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

        이혜경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level of expectation on female workforce is increasing due to the needs of the nation to secure future work resources as the world faces rapidly growth of low birth rate and aging society. However, the use of female human resources in Korea is still low compared to the developed countries. Especially career break of women keeps on going. Of course, the perception of female status has changed a lot and more women want to enter the world of vocation again, but it is true that various obstacles are laid in their career path. Therefore, a variety of solution is required to address these issues and induce women into economic activities again. To dat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re-employment of women with career break mainly focus on their employment status and supporting plans, the demand analysis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process of labor market re-entry, the development of supporting programs for employment or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been interested in career planning and the actual variables related to it.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ion to learning of women with interrupted career upon their career planning.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derived key variables from the precedent studies and set up a research model. And it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model with empirical data. Namely, theoretical exploration was made upon the variables of self-direction and career planning to build the research model and empirical data were analyz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To do so,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mpact does the self-efficacy of women with career break have on their career planning, while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final education, marital status, period of career break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re controlled? Second, what impact does the self-direction to learning of women with career break have on their career planning, while the demographic variables (age, final education, marital status, period of career break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re controlled?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ith questionnaires was carried out on the research objects that satisfied a couple of criteria defined by the researcher for the convenience of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adult learners with career break in 7 lifetime learning entities located in Taegu (5 lifetim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and 2 lifetime learning centers affiliated with university) for 4 week,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week of March. T questionnaire consists of a total of 67 questions including demographic and key variables. 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fter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paid a direct visit to the concerned institutions, met persons in charg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facilities and explained of the purpose, methods and precautions of the study. A total of 290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and 268 were collected (92.4% of collection rate). With 15 questionnaires excluded due to insincere responses, 253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87.2% of effective data rate). Hangul version SPSS 18.0 was employ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nder these statistical analyses, the following results came out. First, it turned out that age has a positive impact on career planning,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while marital status and duration of career break have a negative impact on career planning. That is, the older a woman whose career has been interrupted is; if she is single; and the shorter her career break lasts, the higher level of career planning i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f-efficacy of a woman with career discontinuity has a positive impact upon career planning. Of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confidence and self-control efficacy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ver career planning while preference to task difficulty didn’t have impact on career planning. It can be summarized in this way. When a woman with career break has a stronger pride and self-control efficacy by which she can set a goal and control it, she has higher level of career planning. Third, the factors of self-control efficacy among th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the greatest impact upon career planning. It implies that the level of career planning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positively a woman with career break designs her career goal, controls herself and makes a judgment. Fourth, it turned out that preference to task difficulty of th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didn't have a significant impact upon career planning. It can be explained that a woman with career break tends to choose more a career plan that she thinks she can control or handle than difficult one because she has experienced various barriers to her career path before. Fifth, it turned out that pride of th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has impact upon career planning even when self-direction to learning of a woman with career break had impact on it. It explains that when a woman with career break plans her career path, which requires her to tentatively design her own career goal, she will have higher level of career plan by believing and having confidence in herself that she can handle herself well in various situations in pride. Sixth, self-control efficacy, which is a sub-factor of self-efficacy, did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lanning when self-direction to learning of a woman with career break had impact on it. It implied that self-direction to learning – that a learner thinks that she or she can know what he or she needs to learn; acquire information needed; decide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and learn them by her/himself – and self-control efficacy - that one observes, adjusts and reacts to his own competence – play a similar role in making career plan. Seventh, self-direction to learning of a woman with career break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areer planning. It can be explained in this way. Learning of one’s own career and its developmental direction should be preconditioned to set a career goal. In this point, if a woman with career break has stronger self-direction to learning to tackle her problems by herself, she will plan her career higher.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this present study proposed a discussion of the self-efficacy, self-direction to learning and career planning of women with career discontinuity.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미래 노동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국가적 차원의 요구는 여성인력 활용에 대한 기대수준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여성 인적 자원의 활용은 선진외국에 비해 여전히 저조한편이고, 특히 여성의 경력단절현상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물론 과거에 비해서는 여성에 대한 인식도 많이 달라졌고, 경력단절현상에서 벗어나 다시 직업세계로의 재진입을 희망하는 여성들도 늘어나고 있으나 그것마저 다양한 진로장애로 인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를 해소하고 경제활동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결방안이 요구되어진다. 그동안의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관련된 연구들은 취업실태와 지원방안, 교육요구분석,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연구나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 등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경력계획과 관련된 연구나 경력계획과 관련된 실질적인 변인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경력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주요 변수들을 추출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실증적 자료를 통해 모형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 즉 자기효능감,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경력계획 변수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통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타당성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연령, 최종학력, 결혼여부, 경력단절기간, 월 가구소득)를 통제한 상태에서, 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은 경력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연령, 최종학력, 결혼여부, 경력단절기간, 월 가구소득)를 통제한 상태에서,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은 경력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위한 조사대상자의 선정은 설문가능성 및 용이성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설정한 몇 가지 기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에 부합하는 대구에 7곳의 평생교육기관(평생직업훈련기관 5곳, 대학부설 평생교육시설 2곳)내의 경력단절 여성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3월 첫째 주에서 3월 넷째 주까지 약 4주간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설문조사를 위한 조사도구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주요변수에 해당하는 총 67개의 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설문지는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평생교육기관에 직접 방문하거나 평생교육기관의 교육 담당자를 만나 연구의 목적과 실시 요령, 주의사항 등에 대해 설명하고 배포하였다. 총 290부가 배포되어 268부(회수율: 92.4%)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한 경우 15부를 제외하고 253부(유효자료율: 87.2%)가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8.0 한글버전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여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연령은 경력계획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결혼여부, 경력단절기간은 경력계획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단절여성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미혼일수록, 경력단절기간이 짧을수록 경력계획의 수준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둘째, 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은 경력계획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이 경력계획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과제난이도 선호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할 수 있다는 내부 신념인 자신감과 자신의 목표에 대한 설정이나 조절이 가능한 자기조절 효능감이 강할수록 경력계획 수준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 중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 요인이 경력계획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경력단절여성이 스스로의 경력목표 설정에서 얼마나 긍정적으로 자기 조절 및 판단을 할 수 있느냐에 따라서 경력계획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 중에서 과제난이도 선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 이유는 경력단절여성은 소극적이고 기술부족이나 낮은 자기효능감 등의 여러 가지 진로장벽을 경험하기 때문에 어려운 수준보다는 자신이 조절이나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쉬운 수준의 경력계획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수 중에서 자신감은 학습자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경력계획에 영향을 미칠때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인이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자신의 경력목표 달성을 위해 준비하는 경력계획에서는 경력계획을 수립할 때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확신을 갖고, 여러 가지 상황에서도 스스로가 잘 대처할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경력계획의 수준이 더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은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경력계획에 영향을 미칠때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이 무엇인지 알고, 자신의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학습내용과 학습방법을 결정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을 스스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관찰 및 조절과 반응을 하는 자기조절효능감이 경력계획에서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일곱째, 경력단절여성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은 경력계획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자신의 경력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수립을 위해서는 자신의 경력과 발전방향에 대한 학습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데 자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나가려는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이 강할수록 경력계획의 수준이 더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력단절여성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경력계획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

