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안찬양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D구의 J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에 다니는 6, 7세 아동들 중 발달 및 정서에 문제없는 일반아동들로 이들 모두의 부모님들은 아동들이 연구 참여하는 것에 동의하였고 총 20명의 아동이 연구대상에 선정되었다. 두 군데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실험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J어린이집과 S어린이집은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이에 J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10명이 실험집단에 S어린이집에 다니는 아동 10명이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이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게 주 1-2회, 70분씩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종합창의성검사와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양적 분석은 SPSS 25.0의 대응표본 t-검증으로 하였으며 질적 분석은 집단미술치료 과정 중에 나타나는 아동들의 언어적 표현과 태도 및 행동을 2명의 보조치료사가 관찰하여 기록한 내용과 회기마다 녹화한 동영상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창의성의 4가지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의 3가지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셋째,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단계별 진행과정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업사이클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추후 본 연구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아동이 가진 잠재가능성을 개발시켜 삶의 과정에서 마음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예방적 차원의 미술치료적 접근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nted to see if group art therapy using upcyc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Among children aged 6 and 7 who attend J Daycare Center and S Daycare Center in D-gu, Seou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rdinary children who had no problem with development and emotion, and all parents agreed that children would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a total of 20 children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a situation where experiments should be conducted on two daycare centers, the homogeneity of J and S daycare centers has been secured. As a result, 10 children attending J Daycare Center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children attending S Daycare Center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period is from December 2019 to February 2020, and a total of 12 programs, excluding pre- and post-inspection, were conducted once or twice a week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70 minutes. The research tools used a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and a self-efficacy test. Quantitative analysis of research results was based on response sample t-verification of SPSS 25.0,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based on the verbal expressions, attitudes, and behaviors of children that appeared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process, and videos recorded by two assistant therapists at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upcyc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areas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the four sub-factors of creativity.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upcycling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fficacy.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all areas of cognitiv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three sub-factors of self-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gres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using upcycling,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upcyc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and self-efficacy. We hope that the program using this study will develop the potential of children so that it can be a useful preventive approach to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mind in the course of life.

      • 업사이클링(upcycling)시장의 확장성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연구

        김소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Modern industry development increases the material and cultural richness and quality of people's lives. However,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d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with various industrial wastes. Based on this fact, the community and companies started to suggest various types of solutions to improve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this eco friendly culture became one of trend and especially the solution called "Upcycling design" was suggested among the solutions. Upcycling solution provides the new value to the industrial waste and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and design paradigm's sustainability. There is no limit for using useless material, however, current upcycling market focuses mainly with useless clothes and there are many cases to make these clothes manufactured. This can become as one of solution for increment of useless clothes due to fast fashion development. However, most of companies produce the products which already upcycled and they suggest these upcycled products to the buyers to purchase it. This one way business model lacks the buyer's buying motivation and consensus-making. Therefore, it needs to consider the interdependent mobile service between company and buyer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upcycling market. The appearance of upcycling and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al paradigm changes for upcycling design's sustainability are suggested based on many previous studies. The appearance of upcycling was connected with design paradigm changes and the value of upcycling design was able to fin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emotional and formative field. Moreover, digital storytelling's features were suggested to use for improvement of the upcycling market's marketing limitation and digital marketing cases like upcycling which provides the environmental messages were analyzed. It was suggested how the marketing cases can influence the users to agree the environmental messages especially in cognitive and sensitive way. This study suggested the mobile service platform to expand the upcycling market based on storytelling's environmental contents. The service suggested in this study helped to reduce the negative perception of upcycling products and made people to experience the upcycling due to clothes donation. Unlike other online services, the service suggested in this study visualized the process of upcyling by donation and focused to build user's consensus. Moreover, it seems possible to secure the materials for continuous upcycling without donations dueto company's needs and limi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duced the prototype and suggested how user's experience of upcycling design mobile service by clothes donation affects to expand the upcycling market. 