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90년대 학생운동에 대한 여성주의적 연구 : '위기'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구성을 중심으로

        허나윤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Starting with a question that the discourses on korean student movement in the 1990s have been made with a sex-blind view, this research intended to explore it from feminist perspective. 'Crisis' discourse describing that korean students' movement in the 1990s was in much trouble, has been spread in public since May, 1991. Unfortunately, however, it can't explain recognize the dynamic context of reality in the 1990s, because it narrows down the discussion to a dominated view in a certain way.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restructuring 'crisis' discourse with gender analysis. This study mainly adopted an in-depth interviews research technique to identify 'crisis' discourse with a critical view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the activists in student movement and their own perspectives on those experiences, And it further used another research methods as a supplementary on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 variety of data such as mass media materials, documents circulated on campus and even posters on student movement, and interviewing with social activis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ent movement in 1980s.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crisis' discourses on the student movement in the 1990s have been suggested for its seemingly attribution to the following reasons. According to their grounds to insist on, in 1990s, since the student movement could not mobilize lots of people any more like in 1980s, it was not regarded as a significant position as 'the leader' of social movement. Moreover, the weakened power of the movement to attract the general public was prescribed as the significant lack in 'popularity'. The fact that the reproduction of the activists was not sufficiently made and their political consciousness was weakened due to the decrease in androcentric political experience such as street protest, was associated with the 'crisis' discourse on the movement as not only the main cause but also the difficulty to overcome. And as the national association of college student organization, 'hanchonleon', was subjected to great suppression from the state in the middle of 1990s and has fallen to decline with internal conflicts, it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diffusion of 'crisis' discourses. Since this view implies that 'crisis' is defined in comparison with the students' movement in the 1980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activists in 1990s had never accept the 'crisis' discourse as live reality. Secondly, while 'difference politics' and 'daily life politics' has been evolved from several directions, the student movement has changed in spite of 'crisis' discourse. For example, as female activists have got more important positions in their organizations than ever before, the concept on 'politics' is redefined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paradigm, 'whole/parts movement', that alienates minorities during the 1990. These facts shows that 'patriarchal sexism' and 'androcentric system' have disappeared gradually with the diffusion of feminist politics in the student movement in the 1990s. Finally, although the student movement has changed in this way, those changes have been followed with the counter-attacks that would maintain or support old order. Because women are thought as non-political, the female activists are defined as supplementary beings under 'crisis' when male activists aren't present. Then some of them some choose a 'masculinized' strategy that denies their identities as women. Not making new political movement with 'daily life politics' sufficiently enough, the feminist activist on campus who have most actively pursued for 'daily life politics' in the movement, are confronting with many difficulties now and some activists have fallen to dangerous 'popularism'. Besides the mainstreaming side of the movement groups who have lost their power try to reenforce the androcentric old system, demanding on the blind devotion and faith of activists. From above discussion, this study have suggested the necessity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about the reality of student movement from feminist perspectives by criticizing the androcentric view on the students's movement in the 1990s.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ed to articulate that the 'crisis' discourse on the student movement in 1990s have serv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to interrupt the possibility of any change in the movement with the feminist view by defining the crisis of androcentric order as real 'crisis'. 본 연구는 1990년대 학생운동에 대한 논의들이 성별에 대한 이론적 시각이 결여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1991년 5월 투쟁 이후 제기되기 시작한 ‘위기’담론은 학생운동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는 인식을 확산시켜왔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담론은 남성 중심적인 시각으로 현실을 규정하기 때문에 역동적으로 재구성되고 있는 현실의 구체적인 맥락을 파악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성별(gender)’을 분석 범주로 사용하여 ‘위기’로 규정된 90년대 학생운동의 현실을 여성 주의적 시각으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90년대 남녀 학생운동 활동가들의 경험과 이에 대한 그들의 해석을 중심으로 기존 ‘위기’담론이 현실을 규정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90년대 학생운동에 대한 언론자료와 대학사회에서 유통되는 문건, 자료집, 포스터 등을 수집하여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학생운동의 경험이 있는 80년대 학번과 사회운동가에 대한 보조면접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90년대 학생운동이 ‘위기’에 처해있다고 간주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모습들 때문이다. 90년대 학생운동은 80년대처럼 사회변혁운동에서 모든 사회운동세력을 이끌어나가는 선도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학생운동의 사회적 위상이 약화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운동세력이 더 이상 많은 수의 대중을 동원할 수 없는 모습들은 심각한 ‘대중성’의 결여로 규정된다. 내부적으로는 활동가들의 재생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두투쟁과 같은 남성적인 정치경험이 감소하면서 활동가들의 정치의식이 떨어져가는 문제는 학생운동이 ‘위기’에 빠지게 된 원인이자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그리고 90년대 중반 이후 정권의 탄압으로 급격하게 쇠퇴한 학생운동 연대체 조직과 운동 진영의 내부 분열은 ‘위기’담론을 대중적으로 확산시키는데 커다란 영향력을 끼쳤다. 이처럼 90년대 학생운동을 평가하는 잣대는 대부분 80년대 학생운동과의 비교를 통해 형성되기 때문에 ‘위기’는 90년대 학생운동 활동가들에게 구체적인 현실로 다가오지 않는다. 둘째, 기존 ‘위기’담론의 이면에는 남성 중심적인 운동질서가 약화되고, 여성 주의적 저치성이 확대되고 있는 현실이 존재한다. 여성 활동가들이 운동 조직에서 비중 있는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남성을 운동의 주체로 설정하고, 여성을 배제시키거나 차별해 온 운동권 내의 ‘가부장적 성차별주의’가 약화되어가는 현상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다양한 운동 주체들을 주변화 시켜 온 ‘전체/부문운동’의 이분법이 해체되고, 거대 권력에 저항하는 투쟁만을 정치운동으로 중요시해왔던 경향이 사라져가고 있으며, 위계적인 운동질서에 대한 문제의식이 확산되어가는 것도 중요한 변화들이다. 이러한 변화는 ‘차이의 정치’와 ‘일상의 정치’에 대한 관심은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운동질서를 해체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위기’로 규정된 90년대 학생운동의 현실은 기존의 남성 중심적인 운동질서가 약화되어가는 과정이지만, 기존 질서를 유지, 강화하려는 움직임들도 함께 나타난다. 과거에 비해 여성 활동가들이 운동 조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은 남성이 부재한 ‘위기’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조직을 책임지는 존재로 여겨진다. 또한 여성을 비정치적인 주체로 간주하는 시각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많은 여성 활동가들이 ‘남성화’되는 전략을 선택하게 된다. ‘일상의 정치’는 학생운동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지만, 90년대 학생운동은 정치와 일상을 결합시켜 새로운 운동방식을 만들어내는데 실패하였다. ‘일상의 정치’를 가장 적극적으로 실천해온 대학 여성운동 주체들은 기존의 문제점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하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운동권의 과도한 정치지향성에 대한 반발은 대중추수주의에 빠지게 된다. 또한 주류 운동세력들은 활동가들의 맹목적인 ‘헌신’과 ‘신념’을 강요하고, ‘위기’의 원인을 외부적인 요인으로 돌리면서 몇 가지 관성적인 반성으로 ‘위기’를 봉합하고 남성 중심적인 운동질서를 복원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생운동을 바라보는 남성 중심적인 시각을 비판하고 90년대 학생운동의 현실을 여성 주의적 시각으로 재구성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했다. 더불어 남성 중심적인 운동질서가 해체되어가는 현상을 ‘위기’로 받아들이는 시각은 90년대 학생운동이 새롭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로막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했다.