      • 韓國 女性福祉政策에 관한 硏究 : 男女雇用平等法을 中心으로

        하미용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iewing the final goal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as realizing the society of the equality of the sexes, to contribute to efficient administration of the equal rights law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and improvement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through grouping about the activation scheme of the equal rights law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and the task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 made researches mainly in the literature like the equal rights law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and a guide, all sorts of treatise, all sorts of statistics data, and etc, which are related to the subject in this study. I evaluated the policy through laws and tried examining laws related to the equal rights law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with the policy sight of positive meaning intended to the equality by the removal of discriminative phase of male and female. First, after investigating the concept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and a type, the idea of the women's welfare feminism, the international legislative trend related to the equal rights law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and etc. I tried examining the legislative background, the objective, basic ideas, contents and the applicable range of the equal rights law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and from a point of view of women's welfare policy, I took out the limit of the equal rights law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and presented the activation scheme about this and the task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The result i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s. First, with woman's own determined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problem consciousness about the discriminative reality occurring in process of getting a job and the existing fixed share consciousness of sexual role, endeavor to solve the problems correctly and breaking away from the patriarchy thought of all society members are requested. Second, through the consolidation of present laws and the revision plan, the measures securing the equal rights law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have to be provided. For executing the equality system of male and female concretely, types of sexual discrimination should be stipulated. And through complicating the temporal rest system for child-care, the temporal rest system for child-care should be secured as to be paid, which is regulated as unpaid, and besides overall temporal rest system, labor by time should be acknowledged. The object should be expanded to women who have a miscarriage, or give a premature birth. And against employers who don't allow the temporal rest for childcare, or treat unfairly due to the temporal rest for childcare, punishment articles being compulsory punishment scheme should be established newly. Also, strengthening the effectiveness of united housekeeping labor of male and female and united wage regulation, materialization of the sexual discrimination banning regulations in education, disposition and promotion, revision of the sexual discrimination banning regulations in retirement, resignation and lay-off and showing clearly the subject of duty of the ban of sexual discrimination should be achieved. Third, regulations against irregularization of female's position should be made, and originated from the power relation between man and woman in a working spot and viewed as sexual discrimination matters in hiring, regulations against sexual harassment in the job should be included. As the tangible measures about these, showing clearly the concept and the range of sexual harassment, making the subject of range as male and female, expanding the subject of duty not only to employers but to all members of enterprise, companies related to that enterprise, customers, a third person, the nation and district self-governing body, labor union, job training center, and job acknowledging institution, and showing clearly regulating measures against doer of sexual harassment and the duty of employer should be included. Fourth, through the active measures of the nation, prevention of sexual discrimination, improving the autonomous dispute handling system in the present dispute handling system, to supplement the juridical settlement of dispute, the administrative dispute handling system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rapidly and object-correspondingly are necessary. Also, as the plan to expedite the equal rights for male and female employment in job training and hiring, provisional female preferential □easure should be enforced and quota system restraining female in public servants training college and hiring test should be removed. Finally, the women's welfare policy in Korea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content and the direction which are contributing to realization of the equality of the sexes and fixation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and to do so, through not only the government and professionals but a civilian organization and women's body discuss the tasks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with each other and collect opinions, they will have a more positive, open attitude carrying a joint activity. In the relationship like this, the quality of women's life is getting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which makes the society healthy will be expedited.