현대 산업의 발달은 사람들로 하여금 물질적, 문화적 풍요와 삶의 질을 높여주지만, 그로 인해 배출되는 다양한 산업 폐기물들로 환경오염의 심각성은 지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책임의식을 지니게 된 사회와 기업들은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방안을 제시하며 친환경적 문화를 오늘날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 잡게 하였다. 그 중에서도 폐기물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여 환경과 디자인 패러다임에 지속가능성을 보여주는 업사이클링 디자인이 대두되고 있다. 업사이클링 디자인은 폐소재 활용에 있어 제약을 두고 있지는 않지만, 현재 업사이클링 시장은 폐의류를 주로 사용하여 제품화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는 오늘날 패스트 패션(fast fashion)문화의 성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의류량의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책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기업들은 이미 업사이클링 되어진 제품을 생산하고 구매를 권하는 식의 일방향적 비즈니스 모델을 형성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구매동기 및 공감형성 부족이 뒤따르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입장을 고려한 새로운 업사이클링 경험과 오프라인 마케팅 중심으로 활성화 되었던 시장의 접근성을 확장시키기 위해 기업과 소비자간의 상호의존적인 모바일 서비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환경 패러다임 변화를 정의하고 업사이클링의 등장을 알아보았다. 이는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와도 연결됨을 발견하고 문헌조사를 통해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가치를 사회적, 감성적, 조형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업사이클링 시장의 마케팅적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적용시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환경 콘텐츠 적용 요소를 발견한다. 업사이클링과 같은 환경적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디지털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고 사용자들의 인지적, 감성적 요소를 자극시킬 수 있는 것에 집중하여 그들의 공감 형성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환경 콘텐츠 적용 요소를 중심으로 업사이클링 디자인 시장의 확장성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연구자가 제시한 서비스는 업사이클링 제품에 대해 지녔던 부정적인 인식 및 낮은 관심도를 사용자들이 나눔(기증)이라는 작은 행동을 통해 쉽게 접근하고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기존의 온라인 서비스와는 다르게 기증을 통해 제품화가 되는 히스토리를 시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들의 공감형성 구축에 중심을 두었다. 또한, 소비자 외에도 기업의 니즈 및 한계를 고려해 지속적인 소재의 확보가 가능해 질 수 있다고 보았다. 최종적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의류기증을 통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모바일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새로운 경험이 시장의 확장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가치 평가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소은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Year by year, waste materials are increasing only, and therefor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 keeps on being brought up. In this situation, people became to be interested in environmental problem and resource saving gradually, and, as recognition of ethical consumption is spreading, market for up-cycling fashion product is being activated. However, since up-cycling fashion products are not accepted by public here and now, at this point, we need to generate some specific marketing plan to activate relevant products. Though, until now, there are many of previous studies which present the plans to publicize up-cycling fashion brand or relevant products, we have some shortage of critical studies which aim to recognize consumer’s purchasing action by connecting with consumer’s property. Accordingly, by categorizing up-cycling fashion product with perspective of regeneration and reorganization, this study will research about the effect that congruence between up-cycling fashion product image and self-image could generate on value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From February 20th 2017 to March 20th 2017, through out total 29day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research targeting the women in twenties or thirties who live in Seoul and capital area. Also, I used the 265 women’s replies which are acquired through on-line survey. I conducted the research by selecting re-generation/re-form up-cycling fashion bag as the item of research target product. In order to analyze the result,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by utilizing SPSS 24. First of all, in terms with factorial analysis result about the congruence between fashion product image and self-image, for the case of re-generation up-cycling fashion product, the congruence factors with ideal self-image were four factors which are ‘Sophistication’, ‘Ruggedness’, ‘Competence’ and ‘Sincerity’, and the congruence factors with actual self-image were 2 factors which are ‘Excitement’ and ‘Sincerity’. Also, for the case of re-form up-cycle fashion product, the congruence factors with ideal self-image were 3 factors which are ‘Excitement’, ‘Ruggedness’ and ‘Sincerity’, and the congruence factors with actual self-image were 3 factors which are ‘Excitement’, ‘Sincerity’ and ‘Sophistic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ose extracted congruence factors generated following results. First, after look into the impact of respondent’s congruence factors between up-cycling fashion product image and self-image on value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we could find the result that ‘Competence’ and ‘Sincerity’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mong the congruence factors of re-generation up-cycling fashion product image and self-image. Also, the more the conformity is high, the more the impact on value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re-generation