생은 ‘중학교 1학년’이, 중국 여중생은 ‘중학교 2학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사용하는 화장품 종류로 한국과 중국 모두 ‘10대 화장품+성인화장품’이 가장 높았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화장품으로 한국은 ‘스킨’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세안제(폼 클렌징)’이 가장 많았다. 색조화장품을 사용하는 한국은 79.2%이었으며, 중국은 39.9%이었고, 색조화장품을 처음 사용한 시기로 한국은 ‘중학교 때부터’가 중국은 ‘중학교 때부터’가 이었다. 색조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한국과 중국은 모두가 ‘귀찮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졸업이후 색조화장품을 사용하겠다는 한국은 대부분이었으나, 중국은 59.1%이었다. 학교 안에서 화장을 하는 정도로 한국과 중국 여중생 모두가 ‘기초화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학교 밖에서 화장을 하는 정도도 기초화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학교 안에서 중학생의 적정 화장정도로 한국 여중생은 ‘기초+BB크림’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화장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가 가장 많았다. 학교 밖에서 중학생의 적정 화장정도로 한국은 ‘기초+BB크림+틴트, 립글로스+파우더, 파운데이션’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기초화장’이 19.9%로 가장 많았다. 색조화장에 대한 의견은 한국은 ‘색조화장 한 친구가 예쁘게 보인다’.는 의견이 중국보다 더 높았으며, 중국은 ‘중학생이 색조화장을 하는 것은 학생신분에 지나치지 않다’. 의견이 한국 보다 더 높았다. 화장을 하는 이유는 한국은 ‘화장을 하면 만족감을 느끼기 때문에 한다’ 등 모든 항목에서 중국 보다 화장을 하는 이유가 더 높았다.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으로 한국 은 ‘옥외광고’가 가장 높았으며, 중국은 ‘잡지’가 가장 높았다. 메이크업 시 가장 신경을 쓰는 부위로 한국은 ‘피부표현’이 중국은 ‘눈’이 가장 높았고, 색조화장의 영향을 받는 사람으로 한국은 ‘연예인’이, 중국은 ‘친구’가 가장 높았다. 화장을 통해 표현을 원하는 것으로 한국은 ‘자기표현’이, 중국은 ‘성숙미’가 가장 높았고, 본인에 맞는 화장법을 배우고 싶은 한국은 95.9%, 중국은 77.0%이었다. 화장품 구입 시 가장 많이 고려하는 요인으로 한국과 중국 모두가 ‘피부에의 적합성’으로 나타났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재 구매 할 의향은 한국 여중생은 44.2%, 중국 여중생은 74.1%이었으며, 화장품의 가장 큰 불만족으로 한국은 ‘유분감’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품질보다 비싼 가격’이 가장 많았다. 헤어 염색에 대해 한국은 ‘괜찮다’가 가장 많았고, 중국은 ‘그저 그렇다’가 가장 많았으며, 방학 중 염색한 경험이 있는 한국은 48.7%, 중국은 36.8%이었다. 손톱손질을 한 경험이 있는 한국은 78.1%, 중국은 46.9%이었으며, 피부상태는 한국은 ‘복합성’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자신의 피부상태를 ‘모른다’가 가장 많았다. 피부에 대한 고민으로 한국과 중국 모두 ‘여드름’으로 가장 높았으며, 피부관리는 한국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소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광주 지역과 중국 청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여중생들의 외모관심도 및 외모관리행동과 화장품 구매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 여중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화장품 마케팅 전략수립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여중생,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 화장품 구매성향, 화장품 구매행동

      • 방과 후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이 경숙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방과 후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관계를 연구하여 댄스스포츠에 참가하는 여중생에게 보다 나은 미래와 지적, 정서적 성장 및 발달과 이후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을 하는 데 많은 도움을 제공해 줄 것이라 생각하면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8년 현재 K도 G시에 재학중인 여중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목적표집법을 통하여 댄스스포츠 활동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참가자 180명, 비참가자 180명, 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이후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완성시키고 이중 통계처리에 부적절한 10부의 설문지는 제외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에 앞서 스포츠심리학 교수 1인과 스포츠심리학을 전공한 박사 1인과의 토의를 통해 설문지의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수집된 설문지 자료를 바탕으로 방과 후 댄스스포츠 참여에 따른 여중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상의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 후 댄스스포츠 참여여부에 따른 여중생의 스트레스는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댄스스포츠 참여 여중생의 스트레스가 비참여 여중생의 스트레스보다 낮았다. 둘째, 방과 후 댄스스포츠 참여여부에 따른 여중생의 정신건강은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댄스스포츠 참여 여중생의 부정적 정신건강이 비참여 여중생의 부정적 정신건강보다 낮았다. 셋째, 방과 후 여중생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은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이는 댄스스포츠 참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댄스스포츠 참여여부와 상관없이 여중생의 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신건강은 정적상관이 있었으나, 댄스스포츠 참여 여중생의 상관이 비참여 여중생의 상관보다 낮았다. 넷째, 방과 후 여중생의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댄스스포츠 참여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댄스스포츠 참여여부와 상관없이 여중생의 스트레스는 부정적 정신건강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나, 댄스스포츠 참여 여중생의 설명력이 비참여 여중생의 설명력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방과 후 댄스스포츠 참여 여중생의 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신건강이 비참여 여중생보다 낮았으며, 두 변인의 관계에서도 참여 여중생의 경우 상관관계가 낮음은 물론 스트레스가 부정적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비참여 여중생보다 낮았다. 즉, 댄스스포츠 참여 집단의 설명력이 낮은 것은 댄스스포츠 참여에 의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by Participation After-School Dance Sports on their mental health will contribute to their better future, intelligent and emotional growth, and smooth school and social lif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emale students who go to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G City, K Province as of 2008. By purposive sample, a total of 360 students were selected: 180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and 180 students who have no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and completed by self-administration method. Out of them, 10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inappropriate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identified by discussion between a professor from a department of sports psychology and a doctor who majored in sports psychology before it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high reliability. Based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of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and their mental health were clarified. T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 level among the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That is, the stress of the femal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was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t. Second, depending on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their mental heath was different. In other words, negative mental health of the femal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was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had not. Third, the stress of the female students after school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mental health, and its correlation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or not. That is, while their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ir negative mental health regardless of their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the correlation of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was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have not. Fourth, the female students' stress after school had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and its effects varied depending on whether they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or not. In other words, their stress had effects on negative mental health regardless of their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and explanation ability of the femal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was lower than that of those who have not. In sum, the stress and negative mental health of the femal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after school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who have not.