      • 전후소설에 나타난 여성인물 연구

        서명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소설은 현실을 소재로 인물들의 삶을 형상화하는 예술 장르이기에 전쟁의 상처를 드러내는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소설의 주인공은 거의가 남성인물로 여성은 그저 주변적 삶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전후소설의 인물연구는 비교적 활발한 편이지만 아직까지 여성인물을 주목한 연구는 그다지 없는 실정이다. 전후소설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전쟁 후 발표되기 시작한 소설들로 전쟁 중의 상황이나 전쟁 후의 사회 현실을 다루고 있는 작품들을 말한다. 본고에서는 50년대를 중심으로 그 이후까지 6.25를 소재로 발표된 소설 중 전쟁 중이거나 또는 전후의 사회적 빈곤에 희생당한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이 그 대상이다. 여성인물은 남성인물에게서 흔히 보이는 신체의 손상과 참전의 후유증 대신에 전쟁 당시와 그 이후의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물질적, 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당했다. 전쟁의 비극은 여성들의 육체에 대한 폭력으로 이어졌다. 전후소설에 등장하는 많은 여성인물들이 남성들에 의해 성적 폭력의 대상이 되었다. 전쟁이 우리 국토를 유린할 때 여성들은 남성들에 의해 짓밟혀야만 했던 것이다. 극도의 궁핍 속에 여성들은 자신의 몸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게 된다. 이중에는 자포자기하거나 또는 향락에 탐닉하기도 하지만 무기력한 남성인물과는 달리 사회의 밑바닥에서도 꿋꿋이 생계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여성인물의 수난에 대한 대응 양상에 따라 자기 체념형과 자기 기만형, 자기 주도형으로 나누었다. 유형을 나누는 기준이 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그 행동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가치관이 포함된 삶의 태도이다. 전후소설의 여성인물들은 남성인물과 마찬가지로 자기 체념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지만 현실을 개척하거나 초극하려는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는 경우가 더 많다. 여성인물들은 사회의 암묵적 강요로 희생양적 수난을 당했지만 자신의 정체성을 잃지 않고 고난을 딛고 사회로 나아가는 것이다. 수난에 대응하는 양상을 통해 여성인물이 전후소설에서 가지는 의미를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 희생양적 구원의 대상이자 위대한 모성의 구현이다. 어머니로, 누이로 표상되는 모성은 폐허 속에서도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 내는 힘이었다. 둘째, 전쟁의 폭력성과 잔인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여성이 당해야만 했던 정조의 유린은 전쟁으로 인해 짓밟히는 우리 국토와 우리 민족의 비극의 또 다른 상징이요 표현인 것이다. 셋째, 사회적 존재로서 여성의 사회적 역할 증대와 여성의식의 성장을 보여준다. 비록 궁핍이라는 절대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지만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고 가정에서의 역할도 변화하면서 전통적 사고방식에서 한 걸음 나아가는 여성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전쟁의 상처로 사회 전체가 궁핍과 폐허 속에 던져져, 허무주의와 무기력이 우리의 정신을 좀먹어 갈 때 현실을 극복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나아가려는 끈질긴 생명력과 전쟁의 무자비한 폭력과 아픔을 잘 형상화한 것이 전후소설의 여성인물이라 할 수 있다. Since a novel is the artistic genre which describes a character by taking a reality as the subject matter, a lot of novels focusing on the violence of wars were published after the Korean war. Most of the novels described characters who couldn't enjoy normal life because of social poverty and the scar of the war. While male characters suffered from their damaged bodies and the aftermath of the war, female characters suffered from material and mental problems because of social chaos during the war and postwar. Tragedy of the war caused the sexual violence on the women, plenty of women became victims of sexual violence by men. When the war devastated the land, our women were trampled by men. Like male characters, female characters in novels suffered from mental problems owing to sexual violence, but they were a kind of self-initiative character who faced up to reality and strived to get over difficulties in life even in the pain. Although they had to endure all sufferings imposed by tacit enforcement of the society, they rather showed their lasting will to life without losing their identities and by struggling for the sufferings. Sufferings can be divided into material suffering and mental. By female characters' attitudes to cope with ordeals, I classified characters into three types such as self-abandoned, self-deceptive, and self-initiative. The standards for classifying characters are ways of action, and attitudes to life including one's values. Even with the same action, we can devide the characters' type by determining self-initiation based upon attitudes to life and one's values. I suggest that there be three meanings which female characters have in novels according to characters' type coping with sufferings. First, they are not only the object of redemption but also great embodiment of mother's love. Mother's love symbolized by mothers and sisters was the motive power creating new hopes even in the ruins. Second, they show the violence and brutality of the war symbolically. Violating virginity which women were to experience with is another symbol of our land and people trampled because of the war. Third, they show increase in women's role for society and growth in consciousness of women as a social being. Even though it was unavoidable choice for women to get over poverty, an absolute reality, the social role of women was getting increasing and the role of family was changing, which reflect development of traditional way of thinking. The whole society was thrown into poverty and ruins because of the scar of the war and nihilism and helplessness destroyed our spirit little by little. Given the state of affairs, we can conclude that it was the female characters in postwar novels that clearly showed heartless violence of the war and women's lasting will to overcome difficulties in real life and to struggle for better future.