up-cycling fashion product is positive. Furthermore, among the congruence factors of re-form up-cycling fashion product image and self-image, ‘Excitement’ and ‘Sincerity’ are the most outstanding factors. And, the more the congruence of these two factors is high, the more the impact on value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re-form up-cycling fashion product is positive. Second, we could find the result that, for the re-generation up-cycling fashion product, practical value and aesthetic value except environment-friendly value evaluation may affect purchase intention. And, as the value evaluation result is getting higher, purchase intention appears higher, too. Also, for the re-form up-cycling fashion product, whether the value evaluation is environmental-friendly, practical or aesthetic, the evaluation could affect purchase intention. The lower the environmental-friendly value evaluation is, and the higher the practical or aesthetic value evaluation is, purchase intention is getting higher. Finally, we looked into the correspondence of customer’s value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contingent upon purchase experience of up-cycling fashion product. The result is that the customer with some purchase experience of up-cycling fashion product could evaluate most of value factors of up-cycling fashion product and could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 compared with the customer without that experience. By analyzing the congruence between up-cycling fashion product image and customer’s self-image and analyzing customer’s value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bout that product, this study would like to help up-cycling fashion company to create some proper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connection of specific product and customer’s character. 매년 폐기물의 양은 늘어만 가고 그로 인해 환경오염의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자 사람들은 점차 환경과 자원절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윤리적인 소비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업사이클링(Up-cycling) 패션 제품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하지만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이 아직 대중화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관련 제품에 대한 특정 마케팅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까지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나 제품을 대중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선행연구들이 이루어졌었지만 구체적으로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특성과 연결 지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파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의 종류를 재생과 재정비의 관점에서 분류하여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이 가치 평가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17년 2월 20일부터 3월 20일까지 총 29일에 거쳐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을 통해 얻은 총 265명의 응답 모두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 제품의 품목은 재생·재정비 업사이클링 패션 가방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4를 활용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T-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재생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은 이상적 자아 이미지와의 일치 요인이 ‘세련’, ‘강인’, ‘능력’, ‘신뢰’의 4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실제적 자아 이미지와의 일치 요인은 ‘흥미’, ‘신뢰’의 2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또한 재정비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은 이상적 자아 이미지와의 일치 요인이 ‘흥미’, ‘강인’, ‘신뢰’의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실제적 자아 이미지와의 일치 요인은 ‘흥미’, ‘신뢰’, ‘세련’의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렇게 추출된 일치 요인들을 바탕으로 실시한 회귀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 요인이 가치 평가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재생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 요인 중 ‘능력’과 ‘신뢰’에서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이 두 요인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재생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의 가치 평가와 구매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재정비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 특성에서는 ‘흥미’와 ‘신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 두 요인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재정비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의 가치 평가와 구매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왔다. 둘째, 재생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은 제품의 친환경적 가치 평가를 제외한 나머지 실용적 가치, 미적 가치 평가가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가치 평가가 높을수록 구매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정비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의 경우 제품의 친환경적, 실용적, 미적 가치 평가 모두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 중 친환경적 가치 평가가 낮을수록, 실용적, 미적 가치 평가가 높을수록 구매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구매경험 여부에 따른 소비자의 가치 평가 및 구매 의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의 대부분의 가치 요인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평가를 하며 높은 구매 의도를 갖고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이미지와 소비자의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을 분석하여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 평가 및 구매 의도를 분석함으로써 업사이클링 패션 업체가 특정 제품과 소비자의 특성을 연결시키는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업사이클링(Up-cycling)을 활용한 환경미술교육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미술 교육을 중심으로