      •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의 중국 내 수용에 관한 연구: 드라마 <멜로가 체질>과 <겨우, 서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효범 한양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rise of women's social status, today's female consumers have become the main consumers of the cultural content market, and a growing number of women have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industry. After noticing this phenomenon, capitalists have begun to produce cultural products that cater to the tastes of female viewers. In recent years, the images of modern women in teleplays have broken away from the past feudal consciousness. They pursue love and dreams according to their own values, and accomplish the two things well, rather than choose between career and family. In view of the narrative connotations of these teleplays, scholars have defined them as feminist narratives. With narrative strategies that cater to the psychological needs of female viewers,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nese cultural content market, which is actively embracing Hallyu culture. With a certain level of popularity in China,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have enlivene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selects TV series Melo Is My Nature and Nothing But Thirty as the objects of study to analyze various factors in the inner workings of texts. On this basis, it also uses in-depth interviews to analyze how they are accepted and understood by the Chinese audience. Furthermore, it explores the future direction of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and examines the reception of Korean teleplays, especially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communication. The textual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both Chinese and South Korean feminist teleplays have embraced the cultures of other regions, and shown contradictions in social structure while attempting to break the stereotypes of gender roles. In addition, female characters in these teleplays have shown resistance to the paternalistic order. As such, feminist narrative texts provide room for female viewers to realize their self-awareness, thereby becoming a public forum for discussing women's issues. As both South Korea and China are part of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the narratives depicted in these teleplays share similar customs and ideas. However, when comparing the content of the two countries, we could find that South Korean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have more diverse characters. Chinese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feature more conflicts to create a dramatic story, and emphasize the necessity for female characters to fulfill their roles in a family, which suggests that such texts are not completely immune to the traditional stereotypes of women. The in-depth interviews led to a series of conclusions. First,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reflect the audience's preference for female images not found in traditional teleplays. Second, unlike male-centered teleplays, TV series which are dominated by women and depict social inequality from a female perspective resonate particularly with female viewers. Third,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that present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between women are favorably received by female viewers. However, male viewers have a different opinion, and consider the solidarity between women in teleplays as a glorifie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paper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roduction of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in the future. First of all, a story should be centered on the realistic portrayal of the real society.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 in which women's status is increasingly rising, female characters should begin to enter society as self-conscious subjects, or appear in teleplays as independent women.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eleplays featuring women should lay particular stress on gender inequality issues. On the contrary, they should address realistic issues resonating with women from a female point of view, thereby arousing natural empathy. In addition,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and thus can provide a new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study, women’s daily lives in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can resonate with East Asian women who have accepted the same Western culture. Therefore, the audience in each countr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V series more easily, which will definit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opularity and box office of telepl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feminist narrative drama series in consideration of the blending of the Confucian culture and the Western culture. 여성의 사회적 지위의 상승으로 인해 오늘날 여성 소비자는 문화 콘텐츠 시장에서 소비 주체가 되었고 문화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의 여성의 참여는 점차 늘어나고 있다. 자본은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여 여성 시청자의 취향에 맞는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몇 년간 드라마 내에서 보여주는 현대 여성의 이미지는 과거의 봉건적인 의식에서 벗어나 본인의 가치관에 의해 사랑을 추구하거나, 꿈을 좇는, 혹은 커리어와 가정 중 양자택일을 하기보다는 두 가지 모두를 잘 수행해 내는 모습이었다. 이러한 서사를 내포하는 것을 보고, 학자들은 이를 여성주의 서사로 정의하였다. 