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female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showed a lower correlation than those who have not. The former also showed that the effects of stress on negative mental health were low.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low explanation ability of the group who have participated in dance sports was caused by participation in dance sports.

      • 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김인옥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 of the sand tray program on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females.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three middle school girls the age of 14. In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wareness test for depression and earned at least 20 scales. The findings are associated with (a) whether the Sand Tray Program decreases the likelihood of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girls, or (b) whether the Sand Tray Program decreases a form of nonverbal expression of depressed thoughts by session. The Program, focused on a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was designed to enhance self-esteem, achieves insight through positive self-awareness, and helps to build bright futu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ce a week for ten weeks and one session lasted approximately fifty minutes. To examine whether the sand tray program moderated the level of depression, I compared the subjects’ pre and post self-concept scores. The study is also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derived from each session. The transition of nonverbal expression of depression was recorded and observed to elicit information about participants’ behavior. One of the prominent outcomes is that the sand tray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middle school girls and helps indicate low-level depression. Another result is that the program makes it possible to change the verbal expression of depressed middle school girls. The data are derived from a sample of three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on.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was limited. Nonetheless, I was able to fi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nd tray program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middle school girls. 본 연구는 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우울 문제로 S시 부모회에 의뢰된 청소년 중 자기보고식 우울 검사에서 20점 이상인 만 14세의 여중생 3명이다. 연구문제는 첫째, 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우울을 감소시키는가, 둘째, 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이 회기 내 여중생 우울의 비언어적 표현을 감소시키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자기 중심적인 부정적 사고로 인해 자신의 성취를 낮게 평가하고, 자신을 비효과적 존재로 지각하는 우울한 여중생 심리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사고로 전환하기, 자신의 긍정적 모습 탐색을 통해 능력과 잠재력에 대해 자신감 가지기, 긍정적 미래 설계하기에 중점을 두고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주 1회, 50분,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여중생의 우울 변화는 사전 · 사후에 자기보고식 우울 검사에서 측정된 점수로 비교해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여중생 우울의 비언어적 표현 변화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진행 상황을 녹화 한 뒤 ‘우울 행동 관찰 지표’ 를 사용하여 행동을 관찰 · 기록하여 회기별로 비교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은 여중생 우울을 감소시켰다. 둘째, 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은 여중생 우울의 비언어적 표현을 변화시켰다. 본 연구는 3명의 우울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소수 사례연구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여중생의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태권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안성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이 여중생의 태권도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 N시에 재학중인 여중생 26명을 대상으로 태권도 체험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적용 전, 적용 후의 태권도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태권도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은 태권도에 대한 흥미,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태권도 인식, 심리․인성에 기여할 수 있는 태권도 인식, 홍보에 기여할 수 있는 태권도 인식과 태권도 기본기능을 측정 하였다.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 적용집단인 실험 집단의 태권도에 대한 인식을 적용 전, 적용 후의 자료와 통제집단의 자료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흥미(즐거움)는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 처치 집단인 실험집단의 흥미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강(스트레스 해소, 피로해소, 체력증진)에 기여 할 수 있는 태권도 인식은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 처치 집단인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심리․인성(자신감, 참을성) 에 기여 할 수 있는 태권도 인식은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 처치 집단인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홍보(도장시설, 지도자의 실력)에 기여 할 수 있는 태권도 인식은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 처치 집단인 실험집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태권도 체험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태권도 기본기능 학습 성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e Effect of Middlle School Girls Taekwondo Experience Program on Their Awareness to Taekwondo. An, Sung Mi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Park, In Kyu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26 middle school girls in Chungnam N city to identify what effect Taekwondo experience programs have on middle school girls' perception to Taekwondo and what differential views they hav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ubcategories of perception on Taekwondo were an interest in Taekwondo, Taekwondo as a contributor in physical health, Taekwondo improving mental health and building upright character as well as promotion for effectiveness and basic skill of Taekwondo. By comparing the result showing perception changes on Taekwondo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Taekwondo experience program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with