        이주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and science have developed at a rapid pace, making a big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in which we live. these developments have made our lives convenient and enabled us to achieve enormous economic growth. but, the side effects of the Earth's resource crisis and its high energy consumption were serious. the large amount of waste generated by the previous consumption and production also causes environmental problems, adversely affecting the global environment. Global warming, ozone depletion, and tropical forests are spreading rapidly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these problems are hurting not only the environmental ecosystem but also human life. as such, environmental issues are no longer a story in the media, but a task that mankind must solve in the future. therefore, governments, public organizations and companies from around the world are paying attention and working for a better environment. If we do not properly protect the environment as we do now and regard the Earth as a consumer and use it indiscriminately, we will have nothing left for our descendants to leave behind th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and abundant resources. To solve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the world is interes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considers the Earth and the environment. up-cycling, which is centered on sustainability, was developed in the sense of existing recycling and created new values by utilizing waste products. therefore, upcycling is increasing the scarcity and value of works that utilize upcycling not only in the environment but also in the design and art industri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this study studied the class design of upcycling work production activities. First, I realize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nd organized the definition and goal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in Korea. Seco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were explored and the examples of works of upcycling domestic and foreign enterprises were analyzed. Third, the link betwee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nd upcycling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of 2015 curriculum art subjects (8 types). Finally, the above contents were summarized and the instruction for the production of upcycling works was presented and the class demonstrat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we have established student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and correct values for the environment through class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upcycling.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classes will be made up of self-creating attitudes and abilities i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국문초록)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후 기술 문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해 나가면서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 큰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우리의 생활은 편리해졌고, 막대한 경제 성장까지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무분별한 에너지 소비와 지구의 자원고갈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소비·생산으로 생긴 많은 양의 폐기물 또한 환경문제를 일으켜 지구 환경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환경오염 문제로 인한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열대림등은 현시대에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환경 생태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삶 속까지 피해를 주고 있다. 이처럼 환경문제가 더는 매스컴 속 이야기가 아니라 인류가 앞으로 풀어 가야 할 숙제이다. 만일 지금처럼 환경보호를 제대로 하지 않고 지구를 소비의 대상으로 여기고 무분별하게 사용한다면 우리의 후손들에게는 지금의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풍부한 자원을 남겨 줄 것이 없을 것이다. 이 같은 환경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 세계적으로 지구와 환경을 생각한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다. 지속가능성에서 요즘 가장 화두가 되는 업사이클링(Up-cycling)은 기존의 재활용 의미에서 발전된 것으로 폐품을 활용해 새로운 가치 창출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업사이클링은 환경뿐만 아니라 디자인, 미술계에서도 이를 활용한 작품들의 희소성과 가치를 높여가고 있다. 이 연구는 환경 미술교육을 이해를 바탕으로 업사이클링 작품 제작 활동 수업디자인에 관해 연구하였다. 첫째, 환경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깨닫고 환경교육의 정의와 목표, 우리나라의 교육 현황에 관해 정리하였다. 둘째, 업사이클링 개념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업사이클링 국·내외 기업의 작품사례를 분석하였다. 셋째, 2015 교육과정 미술 교과(8종) 교과서 분석을 통해 환경 미술교육과 업사이클링의 연계성 및 교육적 의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을 정리하여 업사이클링 작품 제작 지도안을 제시하고 수업시연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경각심과 환경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여 업사이클링의 의미를 시키고자 하였다. 앞으로의 환경 미술교육에 있어 주체적으로 창조하는 태도 및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수업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구매 경험에 따른 소비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채하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기획 및 디자인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국내 업사이클링 패션 소비자들과 일반 패션 소비자들의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에 관한 성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과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의 구매 경험이 없는 일반 패션 소비자들을 선정하여 이들의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에 관련된 성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50대 사이의 업사이클링 패션 소비자 4명, 일반 패션 소비자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함으로써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범주 분석(domain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소비자의 패션 성향 및 구매의도와 연관된 4개의 범주 ‘의복쇼핑성향’, ‘의복선택기준’, ‘친환경 태도’, ‘구매의도’에 대해 고찰하였고, 총 4개의 범주와 총 15개의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업사이클링 패션 소비자 집단과 일반 패션 소비자 집단은 각각의 범주와 주제어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제1 범주인 ‘의복쇼핑성향’의 경우 ‘쾌락 추구’, ‘경제 추구’, ‘편의 추구’, ‘개성 추구’, ‘유행 추구’의 5개의 주제어에서 양 집단 간의 세부적인 차이가 도출되었다. 업사이클링 패션 소비자와 일반 패션 소비자 두 집단을 비교한 결과, 양 집단은 쾌락 추구 성향에서는 유사하였지만, 경제 추구 성향, 개성 추구 성향, 유행 추구 성향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관찰되었고, 편의 추구 성향에 있어서도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제2 범주인 ‘의복선택기준’의 경우 ‘디자인 및 스타일’, ‘품질’, ‘가격’, ‘브랜드’, ‘친환경성’의 5개의 주제어에서 두 집단의 세부적인 차이를 고찰하였으며, 업사이클링 패션 소비자와 일반 패션 소비자 두 집단 모두 패션 제품 구매 시 디자인 및 스타일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간에는 가격과 친환경성 측면에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품질과 브랜드에서도 부분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3 범주인 ‘친환경 태도’에서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 ‘환경 인식’, ‘환경 운동에 대한 관심’의 3개의 주제어에서 양 집단 간의 세부적인 차이가 도출되었다. 업사이클링 패션 소비자 집단과 일반 패션 소비자 집단은 모두 환경 문제에 대한 인지도가 높았으나,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 및 환경 운동에 대한 관심 측면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업사이클링 패션 소비자 집단은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 운동에 대한 관심 측면에서는 고-관심도 집단과 저-관심도 집단으로 세분화되었다. 