      • 여성주의 역사쓰기를 위한 여성 '빨치산' 구술생애사 연구

        최기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a attempt to reveal subject-agency of the woman through women partizan's experience and to write gender history by analyzing the power relations to make their experience. Through this work, I intended to deconstruct the dominant discourse of 'communist riot' organized by state power. Further, I would resist against patriarchal popular history by setting up the gender as a fundamental category of historical analysis. For the above-mentioned purposes, the study re-presentation five women's life histories that had experienced the partizan's activities through themselves' voice . I contextualized the whole study by revealing the study process and premis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s variable situation chosen by the researcher. Also I clarified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to expose the experiential context of women partizan, and simultaneously the private historical context to avoid regarding them as one same group. I analyzed a life history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statement method focused on ‘the relations with organizations’ and ‘woman's’ experience to show effectively both the experience as a ‘partizan’ and one as a ‘woma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in summary as follows: First, women partizan revealed their active agency through political activities from the 1945 Liberation to the period of partizan activities.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people's will of revolution got risen in Korean society, and such social atmosphere advance women into political sphere, combined with the desire to acquire their rights. In particular, women's political activities started at the actual interest in politicizing maternity than men. Second, they had to have lived as strangers, 'communists' all their lives, excluded from ‘Korean people’. Moreover, patriarchal power excluded dually them as ‘communists’ and ‘Woman’. This power has been being operated on a lifelong separation from their offspring, giving birth to disabled children, the involvement system, etc. During this period, women partizan had resisted against maneuvering conversion and after release of prison, their identities as ‘partizan’ had been sustained and strengthened through their activities in organizations discussed with their husbands as the comrades. Finally, since in 1987, the flow of democratization in Korean society had led ‘partizan’ into collective and organized activities again. Such collective activities got connected with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powers to sustain the system of partitioned country and reverted to the reunification movement. Meanwhile, women partizan resisted against the patriarchal power unevenly distributed everywhere with the struggle for reunification. Particularly, they strongly criticized patriarchy within the camp of their movement. However, they wanted to keep step with other resistant forces in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than that the women's movement was progressed individually because the women were not a category separated from the class or the nation. Although women partizan had been forced to keep silence as suppressed ‘communists’ and ‘women’ in Korean modern history, subject-agency was represented in their lives regardless of active or passive pattern. Therefore, there is the meaning of the study in subject-positioning women as historical actors by interpreting and reinterpreting women partizan's lives that have been resisted against anti-Communist ideology and patriarchal power forced them to keep silence through themselves' voice. 본 연구는 여성‘빨치산’들의 경험을 통해 여성의 주체적 행위성(agency)을 드러내고, 여성경험을 역사화함으로써 여성주의 역사쓰기를 시도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경험을 다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가권력이 만들어온, ‘빨치산’투쟁은 공산폭동이라는 지배담론을 해체하고자 한다. 또한 성별(gender)을 역사분석의 기본범주로 설정함으로써 여성의 경험과 역할을 무시해 온 가부장적 민중사에 저항하고자 한다. 그리고 저항하는 주체로서 여성‘빨치산’ 경험을 드러냄으로써 여성을 일방적인 전쟁의 피해자로 고착시켜왔던 서구 페미니즘 담론에 도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빨치산’활동을 했던 5명의 여성들의 생애사를 경험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재현하였다. 내용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연구는 연구 과정을 광범위하게 드러냄으로써 연구전체를 맥락화하고, 연구 결과가 연구자에 의해 선택된 가변적 상황임을 전제하였다. 또한 여성‘빨치산’들의 경험의 맥락을 드러내기 위해 사회․역사적 맥락을 밝히고 여성‘빨치산’들을 동일한 집단적 범주로 상정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개인사적 맥락을 밝혔다. 본 연구는 여성‘빨치산’들의 공통된 경험인 ‘빨치산’으로서의 경험과 ‘여성’으로서의 경험을 효과적으로 가시화하기 위해 ‘조직과의 관계’, ‘여성’ 경험을 중심으로 하여 연대기적 서술방식을 따라 생애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빨치산'들은 해방 이후부터 ‘빨치산’ 활동까지의 시기에는 정치활동을 통해 적극적인 행위성을 발현하였다. 해방직후 한국사회는 민중들의 혁명에 대한 의지가 고조화 되었고 이러한 분위기는 여성들의 권리찾기에 대한 욕망과 융합되어 여성들을 정치영역으로 진출시켰다. 특히 여성들의 정치활동은 모성을 정치화하는 등의 남성들보다는 현실적인 이해관계에서 출발하였다. 둘째, 체포 이후 감옥과 출소 후 사회에서 ‘빨치산’들은 반공이데올로기에 의해 대한민국 ‘국민’에서 배제되고 이방인인 ‘빨갱이’로 살아야 했다. 이와 더불어서 여성‘빨치산’에게 가해지는 가부장적 권력은 그녀들을 ‘빨갱이’로서 ‘여성’으로서 이중으로 배제시켰다. 이러한 권력들은 자식과 생이별, 장애아 출산, 연좌제 등 자식들에게까지 작동되고 있다. 이 시기에 여성‘빨치산’들은 전향공작에 저항하고 출소 후 동지결혼을 통한 협의의 조직활동을 통해 ‘빨치산’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 강화하였다. 셋째, ’87년 이후 남한사회의 사회민주화 바람은 ‘빨치산’들을 다시 집단적, 조직적 활동으로 이끌었다. 이러한 집단적 활동은 분단국가체제를 유지시켜온 권력들에 대한 저항으로 이어졌고 통일투쟁으로 귀속되었다. 그러나 가부장적 가족이데올로기는 여성‘빨치산’의 북으로의 귀환을 가족관계의 갈등 속에 묶어 둠으로써 여성들을 분단극복 과정에서 또다시 배제하고 있다. 한편 여성‘빨치산’들은 통일투쟁과 함께 사회 곳곳에 편재된 가부장적 권력에 저항했다. 특히 운동 진영내의 가부장성을 강력히 비판했다. 그러나 그녀들은 여성이 계급, 민족으로부터 분리된 독립된 범주가 아니기 때문에 여성운동이 독자적으로 진행되기 보다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서 다른 저항 세력들과 보조를 맞추기를 원한다. 여성‘빨치산’들은 억압받는 한국 현대사에서 ‘빨갱이’로서 ‘여성’으로서 침묵을 강요당했지만 그녀들의 삶에는 적극적인 형태이든 소극적인 형태이든 주체적 행위성이 발현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하여 침묵을 깨고 적극적으로 삶을 구술하는 그녀들의 이야기는 그녀들이 죽은 자가 아닌, 역사를 이끌어오는 주체였음을 증명하고 있으며, 구술을 통해 연구자와 함께 끊임없이 자신들의 경험을 해석, 재해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동력은 바로 이들의 삶과 구술에서 나왔다고 할 수 있다.