control group's it came to the conclusions as followed; First, it showed that interest(enjoyment) according to Taekwondo experience program implementa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Taekwondo experience program. Second, the perception on Taekwondo as a health contributor-stress reliever, fatigue reliever, enhancement of physical strength-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Taekwondo experience program. Third, the perception on Taekwondo which built an upright character presented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Taekwondo experience program. Fourth, the perception on Taekwondo which contributed promotion-taekwondo studio, ability of leaders-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Taekwondo experience program. Fifth, Taekwondo basic skill acquisition result according to Taekwondo experience program did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 우울 성향 여중생의 정신역동적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민정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in an attempt to examine the impact of psychodynamic art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selected girls at J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Busan. After a psychodynamic art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11 sessions, twice a week, from March 7 to April 11, 2013. To make a quantitative research, four different inventories were utiliz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evaluate the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the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As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9.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in depression, anxiet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nd what differences there were between their pretest and posttest scores in the four variables was analyzed. Wilcoxon Signed Rank Test that was one of nonparametric tests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since the number of the cases was small. In addition, DAS and PITR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ir pictures were interpreted to see whether there would be any changes in their depression. Finally,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their behavioral changes after each 90-minute session was recorded and participants' drawings were examin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activities of the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during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they became aware of and accepted their own depressive feelings and fear and learned to think positively. There was a decrease in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ir self-esteem and confidence about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increased. Second, the pictures that they drew in each session were analyzed to see if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would bring any psychological changes to depression, and their verbal reaction was analyzed as well. Their depressive feelings that had been exposed in the form of being intimidated and aggression were relieved while they expressed and embraced their own feelings, and they became more stable emotionally. Third, their pictures and verbal reaction in each session were analyzed to see if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would bring any psychological changes to anxiety. They were able to get out of their anxiety by accepting themselves in virtue of trying to find out the cause of their anxiety and express their negative emotions. We find that they became more stable. Fourth, their pictures and verbal reaction in each sessions were analyzed to see if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would bring any psychological changes to self-esteem. At the beginning, they underestimated themselves and scarcely described what's good about themselves. After they described their own strength and memories of being loved by others and they got positive feedbacks from one person to another, their self-esteem was improved greatly. Fifth, their pictures and verbal reaction in each session were analyzed to see if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would bring any psychological changes to peer relationship. Sharing the case of group members, all participants find out what caused their conflict and they was able to grasp the cause. This activity leads to concret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ake new friends. They were alone in their early pictures, but they were with others in their later pictures. Thus, there was improvement in the peer relationship. Sixth, the DAS and PITR tests and a BDI depression inventory were utiliz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see if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would bring any psychological changes to the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Their depression indexes were lower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which showed that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served to relieve the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Seventh, the anxiet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inventories were utiliz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see if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would bring any psychological changes to the anxiety,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the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And there was a decrease in their anxiety in the posttest, and their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improved. Therefore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served to alleviate the anxiety of the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and boost their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is the effective activities to relieve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and bolster their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apply psychodynamic art therapy, which is of use for psychological oppression that is the cause of depression and suicide, to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who are more frequently depressed than in their childhood and adulthood. Accordingly, the psychodynamic art therapy is expected to be available as one of efficient treatment tools to bring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s to middle school girls with depressive dis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