한편, 일반 패션 소비자 집단은 친환경 제품 및 환경 운동에 대한 관심도 모두 낮은 편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4 범주인 ‘구매의도’에서는 ‘가격의 정도에 따른 구매의도’와 ‘품질의 정도에 따른 구매의도’의 2개의 주제어에서 양 집단 간의 세부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이 일반 제품보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친환경적인 요소를 담고 있으며 디자인 및 품질 측면에서 본인의 기준을 만족할 경우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업사이클링 제품이 일반 제품과 동일하거나 우수한 수준의 품질을 유지할 경우에는 구매할 의사를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업사이클링 패션 소비자들은 패션을 통한 자기 표현의 욕구가 매우 강한 소비자들이며 가치 중심적인 소비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가치 중심적인 소비 경향으로 인해 결국 패션 제품 구매 시 가격보다는 디자인 및 품질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나, 친환경성에 있어서는 이 집단 안에서도 세부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최근 친환경 및 지속가능 소비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업사이클링 패션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나, 업사이클링 패션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개선해야 할 점들이 있으며, 이에 대해 ‘디자인 개선’, ‘스토리텔링’, ‘접근성’의 3가지의 측면에서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선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에게 적용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총 10차시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는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태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과 업사이클링 교육 자료 및 정책을 분석하여 개발한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정미경 외(1999), 최유현(2001) 등의 연구에서 적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모형(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에 바탕을 두었으며 초등학교 6학년 수준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사이클링의 의미를 살펴보았을 때, 업사이클링은 새로운 산출물을 만드는 과정이므로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관련이 있고, 환경을 보호하는 활동이기에 환경태도와 관련이 있다. 둘째, 실험집단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모든 하위영역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고,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만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어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 환경태도의 모든 하위영역의 평균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었고,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 분석 결과 실험집단만 유의한 차이로 향상되어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 향상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업사이클링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정성적 분석 결과 학생들이 교육 프로그램 이후 재활용이나 폐품을 그대로 버리지 않고 새로운 쓰임을 찾고, 환경보호 활동을 홍보하는 등 환경태도에서 긍정적인 행동 변화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업사이클링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환경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ies to solve creative problems and environmental attitude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rogram.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upcycling educational researches and policies is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applied in the research of Mikyung Chung et al. (1999) and Yuhyun Choi (2001). and reorganized into 10 lessons suitable for the 6th grad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2 classe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 city, and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d developed and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for 10 classes. As a test too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nvironmental attitude test paper were used. The SPSSWIN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t-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nvironmental attitud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The main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meaning of upcycling, upcycling is a process of creating new products, so it is related to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ince it is an activity to protect the environment, it is related to environmental attitudes. Second, the average of all sub-area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by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as a result of the pre-post test analysis within the group, it was improve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at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average of all sub-area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by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as a result of the pre-post test analysis within the group, it was improve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at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th,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positive behavioral changes were observed in environmental attitudes, such as when students found new uses and promoted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without throwing away recycling or waste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Upcycling Environmental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nvironment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업사이클링(Upcycle) 개념을 적용한 안락의자(Comfort Chair) 디자인

        욱승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the economy increases in a high speed and the excessive consumption culture becomes popular in modern society, it has led to some problems such as overproduction, rapid upgrading of product, large amount of domestic waste, industrial waste and other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Coupled with the exhaustion of the earth's resources, it even reached a serious level threatening the survival of human beings. With the convening of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in Stockholm of Sweden in 1972, all sectors of society have attached more importance to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which are mainly reflected in the climate change, the rising of sea level,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reduction of biodiversity and so on. As a result, in addition to promoting the international and regional cooperatio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rights and interests institutions, it has also