이렇듯 여성 시청자의 심리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서사 전략을 지니는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는 한류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중국의 문화 콘텐츠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는 중국 내에서 어느 정도 인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나아가 한중 양국 간의 문화 교류를 활발하게 만들어 내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드라마 <멜로가 체질>과 <겨우, 서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내부에서 작동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심층 인터뷰를 혼용하여, 중국 내 수용자들이 이를 어떻게 수용해 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하고,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시각에서 한국 드라마, 그중에서도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의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텍스트 분석 결과, 한중 양국의 여성주의 드라마는 다른 지역의 문화를 수용하고 있었고, 나아가 기존의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고자 하는 시도와 함께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드라마 내 여성 캐릭터들은 가부장적인 질서에 대해 저항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듯 여성주의 서사 텍스트는 이를 시청하는 여성들로 하여금 본인의 자아의식을 깨우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었고 여성 문제를 함께 논의할 수 있도록 하는 공론장이 되었다. 한중 양국은 모두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하기 때문에 드라마에서 그려내는 서사들을 살피면 유사한 관습과 사상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양국의 콘텐츠를 비교해보니, 한국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 속 캐릭터가 상대적으로 더 다양하게 묘사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중국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에서는 극적인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더 많은 갈등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여성 캐릭터에게 가정 내에서의 역할을 잘 수행해 내야 할 것을 강조함으로써 여전히 여성에게 작용되는 전통의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차례로 이와 같은 결론을 낼 수 있었다. 첫째,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는 기존의 드라마에서 볼 수 없었던 여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선호를 반영하였다. 둘째, 남성 중심으로 전개되는 드라마와 달리, 여성이 주체가 되어 여성의 시각에서 사회의 불평등을 재현한 드라마는 특히 여성 시청자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셋째,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가 여성 간 연대의 가능성에 대한 부분을 제시했다는 점은 여성 시청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은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남성 시청자는 이에 대해 상반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드라마 속에서 재현된 여성들의 연대는 미화된 관계라고 보았다. 본 논문은 분석의 결과를 통해 앞으로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가 제작될 때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현실 사회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여성의 지위가 갈수록 올라가는 사회적인 맥락을 고려해, 여성 캐릭터는 자아의식을 가진 주체로서 사회에 진출하기 시작하거나, 나아가서는 독립적인 여성 이미지로 드라마에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여성을 소재로 한 드라마라는 이유만으로 성 불평등 문제에 치중되는 것은 안 된다. 오히려 여성들의 시각에서 그들이 공감할 만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그들로 하여금 자연스러운 공감을 불러일으켜야 한다. 또한,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는 한중 양국의 교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됨으로, 앞으로의 한중 문화 교류와 관련한 연구에 대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에서 재현하는 여성들의 일상은 동일한 서구 문화를 수용한 동아시아 여성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국의 수용자들은 드라마의 내용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곧 드라마의 인기와 흥행에도 분명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유가 문화와 서구 문화가 혼합되었다는 지점을 고려하여 여성주의 서사 드라마와 관련한 연구가 더욱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 여성주의 논쟁과 한국교회 여성교인의 젠더의식 문제 : 포커스토론을 통해 표출되는 중년 교회여성들의 여성주의 문제의식의 의의

        장미나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전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여성주의 담론이 한국교회의 존립에 중추적 기여를 해 온 중년여성 교인들에게 어떤 의미와 경험으로 받아들여지는지를 알아보고, 이것이 갖는 여성주의 신학적 의의를 논의한다. 여성주의 논쟁이 교회 밖에서 치열하게 일어나고 있음에 반해 이상하게 한국교회 내부는 무풍지대처럼 조용하다는 것이 본 연구를 시작하게 한 의문이다. 한국교회가 여성주의와 관련해 조용한 이유를 그저 한국교회가 보수적이기 때문이라고만 답하는 것은 충분치 않아 보인다. 한국교회에서 여성 교인의 비중이 유독 높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우리의 의문은 더욱 커진다. 여성들이 압도적으로 많고, 온통 여성들의 활동밖에 안 보이는 것 같은 한국교회에서 여성주의에 관해서 만큼은 왜 그토록 조용한가? 이 조용함은 교회의 공식적이고 표면적인 입장을 결정하는 남성주의 교권의 태도를 뜻할 뿐인가? 아니면 교인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여성 교인들 자신의 태도를 보여주는가? 여성주의에 대한한국교회의 침묵이 여성 교인들 자신에게서 나오는 것이라면 그것이 뜻하는 바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 같은 질문에 추상적으로 답하기보다, 평균적 한국교회에서 만날 수 있는 중년여성 교인들의 대화 속에서 떠오르는 살아있는 현장의 답을 얻고자 한다. 그러나 단지 여성 교인들의 젠더 의식이 어떠한가를 아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관심사는 아니다. 어떻게 하면 여성주의 문제에 관한 한국교회의 침묵이 깨어질 수 있을까? 곧 어떻게 하면 한국교회 여성교인들이 가부장적 권위주의를 더 이상 묵인하지 않고 자신들의 정당한 목소리를 내게 될까?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종국적 관심이다. 그 방법에 관한 여성주의 신학의 이론적 답변 들은 이미 주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교회 지도부의 생각을 바꾸어야 하고, 교회의 구조를 개혁해야 하고, 이를 위해 여성들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하는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그 운동의 주체가 되어야 할 여성 교인들 자신의 경험과 생각에서 일어나지 않으면 실현되지도 않을 것이고 의미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여성 교인들 자신의 목소리를 듣고 이에 근거한 방향을 찾으려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서 포커스그룹 토론을 선택했다. 이 방법은 여성 개인들의 고립된 느낌과 의견을 듣는 것만으로는 알 수 없을 부분들을 알기 위해 적합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대부분 한국교회 여성 교인들은 일상에서 여성주의에 관해 느끼고 생각할 자극과 격려를 받고 있지 못한다. 따라서 여성주의에 관한 질문을 갑자기 받는다면 대부분 여성들의 답은 충분히 숙고 되지 못한 피상적 답변으로 돌아올 것이다. 이런 숙고 되지 않은 피상적 답변이 진짜 여성 교인들의 느낌과 생각이라 할 수 있을까? 포커스그룹 토론은 여성들 상호 간의 대화와 토론을 통해 질문의 의미에 대한 각성이 일어나게 하고, 잠재되어 있던 문제의식을 일깨울 수 있다. 즉 집단토론은 그 자체로 여성 교인들을 위한 해방적 과정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여성들의 대화와 상호경청을 통해 깨어나는 여성 의식 속에서 당장은 희미해도 장차 여성들 스스로 자신들의 위치를 바꾸려는 의지의 변화와 여성교인들이 주체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 떠오를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여성 교인들의 대화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에 바탕을 두고 한국교회의 여성주의적 방향을 정리하려 하였다. 한국교회가 여성 교인들의 주체적 각성을 통해 여성주의적으로 변해야 하는 것은 여성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남성들을 포함하는 교회 전체를 교회 되게 하는 길이라고 본 연구는 결론을 내린다.