      • Perceptions of women's participation in Nigeria

        Obe, Tolulope Ajibola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p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나이지리아의 민주주의가 지속 가능 하려면 국민의 모든 그룹이 거버넌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국가의 최적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여성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해 한다. 여성의 권한 부여와 거버넌스에 대한 여성의 참여는 민주주의 시스템을 발전시키고 심화시킬 것이다(Nkechi, 1999). 나이지리아는 선출직과 임명직 모두에서 여성의 낮은 참여율을 기록하고 있다. 의사 결정 기관에서 여성을 배제하는 것은 사회에서 민주주의 원칙을 확고히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한 하고, 경제 발전을 저해하고, 양성 평등 달성을 저해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공적 생활에서 여성의 완전하고 평등한 참여는 강력하고 활기찬 민주주의를 건설하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정부가 정치 분야에서 여성에 대해 최소 30%의 우대 조치를 지지할 것을 권장하는 베이징 선언 및 행동 강령의 조항과 공직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35%로 설정하는 국가 젠더 정책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나이지리아는 이와 관련하여 거의 달성되지 않고 있다. 여성은 선출직과 임명직 모두에서, 정치적 영역에서 상당히 대표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의 전반적인 목적은 성별 불평등과 관련된 나이지리아 여성의 관점과 나이지리아 여성의 정치 부문 참여 및 주요 리더십 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프리카 페미니스트 이론, 사회적 역할 이론, 젠더와 리더십, 젠더와 개발 접근법을 이론적 틀로 삼았다. 이 질적 연구는 표본 선택에 목적이 있는 표본 추출 기법을 사용했다. 연구 질문은 여성이 정치 부문에 대한 참여와 장애물을 어떻게 설명하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표본 크기와 관련하여 나이지리아 정치 지도부의 6 개 지정학적 영역에서 의도적으로 선택된 10 명의 나이지리아 여성을 인터뷰했다. 데이터 분석에는 주제 코딩, 분류 및 분석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여성의 정치 참여 수준은 낮았고 여성은 나이지리아의 정치 행정부에서 대표성을 갖지 못하고 국회의원 및 기타 공직자 중 소수에 불과했다. 이 연구는 나이지리아 여성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 불평등을 해결하는 데 중요했다. 여성이 권한을 부여 받는다면 현재 그들이 기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영향력 있는 방식으로 나이지리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For democracy in Nigeria to be sustainable, all groups within the population must be actively involved in governance. Women’s voices need to be heard and their experiences and expertise utilized for the optimal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 empowerment of women and their involvement in governance will develop and deepen the democratic system (Nkechi, 1999). Nigeria has been recording low participation of women in both elective and appointive positio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clusion of women from decision making bodies limits the possibilities for entrenching the principles of democracy in a society, hindering economic development and discouraging the attainment of gender equality. The full and equitable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life is essential to building and sustaining strong, vibrant democracies. Despite provisions in the Beijing Declaration and Platform for Action recommending that governments support at least 30% affirmative action for women in the political space and despite the recommendation in the National Gender Policy establishing a benchmark of 35% for women’s representation in public office, Nigeria has achieved little in this regard. Women are significantly underrepresented in the political sphere, in both elected and appointed positions.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s of Nigerian women as it relates to gender inequality and issues that affect Nigerian women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sector and key leadership positions. African feminist theory, social role theory, gender and leadership, gender and development approach were the theoretical framework adopted in this study. This qualitative research used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 in the sample selec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cused on how women describe their participation in the political sector and their obstacles. With regard to sample size, 10 purposefully selected Nigerian women from the six geopolitical zones in Nigeria political leadership were interviewed. Data analysis included coding,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mes. As the findings confirmed, women’s level of participation in politics was low and women were underrepresented in the political administration of Nigeria, representing only a small percentage of national legislators and others in public office. This study was important to address gender inequality, based on experiences of these women in Nigeria: Women, if empowered to do so,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igeria in more influential ways than they currently are able to contribute.

      •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세분시장별 활용색과 배색 특성 : 2000 S/S ~ 2000 F/W를 중심으로