disseminated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derived a series of ideas and countermeasur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innovation and sustainable design. Considering the societies, cultures and environments of all countries, it has formulated and followed practical schemes and international norms. The sustainable designs as the practical countermeasur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as solutions, such as the green desig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design. Transcend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design, the upgrading design is recognized as an industry that is able to create new value and high added value, which is becoming a worldwide trend. Based on the concept of closed-loop production, the upcycling takes the waste as materials, which are those materials losing their original functions in the existing product system. By taking the design creativity as the basis, the designer makes a new product system for these wastes. In this way, the waste removed from one product cycle is able to embody the value in another product cycle, which can also be converted into necessary raw materials, so a closed production cycle system can be built. Under this situation, a new consumption trend is emerging. The research aims at building an easy chair design activity through upcycling. The upcycling design is applicable to the high-priced easy chairs like the exclusives belonging to the affluent class. It is suggested to create the most popular and capable household rest furniture, so as to make ordinary people able to enjoy an abundant life. This as a scheme to reduce waste resources aims at making contributions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urniture upcycling design in the future. Firstly, the literature research through articles and papers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ustainable design and upcycling design.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case of upcycling enterprises, the elements of upcycling design, the general trend and limitations of upcycling process are mastered. Besides,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present status caused by waste materials are understood by investigating the waste plastics, waste wood, waste clothing/leather and other materials. Based on this, the types and features of different waste materials and examples of renewal cycle design are further investigated. To grasp consumers' acceptance of the superior cycle and their demand for the easy chair, it carries out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so a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sumers' demand for the superior cycle design of the easy chair. From this, the sales process pipeline is derived through the positioning and formulation of strategies. Consumers can participate in the design process on the Internet, so that the user's purchase probability and their environmental awareness can be enhanced. Finally, the design concept of using waste wood and seat leather of waste automobiles as the materials for upcycling easy chairs is proposed according to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and questionnaire survey. 현대 사회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과소비 문화의 성행은 과잉 생산,제품의 빠른 세대교체, 대량의 생활 쓰레기 및 산업 폐기물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을 야기하였다. 또한, 지구 자원이 고갈되어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1972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유엔 인간환경회의가 개최됨에 따라 기후변화, 해수면 상승, 환경오염, 생물 다양성 감소 등 환경 문제와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 각계의 관심이 높아졌다. 그에 따라 국제 지역간 협동협력, 사회 환경보호 및 권익 기구의 창립이 촉진되었을 뿐 아니라 '지속 가능'의 이념을 퍼뜨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 지속 가능혁신, 지속 가능 디자인 등 앞서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할 일련의 이념과 대책도 함께 파생되었다. 세계 각국은 각국의 사회, 문화, 환경을 고려한 실천적 방안과 국제 규범을 제정하고 준수하고 있다.실천적 대안으로 그린디자인, 친환경디자인 등 지속 가능한 디자인이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업그레이드 디자인은 기존 친환경 디자인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가치 창출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정받으며 세계적인 하나의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업사이클링 및 재생은 일종의 폐쇄 루프 제조(Close-Ioop Production)의 개념에 기초하고 있으며 폐기물을 재료 삼는데, 그것들은 기존에 속한 제품 시스템에서 본래의 기능을 잃은 재료들이다. 디자이너는 디자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이러한 폐기물을 위한 새로운 제품 시스템을 만들어 하나의 제품 순환에서 제거된 폐기물이 다른 제품 순환에서 그 가치를 발휘하게 하여 필요한 원료로 변환 시킴으로서 폐쇄적인 생산 순환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업사이클링을 통한 안락의자 디자인 활동을 구축하는 것이다. 부유층의 전유물과도 같은 고가의 안락의자에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적용하여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세련된 가정용 휴게 가구를 제안함으로서 일반인들 또한 풍요로운 생활을 누릴 수 있게 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폐기자원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향후 가구의 업사이클링 디자인 연구개발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서론에서는 기사, 논문 및 기타 문헌 연구를 통해 지속 가능한 디자인과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고, 업사이클링 기업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업사이클링 디자인의 요소와 업사이클링 과정의 전반적인 추세와 한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폐플라스틱, 폐목재, 폐의류/가죽 등의 자재를 조사하여 폐자재로 인한 환경 문제와 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더해 각기 다른 폐 자재의 종류 특성과 업사이클링 순환 디자인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다음은 업사이클링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도와 안락의자에 대한 수요를 이해하기 위해 설문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여 안락의자 업사이클링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포지셔닝하고 전략을 수립함으로써 판매 프로세스 파이프라인을 도출하였다. 업사이클링된 제품은 디자인 과정에서의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한 폐 자재의 본래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업사이클링 제품은 고유의 형태를 지니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소비자의 디자인 프로세스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구매 확률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환경 보호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 살펴본 문헌 연구 및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폐목재와 폐 자동차의 시트 가죽을 업사이클링 안락의자의 재료로 사용하는 디자인 개념을 제시하였다.