      • 여성주의 활동가들의 학습공동체 네트워크 경험 연구

        황명화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여성주의 교육학은 자신과 세계 인식을 통한 여성해방이라는 뚜렷하고 특정한 교육목표가 있으며 평생교육 차원에서 여성, 또는 사회적으로 약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 ‘주체로서의 힘 기르기’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모색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주의 교육학의 실천적 측면에서,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정체화시키는 사람들, 즉 여성주의자들의 학습에 주목하였다. 이와 관련한 주제로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에서는 주로 학습이 일어나는 맥락과 형성과정을 탐색하는 연구로서 이들의 경험에 주목하여 경험 자체를 곧 학습으로 이해하는 데에 천착하였을 뿐, 개인이 공동체와 관련하여 여성주의 학습을 배우는 자세한 과정이나 여성주의 학습에 공동체 환경이 작용하는 원리에 대한 탐색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주의 활동가들을 통해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에서의 경험이 그들에게 어떻게 학습으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러한 경험을 통해 나타난 변화를 도출함으로써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이 가지는 성격으로써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적인 특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여성주의 공동체가 가지는 네트워크 환경의 특성에 기대어 성인학습자인 이들에게 여성주의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과 그를 통한 변화에 주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밝히기 위해 여성주의 문화 운동단체 ‘U 네트워크’의 20·30대 여성주의 활동가들을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질적 연구의 한 방법으로써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의 틀로써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렌즈를 통해, 여성주의 공동체라는 환경적 특성이 구성원들에게 작용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먼저 여성주의 공동체에 들어오기 전과 후를 비교, 탐색하고자 여성주의 공동체참여의 맥락과 계기를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여성주의 공동체에서의 학습 과정을 여성주의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특성에 주목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고, 이어 여성주의 공동체 경험을 통해 변화된 내용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참여자들의 여성주의 공동체 참여맥락과 계기는 성차별적인 세상에 대한 저항과 사회변화에 대한 열망, 그리고 정체성 억압으로부터 한 발짝 용기 낸 실천을 위한 발걸음이었다. 또한, 성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가부장적 환경에서 느끼는 불편함으로 소외와 배제를 경험하고 있었고 이러한 불편함을 여성주의 지식과 환경을 통해서 충족시키고 해소하고 싶은 기대감에 의해서였다. 참여맥락에서의 공통점은 일상에서 경험하는 불편한 감정과 ‘차이’에서 느끼는 혼란이라는 감정적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에서의 경험은 안정된 환경에서 다시 배우는 페미니즘, 대외적 활동 속에서 일어난 인식의 전환, 가부장적 사고의 틀 해체와 자아정체성의 해방 등을 경험하게 된 학습의 과정이었고,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에서의 경험을 통해 변화된 내용은 여성주의에 대한 정립과 관점의 확장, 인식전환을 통한 임파워먼트의 획득, 실천력의 발휘 등으로 요약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논의로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속해있는 여성주의 문화 운동공동체 ‘U 네트워크’를 학습공동체로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둘째, 성인학습자가 삶의 장에서 맞닥뜨리는 ‘차이’에서 오는 혼란과 분노 등의 감정적 요소가 곧 여성주의 학습이 시작되는 지점이라는 것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가 여성 학습자는 공감 능력이 발달하였고 그러한 특성으로 인해 관계적 학습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설명한 벨런키(Belenky)등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차이’를 다루는 방식의 중요성에 주목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자아정체성의 확립이 곧 변화의 바탕을 이루는 요소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여성주의 공동체 환경을 통한 경험은 지식, 기능, 태도를 습득하게 되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일곱째, 여성주의 네트워크 환경이 곧 전환학습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공간으로 작용하였다고 보았다.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와 관련한 실천적 연구는 그동안 대학의 강의실 상황에 국한되어 논의가 이루어져 왔던 것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적용을 강의실 바깥의 장소로 이동, 확장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구체적인 적용방법에 관한 탐색이 이루어질 필요와 시간적 추이에 따른 변화과정을 탐색할 필요, 집단의 변화와 성장에 주목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주제어: 여성주의, 여성주의 교육학, 평생교육학, 임파워먼트, 후기구조주의 여성주의 교육학, 여성주의 공동체, 학습공동체, 경험학습, 전환학습 등

      • 공동체주의에 관한 여성주의적 연구 : '공동체'와 '자아' 개념을 중심으로

        이준원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동체주의와 여성주의는 자아란 각자가 처한 사회적, 역사적 맥락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는 자아에 관한 구성적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공동체주의는 자유주의적 자아관이 갖는 몰맥락성의 문제를 비판하면서 자아가 공동체적 관계 및 질서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으로 이어져왔다. 자아의 구성적 측면에 대한 강조에 있어서 여성주의는 느슨하게는 공동체주의로 불려지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런 맥락에서 과연 공동체주의가 여성주의와 동일하게 취급될 수있는가에 대한 이론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과연 공동체주의에서 강조하는 공동체와 공동체적 관계에 대한 사회맥락적인 측면이 여성주의가 바라는 공동체 및 공동체적 관계와 일치하는가가 명확하게 규명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공동체를 살펴보기에 앞서 기존 공동체주의에 대한 논의와 이에 대한 여성주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내용상 크게 세부분, 즉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특징과 공동체주의에 대한 여성주의적인 분석, 이를 토대로 한 여성주의적 공동체 논의의 구성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 논문의 초점은 바로 공동체주의와 여성주의가 과연 동일한 방식으로 인간에 대한 사회맥락성을 강조하고 있는가에 있기에 '공동체와 자아' 개념에 논의의 중심이 실어져 있다. 기존의 공동체주의는 인간 사회의 갈등을 제거하거나 다양한 가치 및 선들간의 충돌, 경합의 측면을 인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공동체란 공동의 선, 단일한 가치를 통해 구성되고 유지된다는 주장으로 나아간다. 이는 동질성의 공동체로 개념화될 수 있다. 더욱이 공동체주의는 동질성의 공동체를 통해 인간의 자아를 설명하고자 시도하는데, 국가, 이웃, 가족, 민족 등에 의해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자아가 구성된다고 주장하면서 공동의 역사성을 공유하는 공동체적 관계에 주목한다. 이러한 공동체주의의 공동체의 개념과 자아관에 대해 여성주의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시도해볼 수 있다. 우선 공동체주의에서 말하는 동질성의 공동체 개념은 무엇을 공동의 선으로 부상시킬 것인가 하는 점과 우리가 실제로 몸담고 경험하는 공동체가 과연 동일한 가치 및 선으로 설명 가능한 것인가 라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 질문을 통해 공동체주의는 전체주의적 위험 사회적 불평등의 묵인 및 재생산, 사회 변화에 무감각한 보수주의적 성향, 기존의 권력관계를 분석해내지 못하는 사실이 드러난다. 