        송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국내 여성복 시장에서 상품기획에 활용된 색채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여성복 시장의 색채 특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색채기획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색채 정보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국내 여성복 시장의 현황과 시장 세분화, 패션 디자인에서의 색채와 배색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여성복 브랜드에서 세분시장별로 사용되는 색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 대상 브랜드 선정은 일차적으로 여성복 시장을 연령, 가격, 브랜드 컨셉트, 스타일 등에 따라 여성 어덜트, 여성 커리어, 여성 캐릭터, 여성 영캐주얼로 세분화한 후 각 세분시장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과 브랜드인지도를 가지는 브랜드 49개를 우선순위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2년 8월부터 9월까지였으며, 각 업체에서 2000년 S/S에서 2002년 F/W까지의 기간동안 상품기획에 사용된 원단을 아이템별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색샘플은 측색기 Minolta CM-503i를 사용하여 표준광 C와 표준관측자 2도시야에서 측색하고, L*a*b* 값을 먼셀 H V/C 값으로 전환하여 색채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여성복 시장의 활용 색상은 YR, Y, PB, R 순으로 비중이 높았으며, 계절에 따른 색상 분포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S/S에는 한색계열의 PB가, F/W에는 난색계열의 R과 YR 높게 나타났다. 색조는 ltg, g, p, Bk, dkg의 저채도의 색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계절별로는 S/S에 저채도, 고명도의 밝고 가벼운 색조가, F/W에 저채도, 저명도의 짙고 어두운 색조가 높게 나타났다. 2. 세분시장별 색채 특성은 모든 세분시장에서 전체 여성복 시장의 색채 특성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여성 어덜트와 여성 영캐주얼은 다른 세분시장에 비하여 비교적 다양한 색조 영역의 색을 고르게 사용하고 있었으며, 여성 커리어와 여성캐릭터는 YR, Y, PB, R 색상의 차분하고 안정적인 색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3. 세분시장에 따른 아이템별 색채 특성은 모든 세분시장에서 상의와 하의는 YR, Y, PB 색상의 p, dkg, g, ltg의 색조에 집중적인 분포를 보였으며, 수트와 원피스는 세분시장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세분시장의 색채 특성은 상의와 하의보다는 수트와 원피스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4. 세분시장에 따른 상·하의의 2도 배색은 모든 세분시장에서 온화하고 통일감을 주는 동일 색상 배색과 친근하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주는 유사색상 배색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의를 짙은 색으로 배색하거나 무채색으로 배색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5.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세분시장별 색상·색조 분포에서 출연 빈도에 준하여 여성 어덜트 28개, 여성 커리어 24개, 여성 캐릭터 24개, 여성 영캐주얼 30개의 대표색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세분시장별로 각 9개의 아이템별 대표 색채팔레트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복 시장에서 실제로 활용된 색채와 배색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여성복 색채기획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차별화된 색채를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는데 유용한 색채 정보를 제안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pratical colors in domestic women's wear market and to provided efficient color informantion which is useful in color planning. For this, the study researched the conditions of domestic women's wear market, meanings of market segm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color and color combination through preceding studies and reference studies, and at the same time performed survey stud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atical colors in the segmental market of domestic women's wear brands. Brands for survey were finally selected as 49 brands having high market share and brand recognition in each segmental market after segmented the women's wear market into adult, career, character and young casual according to the age, price concept and style of the brand. The survey term from August to September, 2002. A total of 2449 color samples from 2000 S/S to 2002 F/W were collected and analyzed. Color of collected samples were measured with Minolta CM-503i in standard light C and view of 2 degrees for standard observer, and the measured L*a*b* values were converted in to H V/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Hue distrbutions of domestic women's wear market are concentrated on Yellow-red, Yellow, Purple-blue and Red. For the hue characteristics by seasons, the distribution of Purple-blue as the cool color was higher in S/S than to F/W and the distribution of Red and Yellow-red as the warm color was higher in F/W than to S/S. Tone distributions are concentrated on the low chrome of light grayish, grayish, pale, black and dark grayish. For the tone characteristics by seasons, the bright and light tones of low chrome and high value were shown higher in S/S than to F/W and the heavy and dark tones of low chrome and low value were shown higher in F/W than to S/S. 2.