      • 업사이클링 산업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도의 인식제고를 위하여

        이정우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제성장에 따른 환경문제는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플라스틱, 폐기물처리 문제 등 전 지구적 사회문제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환경과 경제가 상생해 나아갈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8년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고 재활용을 촉진하는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서 폐기물을 자원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게끔 만들어 주었다. 하지만 지속적인 폐기물증가와 더불어, 재활용률이 떨어지면서 재활용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이 필요하게 되었고 업사이클링 산업은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산업으로 부각 되어지고 있다. 2002년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시작으로 2007년 세계자연유산 등재, 2010년 세계지질공원 인증까지 제주도는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전 세계인이 함께 가꾸고 보전해야 할 ‘환경 자산의 보물섬’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매년 늘어가는 유동인구의 숫자만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폐기물관리 문제는 제주도의 커다란 걱정거리로 자리 잡고 있으며 지난 3월 발생한 ‘제주쓰레기 필리핀 불법수출 파문’은 천혜의 자연유산지인 제주도에 불명예를 안겨준 사건이었다. 폐기물 처리를 위해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지만, 쉽게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에 폐기물(재활용가능자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산업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알아보고 제주도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Environmental issues stemming from economic growth are expanding to global soci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fine dust, plastics and waste disposal. To solve these problems, new paradigms are being presented and various measures are being sought to enable the both environment and economy to coexist. In Korea,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was enacted in 2008, allowing waste to be viewed as a new high value-added industry that curbs waste generation and promotes recycling from the resource perspective. However, with the continued increase in waste, a falling recycling rate has necessitated a new value-added industry to revitalize recycling, and the upcycling industry is emerging as the new industry that this era needs. Starting with designating Biosphere Reserve in 2002, registered as World Natural Heritage in 2007 and certified as Global Geopark in 2010, Jeju Island has become ‘treasure island of environmental assets’ that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must cultivate and preserve together. However, the problem of waste management, which grows exponentially with th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increasing every year, has become a major concern for Jeju Island. And the "illegal export scandal of Jeju trash to Philippine" that broke out in March brought disgrace on this natural heritage island. There are a variety of considerations for waste disposal, but there are no signs of easy resolu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look into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upcycling industry utilizing waste(recycling resources) and seek possible measures to Jeju Island.

      • 업사이클링(Upcycling) 패션 디자인을 위한 한국 소비자와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인식, 취향, 니즈의 비교

        에비야니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는 빠른 경제 성장과 소득향상으로 인한 무분별한 소비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급성장한 산업화와 대량생산으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과 대량의 산업폐기물 등의 환경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허진영, 2019). 이로 인해, 인간의 삶에 대한 위기의식과 더불어 자원 보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에 대한 정책 및 대체 에너지의 개발, 폐기물의 효율적 처리 등과 같이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들이 다방면으로 모색되고 있다 (허진영, 2019). 이러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 중 산업폐기물들을 순환이 가능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재활용하는 방안이 각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버려지는 폐자원을 활용하여 미적 가치를 더해 새 상품화하는 업사이클링 디자인이 각 디자인 분야에서 제품으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허진영, 2019).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이란 이슈가 공통적인 키워드이며,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되는 공동의 이슈인 만큼 국내뿐 아니라, 타 국가를 동시에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박영희. 2016). 환경문제 의식에 따른 소비자 태도에 대한 선행 연구, 업사이클링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편이다 (홍영민 & 김용주, 2014). 그러나 국가별 업사이클링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특히 국가별 소비자의 업사이클링 패션 취향, 니즈를 분석하는 비교연구는 더욱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업사이클링 패션에 대한 한국 소비자와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인식, 니즈 및 취향을 비교함으로써, 업사이클링에 대한 국가별 소비자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법을 사용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 조사는 2023년 3월 5일~ 2023년 4월 20일까지 온라인 구글폼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 대상자로서, 서울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거주하는 만 20세~39세 (MZ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100명의 표본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T-검정 양측 검정, 카이제곱 검정(Chi-squared test)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한국 소비자 집단과 인도네시아 소비자 집단 모두 업사이클링 패션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의 구매 경험은 낮게 나타났고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나 구전 의향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이는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사이클링 패션에 대한 취향을 살펴본 결과, 업사이클링 의복 선택 기준에 있어 중요도가 높은 측면을 보면, 한국 소비자에게 있어서는 업사이클링 의복 선택 기준에 있어 디자인이 중요한 요인임이며, 인도네시아 소비자에게 있어서는 품질을 중요시하는 성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실증 연구를 통해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자 만족을 위한 업사이클링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는 방안을 규명한다는 것에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친환경 소비실천의 실제 행동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미있는 전략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제시할 수 있다. In modern society, reckless consumption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come improvement, and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mass production, we are facing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large amounts of industrial waste (Jinyoung Heo, 2019). As a result, interest in resource protection is increasing along with a sense of crisis in human life, and measure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eco-friendly