특히 우리의 자아가 가족, 이웃, 국가, 민족 등을 통해 동일하고 균등한 방식으로 구성된다고 하는 공동체주의의 자아관은 성, 출산 등과 관련된 여성의 경험을 담아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인종적이고 계급적인 요소에 의해 다양하게 자아가 구성되고 굴절될 수 있는 부분들을 간과하게 한다. 더 나아가 공동체내 성원들이 공유하는 공동의 정체성을 강조함으로써 이방인을 비롯한 공동체내 비성원에 대한 부적절한 취급을 초래한다. 이는 또한 어떤 기준을 통해 멤버/이방인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되는지에 대한 분석을 요구한다. 한편 여성주의내 공동체와 관련된 논의는 지금까지 여성들이 경험해 온 가부장적 공동체에 대한 비판을 드러내고 분석해내고자 하는 작업과 이를 토대로 여성들의 구체적인 경험이 억압적 성역할로 드러나지 않는 대안적인 공동체로의 창조와 연관되어져 있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공동체 논의에서 공동체는 단일한 가치나 공동의 선에 대한 강조로 나아가지 않고 다양한 가치와 선들간의 갈등과 공존의 장(場)으로 표출된다. 본 논문에서 여성주의적 공동체는 이질성의 공동체, 과정으로서의 공동체로 개념화된다. 따라서 여성주의적 공동체 논의는 각 개인간의 '차이'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긴밀한 상관성을 지닌다. 이 차이에 대한 통찰은 여성주의자들의 자아 개념을 통해서 보다 잘 드러난다. 여기에서 자아는 타자와 연결되지만 동시에 분리가 가능하고, 자아와 타자는 서로 겹쳐지기도 하고 걸쳐지기도 하는 경계점에 서 있을 수 있으며, 자아는 타자의 세계, 자신과의 다른 이해를 거부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유희하면서 넘나들 수 있다. 또한 동화되지 않는 타자를 향한 포용력은 여성주의적 자아 개념을 통해 설명가능하다. 결국 여성주의적 자아관은 자아와 타자간의 차이 다름을 인정하고 포용한다는 점에서 공동체주의의 자아관과 구분될 수 있다. 자아를 타자와 융합시키지 않는 방식을 통해 여성주의적 자아관은 공동체주의 자아관이 갖는 폭력성을 벗어나게 된다. 이런 점에서 볼 때여성주의적 자아관과 공동체주의적 자아관은 서로 다른 차원의 사회적 자아론, 구성적 자아론으로 취급되어져야만 한다. 여성주의적 공동체 논의는 공동체주의가 포괄하지 못한 관계의 차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를 통해 새로운 정치학의 지평을 열었다. 이는 멤버/이방인, 자아/타자간의 이원화된 분리를 극복하고자 하는 새롭게 구성되는 자아개념으로의 전환, 배제의 정치학에서 포함의 정치학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동체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들은 여성주의적 자아개념을 적극 수용함으로써 공동체 논의가 갖는 전체주의적 위험과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oncep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self' in traditional communitarianism and to construct the conception of the 'community' and the 'self' in feminist communitarian debate.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is ,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arianism, the feminist criticism on communitarianism , and the construction of feminist communitarian theory. The following are results from this study. Communitarianism challenge liberalism normatively and methodologically. The normative challenge against liberalism can explain the conception of 'community' in communitarianism. The methodological challenge reveals the conception of 'self' in communitarianism. First, the view of the community in communitarianism implies that it is the danger of totalism which accentuates the 'common goods','common understanding', it overlooks the existence of suppression and domination in a complex society, it ignores the social structual contradiction such as women's suppression and racist distinction. The view of the community in communitarianism is thus conceptualized as 'community on homogenity'. Next, the communitarian self cannot be equally treated with the feminist self. Although the communitarian self overcomes the conceptual limits of the liberal self, but it reproduces the self/others, member/outsider dualism. That is to say, the communitarian self accentuates only the other's desire and understanding, and the self's obligation to the other. In this conception, the women's self is connected to virtues such as 'self- sacrifice, 'altruism', and 'vulnerability'. And the communitarian self conception ignores the variable social factors affecting self composition such as sexuality, race, gender relation, class, and so on. In the communitarian self conception, the self is only constituted through traditional ways such as family, state, nation, and neighborhood. Morever, it excludes outsider clearly. With a feminist analysis on connunitarianism, this study tries to constuct a feminist communitarian theoy. The feminist community conception is related importantly to the following question: "How do we deal with differences or hetergenity in our communities?" Therefore, 'community' in feminism is conceptualized as "community on heterogenity" , "community as a process" acknowledging the variable understanding and values between members. It implies also that the community is the place of complex troubles between differential understanding. The matter on how to resolve heterogenital troubles can be approached through the feminist self conception i.e. "the boundary self". This boundary self conception implies that the self is 'connected and seperated at once, through 'playful travel' to the other's world, so that the self is the borderdweller between the self's world and the other's world. In this self conception, women's self is no more connected to virtues such as 'self-sacrifice','altruism', and 'vulneralbility'. Now the self can be understood positively. The self is no more sacrificed for the other's voic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elf's desires and the other's desires are the explorable world. Also we can learn how to embrass unassimiliated otherness from this self conception. Therefore the differences and heterogenity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in a community is a process of overcoming boundaries. And the feminist communitarian self dismisses such dualism as self/other, insider/outsider, and us/them. Lastly, the feminist communitarian self conception provides an emancipatory model for us to negotiate our existence in the complex web of human relationships.