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segmental market showed similar characteristics to the whole color characteristics in domestic women's wear market. Adult and young casual for women's wear used the varied color range. Career and character for women's wear used the subdued and comfortable tones of limited colors such as Yellow-red, Yellow, Purple-blue and Red. 3. For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articles in the segmental market, tops and bottoms are concentrated on pale, dark grayish, grayish, light grayish tones of Yellow-red, Yellow, Purple-blue. Suits and one-pieces showed obvious difference between each segmental market of women's wear.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articles in the segmental market of women's wear more clearer in tops and bottoms than in suits and one-pieces. 4. The results of analyzing two-color combination in the segmental market of women's wear revealed that the identity and similarity color combination used mainly in all segmental market. The dark colored bottoms with the light colored tops and achromatic color combination are most frequently color combination in women's wear. 5. On the basic of these results,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ach segmental market are chosen; 28 colors for women's adult, 24 colors for women's career, 30 colors for women's character, and 30 colors for women's young casual. Also 9 color palettes of all articles in each segmental market are chose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ed data of color which is useful for effective process color planning in women's wear. In addition, the analysis of practical colors for each segmental market of women's wear is useful for the establishing the brand image by color differences.

      •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근로만족의 조절효과

        조미경 한세대학교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 요약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근로만족의 조절효과 - 오늘날 젊은 세대가 독립적인 성인의 삶을 성취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젊은 세대가 교육이 종료되는 시점에 취업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이루어야 하지만 취업 기회를 얻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더불어 높은 주거비용과 막대한 결혼자금 등은 젊은 세대에게 높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렇듯 젊은 세대가 독립적으로 가정을 이루기보다는 점차 결혼을 미루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강유진, 2016). 이러한 젊은 세대의 만혼은 부모로부터 독립이 늦어지며 성인기의 전이 과정이 청년층 스스로 해내기 어렵게 만들고, 자녀에 대한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도움의 기간은 연장되고 있다(신경교, 2020). 이는 성인자녀의 독립이 늦어지게 되면 부모세대는 자녀양육 비용의 부담이 증가하게 되고, 스트레스가 많아지며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게 된다(이여봉, 2017). 이와 같은 배경을 근거로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근로만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는 성인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부양인식, 스트레스, 근로만족이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를 활용하여 만 19세 이상에서 결혼 이전까지의 성인 자녀를 둔 취업여성 1,83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5.0, AMO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첫째, 수집된 연구자료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분석을 위한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을 거쳤다. 셋째, 주요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섯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근로만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부양인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영향을 미쳤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한 것이다(ß=-.381, p<.001). 둘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부양인식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는 높아지는 영향을 미쳤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파악하였다(ß=.525, p<.001). 셋째, 취업여성의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영향을 미쳤다. 이는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나타났다(ß=-.585, p<.001). 넷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스트레스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은 스트레스에 직접효과(ß=-.525, p<.001),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직접효과(ß=-.585, p<.001)가 있다. 간접효과(ß=-.307, p<.001) 및 총효과(ß=-.688, p<.001)의 통계적 유의수준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취업여성의 성인자녀 부양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근로만족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ß=-.484, p<.001). 이는 통계적 유의수준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취업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밝혔다.