policies,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and efficient disposal of waste are being sought in many ways. (Heo Jin-young, 2019). Among the measures to solve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the measures to recognize and recycle industrial waste as a resource that can be recycled are being studied in each field, and upcycling design, which uses discarded waste resources to add aesthetic value and commercialize them as new products, is being studied in each field. (Jinyoung Heo, 2019). The issue of eco-friendliness is a common keyword around the world, and since it is a common issue that requires continuous attention rather than a one-time even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evant issues not only in Korea but also those in other countries simultaneously (Younghee Park, 2016). There has been a lot of prior research on consumer attitudes based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research on consumer awareness of upcycling (Hong Young-min & Kim Yong-ju, 2014). However, research on consumer awareness of upcycling by country is insufficient, and comparative studies analyzing consumers' upcycling fashion tastes and needs by country are even more insufficien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onsumer perceptions of upcycling by country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needs, and tastes of Korean and Indonesian consumers about upcycling fash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line through Google Form March 5, 2023 to April 20, 2023 on Korean women aged 20 to 39 living in Seoul and Indonesian women aged 20 to 39 living in Jakarta. A total of 100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two-tailed test, and chi-squared test. As a result of this study, both the Korean and Indonesian consumer groups showed high awareness of upcycling fashion, but the purchase experience of upcycling fashion products was low, and the intention or word of mouth intention of upcycling fashion products was very low. It was also found that this was due to the high price of upcycling fashion produc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aste of upcycling fashion, when looking at the aspect of the importance in the selection criteria for upcycling clothing, design is an important factor in upcycling clothing selection criteria for Korean consumers, and quality was important for Indonesian consumer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s way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and develop upcycling fashion designs for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it presents meaningful strategic implications for practicing the actual behavior of eco-friendly consumption practices.

      •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오연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을 구성하고 유아의 창의성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P유치원 만 4세 두 학급 56명(실험집단 28명, 비교집단, 2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처치는 2018년 9월 10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은 주 1회씩 1, 2차시에 걸쳐 12주 동안 업사이클링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재활용품을 활용한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전경원(2014)의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를 허윤정(2001)이 번안 · 수정한 환경친화적 태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25.0 버전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통해 그 차이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의 창의성 총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모두 비교집단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의 환경친화적 태도 총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친화적 태도의 하위요소인 자연친화적 태도와 환경보전 태도 모두 비교집단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업사이클링을 통한 놀잇감 발명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유아환경교육과 유아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뿐만 아니라 유아교육현장에서 업사이클링을 통한 발명활동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venting Play Materials Through Up-cycling Activities on Crea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aged 4.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Inventing play materials through Up-cycl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Inventing play materials through Up-cycling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In this study, 56 young children (28 experimental group, 28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P kindergarten, located in Gangnam-gu, Seoul,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0, 2018 to November 30, 2018.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the inventing of play materials through up-cycling once a week for 1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rt activities using recycled materials. In this study, we used the K-CCTYC tool of Jeon Kyung-won (2014)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o assess children’s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CATES-PV (Hur Yun- Jeong, 2001, revised version of Musser & Diamond, 1999)’ was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vers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inventing of play materials through up-cycling showed higher than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of comparison group, and the sub-scores of creativity such a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parison group. Therefore, the invention of play materials through up-cycl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Second, the experiment group which performed inventing activity through upcycling showed higher than the total score of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of the comparison group. Both the nature friendly attitude and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ttitude, which are sub-scores of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Therefore, the invention of play materials through up-cycling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the activity of inventing play materials through up-cycling is effective in promoting creativity and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Furthermore,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and it can be expected that it will help revitalize the invention activity through up-cycling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