      • 여성주의 정치성의 복원 : 페팃(Pettit)의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최유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공화주의적 자유이론이 여성주의의 정치성을 복원하고 포스트모던 여성주의의 요구에도 응답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기 위해, 공화주의적 자유이론을 여성주의적으로 해석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전개될 예정이다. 우선 제 2장에서는 페팃의 공화주의에 나타나는 공화주의적 자유이론의 중심주장을 설명한 뒤, 공화주의와 여성주의 간의 기존 연구들을 정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공화주의와 여성주의가 오랜 반목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양립가능한 측면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러나 나는 공화주의적 자유이론이 여성주의와 양립가능하다는 것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서, 그것이 다양한 여성주의적 요구들을 포괄하는 공통의 원칙을 제공하고 정치적 변화를 촉구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제 3장에서는 페팃의 공화주의를 여성주의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것이다. 우선 제 2장에서 언급한 비지배 자유, 견제적 민주주의와 같은 공화주의적 개념들이 불간섭 자유와 선거적 민주주의에 비하여 여성주의에 어떤 이득을 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공화주의적 자유이론이 여성주의에 제공할 수 있는 공통의 기준과 정치적 변화의 방향이 무엇인지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성주의적 해석을 거친 공화주의적 자유이론이 포스트모던 여성주의적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마무리할 것이다. 제 4장에서는 공화주의적 자유이론이 이와 같은 여성주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추가적 논점에 주목할 것이다. 페팃의 공화주의는 이론의 주요 행위자를 담론적 통제가 가능한 이성적인 행위자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행위자들은 지배가 발생할 경우 그것을 공통된 지식(common knowledge)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러나 일부 여성주의자들은 이러한 전제가 억압적인 사회적 규범이 사회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간과한다고 주장한다. 억압적인 규범은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에 영향을 줌으로써 지배가 공통된 지식으로 인식되지 못하게 만들 수 있다. 이는 지배당하는 자의 입장에서는 자기검열(self-censorship)의 문제로, 지배하는 입장에서는 사회적 편견의 문제로 나타난다. 나는 이러한 양상을 알란 커피(Alan Coffee)의 표현을 빌려 사회적 지배(social domination)로 표현할 것이다. (Coffee 2015) 제 4장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지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모습을 띠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것이 민주적 견제력이 작동하기 위한 필요조건인 공화국의 포용성과 반응성에 어떠한 악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 견제적 민주주의가 다양한 젠더 정체성을 가진 여성들의 비지배 자유를 더욱 완전하게 보장하기 위해서는, 억압적인 규범으로부터 발생하는 사회적 권력(social force)이 개인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 1차대전기 여성주의와 평화운동의 연계에 관한 연구

        김지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성을 평화적 집단으로 정체화하는 논의의 여성주의적 함의를 질문하기 위해 여성주의와 평화운동의 연계에 관한 구체적 사례를 살펴본다. 1차대전기 평화운동과 참정권운동의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여성과 평화를 연계시키는 이데올로기가 특정한 시대적 맥락을 통해 구성되며, 평화운동의 여성주의적 함의 역시 '평화' 의제의 정치적 의미를 구성하는 특정한 맥락에 의존적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1차대전기는 세계 전쟁이라는 국제정치의 틈바구니에서 여성들이 애국활동과 반전활동을 동시에 조직해낸 사례를 제공한다. 여성들의 도덕적 우월성을 주장한 평화운동과 여성의 이해를 정치적 발언권으로 보았던 참정권운동이 결합, 긴장하면서 '여성주의'와 '국가', '국민'과 '여성'이라는 개념들이 특정한 맥락에서 서로를 참조하며 상호적으로 구성되는 맥락을 보여준다. 2장에서는 여성의 성역할과 평화적 자질, 사회 개혁의 비전을 연결시켰던 여성평화이데올로기의 성장 맥락과 페미니즘 내 '평화' 의제가 전개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이 시기의 여성평화이데올로기는 19세기의 이상적 여성성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근대국가의 형성과 더불어 강조되기 시작한 여성의 가정 내 역할과 모성은 남성과 구별되는 여성의 독특한 자질에 대한 사회적 인정을 수반하였으며, 여성들은 이같은 여성성의 긍정을 토대로 여성의 도덕적 우월성에 입각한 사회개혁 활동의 주체로 나서기 시작하였다. 여성 개혁 이데올로기는 다시 참정권운동과 결합하면서 여성의 공적 영역 참여를 정당화하는 정치적 논리로 이용되었다. 3장에서는, 참정권운동과 여성평화운동이 공유하고 있던 여성평화이데올로기가 전쟁을 통해 균열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국가는 국가방위의 책임을 부여하면서 사적 영역의 여성들을 국민으로 편입시켰다. 페미니스트 애국주의의 구성과 여성들의 전시활동은 공사분리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여성 평화 정체성의 딜레마를 보여준다. 많은 참정권주의 여성들은 국가위기에 대한 여성들의 적절한 봉사와 대응이 여성이 국가의 온전한 시민임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여성들의 전시활동은 국가의 젠더화된 여성동원 체제를 수용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2차적인 국민의 지위에서 벗어날 기회를 얻지 못했다. 4장에서는 1915년 헤이그 국제여성대회와 미국 여성평화당(Woman's Peace Party)의 사례를 통해 전쟁을 반대하는 여성들의 조직적 활동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활동으로 이루어졌는지 살펴본다. 당시 여성평화운동의 이념적, 실천적 맥락을 통해 모성과 돌보는 역할을 여성 평화 정체성의 기반으로 이해했던 당시 여성들의 전쟁 반대 의지와 그 정치적 한계를 알 수 있다. 여성들은 어머니로서 국적을 초월한 여성들의 평화연대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신념은 자국 정부를 대상으로 한 협상과 설득의 전략을 넘어서지 못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쟁이 이루어지는 국제정치의 메커니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평화정치학 논의에서 고려되어야 할 두 가지 문제를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페미니스트 평화 정치학은 여성의 보편적 평화 정체성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이론적 접근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구체적인 시대적, 역사적 맥락을 통해 구성되는 '평화' 의제의 정치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켜야 한다. 많은 여성들이 사회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전쟁에 참여해왔음을 밝힘으로써, 본 연구는 페미니즘 역시 시대적 산물로서 평화주의나 애국주의가 필연적으로 부과되는 것이 아님을 제안한다. 둘째, 여성과 평화를 연계시키는 모성과 가정 이데올로기는 여성주의 정치학에서 매우 모호한 위치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모성과 여성의 가정 내 역할을 기반으로 구성된 여성평화이데올로기는 근대국가의 공사분리 이데올로기로부터 파생되었으며, 전통적 규범에 입각한 여성들의 개혁 이데올로기로 수렴되면서 여성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요구에 긴밀하게 매개되어 있었다. 따라서 모성과 돌보는 역할은 당시 여성평화이데올로기의 핵심적 정당화 요소이면서, 동시에 여성의 전쟁지지 활동을 정당화하고 여성들을 후방의 보조적 국민으로 유지시키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도 있었다. 