      • 진로단절여성의 직업훈련 참여동기와 만족도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무경계 경력태도의 조절효과

        조후남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진로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직업훈련 참여와 직업훈련 만족도가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무경계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직업훈련 현장에서는 코로나 19로 인한 정부 및 지자체의 운영방침에 따라 집체훈련을 온라인으로 전환 및 집체훈련 시간 20% 축소 운영하였다. 경기남부지역 6개 직업훈련 기관에서 80시간 이상의 직업훈련을 수료한 진로단절여성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6일~10월 25일까지 20일간 인터넷(google.com)설문을 실시하였으며 312부를 통계에 적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측정,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단절여성의 직업훈련 참여동기, 직업훈련 만족도, 고용가능성, 무경계 경력태도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직업훈련 참여동기와 고용가능성에서 직업훈련을 통해 구직능력과 구직자신감이, 학습지향에서 구직능력이 향상되어 직업훈련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훈련 만족도에서 직업의식고취와 구직능력이 향상되었다. 무경계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에서 구직자신감과 노동수요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노동시장에서 진로단절여성의 직업훈련을 받고자 하는 동기는 직무수행에서 요구되는 직무기술습득과 역량강화로 학습의지를 고취시킨다. 또한 직업훈련 과정에서 네트워크 형성은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진로단절여성의 직업훈련 참여동기, 직업훈련 만족도가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진로단절여성은 직업훈련 참여에 대한 목표수립과 직업훈련참여 결과 구직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능력의 향상과 취업자신감, 직업의식이 고취되었다. 직업훈련으로 직무기술 습득과 구직능력, 구직자신감이 향상되어 직업훈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훈련 참여동기가 증가하여 고용가능성이 향상되었다. 무경계 경력태도와 고용가능성에서 구직자신감과 노동수요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발적 직업훈련 참여가 노동시장의 이해와 직무기술 습득으로 이어져 직업훈련 만족도가 높을수록 고용가능성은 높다. 셋째, 진로단절여성의 직업훈련 참여동기, 직업훈련 만족도와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무경계 경력태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직업훈련 참여동기와 만족도의 심리적 이동성은 취업자신감이 고취될수록 구직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물리적 이동성은 노동수요인식에서 활동지향성과 취업기대에서 학습지향성이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무경계 경력태도에서 진로단절여성의 유연적, 경험적 직업훈련 참여는 역량강화로 이어져 고용가능성을 높인다. 넷째, 진로단절여성의 개인적 특성인 직업훈련 참여수, 직업훈련기간, 자격증 취득여부, 이전직장직종, 직장경력기간, 진로단절사유, 진로단절기간, 가족지지도에 따라 진로단절여성의 직업훈련 참여동기, 직업훈련 만족도, 고용가능성, 무경계 경력태도에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진로단절여성은 가족의 지지도에 따라 직업의식의 고취를 확인하였다. 진로단절 사유로는 결혼·출산·육아가 높게 나타나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비해 여성의 생애주기는 사회적 관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단절여성의 직업훈련 참여와 직업훈련 만족도가 고용가능성을 높이고, 무경계 경력태도의 심리적 이동성과 물질적 이동성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진로단절여성이 직업훈련 수료 후 즉각적 고용가능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나 직업훈련을 통해 습득된 직무기술과 직무향상은 노동시장 복귀에 영향을 미친다. 주제어: 진로단절여성, 직업훈련 참여동기, 직업훈련 만족도, 고용가능성, 무경계 경력태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on employment possibility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borderless career attitude. Due to Corona 19, vocational training was switched to online and training time was reduced by 20%. An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for 20 days from October 6 to October 25, 2020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s who completed more than 80 hours of vocational training at six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and 312 copies were applied to statistics. Using the SPSS 21 program as a research tool,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measurement,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between career interruption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with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possibility, and borderless career attitude were confirmed. In terms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mployment possibility, job-seeking ability and job-seeking confidence improved through vocational training, and job-seeking ability was improved in learning-oriented, leading to high satisfaction with vocational train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interruption women'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and satisfaction with vocational trai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possibility. Vocational training improved job-seeking ability and job-seeking confidence by acquiring job skills, resulting in higher satisfaction with vocational training, increasing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thereby improving employment possibilitie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borderless career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terruption women's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job training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ossibility,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From the borderless career attitude, it leads to the reinforcement of the capacity to flexibly and voluntarily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for women with career breaks, and evaluation and compensation to grow as a member of society by maintaining careers according to success in employment should be made. Fourth,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areer interrupted women, it was verified that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satisfaction with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possibility, and borderless career attitude were affected. Career-disrupted women have been confirmed to raise their sense of work according to their family's support, and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rearing are the highest among the reasons for career-disruption. Compared to the changing labor market, women's life cycle has not deviated from social custom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areer interruption women's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and satisfaction with vocational training to increase employment possibilities, a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mobility and material mobility of borderless career attitudes on employability. Key word : Career interrupted wome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cational training, Job training satisfaction, Employabiltiy, Borderless career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