여성과 평화의 연계에 대한 본질주의적 접근을 피하기 위해 모성과 가정 영역에 대한 국가적 개입을 드러내고 여성과 국가의 상호적 관계를 맥락화하는 방식이 유용하다. In order to analys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 which identifies women as a peaceful group, this thesis examines the concrete example of which exist connections between feminism and peace movement. Specifically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movement and suffrage movement during World War I. Upon this analysis, we show that the ideology connecting women and peace is constituted in terms of the specific periodical context and feminist implication of peace movement depends upon concrete contexts, which constitute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peace agenda. Women organized patriotic activities and anti-war movement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colored by world war during World War I. It reveals that the pacifists belief about moral superiority and suffrage movement regarding political voice as a tool of raising women's interest combined, made conflict and finally, the concept of feminism and state, nation and women referenced and constituted each other in terms of specific context. Chapter 2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women's peace ideology connecting sexual role of women, disposition of peace and social reformative vision had grown, and agenda of peace had extended in terms of feminism. women's peace ideology reconstituted the ideal femininity of 19 century as a peaceful identity of women and justifies women's participation in public sector in terms of political context. Chapter 3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women's peace ideology shared by suffrage movement and women's peace movement had broken during the War. State incorporated women of private sector into nation by assigning duty for national defense. The composition of feminist patriotism and women's activities during war revealed the dilemma, which confronts identity of women-peace depending upon ideology of public-private separation. Chapter 4 examines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Women held at the Hague in 1915 and Woman's Peace Party of U.S. Upon this, we analysis the process in which women's organized activities opposing war. It shows the confronted political limitations of women's pacifism, regarding motherhood and role for caring as a basis of women's identity of peace. This thesis suggests that feminist-peace politics should consider below two points. First, feminist-peace politics should develop discourse of political implication of peace agenda constituted in terms of much more concrete periodical, historical contexts, out of ideological, theoretical approach through women's universal identity of peace. Many women have participated in war according to social and individual interests. Feminism is also outcomes of historical contexts and therefore pacifism or patriotism is not assigned automatically or inevitably to it. Second, the assertion that naturally connects women and peace through motherhood and domestic ideology is ambiguous in feminist-gender politics. The motherhood, main element of women's peace ideology, justified women pro-war activities during the war and became important reason for preserving women as second-hand nationality of rear region. We are able to avoid the essentialist approach that makes optimistic linkage among women, motherhood and peace, by means of revealing state intervention into motherhood and home and by means of contextualizing relation between women and state.

      •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활동가들의 여성주의 정체성 형성과정

        차경희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역 여성활동가들이 여성주의와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경험이 젠더화 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여성주의 정체성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여성주의자로 성장한 여성활동가들에게 여성주의자에 대한 규범화된 상이 만들어지면서, 실제 여성주의 활동을 하고 있으면서도 자신들의 정체성과 ‘여성주의자’의 정체성과의 차이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차이를 여성활동가들의 개인의 문제로 해석하기보다는 여성주의와 여성주의자를 둘러싼 내외적인 문제들과 결합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여성주의 정체성 형성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실제 운동영역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확장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여성활동가들의 여성주의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과정에서 만나는 젠더 경험은 어떠한 시기에 차별인식이 완성되었기 보다는, 여성주의를 만나게 되면서 재해석되고 여성주의 정체성으로 내면화 되었다. 여성활동가들의 성역할, 모성, 성폭력 등의 젠더 경험은 여성을 종속시키고, 억압하는 권력관계에서 일어나는 구조적인 문제임을 인식하는 것으로 여성주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여성주의 정체성은 자신의 경험을 개인적 경험으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인식하여 공적인 활동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활동가들은 끊임없는 고민으로 여성주의를 실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주의자’로 명명되어지길 부담스러워 하였다. 부담스러워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여성주의 운동이라는 것은 항상 앞장서서 투쟁해야 한다는 과거의 급진적 여성주의자들의 영향이 아직까지 남아 있어, 현재 자신의 활동에 대한 인정보다는 여성주의자에 대한 수준을 높게 상정하고 있어 자신은 아직 그 정도의 수준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여성주의자로 명명되어지는 것을 거부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여성주의란 용어의 개념을 유창하게 설명해야 하거나, 완벽한 실천과 동일시로 이해되어 활동가들에게 부담으로 존재 하고 있었다. 여성활동가들은 ‘여성주의자’라는 명명보다는 인권활동가나 복지활동가라는 폭넓은 이미지가 덧붙여졌을 때 사회로부터 이해나 관심이 더 용이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활동가들의 여성주의 정체성의 다양한 실천은 임금, 노동환경, 가사노동, 섹슈얼리티, 인권문제 등 한국사회 여성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들과 연결되어 실천하고 있었으며, 끊임없는 내적 갈등과 의도적인 노력, 현실적 문제를 변화시키려는 능동적 주체가 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여성주의 정체성은 끊임없이 진행되는 과정이며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이 지속적인 관심과 의심, 성찰이라는 과정의 공급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성주의 정체성의 이해는 여성활동가들의 정체성에 대한 자유로운 삶, 중첩되고 교차되는 여성의 위치성에 대한 다양성을 그려내야 하며, ‘여성주의자’에 대한 용어자체는 문제가 될 수 없으나 유통되는 이미지, 프레임을 변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여성주의 정체성에 대한 하나의 그림을 가지고 있으면 다른 가능성을 얘기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한국사회에서 여성들이 놓여 있는 위치가 어디쯤에 있는지 살펴보면 여성운동의 주체인 여성주의자가 현실에서 부딪치는 어려움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생태여성주의의 기독교사회윤리학적 수용 가능성 모색

        구미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the comtemporary era, the environmental degradation viewed the crisis of bankrupted earth challenges todays theology and ethics to reflect upon the traditional indifference and ignorance of the ecological needs, and reconstruct the new eco-theology and eco-ethics. Additionally, as many feminist scholars and authors said, we can observe that the exploitation of nature and the subjugation of women are interconnected in many ways. Newly emergent ecofeminism that is coming together ecology and feminism seems to be the most fundamental challenge to the modern style of thinking and living. This thesis, in sum, examines how ecofeminism grafts on Christian social ethics. In Chapter 1, the writer presents the issue, aim, research method and trend concerned with this thesis. Chapter 2, considers critically the ideological bases supported modern culture from the ecofeminist perspective, especially rationalism originated from Descartes the father of modern philosophy, technological scientism founded on Bacons project, and capitalism equipped with turbo-engine after the collapse of the East. In Chapter 3, in order to define the Christian responsibility for the ecological crisis, the writer traces to ecological sinfulness in the Christian church history. As a result, it comes true that th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y had a tendency to devaluate the women, body, matter, and this world, while so immersed in the salvation of individual spirit. Christianity, then, commits a sin of omission. Chapter 4, explores of the conceptual and theological ground of ecofeminism. Ecofeminists, focusing on the connections between the domination of women and the domination of nature, commonly complain that the ecological crisis is rooted in the patriarchy. In my view, the radical separatist ecofeminism leads the reversed woman/man dualism. Ecofeminism, therefore, as a alternative vision needs to be developed integrative and transformative feminism. Whereas, ecofeminist theologians tried to overcome the cosmic dualism separated the world from God. They grope for the new understanding about the major theological subjects, for example, world as Gods body, creation from love, God the motherㆍloverㆍfriend, the cosmic Christ, etc. In Chapter 5, in order to search for the basis of Christian ecofeminist ethics, first, the writer reinterprets Christian love(agape) treated as the supreme norm of the traditional Christian ethics to JusticeㆍCareㆍOther esteemㆍCommunion. Next, it is examined whether the Albert Schweitzers notion of Reverence for Life, Martin Bubers I-Thou ethic, and Walter G. Muelders Personalistic Communitarism may appropriate for a integrating framework of ecofeminism and Christian social ethics. And then, the writer proproses the Ethic of Sal-lim as a inclusive framework which means that creates, nurtures, renews, restores, heals, saves whole life in the created world. In conclusion, Chapter 6,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thesis, furthermore, points out the limits of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and suggesting some future prospects and tasks. 21세기를 눈 앞에 둔 시점에서 지구 파산의 위기라고까지 표현되는 생태위기는 오늘의 신학과 윤리에 커다란 도전이 되고 있다. 그간의 신학은 자연세계를 하나님의 은혜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고 구원사의 맥락에서 배제시키며 오로지 인간의 지배와 정복의 대상으로 간주함으로써, 사실상 자연 착취의 면허증을 내주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기독교윤리 역시 하나님ㆍ나ㆍ이웃이라는 삼중적 관계만을 관심의 대상으로 삼았지, 생명권 전체를 포괄하지 못하는 편협함을 드러냈다. 따라서 기독교윤리가 사회적 적합성을 갖기 위해서는 생태계 보전이라는 책임의 문제를 등한시할 수가 없다. 생태학(ecology)은 이제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우리의 사유방식과 행동양식에 있어서 총체적인 변혁을 요구하는 당위의 학문으로 받아들여진다. 한편 생태여성주의는 이러한 생태학적 요구와, 여성 억압을 종식시키려는 여성주의(feminism)의 목표를 하나로 결합시켜 현재의 가부장적 사회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여성주의의 통찰은 그간 육체 경시, 세계 부정, 여성 혐오로 일관해온 기독교신학이 생태학적으로 재활용되는데 길잡이가 될뿐더러, 기독교윤리의 최고 규범인 사랑을 생태학적 맥락에 적용시키고 포괄적인 공동체윤리를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시각을 제공해준다. 요컨대 본 논문은 생태여성주의가 기독교 사회윤리학적으로 어떻게 접맥될 수 있을지를 고찰해 본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먼저 제Ⅰ장에서는 본 논문의 문제제기와 목적을 밝히고, 방법, 동향, 범위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제Ⅱ장에서는 현대 문명을 떠받치고 있는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현대 문명의 역사는 데카르트의 주/객 도식에 입각한 합리주의 철학과 베이컨이 기초를 놓은 과학기술주의, 또 아담 스미스의 자유주의 시장경제론이 만나 조우한 역사로, 철저히 자연 착취적이고, 여성 억압적인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제Ⅲ장은 생태위기에 대한 기독교의 책임을 검토하면서, 기독교 사상사에 나타난 영적 모티브와 생태학적 모티브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체로 기독교 신학은 영적인 동기에 치중하여 영혼구원에 힘쓰는 한편, 세상과 육체와 여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농후하였으므로, 이것이 서구적 자연관에 미친 영향을 고려할 때, 기독교는 직무태만죄 혹은 생략죄를 저질렀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Ⅳ장에서는 생태여성주의의 사상적ㆍ신학적 토대를 탐구하였다. 여성억압과 자연억압이 상호연관되어 있다는 관찰에 입각하여 가부장제가 생태위기의 근원이라고 고발하는 생태여성주의적 분석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자칫 본질주의로 흐르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이 새롭게 역전된 남/녀 이원론에 빠지지 않으려면 통합적이고 변혁적인 여성주의로 나아가야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런 연후에 하나님과 세계를 분리시켜온 우주적 이원론을 극복하기 위한 생태여성신학자들의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세계, 창조,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 등 주요 신학적 주제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들을 탐구하였다. 제Ⅴ장에서는 기독교 생태여성윤리의 기초를 다지기 위하여, 우선 전통 기독교윤리의 사랑의 규범을 생태학적 맥락에서 정의ㆍ돌봄ㆍ존중ㆍ사귐 등으로 다양하게 재해석해보는 작업을 수행하였고, 다음으로는 생태여성주의와 기독교사회윤리를 연결하는 틀로서 알버트 슈바이처의 생명 경외 윤리와 마르틴 부버의 나-너 윤리, 그리고 월터 뮬더의 인격적 공동체 윤리를 살펴본 뒤, 포괄적ㆍ통합적 틀로 살림의 윤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Ⅵ장에서는 본 논문의 전체 내용을 개괄적으로 요약하고, 그 한계점과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